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235B1 - 여닫이 문짝과 문틀 간의 틈새막이장치 - Google Patents

여닫이 문짝과 문틀 간의 틈새막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235B1
KR101572235B1 KR1020150150415A KR20150150415A KR101572235B1 KR 101572235 B1 KR101572235 B1 KR 101572235B1 KR 1020150150415 A KR1020150150415 A KR 1020150150415A KR 20150150415 A KR20150150415 A KR 20150150415A KR 101572235 B1 KR101572235 B1 KR 101572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m follower
frame
wir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스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스틸
Priority to KR1020150150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2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방형으로 벨트 운동하게 문짝에 장착된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기단이 장착되어 있고 선단이 상기 문짝이 닫힘위치에 있을 때 문틀에 가압되어 직진운동하여 상기 와이어를 일정 길이만큼 이동시키는 제1캠종동자, 상기 문짝의 4변 각각에 상기 변들의 중앙선을 사이에 두고 중앙부가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일단이 상기 와이어에 결합된 상태에서 타단이 틈새막이바아에 고정되어 있는 한 쌍의 제2캠종동자 및, 상기 캠종동자가 부하를 받지 않으면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틈새막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여닫이 문짝과 문틀 간의 틈새막이장치{apparatus for closing gap between hinge typic door and frame}
본 발명은 여닫이 문짝과 문틀 간의 틈새막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상가, 빌딩 등의 현관에는 여닫이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 바, 이때 여닫이의 설치 특성상 여닫이 문짝의 상변, 하변, 좌변, 및 우변와 문틀과의 사이에 간격, 즉 틈새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발생한 틈새는 각종 먼지, 잔모래, 이물질 등이 손쉽게 유입되고 이로 인하여 건물 내부의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 가게, 상가 또는 빌딩, 아파트 등은 건물 자체에 설치된 공조기를 통하여 중앙에서 냉,난방을 하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문짝과 문틀의 틈새를 통해서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의해서 실내온도가 저하되거나 상승함으로써 냉,난방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문짝과 문틀의 사이에 고무재로 된 바람막이구나 모헤어를 부착 설치하여 각종 이물질의 유입 및 냉,난방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고자 하였으나 문짝을 열고 닫게 됨에 따라 오래 사용하지 못하고 쉽게 마모되거나 변형되고 문틀과의 마찰소음이 발생하여 사람들에게 불쾌감과 스트레스를 안겨주는 등의 새로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틈새막이장치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7255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틈새막이장치는, 문틀, 상기 문틀에 설치되는 여닫이 식 문짝, 상기 문짝의 전,후방에 설치되어 문짝을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제 1,2손잡이로 구성된 문짝과 문틀의 틈새막이 장치에서, 상기 문짝과 제 1손잡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손잡이의 동작으로 회전하는 제 1돌림판; 상기 문짝과 제 2손잡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손잡이의 동작으로 회전하는 제 2돌림판; 상기 제 1,2돌림판과 볼트로 체결되어, 상기 제 1,2손잡이의 동작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제 1,3랙; 상기 제 1,3랙과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제 1,3랙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제 1,2피니언; 상기 제 1,2피니언과 맞물리며 상기 제 1,2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제 2,4랙; 상기 제 2,4랙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문틀과 문짝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패킹을 포함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개시된 틈새막이장치는 문짝의 좌변과 우변 및 문틀 사이에도 좌우틈새들이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 틈새들을 막지못하여 여전히 각종 이물질의 유입 및 냉,난방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없고, 더우기 상하틈새를 막음하는 패킹이 제1 및 제3랙에 의해 일단 지지된 상태에서 승하강운동하게 되어 패킹의 선단이 처짐이 발생하여 상하에 틈새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한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장방형으로 벨트 운동하게 문짝에 장착된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기단이 장착되어 있고 선단이 상기 문짝이 닫힘위치에 있을 때 문틀에 가압되어 직진운동하여 상기 와이어를 일정 길이만큼 이동시키는 제1캠종동자, 상기 문짝의 4변 각각에 상기 변들의 중앙선을 