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339B1 -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 - Google Patents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339B1
KR101435339B1 KR1020130095739A KR20130095739A KR101435339B1 KR 101435339 B1 KR101435339 B1 KR 101435339B1 KR 1020130095739 A KR1020130095739 A KR 1020130095739A KR 20130095739 A KR20130095739 A KR 20130095739A KR 101435339 B1 KR101435339 B1 KR 101435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plug
front cover
lowered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5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진철
Original Assignee
원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진철 filed Critical 원진철
Priority to KR1020130095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 하측과 상측에 플러그끼움부와 셔터수용부가 각각 형성된 콘센트몸체와, 상기 콘센트몸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에 따라 상기 셔터수용부와 플러그끼움부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면서 플러그끼움부를 개폐시키는 셔터와, 상기 셔터가 설치된 콘센트몸체의 전방에 결합되며, 플러그관통구가 형성된 전면커버와, 상기 전면커버의 하측에 구비되어 하강된 상기 셔터를 고정하거나 고정해제시키는 셔터작동수단 및, 상기 셔터와 셔터수용부에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고정해제시에 하강된 셔터가 셔터수용부로 상승되도록 셔터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 셔터를 통한 플러그끼움부의 개폐를 통해 사용안전성과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장시간 파손의 염려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 {Open-close type safety outlet}
본 발명은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라이드 셔터를 통한 플러그끼움부의 개폐를 통해 사용안전성과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장시간 파손의 염려없이 사용할 수 있는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외부에서 인입되는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원통형 플러그끼움부를 구비하여, 전기제품의 플러그가 플러그끼움부에 끼워지게 되면 배선과 통전되어 전기제품으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전기접속기기로서, 이러한 콘센트는 벽체 매입형, 노출형 또는 멀티 콘센트형 등으로 다양하게 제작된다.
그런데, 종래의 콘센트는 플러그를 끼우는 플러그끼움부가 개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호기심 많은 어린아이들이 젓가락과 같은 금속물질을 콘센트의 플러그끼움부로 삽입함으로써 감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매우 큼과 함께 플러그끼움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합선이나 누전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콘센트의 플러그끼움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식 콘센트가 제안되었는데, 일 예로서 선행문헌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1-0008181호에는 콘센트의 전방에 개폐식 안전커버를 구성한 개폐식 안전콘센트가 제안되어 있고, 등록실용신안 제20-0291511호에는 플러그끼움부가 콘센터의 전방으로 회동하면서 개폐가 되는 개폐식 콘센트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들에 제시된 콘센트의 경우 콘센터의 외부에서 안전커버가 개폐되거나 또는 콘센트 외측으로 회동하면서 개폐되는 구조이므로 개방된 상태일 때 외력에 의해 안전커버나 회동부위에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서 장시간 안정적인 사용이 어려우며, 또한 임의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으므로 아이들이 쉽게 개방을 시킬 수 있어 여전히 사용안전성에 한계를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방시 셔터가 셔터수용부에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파손의 염려없이 장시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원터치 작동과 함께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편의성과 사용안전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끼움부의 상반구와 하반구를 독립적으로 개폐하는 이중구조의 셔터를 통해 콘센터의 전체적인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좁은 공간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전면 하측과 상측에 플러그끼움부와 셔터수용부가 각각 형성된 콘센트몸체와, 상기 콘센트몸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에 따라 상기 셔터수용부와 플러그끼움부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면서 플러그끼움부를 개폐시키는 셔터와, 상기 셔터가 설치된 콘센트몸체의 전방에 결합되며, 플러그관통구가 형성된 전면커버와, 상기 전면커버의 하측에 구비되어 하강된 상기 셔터를 고정하거나 고정해제시키는 셔터작동수단 및, 상기 셔터와 셔터수용부에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고정해제시에 하강된 셔터가 셔터수용부로 상승되도록 셔터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가 개시된다.
