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465B1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465B1
KR101572465B1 KR1020147021461A KR20147021461A KR101572465B1 KR 101572465 B1 KR101572465 B1 KR 101572465B1 KR 1020147021461 A KR1020147021461 A KR 1020147021461A KR 20147021461 A KR20147021461 A KR 20147021461A KR 101572465 B1 KR101572465 B1 KR 101572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oil tank
vehicle body
engaging member
out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1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사나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to KR1020147021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08Improving mounting or assembling, e.g. frame elements, disposition of all the components on the super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유압 셔블은, 차체 프레임과, 작동유 탱크 커버와, 걸림 부재와, 삽입판과, 피걸림 부재와, 받이부와, 볼트를 구비하고 있다. 작동유 탱크 커버는, 차체 프레임의 측면을 덮는다. 걸림 부재는,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장착된 장착 상태에서, 작동유 탱크 커버의 배면측에서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삽입판은, 차체 프레임에 대한 장착 상태에서, 작동유 탱크 커버의 배면측에서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피걸림 부재는, 차체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고, 걸림 부재가 걸려, 작동유 탱크 커버를 지지한다. 받이부는, 차체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고, 삽입판이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삽입된다. 고정부는, 장착 상태에서, 상면에서 볼 때 외장 커버의 상단부보다 차체 내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걸림 부재를 피걸림 부재에 고정시킨다.

Description

작업 차량{WORK VEHICLE}
본 발명은,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유압 셔블(hydraulic shovel) 등의 작업 차량에서는, 상부 선회체(旋回體)를구성하는 차체 프레임 상에, 엔진, 연료 탱크, 작동유 탱크 등이 배치되고, 그 측면에, 복수의 커버 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커버 부재는, 유압 셔블의 외장(外裝) 부분을 형성하므로, 단차(段差)가 없는 상태로 플랫으로 배치될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커버 부재 등의 조립 작업을 건설 기계의 기체(機體) 상과는 다른 장소에서 행할 수 있도록, 커버 지지체를 커버가 장착된 상태로 기체에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건설 기계의 커버 구조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1998―8499호 공보(헤이세이 10년 1월 13일 공개)
상기 공보에 개시된 건설 기계의 커버 구조에서는, 미리 커버 지지체에 커버 등이 조 찾아낼 수 있었던 상태로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착 구조에서는, 차체 프레임에 대한 커버 지지체의 장착 위치에 작업자가 액세스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기 쉽다. 특히, 커버 부재가 개폐 불가능한 것인 경우에는, 그장착 작업이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개폐 불가능한 커버 부재의 장착을 용이하고 또한 양호한 정밀도로 행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1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차체 프레임과, 외장 커버와, 걸림 부재(latching member)와, 삽입판과, 피(被)걸림 부재와, 받이부(receiver)와, 고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외장 커버는, 차체 프레임의 측면을 덮는다. 걸림 부재는, 외장 커버가 차체 프레임에 장착된 장착 상태에서, 외장 커버의 배면측에서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삽입판은, 장착 상태에서, 외장 커버의 배면측에서의 하부에 설치되고, 아래쪽을 향해 신장된다. 피걸림 부재는, 차체 프레임 상에 탑재된 차량탑재 구조물에 설치되고, 걸림 부재를 고정시킨다. 받이부는, 차체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고, 삽입판이 삽입된다. 고정부는, 장착 상태에서, 상면에서 볼 때 외장 커버의 상단부보다 차체 내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걸림 부재를 피걸림 부재에 고정시킨다.
여기서는, 차체 프레임의 측면이 복수의 외장 커버에 의해 덮히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외장 커버의 배면측에 설치된 걸림 부재와 걸림 부재의 아래쪽에 설치된 삽입판을 사용하여,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외장 커버를 장착한다.
여기서, 걸림 부재는, 차체 프레임측에 설치된 피걸림 부재에 대하여 걸림으로써, 외장 커버가 지지된다. 삽입판은, 차체 프레임측에 설치된 받이부에 대하여, 위쪽으로부터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꽂아진다. 그리고, 걸림 부재를 피걸림 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상면에서 볼 때 외장 커버의 상단부보다 차체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외장 커버를 장착할 때는, 외장 커버의 배면측에서의 아래쪽에 설치된 삽입판을, 차체 프레임측에 설치된 받이부에 꽂는 동시에, 외장 커버의 배면측에 있어서 삽입판보다 위쪽에 설치된 걸림 부재를, 차체 프레임측의 피걸림 부재에 걸리게 함으로써, 외장 커버를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가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 부재를 피걸림 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상면에서 볼 때 외장 커버의 상단부보다 차체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의 손 또는 공구 등을 사용하여, 걸림 부재를 피걸림 부재에 대하여 볼트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외장 패널의 배면측에서의 아래쪽의 위치에는, 외부로부터 액세스하기 어렵기는 하지만, 삽입판과 받이부가 볼트 등을 사용한 고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삽입할 뿐인 고정 방법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위쪽에 배치된 걸림 부재와 피걸림 부재만을 볼트 등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외장 패널을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용이하고 또한 양호한 정밀도로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1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으로서, 엔진과, 엔진에 대하여 공급되는 연료를 저류(貯留)하는 연료 탱크와, 연료 탱크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작업기에 대하여 공급되는 작동유를 저류하는 작동유 탱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외장 커버는, 차체 프레임 상에 배치된 작동유 탱크를 덮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피걸림 부재는, 연료 탱크에서의 작동유 탱크측의 면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는, 외장 커버가 작동유 탱크의 측방을 덮는 위치에 장착되는 구성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의 외측 에지를 따라 작동유 탱크에 인접 배치된 연료 탱크의 인접면에, 피걸림 부재를 설치하고 있다.
