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965B1 - 방수시트 점융착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방수시트 점융착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965B1
KR101572965B1 KR1020130114719A KR20130114719A KR101572965B1 KR 101572965 B1 KR101572965 B1 KR 101572965B1 KR 1020130114719 A KR1020130114719 A KR 1020130114719A KR 20130114719 A KR20130114719 A KR 20130114719A KR 101572965 B1 KR101572965 B1 KR 101572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nonwoven fabric
waterproof film
waterproof
cam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4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4524A (ko
Inventor
석태용
Original Assignee
영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4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965B1/ko
Publication of KR20150034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시트의 점융착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직포와 방수필름을 정확하게 점융착 시킬 수 있도록 방수필름의 일측면부에만 열을 공급하여 용융시킬 수 있어 점융착시 부직포가 우는 현상을 방지함과 정확하게 점융착할 수 있는 방수시트 점융착 제조장치는 부직포가 안치된 부직포공급롤러와 PVC, EVA, ECB 재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방수필름으로 압출하는 방수필름인발기와 상기 방수필름인발기의 전방에는 용융된 방수필름을 냉각압착시키는 압착냉각롤러와 상기 압착냉각롤러를 통해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방수필름의 일측면부에만 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면상발열체가 외주면에 설치되고, 측면에는 캠홈이 형성되며 상기 캠홈의 중심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축이 구비된 면열공급기와 상기 면열공급기로 부터 열을 받아 일측면부가 용융된 방수필름과 상기 부직포 공급롤러로 부터 공급받는 부직포를 부분압착시킬 수 있도록 일측면에는 돌기가 형성된 부분가압롤러와 상기 면열공급기의 캠홈이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는 이동롤러가 구비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부분가압롤러의 측면에 연결된 링크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면열공급기의 축에 연결되어 상, 하 이동시 지지함과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부가 설치된 수직장치와 상기 부분가압롤러에 의해 부분 융착된 방수시트를 권취하는 권취롤러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점융착 제조장치.

Description

방수시트 점융착 제조장치 {Fusion manufacturing device of waterproof sheet}
본 발명은 방수시트의 점융착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직포와 방수필름을 정확하게 점융착시킬 수 있도록 방수필름의 일측면부에만 열을 공급하여 용융시킬 수 있어 점융착시 부직포가 우는 현상을 방지함과 정확하게 점융착할 수 있는 방수시트 점융착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수시트는 방수처리가 필요한 터널공사, 수처리시설 또는 수로 등의 방수처리하기 위해 방수성을 갖는 합성수지시트와, 상기 합성수지시트를 벽면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부직포가 적층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공은 현장에서 부직포의 시공 후 합성수지시트를 적층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수시트가 적층구조를 이루기 위해서는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열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합하거나 란텔등을 이용하여 벽면에 부착하며, 이렇게 제작되는 방수시트는 필요에 따라 일정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하게된다.
따라서, 방수시트를 연결할 때, 길이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접합이 가능하나 길이 방향으로 방수시트를 접합할 때는 이미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접합부위를 제거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접착부위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방수시트 및 부직포의 파손에 의해 시공 후 누수가 발생하는 등 불량시공의 원인 되기도 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방수시트의 가로 세로에 관계없이 연결이 가능하도록 점 융착되어 다수개의 융착이 일정간격으로 반복 성형되어 방수시트 제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폭의 부직포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부직포 공급기(112)와, 상기 부직포 공급기(112)에서 공급되는 부직포의 일면 중앙에 고정부재의 일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되도록 재봉하는 재봉장치(110)와, 부직포와 고정부재가 재봉장치를 통해 공급될 때 이에 대응하도록 합성수지시트(121)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합성수지시트 공급기(120)로 이루어진 공급부(100)와 상기 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부직포(114)와 합성수지시트(121)가 압착롤러(230)(240)에 압착되기 직전 열풍에 의해 형상에 변화가 생기지 않는 범위내에서 용융되며, 용융된 합성수지시트와 부직포(114)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압착롤러(230)(240)에 의해 각각의 진행 