KR101574928B1 - 환원제 탱크 및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환원제 탱크 및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928B1
KR101574928B1 KR1020157016910A KR20157016910A KR101574928B1 KR 101574928 B1 KR101574928 B1 KR 101574928B1 KR 1020157016910 A KR1020157016910 A KR 1020157016910A KR 20157016910 A KR20157016910 A KR 20157016910A KR 101574928 B1 KR101574928 B1 KR 101574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ucing agent
conduit
heat exchanger
container bod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6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1350A (ko
Inventor
사토시 오가와
다이스케 구사바
야스타카 구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50091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01N3/2896Liquid catalyst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90Injecting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B01D53/9404Removing only nitrogen compounds
    • B01D53/9409Nitrogen oxides
    • B01D53/9431Process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B01D53/9459Removing one or more of nitrogen oxides, carbon monoxide, or hydrocarbons by multiple successive catalytic functions; systems with more than one different function, e.g. zone coated catalysts
    • B01D53/9477Removing one or more of nitrogen oxides, carbon monoxide, or hydrocarbons by multiple successive catalytic functions; systems with more than one different function, e.g. zone coated catalysts with catalysts positioned on separate bricks, e.g. exhaus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70/00Exhaust treating apparatus eliminating, absorbing or adsorbing specific elements or compounds
    • F01N2570/14Nitrogen ox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heavy duty applications, e.g. trucks, buses, tractors, locomot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02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the substance being ammonia or u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the substance being heated, e.g. by heating tank or supply line of the added subs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the substance being heated, e.g. by heating tank or supply line of the added substance
    • F01N2610/107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the substance being heated, e.g. by heating tank or supply line of the added substance using glow plug he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06Storage means for substances, e.g. tanks or reservoi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02T10/2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oxic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환원제 탱크 내에서의 열교환기의 경로 길이를 길게 확보하면서, 천장 덮개 및 열교환기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환원제 탱크를 제공한다. 열교환기(40)를 구성하고 있는 제1 관로(50)와 제2 관로(60)는, 각각 수직 하강부(41)의 하단으로부터 저면(36)을 따라서 용기 본체(33)의 측면(35a)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신부(54, 64)와, 연신부(54, 64)의 선단으로부터 측면(35a)을 따라서 용기 본체(33)의 상면(34)을 향하여 접힘부(59)까지 연장되는 상승부(55, 65)를 갖고 있다. 연신부(54, 64)의 저면(36)을 따르는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 L1은, 개구(31)의 최대 내경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 LD보다 크다. 상승부(55, 65) 및 접힘부(59)는, 열교환기(40)의 선단 굴곡부(45)를 형성하고, 선단 굴곡부(45)의 상승 길이는 개구(31)의 중심을 통과하는 최소 내경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 SD보다 작다.

Description

환원제 탱크 및 작업 차량{REDUCING AGENT TANK AND WORK VEHICLE}
본 발명은, 환원제 탱크 및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유압 쇼벨, 불도저, 휠로더 등의 작업 차량에는 배기 처리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배기 처리 장치로는, 예를 들면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 장치(DPF), 디젤 산화 촉매 장치(DOC) 및 선택 환원 촉매 장치(SCR) 등이 존재한다. 특히 선택 환원 촉매 장치는,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물을 환원하여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것이다. 이 배기 처리에 이용되는 환원제는 환원제 탱크에 저류된다.
탱크 내에서 환원제가 동결되면, 환원제를 배기 처리 장치에 공급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환원제 탱크 내에서의 환원제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해, 환원제 탱크 내에 열교환기를 배치하여, 환원제를 가열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37441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탱크 본체 내로부터 액체 환원제를 취출하기 위한 흡입관을 설치하고, 탱크 본체에 열교환용 매체가 순환하는 매체 파이프를 흡입관의 흡입구 근방에서 반전시키도록 반환점을 설치하여, 동결된 환원제를 흡입구 근방에서 해동하도록 한 환원제 탱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37441호 공보
열교환기는, 환원제에 대한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환원제 탱크 내에서의 경로 길이를 길게 하여 표면적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메인터넌스성을 고려하면, 열교환기는, 탱크의 상부 개구를 막는 천장 덮개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열교환기를 탱크 내에서 과도하게 굴곡시키면, 천장 덮개 및 열교환기를 제거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요 목적은, 환원제 탱크 내에서의 열교환기의 경로 길이를 길게 확보하면서, 천장 덮개 및 열교환기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환원제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환원제 탱크는, 용기 본체와, 열교환기와, 천장 덮개를 구비한다. 용기 본체는 환원제를 저류하고 있다. 용기 본체의 상면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열교환기에는, 환원제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매체가 흐른다. 천장 덮개는, 용기 본체의 개구를 막고 있고 열교환기를 지지하고 있다. 열교환기는, 열교환 매체를 용기 본체 내로 유도하는 제1 관로와, 용기 본체로부터 열교환 매체를 유출시키는 제2 관로와, 접힘부를 갖고 있다. 제1 관로와 제2 관로는, 접힘부를 통해 서로 연통하고 있다. 제1 관로와 제2 관로는, 각각 천장 덮개로부터 용기 본체의 저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수직 하강부와, 수직 하강부의 하단으로부터 저면을 따라서 용기 본체의 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신부와, 연신부의 선단으로부터 측면을 따라서 용기 본체의 상면을 향하여 접힘부까지 연장되는 상승부를 갖고 있다. 연신부의 저면을 따르는 길이는, 개구의 최대 내경 길이보다 크다. 제1 관로의 상승부, 제2 관로의 상승부, 및 접힘부는, 열교환기의 선단 굴곡부를 형성하고 있다. 선단 굴곡부의 측면을 따르는 상승 길이는, 개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최소 내경 길이보다 작다.
또, 본 명세서 중에서는, 환원제 및 환원제의 전구체를 「환원제」로 총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환원제 탱크에 의하면, 평면도 시점에서 연신부를 개구로부터 밀려 나오는 위치까지 연신시킴으로써, 열교환기의 경로 길이가 길어지고, 열교환기의 표면적이 증대된다. 열교환기로부터 환원제로의 전열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에 의해, 환원제에 대한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단 굴곡부가 개구를 경유하여 이동 가능해지기 때문에, 천장 덮개 및 열교환기를 일체로 하여 용기 본체로부터 제거할 수 있어, 열교환기를 용기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상기 환원제 탱크에 있어서, 선단 굴곡부를 연신부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본 형상은, 개구의 평면형상에 내포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선단 굴곡부가 개구를 보다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되므로, 열교환기를 용기 본체로부터 빼내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상기 환원제 탱크에 있어서, 선단 굴곡부를 연신부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본 형상의 외접원은, 개구의 평면형상에 내포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선단 굴곡부가 개구를 더욱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되어, 열교환기를 용기 본체로부터 빼내는 것이 더욱 용이해진다.
상기 환원제 탱크에 있어서, 선단 굴곡부와 측면의 거리는, 개구의 가장자리와 측면의 최단 거리를 이등분한 길이보다 작다. 이와 같이 하면, 열교환기의 연신부가 저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길이가 보다 커져, 열교환기의 경로 길이가 보다 길어진다. 따라서, 환원제에 대한 열전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환원제 탱크에 있어서 개구는 원형이다. 이와 같이 하면, 용기 본체와 천장 덮개 사이의 시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용기 본체의 상면과 천장 덮개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 내에 저류되어 있는 환원제의 누출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환원제 탱크에 있어서, 제1 관로와 제2 관로는, 제1 관로의 외경과, 제2 관로의 외경과, 제1 관로 및 제2 관로 사이의 거리의 합을, 개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최소 내경 길이보다 작게 유지한 채로 천장 덮개로부터 접힘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열교환기 전체를, 개구를 경유하여 용기 본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업 차량은, 엔진과,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환원 반응에 의해 처리하는 배기 처리 장치와, 상기 어느 환원제 탱크와, 환원제 탱크로부터 흡출한 환원제를 배기 처리 장치로 유도되는 배기 가스에 대하여 분사하는 환원제 분사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환원제 탱크 내에서의 열교환기의 경로 길이를 길게 확보하면서, 천장 덮개 및 열교환기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환원제 탱크를 구비하고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환원제 탱크 내에서의 열교환기의 경로 길이를 길게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천장 덮개 및 열교환기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작업 차량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선회 프레임 상에서의 환원제 탱크로부터 배기 처리 유닛까지의 환원제 배관의 경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작업 차량에서의 환원제의 경로, 열교환용 매체의 경로, 및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의 배기 경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기능도이다.
도 4는 환원제 탱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환원제 탱크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내는 일부 파단 단면도이다.