또한, 전면 하측과 상측에 플러그끼움부와 셔터수용부가 각각 형성된 콘센트몸체와, 상기 콘센트몸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승시에는 셔터수용부에 위치됨과 함께 하강시에는 플러그끼움부의 하반구 전방에 위치됨으로써 플러그끼움부의 하반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의 전면에 끼워져 셔터에 의해 승강되며, 상승시에는 셔터에 겹쳐진 상태로 셔터수용부에 위치됨과 함께 하강시에는 플러그끼움부의 상반구 전방에 위치됨으로써 플러그끼움부의 상반구를 개폐하는 보조셔터와, 상기 셔터와 보조셔터가 설치된 콘센트몸체의 전방에 결합되며, 플러그관통구가 형성된 전면커버와, 상기 전면커버의 하측에 구비되어 하강된 상기 셔터를 고정하거나 고정해제시키는 셔터작동수단 및, 상기 셔터와 셔터수용부에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고정해제시에 하강된 셔터가 셔터수용부로 상승되도록 셔터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에 의하면,
플러그끼움부를 개폐하는 셔터가 전면커버와 콘센트몸체 사이에서 승강됨과 함께 특히 개방시에는 셔터수용부에 수용되는 구조이므로 셔터가 외력에 의해 파손될 염려가 없으며, 그에 따라 장시간 파손됨이 없이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폐쇄된 셔터를 원터치로 개방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함과 함께 안전레버를 통해 임의로 셔터가 개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사용안전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러그끼움부의 상반구와 하반구를 독립적으로 개폐하는 이중구조의 셔터를 통해 콘센터의 전체적인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음과 함께 셔터가 콘센트 내에서만 슬라이드되는 구조이므로 좁은 공간에도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의 전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의 전면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에서 콘센트몸체를 제외한 부분의 후면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 콘센트몸체에서 승강되는 셔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셔터작동수단의 고정 및 고정해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안전레버부재에 의해 고정해제가 억제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의 전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의 전면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에서 콘센트몸체를 제외한 부분의 후면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플러그끼움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플러그끼움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설치되어”, “고정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설치, 고정,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대응하는”이란 용어는 지칭하는 2개 대상물의 길이나 형상이 완전히 동일한 것뿐만 아니라 유사한 범위까지를 포함하는 의미이며, 또한 “상반구”와 “하반구”는 원형인 플러그끼움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의 반원부분과 하측의 반원부분을 의미하는 용어로서 이해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100, 이하 “안전콘센트“라 약칭함.)는 콘센트몸체(10)와, 셔터(20)와, 전면커버(30)와, 셔터작동수단과, 스프링(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콘센트몸체(10)의 전면 하측에는 전기제품의 플러그가 끼워질 수 있는 원형의 플러그끼움부(11)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배선과 연결되면서 상기 플러그끼움부(11)에 끼워진 플러그와 배선을 통전시키는 전기접속단자부(12)가 마련된다.
상기 플러그끼움부(11)와 전기접속단자부(12)는 콘센트에 있어 필수적이면서 통상적인 구성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불필요한 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콘센트몸체(10)의 전면 상측에는 후술하는 셔터(20)가 위치되면서 수용될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의 셔터수용부(13)가 형성된다.
상기 셔터수용부(13)의 중앙에는 상단에서부터 하측의 플러그끼움부(11)까지 수직으로 연장되어 후술하는 스프링(5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홈(1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콘센트몸체(10)의 양측면에는 후술하는 셔터(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승강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레일홈(15)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셔터(20)는 상기 콘센트몸체(10)의 플러그끼움부(11)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개폐수단으로서, 전체적으로 사각판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플러그끼움부(11)의 전방에 위치되면서 플러그끼움부(11)를 폐쇄할 수 있도록 플러그끼움부(11)의 직경에 대응하는 세로길이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셔터(20)가 플러그끼움부(11)의 직경보다 긴 세로길이를 가져도 무방하나 세로길이가 길어지면 그만큼 상기 셔터수용부(13)가 커지면서 콘센트몸체(10) 자체의 크기가 증가되어야만 하므로 크기의 최소화를 위해 셔터(20)는 