방향으로 일정간격 마다 점 융착되는 융착점을 형성되도록 한 열풍 융착부(200)와; 상기 열풍 융착부(200)를 통과한 방수시트(1)의 융착점(10)을 공냉시킬 수 있도록 하며, 부직포(114)와 합성수지시트(121)가 점 융착되어 이루어진 방수시트(1)를 일정한 속도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정체기(300)와; 상기 각각의 공정에서 작동상 오류가 발생할 경우 각각의 동작부의 작동을 제어 할 수 있는 안전장치(40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와 같이 방수시트의 점융착 장치는 열풍 융착부에 의해 부직포와 합성수지시트의 서로 대응되는 부분에 열풍으로 부직포 일측면과 합성수지시트 일측면을 녹여 상기 압축롤러에 의해 융착되어 점융착 방수시트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부직포와 합성수지시트가 서로 대응되는 곳에 동일한 열풍을 공급하여 융착시 합성수지시트의 점도에 의해 눌러 붙어 정확한 크기로 융착되지 않고, 융착되는 온도가 외주로 갈수록 그 온도가 떨어지거나 넓게 형성되어 부직포가 우는 형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0314731호.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직포와 합성수지시트(방수필름)를 정확한 위치에 점융착 시킬 수 있도록 합성수지시트(방수필름)의 일측면부에만 열을 공급하여 용융시켜 정확하게 부직포와 합성수지시트(방수필름)를 융착 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융착시 부직포가 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시트 점융착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직포가 안치된 부직포공급롤러와 PVC, EVA, ECB 재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방수필름으로 압출하는 방수필름인발기와 상기 방수필름인발기의 전방에는 용융된 방수필름을 냉각압착시키는 압착냉각롤러와 상기 압착냉각롤러를 통해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방수필름의 일측면부에만 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면상발열체가 외주면에 설치되고, 측면에는 캠홈이 형성되며 상기 캠홈의 중심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축이 구비된 면열공급기와 상기 면열공급기로 부터 열을 받아 일측면부가 용융된 방수필름과 상기 부직포 공급롤러로 부터 공급받는 부직포를 부분압착시킬 수 있도록 일측면에는 돌기가 형성된 부분가압롤러와 상기 면열공급기의 캠홈이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는 이동롤러가 구비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부분가압롤러의 측면에 연결된 링크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면열공급기의 축에 연결되어 상, 하 이동시 지지함과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부가 설치된 수직장치와 상기 부분가압롤러에 의해 부분 융착된 방수시트를 권취하는 권취롤러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수시트 점융착 제조장치는 부직포와 방수필름을 정확하게 점융착 시킬 수 있도록 방수필름의 일측면부에만 열을 공급한 면열공급기에 의해 방수필름의 일측면부만을 용융시켜, 점융착시 부직포가 우는 현상을 방지함과 정확하게 부직포와 방수필름을 점융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수시트 점융착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수시트 점융착 제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면열공급기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면열공급기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부분가압롤러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6a, 6b는 본 발명의 방수시트 점융착 제조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방수시트 점융착 제조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수시트 점융착 제조장치(1)는 부직포가 안치된 부직포공급롤러(10)와 PVC, EVA, ECB 재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방수필름(T1)으로 압출하는 방수필름인발기(20)와 상기 방수필름인발기(20)의 전방에는 용융된 방수필름(T1)을 냉각압착시키는 압착냉각롤러(30)와 상기 압착냉각롤러(30)를 통해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방수필름(T1)의 일측면부에만 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면상발열체(42)가 외주면에 설치되고, 측면에는 캠홈(46)이 형성되며 상기 캠홈(46)의 중심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축(47)이 구비된 면열공급기(40)와 상기 면열공급기(40)로 부터 열을 받아 일측면부가 용융된 방수필름(T1)과 상기 부직포 공급롤러(10)로 부터 공급받는 부직포를 부분압착시킬 수 있도록 일측면에는 돌기(52)가 형성된 부분가압롤러(50)와 상기 면열공급기(40)의 캠홈(46)이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는 이동롤러(74)가 구비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부분가압롤러(50)의 측면에 연결된 링크부재(76)가 설치되며 상기 면열공급기(40)의 축(47)에 연결되어 상, 하 이동시 지지함과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부(77)가 설치된 수직장치(70)와 상기 부분가압롤러(50)에 의해 부분 융착된 방수시트(S)를 권취하는 권취롤러(6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필름인발기(20)는 PVC(Polyvinyl Chloride), EVA(Ethylen Vinyl Acetate), ECB(Ethylene Copolymer Bitumen) 재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방수필름(T1)을 소정의 크기로 용융된 형태로 압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방수필름인발기(20)를 통해 인발된 용융된 방수필름(T1)이 일정한 형태로 냉각되어 압출되도록 냉각 기능이 설치된 압착냉각롤러(30)가 상, 하로 이루어져 방수필름(T1)이 인출된다.
