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167B1 - 가구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가구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167B1
KR101809167B1 KR1020160032886A KR20160032886A KR101809167B1 KR 101809167 B1 KR101809167 B1 KR 101809167B1 KR 1020160032886 A KR1020160032886 A KR 1020160032886A KR 20160032886 A KR20160032886 A KR 20160032886A KR 101809167 B1 KR101809167 B1 KR 101809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main body
pull
fing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8644A (ko
Inventor
김평환
Original Assignee
(주)에코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라인 filed Critical (주)에코라인
Priority to KR1020160032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167B1/ko
Publication of KR20170108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47B2095/024Drawer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47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s, e.g. cabinets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의 두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구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을 구비하며, 서랍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손가락을 삽입하여 잡아 당기기 위한 회동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구용 손잡이{Handle For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가락의 두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구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에 갖추어진 서랍이나, 캐비넷의 개폐문 등에는 각각 손잡이를 갖추어 편리하게 열고 닫아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5119호(2004.06.24 등록)는 내용물을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서랍손잡이의 전면에 라벨판을 삽입할 수 있도록 제작한 서랍손잡이에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ㄷ'자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상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의 대향면상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레일이 형성되며 하부면상에는 쐐기형상의 삽입부가 형성된 본체가 상기 서랍의 전면부에 장착되어 서랍의 여닫이 기능을 수행하는 서랍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 및 상기 레일에 끼워지도록 상부가이드홈 및 하부가이드홈이 배면상에 형성되며 전면상 상단 및 하단에는 라벨지가 끼워지도록 상부끼움홈 및 하부끼움홈이 형성된 라벨판과, 상기 본체의 개방된 양단을 막아주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2781호(2003.04.28 등록)는 손잡이가 탈부착되는 보관용 서랍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보관용 서랍에 있어서, 물건이 수용되는 수납공간이 구비되며 정면부에 체결수단이 갖추어지는 수납용기와, 상기 체결수단에 끼워져 탈부착되도록 하는 체결홈이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서랍 등의 가구용 손잡이는, 서랍 등의 가구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손가락의 두께가 두꺼운 사람의 경우, 손잡이에 손가락이 들어가지 않아 사용하는 데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5119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2781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를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손가락의 두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한 가구용 손잡이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을 구비하며, 서랍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손가락을 삽입하여 잡아 당기기 위한 회동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가구용 손잡이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회동손잡이부는, 단면이 'ㄱ'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손으로 잡고 당기기 위한 손잡이부재; 상기 본체부와 상기 손잡이부재의 꺾인 부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손잡이부재는, 일 말단에 돌출 형성되어, 손가락을 걸기 위한 라인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손잡이부재는, 양말단에 형성되어, 손가락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재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회동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부재와 상기 방지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재를 놓으면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방지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방지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하기 위한 슬라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드 안내부재; 및 상기 방지부재의 일 말단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안내부재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기 위한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지부재는, 다른 일 말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재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이중으로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단면이 'ㄱ'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다른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손으로 잡고 당기기 위한 보조 회동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를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손가락의 두께에 관계없이 누구나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를 원터치로 회동시키면서 넓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본체부와 회동손잡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손잡이부재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구용 손잡이(10)는, 본체부(100), 회동손잡이부(2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101)을 구비하며, 서랍 등의 가구에 형성된 홈에 삽입하여 고정 설치한다.
회동손잡이부(200)는, 본체부(10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손가락을 삽입하여 잡아 당겨 사용한다. 즉, 삽입홈(101)으로 손가락을 삽입하면 회동손잡이부(200)가 회동하면서 손가락이 두꺼운 사람도 손가락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회동손잡이부(200)는, 표면에 야광물질을 도포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회동손잡이부(200)는,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세균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에 세균제거제를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세균제거제는,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체에 무해한 살균제를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가구용 손잡이(10)는, 회동손잡이부(200)를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손가락의 두께에 관계없이 누구나 사용할 수 있으며, 세로로 세워진 캐비넷 등에도 설치하여 사용 가능하다. 또한, 원터치로 회동손잡이부(200)를 회동시키면서 삽입홈(101)의 넓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하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본체부와 회동손잡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100)는 방지부재(110)를 포함하며, 회동손잡이부(200)는 손잡이부재(210), 회동축부재(220)를 포함한다.
