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761B1 - 무선발 마커 형질전환 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생산된 내충성 벼 - Google Patents

무선발 마커 형질전환 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생산된 내충성 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761B1
KR101570761B1 KR1020130140355A KR20130140355A KR101570761B1 KR 101570761 B1 KR101570761 B1 KR 101570761B1 KR 1020130140355 A KR1020130140355 A KR 1020130140355A KR 20130140355 A KR20130140355 A KR 20130140355A KR 101570761 B1 KR101570761 B1 KR 101570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gene
agrobacterium
seq
transge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8632A (ko
Inventor
임명호
이승범
우희종
신공식
권순종
조현석
이진형
친양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30140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761B1/ko
Publication of KR20150058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4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 C12N15/826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 C12N15/827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 C12N15/8279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biotic stress resistance, pathogen resistance, disease resistance
    • C12N15/8286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biotic stress resistance, pathogen resistance, disease resistance for insect resis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01Methods for introducing genetic material into plant cells, e.g. DNA, RNA, stable or transient incorporation, tissue culture methods adapted for transformation
    • C12N15/8202Methods for introducing genetic material into plant cells, e.g. DNA, RNA, stable or transient incorporation, tissue culture methods adapted for transformation by biological means, e.g. cell mediated or natural vector
    • C12N15/8205Agrobacterium mediated transform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01Methods for introducing genetic material into plant cells, e.g. DNA, RNA, stable or transient incorporation, tissue culture methods adapted for transformation
    • C12N15/8209Selection, visualisation of transformants, reporter constructs, e.g. antibiotic resistance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발 마커 형질전환 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생산된 내충성 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살충성 유전자(Bacillus thuringiensis, Bt)를 포함하는 선발 마커를 포함하지 않는 벡터는 항생제 내성 유전자나 제초제 내성 유전자를 사용하지 않았으므로 선발 마커의 위해성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인 형질전환 작물을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무선발 마커 형질전환 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생산된 내충성 벼{A method for producing marker-free transgenic rice and the insect resistance rice plant produced by the marker-free transformation}
본 발명은 무선발 마커 형질전환 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생산된 내충성 벼에 관한 것이다.
세계 4대 식량작물 중 하나인 벼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지역 사람들이 높은 작물로 수량성과 품질 개선을 위해 관행 교배육종, 분자육종 및 형질전환방법 등 다양한 육종 방법이 동원되고 있다. 이 중 형질전환 방법은 관행의 육종방법에 비해 농업적으로 유용한 유전자를 직접 작물에 도입함으로써 유전적으로 개량된 신품종을 개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농업분야에서의 형질전환기술은 병충해 가뭄, 습해, 자외선 등 다양한 생물학적, 비생물학적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등 작물의 수량성 관련 형질은 물론 아이소플라본, 비타민 A, 철분 등 작물의 유용성분을 생합성함으로써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품질관련 형질의 개선을 위해 보다 직접적이고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육종법이다. 특히 벼는 (1) 농업적 측면에서의 경제성과 (2) 유전체연구를 위한 단자엽 모델식물로서의 활용성으로 인해 형질전환 식물체의 개발 및 실용화 가치가 매우 높은 작물이다.
성공적인 벼 형질전환체의 생산을 위해서는 고효율의 재현성이 있는 재분화 체계의 확립이 선행되어야 한다. 벼는 이미 1990년대 이후 자포니카 벼의 완숙종자로부터 배양 캘러스 유도 및 재분화방법이 확립되어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한 효과적인 형질전환이 가능하였고, 그 후 인디카 벼 품종에 이르기까지 그 적용 범위가 확대되었다. 국내에서는 낙동벼와 동진벼를 포함한 국내 육성 벼 품종들을 대상으로 배배양 캘러스 유도 및 재분화에 관한 조직배양 특성 및 형질전환 효율이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형질전환식물체 개발에 성공한 대부분의 작물과 마찬가지로, 벼 품종의 유전형에 따라 재분화 효율 및 형질전환효율의 차이는 매우 크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한 벼 형질전환연구는 대부분 형질전환 효율제고 및 유전체 기능구명을 목적으로 재분화 효율이 높은 낙동벼를 대상으로 수행되어 온 반면 경제성 있는 벼 품종들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조직배양 효율로 인해 실용화 가능한 형질전환 벼의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의 형질전환기술은 유전자가 도입된 세포, 캘러스, 식물조직의 선발, 배양, 및 식물체 재분화를 위해 bar(Basta herbicide resistant gene), hpt(hygromycin phosphotransferase), NPTII(neomycin phosphotransferase)등의 제초제 및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가 양성선발 마커로 이용된다. 양성선발 마커 유전자는 목적유전자와 함께 동일 벡터에 탑재하여 식물조직에 형질전환 한 후 포스피노트리신 또는 하이그로마이신 B 등 항생제가 포함된 배지에서 선발 및 배양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형질전환 식물체를 생산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일반소비자들은 양성선발 마커 유전자의 위해성 우려로, 형질전환작물 및 이를 원료로 한 가공식품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어 형질전환작물의 실용화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형질전환 작물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항생제 또는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 등 양성 선발 마커 유전자가 제거된 작물의 개발이 시급하다.
