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427A - 닫았을 때 밀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용 밀착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닫았을 때 밀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용 밀착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427A
KR20220129427A KR1020210067029A KR20210067029A KR20220129427A KR 20220129427 A KR20220129427 A KR 20220129427A KR 1020210067029 A KR1020210067029 A KR 1020210067029A KR 20210067029 A KR20210067029 A KR 20210067029A KR 20220129427 A KR20220129427 A KR 20220129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on
profile
bracket
link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율
Publication of KR20220129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4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Sealing With Elastic Sealing Lips (AREA)

Abstract

창호 짝의 레일 홈에 장착된 밀착 유지 장치가 창호 짝을 닫았을 때 창호 틀의 가이드의 끝 부분에 밀착하여 실링 작용하게 구성함으로, 이 가이드를 타고 넘는 이물이나 먼지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고 단열과 방풍 및 방음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잠금 뭉치를 작동하면 그 양쪽에 장착된 두 개의 연결 바가 상부 밀착수단과 하부 밀착수단을 작동시켜 실링이 이루어지게 하고, 동시에 창호 짝이 닫혀서 측면의 실링이 유지되게 구성함으로, 창호 짝의 넓이를 확장하면서 실링 작용이 이루어지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밀착 효과와 방풍 그리고 단열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연결 바에 완충수단을 갖춤으로, 창호 짝을 닫을 때 상부 및 하부 밀착수단이 원활하게 동작하게 하면서도 밀착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닫았을 때 밀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용 밀착 유지장치{APPARATUS FOR HIGH SEALING OF SLIDING WINDOWS AND DOORS WHEN CLOSED}
본 발명은 슬라이딩 창호용 밀착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 짝을 닫으면 창호 짝의 레일 홈에 구성된 밀착 부재가 창호 틀에 형성된 가이드의 끝 부분에 긴밀하게 밀착하게 구성함으로써, 모헤어가 없이도 외부에서 가이드를 타고 실내로 들어오는 먼지와 이물 등의 유입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차단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슬라이딩 창호는 창호 틀에 형성된 가이드를 따라 창호 짝에 형성된 레일 홈이 끼워져서 개폐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에 따라, 창호 틀과 창호 짝 사이에 틈새가 발생한다. 이러한 틈새는 실외에서 먼지나 이물 등이 이 가이드를 따라 실내로 유입하는 통로가 되므로,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먼지나 이물 등의 유입을 차단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2085158호
창틀과 창문을 구성함에 있어 이질의 재료로 내외측 부재를 연결하도록 하여 단열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가압수단을 마련하는 간단한 구성을 통해서 창문을 닫을 때 창문의 테두리에 결합하여 있는 패킹 부재가 창틀에 밀착되도록 함으로 해서 단열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밀착형 단열시스템 창호 구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창문에 형성한 레일결합홈에 호차를 결합하여 창틀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한 밀착형 단열시스템 창호 구조에서; 상기 창틀은, 수직창틀 부재와 수평창틀 부재를 조립하여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수직창틀 부재와 수평창틀 부재는 각각 실내 측에 위치하는 제1부재와, 제1부재와 폴리아미드로 연결되는 제2부재와, 제2부재와 폴리아미드로 연결되는 실외측에 위치하는 제3부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부재와 제3부재에는 창문의 이동을 위한 한 쌍의 레일이 결합되며, 이들 레일 사이에는 구획부재가 배치되어 제3부재에 결합되고, 제3부재에는 방충망 설치를 위한 방충망레일이 바깥쪽으로 구비되며, 제1부재에는 실내 쪽으로 합성수지 구성의 창틀용 마감부재가 결합하며; 상기 창문은, 수직창문부재와 수평창문부재를 조립하여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수직창문부재와 수평창문부재는 각각 실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부재와, 실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부재를 폴리아미드로 연결하며, 창틀에 구비한 레일이 결합되도록 레일결합홈을 형성하며; 창문의 아래쪽 레일결합홈에는 호차어셈블리가 설치되어 창문이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731775호
창문의 닫힘 위치에서 수평밀착장치를 동작시켜 창문을 창틀에 밀착시킬 때 필요한 힘이 창문의 수평방향 이동을 개시한 후에는 종료시까지 점차 감소하게 하여 수평밀착장치의 조작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조작 힘이 창틀측과 창문측 양측에 동시에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한쪽으로만 힘이 가해지도록 된 종래기술에 비하여 조작 힘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조작구간의 길이를 짧게 설정하여 조작시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미닫이 창호의 수평밀착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수평밀착장치는, 가이드롤러 또는 바퀴조립체가 고정된 수평이동플레이트와, 수평이동플레이트를 창문이 창틀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형성한 고정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작동바에 연동하여 창문 수평이동 조작구간 사이에서 직선이동하도록 된 직선이동부재와, 고정플레이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직선이동부재에 연결되며, 소정의 작동각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직선이동부재의 직선이동에 따라 작동각이 변화되도록 한 제1 링크와, 제1 링크와 대칭으로 배치되어 일단은 상기 수평이동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직선이동부재에 연결되며, 직선이동부재의 직선이동에 따라 작동각이 변화되도록 한 제2 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684408호
밀착식 미서기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창짝의 폐쇄시 창짝을 창틀에 밀착시켜 기밀을 유지하는 밀착식 미서기 창호로서, 창짝의 폐쇄시 창틀에 밀착되는 창짝과, 이 창짝을 밀착시키도록 안내하는 창틀과, 창짝의 폐쇄시 창짝 사이의 중첩부위를 밀착시키도록 창틀의 중간프레임에 입설되는 중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밀폐시 창짝이 수평으로 밀착이동하여 창틀의 측면에 밀착되고 창짝 사이의 중첩부위에 중간부를 입설하여 창짝 사이를 밀착시킴으로써, 창호의 폐쇄시 창짝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창호의 결합구성이 간단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창호의 방풍효율, 단열효율, 방음효율 및 내풍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밀착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건축물의 개구부에 시공되는 창호 틀에 이 창호 틀 위에서 슬라이딩하는 창호 짝이 움직이게 하여 밀착과 단열 그리고 방풍 효과를 얻음에 따라 밀착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다.
