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684B1 - 원목이 부착된 타일 - Google Patents

원목이 부착된 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684B1
KR101572684B1 KR1020140040197A KR20140040197A KR101572684B1 KR 101572684 B1 KR101572684 B1 KR 101572684B1 KR 1020140040197 A KR1020140040197 A KR 1020140040197A KR 20140040197 A KR20140040197 A KR 20140040197A KR 101572684 B1 KR101572684 B1 KR 101572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wall
fixed
front surface
original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6040A (ko
Inventor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이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준 filed Critical 이승준
Priority to KR1020140040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684B1/ko
Publication of KR20150116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wood or with an outer layer of w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5Reflectors for light sources with an elongated shape to cooperate with linea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원목이 부착된 타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원목이 부착된 타일은, 벽체의 외부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고정되며, 기설정된 패턴에 의해 벽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석판과, 상기 석판의 전면에 접착되는 원목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석판의 전면에 원목판을 부착하여 원목판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어 원목판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저비용으로 고급스러운 실내 인테리어를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원목이 부착된 타일{TILE WITH WOOD LINING}
본 발명은 원목이 부착된 타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석판의 전면에 원목판을 부착하여 원목판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어 원목판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저비용으로 고급스러운 실내 인테리어를 연출할 수 있는 원목이 부착된 타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목은 따뜻한 느낌을 주는 친환경 인테리어 자재로서, 특히 아이가 있는 집에서는 아토피 등과 같은 피부질환이나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방지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원목은 고가의 인테리어 자재로서, 이러한 원목을 사용하여 실내 인테리어를 시공하는 경우,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
이에 따라, 인테리어 시공비용을 줄이고자 합판의 외부에 원목의 느낌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티커를 부착하여 사용하였으나, 원목의 외부에 스티커를 부착하는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스티커의 모서리 부분이 벌어지거나 스티커의 일부가 찢어지는 문제점과 스티커가 누렇게 변색되는 경우도 빈번하다.
한편, 원목을 이용하여 적정 강도를 유지해야 하므로 원목의 두께를 두껍게 가공하는데, 이는 곧 인테리어 시공비용의 증가를 야기한다.
또한, 원목은 나무결의 느낌을 실내 분위기 연출에 사용하는데, 특히 옹이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강도가 떨어져 시간이 지남에 따라, 뒤틀림이나 부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3527호(발명의 명칭:커넥터 구조를 갖는 기능성 무기질 마루패널, 공개일자:2013년 04월 30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석판의 전면에 원목판을 부착하여 원목판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어 원목판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저비용으로 고급스러운 실내 인테리어를 연출할 수 있는 원목이 부착된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벽체에 미리 기설치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패턴대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으므로 숙련도가 뛰어나지 않은 일반인도 어렵지 않게 시공할 수 있는 원목이 부착된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석판의 전면에 원목판이 부착됨으로 인하여, 석판에 의해 원목판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원목이 부착된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원목판의 배면에 석판이 부착됨으로 인하여, 원목판에 의해 석판에 균일이 발생되는 경우, 균열이 발생된 석판을 잡아주어 석판이 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원목이 부착된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원목이 부착된 타일은, 벽체의 외부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고정되며, 기설정된 패턴에 의해 벽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석판과, 상기 석판의 전면에 접착되는 원목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목판은 복수개가 상기 석판의 전면에 일정간격 이격 접착되어 상기 복수의 원목판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목판의 배면 일측 또는 양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홈부와, 상기 홈부에는 상기 원목판의 전면으로 간접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재의 양측 단부는, 상기 석판의 조명부재와 또 다른 석판의 조명부재가 서로 접속되도록 하는 접속단자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격 공간에는, 상기 조명부재에서 발산되는 빛을 상기 원목판의 전면으로 반사하는 반사판이 더 포함되며, 상기 반사판은 상기 석판의 전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목판의 전면에 형성된 옹이의 외부를 덮어 보강하는 보강캡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연속되는 수평부로 구성되는 고정브라켓이 포함되며, 상기 석판의 상면은 상기 수평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석판과 상기 벽체 사이에 단열층이 형성되도록 배면의 상면은 상기 수평부에 고정되고, 전면은 상기 석판의 배면에 고정 또는 상기 석판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블럭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벽체에 고정되되, 일부가 벽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연속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고정브라켓이 포함되며, 상기 석판과 상기 벽체 사이에 단열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석판의 배면은 상기 수직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석판의 배면에는 상기 수직부에 연결되는 고정블럭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석판의 전면에 원목판을 부착하여 원목판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어 원목판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저비용으로 고급스러운 실내 인테리어를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벽체에 미리 기설치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패턴대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으므로 숙련도가 뛰어나지 않은 일반인도 어렵지 않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석판의 전면에 원목판이 부착됨으로 인하여, 석판에 의해 원목판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원목판의 배면에 석판이 부착됨으로 인하여, 원목판에 의해 석판에 균일이 발생되는 경우, 균열이 발생된 석판을 잡아주어 석판이 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목이 부착된 타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목이 부착된 타일에 조명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목이 부착된 타일을 벽체에 시공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목이 부착된 타일이 벽체에 시공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목이 부착된 타일이 벽체에 시공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목이 부착된 타일에 조명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배면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목이 부착된 타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판(100)과 원목판(200)이 포함된다.