플러그끼움부(11)의 직경에 대응하는 세로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셔터(20)는 상기 콘센트몸체(10)의 전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를 위해 상기 셔터(20)의 양측면에는 상기 콘센트몸체(10)의 레일홈(15)에 끼워지는 슬라이딩돌기(2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셔터(20) 전면의 하단 중앙부위에는 셔터(20)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하강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22)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셔터(20)의 하단 일측에는 분할편(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분할편(23)에는 후술하는 록킹돌기(41)가 끼워지게 되는 걸림홈(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할편(23)은 도 2에 확대 도시된 것처럼 셔터(20)의 하단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2부분이 상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분할편(23)은 양쪽이 절개를 통해 셔터(20)의 전체부분과 분할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용이하게 눌려질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후술하는 록킹해제버튼(42)에 의한 고정해제가 가능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분할편(23)이 후방으로 눌려지기 위해서는 분할편(23)의 후방에 눌림공간이 마련되어야 하므로, 이를 위해 셔터(20)의 후면 양쪽에는 이격돌기(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돌기(25)에 의해 셔터(20)는 콘센트몸체(10)의 전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분할편(23)의 후방에는 눌림공간이 확보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셔터(20)는 도 4에 예시된 것처럼 슬라이딩 승강에 따라 콘센트몸체(10)의 플러그끼움부(11)와 셔터수용부(13)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위치하게 되면서 플러그끼움부(11)를 개폐하게 된다. 즉, 상승하여 셔터수용부(13)에 위치되면 플러그끼움부(11)가 개방되고 셔터수용부(13)에서 하강하여 플러그끼움부(11) 전방에 위치되면 플러그끼움부(11)가 폐쇄되는 것이다.
상기 전면커버(30)는 상기와 같이 셔터(20)가 설치된 콘센트몸체(10)의 전방에 결합되며, 그에 따라 상기 셔터(20)는 결합된 전면커버(30)와 콘센트몸체(10) 사이에서 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전면커버(30)에는 플러그가 전면커버(30)를 통과하여 플러그끼움부(1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원형의 플러그관통구(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관통구(31)의 상단 중앙에는 상승된 셔터(20)의 손잡이(22)가 간섭되지 않도록 손잡이홈(32)이 형성될 수 있고, 플러그관통구(31)의 전면 둘레에는 상기 손잡이홈(3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돌출테(3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커버(30)의 하부 일측에는 후술할 록킹해제버튼(42)의 설치를 위한 버튼설치공(3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버튼설치공(34)의 내부에는 록킹해제버튼(42)의 진입깊이를 제한하는 원형지지대(35)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셔터작동수단은 상기 셔터(20)가 하강되었을 때, 즉 플러그끼움부(11)를 폐쇄하였을 때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셔터(20)를 고정시킴과 함께 원터치로 고정을 해제하여 플러그끼움부(11)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셔터작동수단은 상기 전면커버(30)에 구비되는 바, 하강된 셔터(20)의 고정을 위한 록킹돌기(41)와, 상기 록킹돌기(41)에 의한 셔터(20)의 고정을 원터치로 해제할 수 있는 록킹해제버튼(4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록킹돌기(41)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전면커버(30)의 후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도 5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셔터(20)가 하강되면 셔터(20)의 분할편(23)에 형성된 걸림홈(24)에 끼워지면서 하강된 셔터(20)에 고정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록킹돌기(41)와 걸림홈(24)에는 셔터(20)의 하강시 록킹돌기(41)가 걸림홈(24)에 자동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경사면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해제버튼(42)은 전면커버(30)에 형성된 상기 버튼설치공(34)에 설치되는데, 록킹해제버튼(42)의 일측에는 상기 원형지지대(35)와 버튼설치공(34)의 연결부위에 간섭되지 않고 록킹해제버튼(42)이 설치될 수 있도록 슬릿홈(4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록킹해제버튼(42)은 도 5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셔터(20)가 하강하면 분할편(23)의 전방에 위치가 되고, 사용자가 누르게 되면 도 5의 (b)에 도시된 것처럼 분할편(23)을 향해 후방으로 진입하면서 셔터(20)의 분할편(23)을 후방으로 가압하게 되며, 그에 따라 분할편(23)이 후방으로 눌려지면서 상기 록킹돌기(41)가 끼워져 있던 걸림홈(24)에서 이탈됨으로써 록킹돌기(41)에 의한 셔터(20)의 고정이 해제되게 된다.