도 6은 환원제 탱크의 상면을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환원제 탱크의 내부의, 열교환기의 선단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열교환기와, 흡출관 및 센서 유닛과의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천장 덮개에 지지된 열교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천장 덮개 및 열교환기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천장 덮개 및 열교환기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한 천장 덮개 및 열교환기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용기 본체 내의 열교환기의 배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선단 굴곡부의 투영과 개구의 관계의 제1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5는 선단 굴곡부의 투영과 개구의 관계의 제2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6은 선단 굴곡부의 투영과 개구의 관계의 제3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7은 용기 본체로부터 열교환기를 빼내는 제1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용기 본체로부터 열교환기를 빼내는 제2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용기 본체로부터 열교환기를 빼내는 제3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용기 본체로부터 열교환기를 빼내는 제4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 가능한 작업 차량의 일례인 유압 쇼벨의 구성에 관해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휠로더, 불도저 등의 배기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엔진 유닛을 구비한 작업 차량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작업 차량으로서의 유압 쇼벨(1)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유압 쇼벨(1)은,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3)와, 작업기(4)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3)에 의해 작업 차량 본체가 구성되어 있다.
하부 주행체(2)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 벨트(2a)를 갖고 있다. 하부 주행체(2)는, 한 쌍의 크롤러 벨트(2a)가 회전함으로써 자주(自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3)는, 하부 주행체(2)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3)는, 전방측 F(차량 앞쪽)의 좌측 L에, 오퍼레이터가 유압 쇼벨(1)을 조작하기 위한 공간을 구성하는 운전석(5)을 갖고 있다. 상부 선회체(3)는, 후방측 B(차량 뒤쪽)에, 엔진을 수납하는 엔진룸(6), 및 카운터 웨이트(7)를 갖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퍼레이터가 운전석(5) 내에 착석한 상태로, 오퍼레이터의 전방측(정면측)을 상부 선회체(3)의 전방측 F로 하고, 이것과 반대측, 즉 오퍼레이터의 후방측을 상부 선회체(3)의 후방측으로 하며, 착석 상태에서의 오퍼레이터의 좌측을 상부 선회체(3)의 좌측 L로 하고, 오퍼레이터의 우측을 상부 선회체(3)의 우측 R로 한다. 이후는, 상부 선회체(3)의 전후좌우와 작업 차량의 전후좌우는 일치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오퍼레이터의 상하 방향을 도면 중 화살표 Z로 나타내고 있다.
상부 선회체(3)는 선회 프레임(9)을 갖고 있다. 선회 프레임(9)은 작업 차량 본체에 포함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9)은, 하부 주행체(2)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고, 하부 주행체(2)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작업기(4), 운전석(5) 및 카운터 웨이트(7)는, 선회 프레임(9)에 탑재되어 있고, 선회 프레임(9)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유압 쇼벨(1)은, 상부 선회체(3)를 하부 주행체(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선회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선회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선회 장치는, 하부 주행체(2)에 지지된 선회 모터, 선회 프레임(9)에 지지된 기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토사의 굴착 등의 작업을 행하는 작업기(4)는, 상하 방향 Z로 작동 가능하게, 상부 선회체(3)에 의해 피봇 지지되어 있다. 작업기(4)는, 상부 선회체(3)의 전방측 F의 대략 중앙부에 상하 방향 Z로 작동 가능하게 부착된 붐(4a)과, 붐(4a)의 선단부에 전후 방향 F, B로 작동 가능하게 부착된 아암(4b)과, 아암(4b)의 선단부에 전후 방향 F, B로 작동 가능하게 부착된 버킷(4c)을 갖고 있다. 붐(4a), 아암(4b) 및 버킷(4c)은 각각, 유압 실린더(4d)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작업기(4)는 운전석(5)에 대하여 우측 R에 설치되어 있다. 작업기(4)는, 상부 선회체(3)의 전방측 F의 좌측 L에 배치된 운전석(5)에 대하여, 운전석(5)의 한쪽 측부측인 우측 R에 설치되어 있다. 또, 운전석(5)과 작업기(4)의 배치는 도 1에 나타내는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상부 선회체(3)의 전방 우측에 배치된 운전석(5)의 좌측에 작업기(4)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엔진룸(6)은, 카운터 웨이트(7)의 전방측 F에 인접하도록 선회 프레임(9)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9)은 엔진룸(6)의 바닥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엔진룸(6)은 엔진 후드(8)에 의해 상측으로부터 덮여 있다. 엔진 후드(8)는 엔진룸(6)의 천장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카운터 웨이트(7)는, 엔진룸(6)의 후방측 B에 배치되어 있고, 엔진룸(6)의 후방측 B의 벽을 형성하고 있다. 엔진 후드(8)로부터 상측으로,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를 유압 쇼벨(1)의 차밖으로 배출하는 배기통(15)이 돌출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7)는, 굴착 작업 등에 있어서 유압 쇼벨(1)의 차체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선회 프레임(9)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7)는, 선회 프레임(9) 상에서의 엔진룸(6)의 후방측 B에 설치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7)는, 예를 들어 강판을 조립하여 형성한 상자 내에 고철 및 콘크리트 등을 넣어 굳히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7)의 후면은, 유압 쇼벨(1)의 후방측 B의 표면을 구성하고 있고, 매끄럽게 만곡된 형상을 갖고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업 차량에서의 환원제 탱크로부터 배기 처리 유닛까지의 환원제 배관의 경로에 관해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작업 차량(유압 쇼벨)(1)에 있어서 선회 프레임(9) 상에서의 환원제 탱크로부터 배기 처리 유닛까지의 환원제 배관의 경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유압 쇼벨(1)은, 하부 주행체(2) 및 작업기(4)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인 엔진(10)을 구비하고 있다. 엔진(10)은, 선회 프레임(9) 상에 탑재되어 있다. 엔진(10)은, 선회 프레임(9) 중 좌우 방향의 중앙측의 센터 프레임의 후방부에 탑재되어 있다. 엔진(10)은 엔진룸(6) 내에 수용되어 있다.
유압 쇼벨(1)은, 엔진룸(6) 내에, 엔진(1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처리하여 정화하기 위한 배기 처리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배기 처리 유닛은, 엔진(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고, 배기 처리 장치(12, 14)와, 중계 접속관(13)과, 배기통(15)과, 환원제의 분사 노즐(28)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배기 처리 장치(12)는, 후술하는 배기관(11)(도 3)에 의해 엔진(10)과 접속되어 있다. 배기 처리 장치(14)는, 중계 접속관(13)에 의해 배기 처리 장치(12)와 접속되어 있다. 엔진(1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는, 배기 처리 장치(12, 14)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배기통(15)으로부터 대기중에 배출된다. 엔진(10)으로부터의 배기 가스의 배출의 흐름에 대하여, 배기 처리 장치(12)는 엔진(10)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고, 배기 처리 장치(14)는 배기 처리 장치(12)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 처리 장치(12)는, 엔진(1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 중의 입자형 물질을 포집하여, 배기 가스 중의 입자형 물질의 농도를 저하시킨다. 배기 처리 장치(12)는, 예를 들면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 장치이다. 배기 처리 장치(14)는, 환원제와의 반응에 의해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질소 산화물을 환원하고, 질소 산화물을 무해한 질소 가스로 화학 변화시켜,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물 농도를 저하시킨다. 배기 처리 장치(14)는, 예를 들면 선택 촉매 환원식의 탈초 장치이다. 중계 접속관(13)에는, 중계 접속관(13) 내에 환원제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 노즐(28)이 설치되어 있다. 중계 접속관(13)은, 배기 가스에 환원제를 분사하여 혼합하는 믹싱 배관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유압 쇼벨(1)은 또한, 배기 처리 유닛에 환원제를 공급하기 위한 환원제 공급부를 구비하고 있다. 환원제 공급부는, 환원제 탱크(20) 및 환원제 펌프(22)를 구비하고 있다. 환원제 탱크(20) 및 환원제 펌프(22)는, 선회 프레임(9) 중 우측 R의 사이드프레임 상에 탑재되어 있다. 환원제 펌프(22)는, 엔진룸(6)에 대하여 전방측 F에 배치되어 있다. 환원제 탱크(20)는, 환원제 펌프(22)보다 전방측 F에 배치되어 있다. 환원제 탱크(20)는, 배기 처리 장치(14)에서 사용되는 환원제를 저류한다. 환원제로는, 예를 들면 요소수가 바람직하게 이용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환원제 탱크(20)와 환원제 펌프(22)는, 이송 배관(21) 및 복귀 배관(2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송 배관(21)은, 환원제 탱크(20)로부터 환원제 펌프(22)로 환원제를 송출하기 위한 배관이다. 복귀 배관(23)은, 환원제 펌프(22)로부터 환원제 탱크(20)로 환원제를 복귀시키기 위한 배관이다. 환원제 펌프(22)와 분사 노즐(28)은, 압송 배관(2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압송 배관(25)은, 환원제 펌프(22)로부터 분사 노즐(28)에 환원제를 이송하기 위한 배관이다.
