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2921B1 -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한 발광블럭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한 발광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2921B1
KR100772921B1 KR1020060026572A KR20060026572A KR100772921B1 KR 100772921 B1 KR100772921 B1 KR 100772921B1 KR 1020060026572 A KR1020060026572 A KR 1020060026572A KR 20060026572 A KR20060026572 A KR 20060026572A KR 100772921 B1 KR100772921 B1 KR 100772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block
backlight unit
light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6340A (ko
Inventor
유영호
Original Assignee
화우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우테크놀러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우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6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2921B1/ko
Publication of KR20070096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8Odour seals consisting only of non-return valv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1Odour seals using other sealants than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 및 발광기능이 탁월한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하여 수명과 조도를 현저히 향상시키며, 자외선에 강한 색유리를 스테인드글라스식으로 배설하여 반영구적으로 최초의 고운 색상을 유지하며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하도록 하는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한 발광블럭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발광서브블럭 설치를 위한 삽입공간이 요입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간에서 하방으로 케이블이 관통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베이스블럭과: 상기 베이스블럭의 삽입공간 내에 베이스블럭의 상면과 표층면의 높낮이를 맞추어 설치되는 발광서브블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서브블럭은 일면에 다수의 V홈 또는 요철 돗트 또는 프린팅 돗트 또는 샌딩 요철이 형성되거나 투광판으로 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피씨비와 상기 피씨비 상에 연속설치되는 엘이디램프를 포함하는 발광수단, 상기 엘이디램프의 방열과 피씨비 지지를 위한 프레임 또는 방열판과 도광판의 이면에 구비되는 반사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백라이트 유니트,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 상에 적층되는 투광보호판이 반사/방수/결속기능을 갖는 피복부재에 의하여 둘레가 결속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한 발광블럭{A LIGHTING BLOCK USING BACK LIGHT UNIT}
도 1a는 본 출원인에 의한 선행기술의 백라이트 유니트의 일부 절개 후면도
도 1b는 도 1a의 A-A선 단면 일부 상세도
도 1c는 종래기술 일 실시예의 백라이트 유니트의 단면 일부 상세도
도 1d는 종래기술 일 실시예의 백라이트 유니트의 단면 일부 상세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B부 상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한 발광블럭
10: 베이스블럭 11: 삽입공간 13: 통공
15: 배선홈 20: 발광서브블럭 21: 백라이트 유니트
211: 도광판 212: 발광수단 213: 방열판
214: 반사시트 22: 완충시트 23: 투광보호판
25: 색유리층 27: 피복부재 30: 채움부재
본 발명은 발광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수 및 발광기능이 탁월한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하여 수명과 조도를 현저히 향상시키며, 자외선에 강한 색유리를 스테인드글라스식으로 배설하여 반영구적으로 최초의 고운 색상을 유지하며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하도록 하는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한 발광블럭에 관한 것이다.
지면이나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타일 또는 블럭으로서 발광기능을 갖는 발광타일 또는 발광블럭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발광타일 또는 발광블럭을 묶어서 발광블럭으로 통칭하기로 한다.
발광블럭은 야간의 경관을 아름답게 하는 장식기능과 더불어 주위를 밝혀주는 조명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발광블럭의 종래기술은 표면층에 투광판이 설치된 케이싱 형태로 되고 내부에 형광등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전력공급에 비하여 조도가 떨어지고 방수가 어려우며 내구성이 약하여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근래에 조명 및 광고수단으로 백라이트 유니트가 각광받고 있으며, 본 출원인은 특허등록번호 제10-0557741호("방수 및 3차원 조형이 용이한 백라이트 유니트") 등의 기술을 선출원한 바 있다.
상기 본 출원인에 의한 선행기술의 백라이트 유니트(21)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211)의 요홈(2113)은 도광판 상에서 외부로 통하는 출입구(2115)가 일측 선단에만 형성되고 타측은 막힘단(2116)으로 되어 출입구가 일 개소로 형성되고, 상기 요홈(2113)의 도광판 전방으로 향하는 면에 가림 및 반사용 백색테이프(215)가 설치되며 발광수단(212)이 설치된 후 반사테이프(217) 접착으로 방수마감과 아울러 방열판(213)이 고정되고, 케이블(2125)이 인출되는 상기 출입구(2115)에는 밀폐패킹(218)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백라이트 유니트는 발광수단 설치 요홈(2113)의 출입구(2115)가 일 개소에 그치고 요홈 전체를 밀봉시켜 방수성을 보장함으로써 수명을 극대화하고 수중설치도 가능하며 외부 충격에 강하여 손상 염려가 최소화되는 뛰어난 장점이 있다.
