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508B1 - 창호용 모서리 조립구 - Google Patents

창호용 모서리 조립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508B1
KR102163508B1 KR1020200030138A KR20200030138A KR102163508B1 KR 102163508 B1 KR102163508 B1 KR 102163508B1 KR 1020200030138 A KR1020200030138 A KR 1020200030138A KR 20200030138 A KR20200030138 A KR 20200030138A KR 102163508 B1 KR102163508 B1 KR 102163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ller frame
horizontal
ba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플랜
Priority to KR1020200030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8Edge-protecting devices for door le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창짝 또는 문짝의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만나는 모서리 측에 체결 고정되는 모서리 조립구에 있어서, 제1 외측의 중심부를 따라 가로 홀이 존재하며, 상기 제1 외측의 주변부에 밀착돌기(10)를 포함하는 가로바(1); 및 상기 가로바(1)에 일체로서 결합되며, 제2 외측의 중심부를 따라 상기 가로 홀에 연결된 세로 홀이 존재하며, 상기 제2 외측의 주변부에 밀착돌기(10)를 포함하는 세로바(2)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바(1)의 상기 가로 홀 내부에 창틀과 접촉하는 롤러(9)를 포함하는 제1 롤러 프레임(6)과 상기 제1 롤러 프레임(6)을 감싸는 제2 롤러프레임(7)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조립구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창호용 모서리 조립구{ASSEMBLY FOR CORNER OF WINDOW FRAME}
본 발명은 창호용 모서리 조립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미서기 창호에 있어서, 창짝 또는 문짝의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만나는 모서리 측에 체결 고정되는 모서리 조립구에 있어서, 제1 외측의 중심부를 따라 가로 홀이 존재하며, 상기 제1 외측의 주변부에 밀착돌기(10)를 포함하는 가로바(1); 및 상기 가로바(1)에 일체로서 결합되며, 제2 외측의 중심부를 따라 상기 가로 홀에 연결된 세로 홀이 존재하며, 상기 제2 외측의 주변부에 밀착돌기(10)를 포함하는 세로바(2)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바(1)의 상기 가로 홀 내부에 창틀과 접촉하는 롤러(9)를 포함하는 제1 롤러 프레임(6)과 상기 제1 롤러 프레임(6)을 감싸는 제2 롤러프레임(7)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조립구에 관한 것이다.
창호란 창과 문을 말하는 것으로서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켜 바람을 막으면서 채광이 실내로 들게 하거나 실내의 환기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구조는 기본적으로 프레임을 이루는 창틀과 그 내부에 장착되는 창짝으로 구성된다.
창짝은 창틀의 레일 위에서 움직이며 별도의 안전 장치가 없이 오랫동안 사용하는 경우 모서리 부분이 손상될 염려가 있다. 이는 창짝이 레일 위에서 움직이면서 가장 먼저 부딪히는 부분이 모서리 부분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창짝 또는 문짝 등의 모서리 부분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었고, 이에 본 발명자는 창호용 모서리 조립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창틀, 창짝, 문틀, 문짝의 모서리 결합 강도를 높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창짝 또는 문짝 아래에 롤러프레임의 설치, 교체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밀성 및 단열성을 높이는 모서리 조립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창짝 또는 문짝의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만나는 모서리 측에 체결 고정되는 모서리 조립구에 있어서, 제1 외측의 중심부를 따라 가로 홀이 존재하며, 상기 제1 외측의 주변부에 밀착돌기(10)를 포함하는 가로바(1); 및 상기 가로바(1)에 일체로서 결합되며, 제2 외측의 중심부를 따라 상기 가로 홀에 연결된 세로 홀이 존재하며, 상기 제2 외측의 주변부에 밀착돌기(10)를 포함하는 세로바(2)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바(1)의 상기 가로 홀 내부에 창틀과 접촉하는 롤러(9)를 포함하는 제1 롤러 프레임(6)과 상기 제1 롤러 프레임(6)을 감싸는 제2 롤러프레임(7)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조립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창틀, 창짝, 문틀, 문짝의 모서리 결합 강도를 높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짝 또는 문짝 아래에 롤러프레임의 설치, 교체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밀성 및 단열성을 높이는 모서리 조립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조립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와 롤러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롤러프레임과 가로바가 결합된 모습을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프레임과 가로바의 결합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풍부자재의 적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바라가 결합된 모서리 조립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미서기창에 모서리 조립구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서리 조립구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로바(1)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두짝 이상의 창문을 한쪽으로 밀어 겹치는 방식인 미서기 방식의 창호를 고려하며, 문틀 및 문짝 역시 고려될 수 있다. 참고로, 창짝 및 문짝은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포함하여 사각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창짝 또는 문짝의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만나는 모서리 측에 체결하여 고정시킬 모서리 조립구에 대한 것으로, 이와 관련하여 도면들과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조립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는 가로바(1)를 나타내고, 도 1(b)는 모서리 조립구의 측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조립구는 크게 가로바(1) 및 세로바(2)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가로바(1)와 세로바(2)는 일체로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로바(1)는 창짝(또는 문짝)의 수평프레임을 지지하고, 상기 세로바(2)는 수직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다.
