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265B1 -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간 연결설치대 - Google Patents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간 연결설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7265B1 KR101627265B1 KR1020150158272A KR20150158272A KR101627265B1 KR 101627265 B1 KR101627265 B1 KR 101627265B1 KR 1020150158272 A KR1020150158272 A KR 1020150158272A KR 20150158272 A KR20150158272 A KR 20150158272A KR 101627265 B1 KR101627265 B1 KR 1016272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eiving groove
- hook
- underground
- groove
- metal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전선 간의 연결작업이 매우 편리하면서도 구조적으로도 단순해 제조가 용이한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간 연결설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에 형성되고 내부가 상방으로 개방되어 지중전선(L)의 단부에 고정된 후크(1)가 수용되는 제1수용홈(11a), 제1수용홈(11a)을 기준으로 전후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홈(11b), 제1수용홈(11a)을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형성되어 후크(1)의 지지편(1a)이 수용되는 제2수용홈(11c), 제1수용홈(11a)과 제2수용홈(11c)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턱(11d),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돌기홈(11e)으로 구성된 바디(11)와, 돌기홈(11e)에 압입고정되는 끼움돌기(12a)를 매개로 바디(11)의 상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12)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케이스(10); 상기 결합홈(11b)에 끼워져 고정되는 플런지(21)와, 플런지(21)를 상호 연결하고 제1수용홈(11a)에 인입되며 후크(1)가 걸리는 금속바(22)와, 플런지(21)로부터 연장되어 금속바(22)에 걸린 후크(1)가 서로 맞대어지게 일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지편(23)으로 구성된 연결부재(20); 상기 제2수용홈(11c)에 삽입되며 커버(12)에 의해 가압되어 제2수용홈(11c)에 인입된 후크(1)의 지지편(1a)를 밀도록 된 복수의 가압스프링(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지중전선을 상호 연결함에 있어 단순히 후크를 금속바에 걸어주는 것만으로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됨은 물론 견실하게 고정이 가능하며, 설치가 매우 쉬워 작업이 보다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지중전선을 상호 연결함에 있어 단순히 후크를 금속바에 걸어주는 것만으로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됨은 물론 견실하게 고정이 가능하며, 설치가 매우 쉬워 작업이 보다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간 연결설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로부터 송전된 고압의 전기는 변전소에서 일정한 크기의 전압으로 변압한 후, 가공배전선 또는 지중배전을 통해 소비지역으로 배전되고, 배전관리는 가공배전선 또는 지중배전선의 배선조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배선조정이 빈번한 대도시 등에서는 공간 활용의 개선과 배선 조정 및 관리의 용이성을 위해 지중배전선로 방식을 택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리고, 지중배전선로를 구축 및 설계함에 있어 배선조정은 지중배전선 간에 연결설치대(또는 접속기구)를 매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결설치대는 지중배전선을 다른 지중배전선과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한다.
일반적인 연결설치대는 지중배전선의 전극체와 연결된 양쪽의 연결단자를 서로 접속시켜서 접속기구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고, 접속상태가 물리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연결설치대로는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050539호(지중배전선과 배전반의 접속용 어댑터)가 개시되어 있으며, 종래기술은 지중배전선의 전기적인 연결작업과 물리적인 연결작업이 일시에 이루어지면서도 작업자는 물리적인 연결작업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지중배전선의 배선조정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전기적인 연결작업이 수행된 지중배전선은 물리적인 연결작업이 반드시 진행되므로 배선조정작업의 오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지중배전선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접속기구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전기적 연결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제한하였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의 경우 지중(배)전선을 상호 연결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였으며, 구조가 매우 복잡해 제조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중전선 간의 연결작업이 매우 편리하면서도 구조적으로도 단순해 제조가 용이한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간 연결설치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에 형성되고 내부가 상방으로 개방되어 지중전선의 단부에 고정된 후크가 수용되는 제1수용홈, 제1수용홈을 기준으로 전후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홈, 제1수용홈을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형성되어 후크의 지지편이 수용되는 제2수용홈, 제1수용홈과 제2수용홈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턱,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돌기홈으로 구성된 바디와, 돌기홈에 압입고정되는 끼움돌기를 매개로 바디의 상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케이스;
