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347B1 -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 - Google Patents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347B1
KR101670347B1 KR1020150059397A KR20150059397A KR101670347B1 KR 101670347 B1 KR101670347 B1 KR 101670347B1 KR 1020150059397 A KR1020150059397 A KR 1020150059397A KR 20150059397 A KR20150059397 A KR 20150059397A KR 101670347 B1 KR101670347 B1 KR 101670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outlet
track
grounding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6559A (ko
Inventor
고광빈
Original Assignee
고광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광빈 filed Critical 고광빈
Priority to PCT/KR2015/00716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017959A1/ko
Publication of KR20160016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서, 트랙을 따라 내측으로 걸림턱을 구비한 콘센트트랙부(100); 상기 콘센트트랙부에 체결되는 체결스프링(2)과 걸이부(3)를 구비하고, 좌측면 또는 우측면 또는 좌우 양측면에 콘센트접지부(24)를 구비하여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플러그스위치부(200); 상기 콘센트트랙부에 체결되는 체결스프링(2)과 걸이부(3)를 구비하고, 전력전달을 위하여 일측면에는 돌출된 콘센트접지부(34)을 구비하고 타측 하부면에는 상기 플러그스위치부(200)의 콘센트접지부(24)에 대응되는 도체날(5a)을 구비한 다수개의 인입콘센트부(300); 상기 콘센트트랙부에 체결되는 체결스프링(2)과 걸이부(3)를 구비하고, 전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일측면에는 돌출된 콘센트접지부(44)을 구비하고 타측 하부면에는 상기 플러그스위치부(200)의 콘센트접지부(24) 또는 상기 인입콘센트부(300)의 콘센트접지부(34)에 대응되는 도체날(5a)을 구비한 다수개의 전원확장덮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Movable Bar-type Multi Tap}
본 발명은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센트트랙에 콘센트를 고정할 수 있는 돌출턱을 형성하고 제공되는 트랙부내에서 이동가능함과 동시에 탈착이 용이한 다수개의 인입콘센트 또는 확장콘센트와 전원확장덮개와 트랙덮개를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멀티탭은 벽체에 설치되어 있는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로 연결한 전선 끝단에 다수개의 콘센트구를 형성하여 전원을 이동확장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의 멀티탭은 사용자가 원하는 곳까지 콘센트를 통해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노출되는 전선을 처리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멀티탭이 일정길이 단위로 제조판매되므로 원하는 위치까지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멀티탭을 릴레이식으로 연결하여 사용해야 하는 경우 및 다수개의 콘센트구가 형성된 탭이 바닥에 방치되는 경우가 흔해 시각적으로도 보기 흉할 뿐만 아니라, 청소하는 과정에서 물에 의해 합선되는 경우가 종종있는게 현 실상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이를 해결하고자 등록실용 제20-0460022호에 몰딩내부에 전선을 수납할 수 있고, 몰딩내에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며 2개 이상의 다양한 콘센트를 체결할 수 있는 이동확장 가능한 몰딩 콘센트를 소개한 바 있다.
그러나, 등록실용 제20-0460022호의 몰딩 콘센트는 바형 몰딩내에서 원하는 위치에 콘센트구를 배치하기 위해서는 몰딩 바의 어느 한쪽의 몰딩덮개를 연다음 전체 콘센트구들을 이동시켜 빼내고, 원하는 배열을 맞춘 다음 다시 일일이 끼워 재조립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콘센트구가 배치될 원하는 위치에 대한 정확한 계산을 하고 그에 맞추어 재조립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몰딩 콘센트는 전력공급하는 전선 이외에도 전화선이나 PC선, TV 선과 같은 통신선의 수납이 용이하지 않을 뿐더러, 서로 구분되어 있지 않아 수리하거나 교체시 불편함이 많았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002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곳까지 콘센트를 통해 전력을 제공하되 노출되는 전선을 최소화할 수 있고,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콘센트구를 배치시킬 수 있는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콘센트장치를 벽체 또는 간이막의 원하는 위치에 제공함으로써, 콘센트장치가 전력을 공급하는 것 이외에 인테리어의 한축으로 심미감을 줄 수 있도록 구성된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자유롭게 배치시킬 수 있는 스위치 콘센트를 이용해 대기전력 차단 효과가 있고 개별 전원차단 스위치를 구성시킬 수 있어 전력절감효과가 있는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전력공급콘센트 이외에도 전화콘센트나 POC콘센트, TV콘센트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키되 노출되는 전선을 최소화하고 구분되게 정리할 수 있는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은,
