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1432B1 -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1432B1
KR101571432B1 KR1020130167329A KR20130167329A KR101571432B1 KR 101571432 B1 KR101571432 B1 KR 101571432B1 KR 1020130167329 A KR1020130167329 A KR 1020130167329A KR 20130167329 A KR20130167329 A KR 20130167329A KR 101571432 B1 KR101571432 B1 KR 101571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sliding door
door
locking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8172A (ko
Inventor
노희수
박성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와이
Priority to KR1020130167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1432B1/ko
Publication of KR20150078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수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가 개시된다.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는 선체에 구비되며 출입구를 제공하는 도어프레임; 출입구를 슬라이딩 개폐하는 슬라이딩도어; 및 슬라이딩도어의 후면과 도어프레임의 사이를 밀폐하는 상부팩킹부, 및 슬라이딩도어의 전면 방향을 향해 상부팩킹부의 하단에 일체로 연장되어 슬라이딩도어의 하단과 도어프레임의 사이를 밀폐하는 하부팩킹부를 포함하는 팩킹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WATERTIGHT SLIDING DOOR DEVICE FOR VESSEL}
본 발명은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그(rig) 또는 드릴쉽(drillship) 등과 같은 선박의 출입구에는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제공된다.
또한, 선박이 침몰할 경우 침수를 대비하여, 바닷물이 선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밀격벽에 설치되는 선박용 도어는 수밀(watertight) 구조로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수밀격벽에 설치되는 수밀문의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팩킹이 설치되며, 도어의 닫힘시 팩킹은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를 밀폐하여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선박용 슬라이딩도어는 슬라이딩도어가 적용되는 문지방 높이에 따라 코밍 타입(coaming type) 슬라이딩도어와, 플러시 타입(flush type) 슬라이딩도어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코밍 타입 슬라이딩도어는 소정 높이의 문지방 구조를 갖는 방식을 의미하고, 플러시 타입 슬라이딩도어는 거의 평평한 문지방 구조를 갖는 방식을 의미한다.
그러나, 기존 선박용 슬라이딩도어용 팩킹은 단순히 평면 구조로 제공되어 도어의 후면과 도어틀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을 뿐, 도어와 도어틀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압착되기 어려워 충분한 수밀 특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선박용 슬라이딩도어의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부 대책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수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평평한 문지방 구조를 갖는 플러시 타입 슬라이딩도어의 수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수밀을 위한 팩킹부재가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에서 강제적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한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시 슬라이딩도어의 닫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는 선체에 구비되며 출입구를 제공하는 도어프레임; 출입구를 슬라이딩 개폐하는 슬라이딩도어; 및 슬라이딩도어의 후면과 도어프레임의 사이를 밀폐하는 상부팩킹부, 및 슬라이딩도어의 전면 방향을 향해 상부팩킹부의 하단에 일체로 연장되어 슬라이딩도어의 하단과 도어프레임의 사이를 밀폐하는 하부팩킹부를 포함하는 팩킹부재;를 포함한다.
도어프레임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출입구를 갖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프레임이 제공하는 출입구는 거의 평평한 문지방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출입구가 거의 평평한 문지방을 가진다 함은, 출입구의 문지방의 높이(sill height)가 대략 20㎜ 이하인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슬라이딩도어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슬라이딩도어가 개폐되는 방향을 따라 도어프레임의 하부에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도어에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구름운동 가능하게 가이드롤러가 제공될 수 있다.
팩킹부재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도어프레임에 밀착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팩킹부재는, 슬라이딩도어에 결합되는 팩킹바디, 팩킹바디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도어프레임에 접촉되는 제1산부, 팩킹바디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도어프레임에 접촉되는 제2산부, 및 제1산부 및 제2산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골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산부 및 제2산부는 도어프레임에 접촉되며 골부를 사이에 두고 이중 실링벽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어프레임에 접촉되는 팩킹부재의 접촉 부위가 별도의 골부없이 단 하나의 산부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팩킹부 및 하부팩킹부를 포함하는 팩킹부재는 폐루프(close loop) 형태를 이루도록 단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부팩킹부는 슬라이딩도어의 후면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1측면팩킹부, 상부팩킹부 및 제2측면팩킹부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고, 하부팩킹부는 슬라이딩도어의 저면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1하부측면팩킹부, 단부팩킹부 및 제2하부측면팩킹부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제1측면팩킹부의 단부는 제1하부측면팩킹부에 연결되고, 제2측면팩킹부의 단부는 제2하부측면팩킹부에 연결될 수 있다.