이로써, 차체 프레임측에 피걸림 부재를 장착하는 장소가 없는 경우라도, 작동유 탱크에 인접 배치된 연료 탱크의 인접면에 피걸림 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외장 커버의 걸림 부재를 걸기 위한 피걸림 부재를 차체 프레임측에 장착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2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으로서, 외장 커버의 상단부는, 상면에서 볼 때 작동유 탱크보다 차체 외측에 위치하고, 고정부는, 상면에서 볼 때, 작동유 탱크와 외장 커버의 상단부와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4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2 또는 제3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으로서, 차체 프레임은, 받이부가 고정되는 위치의 기준이 되는 위치에, 위치맞춤공을 가지고 있다. 위치맞춤공에는, 외장 커버에 인접하는 연료 탱크를 고정시키는 볼트가 삽입된다.
여기서는,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복수의 외장 커버를 양호한 정밀도로 장착하기 위해, 차체 프레임에서의 받이부의 고정 위치의 기준이 되는 위치에, 위치맞춤공을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위치맞춤공에 있어서는, 기준 위치에서의 장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기준 위치의 근방에 배치되는 받이부의 장착 정밀도도 향상되고, 그 결과, 외장 커버의 조립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1 내지 제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작업 차량으로서, 받이부에는, 차체 프레임의 측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삽입판이 삽입된다. 외장 커버는, 차체 프레임의 폭 방향에 대한 위치가 규제된 상태로 장착한다.
여기서는, 외장 커버의 배면측에 설치된 삽입판을, 차체 프레임측에 설치된 받이부에 대하여 차체 프레임의 측면에 대략 평행하게 삽입함으로써, 차체 프레임의 측면에 대략 수직인 방향(차체 프레임의 폭 방향)에서의 외장 커버의 위치를 규제한다.
이로써, 외장 커버의 배면측에서의 아래쪽에 설치된 삽입판에 의해, 외장 커버의 표면의 위치를 어느 정도 위치맞춤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차체 프레임의 측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외장 커버 중, 서로 인접하는 외장 커버에 단차를 생기게 하지 않도록 하여, 외장 커버를 장착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1 내지 제5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작업 차량으로서, 걸림 부재 및 삽입판은, 외장 커버의 배면에서의 폭 방향의 제1단 측에 형성되어 있고, 외장 커버의 배면에서의 제1단과는 반대측의 제2단 측에 형성되어 있고, 차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기둥 부재에 대하여 고정되는 대략 L자형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외장 커버의 배면측에서의 제1단 측에, 전술한 걸림 부재와 받이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그 반대측의 단부(端部)(제2단)에, 차체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기둥 부재에 고정되는 대략 L자형 부재를 설치하고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인접하는 외장 커버가 개폐 가능한 점검 도어 등인 경우에는, 점검 도어측에 배치된 기둥 부재에 대하여 외부로부터 액세스 가능해지므로, 볼트 등을 사용하여 대략 L자 형상 부재를 통하여 외장 커버를 차체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6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으로서, 외장 커버의 제2단 측에 인접 배치된 개폐 가능한 점검 도어를, 더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전술한 대략 L자 형상 부재가 장착되는 제2단 측에 있어서 인접하는 위치에, 개폐 가능한 점검 도어를 설치하고 있다.
이로써, 대략 L자 형상 부재에 대해서는, 점검 도어를 개방한 상태로 외부로부터 액세스함으로써, 볼트 등을 사용하여 외장 커버를 차체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장 패널을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용이하고 또한 양호한 정밀도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셔블의 구성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압 셔블의 상부 선회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부 선회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상부 선회체를 구성하는 차체 프레임 상에 탑재된 작동유 탱크 및 연료 탱크 주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상부 선회체를 구성하는 차체 프레임 상에 탑재된 작동유 탱크 및 연료 탱크 주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상부 선회체를 구성하는 차체 프레임 상에 탑재된 작동유 탱크에 인접하는 점검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작동유 탱크 주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상부 선회체를 구성하는 차체 프레임 상에 탑재된 작동유 탱크의 측방을 덮는 작동유 탱크 커버 주변의 구성을 배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작동유 탱크 커버를 배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작동유 탱크 커버의 배면측 상부에 장착되는 걸림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작동유 탱크 커버의 배면측 하부에 장착되는 삽입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8의 작동유 탱크 커버의 배면측에 장착되는 L자형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걸림 부재가 걸리는 피걸림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2의 상부 선회체를 구성하는 차체 프레임 상에 탑재된 작동유 탱크에 인접 배치된 연료 탱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연료 탱크의 측면에 토대부(base plate )가 장착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1의 삽입판이 삽입되는 받이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삽입판이 도 15의 받이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4의 삽입판이 도 15의 받이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셔블(작업 차량)(1)에 대하여, 도 1∼도 18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전후」, 「좌우」방향에 대해서는, 유압 셔블(1)의 캡(cab)(8) 내의 시트에 착석한 운전자로부터 본 「전후」, 「좌우」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유압 셔블(1) 전체의 구성]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셔블(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3)와, 작업기(4)와,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5)와, 차체부(6)와, 기기실(7)과, 캡(8)을 구비하고 있다.