트랙을 따라 걸림턱을 구비한 콘센트트랙부(10);
상기 콘센트트랙부에 체결되되, 좌측면 또는 우측면 또는 좌우 양측면에 콘센트접지부(24)를 구비하여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플러그스위치부(20);
상기 콘센트트랙부에 체결되되, 전력전달을 위하여 일측면에는 돌출된 콘센트접지부(34)를 구비하고 타측 하부면에는 상기 플러그스위치부(20)의 콘센트접지부(24)에 대응되는 도체날(5a)을 구비한 다수개의 인입콘센트부(30);
상기 콘센트트랙부에 체결되되, 전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일측면에는 돌출된 콘센트접지부(44)을 구비하고 타측 하부면에는 상기 플러그스위치부(20)의 콘센트접지부(24) 또는 상기 인입콘센트부(30)의 콘센트접지부(34)에 대응되는 도체날(5a)을 구비한 다수개의 전원확장덮개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에서,
상기 플러그스위치부(20), 상기 인입콘센트부(30) 및 상기 전원확장덮개부(40)의 하부면에는 상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콘센트트랙부의 걸림턱에 체결되는 체결스프링(2)을 구비하거나, 어느 한쪽 테두리에는 체결스프링(2)을 구비하고 다른 쪽 테두리에는 걸이부(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에서,
상기 콘센트트랙부(10)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고 상하 플랜지(11)에는 내측으로 트랙을 따라 걸림턱(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턱(12)에는 다수개의 개방부가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에서,
상기 콘센트트랙부(10)는 트랙덮개를 더 구비하며, 상기 트랙덮개는 하부면에 분리날개를 구성하고 상기 콘센트트랙부의 걸림턱(12)과 탄성적으로 체결되는 걸이부를 하부면의 상하 테두리쪽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에서,
상기 플러그 스위치부(20)는 플러그전선(21)을 가지는 상부몸체와 상기 콘센트트랙부(10)의 내부로 감추어지는 하부몸체로 구분되어 구성되며, 하부몸체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또는 좌우 양측면에는 도체날(5a)이 끼워져 접지되는 적어도 2개의 도체날 받이홈(6)과 접지금속판(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센트접지부(24)를 돌출되도록 구비하고, 전면이 되는 상부면에는 단락스위치(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에서,
상기 인입콘센트(30)는 상부몸체, 및 수납부와 하부커버로 된 하부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입콘센트의 상부몸체에는 전면에 접지편(31)를 가지는 플러그 인입구(32)와 개별 단락스위치(33)를 구비하고, 하부몸체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는 도체판(5)의 도체날(5a)이 끼워져 접지되는 적어도 2개의 도체날 받이홈(6)과 접지금속판(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센트접지부(34)를 돌출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콘센트접지부와 대응되는 우측면 또는 좌측면에는 도체날(5a)이 인접한 도체날 받이홈(6)에 끼워질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에서,
상기 인입콘센트부(300)의 상기 상부몸체는 플러그 인입구 하단에 연장되어 배치된 접지편(31)과 스위치(33) 온오프 동작에 따라 도체판(5)과 접촉되거나 차단금속판(7a)과 접촉되는 3개의 접지핀(p)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몸체의 수납부에는 도체판(5)과 접지금속판(7) 및 차단금속판(7a)이 배치되며, 하부커버(300c)는 상기 수납부와 상부몸체를 결합시키고 배면을 밀폐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에서,
상기 전원확장덮개부(40)는 상기 플러그스위치부(20)로부터 다수개의 인입콘센트부(30)에 전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상부판(41)은 상기 콘센트트랙부의 개방된 부분을 가릴수 있도록 판형상이며, 하부몸체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는 도체판(5)의 도체날(5a)이 끼워져 접지되는 적어도 2개의 도체날 받이홈(6)과 접지금속판(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센트접지부(44)를 돌출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콘센트접지부(44)에 대응되는 우측면 또는 좌측면에는 도체날(5a)이 인접한 도체날 받이홈(6)에 끼워질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에서,
도체날 받이홈(6)의 형상은 도체날(5a)이 수직방향 또는 좌우 수평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절개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에서,
트랙을 따라 내측으로 걸림턱을 구비한 콘센트트랙부(100);
상기 콘센트트랙부에 체결되는 체결스프링(2)과 걸이부(3)를 구비하고, 좌측면 또는 우측면 또는 좌우 양측면에 콘센트접지부(24)를 구비하여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플러그스위치부(200);
상기 콘센트트랙부에 체결되는 체결스프링(2)과 걸이부(3)를 구비하고, 전력전달을 위하여 일측면에는 돌출된 콘센트접지부(34)을 구비하고 타측 하부면에는 대응되는 도체날(5a)을 구비한 다수개의 인입콘센트부(300);
상기 콘센트트랙부에 체결되는 체결스프링(2)과 걸이부(3)를 구비하고, 전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일측면에는 돌출된 콘센트접지부(44)을 구비하고 타측 하부면에는 상기 플러그스위치부(200)의 콘센트접지부(24) 또는 상기 인입콘센트부(300)의 콘센트접지부(34)에 대응되는 도체날(5a)을 구비한 다수개의 전원확장덮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에서,