상기 구성 외에도 백라이트 유니트(21)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211)의 일측 선단에 요홈(2113)을 형성하여 발광수단(212)이 설치되는 방열 프레임(216)을 요철결합하여 구성되기도 하고,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211)에 요홈을 형성하지 않고 방열 프레임(216)이 도광판의 선단부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평면유지를 위하여 돌출되는 방열 프레임(216)의 두께에 해당되는 단차부에 보충재(219)를 채우는 타입이 사용되고 있기도 하다.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백라이트 유니트를 응용하여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면 서 보다 밝고 미려하며 내구성이 강한 발광블럭을 만들 수 있다는데 착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수 및 발광기능이 탁월한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하여 수명과 조도를 현저히 향상시키며, 자외선에 강한 색유리를 스테인드글라스식으로 배설하여 반영구적으로 최초의 고운 색상을 유지하며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하도록 하는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한 발광블럭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한 발광블럭은 상부에 발광서브블럭 설치를 위한 삽입공간이 요입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간에서 하방으로 케이블이 관통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베이스블럭과:
상기 베이스블럭의 삽입공간 내에 베이스블럭의 상면과 표층면의 높낮이를 맞추어 설치되는 발광서브블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서브블럭은 일면에 다수의 V홈 또는 요철 돗트 또는 프린팅 돗트 또는 샌딩 요철이 형성되거나 투광판으로 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피씨비와 상기 피씨비 상에 연속설치되는 엘이디램프를 포함하는 발광수단, 상기 엘이디램프의 방열과 피씨비 지지를 위한 프레임 또는 방열판과 도광판의 이면에 구비되는 반사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백라이트 유니트,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 상에 적층되는 투광보호판이 반사/방수/결속기능을 갖는 피복부재에 의하여 둘레가 결속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방수 및 3차원 조형이 용이한 백라이트 유니트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B부 상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한 발광블럭(1)은, 상부에 발광서브블럭 설치를 위한 삽입공간(11)이 요입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간(11)에서 하방으로 케이블이 관통되기 위한 통공(13)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베이스블럭(10)과, 상기 베이스블럭(10)의 삽입공간(11) 내에 베이스블럭의 상면과 표층면의 높낮이를 맞추어 설치되는 발광서브블럭(2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발광서브블럭(20)은 일면에 다수의 V홈(2111) 또는 요철 돗트 또는 프린팅 돗트 또는 샌딩 요철이 형성되거나 투광판으로 되는 도광판(211), 상기 도광판(211)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피씨비(2123)와 상기 피씨비 상에 연속설치되는 엘이디램프(2121)를 포함하는 발광수단(212), 상기 엘이디램프의 방열 및 피씨비 지지를 위한 프레임 또는 방열판(213) 및 도광판(211)의 이면에 구비되는 반사시트(2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백라이트 유니트(21),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21) 상에 적층되는 투광보호판(23)이 반사/방수/결속기능을 갖는 피복부재(27)에 의하여 둘레가 결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도 1a, 도 1b, 도 5 참조).