상기와 같이 소정의 크기로 냉각된 방수필름(T1)에 일측면부만을 고온에 열이 가열하여 용융된 형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압착냉각롤러(30)의 후단에는 면열공급기(40)가 설치되되 상기 면열공급기(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필름(T1)의 일측면부만에만 고온에 열을 공급이 용이하도록 면상발열체(4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상기 면열공급기(40)의 면상발열체(42)는 부직포(T2)와 방수필름(T1)을 점융착이 용이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다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필름(T1)의 일측면에 상기 면열공급기(40)의 면상발열체(42)에 의해 용융된 방수필름(T1)에 부직포(T2)를 점융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면열공급기(40)의 후단에 일측면에 돌기(52)가 구비된 부분가압롤러(50)를 설치하여 부직포(T2)와 방수필름(T2)을 가압하여 용융된 방수필름과 부직포를 압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부분가압롤러(50)가 회전하여 돌기(52)가 상기 부직포(T2)와 방수필름(T2)를 부분가압시켜 점융착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면열공급기(40)는 상기 방수필름(T1)의 일측면은 용융되고 타측면은 고체형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압착냉각롤러의 하단롤러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면열공급기(40)의 면상발열체가 방수필름(T1)의 일측면에 열을 전달하여용융되고, 타측면에는 압착냉각롤러(30)의 냉기로 인하여 고체가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부분가압롤러(50) 또한, 상기 압착냉각롤러(30)의 축선상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부직포(T2)와 방수필름(T1)을 가압시 압착냉각롤러(30)의 냉기로 인하여 빠르게 냉각되어 융착된 부분이 우는 현상을 더욱더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부직포(T2)와 용융된 방수필름(T1)을 융착시 보다 용이하게 융착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면열공급기(40)에는 상기 부직포(T2)를 예열하는 열풍기(44)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부직포(T2)와 방수필름(T1)을 융착시 상기 부직포(T2)의 일측면에 열을 공급하여 예열하여 용융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부분가압롤러(50)에 의해 부직포(T2)와 방수필름(T1)을 융착시 더욱더 융착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열풍기(44)는 상기 면열공급기(40)의 면상발열체(42)와 대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부직포(T2)와 방수필름(T1)을 점융착시 보다 용이하게 점융착을 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분가압롤러(50)의 돌기(52)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부직포(T2)와 방수필름(T1)을 점융착시 더욱더 점융착을 증대하기 위해 상기 면열공급기(40)의 양측면에는 상, 하로 이동시키는 수직장치(7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장치(7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공압/유압 실린더(71)의 로드부(72)가 상기 면열공급기(40)의 양측면에 연결결합되어 상기 면열공급기(40)가 상, 하로 이동되어 정확하게 상기 방수필름(T1)에 융착될 부분을 용융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장치(70)가 공압/유압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으나 더욱더 세밀하게 하기 위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면열공급기(40)의 측면에는 캠홈(46)이 형성되고, 상기 캠홈(46)의 중심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축(47)이 형성되며, 상기 면열공급기(40)의 캠홈(46)이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는 이동롤러(74)가 구비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부분가압롤러(50)의 측면에 연결된 링크부재(76)가 설치되고 상기 면열공급기(40)의 축(47)에 연결되어 상, 하 이동시 지지함과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부(77)가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부분가압롤러(50)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면열공급기(40)가 상, 하 이동되어 정확하게 위치를 설정하여 상기 방수필름(T1)에 융착될 부분을 용융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부직포(T2)과 방수필름(T1)을 부분가압롤러(50)로 가압하여 융착시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부분가압롤러(50) 후단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융착된 방수시트(S)의 형상을 유지함과 동시에 융착된 부분을 냉각시킬 수 있는 냉풍기(8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져 완성된 방수시트(S)를 권취롤러(60)에 감을 경우 점융착된 방수시트(S)의 형상을 더욱더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방수시트 점융착 제조장치
