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382B1 -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382B1
KR101767382B1 KR1020150103203A KR20150103203A KR101767382B1 KR 101767382 B1 KR101767382 B1 KR 101767382B1 KR 1020150103203 A KR1020150103203 A KR 1020150103203A KR 20150103203 A KR20150103203 A KR 20150103203A KR 101767382 B1 KR101767382 B1 KR 101767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liding door
movable rail
door por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2652A (ko
Inventor
김태권
정정용
김기범
박철호
설동우
김강환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03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382B1/ko
Publication of KR20170012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06B3/505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where the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 E06B3/5081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where the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at least two wings have a different kind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11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0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allowing an addition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06B3/505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where the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 E06B3/507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where the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the horizontal sliding wings having the possibility of an additional rotation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02Additional w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도어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도어장치는: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프레임의 출입구의 일부를 개폐시키는 여닫이 도어부; 및 여닫이 도어부와 나란하게 이동되도록 여닫이 도어부에 설치되고, 출입구의 나머지 일부를 개폐시키는 미닫이 도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장치{DOOR APPARATUS}
본 발명은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궤적을 감소시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건물에는 도어가 설치된다. 도어는 개폐되는 방식에 따라 여닫이 도어와 미닫이 도어로 구분된다. 여닫이 도어는 경첩 등을 이용하여 도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미닫이 도어는 레일을 이용하여 도어 프레임에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여닫이 도어는 도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므로, 여닫이 도어의 회전궤적 정도의 공간이 활용되기 곤란하다. 또한, 미닫이 도어는 도어 프레임이 미닫이 도어의 폭방향 길이의 2배 정도로 길게 형성되므로, 미닫이 도어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가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67669호(2015. 06. 18 공개, 발명의 명칭: 냉열 차단용 문과 문틀)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궤적을 감소시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장치는: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출입구의 일부를 개폐시키는 여닫이 도어부; 및 상기 여닫이 도어부와 나란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여닫이 도어부에 설치되고, 상기 출입구의 나머지 일부를 개폐시키는 미닫이 도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닫이 도어부의 폭방향 길이는 상기 출입구의 폭방향 절반을 폐쇄시킬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미닫이 도어부의 폭방향 길이는 상기 출입구의 폭방향 나머지 절반을 폐쇄시킬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여닫이 도어부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여닫이 몸체; 및 상기 여닫이 몸체의 상측과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미닫이 도어부의 상측과 하측을 지지하는 서포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부에는 상기 미닫이 도어부가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부는 상기 서포터부에 설치되는 고정 레일부; 및 상기 고정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적층되고, 상기 미닫이 도어부가 이동될 때에 상기 고정 레일부와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이동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부는 상기 이동 레일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 레일부를 상기 여닫이 도어부의 회전축 반대방향으로 밀어내도록 상기 이동 레일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닫이 도어부에는 손잡이부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미닫이 도어부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미닫이 도어부에 매립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미닫이 도어부를 상기 프레임에 구속하는 록킹부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닫이 도어부가 여닫이 도어부와 나란하게 이동되도록 여닫이 도어부에 설치되므로, 미닫이 도어부가 개방되어 여닫이 도어부에 겹쳐질 수 있다. 