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667B1 - 발광다이오드 칩의 형광체 도포방법 - Google Patents

발광다이오드 칩의 형광체 도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667B1
KR101572667B1 KR1020140042658A KR20140042658A KR101572667B1 KR 101572667 B1 KR101572667 B1 KR 101572667B1 KR 1020140042658 A KR1020140042658 A KR 1020140042658A KR 20140042658 A KR20140042658 A KR 20140042658A KR 101572667 B1 KR101572667 B1 KR 101572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phosphor
adsorption plate
vacuum ad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7374A (ko
Inventor
사기동
김영우
백종협
김근우
송한상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김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김근우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042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667B1/ko
Publication of KR20150117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33/501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e.g. binder
    • H01L33/502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33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2933/0041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relating to 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 칩의 형광체 도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발광다이오드 칩의 형광체 도포면이 하부에 노출되게 메인 진공흡착플레이트의 저면에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 칩을 흡착하는 단계와, 지지필름 상에 메인 진공흡착플레이트에 흡착되어 어레이된 발광다이오드 칩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광체를 스크린 프린팅에 의해 형성하고, 형광체 위에 접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발광다이오드 칩에 접합제를 통해 형광체가 상호 접합되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 칩의 형광체 도포방법에 의하면, 지지필름 상에 스크린 프린팅에 의해 형광체를 발광다이오드 칩의 도포 영역에 대응하여 미리 형성한 다음 발광다이오드 칩들에 접합함으로써 형광체의 불필요한 낭비가 억제되고, 색온도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발광다이오드 칩의 형광체 도포방법{method of coating phosphor on LED chip}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 칩의 형광체 도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형광체의 색온도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 칩의 형광체 도포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전기적인 신호를 빛으로 변화시키는 반도체 발광 소자로서, 다른 발광 장치에 비해 비교적 수명이 길며, 저전압 구동이 가능한 장점을 갖고 있다.
최근 고휘도를 지닌 백색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 장치가 종래의 발광 장치를 대체하여 사용되고 있다. 백색 발광다이오드는 청색이나 자외선 계열의 빛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에 적색, 녹색 또는 황색 등의 형광체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발광다이오드 칩에 대해 형광체를 도포하는 방법으로서, 발광다이오드 칩이 내부에 실장된 패키지 내에 봉지용 수지와 형광체를 혼합한 슬러리 혼합물을 패키지 내에 주입하고 경화시켜 몰딩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슬러리 혼합물을 주입하는 방식은 국내 공개특허 제2012-0128464호에 개시된 형광체 도포장치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그런데, 이러한 몰딩 방식은 패키지 내에 주입되어 경화되는 동안 형광체 입자의 침전에 의해 발광면 또는 제조된 광소자마다 색온도 편차가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형광체가 발광다이오드칩의 주변까지 주입됨으로써 형광체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형광체를 필요한 영역만큼 발광다이오드 칩에 도포하면서도 색온도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 칩의 형광체 도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칩의 형광체 도포방법은 가. 발광다이오드 칩의 형광체 도포면이 하부에 노출되게 메인 진공흡착플레이트의 저면에 다수개의 상기 발광다이오드 칩을 흡착하는 단계와; 나. 지지필름 상에 상기 메인 진공흡착플레이트에 흡착되어 어레이된 상기 발광다이오드 칩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광체를 스크린 프린팅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형광체 위에 접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다. 발광다이오드 칩에 상기 접합제를 통해 상기 형광체가 상호 접합되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라. 상기 다 단계 이후,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칩의 윤곽영역으로 상기 지지필름까지 커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단계는 가-1. 제1보조 진공흡착플레이트의 저면과 대향되게 배치된 캐리어 필름에 형광체 도포면이 상부로 노출되게 어레이된 상기 발광다이오드칩을 상기 제1보조 진공흡착플레이트에 저면에 흡착시키는 단계와; 가-2. 상기 제1보조 진공흡착플레이트의 저면에 상기 메인 진공흡착플레이트를 대향되게 밀접시킨 후 상기 메인 진공흡착플레이트에 흡착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보조 진공흡착플레이트의 흡착력은 제거하는 단계와; 가-3. 상기 메인 진공흡착플레이트를 뒤집어서 상기 지지필름에 대향되게 배열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칩의 형광체 도포방법에 의하면, 지지필름 상에 스크린 프린팅에 의해 형광체를 발광다이오드 칩의 도포 영역에 대응하여 미리 형성한 다음 발광다이오드 칩들에 접합함으로써 형광체의 불필요한 낭비가 억제되고, 색온도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칩의 형광체 도포과정을 나타내 보인 공정도이고,