하부 주행체(2)는, 진행 방향에서의 좌우 양단 부분에 감겨진 크롤러 트랙(crawler track)(P)을 회전시킴으로써, 유압 셔블(1)을 전진·후진시킨다. 또한, 하부 주행체(2)는, 상부 선회체(3)를 상면에 탑재하고 있다.
상부 선회체(3)는, 하부 주행체(2)에 대하여 선회(旋回)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선회체(3)는, 토대 부분을 구성하는 차체 프레임(3a)(도 2 참조)의 상면에, 작업기(4)와, 카운터웨이트(5)와, 차체부(6)와, 기기실(7)과, 캡(8)과, 엔진룸(10)을 탑재하고 있다.
차체 프레임(3a) 상에는, 복수의 포스트 부재와, 복수의 빔(beam) 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선회체(3)의 골격을 형성한다.
복수의 기둥 부재는, 차체 프레임(3a)의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빔 부재는, 기둥 부재의 상단 부분에 접속된 상태로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다.
작업기(4)(도 1 참조)는, 상부 선회체(3)의 붐(boom) 장착부(3b)에 동작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는 붐(11)과, 붐(11)의 선단에 장착된 암(arm)(12)과, 암(12)의 선단에 장착된 버킷(bucket)(13)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기(4)는, 유압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포함되는 각각의 유압 실린더(11a, 12a, 13a) 등에 의해, 붐(11), 암(12), 버킷(13) 등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토목공사의 현장에 있어서 토사, 자갈 등의 굴삭 작업을 행한다.
카운터웨이트(5)는, 예를 들면, 강판을 조립하여 형성한 상자 중에 고철 및 콘크리트 등을 넣어 굳힌 것으로서, 채굴 시 등에 있어서 차체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운터웨이트(5)는, 상부 선회체(3) 상에서의 차체부(6)의 후방에 설치된 센터 프레임(3c)(도 4 등 참조) 상에 배치되어 있다.
차체부(6)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운터웨이트(5)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내부에 엔진(20)(도 2 참조) 등을 수납하는 엔진룸(10)을 가지고 있다.
기기실(7)은, 상부 선회체(3) 상에서의 작업기(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연료 탱크(차량탑재 구조물)(30), 작동유 탱크(31) 및 조작 밸브 등을 수용한다. 그리고, 기기실(7)의 외주면은, 복수의 외장 커버[작동유 탱크 커버(외장 커버)(41), 점검 도어(42) 등)]에 의해 덮혀져 있다. 그리고, 작동유 탱크(31) 주변의 구성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캡(8)은, 유압 셔블(1)의 오퍼레이터가 승강하는 실내 공간을 가지고 있고, 작업기(4)의 선단부를 간파할 수있도록, 상부 선회체(3) 상에서의 작업기(4)의 측방으로 되는 좌측 앞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룸(10)은, 개폐 가능한 엔진 후드(14)에 의해 덮힌 점검용의 상부 개구를 가지고 있다. 엔진룸(1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엔진(20),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디젤 미립자 포집(捕集) 필터 장치](21),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선택 환원 촉매 장치)(22) 등을 수용하고 있다.
엔진(20)은, 상부 선회체(3)의 차체 프레임(3a)을 구성하는 센터 프레임(3c) 상에, 고무 댐퍼를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DPF(21)는, 엔진(2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장치로서,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입자형 물질을 필터에 의해 포집한다. 필터에 의해 포집된 입자형 물질은, DPF(21) 내에서 소각된다. 또한, DPF(21)는, 대략 원통형의 외형을 가지고 있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중심축이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SCR(22)은, 엔진(20)으로부터 배출된 후, DPF(21)에 있어서 처리된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장치로서, 요소(尿素)를 가수분해하여 얻어지는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질소산화물 NOx를 선택적으로 환원한다. SCR(22)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DPF(21)의 측방에 인접 배치되어 있다. SCR(22)은, 대략 원통형의 외형을 가지고 있고, 그 중심축이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엔진(20)과, DPF(21)와, SCR(22)는, 상기 순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2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는, 먼저, DPF(21)에 보내져 처리(주로, 입자형 물질의 저감 처리)된 후, 믹싱 배관(22a)을 통하여, SCR(22)에 보내진다. SCR(22)에서는, 주로, NOx를 저감시키는 처리가 행해지고, 그 후, 청정화된 배기 가스가 외부로 배출된다.
[작동유 탱크(31) 주변의 구성]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3)의 우측면을 따라, 전방으로부터 순차로, 연료 탱크(30), 작동유 탱크(31), 및 DPF(21), SCR(22) 등이 탑재된 엔진룸(10)이, 차체 프레임(3a) 상에 배치되어 있다.
연료 탱크(30)는, 유압 셔블(1)의 구동원인 엔진(20)에 공급되는 연료를 저류하기 위한 탱크로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연료 탱크(3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상부 선회체(3)의 차체 프레임(3a)에서의 우측편으로서, 붐 장착부(3b)의 우측 옆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료 탱크(30)는, 작동유 탱크(31)와 함께, 차체 프레임(3a)의 외측 에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연료 탱크(30)를 구성하는 복수의 측면 중, 작동유 탱크(31) 측의 측면(30a)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작동유 탱크 커버(41)가 고정되는 피걸림 부재(6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 탱크(30)는, 차체 프레임(3a)의 상면에 복수 형성된 볼트 삽입공(35) 및 기준 볼트공(34)에 대하여 볼트를 사용하여 고정된다.