이때, 록킹해제버튼(42)에 의해 고정이 해제되어 셔터(20)가 상승될 때, 록킹해제버튼(42)은 내주면 상단이 원형지지대(35)에 걸리면서 셔터(20)의 재하강시 분할편(23)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나올 수 있는 깊이까지만 진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셔터(20)의 하강시 분할편(23)에 의해 록킹해제버튼(42)이 전방으로 용이하게 밀려나올 수 있도록 도시된 것과 같이 분할편(23)의 하단부와 록킹해제버튼(42)의 후단부에도 경사면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50)은 상기 록킹해제버튼(42)에 의해 셔터(20)의 고정이 해제되면 하강되었던 셔터(20)가 자동으로 셔터수용부(13)로 상승되면서 플러그끼움부(11)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셔터(2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프링(50)은 상기 셔터(20)의 후면 중앙부위와 상기 셔터수용부(13)의 상단 중앙부위에 양단이 결합되면서 상기 스프링홈(14)의 내부에 설치가 된다.
한편,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콘센트(100)는 안전성의 향상을 위해 안전레버부재(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록킹해제버튼(42)의 원터치 누름을 통해 간편하게 플러그끼움부(11)를 개방시킬 수 있는 편리성이 있지만, 반면에 록킹해제버튼(42)이 실수로 눌려지거나 또는 어린아이들이 호기심에서 눌러보는 경우 예기치않게 플러그끼움부(11)가 개방될 수 있으므로, 이렇게 임의로 플러그끼움부(11)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전레버부재(60)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레버부재(60)는 상기 전면커버(3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해제버튼(42)의 눌림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조정레버(61)와 안전바(6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정레버(61)는 전면커버(30)에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가 되고, 상기 안전바(62)는 조정레버(61)의 후면에서 조정레버(61)의 이동방향 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안전레버부재(60)는 조정레버(61)를 록킹해제버튼(42) 쪽으로 이동시키면 그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안전바(62)가 분할편(23)의 후방으로 삽입되면서 분할편(23)이 눌려질 수 있는 공간을 제거함으로써 록킹해제버튼(42)이 눌려지는 것을 억제하게 되고, 반대방향으로 조정레버(61)를 이동시키면 그에 따라 삽입되었던 안전바(62)가 분할편(23)의 후방으로부터 이탈되면서 록킹해제버튼(42)의 눌림에 따른 고정해제가 가능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콘센트(100)의 구성을 살펴보았는 바, 그 전체적인 작동을 간편하게 살펴보면, 먼저 안전콘센트(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안전을 위해 플러그끼움부(11)를 폐쇄시켜야만 하는 바, 셔터(20)의 손잡이(22)를 눌러 셔터수용부(13)에 위치된 셔터(20)를 플러그끼움부(11)의 전방으로 하강시켜준다.
그러면, 도 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강된 셔터(20)의 분할편(23)에 형성된 걸림홈(24)에 전면커버(30)의 록킹돌기(41)가 끼워지면서 하강된 셔터(20)는 그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되며, 그에 따라 플러그끼움부(11)는 폐쇄된 상태로 전환된다.
여기서, 플러그끼움부(11)의 폐쇄상태를 보다 안전하게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정레버(61)를 록킹해제버튼(42) 쪽으로 이동시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전바(62)를 분할편(23)의 후방에 삽입시킴으로써 록킹해제버튼(42)이 눌려질 수 없도록 해준다.
이렇게 셔터(20)를 하강 고정시켜 플러그끼움부(11)를 폐쇄한 상태에서 다시 플러그를 끼워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플러그끼움부(11)를 개방시켜야 하는 바, 이 때에는 록킹해제버튼(42)을 눌러주면 된다. 물론, 안전바(62)가 분할편(23)에 삽입된 상태라면 먼저 조정레버(61)를 원위치 이동시켜 안전바(62)를 분할편(23)의 후방으로부터 이탈시킨 후에 록킹해제버튼(42)을 눌러주어야 할 것이다.
상기 록킹해제버튼(42)이 눌려지면 도 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분할편(23)이 후방으로 눌리면서 록킹돌기(41)가 끼워져 있던 걸림홈(24)에서 이탈됨으로써 셔터(20)에 대한 고정이 해제된다.