(2) 이에, 기존의 밀착 장치는 제조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가 쉽지 않다.
(3) 또한, 창호 짝이 창호 틀에 밀착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창호 짝과 창호 틀이 서로 맞닿는 부분의 마모와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창호의 미관과 미감을 해칠 뿐만 아니라 마모 등이 많이 발생함에 따라 밀착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4) 그리고 창호 짝과 창호 틀 사이에 이물이 끼면, 창호 짝을 닫더라도 창호 짝이 창호 틀에 완전하게 밀착하지 않아 밀착 효과가 떨어진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85158호 (등록일: 2020.02.28) 한국등록특허 제10-1731775호 (등록일: 2017.04.24) 한국등록특허 제10-1684408호 (등록일: 2016.12.02)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창호 짝의 레일 홈에 장착된 밀착 유지 장치가 창호 짝을 닫았을 때 창호 틀의 가이드의 끝 부분에 밀착하여 실링 작용을 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실외에서 이 가이드를 타고 넘는 이물이나 먼지의 실내 유입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단열과 방풍 그리고 방음 효과를 개선할 수 있게 한 닫았을 때 밀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용 밀착 유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잠금 뭉치를 작동하면 이 잠금 뭉치를 기준으로 양쪽에 위치하도록 측면 프로파일에 장착된 두 개의 연결 바가 상부 밀착수단과 하부 밀착수단을 동작시켜 밀착 유지가 이루어지게 하고, 동시에 창호 짝이 닫히면서도 측면 밀착수단이 밀착 유지가 이루어지게 구성함으로써, 창호 짝의 넓이를 확장하면서 밀착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밀착 효과와 방풍 그리고 단열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한 닫았을 때 밀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용 밀착 유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 바에 스프링을 통해 완충수단을 갖춤으로써, 창호 짝을 닫을 때 상부 및 하부 밀착수단이 원활하게 동작하게 하면서도 밀착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한 닫았을 때 밀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용 밀착 유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 본 발명에 따른 닫았을 때 밀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용 밀착 유지장치는, 상하로 마주한 상부 프로파일(Pu)과 하부 프로파일(Pb)의 양단에 각각 측면 프로파일(Ps)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창호 짝에서 어느 하나의 측면 프로파일(Ps)에 설치된 잠금 뭉치(L)를 작동하면 상기 잠금 뭉치(L)를 기준으로 양쪽에서 연결 바(B)가 측면 프로파일(Ps)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반대로 움직이면서 상기 연결 바(B)에 고정한 스토퍼(H)가 창호 틀에 고정한 스트라이커(S)에 걸려 이중으로 걸림 작용하는 창호용 잠금 뭉치와 연동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밀착 유지장치에서; 상부 프로파일(Pu)과 측면 프로파일(Ps)이 접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모서리 부재(100), 상부 프로파일(Pu)에 형성된 레일 홈(R)을 따라 길게 설치되고 한쪽이 개방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고정 브래킷(200), 제1밀착수단(300)과 제2밀착수단(300')을 포함하는 상부 밀착수단; 하부 프로파일(Pb)과 측면 프로파일(Ps)이 접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모서리 부재(100), 하부 프로파일(Pb)에 형성된 레일 홈(R)을 따라 길게 설치되고 한쪽이 개방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고정 브래킷(200), 제3밀착수단(400)과 제4밀착수단(400')을 포함하는 하부 밀착수단; 및 측면 밀착수단(500)을 포함하되; 상기 모서리 부재(100)는, 각각, 프로파일에 형성된 레일 홈(R)을 연결하게 형성된 완곡 구간(110), 한쪽이 연결 바(B)에 제자리 회전하게 연결되고 다른 한쪽에 구성된 롤러(121)가 상기 완곡 구간(110)을 따라 움직이게 장착된 제1연결 바(120'), 그리고 한쪽에 구성된 롤러(122)가 상기 완곡 구간(110)에 삽입되어 상기 롤러(121)와 링크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제2연결 바(120")가 포함되고; 상기 제1밀착수단(300), 제2밀착수단(300'), 제3밀착수단(400), 그리고 제4밀착수단(400')은, 각각, 상기 고정 브래킷(200) 안에서 서로 마주하여 연동하게 설치된 두 개의 슬라이딩 브래킷(310), 상기 슬라이딩 브래킷(310) 사이에서 상기 고정 브래킷(200)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받아 움직이도록 설치된 작동 브래킷(320), 길이 중간 부분이 상기 작동 브래킷(320)의 한쪽에 제자리 회전하게 설치되고 한쪽이 상기 슬라이딩 브래킷(310)의 한쪽에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며 다른 한쪽이 상기 작동 브래킷(320)에 상기 고정 브래킷(2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에 제자리 회전하게 설치된 제1링크(330a), 한쪽이 상기 슬라이딩 브래킷(310)의 다른 한쪽에 고정 브래킷(2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에 제자리 회전하게 설치된 제2링크(330b), 한쪽이 상기 제1링크(330a)의 슬릿을 따라 움직이면서 회전하게 장착되고 다른 한쪽이 상기 제2링크(330b)의 다른 한쪽에 연결된 제3링크(330c), 상기 제2 및 제3링크(330b, 330c)의 연결 부분에 제자리 회전하게 장착된 받침대(340), 및 상기 받침대(340)에 고정되는 지지판(351)에 설치되되 레일 홈(R)을 마감할 수 있게 길게 형성되어 창호 짝의 프로파일과 마주하는 창호 틀의 가이드(G)의 돌출된 끝에 밀착할 수 있게 형성된 밀착 