상기 인입콘센트부에는 플러그 인입구가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인입콘센트부와 상기 전원확장덮개부의 길이치수는 동일하거나 또는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에서,
상기 콘센트트랙부에는 통신콘센트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에서,
트랙을 따라 걸림턱을 구비한 콘센트트랙부(100);
상기 콘센트트랙부에 체결되는 체결스프링(2)과 걸이부(3)를 구비하고, 좌측면 또는 우측면 또는 좌우 양측면에 콘센트접지부(24)를 구비하여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플러그스위치부(200);
상기 콘센트트랙부에 체결되는 체결스프링(2)과 걸이부(3)를 구비하고, 전력전달을 위하여 일측면에는 돌출된 콘센트접지부(34)을 구비하고 타측 하부면에는 대응되는 도체날(5a)을 구비하며, 상부면에 100V용 플러그꽂이부(51)와 접지홀(52)을 구비한 플러그소켓을 적어도 1개 이상 구비한 다수개의 인입콘센트부(500);
상기 콘센트트랙부에 체결되는 체결스프링(2)과 걸이부(3)를 구비하고, 전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일측면에는 돌출된 콘센트접지부(44)을 구비하고 타측 하부면에는 상기 플러그스위치부(200)의 콘센트접지부(24) 또는 상기 인입콘센트부(500)의 콘센트접지부(34)에 대응되는 도체날(5a)을 구비한 다수개의 전원확장덮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은, 사용자가 원하는 곳까지 콘센트를 통해 전력을 제공하되 노출되는 전선을 최소화할 수 있고,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콘센트구를 배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은 콘센트장치를 벽체 또는 간이막의 원하는 위치에 제공함으로써, 콘센트장치가 전력을 공급하는 것 이외에 인테리어의 한축으로 심미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은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배치시킬 수 있는 스위치 콘센트를 이용해 가전제품등의 대기전력 차단 효과가 있고 개별 전원차단 스위치를 구성시킬 수 있어 전력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의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의 체결배치 상태의 제1예를 나타내는 간략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의 체결배치 상태의 제2예를 나타내는 간략 정면도,
도 5의 (a)는 도 4의 AA 단면도,(b)는 도 4의 BB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의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의 체결배치 상태의 제1예를 나타내는 간략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콘센트트랙부와 트랙덮개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의 (a),(b),(c)는 도 7의 플러그 스위치부의 정면도와 배면도 및 트랙부와 결합한 측단면도,
도 10의 (a),(b),(c)는 도 7의 인입콘센트부의 정면도와 배면도 및 트랙부와 결합한 측단면도,
도 11의 (a),(b),(c)는 도 7의 전원확장덮개부의 정면도와 배면도 및 트랙부와 결합한 측단면도,
도 12의 (a),(b)는 도 7의 플러그 스위치부, 인입콘센트부, 전원확장덮개부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내부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13의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의 인입콘센트부의 사시도 및 분해도,
도 14의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의 전원확장덮개부의 사시도 및 분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의 체결배치 상태의 제1예를 나타내는 간략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에 통신콘센트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간략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을 수직으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의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의 체결배치 상태의 제1예를 나타내는 간략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의 체결배치 상태의 제2예를 나타내는 간략 정면도, 도 5의 (a)는 도 4의 AA 단면도,(b)는 도 4의 BB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의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의 체결배치 상태의 제1예를 나타내는 간략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콘센트트랙부와 트랙덮개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의 (a),(b),(c)는 도 7의 플러그 스위치부의 정면도와 배면도 및 트랙부와 결합한 측단면도, 도 10의 (a),(b),(c)는 도 7의 인입콘센트부의 정면도와 배면도 및 트랙부와 결합한 측단면도, 도 11의 (a),(b),(c)는 도 7의 전원확장덮개부의 정면도와 배면도 및 트랙부와 결합한 측단면도, 도 12의 (a),(b)는 도 7의 플러그 스위치부, 인입콘센트부, 전원확장덮개부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내부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13의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의 인입콘센트부의 사시도 및 분해도, 도 14의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의 