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544B1 - 슬라이딩창 밀착용 롤러조립체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 Google Patents

슬라이딩창 밀착용 롤러조립체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544B1
KR101552544B1 KR1020140023929A KR20140023929A KR101552544B1 KR 101552544 B1 KR101552544 B1 KR 101552544B1 KR 1020140023929 A KR1020140023929 A KR 1020140023929A KR 20140023929 A KR20140023929 A KR 20140023929A KR 101552544 B1 KR101552544 B1 KR 101552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liding window
housing
sliding
roll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2271A (ko
Inventor
고종이
최경호
최홍기
김종길
Original Assignee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주식회사 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주식회사 명진 filed Critical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3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544B1/ko
Publication of KR20150102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창 밀착용 롤러조립체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창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창과, 슬라이딩창을 포함하는 창호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창이 개폐하는 공간인 상기 창틀과 고정창 사이의 개방부 둘레를 따라 고정설치된 사각틀 형태의 밀착편; 상기 창틀에 구비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한 롤러하우징; 상기 롤러하우징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갖고, 슬라이딩창의 하면 및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된 함체; 상기 롤러하우징의 길이 중앙을 상기 함체의 내부 공간 상에 축고정하여 상기 롤러하우징을 롤링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유동안내축; 상기 롤러하우징의 일측에서 돌출된 연결브라켓; 상기 슬라이딩창의 핸들과 링크되어 핸들 조작방향에 따라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되는 슬라이더; 일단은 상기 슬라이더에 링크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브라켓에 링크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롤러하우징을 당기거나 밀도록 구비된 유동편;을 포함하고, 슬라이딩창 폐쇄시 상기 슬라이딩창은 상기 개방부 속으로 완전히 삽입된 다음 삽입되는 쪽 면 둘레가 상기 밀착편과 면접촉 방식으로 밀착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창 밀착용 롤러조립체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슬라이딩창이 고정창의 전면 일측과 단순히 덧대어지는 형태로 밀폐되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딩창이 고정창과 단차를 두고 창틀 속으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안내하기 때문에 기밀성, 방풍성, 수밀성 효과가 급증하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슬라이딩창 밀착용 롤러조립체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WINDOW SYSTEM COMPRISING ROLLER ASSEMBLY FOR CONTACTING SLIDING WINDOWS}
본 발명은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에 구비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밀폐시 슬라이딩창이 슬라이딩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창틀에 삽입됨으로써 완벽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창 밀착용 롤러조립체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란 창(Window)과 문(Door)의 총칭으로서, 창은 주로 채광, 환기 등의 목적에 사용되며, 문은 사람이나 물건의 출입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창호는 외부와 내부를 구획하는 벽체의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기밀성, 단열성, 수밀성, 방음성, 내풍압성 등이 높아야 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창호중 슬라이드형 창을 갖는 미닫이식 창호에는 창틀의 활주를 위해 상부창틀 및 하부창틀에 각각 레일이 형성되고, 이 레일 위를 구름접촉하면서 이동할 수 있는 롤러가 창짝에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최근 고층 아파트를 비롯한 주상복합 건물들의 등장으로 인하여 고정창과 슬라이드창 혹은 여닫이창(Tilt & Turn)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도록 개발된 시스템 창호도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특히 단열 슬라이딩 창의 경우, 창틀의 실내쪽 레일에 실내쪽 창짝이, 창틀의 실외쪽 레일에 실외쪽 창짝이 조립되는데 창짝이 닫혔을 때 실내쪽 창짝과 실외쪽 창짝이 겹치는 부분에 틈이 발생하여 기밀을 위한 방풍틀 등을 삽설해야 한다. 물론, 시스템 창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현상이 발생되는 예가 있다.