상기 결합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플런지와, 플런지를 상호 연결하고 제1수용홈에 인입되며 후크가 걸리는 금속바와, 플런지로부터 연장되어 금속바에 걸린 후크가 서로 맞대어지게 일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지편으로 구성된 연결부재;
상기 제2수용홈에 삽입되며 커버에 의해 가압되어 제2수용홈에 인입된 후크의 지지편을 밀도록 된 복수의 가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지중전선을 상호 연결함에 있어 단순히 후크를 금속바에 걸어주는 것만으로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됨은 물론 견실하게 고정이 가능하며, 설치가 매우 쉬워 작업이 보다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간 연결설치대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간 연결설치대의 분리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간 연결설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간 연결설치대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간 연결설치대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간 연결설치대의 분리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간 연결설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간 연결설치대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간 연결설치대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간 연결설치대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간 연결설치대의 분리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간 연결설치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간 연결설치대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간 연결설치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지중배전선 간 연결설치대는, 케이스(10)와 연결부재(20) 및 가압스프링(30)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에 의하면 케이스(10)의 내측으로 단부에 후크(1)가 고정된 지중전선(L)이 각각 삽입되어 연결부재(20)를 매개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케이스(10)에 수용된 가압스프링(30)에 의해 후크(1)와 연결부재(20)가 견실하게 고정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작업(예: 전선을 상호 꼬아서 연결하거나, 나사로 각각 조여 고정)없이 지중전선(L)을 케이스(10) 내에 수용시켜 주는 것만으로도 쉽고 간편하게 안정적으로 배전 연결할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먼저, 상기 지중전선(L)은 단부가 지지편(1a)을 갖춘 후크(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압입고정되거나, 별도의 나사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10)는 바디(11)와 커버(12)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내측으로 각각 인입된 지중전선(L)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바디(11)는 대략 직육면체를 이루되, 중앙에는 내부가 상방으로 개방된 제1수용홈(11a)이 형성되고, 제1수용홈(11a)을 기준으로 전후에는 결합홈(11b)이 형성되며, 제1수용홈(11a)을 기준으로 좌우에는 제2수용홈(11c)이 형성되며, 제1수용홈(11a)과 제2수용홈(11c)에는 지지턱(11d)가 형성되며, 바디(11)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돌기홈(11e)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수용홈(11a)에는 연결부재(20)의 금속바(22)와 탄지편(23) 및 지중전선(L)의 단부에 고정된 후크(1)가 수용되고, 결합홈(11b)에는 연결부재(20)의 플런지(21)가 삽탈가능하게 수용되며, 제2수용홈(11c)에는 후크(1)의 지지편(1a) 및 가압스프링(30)이 수용된다.
또한, 상기 지지턱(11d)은 제2수용홈(11c)에 수용된 가압스프링(30)이 커버(12)에 의해 가압되어 눌려질 때 가압스프링(30)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커버(12)는 바디(11)의 상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바디(11)의 돌기홈(11e)에 커버(12)의 하면에 형성된 끼움돌기(12a)가 압입고정되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바디(11)와 커버(12)를 상호 고정한 다음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결속수단(B:고무밴드, 타이밴드, 벨크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20)는 플런지(21)와 금속바(22) 및 탄지편(23)으로 구성된 전도성재질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바디(11)에 착탈가능하게 수용되어 후크(1)를 상호 고정 및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플런지(21)는 사각형상의 편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바디(11)의 결합홈(11b)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압입고정된다.
