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394B1 - 유치침 장치 - Google Patents

유치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394B1
KR101572394B1 KR1020147000307A KR20147000307A KR101572394B1 KR 101572394 B1 KR101572394 B1 KR 101572394B1 KR 1020147000307 A KR1020147000307 A KR 1020147000307A KR 20147000307 A KR20147000307 A KR 20147000307A KR 101572394 B1 KR101572394 B1 KR 101572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pair
tube
hub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0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8433A (ko
Inventor
도루 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140018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06"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e.g. I.V.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61M25/0631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having means for fully covering the needle after its withdrawal, e.g. needle being withdrawn inside the handle or a cover being advanced over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7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suitable for being connected to an infusion line after insertion into a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61M25/0637Butterfly or winged devices, e.g. for facilitating handling or for attachment to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허브(40)가 실드(20)의 내강의 전단측에 위치하며 또한 내침(50)이 외침(30)을 관통하는 초기 위치와, 허브가 실드의 내강의 후단측에 위치하며 또한 내침이 실드의 내강 내에 수납되는 후퇴 위치로 허브가 변위 가능하다. 스토퍼(170)는, 실드의 내강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172)와, 삽입부의 후단에 설치된 기부(180)를 구비한다. 기부는, 허브에 접속된 튜브(60)의 외주면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나머지를 덮는 루프부(183)와, 튜브를 사이에 끼고 배치되며, 튜브를 파지하도록 탄성적으로 변위할 수 있는 한 쌍의 협지부(185)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천자 후에 스토퍼 만을 빼내고, 내침을 실드 내에 수납하는 것을 잊어 버린다는 오조작의 가능성이 저감된다. 또, 천자할 때와 내침을 실드 내에 수납할 때에 파지 위치를 변경할 필요성이 저감된다.

Description

유치침 장치{INDWELLING NEEDLE DEVICE}
본 발명은, 연질의 외침과 경질의 내침을 구비하고, 외침의 선단으로부터 내침의 선단을 돌출시킨 상태로 환자에 천자하고, 그 후, 내침을 외침으로부터 후퇴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유치침(留置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치침 장치는, 수액, 수혈, 체외 혈액 순환 등의 처치에서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처치에 있어서, 금속침을 혈관 내에 유치하면 혈관을 손상시킬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연질의 외침과 경질의 내침을 구비한 유치침 장치가 알려져 있다. 외침의 선단으로부터 내침의 선단을 돌출시킨 상태로 외침 및 내침을 환자의 혈관에 천자하고, 그 후, 내침을 외침으로부터 후퇴시켜, 외침 만을 환자에 유치한다. 유치된 연질의 외침은 환자의 혈관을 손상시킬 가능성은 낮다.
도 18a는, 이러한 종래의 유치침 장치(900)(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의 일례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8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9는, 도 18a의 19-19선을 포함하는 수직면을 따른 종래의 유치침 장치(900)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환자에 천자하는 측(도 18a, 도 18b 및 도 19의 지면의 좌측)을 「전측」, 이것과 반대측을 「후측」이라고 부른다.
유치침 장치(900)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는 실드통(921)과, 그 일단(전단)에 고정된 외측 허브(925)를 포함하는 실드(920)를 구비한다. 외측 허브(925)의 전단에 연질의 외침(930)이 고정되어 있다.
실드통(921)의 외측 허브(925) 측단 근방의 외주면에 한 쌍의 날개(929a, 929b)가 설치되어 있다. 날개(929a, 929b)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 상하로 요동 가능하다.
실드(920)의 내강 내에는 허브(940)가, 실드(920)의 길이 방향(즉,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허브(940)의 전단에는 금속제의 경질의 내침(950)이 고정되고, 허브(940)의 후단에는 유연한 튜브(960)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내침(950)과 튜브(960)는, 허브(94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종관로(縱貫路)(943)를 통하여 연통하고 있다.
도 18a, 도 18b, 도 19에서는, 허브(940)는 실드(920)의 내강의 전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실드(920)에 대한 허브(940)의 이 위치를 「초기 위치」라고 부른다. 초기 위치에서는, 허브(940)에 유지된 내침(950)은 외침(930)을 관통하고, 내침(950)의 선단은 외침(930)의 선단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허브(940)를 초기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스토퍼(970)가 이용된다. 도 20은 스토퍼(970)의 사시도이다. 대략 반원통형상의 기단부(971)로부터, 대략 반원통형상의 삽입부(972) 및 한 쌍의 고정부(973)가 연장되어 있다. 삽입부(972)는 한 쌍의 고정부(973)의 사이에 배치되며, 이들은 서로 평행하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드통(921)의 후단으로부터, 스토퍼(970)의 삽입부(972)를 삽입한다. 삽입부(972)의 선단을 허브(940)의 후단에 충돌시켜 허브(940)를 전측으로 밀어넣음으로써, 허브(940)를 초기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970)의 기단부(971)의 하면측에, 튜브(960)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허브(940)를 초기 위치 유지한 채로, 내침(950) 및 외침(930)을 환자의 혈관에 천자한다. 천자하는 동안, 허브(940)를 초기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서는, 실드(920)에 대해 스토퍼(970)가 변위하는 것을 막을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2개의 손가락으로, 스토퍼(970)의 기단부(971)를 상하 방향으로(도 18a의 화살표 H91 참조) 또는 수평 방향으로(도 18a의 화살표 H92 참조) 파지해도 되고, 혹은, 한 쌍의 고정부(973)를 수평 방향으로(도 18a의 화살표 H93 참조) 파지해도 된다. 혹은, 한 쌍의 고정부(973)를 한 쌍의 날개(929a, 929b)와 실드통(921) 사이에서 끼워 고정하도록 한 쌍의 날개(929a, 929b)를 상방으로 절곡하여, 겹쳐진 한 쌍의 날개(929a, 929b)를 2개의 손가락으로 파지해도 된다.
그 후, 실드(920)로부터 스토퍼(970)를 빼내고, 계속해서 실드(920)로부터 튜브(960)를 잡아당긴다. 이것에 의해, 튜브(960)와 함께 허브(940) 및 내침(950)이 실드(920)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하고,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침(950)이 실드(920) 내에 수납된다. 도 21에 나타낸 실드(920)에 대한 허브(940)의 위치를 「후퇴 위치」라고 부른다. 이 상태로 점착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유치침 장치(910)를 환자에 고정한다. 연질의 외침(930) 만이 환자에 천자된 상태로 유치된다.
일본국 특허 제4506834호 명세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유치침 장치(900)에서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침(950)을 실드(920) 내에 수납하기 위해, 실드(920)에 대해 튜브(960)를 잡아당기는 조작이 필요하다. 이 조작에 앞서 또는 이것과 동시에, 스토퍼(970)를 실드(920)로부터 빼내는(제거한다) 일이 필요하다. 스토퍼(970)는 천자할 때에 허브(940)를 초기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스토퍼(970)를 빼내는 것 만으로는 내침(950)을 후퇴시킬 수 없다.
그런데, 스토퍼(970) 만을 실드(920)로부터 빼냄으로써, 내침(950)이 실드(920) 내에 수납되었다고 착각하여, 튜브(960)를 잡아당기는 것을 잊어 버린다는 오조작을 할 위험이 있다. 그 결과, 외침(930)의 선단으로부터 내침(950)이 돌출된 상태로 환자에 유치되므로, 경질의 내침(950)의 선단이 환자의 혈관을 손상시켜 버릴 가능성이 있다.