농작물은 고착생활을 하기 때문에, 끊임없이 수많은 해충 및 병원균(곰팡이, 세균, 바이러스 등)들의 공격을 받게 되며, 그로 인한 다양한 질병에 따른 생산량의 감소는 일찍이 기록되어 왔다. 이러한 해충 및 병원균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를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농약이 사용되어오고 있으나, 농약의 사용은 환경오염이라는 심각한 문제를 새로이 야기시킴으로써 돌이킬 수 없는 자연환경의 파괴와 회복불능의 환경을 만들어 내고 있다(Sherman JD et al.,Arch. Environ. Health., 52, 332-333, 1997). 뿐만 아니라, 농약을 살포하는 농민들의 경우 맹독성의 농약을 인체에 흡입함으로써 인체 내의 축적과 불치의 유전병이 생성되게 되고, 잔류농약의 흡수에 의해 소비자들에게도 치명적인 건강상의 손실을 유발시키게 된다(London et al., Scan. J., Work. Environ. Health., 24, 18-29, 1998).
따라서, 식물의 해충 방제와 농약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이나 인체 축적에 의한 치명적인 질병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예로서 생물체 내에 존재하는 해충 살충 단백질의 탐색과 분리 및 이들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클로닝 및 이를 이용한 내충성 형질전환 식물체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람 양성의 토양 박테리아인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는 곤충 해충에는 유독하지만 숙주 식물과 환경에는 무해한 일부 단백질 결정을 생성하는데, 특히 포자형성시 생성되는 살충성 결정단백질(δ-endotoxin)은 나비목 곤충, 딱정벌레목 곤충 및 쌍시류곤충 등의 유충에 특이적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결정 단백질은 곤충 유충의 중장 상피세포의 세포막과 결합하고, 삼투압 평형을 방해하여 유충을 죽게 한다. 이와 같이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로부터 분리된 유전자(통상 Bt-유전자로 알려져 있음)는 해충 내성 프로그램을 위한 품종 개량에 목화(Gossypium hirsutum) 및 몇몇 타 작물을 형질전환시키는데 사용되어 왔으며, 그러한 유전자 형질전환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들로는 cryⅠAc, cryⅠAb, cryⅠAa, cryⅡAa 및 cryⅡAb와 같은 유전자가 있다. 이때, cryⅠAc 유전자를 그대로 벼에 형질전환하는 경우에는 발현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어, 상기 유전자의 벼에서의 발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요구되었다.
또한, cryⅠAc 유전자를 그대로 벼에 형질전환하는 경우에는 발현효율이 낮다는 문제는, cryⅠAc 유전자가 정상적인 식물 유전자에는 없는 전사 조절 부분, 폴리아데닐레이션 부분, 인트론 부분 등과 유사한 염기배열을 가지고 있어 완전한 mRNA가 만들어지기 어려우며, cryⅠAc 유전자에서 사용하는 코돈이 식물 유전자에서 사용하는 코돈과 큰 차이가 있어서 이 유전자가 전사되어 mRNA가 만들어졌다고 할지라도 번역되는 과정에서 식물체가 흔히 사용하지 않는 코돈이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살충성 유전자(Bacillus thuringiensis, Bt)인 mCryⅠAc1을 항생제 및 제초제 내성 유전자가 포함되지 않은 형질전환 벡터에 삽입하였고, 이 벡터를 이용하여 벼에 형질전환한 결과 내충성을 가짐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벼(Oryza sativa) 유래의 rbcS1(small subunit of ribulose-1,5-bis-phosphate carboxylase) 유전자의 프로모터(promoter)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아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 tumefaciens) 유래의 NOS(Nopaline synthase) 유전자의 터미네이터(terminator)를 이용한 유전자 발현 시스템에,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바실러스균(Bacillus thuringiensis, Bt) 유래의 살충성 유전자 mCryⅠAc1(modified CryⅠAc1)을 삽입한 벡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벡터를 포함하는 내충성 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벡터를 포함하는 내충성 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벼(Oryza sativa) 유래의 rbcS1(small subunit of ribulose-1,5-bis-phosphate carboxylase) 유전자의 프로모터(promoter)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아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 tumefaciens) 유래의 NOS(Nopaline synthase) 유전자의 터미네이터(terminator)를 이용한 유전자 발현 시스템에,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바실러스균(Bacillus thuringiensis, Bt) 유래의 살충성 유전자 mCryⅠAc1(modified CryⅠAc1)을 삽입한 벡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제 1항의 발현 벡터를 제작하는 단계;
2) 상기 발현 벡터를 아그로박테리움에 도입하는 단계;
3) 상기 발현 벡터가 도입된 아그로박테리움을 벼 또는 벼의 조직과 공동배양하여 형질전환 벼(T0)를 생산하는 단계; 및
4) 상기 생산된 형질전환 벼(T0)의 조직에서 유전체 DNA(genomic DNA)를 분리하여 mCryⅠAc1가 도입된 형질전환 벼(T0)를 선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충성 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내충성 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선발 마커를 포함하지 않는 벡터는 항생제 내성 유전자나 제초제 내성 유전자를 사용하지 않았으므로 선발 마커의 위해성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인 형질전환 작물을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선발 마커를 포함하지 않는 형질전환 벡터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BR(right border), BL(left border), PrbcS(rbcS promoter), TP(transit peptide), mCryⅠAc1(modified CryⅠAc1 gene) 및 Tnos(3'-UTR of nopaline synthase).