상기 금속바(22)는 원형의 봉으로서, 플런지(21) 사이에 형성되어 플런지(21)를 상호 연결하며, 바디(11)의 제1수용홈(11a)에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금속바(22)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후크(1)가 각각 걸리게 되며, 이에 따라 후크(1)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탄지편(23)은 판스프링으로서, 플런지(21)에 상호 대향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금속바(22)에는 후크(1)가 각각 걸리게 되는데, 이때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탄지편(23)은 후크(1)로 인해 외측으로 밀리게 되며, 역으로 탄지편(23)은 자체 복원력에 의해 후크(1)를 강하게 밀어 상호 밀착시켜 주게 되므로 금속바(22)에 걸려 있는 후크(1)는 보다 견실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금속바(22)를 따라 후크(1)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금속바(22)와 후크(1) 간에 스파크가 일어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중전선(L)을 상호 연결함에 있어 단순히 후크(1)를 금속바(22)에 걸어주는 것만으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됨과 동시에 견실하게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설치가 매우 쉬워 작업이 보다 편리해지는 부수적인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가압스프링(30)은 단면이 역‘V’자 모양을 갖는 판스프링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바디(11)의 제2수용홈(11c)에 삽입되어 지지턱(11d)과 후크(1)의 지지편(1a) 사이에 배치되며, 커버(12)에 의해 가압되어 후크(1)의 지지편(1a)을 외측으로 밀어주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후크(1)가 금속바(22)에 걸려 탄지편(23)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커버(12)를 덮게 되면, 커버(12)에 의해 가압스프링(30)이 가압되면서 후크(1)의 지지편(1a)을 외측으로 밀리게 되므로 별도의 작업(예: 전선을 상호 꼬아서 연결하거나, 나사로 각각 조여 고정)없이도 후크(1)와 금속바(22) 간에 결속력을 더욱더 견고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스(10)를 구성하는 바디(11)의 제1수용홈(11a)과 결합홈(11b)에 각각 연결부재(20)를 구성하는 금속바(22)와 플런지(21)를 삽입시켜 주며, 바디(11)의 제2수용홈(11c)에는 가압스프링(30)을 삽입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조립한 상태에서 지중전선(L)의 단부에 고정된 지지편(1a)을 갖춘 후크(1)를 각각 금속바(22)에 걸어 주면 된다.
이때, 상기 후크(1)를 금속바(22)에 걸어 연결하는 과정에 탄지편(23)은 후크(1)에 의해 가압되며, 역으로 가압된 탄지편(23)은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후크(1)를 가압하게 됨에 따라 후크(1)는 서로 밀착된 구조를 이루게 되며, 이에 의해 후크(1)는 금속바(22)에 보다 견실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후크(1)를 금속바(22)에 걸어주는 과정에 후크(1)의 지지편(1a)은 바디(11)의 제2수용부(11c)에 수용된다.
상기와 같이, 바디(11)의 내부에 지중전선(L)을 수용시켜 준 상태에서 바디(11)의 상면으로 커버(12)를 덮어주면 케이스(10)가 완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12)가 바디(11)의 상면에 고정되는 과정에 상부로 돌출된 가압스프링(30)이 커버(12)에 의해 눌려지게 되고, 이에 의해 가압스프링(30)이 펴지면서 지지턱(11d)과 지지편(1a)을 강하게 밀게 되면서 후크(1)와 금속바(22) 간에 결속력을 더욱더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작업(예: 전선을 상호 꼬아서 연결하거나, 나사로 각각 조여 고정)없이도 후크(1)와 금속바(22) 간에 결속력을 크게 강화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바디(11)와 커버(12)가 상호 고정되면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결속수단(B:고무밴드, 타이밴드, 벨크로 등)을 이용해 한번 더 고정해주면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지중전선(L)을 상호 연결함에 있어 단순히 후크(1)를 금속바(22)에 걸어주는 것만으로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됨은 물론 견실하게 고정이 가능하며, 설치가 매우 쉬워 작업이 보다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후크 1a: 지지편 L: 지중전선
10: 케이스 11: 바디 11a: 제1수용홈
11b: 결합홈 11c: 제2수용홈 11d: 지지턱
11e: 돌기홈 12: 커버 12a: 끼움돌기
20: 연결부재 21: 플런지 22: 금속바
23: 탄지편 30: 가압스프링
10: 케이스 11: 바디 11a: 제1수용홈
11b: 결합홈 11c: 제2수용홈 11d: 지지턱
11e: 돌기홈 12: 커버 12a: 끼움돌기
20: 연결부재 21: 플런지 22: 금속바
23: 탄지편 30: 가압스프링
Claims (1)
- 중앙에 형성되고 내부가 상방으로 개방되어 지중전선(L)의 단부에 고정된 후크(1)가 수용되는 제1수용홈(11a), 제1수용홈(11a)을 기준으로 전후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홈(11b), 제1수용홈(11a)을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형성되어 후크(1)의 지지편(1a)이 수용되는 제2수용홈(11c), 제1수용홈(11a)과 제2수용홈(11c)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턱(11d),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돌기홈(11e)으로 구성된 바디(11)와, 돌기홈(11e)에 압입고정되는 끼움돌기(12a)를 매개로 바디(11)의 상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12)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케이스(10);