사이에 두고 중앙부가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일단이 상기 와이어에 결합된 상태에서 타단이 틈새막이바아에 고정되어 있는 한 쌍의 제2캠종동자 및, 상기 캠종동자가 부하를 받지 않으면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틈새막이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에 의하면, 여닫이의 문짝 운동에 의해 문짝의 모든 변들과 문틀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들을 마모 없이 그리고 균형을 가지고서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틈새막음장치가 여닫이 문짝에 구비된 것을 닫히고 있는 상태에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틈새막음장치가 여닫이 문짝에 구비된 것을 열리고 있는 상태에서 도시한 정면도, 및
도 3은 도 1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틈새막음장치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틈새막음장치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틈새막음장치(1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여 내틀(1a)과 외틀(1b)이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장방형 형상을 갖는 여닫이 방식의 문짝(1)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틈새막음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짝(1)의 네모서리 부위의 상기 내틀(1a)과 상기 외틀(1b)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개재된 4개의 가이드롤러(2); 상기 4개의 가이드롤러(2)에 감겨져 장방형의 궤적운동을 하는 와이어(3); 상기 문짝(1)의 좌측 상부모서리 부근의 상기 내틀(1a)과 상기 외틀(1b)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개재된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와이어(3)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문짝(1)의 상변에서 돌출되어, 상기 문짝(1)이 문틀(10)에 대하여 닫힘위치에 있을 때, 문틀(10)의 상부가로바의 밑면에 가압을 받는 ㄴ자 형상의 제1캠종동자(4); 상기 제1캠종동자의 수평부에 일단이 접촉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문짝(1)에 구비된 브래킷(5)에 고정되어 상기 문짝(1)이 열림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캠종동자(4)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승시켜서 상기 문짝(1)의 상변 위로 돌출시키는 스프링(6); 및 상기 문짝(1)의 4개의 변들 각각의 상기 내틀(1a)과 상기 외틀(1b) 사이에 상기 변들의 중앙부위를 사이에 두고 중앙부가 링크핀(7)을 개재하여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일단이 상기 와이어(3)에 결합된 상태에서 타단이 마주하는 상기 문짝(1)의 변을 따라 뻗은 틈새막이바아(9)에 고정되어 있는 V자형상의 한 쌍의 제2캠종동자(8)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캠종동자(4)의 상부에는 문틀(10)의 상부가로바의 밑면과 구름접촉하는 롤러(11)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문짝(1)의 4개의 변 각각에 마련된 틈새막이바아(9) 들중 상변에 마련된 틈새막이바아(9)에서는 상기 제1캠종동자(4)와 상기 문짝(1)의 상부힌지축(12)과 마주하는 부위에 상기 제1캠종동자(4)와 상기 문짝(1)의 상부힌지축(12)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절결부(91)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문짝(1)의 4개의 변 각각에 마련된 틈새막이바아(9)들중 하변에 마련된 틈새막이바아(9)에서는 상기 문짝(1)의 하부힌지축(13)과 마주하는 부위에 상기 하부힌지축(13)이 관통할 수 있도록 도시되지 않은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3)의 길이는 상기 제2캠종동자(8)가 선회운동가능하게 하는 길이로 되어 있고, 상기 제1캠종동자(4)의 승강이동길이는 상기 제2캠종동자(8)가 선회운동하여 상기 틈새막이바아(9)가 마주하는 문틀에 접촉하게 하는 길이로 되어 있다.
상기 틈새막이바아(9)는 문틀과 마주하는 면이 탄성재로 되어 있으면, 기밀적으로 상기 문틀과 맞닿음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틈새막음장치(100)는, 여닫이의 문짝(1) 운동에 의해 문짝(1)이 열림위치에서 닫힘위치로 이동될 시에는, 상기 제1캠종동자(4)의 롤러(11)가 마주하는 문틀(10)의 상부가로바에 가압되어 상기 스프링(6)을 압축하면서 아래로 이동하여 상기 와이어(3)를 반시계방향으로 당겨서 상기 제2캠종동자(8)를 일방향으로 선회운동시켜 상기 제2캠종동자(8)에 장착된 틈새막이바아(9)가 상기 문짝(1)의 변들 각각의 상기 내틀(1a)과 상기 외틀(1b) 사이에서 돌출되어 마주하는 문틀(10)과 맞닿음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문짝(1)이 닫힘위치에서 열림위치로 이동될 시에는, 상기 제1캠종동자(4)의 롤러(11)가 마주하는 문틀(10)의 상부가로바의 가압상태가 해제되어 압축된 상기 스프링(6)의 복원력에 의해 위로 이동하여 상기 와이어(3)를 시계방향으로 당겨서 상기 제2캠종동자(8)를 역으로 선회운동시켜 상기 제2캠종동자(8)에 장착된 틈새막이바아(9)가 상기 문짝(1)의 변들 각각의 상기 내틀(1a)과 상기 외틀(1b) 사이로 들어가 마주하는 문틀(10)에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의 틈새막음장치(100)는, 별도의 수동적인 조작 없이도 문짝(1)의 개폐여부에 따라, 문짝(1)의 여닫이 운동에 연동하여 문짝의 모든 변들과 문틀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들을 마모 없이 그리고 균형을 가지고서 막을 수 있다.
1: 문짝, 2: 가이드롤러, 3: 와이어, 4: 제1캠종동자, 5: 브래킷, 6: 스프링, 7: 링크핀, 8: 제2캠종동자