이렇게 셔터(20)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면, 셔터(20)는 스프링(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셔터수용부(13)로 상승되면서 폐쇄되었던 플러그끼움부(11)가 간편하게 개방이 된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콘센트(200)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상기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콘센트(200)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플러그끼움부(11)를 개폐하는 셔터가 제1 실시예처럼 단수로 이루어지는 대신에 복수로 이루어지는 구성상의 차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과 함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콘센트(200)는 전술한 것처럼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보조셔터(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조셔터(70)는 셔터(20)와 마찬가지로 사각판의 형태로 이루어져 셔터(20)의 전면에 끼워지게 되며, 이를 위해 보조셔터(70)의 양측면에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셔터(20)의 양측면 외측으로 끼워지게 되는 절곡단(7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셔터(70)의 상기 절곡단(71) 하측에는 걸림돌기(72)가 형성되고, 상기 셔터(20)의 양측면 상단에도 상기 보조셔터(70)의 걸림돌기(72)와 걸림이 가능한 걸림돌기(2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셔터(70)의 하단 중앙에는 보조셔터(70)가 셔터(20)에 겹쳐질 때 셔터(20)의 손잡이(22)가 간섭되지 않도록 요입홈(7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보조셔터(70)는 상기 셔터(20)의 전면에 끼워짐으로써 셔터(20)의 승강에 따라 연동하여 승강이 이루어지게 되며, 또한 보조셔터(70)의 절곡단(71)이 셔터(20)의 양측면 외측에 끼워질 뿐 셔터(20)와 고정되는 구조는 아니므로 보조셔터(70)와 셔터(20)는 상호 간에 상대적인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보조셔터(70)가 더 구성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셔터(20)가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처럼 플러그끼움부(11) 전체를 폐쇄하지 않고 플러그끼움부(11)의 하반구만을 폐쇄하며, 플러그끼움부(11)의 나머지부분인 상반구는 상기 보조셔터(70)가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셔터(70)가 플러그끼움부(11)의 상반구만을 폐쇄하기 위해서는 보조셔터(70)가 플러그끼움부(11)의 수직방향 중간지점까지만 하강되어야 하는 바, 이를 위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전면커버(30)의 후면 플러그관통구(31)의 둘레에는 하강하는 보조셔터(70)의 하단에 걸리면서 플러그끼움부(11)의 수직방향 중간지점에서 보조셔터(70)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스톱돌기(3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셔터(70)와 셔터(20)가 각각 플러그끼움부(11)의 상반구와 하반구를 나누어 폐쇄하게 되므로 상기 셔터(20)와 보조셔터(60)는 각각 플러그끼움부(11)의 반경에 대응하는 세로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콘센트(200)의 전체적인 작동을 살펴보면, 먼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러그끼움부(1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셔터(20)와 보조셔터(70)가 상호 겹쳐진 상태로 셔터수용부(13)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플러그끼움부(11)가 개방된 상태에서 안전콘센트(200)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플러그끼움부(11)를 폐쇄시키고자 할 때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셔터(20)의 손잡이(22)를 눌러 셔터(20)를 하강시켜 준다.
그러면 셔터(20)가 하강되면서 동시에 전면에 겹쳐져 있는 보조셔터(70)도 함께 하강하게 되며, 이렇게 셔터(20)와 보조셔터(70)가 함께 하강하는 과정에서 플러그끼움부(11)의 수직방향 중간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전면에 위치된 보조셔터(70)는 전면커버(30)의 스톱돌기(36)에 걸리게 된다.
그에 따라 보조셔터(70)는 플러그끼움부(11)의 상반구 전방지점에서 자동으로 하강을 멈추게 되고, 계속적으로 하강된 셔터(2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셔터작동수단의 록킹돌기(41)가 걸림홈(24)에 끼워지게 되면서 플러그끼움부(11)의 하반구 전방에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보조셔터(70)와 셔터(20)의 하강이 완료되면,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조셔터(70)와 셔터(20)가 플러그끼움부(11)의 상반구와 하반구를 각각 폐쇄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 때 보조셔터(70) 하단의 걸림돌기(72)와 셔터(20) 상단의 걸림돌기(26)가 상호 걸림 상태가 되면서 보조셔터(70) 또한 셔터(20)에 구속됨으로써 상승이 억제되는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셔터(20)와 보조셔터(70)에 의해 플러그끼움부(11)가 폐쇄된 상태에서 다시 플러그를 끼워 사용고자 할 때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록킹해제버튼(42)을 눌러주면 된다.