전원확장덮개부의 사시도 및 분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의 체결배치 상태의 제1예를 나타내는 간략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에 통신콘센트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간략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을 수직으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을 따라 내측으로 걸림턱을 구비한 콘센트트랙부(10); 상기 콘센트트랙부에 체결되는 체결스프링(2)을 구비하고, 좌측면 또는 우측면 또는 좌우 양측면에 콘센트접지부(24)를 구비하여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플러그스위치부(20); 상기 콘센트트랙부에 체결되는 체결스프링(2)을 구비하고, 전력전달을 위하여 일측면에는 돌출된 콘센트접지부(34)을 구비하고 타측 하부면에는 상기 플러그스위치부(20)의 콘센트접지부(24)에 대응되는 도체날(5a)을 구비한 다수개의 인입콘센트부(30); 상기 콘센트트랙부에 체결되는 체결스프링(2)을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스위치부(20) 또는 상기 인입콘센트부(30)에 전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일측면에는 돌출된 콘센트접지부(44)을 구비하고 타측 하부면에는 대응되는 도체날(5a)을 구비한 다수개의 전원확장덮개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콘센트트랙부(1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전면이 개방되어 있고 상하 플랜지(11)에는 내측으로 트랙을 따라 걸림턱(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걸림턱(12)에는 결합될 각종 콘센트 및 부속 덮개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다수개의 개방부(미도시))가 소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콘센트트랙부(10)는 트랙덮개(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전면을 밀폐시키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트랙부의 내부를 전력선과 통신선이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트랙부의 양 말단을 마무리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트랙덮개는 하부면에 분리날개를 한 개 이상 구성하고 트랙부의 걸림턱(12)과 탄성적으로 체결되는 걸이부를 하부면의 상하 테두리쪽으로 구비할 수 있다.
플러그 스위치부(20)는 플러그전선(21)을 가지는 상부몸체와 콘센트트랙부(10)의 내부로 감추어지는 하부몸체로 구분되어 구성되며, 하부몸체의 하부면 상하 테두리쪽에는 콘센트트랙부(10)의 걸림턱(12)과 체결하는 체결스프링(2)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밀려들어가고 복원력과 탄성에 의해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플러그 스위치부(2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또는 좌우 양측면에는 도체날(5a)이 끼워져 접지되는 적어도 2개의 도체날 받이홈(6)과 접지금속판(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센트접지부(24)를 돌출되도록 구비하고, 전면이 되는 상부면에는 양 단락스위치(23)를 구비하여 좌우 양방향 또는 선택적으로 어느 한 방향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플러그 스위치부에 인입콘센트(30)나 전원확장덮개(40)가 수직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도체날 받이홈(6)의 형상은 도체날(5a)이 수직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절개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체날 받이홈(6)에는 도체날(5a)과 접지될 수 있는 대응되는 도체판(5)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스위치부(20)에는 도체날 받이홈(6)의 도체판(5a)과 접지금속판(7)에 각각 접지전선(8)과 전력공급전선(9)을 직접 결속시켜 인입콘센트(30)와 전원확장덮개(40) 또는 110V 확장콘센트(500) 등에 전력공급을 할 수 있으며, 콘센트 트랙내에서 자유로운 이동과 탈착을 할 수 있다.
인입콘센트(30)는 전력을 필요로 하는 가전 제품의 플러그가 끼워지는 것으로, 다수개 구비하여 서로 체결시킴으로써 확장이 가능하다. 인입콘센트의 상부 몸체에는 전면에 접지편(31)를 가지는 플러그 인입구(32)와 개별 단락 스위치(33)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어느 한 방향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하부몸체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는 도체판(5)의 도체날(5a)이 끼워져 접지되는 적어도 2개의 도체날 받이홈(6)과 접지금속판(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센트접지부(34)를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대응되는 우측면 또는 좌측면에는 도체날(5a)이 도체날 받이홈(6)에 끼워질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된다. 이때, 인입콘센트(30)가 플러그 스위치부 또는 다른 인입콘센트(30)나 전원확장덮개(40)에 수직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도체날 받이홈(6)의 형상은 도체날(5)이 수직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절개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체판(5)은 목적에 맞게 절곡된 길이가 긴 편형상으로, 일단은 도체날(5a)이 되고 타단은 도체날 받이홈(6)에 끼워지도록 구비된다.