방지부재(110)는, 본체부(100)의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손잡이부재(210)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방지부재(110)는, 일 말단이 본체부(100)의 내측면에 연결 형성되며, 다른 일말단에 걸림돌기(111)가 형성되어 손잡이부재(210)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다.
손잡이부재(210)는, 단면이 'ㄱ'자 형태로 형성되며, 본체부(10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손으로 잡아 당겨 사용한다.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재(210)는, 일 말단에 돌출 형성되어 삽입된 손가락을 걸어주기 위한 라인돌기(211)를 형성할 수 있다.
회동축부재(220)는, 본체부(100)와 손잡이부재(210)의 꺾인 부분 사이에 형성되며, 손잡이부재(210)를 회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회동손잡이부(200)는, 탄성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30)는, 손잡이부재(210)와 방지부재(110) 사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부재(210)를 잡아 당겼다가 놓으면 손잡이부재(2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부재(230)는,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손잡이부재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손잡이부재(210)는, 보호수단(212)을 포함한다.
보호수단(212)은, 손잡이부재(210)의 양 말단에 형성되며, 손잡이부재(210)가 회동할 때 손가락이 끼여 다치지 않도록 손가락을 보호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수단(212)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등)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수단(212)은, 손잡이부재(21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구용 손잡이(10)는, 슬라이드부(300)를 더 포함한다.
슬라이드부(300)는, 본체부(100)와 방지부재(110) 사이에 형성되어, 손가락의 두께에 따라 방지부재(110)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시켜 회동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방지부재(110)를 상부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방지부재(110)와 손잡이부재(210)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하여 회동 각도를 작게 설정할 수 있으며, 방지부재(110)를 하부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방지부재(110)와 손잡이부재(210) 사이의 간격을 넓게 하여 회동 각도를 크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부(300)는, 슬라이드 안내부재(310), 슬라이드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안내부재(310)는, 본체부(100)의 양측에 형성되며, 슬라이드부재(320)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슬라이드부재(320)는, 방지부재(110)의 일 말단에 형성되며, 슬라이드 안내부재(310)에 삽입되어, 방지부재(110)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슬라이드부(300)는, 패턴부재(330), 슬라이드 고정부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턴부재(330)는, 슬라이드부재(320)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며, 요철 형상의 패턴으로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패턴부재(330)는, 슬라이드 고정부재(340)가 볼록한 부분에 위치하면 슬라이드 되고, 슬라이드부재(320)가 정지하였을 때 슬라이드 고정부재(340)가 오목한 부분에 위치하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드 고정부재(340)는, 슬라이드 안내부재(310)에 형성되며, 패턴부재(330)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부재(320)를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 고정부재(340, 440)는, 스프링, 구슬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이 슬라이드 안내부재(310)의 내측에 형성되며, 스프링의 일 말단은 슬라이드 안내부재(310)와 체결하고, 스프링의 다른 일 말단은 구슬과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부재(320)가 슬라이드 안내부재(3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패턴부재(330)의 볼록한 부분에 의해 구슬이 눌려 스프링이 탄성 압축되며, 볼록한 부분을 지나 오목한 부분에 배치되면 구슬이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부재(3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고정부재(340)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구용 손잡이(10)는, 본체부(100), 회동손잡이부(200), 보조 회동손잡이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00), 회동손잡이부(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보조 회동손잡이부(400)는, 단면이 'ㄱ'자 형태로 형성되며, 본체부(100)의 다른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손으로 잡아 당겨 사용한다. 이에 따라, 왼손잡이, 오른손잡이 또는 서랍 등의 가구의 위치에 따라 편리한 손잡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구용 손잡이(10)는, 본체부(100), 회동손잡이부(200), 잠금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00), 회동손잡이부(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잠금부(500)는, 손잡이부재(210)의 꺾이는 부분에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가구의 개폐구에 걸려 잠금 기능을 한다. 즉, 평상시에는 개폐구에 걸려 잠금 기능을 수행하며, 손잡이부재(210)를 잡아 당겨 회동시킨 경우에만 열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잠금부(500)는 이외에도 다양한 잠금 수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가구용 손잡이
100 : 본체부
101 : 삽입홈
110 : 방지부재
111 : 걸림돌기
200 : 회동손잡이부
210 : 손잡이부재
211 : 라인돌기
212 : 보호수단
220 : 회동축부재
230 : 탄성부재
300 : 슬라이드부
310 : 슬라이드 안내부재
320 : 슬라이드부재
330 : 패턴부재
340 : 슬라이드 고정부재
400 : 회동손잡이부
500 : 잠금부

Claims (10)