상기 결합홈(11b)에 끼워져 고정되는 플런지(21)와, 플런지(21)를 상호 연결하고 제1수용홈(11a)에 인입되며 후크(1)가 걸리는 금속바(22)와, 플런지(21)로부터 연장되어 금속바(22)에 걸린 후크(1)가 서로 맞대어지게 일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지편(23)으로 구성된 연결부재(20);
상기 제2수용홈(11c)에 삽입되며 커버(12)에 의해 가압되어 제2수용홈(11c)에 인입된 후크(1)의 지지편(1a)를 밀도록 된 복수의 가압스프링(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간 연결설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8272A KR101627265B1 (ko) | 2015-11-11 | 2015-11-11 |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간 연결설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8272A KR101627265B1 (ko) | 2015-11-11 | 2015-11-11 |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간 연결설치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7265B1 true KR101627265B1 (ko) | 2016-06-09 |
Family
ID=56139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8272A KR101627265B1 (ko) | 2015-11-11 | 2015-11-11 |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간 연결설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726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4841B1 (ko) * | 2018-10-04 | 2019-03-06 | (주)하나엔지니어링 | 지중배전선 접속전용 커넥터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21193A (ko) * | 2003-01-29 | 2003-03-12 | 제일이.엔.피(주) | 조립식 배전반 |
KR20100001710U (ko) * | 2008-08-07 | 2010-02-18 | (주)신화이앤에프 |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의 회전관절구조 |
JP2010092697A (ja) * | 2008-10-07 | 2010-04-22 | Sumitomo Wiring Syst Ltd | バッテリへの端子接続構造 |
KR101050539B1 (ko) | 2011-03-18 | 2011-07-20 | 주식회사 유신 | 지중배전선과 배전반의 접속용 어댑터 |
KR20150100273A (ko) * | 2014-02-25 | 2015-09-02 | 주식회사 엘스콤 | 배전반 버킷의 부스바 커넥터용 콘택트 |
-
2015
- 2015-11-11 KR KR1020150158272A patent/KR10162726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21193A (ko) * | 2003-01-29 | 2003-03-12 | 제일이.엔.피(주) | 조립식 배전반 |
KR20100001710U (ko) * | 2008-08-07 | 2010-02-18 | (주)신화이앤에프 |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의 회전관절구조 |
JP2010092697A (ja) * | 2008-10-07 | 2010-04-22 | Sumitomo Wiring Syst Ltd | バッテリへの端子接続構造 |
KR101050539B1 (ko) | 2011-03-18 | 2011-07-20 | 주식회사 유신 | 지중배전선과 배전반의 접속용 어댑터 |
KR20150100273A (ko) * | 2014-02-25 | 2015-09-02 | 주식회사 엘스콤 | 배전반 버킷의 부스바 커넥터용 콘택트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4841B1 (ko) * | 2018-10-04 | 2019-03-06 | (주)하나엔지니어링 | 지중배전선 접속전용 커넥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890940C (en) | Electrical receptacle assembly with housing | |
KR101625079B1 (ko) | 전원공급제어를 위한 공동주택의 배전함 | |
US7294017B2 (en) | Electrical receptacle and junction box free of wire-nuts | |
US9484682B2 (en) | USB socket | |
KR101884644B1 (ko) | 연결 커넥터를 구비한 조명레일 시스템 | |
CN108258553B (zh) | 一种转接器及转接器总成 | |
US20210305827A1 (en) | Charger | |
US20060216988A1 (en) | Electrical receptacle and junction box free of wire-nuts | |
US8647131B1 (en) | Electrical cord with replaceable plugs | |
KR101627265B1 (ko) |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간 연결설치대 | |
RU2388120C2 (ru) | Компонент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коробки и безвинтовой соединитель | |
CN103368119A (zh) | 母线槽插孔装置 | |
KR101543741B1 (ko) | 전원분배용 터미널 블럭 | |
KR101670347B1 (ko) |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 | |
RU2540120C2 (ru) | Электрическое инстал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крытой проводки с распорками | |
KR101573066B1 (ko) | 배전반 및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장치 | |
KR200444180Y1 (ko) | 전기 플러그 | |
CN201319456Y (zh) | 电插座盒 | |
CN210156269U (zh) | 一种开关 | |
CN114498855A (zh) | 一种耐用型车载充电器 | |
US3458679A (en) | Plug-in receptacle for a circuit selector switch | |
KR200485044Y1 (ko) | 단일단자형 전기플러그와 콘센트를 구비한 전원연결장치 | |
IT201900005606A1 (it) | Frutto elettrico multipresa | |
KR200387831Y1 (ko) | 콘센트 | |
CN210779343U (zh) | 一种插座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