또한, 인입콘센트(30)의 하부몸체의 하부면 상하 테두리쪽에는 콘센트트랙부(10)의 걸림턱(12)과 체결하는 체결스프링(2)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과 탄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인입콘센트에 플러그인입구가 1개 형성된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길이를 조정하여 다수개의 플러그 인입구를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원확장덮개부(40)는 플러그스위치부(20)로부터 다수개의 인입콘센트부(30)에 전력전달이 가능하도록 확장기능을 하는 것으로, 다수개 구비되며, 전면에 해당되는 상부판(41)은 트랙부의 개방된 부분을 가릴수 있도록 판형상이며, 하부몸체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는 도체판(5)의 도체날(5a)이 끼워져 접지되는 적어도 2개의 도체날 받이홈(6)과 접지금속판(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센트접지부(44)를 돌출되도록 구비하고, 대응되는 우측면 또는 좌측면에는 상기 플러그스위치부(20)의 콘센트접지부(24) 또는 상기 인입콘센트부(30)의 콘센트접지부(34)에 대응되는 도체날(5a)이 도체날 받이홈(6)에 끼워질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된다. 이때, 전원확장덮개(40)가 플러그 스위치부 또는 인입콘센트(30)에 수직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도체날 받이홈(6)의 형상은 도체날(5a)이 수직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절개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체판(5)은 길이가 긴 편형상으로, 일단은 도체날(5a)이 되고 타단은 도체날 받이홈(6)에 끼워지도록 구비된다.
또한, 전원확장덮개부(40)의 하부면 상하 테두리쪽에는 콘센트트랙부(10)의 걸림턱(12)과 체결하는 체결스프링(2)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과 탄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6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은, 트랙을 따라 내측으로 걸림턱을 구비한 콘센트트랙부(100); 상기 콘센트트랙부에 체결되는 체결스프링(2)과 걸이부(3)를 구비하고, 좌측면 또는 우측면 또는 좌우 양측면에 콘센트접지부(24)를 구비하여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플러그스위치부(200); 상기 콘센트트랙부에 체결되는 체결스프링(2)과 걸이부(3)를 구비하고, 전력전달을 위하여 일측면에는 돌출된 콘센트접지부(34)을 구비하고 타측 하부면에는 상기 플러그스위치부(200)의 콘센트접지부(24)에 대응되는 도체날(5a)을 구비한 다수개의 인입콘센트부(300); 상기 콘센트트랙부에 체결되는 체결스프링(2)과 걸이부(3)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스위치부(20) 또는 상기 인입콘센트부(30)에 전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일측면에는 돌출된 콘센트접지부(44)을 구비하고 타측 하부면에는 상기 플러그스위치부(20)의 콘센트접지부(24) 또는 상기 인입콘센트부(30)의 콘센트접지부(34)에 대응되는 도체날(5a)을 구비한 다수개의 전원확장덮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콘센트트랙부(100), 플러그스위치부(200), 다수개의 인입콘센트부(300), 전원확장덮개(400)의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의 형상과 거의 동일하다.
다만, 차이점은 콘센트트랙부(100)의 형상은 단면이 'M'자인 브라켓 형상이며, 트랙을 따라 상하 내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되되 어느 일측 걸림턱에는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개방부(12a)를 구비한다. 또한, 콘센트트랙부(1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플러그스위치부(200), 다수개의 인입콘센트부(300), 전원확장덮개부(400)에는 상기 콘센트트랙부에 체결되는 체결스프링(2)과 걸이부(3)를 구비하고, 체결스프링(2)은 개방부가 없는 걸림턱쪽에 체결되고, 걸이부(3)는 개방부를 구비한 걸림턱쪽에 체결되어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탈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콘센트트랙부(10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전면이 개방되어 있고 상하 플랜지(11)에는 내측으로 트랙을 따라 걸림턱(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걸림턱(12)에는 결합될 각종 콘센트 및 부속 덮개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다수개의 개방부(12a))가 소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콘센트트랙부(10)는 트랙덮개(13)를 더 구비하여, 전면을 밀폐시키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트랙부의 내부를 전력선과 통신선이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트랙부의 양 말단을 마무리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트랙덮개는 전력선과 통신선을 격벽으로 구분하여 수납 및 정리될 수 있도록 하부면에 분리날개(13a)를 한 개 이상 구성하고 트랙부의 걸림턱(12)과 탄성적으로 체결되는 걸이부(3)를 하부면의 상하 테두리쪽으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트랙부에 끼워져 체결되는 인입콘센트부(300), 전원확장덮개(400)는 상호 교체가능하도록 그 길이치수가 동일하거나 배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2 내지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콘센트부(300)는 플러그 인입구 하단에 연장되어 배치된 접지편(31)과 스위치(33) 온·오프 동작에 따라 도체판(5)과 접촉되거나 차단금속판(7a)과 접촉되는 3개의 접지핀(p)을 구비한 상부몸체(300a), 도체판(5)과 접지금속판(7) 및 차단금속판(7a)이 배치되는 수납부(300b), 수납부와 상부몸체를 결합시키며 배면을 밀폐시키는 하부커버(300c)로 분리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원확장덮개부(400)는 상부판(41)과, 2개의 도체판(5)과 도체판 사이에 접지금속판(7)이 배치되는 수납부로 된 하부커버(400c)로 분리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하부커버는 상부판과 결합된다.