기준 볼트공(34)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3a)의 상면으로서 작동유 탱크(31)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볼트 삽입공(35)보다 직경이 작다. 이로써, 볼트가 기준 볼트공(34)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볼트의 외주면과 기준 볼트공(34)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볼트 삽입공(35)보다 작아지므로, 연료 탱크(30)를 차체 프레임(3a)에 대하여 양호한 정밀도로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연료 탱크(30)의 측면(30a)에는, 인접하는 작동유 탱크 커버(41)가 고정되는 피걸림 부재(6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동유 탱크(31)에 인접하는 측에 기준 볼트공(34)을 형성했으므로, 그 결과, 피걸림 부재(61)의 위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료 탱크(30)의 측면(40)에 대한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위치 정밀도를 향상시켜, 연료 탱크(30)의 측면(40)과 작동유 탱크 커버(41)와의 인접 부분에 생기는 단차를 억제할 수 있다.
작동유 탱크(31)는, 작업기 등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저류하기 위한 탱크로서, 대략 장방체(長方體) 형상의 상면에 작동유를 배출하기 위한 배관(31b)(도 4 참조)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작동유 탱크(31)는, 앞쪽에 인접하는 연료 탱크(30)와 뒤쪽에 인접하는 엔진룸(10)에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작동유 탱크(31)는, 연료 탱크(30)와 비교하여, 전후 방향에서의 폭 치수는 대략 동등하지만, 좌우방향에서의 크기가 연료 탱크(30)보다 작다. 그러므로, 작동유 탱크(3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 탱크(30)보다 차체 프레임(3a)의 우측면으로부터 안쪽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작동유 탱크 커버(41)는, 작동유 탱크(31)의 측면(31a)과의 사이에, 배관(31b)이 통과하는 정도의 간극을 통하여 작동유 탱크(31)의 측방에 장착된다.
작동유 탱크 커버(41)는, 상부 선회체(3)의 우측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외장 커버로서, 작동유 탱크(31)의 전후 방향에서의 치수와 대략 같은 폭 치수를 가지고 있다. 또한,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배면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유 탱크(31)의 측면(31a)과의 사이에 간극을 개방된 상태로, 작동유 탱크(31)의 측방에 장착된다. 그리고, 이간극에는, 작동유 탱크(31)의 배관(31b)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장착 구조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점검 도어(42)는, 작동유 탱크 커버(41)와 마찬가지로, 상부 선회체(3)의 우측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외장 커버로서, 개폐 가능한 상태로 상부 선회체(3)의 차체 프레임(3a) 상에 세워 설치된 2개의 기둥 부재(33a, 33b)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점검 도어(42)는, 정면 우측 가까이의 위치에 설치된 손잡이(42a)를 가지고, 기둥 부재(33a)에 고정된 회동축(도시하지 않음)을 중심으로 회동됨으로써,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3a)에 대하여 개폐된다.
이로써, 엔진룸(10) 내에 설치된 필터 및 각종 배관 등의 정비를, 점검 도어(42)를 통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점검 도어(42)에 인접하는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장착은, 좌측에 인접하는 점검 도어(42)를 개방한 상태에서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검 도어(42)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좌측 배면에 설치된 대략 L자형 부재(53)를 차체 프레임(3a) 상에 세워 설치된 기둥 부재(33b)에 고정시킬 수 있다.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장착 구조>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에서는, 작동유 탱크 커버(41)가, 다음과 같은 구조에 의해, 상부 선회체(3)의 차체 프레임(3a)에 장착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하」방향이란, 작동유 탱크 커버(41)가 차체 프레임(3a)에 대하여 장착된 장착 상태에서의 방향을 의미하고 있다.
작동유 탱크 커버(41)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배면(41a) 측에, 걸림 부재(51), 삽입판(52), 및 L자형 부재(53)가 장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배면(41a)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 탱크(30)에 인접하는 측의 단부에, 시트부(41b, 41c)가 용접에 의해 상하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배면(41a)의 반대측[엔진룸(10) 측]의 단부에, 시트부(41d, 41e)가 용접에 의해 상하로 장착되어 있다.
시트부(41b)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배면(41a)에서의 연료 탱크(30)에 인접하는 측의 단부에서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시트부(41b)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부재(51)가 볼트(63)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시트부(41c)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배면(41a)에서의 연료 탱크(30)에 인접하는 측의 단부에서의 시트부(41b)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시트부(41c)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판(52)이 볼트(63)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시트부(41d, 41e)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배면(41a)에서의 엔진룸(10)에 인접하는 측의 단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시트부(41d, 41e)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L자형 부재(53)가 볼트(63)를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부(41b∼41e)에 대하여 각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있지만, 크기 또는 종류가 상이한 볼트라도 된다.
걸림 부재(51)는, 작동유 탱크 커버(41)를 차체 프레임(3a) 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 부재로서, 작동유 탱크 커버(41)를 배면(41a) 측으로부터 본 정면에서 볼 때 있어서, 좌측(제1단 측) 상부에 배치된 시트부(41b)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걸림 부재(51)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판형 부재를 굴곡시켜 형성되어 있고, 고정부(51a), 배면 장착부(51b)를 가지고 있다.