부재(350)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제1밀착수단(300)의 각 슬라이딩 브래킷(310)은 상기 제1링크(310a)가 장착된 한쪽이 제2밀착수단(300')의 슬라이딩 브래킷에서 제2링크(330b)가 장착된 쪽에 연결되어 연동하게 연결하고, 다른 한쪽이 연결 바(B)에 연결되어 연동하게 하고; 상기 제3밀착수단(400)의 슬라이딩 브래킷(310)은 상기 제1링크(310a)가 장착된 한쪽이 제4밀착수단(400')의 슬라이딩 브래킷에서 제2링크(330b)가 장착된 쪽에 연결되어 연동하게 연결하고, 다른 한쪽이 연결 바(B)에 연결되어 연동하게 하고; 상기 제3밀착수단(400)과 제4밀착수단(400')의 밀착 부재(350)에는 창호 짝을 회전 지지하는 호차(C)가 외부에 노출되어 레일 홈(R)을 따라 안내를 받을 수 있게 작동 구멍(35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측면 밀착수단(500)에는, 측면 프로파일(Ps)의 레일 홈(R)에 장착된 지지 브래킷(510)에 고정되며 바깥면에는 하부 프로파일(Pb)과 마주하는 창호 틀의 가이드(G)의 돌출된 끝에 밀착할 수 있게 상기 지지 브래킷(5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판(521)에 장착된 밀착 부재(52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밀착 부재(350, 720)는, 각각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착 부재(350)는, 상기 상부 밀착수단과 하부 밀착수단에 각각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두 개로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밀착수단(300')과 상기 제4밀착수단(400')에 각각 장착되는 밀착 부재(350)는, 바깥쪽의 끝 부분이 꺾이게 형성되어 측면 프로파일(Ps)의 양단에 형성된 홈 부분을 마감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각 연결 바(B)에는 완충수단(600)이 구성되어 있되, 상기 완충수단(600)은, 연결 바(B)를 구획한 두 개의 서브 바(B', B") 중 어느 하나의 서브 바(B')에 그 길이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양단이 이 서브 바(B')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의 안내를 받게 설치된 설치된 스프링(810); 및 양단이 상기 스프링(810)과 나머지 서브 바(B")에 연결된 연결 바(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닫았을 때 밀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용 밀착 유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창호 짝을 닫음에 따라 창호 짝의 레일 홈에 장착된 밀착 부재가 창호 짝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창호 틀의 가이드 끝에 밀착하게 구성함으로써, 실외에서 실내로 이어지는 통로를 차단하여 이물과 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하는 것을 막아주면서도 단열과 방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2) 특히, 실내와 실외가 통하는 부분에 대해 밀착 부재를 이용하여 차단함으로써, 기밀 유지와 단열 그리고 방음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3) 또한, 이러한 밀착 부재로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을 이용함으로써, 고무와 같은 탄성을 이용하여 실링 효과를 높여 기밀 유지와 단열 그리고 방음 효과를 더욱더 높일 수 있다.
(4) 창호 짝을 닫음에 따라 상부 밀착수단과 하부 밀착수단이 상부 및 하부 프로파일에 형성된 가이드에 밀착하게 하면서 측면 밀착수단이 측면 프로파일에 밀착하여 실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 밀착 효과를 얻기 위해 별도 동작이 없이도 쉽게 실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5) 그리고 이러한 상부 및 하부 밀착수단을 동작하게 하는 연결 바에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신축하는 완충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창호 짝의 잠금 뭉치로 창호를 개폐하는 동안 상기 밀착 부재가 가이드에 너무 긴밀하게 밀착하여 마찰이 생기는 것을 최소화하여 창호를 부드럽게 개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착 유지장치가 장착된 창호를 예로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창호를 열었을 때를, (b)는 창호를 닫았을 때를 각각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밀착수단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밀착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밀착수단을 구성하는 제1밀착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밀착수단의 작동을 보여주는 정면도로, (a)는 창호가 열린 상태를, (b)는 창호가 닫힌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밀착수단의 장착 상태를 보여주는 상부 프로파일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밀착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밀착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측면 프로파일 일부를 분해한 정면도로, (a)는 분리된 상태를, (b)는 결합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연결 바에 설치된 완충수단의 장착 위치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연결 바에 설치된 완충수단의 장착 위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수단의 장착 위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밀착 유지장치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닫았을 때 밀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용 밀착 유지장치에는, 상부 밀착수단과 하부 밀착수단 그리고 측면 밀착수단(500)이 포함된다.