또한, 플러그스위치부(200), 인입콘센트부(300), 전원확장덮개부(400)가 결합시 플러그스위치부(200)의 콘센트접지부(20)에 인입콘센트부(300)의 도체날(5a)이 수직방향 또는 좌우 수평방향으로 끼움되어 체결되고, 인입콘센트부(300)의 콘센트접지부(34)에 전원확장덮개부(400)의 도체날(5a)이 수직방향 또는 좌우 수평방향으로 끼움되어 체결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은, 주로 110V 확장콘센트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콘센트트랙부(100); 플러그스위치부(200); 다수개의 인입콘센트부(500); 전원확장덮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콘센트트랙부(100), 플러그스위치부(200), 전원확장덮개(400)의 구성은 상기 다른 실시예의 형상과 동일하다.
다만, 다수개의 인입콘센트부(500)는, 전면에 100V용 플러그꽂이부(51)를 2개 구비하고 접지홀(52)을 1개 구비한 플러그소켓을 적어도 1개 이상 구비하며, 하부몸체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는 도체판(5)의 도체날(5a)이 끼워져 접지되는 적어도 2개의 도체날 받이홈(6)과 접지금속판(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센트접지부(54)를 돌출되도록 구비하고, 대응되는 우측면 또는 좌측면에는 도체날(5a)이 도체날 받이홈(6)에 끼워질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된다.
또한, 플러그 스위치부(200)에는 도체날 받이홈(6)의 도체판(5a)과 접지금속판(7)에 각각 접지전선(8)과 전력공급전선(9)을 직접 결속시켜 110V 확장 인입콘센트부(500)와 전원확장덮개부(400) 등에 전력공급을 할 수 있으며, 콘센트 트랙내에서 자유로운 이동과 탈착을 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스위치부(20), 인입콘센트부(30) 및 전원확장덮개부(40)는 콘센트트랙부(10)와 체결하기 위하여, 콘센트트랙부(10)의 걸림턱(12)과 체결하는 체결스프링(2)을 하부면 상하 양쪽테두리쪽에 형성하거나 또는 한쪽 테두리에는 체결스프링(2)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 테두리에는 걸이부(3)를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과 탄성에 의해 결합되되 수직방향으로의 탈착이 용이하게 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체결스프링은 별개의 스프링으로 장착시켜도 되고 몸체에 일체로 형성된 탄력 판스프링이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인입콘센트, 전원확장덮개는 2개 이상 다수개가 교차결합될 수 있다. 또한, 콘센트 트랙부의 말단을 마무리하도록 마감몰드덮개(17)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은 인입콘센트부마다 개별 단락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가전제품등에 공급되는 전력을 손쉽게 차단시킬 수 있어 대기전력 차단 효과와 전력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에는 전기공급 인입콘센트(30) 이외에 TV플러그부(50a), PC플러그부(50b), 전화플러그부(50c)를 포함하는 통신콘센트부(50)도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TV플러그부(50a), PC플러그부(50b), 전화플러그부(50c)는 각각 별도로 구비되거나 또는 일체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콘센트트랙부에서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체결되는 구성요소들, 특히 인입콘센트부, 전원확장덮개부, 통신콘세트부의 길이치수는 동일하거나 배수가 바람직하며, 수직방향으로 착탈이 가능한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은 책상이나 탁자 등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지지대에 고정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인입콘센트부(30)가 체결된 콘센트트랙부(80)는 지지대에 끼움결합되어 선들을 정리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체결스프링 3:걸이부
5:도체판 5a:도체날
6:도체날 받이홈 7:접지금속판
7a:차단금속판 8,9:전선
10,100: 콘센트트랙부 20,200:플러그스위치부
30,300,500:인입콘센트부 40,400:전원확장덮개부
11:플랜지 12:걸림턱
13:트랙덮개 23,33:스위치
24,34,44:콘센트접지부 31:접지편
32:플러그 인입구 41:상부판
50: 통신콘센트부 50a:TV플러그부
50b: PC플러그부 50c:전화선플러그부

Claims (15)

  1. 트랙을 따라 걸림턱을 구비한 콘센트트랙부(10);
    상기 콘센트트랙부에 체결되되, 좌측면 또는 우측면 또는 좌우 양측면에 콘센트접지부(24)를 구비하여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플러그스위치부(20);
    상기 콘센트트랙부에 체결되되, 전력전달을 위하여 일측면에는 돌출된 콘센트접지부(34)를 구비하고 타측 하부면에는 상기 플러그스위치부(20)의 콘센트접지부(24)에 대응되는 도체날(5a)을 구비한 다수개의 인입콘센트부(30);