천자할 때의 유치침 장치(900)의 파지 방법은 작업자에 따라 다양하지만, 파지 방법에 따라서는, 그 후 튜브(960)를 잡아 당기기 위해서 파지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어, 작업이 번잡해진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천자 후에 스토퍼 만을 빼내고, 내침을 실드 내에 수납하는 것을 잊어 버린다는 오조작이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천자할 때와 내침을 실드 내에 수납할 때에 파지 위치를 변경할 필요성을 저감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유치침 장치는, 내강을 가지는 실드와, 상기 실드의 전단에 고정된 연질의 외침과, 상기 실드의 상기 내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실드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허브와, 상기 허브의 전단에 고정된 경질의 내침과, 상기 허브의 후단에 접속된 튜브와, 상기 실드의 상기 내강에, 상기 실드의 후단으로부터 넣고 빼지는 스토퍼를 구비한다. 상기 허브가 상기 실드의 상기 내강의 전단측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내침이 상기 외침을 관통하여 상기 외침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초기 위치와, 상기 허브가 상기 실드의 상기 내강의 후단측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내침이 상기 실드의 상기 내강 내에 수납되는 후퇴 위치로 상기 허브가 변위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실드의 상기 내강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후단에 설치된 기부(基部)를 구비한다. 상기 삽입부를 상기 실드의 상기 내강 내에 삽입하고 또한 그 선단을 상기 초기 위치에 있는 상기 허브에 맞닿게 했을 때에, 상기 기부는 상기 실드 밖에 위치한다. 상기 기부는, 상기 튜브의 외주면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나머지를 덮는 루프부와, 상기 튜브를 사이에 끼고 배치되며, 상기 튜브를 파지하도록 탄성적으로 변위할 수 있는 한 쌍의 협지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부가 루프부와 한 쌍의 협지부를 구비하므로, 유치침 장치를 천자 후, 기부를 파지하여 스토퍼를 실드로부터 빼내면, 스토퍼와 함께 튜브를 잡아당길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 만을 빼내고, 내침을 실드 내에 수납하는 것을 잊어 버린다는 오조작이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기부를 파지하여 유치침 장치를 천자한 경우에는, 그 후, 파지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내침을 실드 내에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유치침 장치를 사용할 때의 일련의 작업을 신속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된 유치침 장치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된 유치침 장치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의 2-2선을 포함하는 수직면을 따른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된 유치침 장치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된 유치침 장치에 이용되는 허브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3B-3B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허브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3c는 도 3a의 3C-3C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허브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된 유치침 장치에 이용되는 스토퍼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4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4c는 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a의 5-5선을 포함하는 수직면을 따른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된 유치침 장치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된 유치침 장치를 천자할 때의 대표적인 파지 위치를 나타낸 도이며, 도 6a는 측면도, 도 6b는 평면도이다.
도 7은, 허브가 후퇴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된 유치침 장치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8-8선을 포함하는 수직면을 따른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된 유치침 장치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련된 유치침 장치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련된 유치침 장치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a의 10-10선을 포함하는 수직면을 따른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련된 유치침 장치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련된 유치침 장치에 이용되는 스토퍼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1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1c는 그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9a의 12-12선을 포함하는 수직면을 따른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련된 유치침 장치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련된 유치침 장치를 천자할 때의 대표적인 파지 위치를 나타낸 도이며, 도 13a는 측면도, 도 13b는 평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련된 유치침 장치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련된 유치침 장치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a의 15-15선을 포함하는 수직면을 따른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련된 유치침 장치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련된 유치침 장치에 이용되는 스토퍼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6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6c는 그 평면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련된 유치침 장치를 천자할 때의 대표적인 파지 위치를 나타낸 도이며, 도 17a는 측면도, 도 17b는 평면도이다.
도 18a는, 종래의 유치침 장치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8b는, 종래의 유치침 장치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a의 19-19선을 포함하는 수직면을 따른 종래의 유치침 장치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낸 종래의 유치침 장치에 사용되는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내침이 실드 내에 수납된,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낸 종래의 유치침 장치의, 도 19과 동일한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의 유치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협지부가 상기 튜브를 사이에 끼는 방향 및 상기 삽입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협지부의 치수는, 상기 루프부의 치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협지부로 유치침 장치나 스토퍼를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측으로부터, 상기 루프부 및 상기 한 쌍의 협지부가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협지부를 스토퍼의 후단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것은 한 쌍의 협지부를 탄성적으로 변위시키는데 유리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협지부가 상기 튜브를 사이에 끼는 방향 및 상기 삽입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가, 상기 삽입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낮아지도록, 상기 루프부의 상면이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협지부의 상면도 마찬가지로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협지부를 파지하여 유치침 장치를 천자한 경우에, 그 후, 스토퍼를 실드로부터 빼내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 루프부는, 상기 튜브의 외주면의 일부를 상기 루프부로부터 돌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루프부를 상하 방향으로 파지한 경우에, 루프부와 함께 튜브를 확실히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를 실드로부터 빼냄과 동시에, 내침을 실드 내에 확실히 수납할 수 있다.
상기 루프부에 상기 튜브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루프부에서 튜브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루프부는, 상기 한 쌍의 협지부가 상기 튜브를 사이에 끼는 방향 및 상기 삽입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튜브의 외주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기부를 상하 방향으로 파지한 경우에, 기부와 함께 튜브를 파지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삽입부를 사이에 끼고 배치된 한 쌍의 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튜브를 파지하도록 상기 한 쌍의 협지부를 탄성적으로 변위시켰을 때, 상기 한 쌍의 고정부가 상기 삽입부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삽입부를 실드 내에 삽입할 때, 및, 스토퍼를 실드로부터 빼낼 때에, 한 쌍의 협지부를 파지함으로써 고정부와 실드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삽입부를 사이에 끼고 배치된 한 쌍의 고정부와, 상기 한 쌍의 협지부와 상기 한 쌍의 고정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가교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가교부를 서로 접근하도록 탄성적으로 변위시켰을 때, 상기 튜브를 파지하도록 상기 한 쌍의 협지부가 변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천자와 그 후의 내침의 수납 작업을 파지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행할 수 있는 파지 방법의 종류수가 증가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교부를 서로 접근하도록 탄성적으로 변위시켰을 때, 또한, 상기 한 쌍의 고정부는 상기 삽입부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변위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삽입부를 실드 내에 삽입할 때, 및, 스토퍼를 실드로부터 빼낼 때에, 한 쌍의 가교부를 파지함으로써 고정부와 실드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을 적합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참조하는 각 도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구성 부재 중,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필요한 주요 부재 만을 간략화해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각 도에 나타내고 있지 않은 임의의 구성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이하의 각 도면 중의 부재의 치수는, 실제의 구성 부재의 치수 및 각 부재의 치수 비율 등을 충실히 나타낸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a는, 허브가 초기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된 유치침 장치(10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치침 장치(100)의 길이 방향을 Z축, Z축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축 및 상하 방향축을 각각 X축 및 Y축으로 하는 직교 좌표계를 설정한다. Y축의 화살표의 측(즉, 도 1a 및 도 1b의 지면의 상측)을 「상측」, 이것과 반대측을 「하측」이라고 부른다. 단,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은, 유치침 장치(100)의 실제의 사용 시의 방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환자에 천자하는 측(Z축의 화살표의 측, 즉, 도 1a 및 도 1b의 지면의 좌측)을 「전측」, 이것과 반대측을 「후측」이라고 부른다. 도 2는, 도 1a의 2-2선을 포함하는 수직면(YZ면)을 따른 유치침 장치(100)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유치침 장치(100)는, 실드(20)를 구비한다. 실드(20)는, 실드통(21)과, 실드통(21)의 일단(전단)에 고정된 외측 허브(25)를 가진다. 실드통(21)은, 내경이 일정한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진다. 실드통(21)의 외측 허브(25)와는 반대측단(후단) 근방의 내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는 걸림 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허브(25)는 대략 깔때기형상을 가지며, 그 실드통(21)과는 반대측단(전단)에 연질의 외침(30)이 고정되어 있다. 외침(30)은 대략 원통형상을 가진다. 실드통(21) 및 외측 허브(25)의 재료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경질 재료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실드통(21) 및 외측 허브(25)가 투명 또는 투광성을 가지면, 그 내강 내의 혈액이나 허브(40)를 투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외침(30)의 재료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연질 재료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등의 불소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외침(30)이 투명 또는 투광성을 가지면, 그 내강 내의 혈액이나 내침(50)을 투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 허브(25) 및 외침(30)을, 상기의 연질 재료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참조 부호(29a, 29b)는, X축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 날개이다. 날개(29a, 29b)는, 대략 원통형상의 고정 부재(28)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 부재(28)를 실드통(21)의 외측 허브(25) 측단 근방의 외주면에 외장함으로써, 날개(29a, 29b)가 실드(20)에 장착되어 있다. 날개(29a, 29b)의 재료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연질 재료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염화 비닐, 폴리에틸렌, 올레핀계 또는 폴리스티렌계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날개(29a, 29b)는, 실드(20)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실드(20)의 내강 내에는 허브(40)가, 실드(20)의 길이 방향(즉, Z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허브(40)의 전단에는 금속제의 경질의 내침(50)이 고정되어 있다. 내침(50)은 대략 원통형상을 가지며, 그 선단은 예리하게 가공되어 있다. 허브(40)의 후단에는 수지제의 유연한 튜브(60)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튜브(60)의 타단은, 예를 들면 혈액 투석을 행하기 위한 혈액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허브(40)의 외주면에 O링(49)이 장착되어 있다. O링(49)은 실드통(21)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실드(20)의 내강에 있어서, O링(49)보다 외침(30)측의 혈액이 O링(49)보다 튜브(60)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막는다. 허브(40)의 재료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경질 재료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튜브(60)의 재료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연질 재료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염화 비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a는 허브(40)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3B-3B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허브(40)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3c는 도 3a의 3C-3C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허브(40)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b의 단면과 도 3c의 단면과는 서로 직교한다. 허브(40)는, 일단(전단)에, 원뿔면형상의 외면을 가지는 전부(41)를 가지며, 타단에 원통면형상의 외면을 가지는 후부(42)를 가진다. 종관로(43)가, 허브(40)의 중심축(40a)을 따라 전부(41)로부터 후부(42)까지 허브(40)를 세로로 관통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침(50)은, 전부(41)측으로부터 종관로(43) 내에 삽입되어, 허브(40)에 유지된다. 후부(42)가 튜브(60) 내에 삽입되어, 허브(40)와 튜브(60)가 접속된다. 이렇게 해서, 내침(50)과 튜브(60)는, 허브(40)의 종관로(43)를 통해서 연통된다.