도 2는 도 1의 형광체 도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플로우에 대응되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캐리어 필름 위에 어레이된 발광다이오드 칩들을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칩의 형광체 도포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칩의 형광체 도포 과정을 나타내 보인 공정도이고, 도 2는 도 1의 형광체 도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플로우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칩의 형광체 도포방법은 먼저, 발광다이오드 칩의 형광체 도포 대상면이 되는 발광면이 하부에 노출되게 메인 진공흡착플레이트의 저면에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 칩을 흡착한다(단계 10).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필름(220) 위에 형광체 도포면이 되는 발광면(210)이 상부로 노출되게 발광다이오드 칩(200)이 어레이되게 준비된 캐리어 필름(220)을 분리 진공흡착 플레이트(312)에 안착시킨다.
여기서 분리 진공흡착 플레이트(312)는 다수의 관통공(314)이 형성되어 있고, 공기의 흡입 및 배출에 의해 표면을 통해 흡착 또는 흡착 해지를 할 수 있는 분리 흡착기(310)에 설치되어 있다.
분리 흡착기(310), 후술되는 제1보조 흡착기(330), 메인 흡착기(350)는 형광체 도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호 정렬 위치에 대향되게 배치 및 상호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에 의해 압착이 가능하고, 정렬위치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수평상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하 역전이 가능하게 프레임에 설치되어 메인 제어기(미도시)에 의해 가동되는 도포 가이드 장치(미도시)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캐리어 필름(220)은 합성수지 소재로 되거나 웨이퍼 기판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고, 발광다이오드 칩(200)들은 미리 설정된 배열 구조로 배열된다.
다음은 분리 진공 흡착 플레이트(312) 위에 설치된 제1보조흡착기(330)의 제1보조 진공흡착플레이트(332)에 대향되게 설치된 캐리어 필름(220)이 제1보조 진공흡착 플레이트(332)와 상호 밀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 다음 제1보조 진공흡착플레이트(332)의 저면에 발광다이오드칩(200)이 흡착되고, 캐리어 필름(220)은 분리 진공 흡착 플레이트(312)에 남겨지도록 분리 흡착기(310)와 보조 흡착기(330)를 동시에 배기공정이 되도록 처리한다.
제1보조 진공흡착플레이트(332)에도 다수의 관통공(334)이 형성되어 공기의 흡입 및 배출에 의해 표면을 통해 흡착 또는 흡착 해지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후, 분리 흡착기(310)는 정렬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즉, 제1보조 진공 흡착 플레이트(332)에 대향되는 영역에서 벗어나도록 이동시킨다.
그리고나서, 분리 흡착기(310) 하부에 있는 메인 흡착기(350)를 제1보조 흡착 플레이트(332)의 저면에 있는 메인 흡착기(350)의 메인 진공흡착플레이트(362)와 대향되게 밀접시킨 후 메인 진공흡착플레이트(362)에 메인 흡착기(350)에 의해 흡착력을 발생시키고, 제1보조 진공흡착플레이트(332)의 흡착력은 제거되게 제1보조 흡착기(330)를 제어한다.
메인 진공 흡착플레이트(362)에도 다수의 관통공(364)이 형성되어 공기의 흡입 및 배출에 의해 표면을 통해 흡착 또는 흡착 해지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과정을 통해 발광다이오드칩(200)들은 메인 진공흡착플레이트(362)로 이동되어 흡착된다.
이후, 메인 진공흡착플레이트(362)를 뒤집어서 발광다이오드 칩(200)이 메인 진공흡착 플레이트(362) 하부에 위치되면서 발광면(210)이 하방으로 노출됨으로써 발광다이오드 칩(200)이 후술되는 지지필름(160)에 대향되게 배열된다.
여기서, 지지필름(160)은 메인 흡착기(350) 하부에 마련된 보조 플레이트(163)위에 안착되며, 형광체를 도포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된다.
지지필름(160)은 실리콘 소재로 시트 형태로 형성된 실리콘 패드를 적용한다.
보조 플레이트(160) 위에 안착된 지지필름(160) 위에 메인 진공흡착플레이트(362)에 흡착되어 어레이된 발광다이오드 칩(200)들의 배열 패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광체(171)를 스크린 프린팅에 의해 형성하고(단계 20), 형광체(171) 위에 접합제(173)를 도포한다(단계 30).
접합제는 통상의 실리콘 봉지제를 적용하면 된다.
다음은 발광다이오드 칩(200)에 접합제(173)를 통해 형광체(171)가 상호 접합되게 보조 플레이트(163)를 향해 메인 진공 흡착플레이트(362)를 하강시키고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도록 한 후 메인 진공 흡착플레이트(362)의 흡착력이 해제되게 메인 흡착기(350)를 제어한 후 상승시켜 지지플름(160)에 형광체(171), 접합제(173)로 형성된 접합층 및 발광다이오드칩(2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접합구조를 형성한다(단계 40).
이후, 각 발광다이오드 칩(200)의 윤곽영역으로 지지필름(160)까지 레이저를 이용하여 커팅하고(단계 50), 메인 진공 흡착플레이트(362)를 하강시켜 발광다이오드 칩(200)을 흡착한 다음 별도의 필름지(미도시)가 안착된 안착플레이트(미도시)를 메인 진공 흡착 플레이트(362) 하부에 대향되에 위치시킨 다음 메인 진공 흡착플레이트(362)의 흡착력을 제거하여 필름지에 형광체(171)가 형성된 발광다이오드칩(200)을 안착시킨다(단계 60).
이러한 발광다이오드 칩(200)의 형광체(171) 도포방법에 의하면, 지지필름(160) 상에 스크린 프린팅에 의해 형광체(171)를 발광다이오드 칩(200)의 도포 영역에 대응하여 미리 형성한 다음 발광다이오드 칩(200)들에 접합함으로써 형광체의 불필요한 낭비가 억제되고, 색온도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71: 형광체 173: 접착제
200: 발광다이오드 칩