환원제 탱크(20)로부터 이송 배관(21)을 경유하여 환원제 펌프(22)로 이송되어 온 환원제는, 환원제 펌프(22)에 있어서 둘로 분기된다. 배기 처리에 사용되지 않은 환원제는, 환원제 펌프(22)로부터 복귀 배관(23)을 경유하여 환원제 탱크(20)로 복귀된다. 배기 처리에 사용되는 환원제는, 환원제 펌프(22)로부터 압송 배관(25)을 경유하여 분사 노즐(28)에 도달하고, 분사 노즐(28)로부터 배기관(13) 내에 분무된다.
엔진(10)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는, 중계 접속관(13)을 경유하여 배기 처리 장치(14)에 유입된다. 중계 접속관(13)은, 배기 가스의 흐름에 있어서, 배기 처리 장치(14)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환원제 탱크(20)로부터 흡출된 환원제는, 중계 접속관(13)에 부착된 분사 노즐(28)을 경유하여, 중계 접속관(13) 내를 흐르는 배기 가스 중에 분사된다. 환원제는, 배기 처리 장치(14)에 대하여 배기 가스의 흐름의 상류측에 분사된다. 배기 가스 중에 분사되는 환원제의 양은, 배기 처리 장치(14)를 통과하는 배기 가스의 온도, 및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물의 농도에 기초하여 제어되고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업 차량에서의 열교환용 매체의 경로와 환원제의 경로에 관해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작업 차량에서의 환원제의 경로, 열교환용 매체의 경로, 및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의 배기 경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기능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10)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는, 배기관(11), 배기 처리 장치(12), 중계 접속관(13), 배기 처리 장치(14)를 순서대로 거쳐 배기통(15)으로부터 차밖으로 배기된다. 배기 처리 장치(14)에 대하여 배기 가스의 흐름의 상류측의 중계 접속관(13)에 분사 노즐(28)이 설치되어 있다.
환원제 탱크(20)는, 환원제(90)를 저류하기 위한 용기 본체(33)를 갖고 있다. 용기 본체(33)의 내부에는, 환원제 탱크(20)로부터 유출되는 환원제(90)가 흐르는 흡출관(70)이 배치되어 있다. 흡출관(70)은 이송 배관(21)에 연결되어 있다. 환원제 탱크(20)로부터 흡출된 환원제(90)는, 환원제 펌프(22)에 의해 이송되고, 이송 배관(21) 및 압송 배관(25)을 순서대로 경유하여 분사 노즐(28)에 도달한다. 배기 처리에 사용되지 않은 환원제(90)는, 환원제 펌프(22)로부터 복귀 배관(23)을 경유하여 환원제 탱크(20)로 복귀된다.
분사 노즐(28)은, 환원제 탱크(20)로부터 흡출한 환원제(90)를 배기 처리 장치(14)에 대하여 배기 가스의 상류측에 분사하는 환원제 분사 장치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분사 노즐(28)에 의해, 배기관(13) 내를 흐르는 배기 가스 중에 환원제(90)가 공급된다. 배기 처리 장치(14)에 있어서, 배기 가스 중에 함유되는 질소 산화물이 환원제(90)와 반응함으로써,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물의 농도가 감소한다. 환원제(90)가 요소수인 경우, 배기관(13) 내에 있어서 요소수는 분해되어 암모니아로 변화하고, 질소 산화물과 암모니아의 반응에 의해 질소 산화물은 무해한 질소 및 산소로 분해된다. 질소 산화물의 양이 적정치로 저하한 배기 가스는, 배기통(15)으로부터 배출된다.
환원제 탱크(20)의 내부에는, 환원제(90)와의 사이에서 열교환하는 매체(열교환 매체)가 흐르는 열교환기(40)가 배치되어 있다. 열교환 매체로는, 엔진(10)의 냉각수가 이용되고 있다. 열교환기(40)는, 열교환 매체를 환원제 탱크(20) 내로 유도하는 제1 관로(50)와, 환원제 탱크(20)로부터 열교환 매체를 유출시키는 제2 관로(60)를 갖고 있다. 제1 관로(50)는 냉각수 배관(17)에 연결되어 있다. 제2 관로(60)는 냉각수 배관(18)에 연결되어 있다. 냉각수 배관(18)에는, 라디에이터(16)와, 냉각수 펌프(19)가 설치되어 있다.
냉각수 펌프(19)의 구동에 의해, 엔진(10)의 냉각수는, 엔진(10), 열교환기(40), 라디에이터(16) 및 냉각수 펌프(19)를 순환하여 흐른다. 엔진(10)에서 가열된 냉각수는, 열교환기(40)에 있어서 환원제(90)와 열교환함으로써 냉각된다. 한편, 환원제(90)는, 냉각수로부터 열을 받는 것에 의해 가열된다. 라디에이터(16)는, 냉각수와 공기의 열교환을 행하여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이다. 라디에이터(16)에 있어서 냉각된 냉각수가 엔진(10)의 워터 재킷에 흐름으로써, 엔진(10)은 적절히 냉각된다.
이하, 환원제 탱크(20)의 구성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환원제 탱크(2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환원제 탱크(2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의 용기 본체(33)를 갖고 있다. 용기 본체(33)는, 대략 직사각형 상자형의 외형을 갖고 있다. 용기 본체(33)는, 상면(34), 측면(35a, 35c) 및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은 측면(35b, 35d), 및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은 저면(3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33)는, 상면(34)과 저면(36) 사이에서, 환원제를 저류하는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용기 본체(33)는, 폴리에틸렌 등의 내식성이 우수한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용기 본체(33)의 상면(34)에는, 환원제를 보충하기 위한 보충구(37)와,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은 후술하는 개구(31)(도 6)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31)는, 원판형의 천장 덮개(30)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개구(31)의 주위에는, 볼트(32)를 체결하기 위한 바닥이 있는 볼트 구멍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천장 덮개(30)의 외주부에는, 천장 덮개(3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천장 덮개(30)는, 체결 부재로서의 볼트(32)에 의해 용기 본체(33)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면(34)과 천장 덮개(30) 사이에는 O링 등의 시일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천장 덮개(30)를 상면(34)에 고정한 상태로 개구(31)는 액밀하게 밀봉되어 있다. 천장 덮개(30)는, 예를 들어 강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천장 덮개(30)에는 관통부(51, 61)가 부착되어 있다. 관통부(51, 61)는, 환원제와의 사이에서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관통부(51)에는, 용기 본체(33) 내에 유입되는 매체가 흐른다. 관통부(61)에는, 용기 본체(33)로부터 유출되는 매체가 흐른다.
천장 덮개(30)에는, 환원제가 용기 본체(33)로부터 유출되는 유출구(71)와, 용기 본체(33)로 복귀되는 환원제가 흐르는 복귀구(79)가 부착되어 있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이송 배관(21)의 단부는 유출구(71)에 연결되어 있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복귀 배관(23)의 단부는 복귀구(79)에 연결되어 있다.
천장 덮개(30)에는, 부착 시트(81)가 볼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부착 시트(81)는, 용기 본체(33) 내의 환원제의 수위, 환원제의 농도 및 환원제의 온도를 계측하는 센서의 베이스부(86)를 지지하고 있다. 베이스부(86)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네스(87)가 설치되어 있다. 하네스(87)의 선단에 커넥터(88)가 설치되어 있다. 계측된 환원제의 수위, 농도 및 온도의 값은, 하네스(87) 및 커넥터(88)를 경유하여,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에 출력된다.
천장 덮개(30)에는, 배기 구멍(91)과, 브리더(92)가 부착되어 있다. 보충구(37)로부터 용기 본체(33)에 환원제가 보충될 때, 용기 본체(33) 내에 존재했던 공기는, 배기 구멍(91)을 경유하여 용기 본체(33)의 밖으로 유출된다. 브리더(92)는, 용기 본체(33) 내의 공기압을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기온의 변화 때문에 용기 본체(33) 내의 공기가 팽창 또는 수축될 때, 브리더(92)를 경유하여 공기가 배출 또는 흡입되고, 이에 따라 용기 본체(33) 내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환원제 탱크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내는 일부 파단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용기 본체(33)는, 측면(35a)에 대향하는 측면(35b), 도 4에 나타내는 측면(35c)에 대향하는 측면(35d), 및 상면(34)에 대향하는 저면(36)을 갖고 있다. 측면(35a)과 측면(35b)은 대략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다. 측면(35c)과 측면(35d)은 대략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다. 상면(34)과 저면(36)은 대략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다.