특히, 상기 상부 밀착수단과 하부 밀착수단에는, 창호 짝을 개폐할 때 이용하는 잠금 뭉치(L)와 연동하는 링크 구조를 통해 창호 짝을 닫을 때 밀착 부재(350)가 창호 짝을 안내하려고 창호 틀에 형성된 가이드(G)의 끝 부분에 밀착하여 실외에서 먼지나 이물 등이 실내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실링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밀착 부재(350)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을 이용함으로써, 실링 효과를 높이면서도 방음과 단열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밀착수단과 하부 밀착수단이 연동하게 하는 연결 바(B)에는 스프링(810)을 이용한 완충수단(600)을 갖춤으로써, 창호 짝을 닫는 동안에는 상기 밀착 부재(350)가 가이드(G)에 너무 강하게 밀착하지 않게 하고, 창호 짝을 완전히 닫았을 때는 가이드(G)에 밀착하게 하여 창호를 쉽게 개폐하면서도 실링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창호 [도 1]과 같이, 서로 마주하여 상하로 배치되는 상부 프로파일(Pu)과 하부 프로파일(Pb), 그리고 이들 상부 프로파일(Pu)과 하부 프로파일(Pb)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측면 프로파일(Ps)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창호 짝에는, [도 1]·[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잠금 뭉치(L)가 포함되어 창호 짝을 개폐할 때 이용된다. 이때, 상기 잠금 뭉치(L)는 양쪽에 각각 측면 프로파일(Ps)의 길이 방향으로 동작하는 연결 바(B)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각 연결 바(B)에는 스토퍼(H)가 구성되어, 잠금 뭉치(L)의 동작으로 연결 바(B)가 길이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이들 스토퍼 (H)가 창호 틀에 고정되는 스트라이커(S)에 걸려 잠금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가. 상부 밀착수단
상부 밀착수단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부 프로파일(Pu)에 형성된 레일 홈(R)에 장착되어 창호 짝을 닫았을 때 레일 홈(R)에 끼워지는 창호 틀의 가이드(G) 끝에 밀착하게 하여 외부에서 이 가이드(G)를 타고 넘어 실내로 유입하는 이물이나 먼지 등을 차단하고 단열과 방음 효과를 높일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상부 밀착수단에는,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모서리 부재(100), 고정 브래킷(200), 제1밀착수단(300), 제2밀착수단(300')이 포함된다.
1. 모서리 부재
모서리 부재(1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부 프로파일(Pu)과 측면 프로파일(Ps)이 접하는 부분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모서리 부재(100)에는 이들 상부 프로파일(Pu)과 측면 프로파일(Ps)에 각각 형성된 레일 홈(R)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완곡 구간(110)이 형성되고, 이 완곡 구간(110)에는 연결 바(B)와 후술할 제1밀착수단(300)이 연동하게 하는 제1연결 바(120')와 제2연결 바(120")가 장착된다.
완곡 구간
완곡 구간(110)은, [도 2]와 같이, 후술할 제1연결 바(120')와 제2연결 바(120")에 구성된 롤러(121, 122)가 서로 링크로 연결되어 연동할 수 있게 곡선 형태로 형성한다. 이때, 이 완곡 구간(110)의 곡률은 이들 제1연결 바(120')와 제2연결 바(120")가 직각 정도의 각도로 움직일 때 간섭 없이 길이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된다.
제1연결 바
제1연결 바(120')는, [도 2]와 같이, 한쪽이 연결 바(B)에 제자리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고 다른 한쪽이 상기 완곡 구간(110)에 끼워지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완곡 구간(110)에 끼워지는 다른 한쪽에는 제자리 회전하게 롤러(121)를 갖춰서 완곡 구간(110)을 따라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된다. 이러한 제1연결 바(120')는 잠금 뭉치(L)가 동작함에 따라 연결 바(B)가 길이 방향으로 동작할 때 후술할 제2연결 바(120")와 연동하게 된다.
제2연결 바
제2연결 바(120")는, [도 2]와 같이, 한쪽에 롤러(122)가 구성되어 상기 완곡 구간(110)에서 상기 제1연결 바(120')의 롤러(121)와 링크로 연결되어 함께 연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그리고 다른 한쪽은, [도 2] 및 [도 5]와 같이, 후술할 제1밀착수단(300)의 슬라이딩 브래킷(310)에 제자리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이러한 제2연결 바(120")는 잠금 뭉치(L)의 동작으로 연결 바(B)가 길이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술한 제1연결 바(120')와 연동하여 연결 바(B)의 수직인 방향 즉, 상부 프로파일(Pu)의 길이 방향으로 작동하는 힘의 방향의 바뀌도록 변환시켜 준다.