도 2는 선발 마커를 포함하지 않는 해충 저항성 Bt 벼의 도입유전자를 분석한 서던블롯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선발 마커를 포함하지 않는 해충 저항성 Bt 벼의 도입유전자를 분석한 서던 혼성화 반응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선발 마커를 포함하지 않는 해충 저항성 Bt 벼의 RT-PCR 분석을 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선발 마커를 포함하지 않는 해충 저항성 Bt 벼의 도입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선발 마커를 포함하지 않는 해충저항성 벼 RTB-11의 cryⅠAb/Ac 면역검출(immunostrip test)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pRDA-RTB 5번 계통의 측면 순서(Flanking sequence) 분석한 염기서열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pRDA-RTB 11번 계통의 염색체 내부로 도입된 mCryⅠAc1 유전자의 삽입위치와 T-DNA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선발 마커를 포함하지 않는 해충저항성 Bt 벼의 혹명나방 애벌레 생물검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벼(Oryza sativa) 유래의 rbcS1(small subunit of ribulose-1,5-bis-phosphate carboxylase) 유전자의 프로모터(promoter)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아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 tumefaciens) 유래의 NOS(Nopaline synthase) 유전자의 터미네이터(terminator)를 이용한 유전자 발현 시스템에,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바실러스균(Bacillus thuringiensis, Bt) 유래의 살충성 유전자 mCryⅠAc1(modified CryⅠAc1)을 삽입한 벡터를 제공한다.
상기 벡터는 선발 마커를 포함하지 않는 벡터이다.
상기 rbcS1(small subunit of ribulose-1,5-bis-phosphate carboxylase) 유전자는 벼의 광합성 관련 유전자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NOS(Nopaline synthase) 유전자는 뿌리혹 세균에서 유래한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살충성 유전자는 mCryⅠAc1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살충성 유전자는 해충 저항성 유전자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벡터는 pRDA-RTB(plasmi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bcS Transit peptide Bt)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1) 제 1항의 발현 벡터를 제작하는 단계;
2) 상기 발현 벡터를 아그로박테리움에 도입하는 단계;
3) 상기 발현 벡터가 도입된 아그로박테리움을 벼 또는 벼의 조직과 공동배양하여 형질전환 벼(T0)를 생산하는 단계; 및
4) 상기 생산된 형질전환 벼(T0)의 조직에서 유전체 DNA(genomic DNA)를 분리하여 mCryⅠAc1가 도입된 형질전환 벼(T0)를 선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충성 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발현 벡터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벼 유래의 rbcS1 유전자의 프로모터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아그로박테리움 유래의 NOS 유전자의 터미네이터를 이용한 유전자 발현 시스템에,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바실러스 유래의 살충성 유전자 mCryⅠAc1(modified CryⅠAc1)을 삽입한 벡터이다.
상기 단계 4)의 벼(T0)의 조직은 잎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벼는 일미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선발 마커를 포함하지 않는 내충성 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1) 제 1항의 발현 벡터를 제작하는 단계;
2) 상기 발현 벡터를 아그로박테리움에 도입하는 단계;
3) 상기 발현 벡터가 도입된 아그로박테리움을 벼 또는 벼의 조직과 공동배양하여 형질전환 벼(T0)를 생산하는 단계;
4) 상기 형질전환 벼(T0)를 배양하여 종자(T1)를 수득하는 단계; 및
5) 상기 수득된 종자(T1)의 조직에서 유전체 DNA(genomic DNA)를 분리하여 mCryⅠAc1가 도입된 형질전환 종자(T1)를 선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충성 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발현 벡터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벼 유래의 rbcS1 유전자의 프로모터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아그로박테리움 유래의 NOS 유전자의 터미네이터를 이용한 유전자 발현 시스템에,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바실러스 유래의 살충성 유전자 mCryⅠAc1(modified CryⅠAc1)을 삽입한 벡터이다.