도 6은, 환원제 탱크(20)의 상면(34)을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환원제 탱크(20)의 용기 본체(33)의 상면(34)에는, 상면(34)을 관통하는 개구(31)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31)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천장 덮개(30)는, 개구(31)를 상측으로부터 덮어 개구(31)를 막고 있다. 개구(31)의 직경은, 개구(31)를 막는 천장 덮개(30)의 직경보다 작다. 천장 덮개(30)에 고정된 관통부(51, 61)는, 용기 본체(33)의 상면(34)을 관통하여, 용기 본체(33)의 상면(34)으로부터 저면(36)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관통부(51, 61)는, 상면(34) 및 저면(36)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관통부(51, 61)는, 원판형의 천장 덮개(3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7은, 환원제 탱크(20)의 내부의 열교환기(40)의 선단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열교환기(40)와, 흡출관(70) 및 센서 유닛(80)과의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도 8을 적절하게 참조하여, 환원제 탱크(20) 중, 용기 본체(33)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환원제 탱크(20)의 용기 본체(33)의 내부에는, 환원제와의 사이에서 열교환하는 매체가 흐르는 열교환기(40)가 배치되어 있다. 열교환기(40)의 구조의 상세한 것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용기 본체(33)의 내부에는, 용기 본체(33)에 저류된 환원제(90)를 흡출하는 흡출관(70)(도 6)이 배치되어 있다. 흡출관(70)은, 천장 덮개(30)에 부착된 유출구(71)를 갖고 있다. 흡출관(70)은 또한, 상측 수직 연장부(72)와, 경사부(73)와, 하측 수직 연장부(74)를 갖고 있다. 상측 수직 연장부(72)는, 유출구(71)와 동일직선 상에, 천장 덮개(30)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져 연장되어 있다. 경사부(73)는, 상측 수직 연장부(72)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고, 상측 수직 연장부(72)에 대하여 경사져 천장 덮개(30)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측 수직 연장부(74)는, 경사부(73)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고, 상측 수직 연장부(72)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상측 수직 연장부(72) 및 하측 수직 연장부(74)는, 용기 본체(33)의 측면(35a~35d)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용기 본체(33)의 상면(34) 및 저면(36)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경사부(73)는, 용기 본체(33)의 상면(34), 측면(35a~35d) 및 저면(36)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흡출관(70)은 또한, 연신부(75)(도 12 참조)와, 스트레이너(여과기)(76)를 갖고 있다. 연신부(75)는, 하측 수직 연장부(74)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고, 용기 본체(33)의 저면(36)을 따라서 측면(35a)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스트레이너(76)는, 흡출관(70)의 선단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용기 본체(33) 내에 저류된 환원제가, 스트레이너(76)를 경유하여 흡출관(70) 내에 유입된다. 스트레이너(76)는, 용기 본체(33) 내의 불순물을 여과하여, 불순물이 흡출관(70) 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 내의 환원제의 양이 적어지더라도, 흡출관(70)으로부터 환원제를 흡출할 수 있도록, 스트레이너(76)는 용기 본체(33)의 저면(36)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용기 본체(33)의 저면(36) 상에 지지판(77)이 놓여 있다. 지지판(77)으로부터 용기 본체(33)의 상면(34)을 향하여, 판형 지지부(78)가 돌기되어 있다. 판형 지지부(78)의 선단 부근에 있어서, 스트레이너(76)는 판형 지지부(78)에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스트레이너(76)는, 지지판(77) 및 판형 지지부(78)를 통해 용기 본체(33)의 저면(36)에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흡출관(70)의 강성이 향상되어 있다.
용기 본체(33)의 내부에는 센서 유닛(80)이 배치되어 있다. 센서 유닛(80)은, 하네스(82)와, 수위계(83)와, 농도 및 온도계(85)를 갖고 있다. 하네스(82) 및 수위계(83)는, 홀더(84)에 의해 천장 덮개(30)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다. 하네스(82) 및 수위계(83)는, 천장 덮개(30)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져 용기 본체(33)의 저면(36)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하네스(82) 및 수위계(83)의 하단에 농도 및 온도계(85)가 부착되어 있다.
수위계(83)는 그 내부에 플로우트를 갖고 있다. 플로우트는 환원제의 액면에 위치하고 있다. 그 플로우트의 높이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용기 본체(33) 내부의 환원제의 수위가 검출된다. 농도 및 온도계(85)는 환원제의 농도 및 온도를 계측한다. 계측된 환원제의 수위, 농도 및 온도의 값에 관한 신호는, 하네스(82)를 경유하여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베이스부(86)에 전달되고, 또한 하네스(87) 및 커넥터(88)를 경유하여,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에 출력된다.
센서 유닛(80)은, 클램프부(120)를 통해 전열 플레이트(110)에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센서 유닛(80)의 강성이 향상되어 있다. 전열 플레이트(110)에 대해서는 이하에 상세히 기술한다.
도 9는 천장 덮개(30)에 지지된 열교환기(4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천장 덮개(30) 및 열교환기(40)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천장 덮개(30) 및 열교환기(40)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한 천장 덮개(30) 및 열교환기(40)의 정면도이다. 도 9~도 12 및 도 5~도 8을 적절하게 참조하여, 환원제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열교환기(40)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열교환기(40)는, 수직 하강부(41)와, 병행부(44)와, 선단 굴곡부(45)를 갖고 있다. 수직 하강부(41)는, 열교환기(40) 중 용기 본체(33)의 상면(33)으로부터 저면(36)을 향하여 연장되는 부분이다. 병행부(44)는, 열교환기(40) 중 수직 하강부(41)의 하단에 접합되어 있고, 용기 본체(33)의 저면(36)을 따라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선단 굴곡부(45)는 병행부(44)의 선단에 접합되어 있다. 선단 굴곡부(45)는, 병행부(44)에 대하여 굴곡되어 있고, 용기 본체(33)의 측면(35a)을 따라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선단 굴곡부(45)는, 열교환기(40)의 선단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수직 하강부(41), 병행부(44) 및 선단 굴곡부(45)는, 대략 U자형의 관재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는, 수직 하강부(41), 병행부(44) 및 선단 굴곡부(45)의 각각을 구성하는 관재를,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맞붙임으로써 열교환기(40)를 형성해도 상관없다.
열교환기(40)를 다른 관점에서 보면, 열교환기(40)는, 열교환 매체를 용기 본체(33) 내로 유도하는 제1 관로(50)(도 9)와, 용기 본체(33)로부터 열교환 매체를 유출시키는 제2 관로(60)와, 접힘부(59)를 갖고 있다. 제1 관로(50)와 제2 관로(60)는, 접힘부(59)를 통해 서로 연통하고 있다.
제1 관로(50)는, 관통부(51)와, 경사부(52)와, 하측 수직 연장부(53)와, 연신부(54)와, 상승부(55)를 갖고 있다. 관통부(51)는, 용기 본체(33)의 상면(34)을 관통하여, 용기 본체(33)의 내부의 공간 내로 연장되어 있다. 경사부(52)는 관통부(51)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다. 경사부(52)는, 관통부(51)에 대하여 경사져 저면(36)측으로 연장되는 제1 경사부로서 마련되어 있다. 하측 수직 연장부(53)는, 경사부(52)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고, 관통부(51)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관통부(51) 및 하측 수직 연장부(53)은, 용기 본체(33)의 측면(35a~35d)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용기 본체(33)의 상면(34) 및 저면(36)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경사부(52)는, 용기 본체(33)의 상면(34), 측면(35a~35d) 및 저면(36)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신부(54)는, 하측 수직 연장부(53)의 하단에 접합되어 있고, 용기 본체(33)의 저면(36)을 따라서 용기 본체(33)의 측면(35a)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상승부(55)는, 연신부(54)의 선단에 접합되어 있고, 용기 본체(33)의 측면(35a)을 따라서 용기 본체(33)의 상면(34)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용기 본체(33)의 상면(34)으로부터 저면(36)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수직 하강부(41)는, 제1 관로(50) 중 관통부(51), 경사부(52) 및 하측 수직 연장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 관로(50)에 포함되는 수직 하강부(41)에 2개소의 굴곡이 형성되고, 이 굴곡에 의해 경사부(52)가 형성되어 있다. 병행부(44)는, 제1 관로(50) 중 연신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선단 굴곡부(45)는, 제1 관로(50) 중 상승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2 관로(60)는, 관통부(61)와, 경사부(62)와, 하측 수직 연장부(63)와, 연신부(64)와, 상승부(65)를 갖고 있다. 관통부(61)는, 용기 본체(33)의 상면(34)을 관통하여, 용기 본체(33)의 내부의 공간 내로 연장되어 있다. 경사부(62)는 관통부(61)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다. 경사부(62)는, 관통부(61)에 대하여 경사져 저면(36)측으로 연장되는 제2 경사부로서 마련되어 있다. 하측 수직 연장부(63)는, 경사부(62)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고, 관통부(61)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관통부(61) 및 하측 수직 연장부(63)는, 용기 본체(33)의 측면(35a~35d)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용기 본체(33)의 상면(34) 및 저면(36)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경사부(62)는, 용기 본체(33)의 상면(34), 측면(35a~35d) 및 저면(36)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신부(64)는, 하측 수직 연장부(63)의 하단에 접합되어 있고, 용기 본체(33)의 저면(36)을 따라서 용기 본체(33)의 측면(35a)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상승부(65)는, 연신부(64)의 선단에 접합되어 있고, 용기 본체(33)의 측면(35a)을 따라서 용기 본체(33)의 상면(34)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용기 본체(33)의 상면(34)으로부터 저면(36)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수직 하강부(41)는, 제2 관로(60) 중 관통부(61), 경사부(62) 및 하측 수직 연장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2 관로(60)에 포함되는 수직 하강부(41)에 2개소의 굴곡이 형성되고, 이 굴곡에 의해 경사부(62)가 형성되어 있다. 병행부(44)는, 제2 관로(60) 중 연신부(6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선단 굴곡부(45)는, 제2 관로(60) 중 상승부(6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관통부(51, 61) 및 하측 수직 연장부(53, 63)는, 각각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연신부(54, 64)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연신부(54, 64)는, 하측 수직 연장부(53, 63)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선단 굴곡부(45)는 제1 관로(50)의 상승부(55), 제2 관로(60)의 상승부(65), 및 제1 관로(50)와 제2 관로(60)를 연통하는 접힘부(59)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선단 굴곡부(45) 중 용기 본체(33)의 상면(34)에 가장 가까운 점에서의 열교환기(40)가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고, 그 가장 가까운 점을 포함하는 단면이 접힘부(59)를 형성하고 있다. 선단 굴곡부(45) 중 용기 본체(33)의 상면(34)에 가장 가까운 점을 포함하고, 용기 본체(33)의 측면(35c, 35d)에 평행한 열교환기(40)의 단면이, 접힘부(59)를 형성하고 있다. 선단 굴곡부(45)는 역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직 하강부(41)에 있어서, 제1 관로(50) 및 제2 관로(60) 사이의 거리는 대략 일정하게 되어 있다. 병행부(44)에 있어서, 제1 관로(50) 및 제2 관로(60) 사이의 거리는 대략 일정하게 되어 있다. 선단 굴곡부(45)에 있어서, 제1 관로(50) 및 제2 관로(60) 사이의 거리는, 접힘부(59)에 근접함에 따라서 작아지고 있다. 여기서, 제1 관로(50) 및 제2 관로(60) 사이의 거리란, 제1 관로(50) 또는 제2 관로(60)가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제1 관로(50)와 제2 관로(60)의 최단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관로(50)에 포함되어 있는 경사부(52)와, 제2 관로(60)에 포함되어 있는 경사부(62)는, 각각 관통부(51, 6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센서 유닛(80)에 근접하도록, 관통부(51, 61)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센서 유닛(80)은, 제1 관로(50)의 하측 수직 연장부(53)와 제2 관로(60)의 하측 수직 연장부(63)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센서 유닛(80) 및 센서 유닛(80)의 주변의 환원제에 대하여, 보다 효율 좋은 열전달이 행해지도록, 열교환기(40)는 센서 유닛(80)에 접근하여 배치되어 있다.