설명을 돕기 위해 창짝이 부착되는 방향을 가로바(1) 및 세로바(2)의 내측이라고 하고, 창짝이 부착되는 반대 방향을 가로바(1) 및 세로바(2)의 외측이라고 상정할 수 있다. 또한, 가로바(1)의 외측을 제1 외측, 세로바(2)의 외측을 제2 외측이라고 구분할 수 있다.
이때, 가로바(1)의 제1 외측의 중심부를 따라서는 가로 홀이 존재하며, 상기 제1 외측의 주변부는 밀착돌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가로바(1)의 제1 외측의 중심부가 길이 방향으로 깊게 파져 있고, 이를 가로 홀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로 홀은 원 형태가 아니라 가로바(1)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게 뻗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세로바(2)의 제2 외측의 중심부를 따라서는 세로홀이 존재하며, 상기 제2 외측의 주변부는 밀착돌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세로바(2)의 제2 외측의 중심부가 길이 방향으로 깊게 파져 있고, 이를 세로 홀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세로 홀은 원 형태가 아니라 세로바(2)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게 뻗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2 외측의 중심부에 존재하는 세로 홀과 상기 제1 외측의 중심부에 존재하는 가로 홀은 서로 연결되어 'ㄱ' 또는 'ㄴ'자 형태의 홀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밀착돌기(10)는 제1 외측의 양쪽 가장자리 중 일부 또는 제2 외측의 양쪽 가장자리 중 일부에 존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외측의 중심부에는 가로 홀이 존재하여 양쪽 가장자리가 더 큰 높이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2 외측의 중심부에는 세로 홀이 존재하고 양쪽 가장자리 역시 더 큰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장자리 중 일부에 밀착돌기(10)가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밀착돌기(10)는 창짝, 문짝 등의 수평 프레임, 수직 프레임에 장착되고 결합강도를 높이기 위해 도 1(b)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지그재그 형태의 밀착돌기(10)는 창틀, 문틀 등과 결합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와 롤러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롤러프레임과 가로바가 결합된 모습을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프레임과 가로바(1)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가로바(1)의 가로 홀 내부에는 창틀과 접촉하는 롤러(9)를 포함하는 제1 롤러 프레임(6)과 제1 롤러 프레임(6)을 감싸는 제2 롤러 프레임(7)이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롤러 프레임(6)과 제2 롤러 프레임(7)이 상기 가로바(1)와 결합된 구조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하나의 롤러(9)만을 표시하였으나, 레일 및 가로바(1)의 길이에 따라 롤러(9)가 복수 개 배치될 수도 있다.
우선, 제1 롤러 프레임(6)의 양측면에는 제1 홀이 존재하고, 상기 제1 홀에 롤러(9)를 지지하는 롤러 축(22)이 위치하여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제2 롤러 프레임(7)의 양측면에 제2 홀이 존재하고 상기 제2 홀에도 역시 롤러 축(22)이 통과할 수 있는데, 도 2(b)에서 볼 수 있듯이, 롤러 축(22)의 양쪽 끝부분이 제2 롤러 프레임(7)의 상기 제2 홀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위를 볼 때, 롤러 축(22)은 제2 롤러 프레임(7)의 제2 홀, 제1 롤러 프레임(6)의 제1 홀, 롤러(9)를 통과하면서, 이들을 연결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a)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롤러 프레임(6)의 일측면과 제2 롤러 프레임(7)의 일측면을 동시에 관통하면서 상기 제1 롤러 프레임(6) 및 제2 롤러 프레임(7)을 결합시키는 연결 나사(8)가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나사(8)가 통과하는 홀로서, 상기 제1 롤러 프레임(6)의 일측면에 존재하는 홀을 제1 스크류 홀, 상기 제2 롤러 프레임(7)의 일측면에 존재하는 홀을 제2 스크류 홀이라고 상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크류 홀과 상기 제2 스크류 홀(20)은 모두 동일한 측면에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이 제1 롤러 프레임(6)과 제2 롤러 프레임(7)이 연결 나사(8) 및 롤러 축(22)을 통해 결합된 상태에서, 가로바(1)와 결합될 수 있다.