먼저, 석판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석판(100)은 강도가 우수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비교적 저렴한 돌이나 도자기(고령토, 운모, 황토, 조개, 굴껍질 등의 혼합재)와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대리석이나 화강암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석판(100)은 후술할 원목판이 부착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지 실내로 노출되는 부재가 아니므로 대리석과 같은 고가의 석재보다 돌이나 도자기와 같이 비교적 저렴한 석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석판(100)은 벽체(10)의 외부에 고정수단(300)을 매개로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수단(3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310)과 고정블럭(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정수단(300)은 석판(100)을 벽체(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함으로서, 석판(100)의 배면과 벽체(10)의 외주면 사이에 단열층(20)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단열층(20)은 특히, 겨울철에 벽체(10)로부터 실내로 냉기가 유입되는 것을 일정 부분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고정브라켓(3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에 수직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수직부(311)와, 이 수직부(311)에서 수평하게 연속형성되는 수평부(312)로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브라켓(310)은 대체로 "ㄴ"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평부(312)에는 소정의 두께(예:10~30mm)를 갖는 고정블럭(320)의 상면이 체결수단(예:볼트, 핀, 앙카 등)이나 접착수단(예:본드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블럭(320)의 전면은 석판(100)의 배면에 상술한 체결수단이나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블럭(320)의 배면은 벽체(1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 고정블럭(320)은 석판(100)의 배면에 일체로 제작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블럭(320)이 석판(100)과 일체로 제작되는 경우, 접착부위가 생략될 수 있어 응력이 집중되는 부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브라켓(3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312)는 벽체(10)에 일부 노출되도록 고정되고, 이 수평부(312)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연속형성되는 수직부(311)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직부(311)에는 체결수단 또는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석판의 배면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평부(312)가 벽체(10)의 외부로 일부 노출됨에 따라, 석판(100)과 벽체(10) 사이에는 단열층(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수직부(311)와 석판(100)의 배면이 직접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석판(100)과 벽체 사이에 단열층(20)을 더 두껍게 형성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블럭(320)이 석판(100)에 별도로 또는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원목판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원목판(200)은 원목을 가공하여 제작하는 부재로서, 이러한 원목판(200)은 예컨대, 상술한 석판(100)의 전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목판(200)은 폭방향의 뒤틀림이 발생되는 것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석판(100)에 비해 작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원목판(200)은 석판(100)의 전면에 복수개가 접착될 수 있으며, 석판(100) 1개당 접착되는 원목판(200)의 갯수는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와 같은 원목판(200)은 원목을 가공하여 제작됨으로 인하여, 나무의 결이 전면에 노출되는데, 특히, 옹이 부분은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하다.
여기서, 옹이란, 나무줄기(樹幹)조직이 성장함에 따라 나무의 몸에 박힌 나뭇가지의 그루터기나 그것이 자란 자리를 말한다.