10 : 부직포공급롤러 20 : 필름인발기
30 : 압착냉각롤러 40 : 면열공급기
42 : 면상발열체 46 : 캠홈
47 : 축 50 : 부분가압롤러
52 : 돌기 60 : 권취롤러
70 : 수직장치 71 : 실린더
72 : 로드부 74 : 이동롤러
76 : 링크부재 77 : 가이드부
80 : 냉풍기 S : 방수시트
T1 : 방수필름 T2 : 부직포

Claims (5)

  1. 부직포가 안치된 부직포공급롤러와;
    PVC, EVA, ECB 재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방수필름으로 압출하는 방수필름인발기와;
    상기 방수필름인발기의 전방에는 용융된 방수필름을 냉각압착시키는 압착냉각롤러와;
    상기 압착냉각롤러를 통해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방수필름의 일측면부에만 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면상발열체가 외주면에 설치되고, 측면에는 캠홈이 형성되며 상기 캠홈의 중심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축이 구비된 면열공급기와;
    상기 면열공급기로 부터 열을 받아 일측면부가 용융된 방수필름과 상기 부직포 공급롤러로 부터 공급받는 부직포를 부분압착시킬 수 있도록 일측면에는 돌기가 형성된 부분가압롤러와;
    상기 면열공급기의 캠홈이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는 이동롤러가 구비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부분가압롤러의 측면에 연결된 링크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면열공급기의 축에 연결되어 상, 하 이동시 지지함과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부가 설치된 수직장치와;
    상기 부분가압롤러에 의해 부분 융착된 방수시트를 권취하는 권취롤러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점융착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114719A 2013-09-26 2013-09-26 방수시트 점융착 제조장치 KR101572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719A KR101572965B1 (ko) 2013-09-26 2013-09-26 방수시트 점융착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719A KR101572965B1 (ko) 2013-09-26 2013-09-26 방수시트 점융착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524A KR20150034524A (ko) 2015-04-03
KR101572965B1 true KR101572965B1 (ko) 2015-11-30

Family

ID=53031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4719A KR101572965B1 (ko) 2013-09-26 2013-09-26 방수시트 점융착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9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537B1 (ko) * 2016-12-07 2018-06-25 김효술 케이블 보호 유닛 및 그 제조 방법
KR102615613B1 (ko) * 2019-07-24 2023-12-20 김성수 한지느낌을 부여하는 pp시트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731Y1 (ko) * 2003-03-11 2003-05-27 연일화섬공업(주) 방수시트의 점융착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731Y1 (ko) * 2003-03-11 2003-05-27 연일화섬공업(주) 방수시트의 점융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524A (ko) 2015-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83787A1 (en) Method of impulse welding non-waterproof, digitally printable fabrics
JP6031214B1 (ja) 高周波接合で形成されたパターン接合線を有するダウン製品用二重原緞の製造装置
CN205097539U (zh) 一种便携式手持塑料挤压焊枪
JP2000334589A (ja) 溶接方法および装置
KR101572965B1 (ko) 방수시트 점융착 제조장치
CN104275801A (zh) 一种3d打印塑料材料焊接装置
KR100860750B1 (ko) 방수층 보호재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865949B1 (ko) 포대 포장장치
KR20130023343A (ko)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 파이프들을 맞대기 용접하는 방법 및 장치
CN206938006U (zh) 一种塑料件热熔装置
KR20130097264A (ko) 포장공간이 넓게 형성되는 포장용 봉투 및 그 제조방법
CN204222197U (zh) 一种3d打印塑料材料焊接装置
KR20150123441A (ko) 다층 복합 비닐 포대의 제조 장치
KR20120111421A (ko) 필름 접합 장치.
US20120168415A1 (en) Butt-welding and electrofusion joining machine
JP2009012355A (ja) シュリンクラベル又はロールラベルの製袋方法
CN102233675A (zh) 铝塑、全塑复合软管焊接方法
CN106794667B (zh) 填料热结合方法
KR101838192B1 (ko) 합성수지제 부표 열융착 시스템
KR101815221B1 (ko) 무봉제 접합 또는 봉제선 코팅용 장치
KR100785876B1 (ko) 고무시트용 열융착 장치
KR200314731Y1 (ko) 방수시트의 점융착 장치
CN103723546A (zh) 一种自动续膜装置
KR101602815B1 (ko) 광학 시트 제조용 소프트 몰드 및 그 제조 방법
Jones The use of heat sealing, hot air and hot wedge to join textile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