  1.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을 구비하며, 서랍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손가락을 삽입하여 잡아 당기기 위한 회동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손잡이부는, 단면이 'ㄱ'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손으로 잡고 당기기 위한 손잡이부재; 상기 본체부와 상기 손잡이부재의 꺾인 부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본체부는,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재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방지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손가락의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방지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안내부재와, 상기 방지부재의 일 말단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안내부재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하기 위한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요철 형상의 패턴부재 및 슬라이드 안내부재에 형성되어 패턴부재의 오목한 부분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슬라이드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슬라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는,
    일 말단에 돌출 형성되어, 손가락을 걸기 위한 라인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는,
    양말단에 형성되어, 손가락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부재와 상기 방지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재를 놓으면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재는,
    다른 일 말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재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이중으로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
  10. 제1항에 있어서,
    단면이 'ㄱ'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다른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손으로 잡고 당기기 위한 보조 회동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
KR1020160032886A 2016-03-18 2016-03-18 가구용 손잡이 KR101809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886A KR101809167B1 (ko) 2016-03-18 2016-03-18 가구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886A KR101809167B1 (ko) 2016-03-18 2016-03-18 가구용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644A KR20170108644A (ko) 2017-09-27
KR101809167B1 true KR101809167B1 (ko) 2017-12-14

Family

ID=60036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886A KR101809167B1 (ko) 2016-03-18 2016-03-18 가구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1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492B1 (ko) * 2018-07-03 2019-11-19 김두철 탄성이 조절되는 가구용 손잡이
KR102184573B1 (ko) * 2020-06-24 2020-11-30 김두철 가구용 손잡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540B2 (ja) * 1997-11-04 2000-05-22 嘉彦 工藤 屋根、道路等の融雪凍結防止に関する雪氷感知方法
KR100608273B1 (ko) * 2006-04-04 2006-08-08 백남준 수강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CN201468549U (zh) * 2009-08-21 2010-05-19 博洛尼家居用品(北京)有限公司 用于家俱的自锁拉手装置
US20110169389A1 (en) * 2010-03-19 2011-07-14 Austin Hardware & Supply, Inc. Drawer relea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540B2 (ja) * 1997-11-04 2000-05-22 嘉彦 工藤 屋根、道路等の融雪凍結防止に関する雪氷感知方法
KR100608273B1 (ko) * 2006-04-04 2006-08-08 백남준 수강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CN201468549U (zh) * 2009-08-21 2010-05-19 博洛尼家居用品(北京)有限公司 用于家俱的自锁拉手装置
US20110169389A1 (en) * 2010-03-19 2011-07-14 Austin Hardware & Supply, Inc. Drawer rele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644A (ko) 201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48050A1 (en) Cabinet latch
KR101809167B1 (ko) 가구용 손잡이
US3003495A (en) Hinge construction
KR101911695B1 (ko) 가구용 손잡이
KR101102519B1 (ko)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
KR101154433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2043568B1 (ko) 문틈 밀착형 끼임 방지 여닫이문
KR101245186B1 (ko) 미닫이창문의 자동잠금장치
KR200448664Y1 (ko)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KR101295340B1 (ko) 가구용 개폐 핸들
KR200412670Y1 (ko) 가구 손잡이 마감캡
CN207960369U (zh) 一种门板可前移的镜柜
GB2083541A (en) A Child Safety Lock
KR102027221B1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손끼임방지장치
US11930983B2 (en) Household appliance, in particular aquiferous household appliance
CN212763567U (zh) 具有滑盖的机器人
JP3650242B2 (ja) 机用ダクトカバー
JP2005155084A (ja) 家具におけるラッチ装置
KR101749426B1 (ko) 미닫이 문용 안전 손잡이
CN218150528U (zh) 一种具有平开和推拉双开关方式的柜门
KR20140033974A (ko) 미닫이식 도어용 안전 손잡이
KR20110011865A (ko) 핸들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장
KR20090002538U (ko) 서랍 손잡이
KR101672161B1 (ko) 사물함 잠금장치
KR20190118232A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도어모서리 간섭방지를 겸한 문틀 커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