환원제가 흐르는 흡출관(70)의 경사부(73)(도 6)는, 상측 수직 연장부(7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제1 관로(50)에 근접하도록, 상측 수직 연장부(72)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흡출관(70)의 하측 수직 연장부(74)는, 제1 관로(50)의 하측 수직 연장부(53)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제1 관로(50)의 하측 수직 연장부(53)를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제1 관로(50)의 하측 수직 연장부(53)와 흡출관(70)의 하측 수직 연장부(74) 사이의 간격은 최소화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측 수직 연장부(53, 74) 사이의 거리를, 제1 관로(50)를 형성하는 배관의 외경 이하로 해도 좋다. 흡출관(70) 및 흡출관(70)의 주변의 환원제에 대하여, 보다 효율 좋은 열전달이 행해지도록, 열교환기(40)는 흡출관(70)에 접근하여 배치되어 있다.
흡출관(70)의 선단의 스트레이너(76)는, 열교환기(40)의 수직 하강부(41) 및 선단 굴곡부(45)에 의해 측방의 2방향이 덮이고, 병행부(44)에 의해 하측이 덮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스트레이너(76)의 주변에 열교환기(40)를 배치함으로써, 스트레이너(76)의 근방의 환원제에 대한 열전달이 우선적으로 행해져, 환원제가 동결된 경우에 스트레이너(76) 근방의 환원제를 우선적으로 해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열교환기(40)의 수직 하강부(41)는, 개구(31)를 폐색하는 천장 덮개(30)에 부착되어 있고, 천장 덮개(30)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져 있다. 천장 덮개(30)의 두께 방향에서 본 경우에, 수직 하강부(41)는, 개구(31)를 형성하는 원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경사부(52, 62)는, 관통부(51, 61)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르는 개구(31)의 투영에 해당하는 영역 내에서, 관통부(51, 61)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이에 따라, 천장 덮개(30)를 용기 본체(33)의 상면(34)으로부터 제거하여, 천장 덮개(30)를 상면(34)에 직교하는 방향(도 10에 나타내는 지면 수직 방향)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개구(31)를 경유하여 수직 하강부(41)를 용기 본체(33)의 외부로 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0 및 후술하는 도 13, 도 17~도 20에 나타내는 치수 LD는, 용기 본체(33)의 상면(34)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31)의, 개구(31)의 중심 CO를 통과하는 최대 내경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상세하게는, 치수 LD는, 개구(31) 내측을 가로지르는 길이 중, 개구(31)를 그 외부에서 상면(34)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서 보는 경우에서의, 360°의 모든 각도에서 볼 때 최대가 되는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치수 LD는, 개구(31)의 내경 길이 중, 중심 CO를 통과하는 것 중에서 최대가 되는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개구(31)가 원형인 경우, 치수 LD는 그 원형의 직경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치수 W는, 선단 굴곡부(45)의 폭치수를 나타내고 있다. 상세하게는, 치수 W는, 도 10에 나타내는 선단 굴곡부(45)의 평면형상의, 연신부(54)로부터 연신부(64)에까지 걸쳐 연장되는 외형 치수를 나타내고 있다. 치수 W는, 상승부(55)의 외경과, 상승부(65)의 외경과, 도 11 중의 좌우 방향을 따르는 상승부(55, 65) 사이의 거리의 합 중 최대인 값을 나타내고 있다. 치수 W는, 열교환기(40)가 용기 본체(33)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측면(35a)을 따르고, 또한 상면(34) 및 저면(36)에 평행한 방향에서의 선단 굴곡부(45)의 외형 치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관로(50)와 제2 관로(60)는, 제1 관로(50)의 외경과, 제2 관로(60)의 외경과, 제1 관로(50) 및 제2 관로(60) 사이의 거리의 합을, 원형의 개구(31)의 직경을 나타내는 치수 LD보다 작게 유지한 채로, 천장 덮개(30)로부터 접힘부(59)까지 연장되어 있다. 선단 굴곡부(45)의 폭치수를 나타내는 치수 W는, 원형의 개구(31)의 직경을 나타내는 치수 LD보다 작게 되어 있다.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치수 H는, 선단 굴곡부(45)의 상승 높이, 즉 선단 굴곡부(45)를 측방에서 본 도 11, 도 12 중의 상하 방향에서의 선단 굴곡부(45)의 외형 치수를 나타내고 있다. 치수 H는, 열교환기(40)가 용기 본체(33)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측면(35a)을 따르고, 또한 상면(34) 및 저면(36)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선단 굴곡부(45)의 외형 치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치수 L1은, 병행부(44)의 길이 또는 연신부(54, 64)의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치수 L1은, 제1 관로(50) 및 제2 관로(60)의 하측 수직 연장부(53, 63)의 외경과, 상승부(65)의 외경과, 도 12 중의 좌우 방향을 따르는 하측 수직 연장부(53, 63)와 상승부(65) 사이의 거리의 합 중 최대인 값을 나타내고 있다. 치수 L1은, 열교환기(40)가 용기 본체(33)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저면(36)을 따르고, 또한 측면(35c, 35d)(도 4, 도 5 참조)에 평행한 방향에서의 연신부(54, 64)의 외형 치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치수 L2는, 제1 관로(50) 및 제2 관로(60)의 관통부(51, 61)의 외경과, 상승부(65)의 외경과, 관통부(51, 61)와 상승부(65) 사이의 도 12 중의 좌우 방향을 따르는 거리의 합 중 최대인 값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관로(50)와 제2 관로(60)의 양쪽에 걸쳐 전열 플레이트(110)가 설치되어 있다. 전열 플레이트(110)는, 평판형상의 제1 평판부(111)와, 평판형상의 제2 평판부(112)를 갖고 있다. 전열 플레이트(110)는, 제1 평판부(111)와 제2 평판부(112)를 연결하는 굴곡부(113)를 갖고 있다. 전열 플레이트(110)는, 1장의 평판이 굴곡 가공되어 형성되어 있다.
전열 플레이트(110)는, 관통부(51, 61)가 연장되는 방향에서의 제1 관로(50)의 경사부(52)와 제2 관로(60)의 경사부(6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평판부(111)는, 경사부(52)보다 용기 본체(33)의 상면(34)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의 하측 수직 연장부(53)에,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2 평판부(112)는, 경사부(62)보다 용기 본체(33)의 상면(34)에 가까운 쪽의 관통부(61)에,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전열 플레이트(110)는, 제1 관로(50)와 제2 관로(60) 양자 모두에 고정되어 있다.