상기 단계 5)의 벼(T0)의 조직은 잎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벼는 일미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선발 마커를 포함하지 않는 내충성 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선발 마커를 포함하지 않는 형질전환벡터 제작 및 형질전환
바실러스(Bacillus thuringiensis (Bt)) 세균 유래의 내독소 단백질 유전자(wt-CryⅠAc)는 3,537 bp로 구성되고 1,178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살충성 단백질을 만든다. 이중 독성과 관련 있는 전반부의 1,854 bp를 일부 수정하여 만들어진 mCryⅠAc1(modified CryⅠAc1) 유전자가 벼에서 잘 발현될 수 있도록 rbcS 프로모터와 결합하였다. 목적 유전자인 mCryⅠAc1 유전자의 발현이 엽록체에서 집중적으로 진행되도록 transit peptide sequence(TP)를 결합하여 rbcS-TP 발현구조체를 만들고 이를 mCryⅠAc1과 결합하였다. 그리고 mCryⅠAc1 유전자의 발현을 종료시키기 위하여 아그로박테리움 세균의 Ti 플라스미드에 존재하는 NOS(Nopaline synthase) 유전자의 종결부위(terminator 또는 3'-UTR)를 결합하여 키메라(chimeric) 유전자 구조체 PrbcS-TP::mCryⅠAc1::Tnos를 만들고 이를 선발 마커가 없는 pRDA 벡터에 삽입하여 벼 형질전환용 바이너리 벡터 pRDA-RTB를 제작하였다. 상기 플라스미드 벡터 pRDA-RTB의 주요 구조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의 각 부호의 약어는 다음과 같다: BR(right border), BL(left border), PrbcS(rbcS promoter), TP(transit peptide), mCryⅠAc1(modified CryⅠAc1 gene) 및 Tnos(3'-UTR of nopaline synthase).
제작된 pRDA-RTB 플라스미드는 freeze-thaw 방법으로 아그로박테리움 LBA4404에 도입하고 향생제 테트라시이클린(tetracycline)이 50 ug/ml 농도로 첨가된 YEP배지에서 자란 균을 선발하였고, 선발된 아그로박테리움 균을 배양하여 플라스미드 DNA를 분리하고 PCR 분석을 수행하여 목적유전자가 아그로박테리움에 도입됨을 확인한 후 벼 형질전환을 수행하였다.
벼 형질전환은 완숙종자의 종피를 제거한 후 70% 에탄옹 용액으로 1분간 침지하여 표면 살균처리 후 2% 치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상표명 '락스') 용액으로 20분간 침지하여 살균하였다. 이 후 멸균수로 3~5회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건조된 종자는 N6 캘러스 유도배지(N6 배지, 500 mg/L 프롤린, 500 mg/L 글루타민, 3% 수크로스, 2 mg/L 2,4-D, 0.25% phytagel, pH 5.8)에 치상하였다. 배양실 조건(28℃, 암처리)에서 4-5 주간 배양하여 캘러스 생성을 유도하고 식물체로 재분화할 가능성이 높은 부정배캘러스(embryonic callus)를 선별하여 형질전환에 이용한다. 플라스미드 벡터 pRDA-RTB를 포함하고 있는 아그로박테리움 LBA4404 균을 YEP배지에서 40시간 배양(25℃, 진탕배양)후 균의 농도를 OD600=0.5-0.7로 희석(AAM 배지, 100 mM 아세토실링곤 첨가)하여 상기 부정배와 혼합하여 15분간 배양 한다. 배양한 캘러스는 공동배양배지(N6 배지, 500 mg/L 프롤린, 500 mg/L 글루타민, 3% 수크로스, 2 mg/L 2,4-D, 100 mM 아세토실링곤, 0.25% phytagel, pH 5.8)에서 2-3일간 공동배양 (24℃, 암조건) 한 후 AAM 세척배지(AAM배지, 250 mg/L 세포탁심)로 세척한 후 선발배지(N6 배지, 500 mg/L 프롤린, 500 mg/L 글루타민, 3% 수크로스, 2 mg/L 2,4-D, 250 mg/L 세포탁심, 0.25% phytagel, pH 5.8)로 옮겨 캘러스 배양을 유도하였다. 이때의 배양조건은 형광등 조명하에서 24시간 명일 조건으로 처리하였고 매 2주마다 새로운 선별배지로 계대배양 하였다. 5주차에 캘러스를 재분화배지(MS 기본배지, 3% 수크로스, 0.5 mg/L NAA, 2 mg/L 키네틴, 250 mg/L 세포탁심, 0.3% phytagel, pH 5.8)에서 배양하여 식물체 재분화를 유도하였다.
< 실시예 2> 선발 마커를 포함하지 않는 형질전환벼 선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한 선발 마커를 포함하지 않는 형질전환 마커로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하여 벼에 형질전환한 다음 형질전환 벼를 선발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된 형질전환벡터 pRDA-RTB를 아그로박테리움(A. tumefaciens) LBA4404 균주에 옮겨준 후 일미벼에서 유도된 캘러스 조직과 공동배양하고, 캘러스 선발 및 재분화 과정을 통하여 형질전환 개체를 선발하였다. 재분화 개체의 선발은 식물호르몬 카네틴(kinetin)과 NAA가 첨가된 MS배지에서 자란 벼 슈트(shoot)의 잎에서 지노믹(genomic) DNA를 분리하고 목적유전자인 mCryⅠAc1를 증폭하기 위하여 정방향 프라이머: 5'-CGTGTCTGGGGTCCTGATTCT-3'(서열번호 4), 역방향 프라이머: 5'-GGCCATGATCTGGTGTCCAGA-3'(서열번호 5)를 이용하여 PCR 증폭하여 유전자 도입이 확인된 개체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개체는 토양에 이식하여 후대증식을 수행하였고 분리비 확인 및 농업형질평가를 통하여 우량 계통을 선발하였다.