2. 고정 브래킷
고정 브래킷(200)은, [도 1]·[도 3]·[도 4] 및 [도 6]과 같이, 상부 프로파일(Pu)의 레일 홈(R)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고정 브래킷(200)은 후술할 제1밀착수단(300)과 제2밀착수단(300')을 장착하여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후술할 밀착 부재(350)가 안정적으로 지지가 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 브래킷(200)은 폭 단면이 "ㄷ"자 형태가 되게 형성하여 개방된 면이 밖을 향하도록 레일 홈(R)에 장착하여 이 입구 부분의 양단에 후술할 밀착 부재(350)가 걸쳐질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 브래킷(200)은 이 밀착 부재(350)가 창호 짝의 상부 길이만큼 충분히 확보하여 실링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제1밀착수단과 제2밀착수단
제1밀착수단(300)과 제2밀착수단(3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술한 고정 브래킷(200) 안에 미리 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장착되어 연동해서 동작하도록 설치된 밀착수단으로 그 구성은 같다. 이에, 여기서는 제1밀착수단(300)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2밀착수단(300')에 대해서는 제1밀착수단(300)가 연결 위치에서 차이가 있음으로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밀착수단(300)에는, [도 2] 내지 [도 6]과 같이, 두 개의 슬라이딩 브래킷(310), 작동 브래킷(320), 제1·제2·제3링크(330a, 330b, 330c), 받침대(340), 그리고 밀착 부재(350)가 포함된다.
1. 슬라이딩 브래킷
슬라이딩 브래킷(310)은,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상술한 고정 브래킷(200) 안에서 그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두 개가 서로 마주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브래킷(310)은 한쪽이 상술한 제2연결 바(120")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이 제2밀착수단(300')을 구성하는 슬라이딩 브래킷에 연결된다. 이에, 잠금 뭉치(L)의 동작으로 상기 제2연결 바(120")가 길이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이들 제1밀착수단(300)과 제2밀착수단(300')에 각각 구성된 슬라이딩 브래킷(310)이 고정 브래킷(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동해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두 개의 슬라이딩 브래킷(310)은 서로 마주하는 링크나 연결 바 등을 통해 이들 링크나 연결 바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3]과 같이 이 간격을 이용하지 않을 때는 스페이서(311)를 장착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하고, 때에 따라서는 [도 7]과 같이 하부 밀착수단의 제3밀착수단(400)과 제4밀착수단(400')으로 이용할 때는 이들 두 개의 링크나 연결 바 사이에 호차(C)를 장착하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2. 작동 브래킷
작동 브래킷(320)은, [도 2] 내지 [도 6]과 같이, 상술한 두 개의 슬라이딩 브래킷(310) 사이에서 상기 고정 브래킷(200)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를 받아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작동 브래킷(320)이나 슬라이딩 브래킷(310)에 고정 브래킷(200)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슬릿을 형성하고 핀을 삽입하여 슬라이딩 안내를 받게 장착할 수 있다.
3. 제1, 제2, 제3링크
제1링크(330a)는, [도 2] 내지 [도 6]과 같이, 길이 중간이 상기 작동 브래킷(320)에 제자리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또한, 한쪽은 상기 제2연결 바(120")가 장착되지 않은 슬라이딩 브래킷(310)의 다른 쪽에 제자리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이때, 제1링크(330a)에는 슬릿을 형성하여 슬라이딩 브래킷(310)에 장착함으로써, 제2연결 바(120")가 길이 방향으로 동작함에 따라 슬라이딩 브래킷(310)이 잡아당겨지게 하여 제1링크(330a)가 회전할 수 있게 하고, 이때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간섭은 이 슬릿을 통해 없앨 수 있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330a)의 다른 한쪽은 상기 작동 브래킷(320)에 고정 브래킷(200)과 나란하게 형성된 슬릿의 안내를 받아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제2링크(330b)는, [도 2] 내지 [도 6]과 같이, 상기 슬라이딩 브래킷(310)의 다른 한쪽, 즉 상기 제1링크(330b)가 설치되지 않은 쪽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2링크(330b)는 작동 브래킷(320)에 고정 브래킷(2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의 안내를 받아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제3링크(330c)는, [도 2] 내지 [도 6]과 같이, 한쪽이 상기 작동 브래킷(320)에 형성된 슬릿의 안내를 받아 움직이는 제1링크(330a)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다른 한쪽을 상기 제2링크(330b)의 다른 한쪽에 각각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4. 받침대
받침대(340)는, [도 2] 내지 [도 6]과 같이, 상술한 제2링크(330b)와 제3링크(330c)가 서로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부분에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이는, 이들 제2링크(330b)와 제3링크(330c)가 회전할 때 간섭이 생기지 않게 하면서도 이 받침대(340)가 위로 올라가면서 이 받침대에 장착된 밀착 부재(350)가 가이드(G) 끝에 밀착하게 하거나, 이 받침대(340)가 아래로 움직이게 하여 가이드(G) 끝에 밀착된 상태에서 분리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5. 밀착 부재