여기서, 상기 발광서브블럭은 백라이트 유니트(21)와 투광보호판(23) 사이에 완충시트(22)가 적층되고 백라이트 유니트(21) 하방에는 보호시트(2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블럭(10)은 저면과 상기 발광서브블럭 삽입공간(11) 바닥에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 발광수단의 케이블(2125) 배선을 위한 배선홈(15)이 상기 통공(13)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복수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블럭(10)의 삽입공간(11) 바닥에 형성되는 배선홈(15)은 상기 통공으로부터 4방 모서리로 연통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블럭(10)은 통상의 보도블럭의 구성에서 상기 삽입공간 등을 형성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서브블럭(20)은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21)와 투광보호판(23) 사이에 색상이 다른 복수의 색유리가 문양을 이루도록 조합되어 형성되는 색유리층(25)이 배설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발광서브블럭(20)은 보호시트(24), 상기 보호시트(24) 상부에 백라이트 유니트(21),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21) 상부에 완충시트(22), 상기 완충시트(22) 상부에 상기 색유리층(25), 상기 색유리층(25) 상부에 완충시트(22), 상기 완충시트(22) 상부에 상기 투광보호판(23)으로서 강화유리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적층단계마다 상기 피복부재(27)로서 적층이음부 둘레가 이중 결속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시트(22)는 투명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완충시트(22) 및 보호시트(24)는 수지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광서브블럭(20)은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21)와 투광보호판(23) 사이에 컬러이미지가 프린트된 완충시트(22)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 색유리층(25)이 컬러프린트 완충시트로 대체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21)는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는 상기 도광판(211)의 요홈(2113)이 피씨비 설치부가 하나 이상 연통 형성되며 도광판 상에서 외부로 통하는 출입구(2115)가 일측 선단에만 형성되고 타측은 막힘단(2116)으로 되어 출입구가 일 개소로 형성되고, 상기 요홈(2113)의 도광판 전방으로 향하는 면에 가림 및 반사용 백색테이프(215)가 설치되며, 상기 요홈에 발광수단(212)이 설치된 후 반사테이프(217) 접착으로 방수마감과 아울러 방열판(213)이 고정되고, 상기 출입구(2115)에는 밀폐패킹(218)이 구비된다.(도 1a 도 1b, 도 5 참조).
상기 베이스블럭(10)과 발광서브블럭(20)의 둘레 사이에는 발광서브블럭을 베이스블럭에 고착시키며 보행자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면에 요철부(31)가 형성되는 채움부재(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부(31)는 베이스블럭(10) 및 발광서브블럭(20)의 표층에서 미미한 치수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채움부재(30)는 습기나 충격에 강한 실리콘 또는 비철금속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한 발광블럭(1)의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본 발명은 일반 블럭에 삽입공간(11)을 형성하고 여기에 방수 및 발광기능이 탁월한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21)를 이용한 발광서브블럭(20)이 삽입설치됨으로써 발광블럭의 수명과 조도를 현저히 향상시키며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발광서브블럭(20)은 층간에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완층시트(22)가 구비되고 적층이 더해질 때마다 반사/방수/결속 기능을 갖는 백색 반사테이프 및 고강도 테이프를 이용하여 피복코팅이 중첩됨으로써 방수가 면밀하게 이루어져 발광수단(212)이 습해를 당할 염려가 없는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한, 자외선에 강한 색유리를 스테인드글라스식으로 형성하여 투광되도록 배설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최초의 고운 색상을 유지하며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하고, 도로의 가로등을 대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발광블럭은 보도블럭이나 벽체의 모자이크 타일형태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도로의 중앙선으로 배설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 용한 발광블럭은 방수 및 발광기능이 탁월한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하여 수명과 조도를 현저히 향상시키며, 자외선에 강한 색유리를 스테인드글라스식으로 배설하여 반영구적으로 최초의 고운 색상을 유지하며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상부에 발광서브블럭 설치를 위한 삽입공간(11)이 요입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간(11)에서 하방으로 케이블이 관통되기 위한 통공(13)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베이스블럭(10)과:
    상기 베이스블럭(10)의 삽입공간(11) 내에 베이스블럭의 상면과 표층면의 높낮이를 맞추어 설치되는 발광서브블럭(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서브블럭(20)은 일면에 다수의 V홈(2111) 또는 요철 돗트 또는 프린팅 돗트 또는 샌딩 요철이 형성되거나 투광판으로 되는 도광판(211), 상기 도광판(211)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피씨비(2123)와 상기 피씨비 상에 연속설치되는 엘이디램프(2121)를 포함하는 발광수단(212), 상기 엘이디램프의 방열과 피씨비 지지를 위한 프레임 또는 방열판(213)과 도광판(211)의 이면에 구비되는 반사시트(2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백라이트 유니트(21),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21) 상에 적층되는 투광보호판(23)이 반사/방수/결속기능을 갖는 피복부재(27)에 의하여 둘레가 결속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한 발광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서브블럭은 백라이트 유니트(21)와 투광보호판(23) 사이에 완충시트(22)가 적층되고 백라이트 유니트(21) 하방에는 보호시트(24)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한 발광블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블럭(10)은 저면과 상기 발광서브블럭 삽입공간(11) 바닥에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 발광수단의 케이블(2125) 배선을 위한 배선홈(15)이 상기 통공(13)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복수 형성됨을 특징으로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한 발광블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서브블럭(20)은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21)와 투광보호판(23) 사이에 색상이 다른 복수의 색유리로 이루어지는 색유리층(25)이 배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한 발광블럭.