그러나, 이 방풍틀 설치로도 기밀을 완전하게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일환으로 등록특허 제0439315호가 개시된 바 있고, 본 출원인도 밀착력을 향상시킨 등록특허 제1185372호를 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이들 개시 기술들은 단순히 레일 경로변경을 통해 슬라이딩창을 고정창 쪽으로 밀착시키는 것에 불과하므로 슬라이딩창의 하중은 물론 레일 구조상 이동이 원활치 않고, 이동하여 밀착된다고 하더라도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부분만 어느 정도 밀착성이 있을 뿐 나머지 부위는 결국 미세하게 들뜨는 문제를 여전히 안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 가장 최근에 등록특허 제1348488호가 개시되었는데, 이 등록특허는 상술한 등록특허들의 밀착 문제를 더욱 더 개선한 것이기는 하지만, 이또한 결국 슬라이딩창이 고정창을 향해 수직이동하면서 밀착되는 구조로서 3면에서는 고정구조가 있어 완전밀착이 이루어지지만 적어도 1면, 즉 슬라이딩창과 고정창이 교차하는 단부측 면은 고정구조를 갖지 않기 때문에 단순히 맞대어진 구조 이상으로 개선할 수 없어 결국 기밀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이 미세하게 들 뜰 수 밖에 없는 구조여서 상당한 개선에도 불구하고 기밀성 유지에 한계가 있다.
더구나, 등록특허 제1348488호의 경우에는 롤러(즉, 호차)가 각각의 가이드축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앞뒤로 롤링되지 못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것은 창호에서 아주 중요한 사항 중 하나인데, 창틀이 규격대로 잘 만들어져 있다고 가공오차를 생길 수 밖에 없는 것으며, 더구나 시공시 발생되는 조립오차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때문에, 롤러가 상기 등록특허와 같이 롤링되지 않게 완전히 고정된 구조를 갖게 되면 가공오차, 조립오차 등에 의해 롤러가 정확하게 레일상에 안착되지 못하고 약간 들 뜰 경우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이는 불량시공 또는 심각한 클레임(Claim) 요인이 된다.
1. 등록특허 제0439315호(2004.06.28) 2. 등록특허 제1185372호(2012.09.18) 3. 등록특허 제1348488호(2013.12.3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개방시에는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슬라이딩창으로 사용되다가 밀폐시에는 레일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창 전체가 수직이동하면서 슬라이딩창의 밀폐위치에서 슬라이딩창의 창틀속으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창 밀착용 롤러조립체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롤러가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롤링가능하게 구현하여 가공오차나 조립오차에 의한 유격발생시에도 이를 충분히 흡수하여 원활한 활주 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창 밀착용 롤러조립체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창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창과, 슬라이딩창을 포함하는 창호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창이 개폐하는 공간인 상기 창틀과 고정창 사이의 개방부 둘레를 따라 고정설치된 사각틀 형태의 밀착편; 상기 창틀에 구비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한 롤러하우징; 상기 롤러하우징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갖고, 슬라이딩창의 하면 및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된 함체; 상기 롤러하우징의 길이 중앙을 상기 함체의 내부 공간 상에 축고정하여 상기 롤러하우징을 롤링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유동안내축; 상기 롤러하우징의 일측에서 돌출된 연결브라켓; 상기 슬라이딩창의 핸들과 링크되어 핸들 조작방향에 따라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되는 슬라이더; 일단은 상기 슬라이더에 링크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브라켓에 링크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롤러하우징을 당기거나 밀도록 구비된 유동편;을 포함하고, 슬라이딩창 폐쇄시 상기 슬라이딩창은 상기 개방부 속으로 완전히 삽입된 다음 삽입되는 쪽 면 둘레가 상기 밀착편과 면접촉 방식으로 밀착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창 밀착용 롤러조립체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연결브라켓에 링크된 유동편의 타단은 힌지축에 의해 힌지고정된 것이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간격을 두고 제1,2고정핀이 고정되며, 상기 제1,2고정핀은 각각 상기 유동편상에 형상 설계된 제1,2핀유로에 삽입되고, 유동편에는 함체의 상면에 고정된 회전중심축이 축설되어 상기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유동편이 회전되게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삭제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중심축은 상기 제1,2핀유로와 삼각형태를 이룬 꼭지점에 구비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슬라이딩창이 고정창의 전면 일측과 단순히 덧대어지는 형태로 밀폐되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딩창이 고정창과 단차를 두고 창틀 속으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안내하기 때문에 기밀성, 방풍성, 수밀성 효과가 급증하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창 밀착용 롤러조립체에 의해 레일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딩창의 설치예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창 밀착용 롤러조립체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창 밀착용 롤러조립체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창 밀착용 롤러조립체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은 이전 선행기술들에 나타난 창호와 달리 슬라이딩창이 개방부 속으로 완전히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데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예컨대, 선행기술, 특히 등록특허 제1348488호에 개시된 특징은 슬라이딩창(140)이 레일(12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는 하지만, 슬라이딩창(140)의 핸들(H) 반대측인 고정창(130)을 마주보는 측면이 고정창(130)의 접촉면(A)과 맞대어지게 유동하는 구조로서, 이러한 구조는 결국 슬라이딩창(140)과 고정창(130)이 맞대어진 상기 접촉면(A)의 틈새를 통한 누풍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못하는 구조이다.