밀착 부재(350)는, [도 2] 내지 [도 6]과 같이, 상기 받침대(340)에 설치된 지지판(351)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밀착 부재(350)는 띠 형태로 길게 제작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부 프로파일(Pu)에 형성된 레일 홈(R)의 폭 정도의 띠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이 밀착 부재(350)가 가이드(G) 끝에 밀착 상태로 있을 때는 먼지나 이물 등이 가이드(G)를 타고 넘을 수 없게 하여 실링 효과를 높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밀착 부재(350)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으로 제작함으로써, 실링 효과와 더불어 방음과 단열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밀착 부재(350)는, [도 2]와 같이, 제2밀착수단(300')에 구성할 때는 이 밀착 부재(350)의 끝 부분이 꺾이게 형성함으로써, 창호 짝을 가이드(G)에 장착하려고 형성하는 홈 부분을 마감하여 실링과 방음 그리고 단열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밀착 부재(350)는, [도 2]와 같이, 제1밀착수단(300)과 제2밀착수단(300')에 각각 하나씩 구성함으로써, 어느 한쪽에 이물이 끼거나 동작이 되지 않도록 나머지 부분을 통해 실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하나의 밀착 부재(350)를 제1밀착수단(300)과 제2밀착수단(300')이 지지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 이루어진 제1밀착수단(300)은, [도 5]와 같이, 제2연결 바(120")가 도면에서 왼쪽으로 소정의 거리(W)만큼 이동하게 하면, 후술할 밀착 부재(350)에 받침대(340)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딩 브래킷(310)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움직이게 된다(①). 이에, 제1링크(330a)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②) 제2링크(330b)와 제3링크(330b, 330c)가 서로 마주하여 가까워지게 되면서(③) 제2링크(330b)와 제3링크(330b, 330c)가 위로 올라가면서 밀착 부재(350)를 들어올리게 된다(④).
나. 하부 밀착수단
하부 밀착수단은, [도 1]과 같이, [도 1]과 같이, 상술한 상부 밀착수단과 같은 구성이나, 밀착 부재(350)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이러한 차이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하부 밀착수단은, [도 1]과 같이, 모서리 부재(100), 고정 브래킷, 제3밀착수단(400), 그리고 제4밀착수단(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모서리 부재(100)와 고정 브래킷은 상술한 상부 밀착수단의 구성과 같아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3밀착수단(400)과 제4밀착수단(400')은 상술한 제1밀착수단(300)과 같은 구성이나, 이들 구성 중 밀착 부재(350)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즉, 제3밀착수단(400)과 제4밀착수단(400')을 구성하는 밀착 부재(350)에는, [도 7]과 같이, 작동 구멍(352)이 관통 형성된다. 이는, 이들 제3밀착수단(400)과 제4밀착수단(400')을 구성하는 두 개의 슬라이딩 브래킷(310)과 제2연결 바(120") 사이를 연결하며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링크나 연결 바 사이에 호차(C)가 설치됨에 따라, 이 호차(C)가 항상 가이드(G)에 닿아 슬라이딩 안내를 할 수 있도록 작동 구멍(352)을 추가하여 형성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다. 측면 밀착수단
측면 밀착수단(500)은, [도 1]· [도 8] 및 [도 9]와 같이, 측면 프로파일(Ps)의 레일 홈(R)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측면 밀착수단(500)은 잠금 뭉치(L)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이러한 측면 밀착수단(500)에는, 레일 홈(R)에 설치되는 지지 브래킷(510)과 이 지지 브래킷(510)에 지지판(521)을 통해 장착되는 밀착 부재(520)가 포함된다. 여기서, 지지 브래킷(510)은 연결 바(B) 등을 장착하여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면서 밀착 부재(520)를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이다. 또한, 상기 밀착 부재(520)는 상술한 다른 밀착수단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구조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측면 밀착수단(500)은, 창호 짝을 완전히 닫았을 때 측면 프로파일(Ps)과 마주하는 창호 틀의 가이드 끝에 밀착하여 실링과 단열 그리고 방음 기능을 얻을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 바(B)에는, [도 9] 및 [도 10]과 같이, 완충수단(600)이 추가로 구성된다.
라. 완충수단
완충수단(600)은, [도 9] 및 [도 10]과 같이, 연결 바(B)를 두 개로 구획하여 서브 바(B', B")를 구성하고, 이들 사이를 스프링(810)으로 연결함으로써, 잠금 뭉치(L)로 동작하는 연결 바(B)가 길이 방향으로 급격하게 움직이더라도 이와 함께 레일 홈(R)에서 가이드(G)를 향해 돌출하는 밀착 부재(350)가 너무 강하게 가이드(G)에 닿지 않게 하여 마찰을 줄여 쉽고 편리하게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완충수단(600)은, [도 10]과 같이, 두 개의 서브 바(B', B") 중 어느 하나의 서브 바(B')에 장착된 스프링(610), 그리고 이 스프링(610)과 다른 서브 바(B")를 연결하는 연결 바(620)를 포함한다.
1. 스프링
스프링(610)은, [도 10]과 같이, 상기 서브 바(B') 안에서 그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된다. 이때, 스프링(610)의 양단에는 각각 돌기를 갖춘 블록을 연결하고, 이 돌기가 서브 바(B')에 그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에 끼워져서 슬라이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스프링(610)이 서브 바(B')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게 장착된다.