참고로, 롤러 프레임 등과의 결합을 위해 가로바(1)의 내측의 중심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삽입 홀이 존재하고, 상기 삽입 홀에는 걸림턱(31)이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가로바(1)의 외측에는 전체 길이에 대응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난 가로 홀이 존재하고, 가로바(1)의 내측의 중심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삽입 홀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삽입 홀은 가로바(1)의 전체 길이보다 작은 길이에 대응하도록 생성된 홀에 해당하며, 삽입 홀의 한쪽 끝에는 걸림턱(31)이 존재할 수 있다.
롤러 프레임의 결합체는 상기 가로바(1)와 결합할 수 있는데, 제2 롤러 프레임(7)의 일측면과 연결 나사(8)의 머리 파트 사이에 걸림턱(31)이 위치하여 끼워지도록 제1 롤러 프레임(6) 및 제2 롤러 프레임(7)이 삽입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위에서부터 제2 롤러 프레임(7)의 일측면, 걸림턱(31), 연결 나사(8)의 머리 파트 순으로 위치하여 서로 맞물린 상태에 해당할 수 있고, 롤러 프레임과 가로바(1)가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도 3에서는 상기 제2 롤러 프레임(7)의 일측면, 걸림턱(31), 연결 나사(8)의 머리 파트가 서로 약간의 거리를 두며 떨어져 있으나, 도 3과 달리 상기 3개의 구성 요소가 밀착된 상태로 맞물려, 롤러 프레임과 가로바(1)의 결합을 더욱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 롤러 프레임은 가로바(1)에 위에서부터 수직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수평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특히,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가로바(1)의 끝부분까지 상기 삽입홀이 존재하며, 즉 상기 가로바(1)의 끝부분(걸림턱(31)이 존재하는 부분의 반대편)이 오픈된 상태여야 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풍부자재의 적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외측에 존재하는 양쪽 가장자리 및 제2 외측에 존재하는 양쪽 가장자리에 방풍부자재(15)가 포함될 수 있으며, 레일의 유도 홈과의 기밀성 및 방풍 효과로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b)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외측에 존재하는 주변부의 내측 및 제2 외측에 존재하는 주변부의 내측에 방풍부자재(15)가 포함될 수 있으며, 창짝 및 문짝이 닫혔을 때, 창틀과 문짝의 기밀성 및 방풍 효과로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방풍부자재(15)는 모헤어, 풍지판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며, 단열성 효과를 주는 다양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세로바(2)에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지지대 프레임(21)이 제2 외측의 밀착돌기(10) 사이에서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지지대 프레임(21)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기울어진 상태로 존재함으로써 더 넓은 면적에서 힘을 받고 힘을 흘릴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바라가 결합된 모서리 조립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변형이 가능한 자바라(19)가 가로바(1)와 세로바(2)의 연결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로바(1)와 세로바(2)의 길이 조절 및 상호 각도가 상기 자바라(19)에 의해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가로바(1)와 세로바(2)의 길이 조절을 가능하도록 하며, 수직프레임에 세로바(2)가 더 깊숙한 고정이 필요시 세로바(2)의 길이를 늘려 수직프레임과 세로바(2)가 고정이 되도록 하거나, 반대로 세로바(2)의 길이를 짧게 조절하여 수직프레임과 세로바(2)가 고정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가로바(1)와 세로바(2)의 상호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각각 가로바(1)와 세로바(2)의 조립시 수직으로 조립할 필요 없으며, 공간과 상황에 맞추어 가로바(1)와 세로바(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자바라(19)가 결합되는 경우, 보다 창틀/문틀과 모서리 조립구의 결합을 강화시키기 위해, 세로바(2)에 스크류홀을 추가 구성하고, 나사를 통해 세로바(2)와 수직프레임의 결속을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가로바(1)와 세로바(2)의 길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가로바(1)와 세로바(2)가 서로 분리될 수 있음을 가정한 것으로서, 'ㄱ' 혹은 'ㄴ'자 형태의 가로바(1) 및 세로바(2)가 서로 분리되어 하나의 직선 형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가로바(1)와 세로바(2)의 결합부분은 대각선 방향으로 쪼개질 수 있다.