제1 평판부(111)의 하단부에는 클램프부(120)(도 8)가 부착되어 있다. 클램프부(120)는, 센서 유닛(80) 중, 하네스(82) 및 수위계(83)의 주위를 둘러싸고, 센서 유닛(80)을 지지하고 있다. 열교환기(40), 전열 플레이트(110) 및 센서 유닛(80)에 의해 입체적인 지지 구조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열교환기(40) 및 센서 유닛(80)의 강성이 향상되어 있다.
도 13은, 용기 본체(33) 내의 열교환기(40)의 배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에는, 측면(35b, 35d)을 따르는 용기 본체(33)의 단면과, 용기 본체(33)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열교환기(40)를 선도(線圖)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는 또한, 개구(31)의 최대 내경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 LD, 선단 굴곡부(45)의 측면(35a)을 따르는 상승 높이를 나타내는 치수 H, 연신부(54, 64)의 저면(36)을 따르는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 L1, 및 수직 하강부(41)로부터 선단 굴곡부(45)까지의 저면(36)을 따르는 최대 거리를 나타내는 치수 L2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는, 개구(31)의 전체 둘레에서의 가장자리 중, 측면(35a)과의 거리를 최소로 하는 부분이 가장자리(39)로서 나타나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중점 M은, 용기 본체(33)의 상면(34)을 따르는 개구(31)의 가장자리(39)와 용기 본체(33)의 측면(35a)을 연결하는 선분의 중점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 중에 일점쇄선 BL은, 개구(31)의 가장자리(39)와 용기 본체(33)의 측면(35a)의 거리를 이등분하는 중점 M을 통과하고, 상면(34)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이등분선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보면, 연신부(54, 64)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병행부(44)의 저면(36)을 따르는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 L1은, 개구(31)의 최대 내경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 LD보다 크게 되어 있다. 선단 굴곡부(45)의 측면(35a)을 따르는 상승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 H는, 개구(31)의 최대 내경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 LD보다 작게 되어 있다.
연신부(54, 64)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병행부(44)는, 수직 하강부(41)로부터 용기 본체(33)의 측면(35a)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열교환기(40)는, 선단 굴곡부(45)에 있어서 측면(35a)에 가장 접근해 있다. 선단 굴곡부(45)는, 이등분선(BL)보다 측면(35a)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선단 굴곡부(45)와 측면(35a)의 거리는, 개구(31)의 가장자리(39)와 측면(35a)의 최단 거리를 이등분한 길이보다 작게 되어 있다.
열교환기(40) 중 관통부(51, 61)는, 개구(31)를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관통부(51, 61)는, 개구(31)의 중심에 대하여 측면(35a)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관통부(51, 61)는, 개구(31)의 중심에 대하여, 수직 하강부(41)로부터 연신부(54, 64)가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4는, 선단 굴곡부(45)의 투영(45p)과 개구(31)의 관계의 제1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4에는, 선단 굴곡부(45)를 측면(35a)에 투영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투영(45p)과, 용기 본체(33)의 상면(34)에 형성된 개구(31)를 평면에서 본 형상의 치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투영(45p)은, 도 11에 나타내는 연신부(54, 64)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본 경우의 선단 굴곡부(45)의 형상에 해당한다. 도 14 중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외접원(CC)은, 선단 굴곡부(45)의 투영(45p)의 외접원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 굴곡부(45)를 연신부(54, 64)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본 형상은, 개구(31)의 평면형상에 내포되어 있다. 선단 굴곡부(45)를 연신부(54, 64)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본 형상의 외접원(CC)은, 개구(31)의 평면형상에 내포되어 있다. 개구(31)의 중심 CO를 통과하는 최대 내경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 LD는, 원형의 개구(31)의 직경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개구(31)가 원형인 경우, 원형의 개구(31)의 직경은, 개구(31)의 중심 CO를 통과하는 최소의 내경 길이(치수 SD)로도 표현할 수 있다. 선단 굴곡부(45)의 상승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 H 및 선단 굴곡부(45)의 폭을 나타내는 치수 W는, 모두 치수 SD보다 작다.
도 15는, 선단 굴곡부(45)의 투영과 개구의 관계의 제2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용기 본체(33)의 상면(34)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개구(31)는, 원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각형 등의 다른 임의의 형상이어도 좋다. 도 15에는, 개구(31)의 평면형상이 정방형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제2 예에 있어서도, 선단 굴곡부(45)를 연신부(54, 64)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본 형상을 나타내는 투영(45p)은, 개구(31)의 평면형상에 내포되어 있다. 선단 굴곡부(45)를 연신부(54, 64)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본 형상의 외접원(CC)은, 개구(31)의 평면형상에 내포되어 있다.
개구(31)가 정방형인 경우, 개구(31)의 최대 내경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 LD는, 그 정방형의 대각선의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치수 SD는, 정방형의 개구(31)의 서로 대향하는 2변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치수 SD는, 정방형의 개구(31)의 한변의 길이에 대응하고 있다. 치수 SD는, 정방형의 개구(31)의 중심 CO를 통과하는 최소의 내경 길이이다. 치수 SD는 치수 LD보다 작다. 선단 굴곡부(45)의 상승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 H 및 선단 굴곡부(45)의 폭을 나타내는 치수 W(도 14 참조)는, 모두 도 15에 나타내는 치수 SD보다 작다.
도 16은, 선단 굴곡부(45)의 투영(45p)과 개구(31)의 관계의 제3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6에는, 개구(31)의 평면형상이 정육각형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제3 예에 있어서도, 선단 굴곡부(45)를 연신부(54, 64)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본 형상을 나타내는 투영(45p)은, 개구(31)의 평면형상에 내포되어 있다. 선단 굴곡부(45)를 연신부(54, 64)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본 형상의 외접원(CC)은, 개구(31)의 평면형상에 내포되어 있다.
개구(31)가 정육각형인 경우, 개구(31)의 최대 내경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 LD는, 그 정육각형의 대각선 중 길이가 최대인 대각선의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치수 SD는, 정육각형의 개구(31)의 서로 대향하는 2변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치수 SD는, 정육각형의 개구(31)의 중심 CO를 통과하는 최소의 내경 길이이다. 치수 SD는 치수 LD보다 작다. 선단 굴곡부(45)의 상승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 H 및 선단 굴곡부(45)의 폭을 나타내는 치수 W(도 14 참조)는, 모두 도 16에 나타내는 치수 SD보다 작다.
도 17~도 20은, 용기 본체(33)로부터 열교환기(40)를 빼내는 각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천장 덮개(30)에 부착된 열교환기(40)는, 천장 덮개(30)와 일체로, 용기 본체(33)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열교환기(40)의 수직 하강부(41)는, 관통부(51, 61)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르는 개구(31)의 투영에 해당하는 영역에 수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천장 덮개(30)를 용기 본체(33)에 고정하고 있는 볼트(32)를 전부 해제하고, 천장 덮개(30)를 그대로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교환기(40)의 수직 하강부(41)는, 개구(31)를 경유하여 용기 본체(33)의 외부로 이동 가능하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관로(60)의 경사부(62)가 개구(31)의 외부로 빠져나갈 때까지 천장 덮개(30) 및 열교환기(40)를 상면(3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들어 올린 후에, 천장 덮개(30) 및 열교환기(40)를 경사지게 한다. 도 12, 도 13에 나타내는 역 L자형의 열교환기(40)를 반시계 방향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천장 덮개(30) 및 열교환기(40)를 용기 본체(33)의 상면(34)에 대하여 경사지게 한다.
그대로 열교환기(40)를 계속 경사지게 하면, 열교환기(40)의 하측 수직 연장부(53, 63)와 용기 본체(33)의 상면(34)이 이루는 각도가 작아져 간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의 외부에 노출된 하측 수직 연장부(53, 63)가 용기 본체(33)의 상면(34)과 접촉하지 않을 정도에, 하측 수직 연장부(53, 63)를 가능한 한 상면(34)에 접근시킨다. 이에 따라, 열교환기(40)의 선단 굴곡부(45)가 개구(31)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그 후,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신부(54, 64)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서, 수직 하강부(41)가 용기 본체(33)의 상면(3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천장 덮개(30) 및 열교환기(40)를 이동시킨다. 선단 굴곡부(45)는, 그 상승 길이가 개구(31)의 최대 내경 길이보다 작고, 그 투영(45p)(도 14)이 개구(31)의 평면형상에 내포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연신부(54, 64)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서 열교환기(40)를 들어 올리도록 이동시키면, 선단 굴곡부(45)를 개구(31)를 경유하여 용기 본체(33)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천장 덮개(30) 및 열교환기(40)는, 일체로서 용기 본체(33)로부터 제거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환원제 탱크(20)에 의하면, 도 5,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교환기(40)를 구성하고 있는 제1 관로(50)와 제2 관로(60)는, 각각 천장 덮개(30)로부터 용기 본체(33)의 저면(36)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수직 하강부(41)에 포함되어 있는 관통부(51, 61), 경사부(52, 62) 및 하측 수직 연장부(53, 63)를 갖고 있다. 또한, 제1 관로(50)와 제2 관로(60)는, 각각 수직 하강부(41)의 하단으로부터 저면(36)을 따라서 용기 본체(33)의 측면(35a)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연신부(54, 64)와, 연신부(54, 64)의 선단으로부터 측면(35a)을 따라서 용기 본체(33)의 상면(34)으로 향하여 접힘부(59)까지 연장되는 상승부(55, 65)를 갖고 있다. 연신부(54, 64)의 저면(36)을 따르는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 L1은, 개구(31)의 최대 내경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 LD보다 크게 되어 있다.