    상기 콘센트트랙부에 체결되되, 전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일측면에는 돌출된 콘센트접지부(44)을 구비하고 타측 하부면에는 상기 플러그스위치부(20)의 콘센트접지부(24) 또는 상기 인입콘센트부(30)의 콘센트접지부(34)에 대응되는 도체날(5a)을 구비한 다수개의 전원확장덮개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콘센트트랙부(10)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고 상하 플랜지(11)에는 내측으로 트랙을 따라 걸림턱(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턱(12)에는 다수개의 개방부가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스위치부(20), 상기 인입콘센트부(30) 및 상기 전원확장덮개부(40)의 하부면에는 상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콘센트트랙부의 걸림턱에 체결되는 체결스프링(2)을 구비하거나, 어느 한쪽 테두리에는 체결스프링(2)을 구비하고 다른 쪽 테두리에는 걸이부(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트랙부(10)는 트랙덮개를 더 구비하며, 상기 트랙덮개는 하부면에 분리날개를 구성하고 상기 콘센트트랙부의 걸림턱(12)과 탄성적으로 체결되는 걸이부를 하부면의 상하 테두리쪽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스위치부(20)는 플러그전선(21)을 가지는 상부몸체와 상기 콘센트트랙부(10)의 내부로 감추어지는 하부몸체로 구분되어 구성되며, 하부몸체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또는 좌우 양측면에는 도체날(5a)이 끼워져 접지되는 적어도 2개의 도체날 받이홈(6)과 접지금속판(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센트접지부(24)를 돌출되도록 구비하고, 전면이 되는 상부면에는 단락스위치(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콘센트부(30)는 상부몸체, 및 수납부와 하부커버로 된 하부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입콘센트부의 상부몸체에는 전면에 접지편(31)를 가지는 플러그 인입구(32)와 개별 단락스위치(33)를 구비하고, 하부몸체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는 도체판(5)의 도체날(5a)이 끼워져 접지되는 적어도 2개의 도체날 받이홈(6)과 접지금속판(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센트접지부(34)를 돌출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콘센트접지부와 대응되는 우측면 또는 좌측면에는 도체날(5a)이 인접한 도체날 받이홈(6)에 끼워질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콘센트부(30)의 상기 상부몸체는 플러그 인입구 하단에 연장되어 배치된 접지편(31)과 스위치(33) 온·오프 동작에 따라 도체판(5)과 접촉되거나 차단금속판(7a)과 접촉되는 3개의 접지핀(p)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몸체의 수납부에는 도체판(5)과 접지금속판(7) 및 차단금속판(7a)이 배치되며, 하부커버는 상기 수납부와 상부몸체를 결합시키고 배면을 밀폐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확장덮개부(40)는 상기 플러그스위치부(20)로부터 다수개의 인입콘센트부(30)에 전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상부판(41)은 상기 콘센트트랙부의 개방된 부분을 가릴수 있도록 판형상이며, 하부몸체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는 도체판(5)의 도체날(5a)이 끼워져 접지되는 적어도 2개의 도체날 받이홈(6)과 접지금속판(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센트접지부(44)를 돌출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콘센트접지부(44)에 대응되는 우측면 또는 좌측면에는 도체날(5a)이 인접한 도체날 받이홈(6)에 끼워질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
  9. 제 1항, 제 2항, 제 4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날(5a)이 수직방향 또는 좌우 수평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도체날 받이홈(6)이 절개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콘센트부(30)에는 플러그 인입구가 다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콘센트부(30)와 상기 전원확장덮개부(40)의 길이치수는 동일하거나 또는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
  12. 트랙을 따라 내측으로 걸림턱을 구비한 콘센트트랙부(100);
    상기 콘센트트랙부에 체결되는 체결스프링(2)과 걸이부(3)를 구비하고, 좌측면 또는 우측면 또는 좌우 양측면에 콘센트접지부(24)를 구비하여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플러그스위치부(200);
    상기 콘센트트랙부에 체결되는 체결스프링(2)과 걸이부(3)를 구비하고, 전력전달을 위하여 일측면에는 돌출된 콘센트접지부(34)을 구비하고 타측 하부면에는 상기 플러그스위치부(200)의 콘센트접지부(24)에 대응되는 도체날(5a)을 구비한 다수개의 인입콘센트부(300);