Claims (3)

  1. 서로 마주하여 내틀(1a)과 외틀(1b)이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장방형 형상을 갖는 여닫이 방식의 문짝(1)에 구비되어 있는 틈새막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짝(1)의 네모서리 부위의 상기 내틀(1a)과 상기 외틀(1b)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개재된 4개의 가이드롤러(2);
    상기 4개의 가이드롤러(2)에 감겨져 장방형의 궤적운동을 하는 와이어(3);
    상기 문짝(1)의 좌측 상부모서리 부근의 상기 내틀(1a)과 상기 외틀(1b)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개재된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와이어(3)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문짝(1)의 상변에서 돌출되어, 상기 문짝(1)이 문틀(10)에 대하여 닫힘위치에 있을 때, 문틀(10)의 상부가로바의 밑면에 가압을 받는 제1캠종동자(4);
    상기 제1캠종동자의 수평부에 일단이 접촉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문짝(1)에 구비된 브래킷(5)에 고정되어 상기 문짝(1)이 열림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캠종동자(4)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승시켜서 상기 문짝(1)의 상변 위로 돌출시키는 스프링(6); 및
    상기 문짝(1)의 4개의 변들 각각의 상기 내틀(1a)과 상기 외틀(1b) 사이에 상기 변들의 중앙부위를 사이에 두고 중앙부가 링크핀(7)을 개재하여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일단이 상기 와이어(3)에 결합된 상태에서 타단이 마주하는 상기 문짝(1)의 변을 따라 뻗은 틈새막이바아(9)에 고정되어 있는 V자형상의 한 쌍의 제2캠종동자(8)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문짝과 문틀 간의 틈새막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캠종동자(4)의 상부에는 문틀(10)의 상부가로바의 밑면과 구름접촉하는 롤러(11)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문짝(1)의 4개의 변 각각에 마련된 틈새막이바아(9)들중 상변에 마련된 틈새막이바아(9)에서는 상기 제1캠종동자(4)와 상기 문짝(1)의 상부힌지축(12)과 마주하는 부위에 상기 제1캠종동자(4)와 상기 문짝(1)의 상부힌지축(12)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절결부(91)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문짝(1)의 4개의 변 각각에 마련된 틈새막이바아(9)들중 하변에 마련된 틈새막이바아(9)에서는 상기 문짝(1)의 하부힌지축(13)과 마주하는 부위에 상기 하부힌지축(13)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절결부(9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문짝과 문틀 간의 틈새막이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3)의 길이는 상기 제2캠종동자(8)가 선회운동가능하게 하는 길이로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1캠종동자(4)의 승강이동길이는 상기 제2캠종동자(8)가 선회운동하여 상기 틈새막이바아(9)가 마주하는 문틀에 접촉하게 하는 길이로 되어 있는 것을 ㅌ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문짝과 문틀 간의 틈새막이장치.
KR1020150150415A 2015-10-28 2015-10-28 여닫이 문짝과 문틀 간의 틈새막이장치 KR101572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415A KR101572235B1 (ko) 2015-10-28 2015-10-28 여닫이 문짝과 문틀 간의 틈새막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415A KR101572235B1 (ko) 2015-10-28 2015-10-28 여닫이 문짝과 문틀 간의 틈새막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235B1 true KR101572235B1 (ko) 2015-11-26

Family

ID=54847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415A KR101572235B1 (ko) 2015-10-28 2015-10-28 여닫이 문짝과 문틀 간의 틈새막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2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3360A (ja) 2000-04-28 2002-01-18 Akira Asai 室内用開きドア
KR100841571B1 (ko) 2007-04-03 2008-06-26 공순식 개폐문용 바람막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3360A (ja) 2000-04-28 2002-01-18 Akira Asai 室内用開きドア
KR100841571B1 (ko) 2007-04-03 2008-06-26 공순식 개폐문용 바람막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29443B1 (en) Sliding and braking device for sliding doors and shutters
US3964125A (en) Electromagnetic door holding device
US9347257B2 (en) Lifting door having a movable door leaf guide
JP6611360B2 (ja) ドア用のベアリング装置
MX2012009773A (es) Puerta levadiza que tiene una guia de hoja de puerta movil.
US20120117881A1 (en) Door glazing assembly
KR101572235B1 (ko) 여닫이 문짝과 문틀 간의 틈새막이장치
KR20180001371U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US20190242173A1 (en) Door driving mechanism for a swing door
KR101720461B1 (ko) 여닫이 창문 개폐구조
KR200471670Y1 (ko)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
ITMI20101178A1 (it) Dispositivo di guida inferiore a parete per porta scorrevole
KR20100115167A (ko) 가압롤러를 이용한 여닫이문의 차음구조
KR20170005974A (ko) 반자동 3연동 도어 시스템
KR101056827B1 (ko) 가압롤러를 이용한 미닫이문의 밀폐구조 및 가압롤러 밀폐구조를 가지는 미닫이문짝
KR102043592B1 (ko) 편의성 및 방범성을 높인 창호
KR101552544B1 (ko) 슬라이딩창 밀착용 롤러조립체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CN104653034B (zh) 一种具有垂直扇式开关门及开关锁功能的自动多扇门
CN104675284B (zh) 具有自动开关锁及开关门功能的轨道式多扇门
JP6461669B2 (ja) 揺動窓のロック操作装置
JPH08193472A (ja) 電波暗室等の扉装置
KR20060044589A (ko) 양 여닫이식 롤링도어
CN210918807U (zh) 酒柜密封结构
JP6639974B2 (ja) 自然換気装置
JP4660850B2 (ja) 懸垂引戸式ドアの開閉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