슬라이딩도어에는 팩킹부재가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팩킹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팩킹수용홈은 상부팩킹부에 대응되게 슬라이딩도어의 후면에 형성되는 상부수용홈, 및 하부팩킹부에 대응되게 슬라이딩도어의 저면에 형성되는 하부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수용홈 및 하부수용홈을 포함하는 팩킹수용홈은, 팩킹부재가 수용되는 메인수용부, 및 메인수용홈의 단부에 확장 형성되는 확장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는 슬라이딩도어의 닫힘시 하부팩킹부가 슬라이딩도어의 하단과 도어프레임의 사이에서 압착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하부팩킹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팩킹가압부는 슬라이딩도어의 하단과 도어프레임의 사이에서 하부팩킹부를 압착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부팩킹가압부는 도어프레임에 제공되는 제1가이드블록, 및 슬라이딩도어에 제공되며 슬라이딩도어의 닫힘시 제1가이드블록에 의해 제1가이드블록의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는 제2가이드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도어의 닫힘시 제2가이드블록은 제1가이드블록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고, 제2가이드블록이 하부 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제2가이드블록에 연결된 슬라이딩도어 전체가 하부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슬라이딩도어의 하단과 도어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된 하부팩킹부가 가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가이드블록에는 경사안내면이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딩도어의 닫힘시 제1가이드블록은 경사안내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2가이드블록을 하부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가이드블록 상에 경사안내면을 형성하고 제2가이드블록의 제1가이드블록의 경사안내면을 따라 이동하며 가압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는 슬라이딩도어의 닫힘시 상부팩킹부가 슬라이딩도어의 후면과 도어프레임의 사이에서 압착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상부팩킹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팩킹가압부는 슬라이딩도어의 후면과 도어프레임의 사이에서 상부팩킹부를 압착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부팩킹가압부는 도어프레임에 제공되는 제1가압블록, 및 슬라이딩도어에 제공되며 슬라이딩도어의 닫힘시 제1가압블록에 의해 제1가압블록의 후방으로 가압되는 제2가압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도어의 닫힘시 제2가압블록이 후방으로 가압됨에 따라 슬라이딩도어가 후면 방향으로 가압되며 상부팩킹부가 가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가압블록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딩도어의 닫힘시 제1가압블록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며 제2가압블록을 슬라이딩도어의 후면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는 슬라이딩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록킹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록킹수단은 화재 또는 슬라이딩도어를 개폐하는 구동 요소의 비정상적인 작동시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록킹수단은 슬라이딩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록킹수단은 도어프레임에 제공되는 제1록킹부, 제1록킹부와 록킹 가능하게 슬라이딩도어에 제공되는 제2록킹부, 및 제1록킹부 및 제2록킹부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록킹해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록킹부는 일단에 제2록킹부에 록킹 가능한 록킹돌기가 형성되며, 제2록킹부에 록킹되는 제1위치 및 상기 제2록킹부에 대한 록킹이 해제되는 제2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도어프레임에 장착되는 록킹브라켓, 및 상기 록킹브라켓의 일정 이상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록킹해제부는 록킹브라켓의 타단을 가압하여 록킹브라켓를 제2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일 예로, 록킹해제부는, 도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록킹브라켓의 타단을 타격하는 트리거부재(trigger member), 트리거부재에 연결되는 조작부재, 및 조작부재에 의한 조작력이 해제될 시 트리거부재가 록킹브라켓의 타단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록킹브라켓은 록킹해제부에 의한 해제 조작이 종료되면 다시 제1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일 예로, 록킹브라켓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록킹돌기에 인접한 무게중심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록킹해제부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록킹브라켓의 자중에 의해 록킹브라켓이 제1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리턴스프링과 같은 