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759B1 - 안전 콘센트 - Google Patents

안전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759B1
KR101574759B1 KR1020140072737A KR20140072737A KR101574759B1 KR 101574759 B1 KR101574759 B1 KR 101574759B1 KR 1020140072737 A KR1020140072737 A KR 1020140072737A KR 20140072737 A KR20140072737 A KR 20140072737A KR 101574759 B1 KR101574759 B1 KR 101574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cover
terminal insertion
safety
insertion hole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오중
Original Assignee
김오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오중 filed Critical 김오중
Priority to KR1020140072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7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4Laterally sliding shu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2Rotating shutte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그의 접속단자의 삽입에 의한 수직방향으로 전달되는 힘을 수평방향으로 전환하며 단자삽입공을 개폐하는 안전커버의 경사진 유도테이퍼면과, 안전커버를 슬라이딩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유도돌기를 통해 안전커버의 이탈 방지와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심플한 작동 메카니즘을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콘센트의 제조가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젓가락 등의 이물체가 어느 한쪽의 단자삽입공에 삽입되는 경우 안전커버를 회전 유도하며 걸림 지지되어 이물체의 삽입에 의한 단자삽입공의 차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어린이 등의 부주의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단자삽입공을 갖는 하부 본체가 구비된 콘센트 유닛과; 상기 단자삽입공을 차폐하되 외력에 의해 차폐된 상기 단자삽입공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본체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안전커버와; 외력에 의해 이동된 상기 안전커버를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복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안전커버는, 상기 접속단자가 상기 단자삽입공으로 삽입되는 경우 수직 방향으로 가해진 힘을 전달받아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접속단자가 접촉되는 면에 유도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본체에 안착되는 저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움푹한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본체는, 상기 안전커버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홈을 슬라이딩 가이드하고,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공 중 어느 한쪽의 단자삽입공으로 외력이 발생된 경우 상기 안전커버가 회전하는 중에 걸림 지지되게 하며 상기 안전커버의 수평이동을 제한하는 슬라이딩유도돌기가 상면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 콘센트{SAFETY CONCENT}
본 발명은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그의 접속단자의 삽입에 의한 수직방향으로 전달되는 힘을 수평방향으로 전환하며 단자삽입공을 개폐하는 안전커버의 경사진 유도테이퍼면과, 안전커버를 슬라이딩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유도돌기를 통해 안전커버의 이탈 방지와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심플한 작동 메카니즘을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콘센트의 제조가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젓가락 등의 이물체가 어느 한쪽의 단자삽입공에 삽입되는 경우 안전커버를 회전 유도하며 걸림 지지되어 이물체의 삽입에 의한 단자삽입공의 차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어린이 등의 부주의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가정 또는 사무실 등과 같이 사람이 머물 수 있는 곳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콘센트에는 사람이 감전되어 사망할 수 있을 정도의 고압 전류가 흐르는데, 자칫 어린 아이들이 콘센트의 구멍에 못이나 젓가락 등과 같은 전도체를 삽입시켜 감전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구조의 안전 콘센트가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안전 콘센트에 대한 종래기술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39173호(공개일자: 1999.11.05.)에는 "콘센트 안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6에는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안전커버를 도시하였는데, 도 6을 살펴보면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안전커버(2)는 양측 날개(4)(4')의 상측에 경사면(5)(5')과 그 상단부에 걸림턱(6)(6')을 좌우로 엇갈리게 돌출 형성시키며, 그 중심부 상측에 요입부(7)와 축공(8)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안전커버는 플러그의 접속단자의 삽입에 의한 수직방향으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안전커버(2)가 축공(8)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며 단자삽입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안전커버(2)의 양측 날개(4)(4')의 상측에 경사면(5)(5')을 형성한 것이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5)(5')이 매끈하게 형성되어 안전커버(2)가 