고정부(51a)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장착 상태에서, 걸림 부재(51)의 상단부에,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고정부(51a)는, 볼트공(51aa)을 가지고 있다.
볼트공(51aa)은, 걸림 부재(51)가 피걸림 부재(61)에 걸린 상태에서, 볼트(고정부)(65)(도 7 참조)가 삽입된다. 이로써, 걸림 부재(51)를 피걸림 부재(61)에 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상단부는, 상면에서 볼 때, 작동유 탱크(31)보다 차체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볼트(65)는, 상면에서 볼 때, 작동유 탱크(31)와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상단부와의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있다.
배면 장착부(51b)는,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장착 상태에서, 고정부(51a)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신(延伸)되는 부분으로서,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배면(41a)에 장착된 시트부(41b)에 대하여 장착된다. 또한, 배면 장착부(51b)는, 볼트공(51ba)을 가지고 있다.
볼트공(51ba)은,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배면(41a)에 장착된 시트부(41b)에 대하여, 걸림 부재(51)를 장착할 때, 고정용의 볼트(63)(도 8 참조)가 삽입된다. 이로써, 걸림 부재(51)를,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배면(41a)에 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삽입판(52)은, 작동유 탱크 커버(41)를 차체 프레임(3a) 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 부재로서, 작동유 탱크 커버(41)를 배면(41a) 측으로부터 본 정면에서 볼 때 있어서, 좌측 아래에 배치된 시트부(41c)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삽입판(52)은, 후술하는 받이부(62)에 대하여 위쪽으로부터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판형의 부재로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볼트공(52a)을 가지고 있다.
볼트공(52a)은,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장착 상태에서, 삽입판(52)의 상단을 따라 2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볼트공(52a)은, 볼트(63)가 삽입되므로, 삽입판(52)이 시트부(41c)에 대하여 고정된다.
볼트(63)에 의해 시트부(41c)에 고정된 삽입판(52)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 형성된다. 이 돌출 부분이, 후술하는 받이부(62)에 삽입되므로,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하부에서의 위치맞춤을 행할 수 있다.
L자형 부재(53)는, 작동유 탱크 커버(41)를 차체 프레임(3a) 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 부재로서, 작동유 탱크 커버(41)를 배면(41a) 측으로부터 본 정면에서 볼 때 있어서, 우측(제2단 측)의 단부를 따라 배치된 시트부(41d, 41e)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L자형 부재(53)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판형 부재를 굴곡시켜 형성된 2개의 판형의 부분[제1 판형부(53a), 제2 판형부(53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판형부(53a)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배면(41a) 측에 고정되는 판형 부재로서, 볼트 홈(53aa), 볼트공(53ab]을 가지고 있다.
볼트 홈(53aa)은,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장착 상태에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판형부(53a)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볼트 홈(53aa)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63)가 삽입되어 시트부(41d)의 볼트공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배면(41a)에 L자형 부재(53)의 상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볼트 홈(53aa)은, 작동유 탱크 커버(41)를 장착할 때, 커버의 자세 또는 위치를 미세 조정하기 쉬워지도록, 구멍이 아니고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볼트공(53ab]은,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장착 상태에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판형부(53a)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볼트공(53ab]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63)가 삽입되어 시트부(41e)의 볼트공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배면(41a)에 L자형 부재(53)의 하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판형부(53b)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3a) 상에 세워 설치된 기둥 부재(33b)에 대하여 고정되는 판형 부재로서, 기둥 고정부(53ba), 기둥 고정부(53bb)를 가지고 있다.
기둥 고정부(53ba)는,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장착 상태에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판형부(53b)의 상부에, 너트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기둥 고정부(5ba)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둥 부재(33b) 측으로부터 볼트가 삽입되어 너트 부분에 나사결합됨으로써, 기둥 부재(33b)에 L자형 부재(53)의 상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기둥 고정부(53bb)는,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장착 상태에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판형부(53b)의 하부에, 너트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기둥 고정부(53bb)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둥 부재(33b) 측으로부터 볼트가 삽입되어 너트 부분에 나사결합됨으로써, 기둥 부재(33b)에 L자형 부재(53)의 하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피걸림 부재(61)는,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배면(41a) 측에 고정된 걸림 부재(51)를 고정시키는 부재로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제2·제3 판형부(61a, 61b, 61c)를 조합시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피걸림 부재(61)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유 탱크(31)에 인접 배치된 연료 탱크(차량탑재 구조물)(30)의 인접하는 측면(30a)에 장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걸림 부재(61)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 탱크(30)의 측면(30a)에서의 우측 상단부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 토대부(30b)에 대하여,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63)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유 탱크(31)는 연료 탱크(30)보다 안쪽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유 탱크(31)의 측면(31a)의 정면에, 작동유 탱크 커버(41)를 고정시키기 위한 피걸림 부재(61)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피걸림 부재(61)가 고정되는 연료 탱크(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볼트 삽입공(35)보다 직경이 작은 기준 볼트공(34)을 기준 위치로 하여 차체 프레임(3a)에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연료 탱크(30)를 양호한 정밀도로 차체 프레임(3a)에 장착할 수 있는 동시에, 연료 탱크(30)의 측면(30a)에 장착된 피걸림 부재(61)도 양호한 정밀도로 장착할 수 있다. 이 결과, 피걸림 부재(61)에 대하여 고정되는 걸림 부재(51)의 위치 정밀도도 향상되므로,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차체 프레임(3a)에 대한 장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피걸림 부재(61)를 구성하는 제1∼제3 판형부(61a∼61c)는,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장착 상태에서, 제1·제2 판형부(61a, 61b)의 주요 부분이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3 판형부(61c)의 주요 부분이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제1 판형부(61a)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배면(41a) 측에 있어서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된 주요 부분의 상단이 굴곡되어 있고, 이 굴곡 부분에, 2개의 볼트공(61aa)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공(61aa)에는, 걸림 부재(51)와 피걸림 부재(61)와의 고정 부분[볼트(63)의 헤드 부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S)(도 7 참조)를 막기 위한 커버 부재(36)(도 3, 도 7 참조)가 고정된다.