2. 연결 바
연결 바(620)는, [도 10]과 같이, 상기 스프링(610)과 나머지 서브 바(B")를 연결하여 연동하게 하는 바이다. 이 연결 바(620)는 잠금 뭉치(L)의 동작에 의해 연결 바(B)의 길이 방향 움직임을 전달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잠금 뭉치를 이용하여 창호 짝을 닫았을 때 창호 짝을 구성하는 프로파일의 레일 홈에서 바깥으로 돌출한 밀착 부재가 이 레일 홈에 끼워진 가이드 끝을 향해 돌출하면서 실링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실링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밀착 부재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으로 제작함으로써, 실링 작용과 더불어 방음 그리고 단열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100: 모서리 부재
110: 완곡 구간
120', 120": 제1, 제2연결 바
121, 122: 롤러
200: 고정 브래킷
300, 300', 400, 400': 제1, 제2, 제3, 제4밀착수단
310: 슬라이딩 브래킷
320: 작동 브래킷
330a, 330b, 330c: 제1, 제2, 제3링크
340: 받침대
350: 밀착 부재
500: 측면 밀착수단
600: 완충수단
G: 가이드
R: 레일 홈
L: 잠금 뭉치
Pu: 상부 프로파일
Pb: 하부 프로파일
Ps: 측면 프로파일

Claims (5)

  1. 상하로 마주한 상부 프로파일(Pu)과 하부 프로파일(Pb)의 양단에 각각 측면 프로파일(Ps)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창호 짝에서 어느 하나의 측면 프로파일(Ps)에 설치된 잠금 뭉치(L)를 작동하면 상기 잠금 뭉치(L)를 기준으로 양쪽에서 연결 바(B)가 측면 프로파일(Ps)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반대로 움직이면서 상기 연결 바(B)에 고정한 스토퍼(H)가 창호 틀에 고정한 스트라이커(S)에 걸려 이중으로 걸림 작용하는 창호용 잠금 뭉치와 연동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밀착 유지장치에서,
    상부 프로파일(Pu)과 측면 프로파일(Ps)이 접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모서리 부재(100), 상부 프로파일(Pu)에 형성된 레일 홈(R)을 따라 길게 설치되고 한쪽이 개방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고정 브래킷(200), 제1밀착수단(300)과 제2밀착수단(300')을 포함하는 상부 밀착수단; 하부 프로파일(Pb)과 측면 프로파일(Ps)이 접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모서리 부재(100), 하부 프로파일(Pb)에 형성된 레일 홈(R)을 따라 길게 설치되고 한쪽이 개방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고정 브래킷(200), 제3밀착수단(400)과 제4밀착수단(400')을 포함하는 하부 밀착수단; 및 잠금 뭉치(L)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설치된 측면 밀착수단(500)을 포함하되;
    상기 모서리 부재(100)는, 각각, 프로파일에 형성된 레일 홈(R)을 연결하게 형성된 완곡 구간(110), 한쪽이 연결 바(B)에 제자리 회전하게 연결되고 다른 한쪽에 구성된 롤러(121)가 상기 완곡 구간(110)을 따라 움직이게 장착된 제1연결 바(120'), 그리고 한쪽에 구성된 롤러(122)가 상기 완곡 구간(110)에 삽입되어 상기 롤러(121)와 링크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제2연결 바(120")가 포함되고;
    상기 제1밀착수단(300), 제2밀착수단(300'), 제3밀착수단(400), 그리고 제4밀착수단(400')은, 각각, 상기 고정 브래킷(200) 안에서 서로 마주하여 연동하게 설치된 두 개의 슬라이딩 브래킷(310), 상기 슬라이딩 브래킷(310) 사이에서 상기 고정 브래킷(200)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받아 움직이도록 설치된 작동 브래킷(320), 길이 중간 부분이 상기 작동 브래킷(320)의 한쪽에 제자리 회전하게 설치되고 한쪽이 상기 슬라이딩 브래킷(310)의 한쪽에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며 다른 한쪽이 상기 작동 브래킷(320)에 상기 고정 브래킷(2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에 제자리 회전하게 설치된 제1링크(330a), 한쪽이 상기 슬라이딩 브래킷(310)의 다른 한쪽에 고정 브래킷(2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에 제자리 회전하게 설치된 제2링크(330b), 한쪽이 상기 제1링크(330a)의 슬릿을 따라 움직이면서 회전하게 장착되고 다른 한쪽이 상기 제2링크(330b)의 다른 한쪽에 연결된 제3링크(330c), 상기 제2 및 제3링크(330b, 330c)의 연결 부분에 제자리 회전하게 장착된 받침대(340), 및 상기 받침대(340)에 고정되는 지지판(351)에 설치되되 레일 홈(R)을 마감할 수 있게 길게 형성되어 창호 짝의 프로파일과 마주하는 창호 틀의 가이드(G)의 돌출된 끝에 밀착할 수 있게 형성된 밀착 부재(350)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제1밀착수단(300)의 각 슬라이딩 브래킷(310)은 상기 제1링크(310a)가 장착된 한쪽이 제2밀착수단(300')의 슬라이딩 브래킷에서 제2링크(330b)가 장착된 쪽에 연결되어 연동하게 연결하고, 다른 한쪽이 연결 바(B)에 연결되어 연동하게 하고; 상기 제3밀착수단(400)의 슬라이딩 브래킷(310)은 상기 제1링크(310a)가 장착된 한쪽이 제4밀착수단(400')의 슬라이딩 브래킷에서 제2링크(330b)가 장착된 쪽에 연결되어 연동하게 연결하고, 다른 한쪽이 연결 바(B)에 연결되어 연동하게 하고; 상기 제3밀착수단(400)과 제4밀착수단(400')의 밀착 부재(350)에는 창호 짝을 회전 지지하는 호차(C)가 외부에 노출되어 레일 홈(R)을 따라 안내를 받을 수 있게 작동 구멍(35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측면 밀착수단(500)에는, 측면 프로파일(Ps)의 레일 홈(R)에 장착된 지지 브래킷(510)에 고정되며 바깥면에는 하부 프로파일(Pb)과 마주하는 창호 틀의 가이드(G)의 돌출된 끝에 밀착할 수 있게 상기 지지 브래킷(5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판(521)에 장착된 밀착 부재(52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닫았을 때 밀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용 밀착 유지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밀착 부재(350, 720)는,