물론, 접촉면(A)에 방풍지나 기밀재를 붙인 상태에서 상호 밀착되게 구성할 수는 있겠지만, 그럴 경우 외관 품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생긴다.
때문에, 접촉면(A)을 기준으로 서로 밀착되는 구조에서는 아무리 긴밀하게 밀착시킨다고 하더라도 시간이 지나게 되면 틈새가 발생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는 슬라이딩창(140)이 밀폐위치에 이르렀을 때 핸들(H)을 조작하게 되면 슬라이딩창(140) 자체가 레일(120)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되, 개방부(110) 속으로 완전히 삽입되면서 접촉면(A)에서의 접촉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고정창(130)과 거의 수평한 상태를 이루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기밀작용은 창틀(110)과 고정창(130) 혹은 고정창(130)을 구현하는 고정창틀(미도시) 상에 내부 둘레를 따라 밀착편(150)을 사각틀 형태로 고정 배치하고, 슬라이딩창(140)이 개방부(110)로 삽입된 후 삽입되는 쪽 면 둘레가 상기 밀착편(150)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긴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밀착편(150)의 표면, 즉 상기 슬라이딩창(140)과 접촉되는 면 상에는 기밀부재(미도시), 이를 테면 실리콘시트나 고무시트를 부착하여 밀봉성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는 창틀(100)을 기준으로 외풍에 의해 바람이 새어들어 올 경우, 슬라이딩창(140)과 고정창(130)의 경계부분으로 입사한 다음 수직하게 꺽이면 곧바로 양 창의 틈새를 통해 새어 들어올 수 있는 구조지만, 본 발명에 따른 구조에서는 누설될 것이라고 가정할 때 그 경로가 밀착편(150)과 슬라이딩창(140)의 밀착된 경계를 통해 입사할 때 밀착편(150)과 슬라이딩창(140)의 틈새로 들어와야 하므로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꺽여야 하고, 그런 다음 다시 수직으로 꺽여 슬라이딩창(140)과 고정창(130) 사이의 공간을 타고 들어와야 하므로 그 경로가 다단 꺽이면서 길어져 누설의 위험성이 거의 제로에 가깝다고 보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는 기존 창호의 밀폐구조나 혹은 상기 등록특허 제1348488호에 개시된 밀폐구조와는 완전히 다른 것이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창(140)을 상기 개방부(110) 속으로 완전히 이동시켜 삽입하기 위한 방법, 즉 구조는 여러가지 형태가 있을 수 있으나 이하에서 바람직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예컨대, 상기 슬라이딩창(140)을 레일(120)과 직교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해 슬라이딩창(140)의 둘레에는 내장되는 형태로 움직일 수 있는 하드웨어(200)가 설치되는데, 상기 하드웨어(200)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선행기술인 등록특허 제1348488호에 개시된 바와 크게 다르지 않다.
즉, 상기 하드웨어(200)는 핸들(H)과 링크되어 핸들(H)을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이와 맞물려 연동하면서 슬라이딩창(140)의 둘레를 따라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유동하게 되며, 이때 이 하드웨어(200)와 연결된 롤러조립체가 동작하면서 슬라이딩창(140)을 레일(12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롤러조립체는 상기 하드웨어(200)의 상부와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각각 한 쌍씩 연결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31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롤러(310)는 간격을 두고 일직선상에 한 쌍이 구비되며, 롤러하우징(320)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된다.