제2 판형부(61b)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판형부(61a)에 대하여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고, 연료 탱크(30)의 측면(30a)에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판형부(61b)는, 하단 부분에 볼트공(61ba)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공(61ba)은, 볼트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됨으로써, 연료 탱크(30)의 측면(30a)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 토대부(30b)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3 판형부(61c)는, 주요 부분은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1·제2 판형부(61a, 61b)에 대하여 용접 접합되어 있고, 2개의 볼트공(61ca)을 가지고 있다.
볼트공(61ca)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걸림 부재(51)의 고정부(51a)가 제3 판형부(61c) 상면에 걸린 상태로, 볼트(65)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로써,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배면(41a) 측에 장착된 걸림 부재(51)를, 피걸림 부재(61)에 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볼트공(61ca)에 삽입된 볼트(65)는, 제3 판형부(61c)의 하면 측에 고정된 너트 부분에 나사결합한다.
받이부(6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오는 삽입판(52)이 삽입되는 부재로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대부(62a), 피삽입부(62b)를 가지고 있다.
토대부(62a)는, 받이부(62)의 토대 부분을 형성하는 판형의 부재로서, 볼트공(62aa)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공(62aa)에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이부(62)를 차체 프레임(3a)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64)가 삽입된다.
볼트(64)가, 차체 프레임(3a) 측에 형성된 볼트공에 나사결합됨으로써, 받이부(62)가 차체 프레임(3a)의 상면에 고정된다.
피삽입부(62b)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대부(62a)의 상면에 2개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위쪽으로부터 삽입된 삽입판(52)을 유지하는 악어입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피삽입부(62b)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도부(62ba), 유지부(62bb), 볼트(62bc)를 가지고 있다.
유도부(62ba)는, 위쪽으로부터 삽입되는 삽입판(52)을 피삽입부(62b)의 내측으로 유도하도록, 위쪽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유지부(62bb)는, 유도부(62ba)에 의해 유도되어 온 삽입판(52)의 선단 부분을 유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유지부(62bb)에 삽입된 삽입판(52)은, 삽입 방향 및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배면(41a)에 대략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지만,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배면(41a)에 교차하는 방향(차체 폭 방향)에서의 이동을 규제한다.
볼트(62bc)는, 위쪽을 향해 개구된 악어입 클립 형상(alligator clip shape)의 피삽입부(62b)의 바닥 부분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고, 토대부(62a)에 대하여 피삽입부(62b)를 고정시킨다.
이로써, 작동유 탱크 커버(41)를, 대략 연직 방향 위쪽으로부터 배면(41a)에 평행하게 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받이부(62)에 대하여 삽입판(52)을 삽입할 수 있다. 이 때, 삽입판(52)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이부(62)에 의해 배면(41a)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므로, 작동유 탱크 커버(41)가 인접하는 연료 탱크(30)의 측면(40), 점검 도어(42)에 대하여 생기는 단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삽입판(52)이 받이부(62)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전술한 걸림 부재(51)가 피걸림 부재(61)에 걸림으로써 작동유 탱크 커버(41) 전체가 지지되어 있으므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판(52)의 선단은 받이부(62)의 유지부(62bb)의 바닥 부분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있다.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하부에 대해서는, 배면(41a)에 교차하는 방향만 이동이 규제되어 있고, 배면(41a)에 평행한 2방향(연직 방향,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은 규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걸림 부재(51)를 피걸림 부재(61)에 고정시킬 때, 또는 대략 L자형 부재(53)를 기둥 부재(33b)에 대하여 고정시킬 때,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자세의 미세 조정을 행할 수있다.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장착 수순>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에서는, 작동유 탱크 커버(41)가, 다음과 같은 수순에 의해, 상부 선회체(3)의 차체 프레임(3a)에 장착된다.
상부 선회체(3) 상에 설치된 작동유 탱크(31)의 측방을 덮도록, 차체 프레임(3a)에 대하여 작동유 탱크 커버(41)를 장착할 때는, 먼저, 도 9에 나타낸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배면(41a)에 장착된 각각의 시트부(41b∼41e)에 대하여, 각각 접속 부재를 장착한다.
구체적으로는, 시트부(41b)에는 걸림 부재(51)(도 10 참조), 시트부(41c)에는 삽입판(52)(도 11 참조)이 장착된다. 또한, 시트부(41d, 41e)에는, L자형 부재(53)(도 12 참조)가 장착된다.