Claims (5)

  1. 삭제
  2. 가. 발광다이오드 칩의 형광체 도포면이 하부에 노출되게 메인 진공흡착플레이트의 저면에 다수개의 상기 발광다이오드 칩을 흡착하는 단계와;
    나. 지지필름 상에 상기 메인 진공흡착플레이트에 흡착되어 어레이된 상기 발광다이오드 칩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광체를 스크린 프린팅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형광체 위에 접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다. 발광다이오드 칩에 상기 접합제를 통해 상기 형광체가 상호 접합되게 처리하는 단계와;
    라. 상기 다 단계 이후, 상기 메인 진공흡착플레이트의 흡착력이 해제되게 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칩으로부터 상기 메인 진공흡착플레이트를 이격되게 상승시키고, 상기 발광다이오드칩의 윤곽영역에 해당하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지지필름을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칩의 형광체 도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단계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칩의 형광체 도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필름은 실리콘 소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칩의 형광체 도포방법.
  5. 가. 발광다이오드 칩의 형광체 도포면이 하부에 노출되게 메인 진공흡착플레이트의 저면에 다수개의 상기 발광다이오드 칩을 흡착하는 단계와;
    나. 지지필름 상에 상기 메인 진공흡착플레이트에 흡착되어 어레이된 상기 발광다이오드 칩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광체를 스크린 프린팅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형광체 위에 접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다. 발광다이오드 칩에 상기 접합제를 통해 상기 형광체가 상호 접합되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단계는
    가-1. 제1보조 진공흡착플레이트의 저면과 대향되게 배치된 캐리어 필름에 형광체 도포면이 상부로 노출되게 어레이된 상기 발광다이오드칩을 상기 제1보조 진공흡착플레이트의 저면에 흡착시키는 단계와;
    가-2. 상기 제1보조 진공흡착플레이트의 저면에 상기 메인 진공흡착플레이트를 대향되게 밀접시킨 후 상기 메인 진공흡착플레이트에 흡착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보조 진공흡착플레이트의 흡착력을 제거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칩을 상기 메인 진공흡착플레이트에 흡착하는 단계와;
    가-3. 상기 메인 진공흡착플레이트를 뒤집어서 상기 지지필름에 대향되게 배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칩의 형광체 도포방법.

KR1020140042658A 2014-04-09 2014-04-09 발광다이오드 칩의 형광체 도포방법 KR101572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658A KR101572667B1 (ko) 2014-04-09 2014-04-09 발광다이오드 칩의 형광체 도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658A KR101572667B1 (ko) 2014-04-09 2014-04-09 발광다이오드 칩의 형광체 도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374A KR20150117374A (ko) 2015-10-20
KR101572667B1 true KR101572667B1 (ko) 2015-11-30

Family

ID=54399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658A KR101572667B1 (ko) 2014-04-09 2014-04-09 발광다이오드 칩의 형광체 도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6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49951B (zh) * 2016-11-16 2019-01-04 厦门市三安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发光二极管封装结构的制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8204A (ja) * 2011-12-27 2013-07-11 Advanced Optoelectronic Technology Inc 発光ダイオード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8204A (ja) * 2011-12-27 2013-07-11 Advanced Optoelectronic Technology Inc 発光ダイオード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374A (ko) 201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7497B2 (en) Bonding method of semiconductor chip and bonding apparatus of semiconductor chip
TWI460215B (zh) Resin coating method and resin coating device (2)
TWI463707B (zh) 光電部件製造方法、光電部件製造系統和光電部件
JP6475519B2 (ja) 保護部材の形成方法
US892730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device
US92723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white light-emitting device
JP2006100763A (ja) 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及び接合装置
WO2014002535A1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WO2019009123A1 (ja) 基板処理方法及び基板処理システム
KR101769356B1 (ko) 발광소자에 형광체층을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
CN112802790A (zh) 保护部件的设置方法和保护部件的制造方法
TW201804563A (zh) 支撐體分離裝置及支撐體分離方法
WO2016123948A1 (zh) 封装设备和封装方法
KR101572667B1 (ko) 발광다이오드 칩의 형광체 도포방법
KR102379433B1 (ko) 피가공물의 절삭 가공 방법
EP247724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positing Phosphor o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JP6184717B2 (ja) ウェーハ貼着装置
KR101645329B1 (ko) 형광수지 성형 베이스몰드를 이용하는 발광다이오드 장치 제조방법
JP6472666B2 (ja) 板状ワークの保持方法
KR102477355B1 (ko) 캐리어 기판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장치
JP2018067586A (ja) ウエーハの樹脂被覆方法
WO2015087763A1 (ja) 封止シート貼付け方法
KR101813896B1 (ko) 임프린트 장치
KR101633872B1 (ko) 형광체 시트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소자 제조방법
US11865634B2 (en) Processing method of workpie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