또한, 가로바(1)의 경우, 서로 다른 길이 및 각도의 복수의 종류에 해당하는 가로바(1)가 존재할 수 있고, 세로바(2)의 경우에도, 서로 다른 길이 및 각도의 복수의 종류에 해당하는 세로바(2)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로바(1) 중 창짝, 창틀에 적합한 가로바(1)가 선택되고, 상기 복수의 세로바(2) 중 창짝, 창틀에 적합한 세로바(2)가 선택되어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복수의 가로바(1) 및 복수의 세로바(2)의 결합 부위는 통일되어 어느 가로바(1), 어느 세로바(2)가 선택되더라도 서로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형태를 가지는 가로바(1) 및 세로바(2)가 자바라(19)와 결합되는 경우, 자바라(19)의 형태에 기초하여 특정 형태의 가로바(1) 및 세로바(2)가 선택되고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창짝, 창틀, 문짝, 문틀의 길이 및 형태에 기초하여 가로바(1) 및 세로바(2)의 특정 형태가 선택될 수도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로바(1) 및 상기 세로바(2)의 끝부분이 각이 진 형태가 아닌 둥근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끝부분은 가로바(1) 및 세로바(2)가 서로 결합되는 부분이 아닌 각각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창짝의 이동에 있어서, 걸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각이 진 형태보다는 둥근 형태가 보다 자유롭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둥근 형태가 아닌 끝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상기 가로바(1) 및 세로바(2)의 끝부분 형태가 설정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미서기창에 모서리 조립구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미서기창은, 창짝이 창틀에 형성된 2개 이상의 레일의 유도홈을 따라 좌 또는 우로 이동하여 작동하게 되며, 50%의 개폐율을 가진 방식으로써 최소 1개의 창틀(11), 손잡이(17)와 2개 이상의 창짝(12), 유리(18), 레일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일부분만 표시되었지만, 창짝(12)이 2개이기 때문에 각 4개의 모서리에 대해 총 8개의 모서리 조립구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4개의 창틀(11) 모서리 연결구(23)의 부분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모서리 조립구로 대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서리 조립구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로바(1)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모서리 조립구의 모습을 도 8 및 도 9와 함께 다시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모서리 조립구는 'ㄱ' 또는 'ㄴ'의 형태로 가로바(1)와 세로바(2)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구조이고, 상기 가로바(1)의 제1 외측에는 중심부를 따라서 가로 홀이 존재하며, 상기 세로바(2)의 제2 외측에는 중심부를 따라서 세로 홀이 존재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가로 홀 및 세로 홀은 전술하였듯이 '
Figure 112020025773954-pat00001
'과 같이 움푹 파여있는 형태가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가로바(1)는 상기 가로 홀(제1 외측에 위치)에서 보다 내측에 삽입 홀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삽입 홀은 제1 롤러 프레임(6) 및 제2 롤러 프레임(7)의 결합체가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
삽입 홀의 경우 도 8 및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세로바(2)와 결합되는 쪽에는 걸림턱(31)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롤러 프레임(6) 및 제2 롤러 프레임(7)의 결합체가 보다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조립구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가로바
2 : 세로바
6 : 제1롤러프레임
7 : 제2롤러프레임
8 : 연결 나사
9 : 롤러
10 : 밀착돌기
11 : 창틀
12 : 창짝
15 : 방풍부자재
17 : 손잡이
18 : 유리
19 : 자바라
20 : 스크류홀
21 : 지지프레임
22 : 롤러축
23 : 모서리연결구

Claims (8)

  1. 창짝 또는 문짝의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만나는 모서리 측에 체결 고정되는 모서리 조립구에 있어서,
    제1 외측의 중심부를 따라 가로 홀이 존재하며, 상기 제1 외측의 주변부에 밀착돌기(10)를 포함하는 가로바(1); 및
    상기 가로바(1)에 일체로서 결합되며, 제2 외측의 중심부를 따라 상기 가로 홀에 연결된 세로 홀이 존재하며, 상기 제2 외측의 주변부에 밀착돌기(10)를 포함하는 세로바(2)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바(1)의 상기 가로 홀 내부에 창틀과 접촉하는 롤러(9)를 포함하는 제1 롤러 프레임(6)과 상기 제1 롤러 프레임(6)을 감싸는 제2 롤러프레임(7)이 위치하며,
    상기 가로바(1)의 내측의 중심부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 홀이 존재하고 상기 삽입 홀에 걸림턱(31)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롤러 프레임(6)과 상기 제2 롤러프레임(7)이 연결 나사를 통해 결합되었다고 할 때,
    상기 제2 롤러 프레임(7)의 일측면과 상기 연결 나사의 머리 파트 사이에 상기 걸림턱(31)이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롤러 프레임(6)과 상기 제2 롤러프레임(7)이 상기 삽입홀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조립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 프레임(6)의 양측면에 제1 홀이 존재하고 상기 제1 홀에 상기 롤러(9)를 지지하는 롤러 축(22)이 위치하며,
    상기 제2 롤러 프레임(7)의 양측면에 제2 홀이 존재하고 상기 제2 홀에 상기 롤러 축(22)의 끝부분이 위치하고,