< 실험예 1> 선발 마커를 포함하지 않는 해충저항성 Bt 벼의 도입유전자 분석
본 발명자들은 선발 마커를 포함하지 않는 해충저항성 Bt 벼의 서던 블랏(southern blot) 분석과 PCR 분석을 통하여 도입유전자(T-DNA)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재분화 배지에서 생성된 벼의 어린 식물체를 순화 배지에 옮긴 후 각 식물체 엽조직 0.5 mm 정도를 채취하였다. 전체 재분화 개체 중 각 50개체 단위로 채취한 시료를 혼합하여 그룹으로 묶고 CTAB 방법을 이용하여 지노믹 DNA를 분리하였고 이들 각 그룹(50개체의 혼합체)의 DNA(200ng)를 PCR 분석에 이용하였다. PCR 분석은 mCryⅠAc1 유전자 단편을 선택적으로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 수행 후 1% 아가로스 겔에 전기영동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전기영동에서 mCryⅠAc1 유전자가 검출된 그룹은 추가적인 개체 단위별 PCR 분석을 수행하여 실제로 도입유전자를 포함하는 개체를 선별한다. 도 2는 이렇게 하여 선별된 개체를 PCR 분석하고 아가로즈 겔로 전기영동 하여 약 2.1kb 크기의 도입유전자를 확인한 서던블롯 결과이다.
또한, 형질전환 벼에 도입된 외래유전자를 분석하기 위하여 서던 혼성화 반응(southern blot hybridization)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기한 PCR 분석방법에 의하여 도입유전자가 확인된 개체의 지노믹 DNA를 CTAB 방법으로 분리하고 개체당 10ug의 지노믹 DNA를 제한효소 EcoRI 효소로 절단(37℃, 24시간 처리)하였다. 제한효소로 처리한 DNA를 1% 아가로스 겔로 분리한 후 나일론 멤브레인에 캘퍼레리(capillary) 방법으로 트렌스퍼(transfer)한 후 방사선 동위원소 P32로 표지된 mCryⅠAc1 프로브 DNA와 혼성화 반응을 수행하였다. 혼성화 반응은 일반적인 분자생물학 실험서에 기술된 표준방법에 준하여 수행하였고 재분화된 계통 RTB 5, 11 및 15번의 혼성화 반응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고 RTB 5번(도 3, 레인 1) 계통은 1개의 도입유전자가 존재하고, RTB 11번(도 3, 레인 2)은 2개의 도입유전자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2> 선발 마커를 포함하지 않는 해충저항성 Bt 벼의 도입유전자 발현 분석
본 발명자들은 선발 마커를 포함하지 않는 해충저항성 Bt 벼의 도입유전자 발현을 RT-PCR 및 노던 블랏(northern blot)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mCryⅠAc1 유전자의 발현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형질전환체의 잎에서 전체 mRNA를 분리하여, RT-PCR 과 노던 블랏 분석 실험을 수행하였다. 역전사(Reverse transcription, RT)- PCR은 분리한 전체 RNA 100 ng를 주형으로 사용하여 상보적 DNA(cDNA)를 만든 후 mCryⅠAc1 유전자 단편을 증폭하기 위하여 정방향 프라이머: 5'-CGTGTCTGGGGTCCTGATTCT-3'(서열번호 4), 역방향 프라이머: 5'-GGCCATGATCTGGTGTCCAGA-3'(서열번호 5)로 PCR 분석하였다.
그 결과, 0.3 kb 크기의 밴드가 증목되어 도입유전가 정상적으로 발현됨(도 4, 레인 1-8)을 확인할 수 있었고 비형질전환체(도 4, NC)에서는 유전자 발현이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노던 블랏 분석에서도 RT-PCR 분석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도 5, 레인 1-8). 노던 블랏 분석은 각 분석 개체에서 분리한 20 ug의 전체 RNA를 1% 아가로스 겔에 전기영동한 후 나일론 멤브레인에 블랏한 후 방사선 동위원소 P32로 표지된 0.7 kb 크기의 mCryⅠAc1를 증폭하기 위하여 정방향 프라이머: 5'-CGTGTCTGGGGTCCTGATTCT-3'(서열번호 4), 역방향 프라이머: 5'-GGCCATGATCTGGTGTCCAGA-3'(서열번호 5)와 DNA를 혼성화 하여 반응을 수행하였다. 노던 분석을 위한 혼성화 반응은 일반분자생물학 실험서에 기술된 표준방법에 준하여 수행하였다. 결과를 통해서 선발 마커가 제거된 해충저항성 Bt 벼에 도입된 mCryⅠAc1 유전자가 올바르게 전사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3> 선발 마커를 포함하지 않는 해충저항성 Bt 벼의 도입유전자 분리 여부 분석
본 발명자들은 Bt 유전자의 발현 및 분리 여부를 검정하기 위하여 CryⅠAb/Ac 항체 진단 막대(immunostrip) 분석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선발 마커가 제거된 해충저항성 Bt 벼의 mCryⅠAc1 유전자의 발현 여부와 세대 진전에 따른 분리비를 측정하기 위해서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CryⅠAb/Ac 항체 진단 막대을 사용하였다.