다음에, 작동유 탱크 커버(41)가 작동유 탱크(31)의 정면에 있어서 들어올려지고 나서 아래쪽으로 하강되고, 삽입판(52)이 받이부(62)에 대하여 삽입된다. 이 때, 동시에,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배면(41a) 측에 고정된 걸림 부재(51)가, 연료 탱크(30)의 측면(30a)에 고정된 피걸림 부재(61) 상에 걸린다.
여기서, 삽입판(52)은 그 평면이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배면(41a)에 대략 평행한 받이부(62)에 대하여 삽입된다. 그러므로, 삽입판(52)이 받이부(62)에 삽입된 상태로 함으로써, 작동유 탱크 커버(41)가 배면(41a)에 교차하는 방향(차체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판(52)과 받이부(62)와의 삽입 관계에 의해,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하부에서의 대략의 위치맞춤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좌측에 인접하는 점검 도어(42)가 개방된 상태(도 6 및 도 6 참조)와, 작업자의 손 또는 공구 등이 점검 도어(42)를 개방하여 형성되는 개구로부터 넣어지고,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배면(41a)에 고정된 L자형 부재(53)가 기둥 부재(33b)에 대하여 고정된다.
다음에, 피걸림 부재(61) 상에 걸린 걸림 부재(51)를 고정시키기 위해, 걸림 부재(51)의 위쪽에 형성된 개구부(S)(도 3, 도 7 등 참조)에 공구를 삽입하여 볼트 고정한다. 이로써, 걸림 부재(51)를 피걸림 부재(61)에 대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작동유 탱크 커버(41)를 차체 프레임(3a)에 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에, 걸림 부재(51)를 고정시키기 위한 개구부(S)를 막기 위해서, 커버 부재(36)를 개구부(S) 상에 설치하여, 피걸림 부재(61)의 볼트공(61aa)에 볼트를 삽입하여 커버 부재(36)를 고정시킨다.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에서는, 이상과 같이, 작동유 탱크(31)의 측방을 덮는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배면(41a) 측 상부에 장착된 걸림 부재(51)와, 배면(41a) 측 하부에 장착된 삽입판(52)을 사용하여, 작동유 탱크 커버(41)를 용이하고 또한 양호한 정밀도로 장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면(41a) 측의 하부에 대해서는, 삽입판(52)이 차체 프레임(3a) 측에 고정된 받이부(62)에 대하여 삽입될뿐인 구성으로 하고, 또한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배면(41a) 측 상부에 대해서는, 걸림 부재(51)를 피걸림 부재(61)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볼트(65)(도 7 참조)가, 상면에서 볼 때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상단부보다 차체 내측으로서, 개구부(S)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구 등으로 고정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볼트 등으로 고정시키는 개소(箇所)는,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배면(41a) 측에서의 걸림 부재(51)와 피걸림 부재(61)가 고정되는 상측 부분만으로 되고, 하부 부분에 대해서는 볼트 등을 사용한 고정은 불필요해지므로,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장착 정밀도도 확보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작동유 탱크 커버(41)의 폭 방향에서의 양단에, 각각 상이한 장착 구조[걸림 부재(51) 및 삽입판(52), L자형 부재(53)]를 채용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외장 커버의 폭 방향에서의 양단에, 같은 장착 구조가 채용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외장 커버의 폭 방향에서의 양단에, 걸림 부재(51) 및 삽입판(52)을 각각 설치하고, 차체 프레임측에 고정되는 장착 구조라도 된다.
이 경우에는, 인접하는 외장 커버가 개폐 불가능한 것이라도, 위쪽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하여 볼트 등으로 외장 커버를 차체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용이하고 또한 양호한 정밀도로 외장 커버를 장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작동유 탱크(31)의 측방을 덮는 외장 커버(작동유 탱크 커버(41)의 장착 구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작동유 탱크의 측방에 한정되지 않고, 작업 차량의 외면을 구성하는 다른 위치에 설치된 외장 커버의 장착 구조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C)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압 셔블(1)의 외장 커버[작동유 탱크 커버(41)]의 장착 구조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유압 셔블 이외에도, 휠 로더(wheel loader), 크레인차, 불도저(bulldozer), 모터 그레이더(motor grader) 등의 다른 작업 차량의 외장 커버의 장착 구조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D)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걸림 부재(51)를 피걸림 부재(61)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로서, 도 7에 나타낸 볼트(65)를 사용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걸림 부재를 피걸림 부재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는, 볼트 이외에도, 용접, 또는 다른 고정 부재 등을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용접되는 개소, 또는 다른 고정 부재 자체를 고정부로서 사용함으로써,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E)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피걸림 부재(61)가 고정되는 차량탑재 구조물로서, 작동유 탱크(31)에 인접 배치된 연료 탱크(30)를 예로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피걸림 부재가 고정되는 차량탑재 구조물로서, 차체 프레임(3a)을 구성하는 기둥 부재, 빔 부재, 또는 연료 탱크 이외의 차량탑재 구조물을 사용해도 된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작업 차량은, 외장 패널을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용이하고 또한 양호한 정밀도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차체의 측면이 외장 커버에 의해 덮히는 각종 작업 차량에 대하여 널리 적용 가능하다.