이러한 옹이의 종류에는 생절, 사절, 부절, 발절 등이 있으며, 이는 목재를 가공할 때 반발(反發)하거나 또는 이용할 때 결점(缺點)이 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옹이의 외부를 덮는 크기를 갖는 금속재질 또는 강화플라스틱 재질의 보강캡(30)을 강제 삽입하여 옹이 부분이 부패되는 등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보강캡(30)의 외주면을 예컨대,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도색하거나, 유광, 형광 또는 야광물질을 포함하는 도료를 이용하여 칠하는 경우, 인테리어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캡(30)이 금속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자석 등을 이용하여 게시판을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보강캡(30)에 조명을 설치하는 등 다양한 실내 분위기 연출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캡(30)은 옹이의 느낌을 그대로 살릴 수 있도록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복수의 원목판(200)은 상술한 석판(100)의 전면에 일정간격(예:약 10mm) 이격 접착되어 복수의 원목판(200)들 사이에 이격 공간(201)이 형성되도록 하며, 이러한 이격 공간(201)을 통해 간접 조명의 효과를 연출할 수도 있다.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목판(200)의 배면 일측 또는 양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홈부(21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홈부(210)에는 조명부재(220)(예:LED)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홈부(210)에 설치된 조명부재(220)는 이웃한 또 다른 원목판의 배면에 설치된 조명부재와 접속단자(221)를 매개로 서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을 기설정된 패턴에 의해 벽체의 외부에 시공되는 경우, 예컨대, 최상측 또는 최하측에 위치한 조명부재에 전원을 연결하면 동일 선상(상하방향)에 연결된 조명부재들 모두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원목판(200)들이 이격되면서 형성된 공간, 즉, 이격 공간(201)에는 조명부재(220)에서 석판(100)을 향해 발산되는 빛을 이격 공간을 통해 실내측으로 반사하는 반사판(2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반사판(230)은 석판(100)의 전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사판(230)의 외부에는 다양한 색상(예:은색, 노란색, 빨간색, 파란색 등)의 반사지를 코팅하여 실내측으로 은은하고 다양한 색상의 간접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도 3을 참조하여 벽체에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시공자는 벽체(10)의 외부에 고정수단(300)을 설치하는데, 고정수단(300)의 설치시, 석판(100)의 크기를 고려하여 석판(100)이 될 위치를 볼펜 등의 표시수단을 이용하여 별도로 표시한다.
이후, 시공자는 본 발명을 바닥면(11)에서부터 설치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311)를 벽체(10)에 고정하고, 수평부(312)와 고정블럭(320)을 연결하여 석판(100)을 벽체(10)의 외부에 고정시킨다.
이후, 동일한 방법으로 차곡차곡 시공하되, 조명부재(220)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한다.
또한, 시공자는 옹이 부분에 보강캡(30)을 설치할 수 있는데, 보강캡(30)은 초기 시공시에 설치할 수 있으나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옹이 부분에 균열이 생기거나 보강이 필요할 때 설치할 수도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석판(100)의 전면에 원목판(200)이 부착됨으로서, 원목판(200)을 얇게 제작되어도 원목판(200)의 뒤틀림이 석판(100)에 의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원목판(200)이 실내로 노출됨으로 인하여 원목 고유의 따뜻한 느낌을 그대로 살릴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석판(100)에 균열이 발생되더라도 원목판(200)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석판(100)이 쪼개지는 완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캡(30)에 의하여 옹이 부분이 보강되고, 간접조명에 의해 다양한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고정수단(300)을 벽체에 설치한 후, 고정수단(300)에 석판(100)을 연결하는 간단한 설치방법으로 인하여, 숙련도가 떨어지는 일반인도 손쉽게 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벽체 11-바닥면
20-단열층 30-보강캡
100-석판
200-원목판 201-이격 공간
210-홈부 220-조명부재
221-접속단자 230-반사판
300-고정수단 310-고정브라켓
311-수직부 312-수평부
320-고정블럭

Claims (10)

  1. 벽체의 외부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고정되며, 기설정된 패턴에 의해 벽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석판과,
    상기 석판의 전면에 접착되는 원목판이 포함되며,
    상기 원목판은 복수개가 상기 석판의 전면에 일정간격 이격 접착되어 상기 복수의 원목판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원목판의 배면 일측 또는 양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홈부와,
    상기 홈부에는 상기 원목판의 전면으로 간접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이 부착된 타일.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재의 양측 단부는,
    상기 원목판의 조명부재와 또 다른 원목판의 조명부재가 서로 접속되도록 하는 접속단자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이 부착된 타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격 공간에는,
    상기 조명부재에서 발산되는 빛을 상기 원목판의 전면으로 반사하는 반사판이 더 포함되며,
    상기 반사판은 상기 석판의 전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이 부착된 타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목판의 전면에 형성된 옹이의 외부를 덮어 보강하는 보강캡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이 부착된 타일.