열교환기(40)의 내부에는, 엔진(10)에서 가열된 냉각수가 순환하여 흐른다. 열교환기(40)의 내부를 흐르는 냉각수는, 용기 본체(33) 내에 저류된 환원제보다 온도가 높다. 그 때문에, 열교환기(40)로부터 환원제로의 방열이 행해진다. 용기 본체(33)의 상면(34)의 두께 방향에서 볼 때, 열교환기(40)의 연신부(54, 64)를 개구(31)로부터 밀려 나오는 위치까지 연장시키도록 하면, 연신부(54, 64)의 길이가 보다 증대됨으로써, 열교환기(40)의 환원제 탱크(20) 내에서의 경로 길이를 길게 확보할 수 있고, 열교환기(40)의 표면적이 증대된다. 열교환기(40)로부터 환원제로의 전열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에 의해, 열교환기(40) 내를 흐르는 냉각수로부터 환원제로의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관로(50)의 상승부(55), 제2 관로(60)의 상승부(65) 및 접힘부(59)는, 열교환기(40)의 선단 굴곡부(45)를 형성하고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 굴곡부(45)의 용기 본체(33)의 측면(35a)을 따르는 상승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 H는, 개구(31)의 중심을 통과하는 최소 내경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 SD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열교환기(40)를, 개구(31)를 경유하여 용기 본체(33)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천장 덮개(30) 및 열교환기(40)를, 일체로서 용기 본체(33)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져, 메인터넌스시 등에 열교환기(40)를 용기 본체(33)로부터 빼내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도 14~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 굴곡부(45)를 연신부(54, 64)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본 형상은, 개구(31)의 평면형상에 내포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선단 굴곡부(45)가 개구(31)를 보다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되므로, 열교환기(40)를 용기 본체(33)로부터 빼내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선단 굴곡부(45)를 연신부(54, 64)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본 형상의 외접원(CC)이 개구(31)의 평면형상에 내포되도록 하면, 선단 굴곡부(45)가 개구(31)를 더욱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되어, 열교환기(40)를 용기 본체(33)로부터 빼내는 것이 더욱 용이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 굴곡부(45)와 용기 본체(33)의 측면(35a)의 거리는, 개구(31)의 가장자리(39)와 측면(35a)의 최단 거리를 이등분한 길이보다 작다. 이와 같이 하면, 열교환기(40)의 연신부(54, 64)가 저면(36)을 따라서 연장되는 길이를 보다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40)의 환원제 탱크(20) 내에서의 경로 길이가 길어지고, 열교환기(40)로부터 환원제로의 전열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40) 내를 흐르는 냉각수로부터 환원제로의 열전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31)는 원형이다. 이와 같이 하면, 용기 본체(33)의 상면(34)과, 개구(31)를 덮는 천장 덮개(30) 사이의 시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면(34)과 천장 덮개(30) 사이의 간극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33) 내에 저류되어 있는 환원제의 누출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관로(50)와 제2 관로(60)는, 제1 관로(50)의 외경과, 제2 관로(60)의 외경과, 제1 관로(50) 및 제2 관로(60) 사이의 거리의 합을, 개구(31)의 중심을 통과하는 최소 내경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 SD보다 작게 유지한 채로, 천장 덮개(30)로부터 제1 관로(50)와 제2 관로(60)를 연통하고 있는 접힘부(59)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천장 덮개(30)로부터 접힘부(59)까지 이르는 열교환기(40) 전체를, 개구(31)를 경유하여 용기 본체(33)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40)를 용기 본체(33)로부터 빼내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도 9,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원제 탱크(20)는, 용기 본체(33)에 저류된 환원제를 흡출하는 흡출관(70)을 구비하고 있다. 흡출관(70)은, 제1 관로(50)를 따라서 연장되는 부분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흡출관(70) 내를 흐르는 환원제를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흡출관(70) 내에서의 환원제의 동결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경사부(52)를 경사부(62)보다 용기 본체(33)의 상면(34) 근처에 배치함으로써, 흡출관(70)을 제1 관로(50)를 길게 따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흡출관(70)의 해동 및 흡출관(70)의 동결 방지에 유리한 환원제 탱크(20)를 실현할 수 있다.
도 5,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원제 탱크(20)는, 용기 본체(33)의 상면(34)으로부터 저면(36)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센서 유닛(80)을 구비하고 있다. 경사부(52, 62)는, 관통부(51, 6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센서 유닛(80)에 접근하고 있다. 열교환기(40)와 센서 유닛(80)은, 모두 천장 덮개(30)에 부착되며, 천장 덮개(30)의 위치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용기 본체(33)의 내부에 있어서 열교환기(40)를 굴곡시키고, 경사부(52, 62)를 센서 유닛(80)에 근접하도록 배치하면, 경사부(52, 62)보다 하측의 하측 수직 연장부(53, 63)는 센서 유닛(80)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배치되게 된다. 이에 따라, 센서 유닛(80) 및 센서 유닛(80)의 주변의 환원제에 효율적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어, 환원제의 동결이 센서 유닛(80)의 검출 정밀도를 악화시키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유닛(80)에 의한 환원제의 상태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실시형태의 작업 차량으로서의 유압 쇼벨(1)은, 엔진(10)과, 엔진(10)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환원 반응에 의해 처리하는 배기 처리 장치(14)와, 상기 환원제 탱크(20)와, 환원제 탱크(20)로부터 흡출한 환원제를 배기 처리 장치(14)로 유도되는 배기 가스에 대하여 분사하는 분사 노즐(28)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환원제 탱크(20) 내에서의 열교환기(40)의 경로 길이를 길게 확보하면서, 천장 덮개(30) 및 열교환기(40)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환원제 탱크(20)를 구비하고 있는 유압 쇼벨(1)을 제공할 수 있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제시되며,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 유압 쇼벨 4 : 작업기
6 : 엔진룸 10 : 엔진
11 : 배기관 12, 14 : 배기 처리 장치
13 : 중계 접속관 15 : 배기통
20 : 환원제 탱크 21 : 이송 배관
22 : 환원제 펌프 23 : 복귀 배관
25 : 압송 배관 28 : 분사 노즐
30 : 천장 덮개 31 : 개구
32 : 볼트 33 : 용기 본체
34 : 상면 35a~35d : 측면
36 : 저면 39 : 가장자리
40 : 열교환기 41 : 수직 하강부
44 : 병행부 45 : 선단 굴곡부
45p : 투영 50 : 제1 관로
51, 61 : 관통부 52, 62, 73 : 경사부
53, 63, 74 : 하측 수직 연장부 54, 64, 75 : 연신부
55, 65 : 상승부 59 : 접힘부
60 : 제2 관로 70 : 흡출관
71 : 유출구 72 : 상측 수직 연장부
76 : 스트레이너 79 : 복귀구
80 : 센서 유닛 82, 87 : 하네스
83 : 수위계 85 : 농도 및 온도계
90 : 환원제 LD, SD, H, L1 : 치수
CC : 외접원

Claims (7)

  1. 상면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환원제를 저류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환원제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개구를 막고 있고 상기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천장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열교환 매체를 상기 용기 본체 내로 유도하는 제1 관로와,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열교환 매체를 유출시키는 제2 관로와, 접힘부를 가지며, 상기 제1 관로와 상기 제2 관로는 상기 접힘부를 통해 서로 연통하고 있고,
    상기 제1 관로와 상기 제2 관로는, 각각 상기 천장 덮개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의 저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수직 하강부와, 상기 수직 하강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저면을 따라서 상기 용기 본체의 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신부와, 상기 연신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측면을 따라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상면을 향하여 상기 접힘부까지 연장되는 상승부를 가지며,
    상기 연신부의 상기 저면을 따르는 길이는, 상기 개구의 최대 내경 길이보다 크고,
    상기 제1 관로의 상기 상승부, 상기 제2 관로의 상기 상승부 및 상기 접힘부는, 상기 열교환기의 선단 굴곡부를 형성하며,
    상기 선단 굴곡부의 상기 측면을 따르는 상승 길이는, 상기 개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최소 내경 길이보다 작은 것인 환원제 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굴곡부를 상기 연신부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본 형상은, 상기 개구의 평면형상에 내포되는 것인 환원제 탱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굴곡부를 상기 연신부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본 형상의 외접원은, 상기 개구의 평면형상에 내포되는 것인 환원제 탱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굴곡부와 상기 측면의 거리는,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와 상기 측면의 최단 거리를 이등분한 길이보다 작은 것인 환원제 탱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원형인 것인 환원제 탱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로와 상기 제2 관로는, 상기 제1 관로의 외경과, 상기 제2 관로의 외경과, 상기 제1 관로 및 상기 제2 관로 사이의 거리의 합을, 상기 개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최소 내경 길이보다 작게 유지한 채로 상기 천장 덮개로부터 상기 접힘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인 환원제 탱크.