별도의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록킹브라켓이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에 의하면, 슬라이딩 수밀도어의 수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팩킹부 및 하부팩킹부를 포함하는 팩킹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슬라이딩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이 침몰할 경우 침수를 대비하여 바닷물이 선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밀격벽에 설치되는 선박용 도어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팩킹부가 슬라이딩도어의 전면 방향을 향해 상부팩킹부의 하단에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게 함으로써, 평평한 문지방을 갖는 출입구 구조에서도 슬라이딩도어의 하단와 도어프레임 사이의 수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딩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팩킹부재가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사이에서 강제적으로 가압될 수 있게 함으로써, 수밀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하부팩킹가압부 및 상부팩킹가압부에 의해 상부팩킹부 및 하부팩킹부가 슬라이딩도어와 도어프레임의 사이에서 가압되며 압착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또는 슬라이딩도어를 개폐하는 구동 요소의 비정상적인 작동시와 같이,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록킹수단에 의해 슬라이딩도어의 닫힘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함으로써, 비상시 슬라이딩도어가 비정상으로 개방됨에 따른 바닷물의 유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로서, 슬라이딩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로서, 팩킹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로서, 하부팩킹가압부의 구조 및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로서, 상부팩킹가압부의 구조 및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로서, 록킹수단의 구조 및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로서, 슬라이딩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로서, 팩킹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로서, 하부팩킹가압부의 구조 및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로서, 상부팩킹가압부의 구조 및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는 도어프레임(100), 슬라이딩도어(200) 및 팩킹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프레임(100)은 선체에 구비되어 출입구를 제공한다. 상기 도어프레임(100)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사이즈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어프레임(100)에 제공되는 출입구의 사이즈 역시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100)이 제공하는 출입구는 거의 평평한 문지방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출입구가 거의 평평한 문지방을 가진다 함은, 출입구의 문지방의 높이(sill height)가 대략 20㎜ 이하인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도어(200)는 도어프레임(100)에 제공되는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슬라이딩도어(200)는 출입구에 대응되는 사이즈로 제공될 수 있으며, 출입구의 가로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도어(20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슬라이딩도어(200)가 개폐되는 방향을 따라 도어프레임(100)의 하부에는 가이드레일(1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도어(200)에는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구름운동 가능하게 가이드롤러(23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도어(200)의 개폐는 출입자의 핸들조작 또는 별도 구동원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팩킹부재(300)는 슬라이딩도어(200)와 도어프레임(10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여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팩킹부재(300)는 슬라이딩도어(200)의 후면과 도어프레임(100)의 사이를 밀폐하는 상부팩킹부(310), 및 상기 슬라이딩도어(200)의 전면 방향을 향해 상부팩킹부(310)의 하단에 일체로 연장되어 슬라이딩도어(200)의 하단과 도어프레임(100)의 사이를 밀폐하는 하부팩킹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팩킹부재(30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도어프레임(100)에 밀착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팩킹부재(300)는, 슬라이딩도어(200)에 결합되는 팩킹바디(302), 상기 팩킹바디(302)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도어프레임(100)에 접촉되는 제1산부(304), 상기 팩킹바디(302)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도어프레임(100)에 