  7. 삭제
  8. 벽체의 외부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고정되며, 기설정된 패턴에 의해 벽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석판과,
    상기 석판의 전면에 접착되는 원목판이 포함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연속되는 수평부로 구성되는 고정브라켓이 포함되며,
    상기 석판의 상면은 상기 수평부에 연결되고,
    상기 석판과 상기 벽체 사이에 단열층이 형성되도록 배면의 상면은 상기 수평부에 고정되고, 전면은 상기 석판의 배면에 고정 또는 상기 석판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블럭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이 부착된 타일.
  9. 삭제
  10. 벽체의 외부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고정되며, 기설정된 패턴에 의해 벽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석판과,
    상기 석판의 전면에 접착되는 원목판이 포함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벽체에 고정되되, 일부가 벽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연속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고정브라켓이 포함되며,
    상기 석판과 상기 벽체 사이에 단열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석판의 배면은 상기 수직부에 고정되고,
    상기 석판의 배면에는 상기 수직부에 연결되는 고정블럭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이 부착된 타일.
KR1020140040197A 2014-04-03 2014-04-03 원목이 부착된 타일 KR101572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197A KR101572684B1 (ko) 2014-04-03 2014-04-03 원목이 부착된 타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197A KR101572684B1 (ko) 2014-04-03 2014-04-03 원목이 부착된 타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040A KR20150116040A (ko) 2015-10-15
KR101572684B1 true KR101572684B1 (ko) 2015-11-30

Family

ID=54356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197A KR101572684B1 (ko) 2014-04-03 2014-04-03 원목이 부착된 타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6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213B1 (ko) 2018-02-09 2019-01-30 채승완 건축물 실내마감재 시공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944212B1 (ko) 2018-02-09 2019-01-30 채승완 건축물 실내마감재 시공장치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806B1 (ko) * 2011-04-22 2012-03-23 김세직 석재마감 단열시공방법 및 석재마운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806B1 (ko) * 2011-04-22 2012-03-23 김세직 석재마감 단열시공방법 및 석재마운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213B1 (ko) 2018-02-09 2019-01-30 채승완 건축물 실내마감재 시공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944212B1 (ko) 2018-02-09 2019-01-30 채승완 건축물 실내마감재 시공장치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040A (ko)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69141B1 (en) Tile provided with a lighting element
JP2003528233A (ja) セラミック、木材、プラスチック、天然石もしくは人造石からなる床もしくは壁用上張り材ならびにそのためのタイルもしくはパネル
JP4440637B2 (ja) 壁、パネル、天井、床、または同様の構造物に組み込むための照明装置
EP2856015B1 (en) Light-emitting assembly and light-emitting floor system
US20140085873A1 (en) Style Tyle
KR101572684B1 (ko) 원목이 부착된 타일
JP2018088416A (ja) 発光パネルおよび建築物壁
GB2383406A (en) Edge-lit lighting panel
RU2588790C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KR100772921B1 (ko)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한 발광블럭
ES2309127T3 (es) Placa de construccion para techos, paredes o suelos.
KR100892223B1 (ko) 건축용 패널
RU71666U1 (ru) Светящаяся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CN209942161U (zh) 一种多功能的过道装饰结构
RU107167U1 (ru) Световая плитка
KR20100012737U (ko) 인테리어 장식용 조립판
KR102619245B1 (ko) 천장패널 마감용 히든몰딩
ES1071013U (es) Modulos para aligeramiento de forjados.
KR20190071235A (ko)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65577B1 (ko) 그림이 나타나는 발광석재
ITVR20090137A1 (it) Struttura di pannello luminoso con diffusore di luce in materiale lapideo
CN205502442U (zh) 吊顶天花
TWM497181U (zh) 發光混凝土板
KR20210023040A (ko) 목판 반사부재
KR20140058390A (ko) 건축내외장재용 마감장식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