항체 진단 막대 분석은 벼 시료의 신선한 엽조직 약 100 mg을 튜브에 담고 증류수 300 ul를 첨가한 후 유리 또는 플라스틱 막대를 이용하여 으깨어 즙액(단백질 용액)을 낸 후 항체 진단 막대를 꽂아 흡습되도록 한다. 약 10분 정도 경과 후 진단 막대에 나타나는 붉은색 실선의 유무를 판단하여 도입유전자 단백질 존재 유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비 형질전환체인 일미벼를 제외한 계통에서 CryⅠAb/Ac 밴드를 확인하였는데, 이를 통해 형질전환체에 삽입된 mCryⅠAc1 유전자가 올바르게 발현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계통별로 세대간 분리가 일어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및 표 1).
Entry 계통 파생계통 CryⅠAb/Ac immunostrip test 세대간 분리 여부
CryⅠAc1 11001 pRDA-RTB 5-2 31 31/31 X
CryⅠAc1 11002 pRDA-RTB 5-6 32 32/32 X
CryⅠAc1 11003 pRDA-RTB 5-7 35 35/35 X
CryⅠAc1 11004 pRDA-RTB 5-12 32 32/32 X
CryⅠAc1 11005 pRDA-RTB 11-2 34 34/34 X
CryⅠAc1 11006 pRDA-RTB 11-4 32 32/32 X
CryⅠAc1 11007 pRDA-RTB 15-3 11 11/11 X
CryⅠAc1 11008 pRDA-RTB 15-14 35 35/35 X
CryⅠAc1 11009 대조벼 (일미벼) 30 0/30 -
< 실험예 4> Bt 벼의 도입유전자의 DNA 상의 도입 위치 분석
선발 마커가 제거된 해충저항성 Bt 벼에 대한 도입유전자의 벼 지노믹 DNA 상의 도입 위치를 확인하고자 플레킹 DNA 염기서열(flanking DNA sequencing)을 수행하였다. 플레킹 DNA 분석은 형질전환벼 RTB 5, 11, 및 15번에서 분리한 지노믹 DNA를 제한효소로 절단한 후 어댑터 서열(adaptor sequence)을 붙이고 이를 대상으로 PCR 분석을 수행한다. PCR 분석은 어댑터 서열에서 고안된 프라이머와 T-DNA 영역의 rbcS 프로모터 또는 nos 터미네이터 영역의 서열 부위에서 고안된 프라이를 이용하여 수행하게 된다. PCR에 의하여 생성된 DNA 산물을 분리한 후 서열을 분석하고 이들 서열을 NCBI database에 blast 분석하여 플레킹 서열을 규명하게 된다.
그 결과, pRDA-RTB 5번 계통에서는 RB 방향으로 한개의 염기서열을 얻을 수 있었고, 이 염기서열을 NCBI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비교 한 결과 염색체(chromosome) 5번의 28438881-28438696과 동일하였으며, 벼의 Hypothetical conserved gene의 인트론(intron)에 위치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7).
또한 pRDA-RTB 11번과 15번은 염기서열 결과 동일한 계통으로 확인되었으며, 염색체 9번 22248226 -22248232의 7개의 염기서열이 삭제(deletion) 되어 두개의 유전자 카세트(gene cassette)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one locus에 동시에 삽입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위치는 유전자를 코딩(coding)하지 않는 유전자간(intergenic) 부위로 판명되었다(도 8).
< 실험예 5> 선발 마커를 포함하지 않는 해충저항성 Bt 벼의 농업적 특성 분석
본 발명자들은 선발 마커를 포함하지 않는 해충저항성 Bt 벼의 농업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GMO 포장에 이식한 선발 마커를 포함하지 않는 해충저항성 Bt 벼 8 계통에 대한 생육(간장, 수장, 수수출수기) 및 수량구성요소(수당립수, 등숙율, 정조 천립중)를 측정하였다.