접촉되는 제2산부(306), 및 상기 제1산부(304) 및 제2산부(306)의 사이를 연결하는 골부(30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도어프레임(100)에 접촉되는 팩킹부재(300)의 접촉 부위는 대략 "M"자 형상의 단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제1산부(304) 및 제2산부(306)가 도어프레임(100)에 접촉되며 골부(308)를 사이에 두고 이중 실링벽(도 8 참조)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어프레임에 접촉되는 팩킹부재의 접촉 부위가 별도의 골부없이 단 하나의 산부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부팩킹부(310) 및 하부팩킹부(320)를 포함하는 팩킹부재(300)는 폐루프(close loop) 형태를 이루도록 단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팩킹부재(300)는 대략 사각링 형태의 폐루프를 이루도록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팩킹부(310)는 슬라이딩도어(200)의 후면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1측면팩킹부(311), 상단팩킹부(312) 및 제2측면팩킹부(313)를 포함하여 대략 "ㄷ"자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하부팩킹부(320)는 슬라이딩도어(200)의 저면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1하부측면팩킹부(321), 단부팩킹부(322) 및 제2하부측면팩킹부(323)를 포함하여 대략 "ㄷ"자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측면팩킹부(311)의 단부는 제1하부측면팩킹부(321)에 연결되고, 상기 제2측면팩킹부(313)의 단부는 제2하부측면팩킹부(32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도어(200)에는 팩킹부재(300)가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팩킹수용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팩킹부재(300)의 팩킹바디(302)는 팩킹수용홈(210)에 수용 및 고정될 수 있고, 팩킹부재(300)의 제1산부(304), 제2산부(306) 및 골부(308)는 팩킹수용홈(2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팩킹수용홈(210)은 상부팩킹부(310)에 대응되게 슬라이딩도어(200)의 후면에 형성되는 상부수용홈(210a), 및 상기 하부팩킹부(320)에 대응되게 슬라이딩도어(200)의 저면에 형성되는 하부수용홈(210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수용홈(210a) 및 하부수용홈(210b)을 포함하는 팩킹수용홈(210)은, 메인수용부(212) 및 확장수용부(2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수용홈에는 팩킹부재(300)가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확장수용부(214)는 메인수용홈의 단부에 확장 형성되어 팩킹부재(300)가 압착될 시 제1산부(304) 및 제2산부(306)가 탄성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도어(200)와 도어프레임(100)의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팩킹부재(300)가 상부팩킹부(310) 및 하부팩킹부(320)를 포함하여 측면 투영시 대략 "L"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딩도어(200)의 후면과 도어프레임(100)의 사이를 밀폐함과 동시에 슬라이딩도어(200)의 하단과 도어프레임(100)의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따라서, 평평한 문지방을 갖는 출입구 구조에서도 슬라이딩도어(200)의 하단과 도어프레임(100)의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는 슬라이딩도어(200)의 닫힘시, 하부팩킹부(도 4, 도 6 및 도 7의 320 참조)가 슬라이딩도어(200)의 하단과 도어프레임(100)의 사이에서 압착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하부팩킹가압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팩킹가압부(400)는 슬라이딩도어(200)의 하단과 도어프레임(100)의 사이에서 하부팩킹부(320)를 압착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부팩킹가압부(400)는 슬라이딩도어(200)의 닫힘시 슬라이딩도어(200) 전체를 하부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하부팩킹부(320)가 압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하부팩킹가압부(400)가 도어프레임(100)에 제공되는 제1가이드블록(410), 및 상기 슬라이딩도어(200)에 제공되며 슬라이딩도어(200)의 닫힘시 제1가이드블록(410)에 의해 제1가이드블록(410)의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는 제2가이드블록(420)을 포함하여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도어(200)의 닫힘시 제2가이드블록(420)은 제1가이드블록(410)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고, 상기 제2가이드블록(420)이 하부 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제2가이드블록(420)에 연결된 슬라이딩도어(200) 전체가 하부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도어(200)가 하부 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슬라이딩도어(200)의 하단과 도어프레임(100)의 사이에 배치된 하부팩킹부(320)가 가압되며, 슬라이딩도어(200)의 하단과 도어프레임(100)의 사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블록(410)에 의해 