  7. 엔진과,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환원 반응에 의해 처리하는 배기 처리 장치와,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환원제 탱크와,
    상기 환원제 탱크로부터 흡출한 상기 환원제를 상기 배기 처리 장치로 유도되는 상기 배기 가스에 대하여 분사하는 환원제 분사 장치
    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
KR1020157016910A 2014-01-08 2014-01-08 환원제 탱크 및 작업 차량 KR101574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50120 WO2014192318A1 (ja) 2014-01-08 2014-01-08 還元剤タンクおよび作業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350A KR20150091350A (ko) 2015-08-10
KR101574928B1 true KR101574928B1 (ko) 2015-12-04

Family

ID=51409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910A KR101574928B1 (ko) 2014-01-08 2014-01-08 환원제 탱크 및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88725B2 (ko)
JP (1) JP5546707B1 (ko)
KR (1) KR101574928B1 (ko)
CN (1) CN104040131B (ko)
DE (1) DE112014000015B4 (ko)
IN (1) IN2015DN04734A (ko)
WO (1) WO20141923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7924B2 (ja) * 2014-01-24 2016-10-19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液体タンク及び作業機械
KR101578337B1 (ko) * 2014-08-08 2015-12-16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유압 셔블
CN105283605B (zh) * 2014-08-08 2017-02-22 株式会社小松制作所 液压挖掘机
JP5918444B1 (ja) * 2015-01-07 2016-05-1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自走式リサイクル機械
JP2017019470A (ja) * 2015-07-15 2017-01-26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合成樹脂製タンク
US9745718B2 (en) * 2015-08-21 2017-08-29 Komatsu Ltd. Hydraulic excavator
RU2692414C1 (ru) 2016-03-31 2019-06-24 Сименс Акциенгезелльшафт Топливная система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KR101770376B1 (ko) * 2016-09-21 2017-09-05 주식회사 코아비스 요소수 펌프 모듈
IT201600099492A1 (it) * 2016-10-04 2018-04-04 Errecinque S R L Unita' di aspirazione dell'urea
FR3080653B1 (fr) * 2018-04-27 2020-11-06 Plastic Omnium Advanced Innovation & Res Dispositif de chauffage bi-energie pour reservoir de produits aqueux
WO2019207134A1 (fr) * 2018-04-27 2019-10-31 Plastic Omnium Advanced Innovation And Research Dispositif de chauffage bi-energie pour reservoir de produits aqueux
IT201800011134A1 (it) * 2018-12-14 2020-06-14 Officine Metallurgiche G Cornaglia Spa Serbatoio per il contenimento di un fluido, dotato di unità “sender” e metodo per la fabbricazione di detto serbatoio
US11319852B2 (en) * 2019-08-27 2022-05-03 Caterpill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luid level and quality measurement for reductant storage systems
US11639678B2 (en) 2019-09-05 2023-05-02 Volvo Truck Corporation Tank with integrated siphon
JP7478649B2 (ja) 2020-11-19 2024-05-07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3223A (ja) 2003-09-05 2005-03-31 Nissan Diesel Motor Co Ltd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JP2006125317A (ja) 2004-10-29 2006-05-18 Nissan Diesel Motor Co Ltd 還元剤容器の構造
JP2010216306A (ja) 2009-03-13 2010-09-30 Tokyo Radiator Mfg Co Ltd 車両用尿素水タンク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2382A (en) * 1906-02-08 1906-06-05 Ottie T Murphy Apparatus for heating liquids in casks.
US4237850A (en) * 1979-03-13 1980-12-09 Nationwide Carriers Incorporated System for heating fuel oil
US4476841A (en) * 1983-05-31 1984-10-16 Duckworth Charles E Vapor injec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656979A (en) * 1985-09-09 1987-04-14 Hogenson Milan C In tank fuel line heater
US4726346A (en) * 1987-03-23 1988-02-23 Lucht James P Device to prevent diesel fuel from gelling
US4964376A (en) * 1989-10-03 1990-10-23 Arctic Fox Heaters Device for bypassing heat exchange conduits
JP3686667B1 (ja) * 2004-04-27 2005-08-24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還元剤容器の構造
WO2005093382A1 (ja) 2004-03-29 2005-10-06 Nissan Diesel Motor Co., Ltd. 還元剤容器の構造
JP4519497B2 (ja) 2004-03-29 2010-08-04 Udトラックス株式会社 水位計取付構造
JP3687918B1 (ja) 2004-05-13 2005-08-24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還元剤容器の構造
CN100439667C (zh) 2004-05-13 2008-12-03 日产柴油机车工业株式会社 还原剂容器的结构
JP3756921B1 (ja) * 2004-10-18 2006-03-22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還元剤容器の構造
DE202006010615U1 (de) * 2005-09-26 2006-10-26 Dbk David + Baader Gmbh Tanksystem mit einem Haupttank und einer Abschmelzvorrichtung mit Schmelztank
JP2007262900A (ja) * 2006-03-27 2007-10-11 Nissan Diesel Motor Co Ltd 車両用液体タンク及びこれを備えた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WO2007126366A1 (en) * 2006-04-27 2007-11-08 Volvo Lastvagnar Ab A liquid receptacle for a vehicle
JP2009299526A (ja) * 2008-06-11 2009-12-24 Nissan Diesel Motor Co Ltd 還元剤容器
JP2010071263A (ja) 2008-09-22 2010-04-02 Tokyo Radiator Mfg Co Ltd 尿素水タンク
US8459013B2 (en) * 2008-12-30 2013-06-11 Daimler Trucks North America Llc Urea tank with closure member for vehicle exhaust system
JP5681381B2 (ja) 2009-12-04 2015-03-04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還元剤タンク
KR101733829B1 (ko) 2009-12-21 2017-05-08 웨마 시스템 에이에스 품질 센서 장치
GB2476317B (en) * 2009-12-21 2014-02-12 Wema System As Quality sensor apparatus
US20110271754A1 (en) * 2010-05-04 2011-11-10 Rochester Gauges, Inc. Liquid Level Transducer with Heating Unit
JP5533234B2 (ja) * 2010-05-17 2014-06-25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尿素水タンク構造
CN103201473B (zh) * 2011-05-16 2015-06-03 苏州派格丽减排系统有限公司 集成式scr还原剂储存装置
CN103210191B (zh) * 2011-05-16 2015-07-22 苏州派格丽减排系统有限公司 集成式scr计量喷射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3223A (ja) 2003-09-05 2005-03-31 Nissan Diesel Motor Co Ltd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JP2006125317A (ja) 2004-10-29 2006-05-18 Nissan Diesel Motor Co Ltd 還元剤容器の構造
JP2010216306A (ja) 2009-03-13 2010-09-30 Tokyo Radiator Mfg Co Ltd 車両用尿素水タン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40131B (zh) 2016-01-20
CN104040131A (zh) 2014-09-10
JPWO2014192318A1 (ja) 2017-02-23
WO2014192318A1 (ja) 2014-12-04
KR20150091350A (ko) 2015-08-10
IN2015DN04734A (ko) 2015-07-17
US9388725B2 (en) 2016-07-12
JP5546707B1 (ja) 2014-07-09
DE112014000015T5 (de) 2015-06-25
US20150377112A1 (en) 2015-12-31
DE112014000015B4 (de) 2017-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928B1 (ko) 환원제 탱크 및 작업 차량
KR101608629B1 (ko) 환원제 탱크 및 작업 차량
KR101628798B1 (ko) 환원제 탱크 및 작업 차량
KR101614674B1 (ko) 환원제 탱크 및 작업 차량
JP5501536B1 (ja) 作業車両
US9309643B2 (en) Work vehicle
EP2891570B1 (en) Work vehicle with an engine compartment cooling unit
EP3009759A1 (en) Utility vehicle
WO2012117753A1 (ja) 建設車両
JPWO2014155506A1 (ja) ホイールローダ
JP5723493B1 (ja) 油圧ショベル
JP6393777B2 (ja) 産業用車両
JP2015025456A (ja) ホイールローダ
KR101578337B1 (ko) 유압 셔블
KR101621674B1 (ko) 유압 셔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