전부(41)와 후부(42)의 사이의, 허브(40)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는 환상 홈(44)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상 홈(44)에 O링(49)이 장착된다.
허브(40)의 외주면에, 환상 홈(44)과 전부(41) 사이에, 환상 홈(44)측으로부터 경대부(徑大部)(45) 및 경소부(徑小部)(46)가 이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경소부(46)는 전부(41)에 인접하고, 경소부(46)의 외경은, 전부(41)의 최대 반경과 거의 동일하며, 또한, 경대부(45)의 외경보다 작다. 전부(41), 경소부(46), 및 경대부(45)에는, 이들을 직경 방향(중심축(40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로로 관통하는 횡관로(橫貫路)(47)가 형성되어 있다. 횡관로(47)는, 종관로(43)와 교차하며 또한 연통하고 있다.
후부(42)의 주위에, 한쪽 지지되는 4개의 탄성편(48)이, 허브(40)의 중심축(40a)에 대해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탄성편(48)은, 허브(40)의 중심축(40a)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탄성편(48)의 후부(42)와는 반대측의 면에는, 끼워맞춤홈(48a)과 테이퍼면(48b)이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홈(48a)은, 허브(40)의 둘레 방향을 따른 오목부(홈)이다. 테이퍼면(48b)은, 끼워맞춤홈(48a)에 대해 탄성편(48)의 자유단측에 인접하며, 끼워맞춤홈(48a)측에서 외경이 큰 원뿔면의 일부를 이룬다.
도 1a, 도 1b, 도 2에서는, 허브(40)는 실드(20)의 내강의 전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실드(20)에 대한 허브(40)의 이 위치를 본 발명에서는 「초기 위치」라고 부른다. 초기 위치에서는, 허브(40)에 유지된 내침(50)은 외침(30)을 관통하고, 그 선단은 외침(30)의 선단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허브(40)를 초기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스토퍼(170)가 이용된다. 도 4a는 스토퍼(17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4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4c는 그 평면도이다. 스토퍼(170)는, 삽입부(172)와, 한 쌍의 고정부(173)와, 기부(180)를 구비한다.
기부(180)의 뒤측의 부분은, 그 후단으로부터 형성된 슬릿(186)에 의해 한 쌍의 협지부(185)로 분할되어 있다. 한 쌍의 협지부(185)는, X축방향에 대향하여, 서로 접근하는 방향 D2(도 4c 참조)로 탄성적으로 변위할 수 있다.
기부(180)의, 슬릿(186)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전측의 부분을 루프부(183)라고 부른다.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프부(183)의 하측에는, 삽입부(172)와 슬릿(186)을 일직선상으로 연결하는 Z축방향을 따른 홈(184)이 형성되어 있다.
기부(180)의 상하 방향(Y축방향) 치수는, 루프부(183)보다 협지부(185)가 크다. 이 치수차가 완만하게 변화하도록, 루프부(183) 및 협지부(185)의 상면에는, 삽입부(172)에 가까워짐에 따라 낮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172)는 한 쌍의 고정부(173)의 사이에 배치되며, 삽입부(172) 및 한 쌍의 고정부(173)는 루프부(183)로부터 전측을 향해 Z축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삽입부(172)의, 그 길이 방향에 수직인 면(즉, XY면에 평행한 면)을 따른 단면은, 하측이 개방된 대략 U자형 형상을 가진다. 고정부(173)는, YZ면과 평행한 주면을 가지는 판상체이다.
도 1a, 도 1b,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드통(21)의 후단으로부터, 스토퍼(170)의 삽입부(172)를 실드통(21)의 내강 내에 삽입한다. 스토퍼(170)를 실드(20) 내에 가능한 한 깊게 삽입하면, 삽입부(172)의 선단이 허브(40)의 탄성편(48)의 후단에 충돌하고, 허브(40)의 경대부(45)가 외측 허브(25)의 후단에 충돌하여, 허브(40)는 실드(20)의 내강 내의 초기 위치에 배치된다. 허브(40)에 접속된 튜브(60)는, 대략 U자 형상 단면을 가지는 삽입부(172), 루프부(183)의 하측의 홈(184), 및 협지부(185)의 사이의 슬릿(186)에 끼워진다. 스토퍼(170)의 한 쌍의 고정부(173)는, 실드(20)의 실드통(21)의 양측에 위치하고, 그 선단은 날개(29a, 29b)의 위치까지 이르고 있다. 스토퍼(170)의 기부(180)는, 실드통(21) 밖에 위치하고 있다.
도 5는, 루프부(183)를 통과하는 도 1a의 5-5선을 포함하는 수직면(XY면)을 따른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면을 간단화하기 위해, 단면보다 안쪽측에 보이는 부재를 생략한 단면도로서 그려져 있다. 루프부(183)의 홈(184)의 내주면은 대략 U자 형상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이 홈(184) 내에 튜브(60)가 끼워져 있다. 튜브(60)의 외주면 중 하방을 향한 일부가 노출되고, 나머지는 루프부(183)로 덮여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60)의 노출된 하측의 외주면의 일부는, 루프부(183)의 하면으로부터 미소하게 하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184)의 깊이(Y축 방향 치수)는, 튜브(6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이것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홈(184)의 폭(X축 방향 치수)은, 튜브(6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이것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 1의 유치침 장치(100)의 사용 방법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a, 도 1b,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침(50)이 외침(30)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내침(50) 및 외침(30)을 환자의 혈관에 천자한다. 천자할 때에 내침(50)은 반력을 받는다. 이 반력에 의해 내침(50) 및 이것을 유지하는 허브(40)가 외침(30) 및 실드(20)에 대해 후방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스토퍼(170)의 삽입부(172)는, 그 선단을 허브(40)의 후단(탄성편(48))에 맞닿게 하여, 허브(40)가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천자할 때에는, 작업자는, 스토퍼(170)가 실드(20)에 대해 이동하지 않도록 유치침 장치(100)를 파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파지 방법으로서, 대체로 이하의 4가지 방법을 들 수 있다.
