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040A - 목판 반사부재 - Google Patents

목판 반사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040A
KR20210023040A KR1020190102641A KR20190102641A KR20210023040A KR 20210023040 A KR20210023040 A KR 20210023040A KR 1020190102641 A KR1020190102641 A KR 1020190102641A KR 20190102641 A KR20190102641 A KR 20190102641A KR 20210023040 A KR20210023040 A KR 20210023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ve
board
fabric
present
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옥
Original Assignee
이정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옥 filed Critical 이정옥
Priority to KR1020190102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3040A/ko
Publication of KR20210023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타일에 반사 보드 원단을 접착시켜서 반사 조명 효과를 갖게 하는 목판 반사부재에 관한 것으로, 접착부재를 통해서 건축용 타일에 글라스비드(glass bead)와 플라스틱 메디아(Plastic media)로 구성된 반사 보드 원단을 접착시켜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목판 반사부재{wood plate reflection part}
본 발명은 목판 반사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용 타일에 반사 보드 원단을 접착시켜서 반사 조명 효과를 갖게 하는 목판 반사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타일은 도자기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소정크기로 제조된 후 접착재를 통해 건물의 벽면에 본딩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타일은 주로 욕실과 같이 언제나 습도가 높아 벽지를 바를 수 없는 실내공간의 벽면에 시공하여 물이 벽체의 내부로 침투되지 못하도록 하는데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나 최근에는 인테리어효과를 더하기 위하여 다양한 색상과 모양이 디자인된 타일이 시판되고 있다.
한편, 생활이 풍족해지면서 건강증진에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장식적인 효과는 물론,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8486호 및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1650호에서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기능성 타일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타일들은 단지 기능적인 부분에서만이 충족할 뿐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테리어 효과는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8486호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1650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사 조명 효과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 글라스비드(glass bead)와 플라스틱 메디아(Plastic media)로 구성된 반사 보드 원단을 건축용 타일에 접착시켜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목판 반사부재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판 반사부재은, 접착부재를 통해서 건축용 타일에 글라스비드(glass bead)와 플라스틱 메디아(Plastic media)로 구성된 반사 보드 원단을 접착시켜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사 보드 원단은 가장자리를 덮어 고정시키는 덮개고정부재 통해서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사 보드 원단은 상기 타일의 측면에 구비된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하고 상기 결합홈에 끼워진 끼움고정부재를 통해서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판 반사부재을 이용하게 되면, 반사 조명 효과를 갖는 글라스비드(glass bead)와 플라스틱 메디아(Plastic media)로 구성된 반사 보드 원단을 건축용 타일에 접착시켜 건물 내외벽에 부착시킴으로서 반사 조명에 의한 심미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판 반사부재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판 반사부재을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판 반사부재에서 반사 보드 원단이 고정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판 반사부재에서 반사 보드 원단이 고정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고정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판 반사부재이 건물 벽면에 부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목판 반사부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판 반사부재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판 반사부재을 보인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판 반사부재에서 반사 보드 원단이 고정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판 반사부재에서 반사 보드 원단이 고정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고정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판 반사부재이 건물 벽면에 부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건축용 타일을 건물 벽면(1)에 접착시킬 때에 반사 조명 효과를 갖게 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판 반사부재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재를 통해서 건축용 타일(10)에 글라스비드(glass bead)와 플라스틱 메디아(Plastic media)로 구성된 반사 보드 원단(20)을 접착시켜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접착부재는 미도시되었지만 본드 등의 다양한 형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보드 원단(20)은 다양한 크기의 글라스비드를 혼합 또는 배합하여 형성되는데, 일 실시예로, 상기 반사 보드 원단(20)을 30 마이크론 글라스비드를 특이한 색상의 원단으로 제작한 후 상기 원단에 BT10의 글라스비드 도포되게 형성되도록 한 경우, 빛의 이동거리를 멀게 하면 상기 글라스비드 원단이 주로 반응하여 홀로그램 배경 효과가 나타나고 점차 가까워질수록 BT10의 글라스비드와도 반응하여 반사광이 더욱 3D와 같은 입체 라이트 효과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반사 보드 원단(20)은 입체 형상을 더욱 돋구기 위하여 플라스틱 메디아를 더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라스틱 메디아(Plastic media)란, 상기 글라스비드에 비해 사이즈가 훨씬 크고 가벼운 모래와 같은 형상을 하는 것으로 빛을 입사하게 되면 상기 글라스비드에 비해 확연히 밝고 가장자리에 무지개 띠가 선명하게 나타나는 것을 말하며, 통상 0.15mm ~ 0.99mm의 사이즈를 가지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글라스비드로 제작된 반사 보드 원단(20)의 표면에 입체 형상이 가장 잘 나타나는 플라스틱 메디아의 0.15mm ~ 0.36mm(PB-3)을 입히게 되면 글라스비드 원단에 의해 형성된 빛의 원형 안에 플라스틱 메디아에 의해 형성된 또 다른 원형이 생성되게 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메디아에 상기 글라스비드 원단과 다른 크기 또는 종류의 글라스비드를 혼합한 후 상기 글라스비드 원단의 표면에 입히게 되면 더욱 많은 수의 3D 효과 원형이 형성되어 보다 입체적인 홀로그램 배경을 생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홀로그램 배경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9635호 및 제 10-2018-0096924호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으며, 여기에서는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반사 보드 원단(20)을 타일(20)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식을 명 가지 실시예를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사 보드 원단(20)을 그의 가장자리를 덮어 고정시키는 덮개고정부재(30) 통해서 고정된다.
이때, 상기 덮개고정부재(30)는 꽉 끼이는 형태로 하여 결착되어서 반사 보드 원단(20)이 타일(10)로부터 유동하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사 보드 원단(20)이 타일(10)의 측면에 구비된 결합홈(11)에 삽입되어 결합하고 그 결합홈(11)에 끼워진 끼움고정부재(40)를 통해서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고정부재(40)는 헐거워 빠지지 않도록 결합홈(11)에 꽉 끼이는 형태로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판 반사부재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반사 보드 원단(20)을 타일(10)의 크기에 대응하여 적당한 크기로 자른다.
상기와 같이 잘라진 반사 보드 원단(20)을 접작체를 통해서 떨어지지 않도록 타일(10)의 상부에 접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반사 보드 원단(20)을 타일(1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키도록 하기 위해서 덮개고정부재(30) 또는 끼움고정부재(40)를 통해서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목판 반사부재이 완성이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벽면(1)에 부착시켜서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의 목판 반사부재을 건물 벽면(1)에 부착이 되면 LED와 같은 조명에 의해 반사되어 또는 홀로그램 영상이 생성하여 실내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 건물 벽면
10: 타일 11: 결합홈
20: 반사 보드 원단 30: 덮개고정부재
40: 끼움고정부재