계통 출수기
(월.일)
간장
(cm)
수장
(cm)
수수
(개)
등숙률
(%)
천립중
(g)
수당립수
(개)
일미벼 (대비) 8.22 78.3±6.3 21±3 13.1±3.8 87.6±6.9 25.1±0.6 91±19
pRDA-RTB 5-2 8.22 74.5±2.6 19±2 13.4±3.8 92.8±2.3 24.3±1.2 103±13
pRDA-RTB 5-6 8.20 73.2±2.5 15±2 14.3±4.9 79.3±9.6 20.6±0.8 69±19
pRDA-RTB 5-7 8.22 79.4±4.3 17±2 14.0±2.2 80.3±9.8 22.5±2.0 73±13
pRDA-RTB 5-12 8.22 80.5±4.8 20±2 12.7±3.9 82.2±6.5 24.5±1.2 85±19
pRDA-RTB 11-2 8.18 81.0±1.8 20±1 11.7±2.6 87.4±6.0 25.3±1.8 97±17
pRDA-RTB 11-4 8.20 77.7±3.7 20±4 11.1±2.7 82.7±5.5 24.8±1.9 95±15
pRDA-RTB 15-3 8.17 77.8±2.8 20±2 18.8±11.4 83.0±10.3 24.6±2.4 81±19
pRDA-RTB 15-4 8.18 74.8±3.3 17±2 13.1±4.0 87.3±7.1 23.8±1.9 86±19
< 실험예 6> 선발 마커를 포함하지 않는 해충저항성 Bt 벼의 농업적 특성 분석
<6-1> 혹명나방 애벌레의 기내 생물검정 실험
상기 선발된 형질전환체의 내독소 단백질 유전자 mCryⅠAc1에 의해 식물 조직 내의 독성 펩타이드(toxin peptide)의 생산으로 혹명나방에 대한 살충력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생물검정전에 각 계통에서 mCryⅠAb/Ac immunostrip test로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한 후에 벼 7 계통(일미벼, RTB 5-2-3, 11-2-1, 6-1, 8-4, 9-1, Agb0101)의 식물체 줄기를 페트리디쉬(petridish)에 수분을 유지하기 위한 젖은 필터 페이퍼(wet filterpaper)를 처리한 후에 유충에 섭식시키고 5일 후 식물 조직 내의 피해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비 형질전환체 일미벼는 모든 잎이 혹명나방 유충의 섭식에 의해 심각한 피해를 나타냈다. 반면에 형질전환체 11번 계통은 기존 개발된 해충저항성 Bt 벼 Agb0101과 유사한 식흔을 보였으며, 이외의 5, 6, 8번 계통의 경우 중간 정도, 9번 계통의 경우 일미벼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이 결과로서 RTB 11번 계통의 경우 약간의 일시적 섭식 흔적은 있었으나 형질전환체 내에 발현된 독성 펩타이드에 의한 혹명나방 유충의 기피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9).
<6-2> 해충저항성 Bt 혹명나방 애벌레 내충성 포트 검정 분석
BT 벼의 생물검정을 위하여 혹명나방 애벌레를 이용한 내충성 검정 기내실험을 수행한 바 선발 마커를 포함하지 않는 BT 벼의 내충성을 확인하였다. 이와 아울러 포트를 이용한 생물검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기내검정과 동일하게 일미벼를 대조구(- Control(Cnt))로 이용하였고 Agb-0101(Bt 벼, GM벼)을 혹명나방저항성 비교주(+ Control(Cnt))로 이용하였고 GM벼는 RTB 5-2-2, RTB 6-1, RTB 8-4 및 RTB 11-2-4의 4 계통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은 분얼기 전의 왕성한 성숙기 벼를 포트에 이식하고 1주일간의 적응시기를 거친 후 포트 당 10마리의 3령기 애벌레를 접종하고 1주일 후에 애벌레의 사멸을 조사하였다. 애벌레의 포트 외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트 내부에 비닐 랩을 깔아 식물체와 토양을 격리하였고 망사로 포트 전체를 감싸 외부로의 유출을 차단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종한 10마리 중 살아남은 개체를 집계한 결과 음성 대조구 일미 벼에서는 치사율 0%를 나타났고, 기내검정에서 강한 저항성을 나타낸 RTB 11번 계통은 중도 내충성을 보였다. 한편, 기내검정에서 중도 내충성을 나타낸 RTB 5번 계통은 강한 내충성을 나타내었고 RTB 8번과 9번은 약한 내충성을 보였다.