플러그의 접속단자는 물론 젓가락 등에 의해서도 힘이 수직에서 수평방향으로 전환되며 회전될 수 있는 구조로 어린이 등의 부주의에 의한 감전사고 등의 안전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의 접속단자의 삽입에 의한 수직방향으로 전달되는 힘을 수평방향으로 전환하며 단자삽입공을 개폐하는 안전커버의 경사진 유도테이퍼면과, 안전커버를 슬라이딩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유도돌기를 통해 안전커버의 이탈 방지와 단자삽입공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간편한 작동 메카니즘을 통해 콘센트의 제조가 용이한 안전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젓가락 등의 이물체가 어느 한쪽의 단자삽입공에 삽입되는 경우 안전커버를 회전 유도하며 걸림 지지되게 함으로써 이물체의 삽입에 의한 단자삽입공의 차폐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함으로써 어린이 등의 부주의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단자삽입공을 갖는 하부 본체가 구비된 콘센트 유닛과; 상기 단자삽입공을 차폐하되 외력에 의해 차폐된 상기 단자삽입공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본체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안전커버와; 외력에 의해 이동된 상기 안전커버를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복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안전커버는, 상기 접속단자가 상기 단자삽입공으로 삽입되는 경우 수직 방향으로 가해진 힘을 전달받아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접속단자가 접촉되는 면에 유도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본체에 안착되는 저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움푹한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본체는, 상기 안전커버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홈을 슬라이딩 가이드하고,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공 중 어느 한쪽의 단자삽입공으로 외력이 발생된 경우 상기 안전커버가 회전하는 중에 걸림 지지되게 하며 상기 안전커버의 수평이동을 제한하는 슬라이딩유도돌기가 상면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상기 하부 본체는, 상기 단자삽입공을 차폐하도록 상기 안전커버가 초기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홈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면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공 중 어느 한쪽의 단자삽입공으로 외력이 발생된 경우 상기 안전커버가 편심되게 회전되도록 상기 가이드홈을 축 지지하며, 상기 안전커버가 회전하는 중에 상기 슬라이딩유도돌기에 걸림 지지되도록 하는 회전유도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단자삽입공을 개폐하는 안전커버의 작동이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젓가락 등의 이물체가 어느 한쪽의 단자삽입공에 삽입되는 경우 단자삽입공의 차폐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린이 등의 부주의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안전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예시도.
도 6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안전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콘센트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안전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콘센트 유닛(10), 안전커버(20), 탄성복귀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콘센트 유닛(10)은 외부로부터의 전원이 플러그(1)로 공급되도록 플러그(1)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상기 플러그(10)의 접속단자(1a)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단자삽입공(11a)을 갖는 하부 본체(1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콘센트 유닛(10)은 상기 하부 본체(11)와 일체로 결합되기 위한 상부 본체(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본체(11) 및 상부 본체(12)는 상기 플러그(1)가 삽입되기 위한 각각의 단자삽입공(11a,12a)이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하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하부 본체(11)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연결된 접지부재(10a)에 의해 상기 하부 본체(11) 및 상기 상부 본체(12) 서로가 상하로 탈부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본체(12)는 상기 플러그(1)가 상부로 삽입될 수 있는 소정 깊이의 삽입부(12b)가 형성되고, 저부에는 상기 안전커버(20)가 수용되어 전후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수용부(12c)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상기 안전커버(20)의 연결구조와 그에 따른 작동상태를 가장 큰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도면에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각각의 플러그가 삽입되어 외부로부터의 전원이 각 콘센트 유닛(10)을 통해 플러그로 공급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콘센트 유닛(10)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각각의 콘센트 유닛(10)이 상하로 분리 결합될 수 있는 케이스(도면미도시)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는 상기 콘센트 유닛(10)으로 삽입되는 상기 플러그(1)의 접속단자(1a)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와 같은 구성은 콘센트의 내부 구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안전커버(20)는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공(12)을 