또한, 상기 롤러하우징(320)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함체(330) 상에 내장되어 공간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함체(330)의 내부 공간 중앙을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고정된 유동안내축(340) 상에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롤러하우징(320)은 상기 유동안내축(340)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이 롤링(Rolling) 가능하므로 만약 제조시 발생되는 가공오차나 혹은 시공시 발생되는 조립오차가 생기더라도 롤링에 의해 두 개의 롤러(310) 모두가 레일(120) 상에 정확하게 접촉된 상태로 안착되기 때문에 롤러(310) 들뜸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이를 통해 보다 원활하면서도 정확한 슬라이딩을 안내할 수 있게 되며, 품질도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롤러하우징(320)의 일측에는 연결브라켓(350)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연결브라켓(350)의 중심에는 특수한 형상의 유동편(360)의 일단이 힌지축(352)에 의해 힌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함체(330)는 상기 슬라이딩창(140)의 창 프레임의 하면 및 상면에 각각 고정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함체(330)의 인접위치에는 간격을 두고 상기 슬라이딩창(140)의 창 프레임 하면 및 상면에 각각 설치되고, 상술한 하드웨어(200)와 연결 고정되어 움직일 수 있는 슬라이더(400)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슬라이더(400)는 슬라이더가이드(SG)에 의해 직선왕복 운동이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더(400)에는 간격을 두고 제1,2고정핀(410,420)이 고정되고, 상기 제1,2고정핀(410,420)은 각각 상기 유동편(360)상에 형상 설계된 제1,2핀유로(362,364)에 삽입된다.
여기에서, 만약 슬라이더가이드(SG)를 더 구비한 경우라면, 상기 슬라이더가이드(SG) 상에는 상기 제1,2고정핀(410,420)이 돌출되고 움직일 수 있도록 핀유동구멍(PH)을 더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제1,2핀유로(362,364)와 대략 삼각형태를 이루도록 이격된 위치의 유동편(360) 상에는 회전중심축(354)이 끼워지고, 상기 회전중심축(354)은 상기 함체(330) 상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400)가 우측방향으로 당겨지면(이는 핸들을 반시계방향으로 들어 올리는 것에 의한 동작임) 제1고정핀(410)은 제1핀유로(362)를 따라 우측단으로 이동하려고 하고, 제2고정핀(420)은 제2핀유로(364)를 빠져 나와 움직이려고 하게 된다.
그러면, 회전중심축(354)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힌지축(352)에 의해 링크된 연결브라켓(350)이 밀려나는 방향, 다시 말해 상기 슬라이더(4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롤러(310)는 무거운 슬라이딩창(140)이 하중을 그대로 받으면서 레일(120) 상에 안착되어 있기 때문에 롤러하우징(320)은 움직일 수 없는 상태에 놓여 있고, 상대적으로 함체(330)는 슬라이딩창(140) 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슬라이딩창(140)과 함께 레일(120)의 직교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황이므로 결국 함체(330)가 움직이면서 슬라이딩창(140) 자체를 개방부(110) 속으로 밀어 넣게 된다.
반대로, 슬라이더(400)가 좌측으로 당겨지면(이는 핸들을 시계방향으로 돌려 내리는 것에 의한 동작임) 제1고정핀(410)은 곡선형 제1핀유로(362)의 좌측단을 향해 가므로 결국 곡선형만큼의 각도로 유동편(36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동시에 제2고정핀(420)은 제2핀유로(364) 속으로 삽입되어 들어간다.