제1 파지 방법에서는, 도 6a의 화살표 H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170)의 루프부(183)를, 2개의 손가락(예를 들면 엄지와 검지)으로 상하 방향(Y축 방향)으로 파지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프부(183)의 하측에 튜브(60)의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1 파지 방법에서는, 루프부(183)와 튜브(60)를 함께 파지할 수 있다.
제2 파지 방법에서는, 도 6b의 화살표 H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170)의 한 쌍의 협지부(185)를, 2개의 손가락으로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파지할 수 있다. 한 쌍의 협지부(185)의 파지의 방법으로서는, 엄지와 중지로 한 쌍의 협지부(185)를 파지하고 또한 검지를 실드(20)의 상면에 붙이는 방법이나, 엄지와 검지로 한 쌍의 협지부(185)를 파지하는 방법 등이 있지만, 전자는 유치침 장치(100)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 때의 파지력에 의해 한 쌍의 협지부(185)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도 4c의 화살표 D2 참조)으로 탄성적으로 변위하므로, 한 쌍의 협지부(185)가 그 사이의 튜브(60)를 협지한다. 따라서, 이 제2 파지 방법에서는, 한 쌍의 협지부(185)와 튜브(60)를 함께 파지할 수 있다.
제3 파지 방법에서는, 도 6b의 화살표 H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170)의 한 쌍의 고정부(173)를, 2개의 손가락(예를 들면 엄지와 검지)으로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파지할 수 있다. 이 때의 파지력에 의해, 한 쌍의 고정부(173)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탄성 변형하여 실드통(21)의 외주면에 밀착한다. 따라서, 이 제3 파지 방법에서는, 한 쌍의 고정부(173)와 실드통(21)을 함께 파지할 수 있다.
제4 파지 방법에서는, 날개(29a, 29b)를 상측으로 절곡하여 서로 겹치고, 2개의 손가락(예를 들면 엄지와 검지)으로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파지할 수 있다(도시를 생략). 이 때, 한 쌍의 고정부(173)는, 날개(29a, 29b)와 실드통(21)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따라서, 이 제4 파지 방법에서는, 날개(29a, 29b)에 더하여, 한 쌍의 고정부(173)와 실드통(21)을 함께 파지할 수 있다.
상기의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유치침 장치(100)를 파지하면서 내침(50) 및 외침(30)을 환자의 혈관 내에 천자한 후, 실드(20)로부터 스토퍼(170)를 빼내고, 이것과 동시에 또는 이것에 이어서, 실드(20)로부터 튜브(60)를 잡아당긴다. 이 조작의 상세는 후술한다. 튜브(60)의 전단에는 허브(40)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튜브(60)를 잡아당김으로써, 허브(40) 및 이것에 유지된 내침(50)이 실드(20)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한다.
실드통(21)의 후단 근방의 내주면에는 걸림 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허브(40)가 걸림 돌기(22)까지 이동하고, 허브(40)의 탄성편(48)의 외면에 형성된 테이퍼면(48b)이 걸림 돌기(22) 상을 슬라이딩한다. 이 때 탄성편(48)은 후부(42)측으로 탄성 변형한다. 그 다음에, 테이퍼면(48b)이 걸림 돌기(22)를 넘으면, 탄성편(48)이 탄성 회복하고, 끼워맞춤홈(48a)에 걸림 돌기(22)가 끼워진다. 끼워맞춤홈(48a)과 걸림 돌기(22)가 끼워맞춰졌을 때의, 실드(20)에 대한 허브(40)의 위치를 본 발명에서는 「후퇴 위치」라고 부른다.
도 7은, 허브(40)가 후퇴 위치에 있는 유치침 장치(10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8-8선을 포함하는 수직면(YZ면)을 따른 유치침 장치(100)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허브(40)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허브(40)의 끼워맞춤홈(48a)(도 3a, 도 3b, 도 3c를 참조)과 실드통(21)의 걸림 돌기(22)가 끼워맞춰져 있다. 또, 허브(40)에 유지된 내침(50)은 외침(30)으로부터 빼내어져, 실드(20)의 내강 내에 수납되어 있다.
초기 위치(도 1a, 도 1b, 도 2 참조)에 비하면, 후퇴 위치에서는, 외침(30) 내의 유로의 단면적은 내침(50)의 단면적분 만큼 증대하므로, 혈액의 유량이 증대한다. 또, 후퇴 위치에서는, 외침(30)으로부터 튜브(60)에 이르는 유로로서는, 내침(50)의 내강 및 허브(40)의 종관로(43)를 순서대로 통과하는 제1 유로와, 실드(20)의 내면과 내침(50) 및 허브(40)의 각 외면의 사이의 공간(12), 허브(40)의 횡관로(47), 및 허브(40)의 종관로(43)를 순서대로 통과하는 제2 유로의 2개가 있으므로, 큰 유량으로 혈액을 흐르게 할 수 있다.
이 상태로 날개(29a, 29b) 상으로부터 점착 테이프를 환자의 피부에 붙여 유치침 장치(100)를 환자에 고정한다. 외침(30) 만이 환자에 천자된 상태로 유치된다. 후퇴 위치에서는, 유연한 외침(30) 내에 경질의 내침(50)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환자가 움직이는 등에 의해, 환자에 대한 유치침 장치(100)의 자세가 만일 변화해도, 외침(30)이 환자의 혈관 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필요한 처치가 종료되면, 날개(29a, 29b)를 고정하는 점착 테이프를 환자로부터 떼고, 외침(30)을 환자로부터 뽑아 낸다. 실드(20)에 대해 튜브(60)를 밀거나 당겨도, 허브(40)의 끼워맞춤홈(48a)과 실드통(21)의 걸림 돌기(22)의 끼워맞춤 상태는 해제되지 않는다. 즉, 내침(50)을 외침(30)의 선단으로부터 재차 돌출시키거나, 허브(40)와 함께 내침(50)을 실드(20)로부터 뽑아 내거나 할 수는 없다. 따라서, 경질의 내침(50)을 잘못해서 천자하거나, 사용이 끝난 유치침 장치(10)를 잘못해서 재사용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사용이 끝난 유치침 장치(100)는 폐기된다.
내침(50) 및 외침(30)을 환자의 혈관 내에 천자한 후,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허브(40)를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초기 위치(도 1a, 도 1b, 도 2 참조)에 있는 허브(40)를 후퇴 위치(도 7, 도 8 참조)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실드(20)로부터 스토퍼(170)를 빼내는(제거한다) 일이 필요하다. 도 1a, 도 1b 상태로부터 스토퍼(170)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스토퍼(170)의 실드(20) 밖에 노출된 부분을 파지할 필요가 있다. 단, 한 쌍의 고정부(173)를 상기 서술한 제3 파지 방법(도 6b의 화살표 H13)과 마찬가지로 파지한 경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부(173)에 더하여 실드통(21)도 함께 파지되어 버리므로, 실드(20)로부터 스토퍼(170)를 제거할 수 없다. 따라서, 작업자는, 필연적으로 기부(180)를 파지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제1 파지 방법(도 6a의 화살표 H11)과 마찬가지로, 기부(180)의 루프부(183)를 상하 방향(Y축 방향)으로 파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루프부(183)와 튜브(60)를 함께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드(20)로부터 스토퍼(170)를 잡아당기면, 튜브(60)도 스토퍼(170)와 함께 잡아당길 수 있다.