    상기 연결 나사가 상기 제1 롤러 프레임(6)의 일측면과 상기 제2 롤러 프레임(7)의 일측면을 동시에 관통하면서 상기 제1 롤러 프레임(6) 및 상기 제2 롤러 프레임(7)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조립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바(2)에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지지대 프레임(21)이 상기 제2 외측의 상기 밀착돌기(10) 사이에서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조립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돌기(10)는, 상기 제1 외측의 양쪽 가장자리 중 일부 또는 상기 제2 외측의 양쪽 가장자리 중 일부에 존재하고,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조립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1)와 상기 세로바(2)의 연결부분에 변형이 가능한 자바라(19)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바라(19)에 의한 상기 가로바(1)와 상기 세로바(2)의 길이 조절 및 상호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조립구
  7. 제6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형태의 상기 가로바(1) 및 상기 세로바(2)가 복수 개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가로바(1), 상기 세로바(2) 및 상기 자바라(19)가 서로 분리 결합된다고 할 때,
    상기 자바라(19)의 형태, 상기 창짝의 길이 및 형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형태 중 특정 형태의 가로바(1)와 상기 복수 개의 형태 중 특정 형태의 세로바(2)가 상기 자바라(19)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조립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에 존재하는 상기 주변부의 내측 및 상기 제2 외측에 존재하는 상기 주변부의 내측에 방풍부자재(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조립구.
KR1020200030138A 2020-03-11 2020-03-11 창호용 모서리 조립구 KR102163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138A KR102163508B1 (ko) 2020-03-11 2020-03-11 창호용 모서리 조립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138A KR102163508B1 (ko) 2020-03-11 2020-03-11 창호용 모서리 조립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508B1 true KR102163508B1 (ko) 2020-10-07

Family

ID=72884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138A KR102163508B1 (ko) 2020-03-11 2020-03-11 창호용 모서리 조립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5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127B1 (ko) * 2020-08-12 2020-12-16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프레임 결합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KR102251901B1 (ko) * 2020-12-07 2021-05-13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유연한 구조를 가지는 일체형 모서리 조립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988Y1 (ko) * 1997-12-31 2000-04-15 김정오 슬라이드 도어용 새시
KR20190094526A (ko) * 2018-02-05 2019-08-14 이영섭 조립형 문 프레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988Y1 (ko) * 1997-12-31 2000-04-15 김정오 슬라이드 도어용 새시
KR20190094526A (ko) * 2018-02-05 2019-08-14 이영섭 조립형 문 프레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127B1 (ko) * 2020-08-12 2020-12-16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프레임 결합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KR102251901B1 (ko) * 2020-12-07 2021-05-13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유연한 구조를 가지는 일체형 모서리 조립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508B1 (ko) 창호용 모서리 조립구
US20100115877A1 (en) Sash for windows and doors with attachable and detachable rails
US20230160253A1 (en) Sash retention system
KR101556582B1 (ko) 풍지판을 구비한 학교용 미서기 창
KR101669409B1 (ko) 강화유리문 프레임의 설치구조
KR100828711B1 (ko) 발코니용 이중 창틀의 다중차단구조
US11634940B2 (en) Invisible sill—thermally broken
KR101575077B1 (ko) 미서기 창호 및 미서기 창호를 위한 이탈 방지 장치
JP5760141B2 (ja) エアシールドウィンドウ
KR102251901B1 (ko) 유연한 구조를 가지는 일체형 모서리 조립구
KR20150056930A (ko) 슬라이딩 벨트모듈을 구비한 방풍형 미닫이 창호 시스템
US11199043B2 (en) Horizontally sliding window
KR102210625B1 (ko) 일체형 모서리 조립구
US20130139444A1 (en) Relation to double hung windows
KR101616317B1 (ko) 3중 단열구조 미서기창
KR20110102984A (ko) 방풍부재가 구비된 미닫이 도어 및 그 제조방법
KR101893401B1 (ko) 단열 및 방풍용 미서기창호
KR200163589Y1 (ko) 미닫이창의다중차단구조
KR200413728Y1 (ko) 발코니용 이중 창틀의 다중차단구조
KR102633856B1 (ko)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
KR102607360B1 (ko) 창짝 조립체들 사이의 단열성 및 방풍 성능이 향상된 미서기창
KR100831423B1 (ko) 방풍용 창호
KR102528786B1 (ko) 창문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120084067A (ko) 기밀 슬라이딩 창호
KR200241471Y1 (ko) 미닫이 창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