Claims (3)

  1. 접착부재를 통해서 건축용 타일(10)에 글라스비드(glass bead)와 플라스틱 메디아(Plastic media)로 구성된 반사 보드 원단(20)을 접착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판 반사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 보드 원단(20)은 가장자리를 덮어 고정시키는 덮개고정부재(30) 통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판 반사부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 보드 원단(20)은 상기 타일(10)의 측면에 구비된 결합홈(11)에 삽입되어 결합하고 상기 결합홈(11)에 끼워진 끼움고정부재(40)를 통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판 반사부재.

KR1020190102641A 2019-08-21 2019-08-21 목판 반사부재 KR20210023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641A KR20210023040A (ko) 2019-08-21 2019-08-21 목판 반사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641A KR20210023040A (ko) 2019-08-21 2019-08-21 목판 반사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040A true KR20210023040A (ko) 2021-03-04

Family

ID=75174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641A KR20210023040A (ko) 2019-08-21 2019-08-21 목판 반사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30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2435B2 (en) Light transmissive bendable wood panel
US20050257436A1 (en) Removable tile mural
RU2588790C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KR20210023040A (ko) 목판 반사부재
KR20210019334A (ko) 조명 효과 쇼케이스
KR20200130917A (ko) 인테리어용 기능성 타일
KR20210019802A (ko) 4d 구현 기능의 극장용 의자
KR20210015389A (ko) 림버스 연출용 기능성 보드
CN210032415U (zh) 一种建筑墙壁装饰板的发光单元及建筑墙壁装饰板
KR20230030186A (ko) 림버스 조명 연출용 기능성 타일
KR20210134182A (ko) 림버스 조명 연출용 기능성 타일
JP2007331232A (ja) 化粧面材
CN201050158Y (zh) 一种护墙板
CN111173215B (zh) 一种采用灯光装饰的室内背景墙结构及其安装方法
JP6700720B2 (ja) 建材、壁構造及び壁紙施工方法
CN112459408A (zh) 用于暗装式踢脚线安装的胶条
KR101572684B1 (ko) 원목이 부착된 타일
KR101642288B1 (ko) 굴절 및 반사광을 이용한 광 장식 효과를 갖는 천정 조명등용 커버체
CN216868306U (zh) 透光板与暗装光源的衔接结构
US20070082817A1 (en) Photomorphic building materials
JP2007051491A (ja) 採光扉
CN216305272U (zh) 用于暗装式踢脚线安装的胶条
KR200393619Y1 (ko) 장식판이 구비된 도로경계석
US20230366212A1 (en) Tile with imitation grout line
CN103073199A (zh) 装饰夹层玻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