혹은, 상기 서술한 제2 파지 방법(도 6b의 화살표 H12)과 마찬가지로, 기부(180)의 한 쌍의 협지부(185)를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파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협지부(185)가 탄성적으로 변위하여, 그 사이의 튜브(60)를 협지한다. 따라서, 실드(20)로부터 스토퍼(170)를 잡아당기면, 튜브(60)도 스토퍼(170)와 함께 잡아당길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기부(180)를 상하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파지하여 실드(20)로부터 뽑아 내면, 스토퍼(170)와 함께 튜브(60)도 잡아당길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서술한 종래의 유치침 장치(900)에서는, 본 실시 형태 1의 슬릿(186)에 상당하는 형상이 기단부(971)에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단부(971)를 수평 방향으로 파지한 경우(도 18a의 화살표 H92 참조)에는, 스토퍼(970)와 함께 튜브(960)를 파지할 수 없다. 따라서, 허브(940) 및 내침(950)의 위치는 그대로, 스토퍼(970) 만을 실드(920)로부터 빼내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튜브(960)를 잡아당겨 내침(950)을 실드(920) 내에 수납하는 것을 잊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종래의 유치침 장치(900)와 달리, 기부(180)를 상하 방향(도 6a의 화살표 H11 참조) 및 수평 방향(도 6a의 화살표 H12 참조)중 어느 방향으로 파지한 경우여도, 스토퍼(170)를 빼내는 조작을 행하면, 이것과 동시에 허브(40)를 후퇴 위치(도 7, 도 8 참조)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천자 후에 스토퍼(170) 만을 빼내고 내침(50)을 실드(20) 내에 수납하는 것을 잊어 버린다는 오조작이 발생할 가능성이 저감된다.
또, 상기 서술한 종래의 유치침 장치(900)에서는, 기단부(971)를 수평 방향(도 18a의 화살표 H92 참조)으로 파지하여 천자한 경우에는, 그 후, 내침(950)을 실드(920) 내에 수납할 때에, 파지 위치를 바꿀 필요가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기부(180)를 상하 방향으로(제1 파지 방법, 도 6a의 화살표 H11 참조) 또는 수평 방향으로(제2 파지 방법, 도 6b의 화살표 H12 참조) 파지하여 내침(50) 및 외침(30)을 천자한 경우에는, 그 후, 파지 위치를 바꾸지 않고 내침(50)을 실드(20)에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일련의 작업을 신속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60)의 외주면의 일부가, 루프부(183)의 하면으로부터 미소하게 하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이것은, 제1 파지 방법(도 6a의 화살표 H11 참조)의 경우에, 스토퍼(170)에 대해 튜브(60)가 미끄러지지 않고, 양자를 일체적으로 파지하는데 유리하다. 따라서, 내침(50)을 실드(20) 내에 수납하는 것을 잊어 버린다는 오조작을 할 가능성을 더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예에서는, 도 4a, 도 4b,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협지부(185)의 상하 방향(Y축 방향) 치수는, 루프부(183)의 치수보다 크다. 이것은, 제2 파지 방법(도 6b의 화살표 H12 참조)의 경우에, 스토퍼(170)를 포함하는 유치침 장치(100)를 안정적으로 파지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상기 서술한 예에서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프부(183)의 상면이 협지부(185)로부터 삽입부(172)에 가까워짐에 따라 서서히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것은, 제2 파지 방법(도 6b의 화살표 H12 참조)의 경우에, 스토퍼(170)를 실드(20)로부터 빼내는 조작을 행하는데 유리하다. 즉, 제2 파지 방법에서는, 엄지와 중지로 한 쌍의 협지부(185)를 파지하면서, 검지를 실드통(21)의 후단(21r)(도 2, 도 6a 참조)에 대고, 검지로 실드통(21)을 전방으로 밀어내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스토퍼(170)를 실드(20)로부터 빼낼 수 있다. 이 때, 루프부(183)의 상면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경사져 있으면, 도 2, 도 6a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루프부(183)의 상면에 대해 실드통(21)의 후단(21r)을 상대적으로 돌출시킬 수 있으므로, 실드통(21)의 후단(21r)에 검지로 힘을 인가하기 쉽다.
상기 서술한 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184)의 폭(X축 방향 치수)은, 튜브(6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이것보다 작다. 이것에 의해, 튜브(60)가 홈(184)의 내주면에 의해 X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축 변형되어, 튜브(60)와 스토퍼(170) 사이의 미끄러짐이 저감된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170)를 실드(20)로부터 빼낼 때에, 스토퍼(170)와 함께 튜브(60)를 잡아당길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예에서는, 삽입부(172)의 측으로부터, 루프부(183) 및 협지부(185)가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협지부(185)를 스토퍼(170)의 후단에 배치하고, 한쪽 지지 구조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협지부(185)의 탄성 변위량을 용이하게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기부(180)를 수평 방향(도 6a의 화살표 H12 참조)으로 파지한 경우에, 한 쌍의 협지부(185)에 의해 튜브(60)를 보다 확실히 협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본 실시 형태 2의 유치침 장치(200)는, 스토퍼의 구성에 관해서 실시 형태 1의 유치침 장치(100)와 상이하다. 이하의 설명에서 참조하는 도면에 있어서, 실시 형태 1의 유치침 장치(100)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실시 형태 1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 형태 2의 유치침 장치(200)를 설명한다.
도 9a는, 허브(40)가 초기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련된 유치침 장치(20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9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a의 10-10선을 포함하는 수직면(YZ면)을 따른 유치침 장치(200)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도, 허브(40)를 초기 위치에 배치하고 또한 유지하기 위해, 스토퍼(270)가 이용된다. 도 11a는 스토퍼(27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1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1c는 그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 2의 스토퍼(270)는, 대략 U자 형상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삽입부(172)와, 판형상의 한 쌍의 고정부(173)와, 기부(280)를 구비한다.
기부(280)의 뒤측의 부분은, 그 후단으로부터 형성된 슬릿(286)에 의해 한 쌍의 협지부(285)로 분할되어 있다. 한 쌍의 협지부(285)는, X축 방향에 대향하여, 서로 접근하는 방향 D22(도 11c 참조)로 탄성적으로 변위할 수 있다.
기부(280)의, 슬릿(286)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전측의 부분을 루프부(283)라고 부른다.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프부(283)의 하측에는, 삽입부(172)와 슬릿(286)을 일직선상으로 연결하는 Z축 방향을 따른 홈(284)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기부(280)의 상하 방향(Y축 방향) 치수가, 루프부(283)보다 협지부(285)에 있어서 커도 된다. 또, 루프부(283)의 상면(또한 협지부(285)의 상면)이, 삽입부(172)에 가까워짐에 따라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어도 된다.
삽입부(172)는, 루프부(183)로부터 전측을 향해 Z축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한편, 한 쌍의 고정부(173)는, 실시 형태 1과 달리, 한 쌍의 협지부(285)로부터 Z축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협지부(285)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 D22로 변위하면, 한 쌍의 고정부(173)의 전측단은 서로 이격하는 방향 D23으로 변위한다.
도 9a, 도 9b,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드통(21)의 후단으로부터, 스토퍼(270)의 삽입부(172)를 실드통(21)의 내강 내에 삽입한다.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삽입부(172)의 선단으로 허브(40)를 전측으로 밀어넣어, 허브(40)를 실드(20)의 내강 내의 초기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허브(40)에 접속된 튜브(60)는, 대략 U자 형상 단면을 가지는 삽입부(172), 루프부(283)의 하측의 홈(284), 및 협지부(285)의 사이의 슬릿(286)에 끼워진다. 기부(280)는, 실드통(21) 밖에 위치하고 있다.
도 12는, 루프부(283)를 통과하는 도 9a의 12-12선을 포함하는 수직면(XY면)을 따른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면을 간단화하기 위해, 단면보다 안쪽측에 보이는 부재를 생략한 단면도로서 그려져 있다. 루프부(283)의 홈(284)의 내주면은 대략 U자 형상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이 홈(284) 내에 튜브(60)가 끼워져 있다. 튜브(60)의 외주면 중 하방을 향한 일부가 노출되고, 나머지는 루프부(283)로 덮여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60)의 노출된 하측의 외주면의 일부는, 루프부(283)의 하면으로부터 미소하게 하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 2의 유치침 장치(200)의 사용 방법은 실시 형태 1의 유치침 장치(100)와 동일하다.