이렇게 되면, 이때에도 롤러(310)는 움직일 수 없는 상태이므로 결국 함체(330)가 유동안내축(340)을 따라 레일(12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슬라이더(400)가 롤러(310)측으로 근접하게 이동하게 되며, 그 과정에서 슬라이딩창(140)이 개방부(110)로부터 빠져 나오게 된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창 밀착용 롤러조립체는 기존의 개념과 완전히 다르게 슬라이딩창(140) 자체를 창틀(100) 속으로 완전히 삽입시켜 거의 고정창(130)과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나란하게 배치시킴으로써 누풍을 완벽하게 막고, 기밀성 및 방풍성을 최대로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100: 창틀 110: 개방부
130: 고정창 140: 슬라이딩창
200: 하드웨어 400: 슬라이더

Claims (4)

  1. 창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창과, 슬라이딩창을 포함하는 창호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창이 개폐하는 공간인 상기 창틀과 고정창 사이의 개방부 둘레를 따라 고정설치된 사각틀 형태의 밀착편;
    상기 창틀에 구비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한 롤러하우징;
    상기 롤러하우징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갖고, 슬라이딩창의 하면 및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된 함체;
    상기 롤러하우징의 길이 중앙을 상기 함체의 내부 공간 상에 축고정하여 상기 롤러하우징을 롤링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유동안내축;
    상기 롤러하우징의 일측에서 돌출된 연결브라켓;
    상기 슬라이딩창의 핸들과 링크되어 핸들 조작방향에 따라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되는 슬라이더;
    일단은 상기 슬라이더에 링크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브라켓에 링크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롤러하우징을 당기거나 밀도록 구비된 유동편;을 포함하고,
    슬라이딩창 폐쇄시 상기 슬라이딩창은 상기 개방부 속으로 완전히 삽입된 다음 삽입되는 쪽 면 둘레가 상기 밀착편과 면접촉 방식으로 밀착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창 밀착용 롤러조립체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에 링크된 유동편의 타단은 힌지축에 의해 힌지고정된 것이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간격을 두고 제1,2고정핀이 고정되며, 상기 제1,2고정핀은 각각 상기 유동편상에 형상 설계된 제1,2핀유로에 삽입되고, 유동편에는 함체의 상면에 고정된 회전중심축이 축설되어 상기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유동편이 회전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창 밀착용 롤러조립체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중심축은 상기 제1,2핀유로와 삼각형태를 이룬 꼭지점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창 밀착용 롤러조립체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KR1020140023929A 2014-02-28 2014-02-28 슬라이딩창 밀착용 롤러조립체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KR101552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929A KR101552544B1 (ko) 2014-02-28 2014-02-28 슬라이딩창 밀착용 롤러조립체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929A KR101552544B1 (ko) 2014-02-28 2014-02-28 슬라이딩창 밀착용 롤러조립체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271A KR20150102271A (ko) 2015-09-07
KR101552544B1 true KR101552544B1 (ko) 2015-09-14

Family

ID=5424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929A KR101552544B1 (ko) 2014-02-28 2014-02-28 슬라이딩창 밀착용 롤러조립체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5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3496A (ko) 2022-03-11 2023-09-19 (주)명진 미닫이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118B1 (ko) 2010-10-27 2013-07-05 (주)엘지하우시스 수평밀착창호
KR101335198B1 (ko) * 2010-11-10 2013-11-29 주식회사 윈스터 수평밀착창호
KR101348488B1 (ko) 2010-10-27 2014-01-07 (주)엘지하우시스 수평밀착창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118B1 (ko) 2010-10-27 2013-07-05 (주)엘지하우시스 수평밀착창호
KR101348488B1 (ko) 2010-10-27 2014-01-07 (주)엘지하우시스 수평밀착창호
KR101335198B1 (ko) * 2010-11-10 2013-11-29 주식회사 윈스터 수평밀착창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3496A (ko) 2022-03-11 2023-09-19 (주)명진 미닫이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271A (ko) 201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779Y1 (ko)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101528662B1 (ko) 기밀유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RU2526418C1 (ru) Оконная система, запираемая в горизонтальном направлении
KR20100015373A (ko) 슬라이딩 도어 디바이스
EP1966463A4 (en) METHOD AND DEVICE FOR WINDOW CLOSURE IN A SLIDING WINDOW SYSTEM
RU2530851C1 (ru) Оконная система с горизонтальным запиранием
KR101335198B1 (ko) 수평밀착창호
KR101718484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KR20140022530A (ko) 수평밀착용 휠 조립체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KR102259031B1 (ko) 기밀 방화 자동문의 밀폐구조
KR101552544B1 (ko) 슬라이딩창 밀착용 롤러조립체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KR20180091801A (ko) 플랫 윈도우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폴딩 도어
KR20130087797A (ko) 기밀유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KR101589520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창호
KR20130038459A (ko) 창호용 호차
KR100543792B1 (ko) 공동주택용 창호구조
KR101627692B1 (ko) 슬라이딩 자동문 밀폐장치
KR101414859B1 (ko) 기밀유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KR101467244B1 (ko)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
KR20180090102A (ko) 완전 개폐 창호 시스템
KR101880996B1 (ko) 전후 방향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닫히는 양방향 여닫이문
KR101359431B1 (ko) 창호용 프레임의 바람막이 장치
KR101550405B1 (ko) 방풍장치를 구비한 3중 연동 도어
KR100691308B1 (ko) 슬라이딩 도어 어셈블리의 밀폐장치
JP2009138491A (ja) パネル体の開閉具および引違い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