따라서, 도어장치의 회전궤적이 여닫이 도어부의 회전궤적만큼 감소되므로, 실내 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장치의 회전궤적이 감소되므로, 침대나 장롱 등의 가구가 도어장치에 보다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여닫이 도어부가 프레임에 닫히거나, 여닫이 도어부를 개방할 수 없는 경우에, 미닫이 도어부가 여닫이 도어부와 겹쳐지도록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미닫이 도어부만을 개방하여 실내 공간을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부재가 이동 레일부를 여닫이 도어부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동 레일부에 탄성력을 가하므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여닫이 도어부가 용이하게 닫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부가 미닫이 도어부에 매립되게 설치되므로, 미닫이 도어부가 여닫이 도어부에 겹쳐질 때에 손잡이부가 여닫이 도어부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가 여닫이 도어부를 손상시키거나 흠집을 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에서 미닫이 도어부가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에서 미닫이 도어부가 여닫이 도어부에 겹쳐지도록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에서 가이드 레일부에서 이동 레일부가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에서 손잡이부와 록킹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에서 손잡이부와 록킹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에서 미닫이 도어부가 여닫이 도어부에 겹쳐지도록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에서 미닫이 도어부가 여닫이 도어부에 겹쳐진 상태에서 여닫이 도어부가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어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에서 미닫이 도어부가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에서 미닫이 도어부가 여닫이 도어부에 겹쳐지도록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100)는 여닫이 도어부(110)와 미닫이 도어부(120)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도어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는 출입구(15)를 형성한다. 프레임(10)은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다. 프레임(10)의 두께는 여닫이 도어부(110)와 미닫이 도어부(120)의 두께를 합한 두께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여닫이 도어부(110)는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프레임(10)의 출입구(15)의 일부를 개폐시킨다. 여닫이 도어부(110)는 경첩(17)에 의해 회전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닫이 도어부(110)는 출입구(15)의 일부를 폐쇄하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미닫이 도어부(120)는 여닫이 도어부(110)와 나란하게 이동되도록 여닫이 도어부(110)에 설치되고, 출입구(15)의 나머지 일부를 개폐시킨다. 미닫이 도어부(120)가 여닫이 도어부(110)와 나란하게 이동되므로, 미닫이 도어부(120)가 여닫이 도어부(110)에 겹쳐지도록 인입되거나 미닫이 도어부(120)에서 인출될 수 있다.
미닫이 도어부(120)가 여닫이 도어부(110)에 겹쳐진 경우, 도어장치(100)의 폭방향 길이가 감소된다. 따라서, 미닫이 도어부(120)가 여닫이 도어부(110)에 포개진 상태에서 여닫이 도어가 개방되면, 도어장치(100)의 회전궤적이 감소되므로, 실내 공간의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어장치(100)의 회전궤적이 감소되므로, 침대나 장롱 등의 가구(20)가 도어장치(100)에 보다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여닫이 도어부(110)가 출입구(15)의 일부를 폐쇄하도록 프레임(10)에 닫히는 경우, 미닫이 도어부(120)가 여닫이 도어부(110)와 겹쳐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미닫이 도어부(120)만을 개방하여 실내 공간을 환기시킬 수도 있다.
여닫이 도어부(110)의 폭방향 길이가 출입구(15)의 폭방향 절반을 폐쇄시킬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미닫이 도어부(120)의 폭방향 길이가 출입구(15)의 폭방향 나머지 절반을 폐쇄시킬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여닫이 도어부(110)와 미닫이 도어부(120)의 폭방향 길이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여닫이 도어부(110)와 미닫이 도어부(120)가 완전히 겹쳐지면 도어장치(100)의 회전궤적이 가장 감소된다. 따라서, 실내 공간의 활용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여닫이 도어부(110)는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여닫이 몸체(111)와, 여닫이 몸체(111)의 상측과 하측에 배치되고, 미닫이 도어부(120)의 상측과 하측을 지지하는 서포터부(113)를 포함한다. 서포터부(113)는 여닫이 도어부(110)의 폭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된다. 서포터부(113)가 미닫이 도어부(120)의 상측과 하측을 지지하므로, 미닫이 도어부(120)가 여닫이 도어부(110)와 함께 회전되면서 프레임(10)의 출입구(15)를 개폐시킬 수 있다.
서포터부(113)에는 미닫이 도어부(120)가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부(130)가 설치된다. 가이드 레일부(130)는 상측의 서포터부(113)의 하면에 설치되고, 하측의 서포터부(113)의 상면에 설치된다. 가이드 레일부(130)는 서포터부(113)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에서 가이드 레일부에서 이동 레일부가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 레일부(130)는 고정 레일부(131)와 복수의 이동 레일부(132,133)를 포함한다. 고정 레일부(131)는 서포터부(113)에 설치된다. 고정 레일부(131)는 서포터부(113)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복수의 이동 레일부(132,133)는 고정 레일부(131)에 이동 가능하게 적층된다. 예들 들면, 고정 레일부(131)에 제1 이동 레일부(132)와 제2 이동 레일부(133)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복수의 이동 레일부(132,133)는 미닫이 도어부(120)가 이동될 때에 고정 레일부(131)와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예들 들면, 미닫이 도어부(120)가 개방될 때에 제1 이동 레일부(132)와 제2 이동 레일부(133)가 먼저 이동되고, 제1 이동 레일부(132)가 정지된 후에 제2 이동 레이부가 마지막으로 이동된다.