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서브블럭(20)은 보호시트(24), 상기 보호시트(24) 상부에 백라이트 유니트(21),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21) 상부에 완충시트(22), 상기 완충시트(22) 상부에 상기 색유리층(25), 상기 색유리층(25) 상부에 완충시트(22), 상기 완충시트(22) 상부에 상기 투광보호판(23)으로서 강화유리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적층단계마다 상기 피복부재(27)로서 적층이음부 둘레가 이중 결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한 발광블럭.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서브블럭(20)은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21)와 투광보호판(23) 사이에 컬러이미지가 프린트된 완충시트(22)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한 발광블럭.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블럭(10)과 발광서브블럭(20)의 둘레 사이에는 발광서브블럭을 베이스블럭에 고착시키며 보행자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면에 요철부(31)가 형성되는 채움부재(3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한 발광블럭.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채움부재(30)는 실리콘 또는 비철금속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한 발광블럭.
KR1020060026572A 2006-03-23 2006-03-23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한 발광블럭 KR100772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572A KR100772921B1 (ko) 2006-03-23 2006-03-23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한 발광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572A KR100772921B1 (ko) 2006-03-23 2006-03-23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한 발광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340A KR20070096340A (ko) 2007-10-02
KR100772921B1 true KR100772921B1 (ko) 2007-11-05

Family

ID=38803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572A KR100772921B1 (ko) 2006-03-23 2006-03-23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한 발광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29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583B1 (ko) * 2014-02-12 2015-02-11 (주) 에스지앤테크 발광형 보도 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947B1 (ko) 2009-05-01 2015-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N109140257B (zh) * 2018-09-10 2020-01-10 东莞钜鼎照明有限公司 一种led灯具
CN110208900A (zh) * 2019-07-03 2019-09-06 南安市贝斯泰石业有限公司 一种可发光的异型复合板及采用该复合板的包和灯饰
CN113985660B (zh) * 2021-11-24 2023-04-11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量子点背光模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55774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583B1 (ko) * 2014-02-12 2015-02-11 (주) 에스지앤테크 발광형 보도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340A (ko) 2007-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921B1 (ko)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한 발광블럭
KR101233408B1 (ko) 광섬유가 설치된 장식용 블록
ITMI20090232A1 (it)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dotato di un componente ottico di propagazione della radiazione luminosa
JP5022860B2 (ja) 演出用照明装置
WO2019161698A1 (zh) 一种石质装饰板
KR200430976Y1 (ko) 조명 기능을 갖는 투명 방음판
JP5761615B2 (ja) 窓構造ユニット
KR20080088703A (ko) 전후면 발광식 입체문자채널 간판
RU162929U1 (ru) Светящаяся плитка
KR101040164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입체발광 사인물
KR20120118967A (ko) 경관 조명용 방수형 풀컬러 엘이디 클러스터
KR200447616Y1 (ko) 방수, 방열 및 이미지 교체가 용이한 발광보드
KR102130164B1 (ko) 고효율, 고시인성을 갖는 led 면조명 교통신호등
KR20120102268A (ko) 이미지 조경 겸용 보도블록
KR101573876B1 (ko) Led 디스플레이 보드
RU107167U1 (ru) Световая плитка
KR102036448B1 (ko) 측면몰딩이 설치되는 발광 석재
KR20100086862A (ko) 바닥용 디자인 블럭
KR20090099598A (ko) 조명등의 바닥 시공 방법
KR101153226B1 (ko) 조명이 가능한 도로 경계석
KR102365577B1 (ko) 그림이 나타나는 발광석재
KR101548098B1 (ko) Led 조명기구
KR102186626B1 (ko) 발광 조명등
RU2769025C1 (ru) Светодиодный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KR102269486B1 (ko) 석재 간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