제2가이드블록(420)이 하부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가이드블록(420)에는 경사안내면(422)이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딩도어(200)의 닫힘시 제1가이드블록(410)은 경사안내면(422)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2가이드블록(420)을 하부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가이드블록 상에 경사안내면을 형성하고 제2가이드블록이 제1가이드블록의 경사안내면을 따라 이동하며 가압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도어(200)의 좌측 부위에 제공되는 제1가이드블록(410) 및 제2가이드블록(420)의 경우에는 제2가이드블록(420)에 경사안내면(422)이 형성되고, 슬라이딩도어(200)의 우측 부위에 제공되는 제1가이드블록(410') 및 제2가이드블록(420')의 경우에는 제1가이드블록(410')에 경사안내면이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는 슬라이딩도어(200)의 닫힘시 상부팩킹부(310)가 슬라이딩도어(200)의 후면과 도어프레임(100)의 사이에서 압착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상부팩킹가압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팩킹가압부(600)는 슬라이딩도어(200)의 후면과 도어프레임(100)의 사이에서 상부팩킹부(310)를 압착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팩킹가압부(600)는 슬라이딩도어(200)의 닫힘시 슬라이딩도어(200) 전체를 슬라이딩도어(200)의 후면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부팩킹부(310)가 압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상부팩킹가압부(600)가 도어프레임(100)에 제공되는 제1가압블록(610), 및 상기 슬라이딩도어(200)에 제공되며 슬라이딩도어(200)의 닫힘시 제1가압블록(610)에 의해 제1가압블록(610)의 후방으로 가압되는 제2가압블록(620)을 포함하여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도어(200)의 닫힘시 제2가압블록(620)은 제1가압블록(610)에 의해 슬라이딩도어(200)의 후면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고, 상기 제2가압블록(620)이 후방으로 가압됨에 따라 제2가압블록(620)에 연결된 슬라이딩도어(200) 전체가 슬라이딩도어(200)의 후면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도어(200)가 후면 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슬라이딩도어(200)의 후면과 도어프레임(100)의 사이에 배치된 상부팩킹부(310)가 가압되며, 슬라이딩도어(200)의 후면과 도어프레임(100)의 사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블록(610)에 의해 제2가압블록(620)이 후방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가압블록(620)에는 경사면(622)이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딩도어(200)의 닫힘시 제1가압블록(610)은 경사면(622)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2가압블록(620)을 슬라이딩도어(200)의 후면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가압블록 상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제2가압블록이 제1가압블록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며 가압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로서, 록킹수단의 구조 및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는 슬라이딩도어(200)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록킹수단(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수단(500)은 화재 또는 슬라이딩도어(200)를 개폐하는 구동 요소의 비정상적인 작동시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록킹수단(500)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슬라이딩도어(200)가 비정상으로 개방됨에 따른 바닷물의 유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록킹수단(500)은 슬라이딩도어(200)의 닫힘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록킹수단(500)은 도어프레임(100)에 제공되는 제1록킹부(510), 상기 제1록킹부(510)와 록킹 가능하게 슬라이딩도어(200)에 제공되는 제2록킹부(520), 및 상기 제1록킹부(510) 및 제2록킹부(520)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록킹해제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록킹부(520)는 슬라이딩도어(200)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1록킹부(510)와 록킹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에로, 상기 제2록킹부(520)는 제1록킹부(510)의 록킹돌기(522a)와 록킹 가능한 돌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록킹부(510)는 도어프레임(100) 상에 제공되며, 록킹브라켓(522) 및 스토퍼(5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브라켓(522)은 일단에 제2록킹부(520)에 록킹 가능한 록킹돌기(522a)가 형성되며, 상기 제2록킹부(520)에 록킹되는 제1위치, 및 제2록킹부(520)에 대한 록킹이 해제되는 제2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도어프레임(100)에 장착된다.