가이드 레일부(130)는 이동 레일부(132,133)에 연결되고, 이동 레일부(132,133)를 여닫이 도어부(110)의 회전축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동 레일부(132,133)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135,136)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제1 탄성부재(135)는 고정 부재와 제1 이동 레일부(132)를 연결하고, 제2 탄성부재(136)는 제1 이동 레일부(132)와 제2 이동 레일부(133)를 연결한다. 제1 이동 레일부(132)와 제2 이동 레일부(133)가 일측으로 이동될 때에는 제1 탄성부재(135)가 수축되고, 제2 이동 레일부(133)만 일측으로 이동될 때에는 제2 탄성부재(136)가 수축된다.
탄성부재(135,136)가 이동 레일부(132,133)를 여닫이 도어부(110)의 회전축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동 레일부(132,133)에 탄성력을 가하므로, 탄성부재(135,136)의 탄성력에 의해 여닫이 도어부(110)가 용이하게 닫힐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에서 손잡이부와 록킹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에서 손잡이부와 록킹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미닫이 도어부(120)에는 손잡이부(140)가 설치된다. 손잡이부(140)는 미닫이 도어부(120)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미닫이 도어부(120)에 매립된다. 손잡이부(140)가 미닫이 도어부(120)에 매립되므로, 미닫이 도어부(120)가 여닫이 도어부(110)에 겹쳐질 때에 손잡이부(140)가 여닫이 도어부(11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140)가 여닫이 도어부(110)를 손상시키거나 흠집을 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손잡이부(140)에는 손잡이부(140)가 회전됨에 따라 프레임(10)의 걸림홈(13)에 삽입되어 미닫이 도어부(120)를 프레임(10)에 구속하는 록킹부(143)가 연결된다. 이때, 미닫이 도어부(120)의 둘레부 일측에는 록킹부(143)가 인출될 수 있도록 인출홈(145)이 형성되고, 록킹부(143)는 손잡이부(140)의 일측에 링크 결합된다. 록킹부(143)가 도어 프레임(10)의 걸림홈(13)에 삽입되므로, 미닫이 도어부(120)가 여닫이 도어부(110)의 회전축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에서 미닫이 도어부가 여닫이 도어부에 겹쳐지도록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에서 미닫이 도어부가 여닫이 도어부에 겹쳐진 상태에서 여닫이 도어부가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여닫이 도어부(110)가 프레임(10)에 닫힌 상태에서 미닫이 도어부(120)가 여닫이 도어부(110)와 겹쳐지도록 개방된다. 이때, 프레임(10)의 출입구(15)는 여닫이 도어부(110)에 의해 절반 정도가 폐쇄되고 나머지 절반 정도가 개방된다. 따라서, 여닫이 도어부(110)가 프레임(10)에 닫혀 있는 상태에서도 실내 공간을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여닫이 도어부(110)의 근처에 가구(20)나 물건이 배치되어 여닫이 도어부(110)를 개방할 수 없는 경우, 미닫이 도어부(120)만을 개방하여 출입구(15)의 절반 정도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다.
미닫이 도어부(120)가 여닫이 도어부(110)에 겹쳐지도록 이동된 상태에서 여닫이 도어부(110)를 회전시키면, 여닫이 도어부(110)와 미닫이 도어부(120)가 프레임(10)의 출입구(15)를 전부 개방한다. 이때, 도어장치(100)의 회전궤적은 여닫이 도어부(110)의 폭방향 길이 정도로 감소되므로, 침대나 장롱 등의 가구(20)가 도어장치(100)에 보다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여닫이 도어부(110)의 회전궤적이 감소되는 만큼 실내 공간의 활용도가 향상된다.