즉, 허브(40)를 초기 위치(도 9a, 도 9b, 도 10 참조)에 유지하면서, 내침(50) 및 외침(30)을 환자의 혈관에 천자한다. 이 때의 유치침 장치(200)의 파지 방법으로서는,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제1~제4 파지 방법과 동일한 파지 방법이 가능하다. 유치침 장치(200)의 대표적인 파지 위치를 도 13a, 도 13b에 나타낸다. 제1 파지 방법에서는, 도 13a의 화살표 H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270)의 루프부(283)를, 2개의 손가락으로 상하 방향(Y축 방향)으로 파지할 수 있다. 제2 파지 방법에서는, 도 13b의 화살표 H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270)의 한 쌍의 협지부(285)를, 2개의 손가락으로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파지할 수 있다. 제3 파지 방법에서는, 도 13b의 화살표 H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270)의 한 쌍의 고정부(273)를, 2개의 손가락으로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파지할 수 있다. 제4 파지 방법에서는, 날개(29a, 29b)를 상측으로 절곡하여 서로 겹치고, 2개의 손가락으로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파지할 수 있다(도시를 생략).
내침(50) 및 외침(30)을 환자의 혈관 내에 천자한 후, 허브(40)를 후퇴 위치(도 7, 도 8 참조)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서는, 실드(20)로부터 스토퍼(270)를 빼내고, 또한, 실드(20)로부터 튜브(60)를 잡아당길 필요가 있다. 실드(20)로부터 스토퍼(270)를 빼내려면,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작업자는 기부(280)를 파지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지 방법(도 13a의 화살표 H21)과 마찬가지로, 기부(280)의 루프부(283)를 상하 방향(Y축 방향)으로 파지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프부(283)의 하측에 튜브(60)의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루프부(283)와 튜브(60)를 함께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드(20)로부터 스토퍼(270)를 잡아당기면, 튜브(60)도 스토퍼(270)와 함께 잡아당길 수 있다.
혹은, 제2 파지 방법(도 13b의 화살표 H22)과 마찬가지로, 기부(280)의 한 쌍의 협지부(285)를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파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협지부(285)가 탄성적으로 변위하여, 그 사이의 튜브(60)를 협지한다. 따라서, 실드(20)로부터 스토퍼(270)를 잡아당기면, 튜브(60)도 스토퍼(270)와 함께 잡아당길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기부(280)를 상하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파지하여 실드(20)로부터 뽑아 내면, 스토퍼(270)와 함께 튜브(60)도 잡아당길 수 있다. 따라서, 천자 후에 스토퍼(270) 만을 빼내고 내침(50)을 실드(20) 내에 수납하는 것을 잊어 버린다는 오조작이 발생할 가능성이 저감된다.
또, 기부(280)를 상하 방향으로(제1 파지 방법, 도 13a의 화살표 H21 참조) 또는 수평 방향으로(제2 파지 방법, 도 13b의 화살표 H22 참조) 파지하여 내침(50) 및 외침(30)을 천자한 경우에는, 그 후, 파지 위치를 바꾸지 않고 내침(50)을 실드(20)에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일련의 작업을 신속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2의 스토퍼(270)에서는, 도 11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협지부(285)의 방향 D22으로의 탄성적인 변위에 연동하여, 한 쌍의 고정부(173)를 방향 D23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파지 방법(도 13b의 화살표 H22 참조)으로 파지함으로써, 삽입부(172)를 실드(20) 내에 삽입할 때, 및, 스토퍼(270)를 실드(20)로부터 빼낼 때에, 고정부(173)와 실드(20)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2는,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각종 변경예는, 본 실시 형태 2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본 실시 형태 3의 유치침 장치(300)는, 스토퍼의 구성에 관해서 실시 형태 1의 유치침 장치(100)와 상이하다. 이하의 설명에서 참조하는 도면에 있어서, 실시 형태 1의 유치침 장치(100)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실시 형태 1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 형태 3의 유치침 장치(300)를 설명한다.
도 14a는, 허브(40)가 초기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련된 유치침 장치(30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4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a의 15-15선을 포함하는 수직면(YZ면)을 따른 유치침 장치(300)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 형태 3에 있어서도, 허브(40)를 초기 위치에 배치하고 또한 유지하기 위해, 스토퍼(370)가 이용된다. 도 16a는 스토퍼(37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6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6c는 그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 3의 스토퍼(370)는, 대략 U자 형상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삽입부(172)와, 판형상의 한 쌍의 고정부(173)와, 기부(380)와, 한 쌍의 가교부(390)를 구비한다.
기부(380)의 뒤측의 부분은, 그 후단으로부터 형성된 슬릿(386)에 의해 한 쌍의 협지부(385)로 분할되어 있다. 한 쌍의 협지부(385)는, X축 방향에 대향하여, 서로 접근하는 방향 D32(도 16c 참조)로 탄성적으로 변위할 수 있다.
기부(380)의, 슬릿(386)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전측의 부분을 루프부(383)라고 부른다. 루프부(383) 및 협지부(385)의 상면은, 삽입부(172)에 가까워짐에 따라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프부(383)의 하측에는, 삽입부(172)와 슬릿(386)을 일직선상으로 연결하는 Z축 방향을 따른 홈(384)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172)는 한 쌍의 고정부(173)의 사이에 배치되며, 삽입부(172) 및 한 쌍의 고정부(173)는 루프부(383)로부터 전측을 향해 Z축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도 1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교부(390)는, 협지부(385)의 후단과 고정부(173)의 전단의 근방을 연결하고 있다. 가교부(390)는, 고정부(173)에 대해 삽입부(172)와는 반대측에 배치되며, 루프부(383)로부터 X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X축 방향의 외측에 아치형상으로 팽창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가교부(390)는 협지부(385)의 후단에 접속되어 있지만, 협지부(385)의 후단 근방의 위치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도 16c에 있어서 화살표 H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협지부(385)의 후단 부분(또는 한 쌍의 가교부(390)의 후단 부분 혹은 그 근방)을 수평 방향으로 가압하면, 한 쌍의 협지부(385)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 D32로 탄성적으로 변위한다. 가교부(390)가 협지부(385)와 고정부(173)를 연결하고 있으므로, 한 쌍의 협지부(385)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 D32로 변위하면, 한 쌍의 고정부(173)의 전측단은 서로 이격하는 방향 D33으로 탄성적으로 변위한다.
또, 도 16c에 있어서 화살표 H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가교부(390)의 Z축 방향의 중앙 부분 또는 그 근방을 수평 방향으로 가압하면, 가압력이 가교부(390)를 통하여 협지부(385)에 전달되고, 한 쌍의 협지부(385)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 D32로 탄성적으로 변위한다. 동시에, 가교부(390)가 협지부(385)와 고정부(173)를 연결하고 있으므로, 상기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고정부(173)의 전측단은 서로 이격하는 방향 D33으로 탄성적으로 변위한다.
도 14a, 도 14b,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드통(21)의 후단으로부터, 스토퍼(370)의 삽입부(172)를 실드통(21)의 내강 내에 삽입한다.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삽입부(172)의 선단으로 허브(40)를 전측으로 밀어넣어, 허브(40)를 실드(20)의 내강 내의 초기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허브(40)에 접속된 튜브(60)는, 대략 U자 형상 단면을 가지는 삽입부(172), 루프부(383)의 하측의 홈(384), 및 협지부(385)의 사이의 슬릿(386)에 끼워진다. 기부(380)는, 실드통(21) 밖에 위치하고 있다.
도시를 생략하지만, 루프부(383)의 XY면을 따른 단면형상은, 실시 형태 1의 루프부(183)의 XY면을 따른 단면형상(도 5 참조)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루프부(383)의 홈(384)의 내주면은 대략 U자 형상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이 홈(384) 내에 튜브(60)가 끼워진다. 튜브(60)의 외주면 중 하방을 향한 일부가 노출되고, 나머지는 루프부(383)로 덮인다.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튜브(60)의 노출된 하측의 외주면의 일부는, 루프부(383)의 하면으로부터 미소하게 하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 3의 유치침 장치(300)의 사용 방법은 실시 형태 1의 유치침 장치(100)와 거의 동일하다.