    각각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닫았을 때 밀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용 밀착 유지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밀착 부재(350)는,
    상기 상부 밀착수단과 하부 밀착수단에 각각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두 개로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닫았을 때 밀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용 밀착 유지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제2밀착수단(300')과 상기 제4밀착수단(400')에 각각 장착되는 밀착 부재(350)는,
    바깥쪽의 끝 부분이 꺾이게 형성되어 측면 프로파일(Ps)의 양단에 형성된 홈 부분을 마감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닫았을 때 밀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용 밀착 유지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각 연결 바(B)에는 완충수단(600)이 구성되어 있되,
    상기 완충수단(600)은,
    연결 바(B)를 구획한 두 개의 서브 바(B', B") 중 어느 하나의 서브 바(B')에 그 길이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양단이 이 서브 바(B')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의 안내를 받게 설치된 설치된 스프링(810); 및
    양단이 상기 스프링(810)과 나머지 서브 바(B")에 연결된 연결 바(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닫았을 때 밀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용 밀착 유지장치.
KR1020210067029A 2021-03-16 2021-05-25 닫았을 때 밀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용 밀착 유지장치 KR202201294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33990 2021-03-16
KR1020210033990 2021-03-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427A true KR20220129427A (ko) 2022-09-23

Family

ID=83445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029A KR20220129427A (ko) 2021-03-16 2021-05-25 닫았을 때 밀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용 밀착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942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408B1 (ko) 2015-11-30 2016-12-08 주식회사 시안 밀착식 미서기 창호
KR101731775B1 (ko) 2017-02-13 2017-04-28 이재선 미닫이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KR102085158B1 (ko) 2019-06-20 2020-05-15 주식회사 한동창호 밀착형 단열시스템 창호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408B1 (ko) 2015-11-30 2016-12-08 주식회사 시안 밀착식 미서기 창호
KR101731775B1 (ko) 2017-02-13 2017-04-28 이재선 미닫이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KR102085158B1 (ko) 2019-06-20 2020-05-15 주식회사 한동창호 밀착형 단열시스템 창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91021A (en) Garage door with rolled overlapping joint for adjacent panels
KR101134319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드 창호
KR101581294B1 (ko) 수평 풍지 구조를 갖는 미서기창호
ES2387730T3 (es) Disposición de cierre hermético
KR101917256B1 (ko) 방충 및 미세먼지 차단용 복합 미서기 창호
KR101342062B1 (ko) 기밀성 슬라이딩 창호
KR101335198B1 (ko) 수평밀착창호
US20090277097A1 (en) Dynamic Window Jamb Channel Block
KR101877471B1 (ko) 복합 미서기 창호
KR20220129427A (ko) 닫았을 때 밀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용 밀착 유지장치
KR102043814B1 (ko) 플랫 윈도우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폴딩 도어
KR102163508B1 (ko) 창호용 모서리 조립구
KR20150056930A (ko) 슬라이딩 벨트모듈을 구비한 방풍형 미닫이 창호 시스템
KR101450303B1 (ko) 방범 및 난간 기능이 일체화된 슬림형 쓰리트랙 단열 창호
US11199043B2 (en) Horizontally sliding window
KR101204813B1 (ko) 구름 컨베이어를 갖는 창호 개폐 장치
KR20160065728A (ko) 다기능 전동 셔터시스템
US11371277B2 (en) Biaxial track system for fenestration panels
KR102186400B1 (ko) 창문 개폐 정도에 따라 기밀성이 조절되는 창호 구조체
KR101967866B1 (ko) 밀폐 일자형 창호
KR20230062188A (ko) 창호의 기밀장치 및 이를 포함한 창호
KR101414859B1 (ko) 기밀유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KR102614371B1 (ko)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
JP2001173319A (ja) 折畳み戸
US20130139444A1 (en) Relation to double hung window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