    상기 콘센트트랙부에 체결되는 체결스프링(2)과 걸이부(3)를 구비하고, 전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일측면에는 돌출된 콘센트접지부(44)을 구비하고 타측 하부면에는 상기 플러그스위치부(200)의 콘센트접지부(24) 또는 상기 인입콘센트부(300)의 콘센트접지부(34)에 대응되는 도체날(5a)을 구비한 다수개의 전원확장덮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콘센트부(300)에는 플러그 인입구가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인입콘센트부(300)와 상기 전원확장덮개부(400)의 길이치수는 동일하거나 또는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트랙부(100)에는 통신콘센트부(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
  15. 트랙을 따라 걸림턱을 구비한 콘센트트랙부(100);
    상기 콘센트트랙부에 체결되는 체결스프링(2)과 걸이부(3)를 구비하고, 좌측면 또는 우측면 또는 좌우 양측면에 콘센트접지부(24)를 구비하여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플러그스위치부(200);
    상기 콘센트트랙부에 체결되는 체결스프링(2)과 걸이부(3)를 구비하고, 전력전달을 위하여 일측면에는 돌출된 콘센트접지부(34)을 구비하고 타측 하부면에는 상기 플러그스위치부(200)의 콘센트접지부(24)에 대응되는 도체날(5a)을 구비하며, 상부면에 100V용 플러그꽂이부(51)와 접지홀(52)을 구비한 플러그소켓을 적어도 1개 이상 구비한 다수개의 인입콘센트부(500);
    상기 콘센트트랙부에 체결되는 체결스프링(2)과 걸이부(3)를 구비하고, 전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일측면에는 돌출된 콘센트접지부(44)을 구비하고 타측 하부면에는 상기 플러그스위치부(200)의 콘센트접지부(24) 또는 상기 인입콘센트부(500)의 콘센트접지부(34)에 대응되는 도체날(5a)을 구비한 다수개의 전원확장덮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
KR1020150059397A 2014-07-31 2015-04-28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 KR101670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7164 WO2016017959A1 (ko) 2014-07-31 2015-07-10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8303 2014-07-31
KR1020140098303 2014-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559A KR20160016559A (ko) 2016-02-15
KR101670347B1 true KR101670347B1 (ko) 2016-10-31

Family

ID=55357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397A KR101670347B1 (ko) 2014-07-31 2015-04-28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3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646B1 (ko) * 2016-04-19 2017-12-11 주식회사브이인 이동확장 가능한 트랙 모듈 어셈블리
KR102325934B1 (ko) 2020-12-11 2021-11-12 김명석 플러그 위치 상하 확장 멀티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559A (ko) 201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90940C (en) Electrical receptacle assembly with housing
JP7106628B2 (ja) 拡張・更新可能な可変コンセント
KR101801469B1 (ko) 소켓 아울렛
CN100399638C (zh) 带防触电安全保护装置的可换插脚的电源插头
US20140295691A1 (en) Mounted electrical receptacle
JP2011134716A (ja) コンセントソケット用の交換モジュール及び交換モジュール付きコンセントソケット
WO2015179930A1 (pt) Disposição introduzida em trilho energizado para tomadas móveis
TW201601394A (zh) 電源插座組件
KR101670347B1 (ko)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
CN104409911A (zh) 可开合的插头装置
JP2015204294A (ja) コネクタモジュールを有する壁コンセント及びコネクタモジュールを有する壁スイッチ
KR101742665B1 (ko)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US8011940B1 (en) Power socket device having switches
KR200460022Y1 (ko) 이동 확장 가능한 몰딩 콘센트
KR100733492B1 (ko) 스위치가 부설된 콘센트
US6270364B1 (en) Portable electrical adapter
KR101484010B1 (ko) 절전형 멀티탭
KR20150089861A (ko) 멀티 탭 콘센트
US1664090A (en) Attachment-plug adapter
US2492616A (en) Electric wall receptacle
KR101627265B1 (ko)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간 연결설치대
CA2976631A1 (en) Retractable recessed electrical outlet and data port assembly
KR101807646B1 (ko) 이동확장 가능한 트랙 모듈 어셈블리
KR101555223B1 (ko) 산업용 콘센트
MXPA01011738A (es) Soporte de interruptor de circuito y ensamble de interruptor de circui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