미닫이 도어부(120)가 여닫이 도어부(110)에서 출입구(15)를 닫도록 이동되는 경우, 복수의 이동 레일부(132,133)는 고정 레일부(131)와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예를 들면, 미닫이 도어부(120)가 개방되도록 이동될 때에 제1 이동 레일부(132)와 제2 이동 레일부(133)가 먼저 이동되고, 제1 이동 레일부(132)가 정지된 후에 제2 이동 레이부가 마지막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 탄성부재(135)와 제2 탄성부재(136)가 신장된 상태이므로, 제1 탄성부재(135)와 제2 탄성부재(136)는 미닫이 도어부(120)를 여닫이 도어부(110)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미닫이 도어부(120)에 탄성력을 작용한다. 따라서, 미닫이 도어부(120)가 열리도록 미닫이 도어부(120)에 약간의 외력만 가해지면, 제1 탄성부재(135)와 제2 탄성부재(136)의 탄성력에 의해 미닫이 도어부(120)가 용이하게 닫힐 수 있다.
한편, 여닫이 도어부(110)는 경첩(17)에 의해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미닫이 도어부(120)는 여닫이 도어부(110)에 결합되므로, 기존의 프레임(10)이 교체되지 않더라도 도어장치(100)를 프레임(10)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장치(100)만을 구입 또는 제작한 후 프레임(10)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미닫이 도어부(120)가 여닫이 도어부(110)와 나란하게 이동되도록 여닫이 도어부(110)에 설치되므로, 미닫이 도어부(120)가 개방되어 여닫이 도어부(110)에 겹쳐질 수 있다. 따라서, 도어장치(100)의 회전궤적이 여닫이 도어부(110)의 회전궤적만큼 감소되므로, 실내 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장치(100)의 회전궤적이 감소되므로, 침대나 장롱 등의 가구(20)가 도어장치(100)에 보다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여닫이 도어부(110)가 프레임(10)에 닫히거나, 여닫이 도어부(110)를 개방할 수 없는 경우에, 미닫이 도어부(120)가 여닫이 도어부(110)와 겹쳐지도록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미닫이 도어부(120)만을 개방하여 실내 공간을 환기시킬 수도 있다.
또한, 탄성부재(135,136)가 이동 레일부(132,133)를 여닫이 도어부(110)의 회전축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동 레일부(132,133)에 탄성력을 가하므로, 탄성부재(135,136)의 탄성력에 의해 여닫이 도어부(110)가 용이하게 닫힐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140)가 미닫이 도어부(120)에 매립되게 설치되므로, 미닫이 도어부(120)가 여닫이 도어부(110)에 겹쳐질 때에 손잡이부(140)가 여닫이 도어부(11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140)가 여닫이 도어부(110)를 손상시키거나 흠집을 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프레임 13: 걸림홈
100: 도어장치 110: 여닫이 도어부
111: 여닫이 몸체 113: 서포터부
120: 미닫이 도어부 130: 가이드 레일부
131: 고정 레일부 132: 제1 이동 레일부
133: 제2 이동 레일부 135: 제1 탄성부재
136: 제2 탄성부재 140: 손잡이부
143: 록킹부 145: 인출홈

Claims (8)

  1.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출입구의 일부를 개폐시키는 여닫이 도어부; 및
    상기 여닫이 도어부와 나란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여닫이 도어부에 설치되고, 상기 출입구의 나머지 일부를 개폐시키는 미닫이 도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닫이 도어부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여닫이 몸체; 및
    상기 여닫이 몸체의 상측과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미닫이 도어부의 상측과 하측을 지지하는 서포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부에는 상기 미닫이 도어부가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부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부는,
    상기 서포터부에 설치되는 고정 레일부;
    상기 고정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적층되고, 상기 미닫이 도어부가 이동될 때에 상기 고정 레일부와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이동 레일부; 및
    상기 이동 레일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 레일부를 상기 여닫이 도어부의 회전축 반대방향으로 밀어내도록 상기 이동 레일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레일부는 상기 고정 레일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1 이동 레일부와 제2 이동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고정 레일부와 상기 제1 이동 레일부를 연결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이동 레일부와 상기 제2 이동 레일부를 연결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 레일부와 상기 제2 이동 레일부가 일측으로 이동될 때에 상기 제1 탄성부재가 수축되고,
    상기 제2 이동 레일부만 일측으로 이동될 때에는 상기 제2 탄성부재가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여닫이 도어부의 폭방향 길이는 상기 출입구의 폭방향 절반을 폐쇄시킬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미닫이 도어부의 폭방향 길이는 상기 출입구의 폭방향 나머지 절반을 폐쇄시킬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닫이 도어부에는 손잡이부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미닫이 도어부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미닫이 도어부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미닫이 도어부를 상기 프레임에 구속하는 록킹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장치.