그러면,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셔터(20)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면서 스프링(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셔터(20)의 상승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승하는 과정에서 셔터(20)가 보조셔터(70)의 후면으로 겹쳐지게 되면서 상호 겹쳐진 상태로 함께 상승하여 셔터수용부(13)에 위치됨으로써 플러그끼움부(11)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콘센트(200)는 셔터(20)와 보조셔터(70)가 플러그끼움부(11)의 개방시에는 상호 겹쳐지게 됨과 함께 플러그끼움부(11)의 폐쇄시에는 각각 플러그끼움부(11)의 상반구와 하반구를 분할하여 폐쇄하게 되므로 전술한 것처럼 플러그끼움부(11)의 반경에 대응하는 세로길이로 셔터(20)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바, 플러그끼움부(11)의 직경에 대응하는 세로길이로 셔터(20)를 형성하게 되는 제1 실시예와 비교했을 때 셔터수용부(13)의 크기를 절반정도로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콘센트의 전체적인 크기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콘센트몸체 11: 플러그끼움부
13: 셔터수용부 14: 스프링홈
15: 레일홈 20: 셔터
21: 슬라이딩돌기 22: 손잡이
23: 분할편 24: 걸림홈
25: 이격돌기 30: 전면커버
31: 플러그관통구 34: 버튼설치공
36: 스톱돌기 40: 셔터작동수단
41: 록킹돌기 42: 록킹해제버튼
50: 스프링 60: 안전레버부재
61: 조정레버 62: 안전바
70: 보조셔터 71: 절곡단

Claims (6)

  1. 삭제
  2. 전면 하측과 상측에 플러그끼움부와 셔터수용부가 각각 형성된 콘센트몸체;
    상기 콘센트몸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승시에는 셔터수용부에 위치됨과 함께 하강시에는 플러그끼움부의 하반구 전방에 위치됨으로써 플러그끼움부의 하반구를 개폐하는 셔터;
    상기 셔터의 전면에 끼워져 셔터에 의해 승강되며, 상승시에는 셔터에 겹쳐진 상태로 셔터수용부에 위치됨과 함께 하강시에는 플러그끼움부의 상반구 전방에 위치됨으로써 플러그끼움부의 상반구를 개폐하는 보조셔터;
    상기 셔터와 보조셔터가 설치된 콘센트몸체의 전방에 결합되며, 플러그관통구가 형성된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의 하측에 구비되어 하강된 상기 셔터를 고정하거나 고정해제시키는 셔터작동수단; 및
    상기 셔터와 셔터수용부에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고정해제시에 하강된 셔터가 셔터수용부로 상승되도록 셔터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의 후면에는 플러그끼움부의 수직방향 중간지점까지 하강된 보조셔터에 걸리면서 보조셔터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스톱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와 보조셔터는 각각 상기 플러그끼움부의 반경에 대응하는 세로길이를 가지며, 셔터의 양측면 상단과 상기 보조셔터의 양측면 하단에는 상호 간에 걸림이 가능한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후면 양쪽에 각각 형성된 이격돌기에 의해 콘센트몸체의 전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고 하부 일측에는 걸림홈을 가지면서 후방으로 눌림 가능하게 절개된 분할편이 형성되며,
    상기 셔터작동수단은 전면커버의 후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록킹돌기와, 전면커버에 눌림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에 따라 상기 분할편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록킹돌기가 걸림홈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록킹해제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해제버튼의 눌림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안전레버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안전레버부재는 전면커버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정레버와, 상기 조정레버의 이동에 따라 상기 분할편의 후방으로 삽입 또는 이탈되는 안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






KR1020130095739A 2013-08-13 2013-08-13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 KR101435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739A KR101435339B1 (ko) 2013-08-13 2013-08-13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739A KR101435339B1 (ko) 2013-08-13 2013-08-13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5339B1 true KR101435339B1 (ko) 2014-08-27

Family