즉, 허브(40)를 초기 위치(도 14a, 도 14b, 도 15 참조)에 유지하면서, 내침(50) 및 외침(30)을 환자의 혈관에 천자한다. 이 때의 유치침 장치(300)의 파지 방법으로서는,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제1~제4 파지 방법과 거의 동일한 파지 방법이 가능하다. 유치침 장치(300)의 대표적인 파지 위치를 도 17a, 도 17b에 나타낸다. 제1 파지 방법에서는, 도 17a의 화살표 H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370)의 루프부(383)를, 2개의 손가락으로 상하 방향(Y축 방향)으로 파지할 수 있다. 제2 파지 방법에서는, 도 17b의 화살표 H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370)의 한 쌍의 협지부(385)의 후단 부분(또는 한 쌍의 가교부(390)의 후단 부분 혹은 그 근방)을, 2개의 손가락으로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파지할 수 있다. 제3 파지 방법에서는, 도 17b의 화살표 H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370)의 한 쌍의 가교부(390)의 Z축 방향의 중앙 부분 또는 그 근방을, 2개의 손가락으로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파지할 수 있다. 제4 파지 방법에서는, 날개(29a, 29b)를 상측으로 절곡하여 서로 겹치고, 2개의 손가락으로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파지할 수 있다(도시를 생략).
내침(50) 및 외침(30)을 환자의 혈관 내에 천자한 후, 허브(40)를 후퇴 위치(도 7, 도 8 참조)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서는, 실드(20)로부터 스토퍼(370)를 빼내고, 또한, 실드(20)로부터 튜브(60)를 잡아당길 필요가 있다.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작업자는 기부(380)를 파지하여, 실드(20)로부터 스토퍼(370)를 빼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지 방법(도 17a의 화살표 H31)과 마찬가지로, 기부(380)의 루프부(383)를 상하 방향(Y축 방향)으로 파지할 수 있다.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프부(383)의 하측에 튜브(60)의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루프부(383)와 튜브(60)를 함께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드(20)로부터 스토퍼(370)를 잡아당기면, 튜브(60)도 스토퍼(370)와 함께 잡아당길 수 있다.
혹은, 제2 파지 방법(도 17b의 화살표 H32)과 마찬가지로, 기부(380)의 한 쌍의 협지부(385)의 후단 부분(또는 한 쌍의 가교부(390)의 후단 부분 혹은 그 근방)을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파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협지부(385)가 화살표 D32(도 16c 참조)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하여, 그 사이의 튜브(60)를 협지한다. 따라서, 실드(20)로부터 스토퍼(370)를 잡아당기면, 튜브(60)도 스토퍼(370)와 함께 잡아당길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제3 파지 방법(도 17b의 화살표 H33)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가교부(390)의 Z축 방향의 중앙 부분 또는 그 근방을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파지할 수 있다. 이 경우도, 한 쌍의 협지부(385)가 화살표 D32(도 16c 참조)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하여, 그 사이의 튜브(60)를 협지한다. 따라서, 실드(20)로부터 스토퍼(370)를 잡아당기면, 튜브(60)도 스토퍼(370)와 함께 잡아당길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기부(380)를 상하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파지하거나, 혹은 한 쌍의 가교부(390)를 수평 방향으로 파지하여, 실드(20)로부터 뽑아 내면, 스토퍼(370)와 함께 튜브(60)도 잡아당길 수 있다. 따라서, 천자 후에 스토퍼(370) 만을 빼내고 내침(50)을 실드(20) 내에 수납하는 것을 잊어 버린다는 오조작이 발생할 가능성이 저감된다.
또, 기부(380)를 상하 방향으로(제1 파지 방법, 도 17a의 화살표 H31 참조) 또는 수평 방향으로(제2 파지 방법, 도 17b의 화살표 H32 참조) 파지하여 내침(50) 및 외침(30)을 천자한 경우, 및, 한 쌍의 가교부(390)를 수평 방향으로(제3 파지 방법, 도 17b의 화살표 H33 참조) 파지하여 내침(50) 및 외침(30)을 천자한 경우에는, 그 후, 파지 위치를 바꾸지 않고 내침(50)을 실드(20)에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일련의 작업을 신속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3의 스토퍼(370)에서는, 도 16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협지부(385)의 방향 D32으로의 탄성적인 변위에 연동하여, 한 쌍의 고정부(173)를 방향 D33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파지 방법(도 13b의 화살표 H22 참조) 및 제3 파지 방법(도 17b의 화살표 H33 참조)으로 파지함으로써, 삽입부(172)를 실드(20) 내에 삽입할 때, 및, 스토퍼(370)를 실드(20)로부터 빼낼 때에, 고정부(173)와 실드(20)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3의 스토퍼(370)는, 한 쌍의 가교부(390)를 구비하므로, 제1~제3 중 어느 파지 방법이어도, 실드(20)로부터 스토퍼(370)를 빼냄과 동시에 내침(50)을 실드(20)에 수납할 수 있다. 천자와 그 후의 내침(50)의 수납 작업을 파지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행할 수 있는 파지 방법의 종류수가, 실시 형태 1, 2가 2가지 방법인 것에 반해,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3가지 방법으로 증가한다.
상기의 예에서는, 가교부(390)는 아치형상으로 외측으로 팽창한 형상을 가지고 있었지만, 가교부(390)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교부(390)를 파지함으로써, 적어도 한 쌍의 협지부(385)를 방향 D32로 탄성적으로 변위시킬 수 있으면, 예를 들면 직선형상, 삼각형형상, 사다리꼴형상 등의 임의의 형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의 예에서는, 한 쌍의 가교부(390)를 화살표 H33(도 16c 참조)의 방향으로 서로 접근하도록 변위시켰을 때, 한 쌍의 고정부(173)의 전측단은 서로 이격하는 방향 D33으로 변위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한 쌍의 가교부(390)를 변위시켰을 때, 한 쌍의 고정부(173)가 거의 변위하지 않는 설계나, 한 쌍의 고정부(173)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설계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 3은,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각종 변경예는, 본 실시 형태 3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 형태 1~3은 예시이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 1~3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스토퍼의 구성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실시 형태 1, 2에 나타낸 스토퍼(170, 270)에 있어서, 한 쌍의 고정부(173)를 생략해도 된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스토퍼(170, 270, 370)는,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좌우 대칭형상을 가지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좌우 비대칭형상이어도 된다.
한 쌍의 협지부가 삽입부와 루프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스토퍼의 기부가, 루프부 및 협지부 이외의 부분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후퇴 위치에 있는 허브(40)와 실드(20)의 끼워맞춤 구조는, 상기 이외의 구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혹은, 당해 끼워맞춤 구조를 생략해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이용 분야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수액, 수혈, 체외 혈액 순환 등의 처치를 행할 때의 유치침 장치로서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혈액 투석용의 유치침 장치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100, 200, 300 유치침 장치 20 실드
21 실드통 25 외측 허브
30 외침 40 허브
50 내침 60 튜브
170, 270, 370 스토퍼 172 삽입부
173 고정부 180, 280, 380 기부
183, 283, 383 루프부 184, 284, 384 홈
185, 285, 385 협지부 186, 286, 386 슬릿
390 가교부

Claims (9)

  1. 내강(內腔)을 가지는 실드와,
    상기 실드의 전단에 고정된 연질의 외침과,
    상기 실드의 상기 내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실드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허브와,
    상기 허브의 전단에 고정된 경질의 내침과,
    상기 허브의 후단에 접속된 튜브와,
    상기 실드의 상기 내강에, 상기 실드의 후단으로부터 넣고 빼지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허브가 상기 실드의 상기 내강의 전단측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내침이 상기 외침을 관통하여 상기 외침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초기 위치와, 상기 허브가 상기 실드의 상기 내강의 후단측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내침이 상기 실드의 상기 내강 내에 수납되는 후퇴 위치로 상기 허브가 변위하는 유치침(留置針) 장치로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실드의 상기 내강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후단에 설치된 기부(基部)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를 상기 실드의 상기 내강 내에 삽입하고 또한 그 선단을 상기 초기 위치에 있는 상기 허브에 맞닿게 했을 때에, 상기 기부는 상기 실드 밖에 위치하고,
    상기 기부는, 상기 튜브의 외주면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나머지를 덮는 루프부와, 상기 튜브를 사이에 끼고 배치되며, 상기 튜브를 파지하도록 탄성적으로 변위할 수 있는 한 쌍의 협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치침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협지부가 상기 튜브를 사이에 끼는 방향 및 상기 삽입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협지부의 치수는, 상기 루프부의 치수보다 큰, 유치침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 측으로부터, 상기 루프부 및 상기 한 쌍의 협지부가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유치침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협지부가 상기 튜브를 사이에 끼는 방향 및 상기 삽입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가, 상기 삽입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낮아지도록, 상기 루프부의 상면이 경사져 있는, 유치침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루프부는, 상기 튜브의 외주면의 일부를 상기 루프부로부터 돌출시키는, 유치침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루프부에 상기 튜브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유치침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루프부는, 상기 한 쌍의 협지부가 상기 튜브를 사이에 끼는 방향 및 상기 삽입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튜브의 외주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유치침 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삽입부를 사이에 끼고 배치된 한 쌍의 고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튜브를 파지하도록 상기 한 쌍의 협지부를 탄성적으로 변위시켰을 때, 상기 한 쌍의 고정부가 상기 삽입부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유치침 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삽입부를 사이에 끼고 배치된 한 쌍의 고정부와, 상기 한 쌍의 협지부와 상기 한 쌍의 고정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가교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가교부를 서로 접근하도록 탄성적으로 변위시켰을 때, 상기 튜브를 파지하도록 상기 한 쌍의 협지부가 변위하는, 유치침 장치.