KR1020150103203A 2015-07-21 2015-07-21 도어장치 KR101767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203A KR101767382B1 (ko) 2015-07-21 2015-07-21 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203A KR101767382B1 (ko) 2015-07-21 2015-07-21 도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652A KR20170012652A (ko) 2017-02-03
KR101767382B1 true KR101767382B1 (ko) 2017-08-14

Family

ID=58156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203A KR101767382B1 (ko) 2015-07-21 2015-07-21 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3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813215U (zh) * 2017-11-13 2018-09-04 中山市喜安居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门锁面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666A (ja) 1998-08-28 2000-03-07 Sekisui Chem Co Ltd 出入口構造
JP2001065253A (ja) * 1999-08-26 2001-03-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門扉装置
KR101094066B1 (ko) 2011-07-25 2011-12-15 김순석 자동문 및 반자동문용 창호 장치
JP2012149452A (ja) * 2011-01-20 2012-08-09 Hochiki Corp 鎌錠監視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666A (ja) 1998-08-28 2000-03-07 Sekisui Chem Co Ltd 出入口構造
JP2001065253A (ja) * 1999-08-26 2001-03-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門扉装置
JP2012149452A (ja) * 2011-01-20 2012-08-09 Hochiki Corp 鎌錠監視装置
KR101094066B1 (ko) 2011-07-25 2011-12-15 김순석 자동문 및 반자동문용 창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652A (ko) 2017-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8662B1 (ko) 기밀유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KR101447944B1 (ko) 창호의 밀착식 기밀장치
KR101767382B1 (ko) 도어장치
WO2007074397A3 (en) Furniture provided with an opening/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s
KR101490160B1 (ko) 자동 닫힘 도어힌지
KR20160106012A (ko) 3중(三重) 미닫이도어의 슬라이드 이동장치
KR101849986B1 (ko) 폴딩도어의 양방향 회전식 절첩장치
KR101825080B1 (ko) 걸림턱에 의하여 개폐속도조절 및 자동이송이 가능한 폴딩도어
KR101435651B1 (ko) 창호의 수평 이동식 기밀장치
KR101091184B1 (ko) 슬라이딩 개방 또는 회전 개방, 슬라이딩 개방 및 회전 개방이 가능한 분전함용 도어
KR20130038459A (ko) 창호용 호차
KR101809167B1 (ko) 가구용 손잡이
US20200109586A1 (en) Door apparatus
KR20100104169A (ko) 천장 점검구
KR101950900B1 (ko) 가구용 측면 몰딩
KR20170005974A (ko) 반자동 3연동 도어 시스템
KR102089043B1 (ko)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
US20190359035A1 (en) Recreational Vehicle and Trailer Window Treatment Adjustment System
KR20210049289A (ko)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JP7337227B2 (ja) 建具
KR101667497B1 (ko) 권취형 스크린 도어
KR200488569Y1 (ko) 여닫이와 미닫이를 겸한 장롱 도어 개폐장치
US20170211311A1 (en) Rotatable and hung safety window assembly
KR101589520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창호
KR101552544B1 (ko) 슬라이딩창 밀착용 롤러조립체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