ID=51751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5739A KR101435339B1 (ko) 2013-08-13 2013-08-13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33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855B1 (ko) * 2016-02-23 2016-08-02 보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동주택용 스위치보호함
KR101710015B1 (ko) 2016-09-23 2017-02-24 주식회사 세레스 이중 잠금 구조를 갖는 안전 콘센트
KR101871356B1 (ko) 2017-02-27 2018-06-26 주식회사 수만테크 다중 안전 장치를 갖는 멀티 탭
KR20200022826A (ko) 2018-08-24 2020-03-0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콘센트 구조체
KR102189445B1 (ko) 2020-08-31 2020-12-11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건축물의 안전 전기 콘센트
KR20210147128A (ko) * 2020-05-27 2021-12-07 영화테크(주) 전기차용 실내 교류전원 아웃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540U (ko) * 1997-04-29 1998-11-25 배순훈 안전 플러그 소켓
KR200221053Y1 (ko) 2000-01-31 2001-04-16 하흥용 벽매립형 전기콘센트의 안전카바
KR100635936B1 (ko) 2006-08-16 2006-10-18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건축물 내부 벽체 안전 콘센트
KR101262794B1 (ko) 2013-01-31 2013-05-09 주식회사 이린 벽면 매설형 공동주택의 콘센트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540U (ko) * 1997-04-29 1998-11-25 배순훈 안전 플러그 소켓
KR200221053Y1 (ko) 2000-01-31 2001-04-16 하흥용 벽매립형 전기콘센트의 안전카바
KR100635936B1 (ko) 2006-08-16 2006-10-18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건축물 내부 벽체 안전 콘센트
KR101262794B1 (ko) 2013-01-31 2013-05-09 주식회사 이린 벽면 매설형 공동주택의 콘센트박스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855B1 (ko) * 2016-02-23 2016-08-02 보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동주택용 스위치보호함
KR101710015B1 (ko) 2016-09-23 2017-02-24 주식회사 세레스 이중 잠금 구조를 갖는 안전 콘센트
KR101871356B1 (ko) 2017-02-27 2018-06-26 주식회사 수만테크 다중 안전 장치를 갖는 멀티 탭
KR20200022826A (ko) 2018-08-24 2020-03-0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콘센트 구조체
KR20210147128A (ko) * 2020-05-27 2021-12-07 영화테크(주) 전기차용 실내 교류전원 아웃렛
KR102382297B1 (ko) * 2020-05-27 2022-04-05 영화테크(주) 전기차용 실내 교류전원 아웃렛
KR102189445B1 (ko) 2020-08-31 2020-12-11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건축물의 안전 전기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339B1 (ko) 셔터개폐식 안전콘센트
US5998735A (en) Safety device for an electrical outlet
CA2621644C (en) Tamper-resistant electrical wiring device system
US7820909B2 (en) Tamper-resistant electrical wiring device system
DK2321879T3 (en) Locking POWER CONNECTION DEVICE
US9450325B1 (en) Power socket structure
KR102245537B1 (ko) 셔터를 구비한 전기 소켓 커넥터
US7648375B1 (en) Sliding cover for electrical sockets
US20180366871A1 (en) Socket structure
US9466928B2 (en) Plug-in connector
US20160126644A1 (en) Terminal holding member and clamping device including terminal holding member and electroconductive member
KR101751505B1 (ko) 콘세트용 안전 커버
KR101691718B1 (ko) 안전 콘센트
US6468111B1 (en) Electrical plug
US20080156515A1 (en) Sliding cover for electrical sockets
KR101476703B1 (ko) 안전 콘센트
KR20180126680A (ko) 콘센트의 안전장치
JP2008041462A (ja) 安全扉つきコンセント
KR102530388B1 (ko) 전기콘센트 겸용 안전마개
US10559909B1 (en) Tamper resistant electrical receptacle
KR101838267B1 (ko)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
KR20180126679A (ko) 콘센트의 안전장치
JP2012238419A (ja) コンセント
EP3945641A1 (en) Power socket having a base part, an aesthetic cover, and a drive member for a movable cover of the aesthetic cover
KR101793543B1 (ko) 기중차단기 투입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