상기 록킹브라켓(522)이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도어(200)의 닫힘 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상기 록킹브라켓(522)이 제2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도어(200)의 슬라이드 개방이 허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24)는 록킹브라켓(522)의 일정 이상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제공된다. 즉, 상기 스토퍼(524)는 록킹브라켓(522)이 제1위치 이후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록킹해제부(530)는 록킹브라켓(522)의 타단을 가압하여 록킹브라켓(522)를 제2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록킹해제부(530)는 록킹브라켓(522)의 타단을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록킹해제부(530)는, 상기 도어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록킹브라켓(522)의 타단을 타격하는 트리거부재(trigger member)(532), 상기 트리거부재(532)에 연결되는 조작부재(534), 및 상기 조작부재(534)에 의한 조작력이 해제될 시 트리거부재(532)가 록킹브라켓(522)의 타단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3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재(534)를 조작하여 트리거부재(532)가 록킹브라켓(522)의 타단을 타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록킹브라켓(522)이 제2위치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록킹브라켓(522)은 록킹해제부(530)에 의한 해제 조작이 종료되면 다시 제1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록킹브라켓(522)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록킹돌기(522a)에 인접한 무게중심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록킹해제부(530)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록킹브라켓(522)의 자중에 의해 록킹브라켓(522)이 제1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록킹브라켓(522)이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록킹돌기(522a)에 인접한 무게중심을 갖는다 함은, 록킹브라켓(522)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록킹브라켓(522)의 일단(록킹돌기(522a))이 타단보다 상대적으로 무거운 무게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리턴스프링과 같은 별도의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록킹브라켓(522)이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도어프레임 200 : 슬라이딩도어
210 : 팩킹수용홈 300 : 팩킹부재
302 : 팩킹바디 304 : 제1산부
306 : 제2산부 308 : 골부
310 : 상부팩킹부 311 : 제1측면팩킹부
312 : 상단팩킹부 313 : 제2측면팩킹부
320 : 하부팩킹부 321 : 제1하부측면팩킹부
322 : 단부팩킹부 323 : 제2하부측면팩킹부
400 : 하부팩킹가압부 410 : 제1가이드블록
420 : 제2가이드블록 422 : 경사안내면
500 : 록킹수단 510 : 제1록킹부
520 : 제2록킹부 530 : 록킹해제부
600 : 상부팩킹가압부 610 : 제1가압블록
620 : 제2가압블록 622 : 경사면

Claims (20)

  1. 선체에 구비되며 출입구를 제공하는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의 외벽면에서 상기 도어프레임과 다른 층을 이루도록 제공되어 상기 출입구를 슬라이딩 개폐하는 슬라이딩도어;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후면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사이를 밀폐하는 상부팩킹부, 및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전면 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상기 상부팩킹부의 하단에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하단 저면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사이를 밀폐하는 하부팩킹부를 포함하는 팩킹부재;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닫힘시 상기 하부팩킹부가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하단 저면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도어에 자중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팩킹부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하부팩킹가압부; 및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닫힘시 상기 상부팩킹부가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후면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전면에서부터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후면 방향으로 상기 상부팩킹부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상부팩킹가압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팩킹부는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후면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1측면팩킹부, 상단팩킹부 및 제2측면팩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팩킹부는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저면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1하부측면팩킹부, 단부팩킹부 및 제2하부측면팩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면팩킹부의 단부는 상기 제1하부측면팩킹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측면팩킹부의 단부는 상기 제2하부측면팩킹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팩킹부재는,
    상기 슬라이딩도어에 결합되는 팩킹바디;
    상기 팩킹바디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도어프레임에 접촉되는 제1산부;
    상기 팩킹바디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도어프레임에 접촉되는 제2산부; 및
    상기 제1산부 및 상기 제2산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산부 및 상기 제2산부는 상기 골부를 사이에 두고 이중 실링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팩킹부재는 폐루프(close loop) 형태를 이루도록 단일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도어에는 상기 팩킹부재가 수용되기 위한 팩킹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팩킹수용홈은,
    상기 상부팩킹부가 수용되는 상부수용홈; 및
    상기 하부팩킹부가 수용되는 하부수용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팩킹수용홈은 상기 팩킹부재가 수용되는 메인수용부, 및 상기 메인수용부의 단부에 확장되는 확장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팩킹가압부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제공되는 제1가이드블록; 및