개폐하는 구성으로 초기 위치에서 상기 단자삽입공(12)을 차폐하도록 배치되고, 외력에 의해 차폐된 상기 단자삽입공(12)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본체(11)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상기 안전커버(20)는 종래의 회전방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심플한 작동 메가니즘을 갖도록 상기 상부 본체(12)의 커버수용부(12b)에 수용되어 전후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식으로 설계된 것으로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고, 고장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안전커버(20)는 상기 접속단자(1a)가 상기 단자삽입공(11a,12a)으로 삽입되는 경우 수직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전달받아 수평방향 즉,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접속단자(1a)가 접촉되는 면에 유도테이퍼면(2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유도테이퍼면(21)은 말단부가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상기 접속단자(1a)에 접촉되어 후방으로 밀리도록 하는 한 쌍의 경사면을 형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안전커버(20)의 후단부에는 상기 탄성복귀수단(30)으로서의 탄성스프링(31)이 끼움 지지되기 위한 끼움돌기(2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탄성복귀수단(30)은 외력에 의해 이동된 상기 안전커버(20)를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일단이 상기 안전커버(20)의 후단부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22)에 지지되어 상기 안전커버(20)를 전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스프링(31)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탄성스프링(31)은 일측이 상기 끼움돌기(22)에 끼워진 상태에서 타단이 상기 커버수용부(12b)의 내벽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안전커버(20)에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복귀수단(30)은 상기 콘센트 유닛(10)에서 상기 플러그(1)가 분리되는 경우, 안전을 위해 상기 단자삽입공(11)을 차폐된 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안전커버(20)는 상기 하부 본체(11)에 안착되는 저면에 수평방향으로 움푹한 가이드홈(2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의 수평방향은 상기 안전커버(20)가 외력에 의해 이동하는 전후 방향을 의미하며, 상기 가이드홈(23)은 상기 접속단자(1a)에 대응하는 소정 간격을 갖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유도테이퍼면(21)을 잇는 몸체의 중앙 부분에서 전후 방향으로 움푹하게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하부 본체(11)는 상기 가이드홈(23)에 대응하여 상기 안전커버(2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홈(23)을 슬라이딩 가이드하는 슬라이딩유도돌기(11b)가 돌출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상기 안전커버(20)는 상기 콘센트 유닛(10)으로 플러그(1)가 삽입되며 상기 유도테이퍼면(21)에 상기 접속단자(1a)가 접촉된 경우, 상기 가이드홈(23)이 상기 슬라이딩유도돌기(11b)를 따라 안정적으로 가이드되며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유도돌기(11b)는 사각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슬라이딩유도돌기(11b)는 상기 안전커버(20)의 상면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각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공(11a) 중 어느 한쪽의 단자삽입공으로 외력이 발생된 경우 상기 안전커버(20)가 회전하는 중에 그 후단부가 상기 슬라이딩유도돌기(11b)의 전단부 모서리에 걸림 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안전커버(2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제한하게 된다.
보충하여 설명하자면, 상기 슬라이딩유도돌기(11b)는 상기 단자삽입공(11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젓가락과 같은 이물체(1b)가 어느 한쪽의 단자삽입공(11a)으로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안전커버(20)의 회전방지 및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이물체의 삽입으로부터 감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상기 안전커버(20)가 상기 단자삽입공(11a)을 차폐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상기 하부 본체(11)에 회전유도돌기(11c)가 더 형성된 것이 특징인 것으로, 상기 회전유도돌기(11c)는 상기 슬라이딩유도돌기(11b)의 구성과 함께 상기 안전커버(20)로 하여금 상기 단자삽입공(11a)의 차폐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유도돌기(11c)는 상기 슬라이딩유도돌기(11b)의 전방에서 상기 안전커버(20)의 상면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안전커버(20)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전후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유도돌기(11b)와 나란한 방향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유도돌기(11c)는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공(11a)을 차폐하도록 상기 안전커버(20)가 초기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홈(23) 내부에 배치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이에, 상기 회전유도돌기(11c)는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공(11a) 중 어느 한쪽의 단자삽입공으로 외력이 발생된 경우 상기 가이드홈(23)을 축 지지하며, 상기 안전커버(20)가 편심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유도돌기(11c)는 상기 