1 유압 셔블(작업 차량)
2 하부 주행체
3 상부 선회체
3a 차체 프레임
3 c 센터 프레임
20 엔진
30 연료 탱크(차량탑재 구조물)
30a 측면
30b 토대부
31 작동유 탱크
31a 측면
31b 배관
33a, 33b 기둥 부재
34 기준 볼트공
35 볼트 삽입공
36 커버 부재
40 연료 탱크의 측면
41 작동유 탱크 커버(외장 커버)
41a 배면
41b∼41e 시트부
42 점검 도어
42a 손잡이
51 걸림 부재
51a 고정부
51aa 볼트공
51b 배면 장착부
51ba 볼트공
52 삽입판
52a 볼트공
53 L자형 부재
53a 제1 판형부
53aa 볼트 홈
53ab 볼트공
53b 제2 판형부
53ba 기둥 고정부
53bb 기둥 고정부
61 피걸림 부재
61a 제1 판형부
61aa 볼트공
61b 제2 판형부
61ba 볼트공
61 c 제3 판형부
61 ca 볼트공
62 받이부
62a 토대부
62aa 볼트공
62b 피삽입부
62ba 유도부
62bb 유지부
62bc 볼트
63 볼트
64 볼트
65 볼트(고정부)
S 개구부

Claims (7)

  1. 차체 프레임;
    상기 차체 프레임의 측면을 덮는 외장(外裝) 커버;
    상기 외장 커버가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장착된 장착 상태에서, 상기 외장 커버의 배면측에서의 상부에 설치된 걸림 부재(latching member);
    상기 장착 상태에서, 상기 외장 커버의 배면측에서의 하부에 설치되고, 아래쪽을 향해 신장되는 삽입판;
    상기 차체 프레임 상에 탑재된 차량탑재 구조물에 설치되고, 상기 걸림 부재를 고정시키는 피(被)걸림 부재;
    상기 차체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판이 삽입되는 받이부(receiver); 및
    상기 장착 상태에서, 상면에서 볼 때 상기 외장 커버의 상단부보다 차체 내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걸림 부재를 상기 피걸림 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작업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엔진과, 상기 엔진에 대하여 공급되는 연료를 저류(貯留)하는 연료 탱크와, 상기 연료 탱크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작업기에 대하여 공급되는 작동유를 저류하는 작동유 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장 커버는, 상기 차체 프레임 상에 배치된 상기 작동유 탱크를 덮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피걸림 부재는, 상기 연료 탱크에서의 상기 작동유 탱크측의 면에 장착되어 있는, 작업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커버의 상단부는, 상면에서 볼 때 상기 작동유 탱크보다 차체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면에서 볼 때, 상기 작동유 탱크와 상기 외장 커버의 상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작업 차량.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은, 상기 받이부가 고정되는 위치의 기준이 되는 위치에, 기준 볼트공을 가지고,
    상기 기준 볼트공에는, 상기 외장 커버에 인접하는 상기 연료 탱크를 고정시키는 볼트가 삽입되는, 작업 차량.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부에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측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상기 삽입판이 삽입되고,
    상기 외장 커버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폭 방향에 대한 위치가 규제된 상태로 장착되는, 작업 차량.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 및 상기 삽입판은, 상기 외장 커버의 배면에서의 폭 방향의 제1단 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장 커버의 배면에서의 상기 제1단과는 반대측의 제2단 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기둥 부재에 대하여 고정되는 L자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는, 작업 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커버의 제2단 측에 인접 배치된 개폐 가능한 점검 도어를 더 포함하고 있는, 작업 차량.
KR1020147021461A 2014-05-30 2014-05-30 작업 차량 KR101572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7021461A KR101572465B1 (ko) 2014-05-30 2014-05-30 작업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7021461A KR101572465B1 (ko) 2014-05-30 2014-05-30 작업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465B1 true KR101572465B1 (ko) 2015-11-27

Family

ID=5484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1461A KR101572465B1 (ko) 2014-05-30 2014-05-30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4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348A (ja) 1998-08-26 2000-02-2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02257110A (ja) 2001-03-01 2002-09-11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における仕切り板の取付け構造
JP2010106522A (ja) 2008-10-30 2010-05-13 Hitachi Constr Mach Co Ltd 旋回式建設機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348A (ja) 1998-08-26 2000-02-2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02257110A (ja) 2001-03-01 2002-09-11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における仕切り板の取付け構造
JP2010106522A (ja) 2008-10-30 2010-05-13 Hitachi Constr Mach Co Ltd 旋回式建設機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1582B2 (en) Hydraulic excavator
JP5501537B1 (ja) 還元剤タンク、及び作業車両
US10161107B2 (en) Construction machine
KR101677490B1 (ko) 배기 처리 유닛 및 작업 차량
WO2015115181A1 (ja) 建設機械
JP5536844B2 (ja) 排気処理ユニット
JP5685680B1 (ja) 作業車両
JP5501424B2 (ja) 排気処理ユニット
KR101572468B1 (ko) 작업 차량
KR20140074951A (ko) 유압 셔블
JP2012117249A (ja) 油圧ショベル
KR101572465B1 (ko) 작업 차량
KR101581269B1 (ko) 유압 셔블
WO2014184860A1 (ja) エンジンユニットおよび作業車両
CN107794964B (zh) 工程机械
JP2016223214A (ja) 建設機械
JP6149875B2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支持構造及びその組立方法
JP4477484B2 (ja) 建設機械のアンダカバー取り付け構造
JP2013104224A (ja) 建設機械
CN104372822A (zh) 施工机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