    상기 슬라이딩도어에 제공되며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닫힘시 상기 제1가이드블록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블록의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는 제2가이드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드블록이 하부 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도어가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며 상기 하부팩킹부가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블록에는 경사안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닫힘시 상기 제1가이드블록은 상기 경사안내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2가이드블록을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는 평평한 문지방을 갖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도어가 개폐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도어프레임의 하부에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도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구름운동 가능하게 가이드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록킹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도어프레임에 제공되는 제1록킹부;
    상기 제1록킹부와 록킹 가능하게 상기 슬라이딩도어에 제공되는 제2록킹부; 및
    상기 제1록킹부 및 상기 제2록킹부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록킹해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록킹부는,
    일단에 상기 제2록킹부에 록킹 가능한 록킹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록킹부에 록킹되는 제1위치 및 상기 제2록킹부에 대한 록킹이 해제되는 제2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도어프레임에 장착되는 록킹브라켓; 및
    상기 록킹브라켓의 일정 이상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해제부가 상기 록킹브라켓의 타단을 가압하면 상기 록킹브라켓이 상기 제2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브라켓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록킹돌기에 인접한 무게중심을 갖도록 제공되며,
    상기 록킹해제부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록킹브라켓의 자중에 의해 상기 록킹브라켓이 상기 제1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부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록킹브라켓의 타단을 타격하는 트리거부재(trigger member);
    상기 트리거부재에 연결되는 조작부재; 및
    상기 조작부재에 의한 조작력이 해제될 시 상기 트리거부재가 상기 록킹브라켓의 타단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
  18. 삭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팩킹가압부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제공되는 제1가압블록; 및
    상기 슬라이딩도어에 제공되며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닫힘시 상기 제1가압블록에 의해 상기 제1가압블록의 후방으로 가압되는 제2가압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가압블록이 후방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도어가 후면 방향으로 가압되며 상기 상부팩킹부가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압블록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닫힘시 상기 제1가압블록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2가압블록을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후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
KR1020130167329A 2013-12-30 2013-12-30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 KR101571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329A KR101571432B1 (ko) 2013-12-30 2013-12-30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329A KR101571432B1 (ko) 2013-12-30 2013-12-30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172A KR20150078172A (ko) 2015-07-08
KR101571432B1 true KR101571432B1 (ko) 2015-11-24

Family

ID=53790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329A KR101571432B1 (ko) 2013-12-30 2013-12-30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14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26220A (zh) * 2017-06-29 2018-03-23 无锡海核装备科技有限公司 低门槛水密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172A (ko)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0208B (zh) Carrying the container
JP5955890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KR101571432B1 (ko) 선박용 슬라이딩 수밀도어장치
JP2007023615A (ja)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CN103958805B (zh) 用于水平接触型窗户的防故障手柄
WO2011128677A3 (en) Door frame seals
JP5276409B2 (ja) グリップ式操作ハンドル
JP6262485B2 (ja) 差圧用ドア装置
CA2680754A1 (en) Structure and outline system for hermetical and acoustic sealing in sliding windows and doors
JP2018059369A (ja) 止水扉
KR101444911B1 (ko) 대피공간 전용 창호
US9226622B2 (en) Two point door latch with tapered pins
JP5727967B2 (ja) 携帯用飲料容器の蓋体開閉ロック機構
KR101036032B1 (ko) 출입문의 급속 닫힘 방지용 안전장치
JP2005023628A (ja) 扉の気密・水密構造
JP2010270538A (ja) 扉の脱出構造
JP4919329B2 (ja) ラッチ錠用の非常脱出機能を備えたラッチ受け座
JP6384855B2 (ja) 引き戸装置およびセーフティーストッパー
JP2011163075A (ja) アシストハンドル
JP2003278462A (ja) スイングドアの防水構造
TWI548806B (zh) The watertight structure and doors and windows of the joint
KR101313253B1 (ko) 선박용 도어
JP4838889B2 (ja) サッシ
FR2785014A1 (fr) Dispositif d'obturation d'une ouverture menagee dans un mur, en particulier, pour la lutte contre les inondations
JP6983979B2 (ja) 止水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