가이드홈(23)을 축 지지하며 회전 가이드 되도록 외주면이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공(11a) 중 어느 한쪽의 단자삽입공으로 젓가락과 같은 이물체(1b)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이물체(1b)의 선단부가 상기 유도테이퍼면(21)에 접촉되면 상기 회전유도돌기(11c)에 의해 중앙 부분이 축 지지된 상태의 상기 안전커버(20)는 편심되게 회전되고, 상기 안전커버(20)가 회전하는 중에 그 몸체의 후단부가 상기 슬라이딩유도돌기(11b)의 전단부 모서리에 걸림 지지됨으로써 상기 안전커버(2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유도돌기(11c)는 상기 이물체(1b)가 상기 단자삽입공(11a)으로 삽입된 경우 상기 안전커버(20)로 하여금 상기 단자삽입공(11a)의 차폐 상태를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안전 콘센트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플러그
1a 접속단자
1b 이물체
10 콘센트 유닛
11 하부 본체
11a 단자삽입공
11b 슬라이딩유도돌기
11c 회전유도돌기
12 상부 본체
12a 단자삽입공
12b 삽입부
12c 커버수용부
20 안전커버
21 유도테이퍼면
22 끼움돌기
23 가이드홈
30 탄성복귀수단
31 탄성스프링

Claims (2)

  1.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단자삽입공을 갖는 하부 본체가 구비된 콘센트 유닛과; 상기 단자삽입공을 차폐하되 외력에 의해 차폐된 상기 단자삽입공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본체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안전커버와; 외력에 의해 이동된 상기 안전커버를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복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안전커버는, 상기 접속단자가 상기 단자삽입공으로 삽입되는 경우 수직 방향으로 가해진 힘을 전달받아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접속단자가 접촉되는 면에 유도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본체에 안착되는 저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움푹한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본체는, 상기 안전커버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홈을 슬라이딩 가이드하고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공 중 어느 한쪽의 단자삽입공으로 외력이 발생된 경우 상기 안전커버가 회전하는 중에 걸림 지지되게 하며 상기 안전커버의 수평이동을 제한하는 슬라이딩유도돌기가 상면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단자삽입공을 차폐하도록 상기 안전커버가 초기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홈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면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공 중 어느 한쪽의 단자삽입공으로 외력이 발생된 경우 상기 안전커버가 편심되게 회전되도록 외주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축 지지하는 회전유도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2. 삭제
KR1020140072737A 2014-06-16 2014-06-16 안전 콘센트 KR101574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737A KR101574759B1 (ko) 2014-06-16 2014-06-16 안전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737A KR101574759B1 (ko) 2014-06-16 2014-06-16 안전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759B1 true KR101574759B1 (ko) 2015-12-04

Family

ID=54867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737A KR101574759B1 (ko) 2014-06-16 2014-06-16 안전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7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523Y1 (ko) 1996-01-15 1999-06-15 이한종 200v 콘센트 내의 회전 안전 보호대
KR200370919Y1 (ko) 2004-09-08 2004-12-20 주식회사 두남 콘센트 안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523Y1 (ko) 1996-01-15 1999-06-15 이한종 200v 콘센트 내의 회전 안전 보호대
KR200370919Y1 (ko) 2004-09-08 2004-12-20 주식회사 두남 콘센트 안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0325B1 (en) Power socket structure
CN100399638C (zh) 带防触电安全保护装置的可换插脚的电源插头
KR102245537B1 (ko) 셔터를 구비한 전기 소켓 커넥터
CN104064916A (zh) 一种安全插座
US6780033B2 (en) Easily operable universal safety adaptor
US8834186B2 (en) Power socket and safety gate mechanism thereof
KR101435339B1 (ko)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
JP6314909B2 (ja) ゴム栓アッシー
JP2015162416A (ja) コネクタ
KR101742665B1 (ko)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WO2019091985A1 (en) Push-on socket
KR101760794B1 (ko) 안전 콘센트
US8011940B1 (en) Power socket device having switches
KR101408132B1 (ko) 콘센트 안전장치
JP5641354B2 (ja) 充電コネクタ
KR101574759B1 (ko) 안전 콘센트
KR20110065800A (ko) 멀티탭 콘센트
CN110676661A (zh) 一种插座
KR102151760B1 (ko) 플러그 삽입 장치
KR101773831B1 (ko)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
KR102530388B1 (ko) 전기콘센트 겸용 안전마개
JP2005135804A (ja) コンセント
CN107112690B (zh) 插座
KR101670347B1 (ko)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
JP6011976B2 (ja) テーブルタ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