KR1020147000307A 2011-06-07 2011-12-02 유치침 장치 KR1015723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27538A JP5790972B2 (ja) 2011-06-07 2011-06-07 留置針装置
JPJP-P-2011-127538 2011-06-07
PCT/JP2011/077935 WO2012169091A1 (ja) 2011-06-07 2011-12-02 留置針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433A KR20140018433A (ko) 2014-02-12
KR101572394B1 true KR101572394B1 (ko) 2015-11-26

Family

ID=47295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307A KR101572394B1 (ko) 2011-06-07 2011-12-02 유치침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65882B2 (ko)
EP (1) EP2719417B1 (ko)
JP (1) JP5790972B2 (ko)
KR (1) KR101572394B1 (ko)
CN (1) CN103608064B (ko)
WO (1) WO20121690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23249B2 (en) 2009-08-14 2012-12-0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Integrated vascular delivery system
WO2011146769A2 (en) 2010-05-19 2011-11-24 Tangent Medic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vascular delivery system
WO2011146772A1 (en) 2010-05-19 2011-11-24 Tangent Medical Technologies Llc Safety needle system operable with a medical device
JP5790972B2 (ja) 2011-06-07 2015-10-07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留置針装置
JP5854271B2 (ja) * 2012-02-17 2016-02-09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留置針装置
EP2857059A4 (en) * 2012-05-31 2016-01-20 Jms Co Ltd PENETRATION NEEDLE DEVICE
CN103143080B (zh) * 2013-01-11 2016-05-11 英属维尔京群岛圣采科技投资有限公司 安全静脉留置针
USD740410S1 (en) * 2013-03-29 2015-10-06 Teleflex Medical Incorporated Catheter insertion device
JP6461174B2 (ja) 2014-02-04 2019-01-30 アイシーユー・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自己プライミングシステムおよび自己プライミング方法
USD751691S1 (en) * 2014-02-12 2016-03-15 Retractable Technologies, Inc. Housing for blood collection set
US10300247B2 (en) 2016-02-03 2019-05-28 Velano Vascular, Inc. Devices and methods for fluid transfer through a placed peripheral intravenous catheter
CN110139682B (zh) * 2017-01-20 2021-09-10 福建省百仕韦医用高分子股份有限公司 外置敷翼的护套型留置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0018A (ja) 2000-07-12 2002-07-30 Mitsubishi Pencil Co Ltd 安全留置針
EP1980284A1 (en) 2006-01-20 2008-10-15 JMS Co., Ltd. Medical needle device
JP2009254576A (ja) 2008-04-16 2009-11-05 Jms Co Ltd 留置針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4718A (en) 1987-06-01 1989-05-30 Michael McDonald Safety needle apparatus
US5000740A (en) 1989-04-10 1991-03-19 Critikon, Inc. Catheter with needle guard
US5108376A (en) * 1990-11-14 1992-04-28 Safetyject Retractable intravenous needle assembly
US5690617A (en) * 1995-11-08 1997-11-25 Wright; Charles R. Adjusting catheter holding device
US5743882A (en) * 1996-03-08 1998-04-28 Luther Medical Products, Inc. Needle blunting assembly for use with intravascular introducers
AU2001271043A1 (en) 2000-07-12 2002-01-21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Safe retained needle
US6623461B1 (en) 2002-03-15 2003-09-2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Forward shielding safety device
US7918828B2 (en) * 2003-11-28 2011-04-05 Health Equipment Denmark Aps Medical securing device
CN100475285C (zh) * 2004-09-03 2009-04-08 泰尔茂株式会社 留置针组合体
JP5637350B2 (ja) 2009-12-14 2014-12-10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針装置
KR101717318B1 (ko) 2009-12-14 2017-03-16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바늘 장치
JP5532892B2 (ja) 2009-12-14 2014-06-25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針装置
JP5594520B2 (ja) 2010-06-04 2014-09-24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留置針装置
JP5790972B2 (ja) 2011-06-07 2015-10-07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留置針装置
JP2013022069A (ja) 2011-07-15 2013-02-04 Jms Co Ltd 留置針装置
JP5854271B2 (ja) 2012-02-17 2016-02-09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留置針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0018A (ja) 2000-07-12 2002-07-30 Mitsubishi Pencil Co Ltd 安全留置針
EP1980284A1 (en) 2006-01-20 2008-10-15 JMS Co., Ltd. Medical needle device
US20090018511A1 (en) 2006-01-20 2009-01-15 Jms Co., Ltd. Winged Medical Needle Device
JP2009254576A (ja) 2008-04-16 2009-11-05 Jms Co Ltd 留置針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08064A (zh) 2014-02-26
US9265882B2 (en) 2016-02-23
EP2719417A4 (en) 2015-03-25
KR20140018433A (ko) 2014-02-12
CN103608064B (zh) 2015-11-25
JP2012254117A (ja) 2012-12-27
EP2719417B1 (en) 2018-07-04
WO2012169091A1 (ja) 2012-12-13
US20140100529A1 (en) 2014-04-10
EP2719417A1 (en) 2014-04-16
JP5790972B2 (ja)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394B1 (ko) 유치침 장치
US9541227B2 (en) Male connector equipped with lock mechanism
EP1980284B1 (en) Medical needle device
JP5854271B2 (ja) 留置針装置
JP4211858B2 (ja) 翼付留置針
US9775979B2 (en) Male connector equipped with lock mechanism
JP2008259905A (ja) 翼付留置針
KR20130109021A (ko) 유치침 장치
KR20130086928A (ko) 폴리머 카테터 바늘 끝 차폐 장치
EP3254724A1 (en) Clamp device
EP3077030B1 (en) Blood collection device with double pivot shields
EP1159983A1 (en) Clamp for winged needle
EP2857059A1 (en) Indwelling needle device
JP5999415B2 (ja) 留置針装置
JP2013022069A (ja) 留置針装置
JP5915095B2 (ja) 留置針装置
US9283329B2 (en) Hypodermic syringe guide
CN110177590B (zh) 保护套和医用针组件
JP2016154617A (ja) 留置針装置
CN106344045B (zh) 带有保护元件的微灌注针或瘘管针
KR20210006932A (ko) 압착으로 작동되는 채혈 세트
JP5687439B2 (ja)
JP2016182188A (ja) 留置針装置
WO2013180234A1 (ja) 留置針装置
JP2015181671A (ja) 留置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