2012.07.31 ~ 2012.08.06 (실험포트)
접종 후 사멸수(n/10) 사멸수
일미 0
RTB 5-1-3 8
RTB 6-1 6
RTB 8-4 3
RTB 9-1 3
RTB 11-2-4 5
AGB0101 7
<11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20> A method for producing marker-free transgenic rice and the insect resistance rice plant produced by the marker-free transformation <130> P130871 <160> 5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770 <212> DNA <213> rbcS1(ribulose-1,5-bis-phosphate carboxylase small subunit) promote <400> 1 ctgcagcaaa gaaacgttat tagttggtgc ttttggtggt aggaatgtag ttttctgaca 60 aagtcaatta ctgaatataa aaaaaatctg cacagctctg cgtcaacagt tgtccaaggg 120 atgcctcaaa aatctgtgca gattatcagt cgtcacgcag aagcagaaca tcatggtgtg 180 ctaggtcagc ttcttgcatt gggccatgaa tccggttggt tgttaatctc tcctctctta 240 ttctcttata ttaagatgca taactctttt atgtagtcta aaaaaaaatc cagtggatcg 300 gatagtagta cgtcatggtg ccattaggta ccgttgaacc taacagatat ttatgcatgt 360 gtatatatat agctatatag acaaaattga tgccgattat agacccaaaa gcaataggta 420 tatataatat aatacagacc acaccaccaa actaagaatc gatcaaatag acaaggcatg 480 tctccaaatt gtcttaaact atttccgtag gttcagccgt tcaggagtcg aatcagcctc 540 tgccggcgtt ttctttgcac gtacgacgga cacacatggg cataccatat agctggtcca 600 tgacattagg agagagaacg tacgtgttga cctgtagctg agatataaca aggttgatta 660 taatatcacc aaacatgaaa tcatccaagg atgacccata actatcacta ctatagtact 720 gcatctggta aaagaaattg tatagactct atttcgagca ctaccacata acgcctgcaa 780 tgtgacaccc tacctattca ctaatgtgcc tcttcccaca cgctttccac ccgtactgct 840 cacagcttta agaaccagaa caaatgagta atattagtgt cggttcatgg ctaaaaccag 900 cactgatgta catgaccaca tatgtcaaat gctgcttcta ggcatgaccc gctcttacta 960 atacctactc atcgctagaa gaattttcgg ctgataaatt ttcaatttaa gcaagagtta 1020 tctgcgttgg ttcataactc aaactgatgg ccccaaccat attagtgcaa atttcacata 1080 tgatcataac cttttcatat gaaatcggat cgagatgaac tttatataaa cattgtagct 1140 gtcgatgata cctacaattt tatagttcac aaccttttta tttcaagtca tttaaatgcc 1200 caaataggtg tttcaaatct cagatagaaa tgttcaaaag taaaaaaggt ccctatcata 1260 acataattga tatgtaagtg agttggaaaa agataagtac gtgtgagaga gatcggggat 1320 caaattctgg tgtaataatg tatgtatttc agtcataaaa attggtagca gtagttgggg 1380 ctctgtatat ataccggtaa ggatgggatg gtagtagaat aattcttttt ttgtttttag 1440 ttttttctgg tccaaaattt caaatttgga tcccttactt gtaccaacta atattaatga 1500 gtgttgaggg tagtagaggt gcaactttac cataatccct ctgtttcagg ttataagacg 1560 ttttgacttt aaatttgacc aagtttatgc gcaaatatag taatatttat aatactatat 1620 tagtttcatt aaataaataa ttgaatatat tttcataata aatttgtgtt gagttcaaaa 1680 tattattaat tttttctaca aacttggtca aacttgaagc agtttgactt tgaccaaagt 1740 caaaacgtct tataacttga aacggatgga ttactttttt tgtggggaca agtttacaat 1800 gtttaataaa gcacaatcca tcttaatgtt ttcaagctga atattgtaaa attcatggat 1860 aaaccagctt ctaaatgttt aaccgggaaa atgtcgaacg acaaattaat atttttaagt 1920 gatggggagt attaattaag gagtgacaac tcaactttca atatcgtact aaactgtggg 1980 atttattttc taaaatttta taccctgcca attcacgtgt tgtagatctt tttttttcac 2040 taaccgacac caggtatatc aattttattg aatatagcag caaaaagaat gtgttgtact 2100 tgtaaacaaa aagcaaactg tacataaaaa aaaatgcact cctatataat taagctcata 2160 aagatgcttt gcttcgtgag ggcccaagtt ttgatgacct tttgcttgat ctcgaaatta 2220 aaatttaagt actgttaagg gagttcacac caccatcaat tttcagcctg aagaaacagt 2280 taaacaacga ccccgatgac cagtctactg ctctccacat actagctgca ttattgatca 2340 caaaacaaaa caaaacgaaa taaaaatcag cagcgagagt gtgcagagag agacaaaggt 2400 gatctggcgt ggatatctcc ccatccatcc tcacccgcgc tgcccatcac tcgccgccgc 2460 atactccatc atgtggagag aggaagacga ggaccacagc cagagcccgg gtcgagatgc 2520 caccacggcc acaacccacg agcccggcgc gacaccaccg cgcgcgcgtg agccagccac 2580 aaacgcccgc ggataggcgc gcgcacgccg gccaatccta ccacatcccc ggcctccgcg 2640 gctcgcgagc gccgctgcca tccgatccgc tgagttttgg ctatttatac gtaccgcggg 2700 agcctgtgtg cagagcagtg catctcaaga agtactcgag caaagaagga gagagcttgg 2760 tgagctgcag 2770 <210> 2 <211> 255 <212> DNA <213> NOS(Nopaline synthase) terminator <400> 2 gatcgttcaa acatttggca ataaagtttc ttaagattga atcctgttgc cggtcttgcg 60 atgattatca tataatttct gttgaattac gttaagcatg taataattaa catgtaatgc 120 atgacgttat ttatgagatg ggtttttatg attagagtcc cgcaattata catttaatac 180 gcgatagaaa acaaaatata gcgcgcaaac taggataaat tatcgcgcgc ggtgtcatct 240 atgttactag atcgg 255 <210> 3 <211> 1863 <212> DNA <213> mCry1Ac1(modified Cry1Ac1) <400> 3 atggacaaca acccaaacat caacgaatgc attccataca actgcttgag taacccagaa 60 gttgaagtac ttggtggaga acgcattgaa accggttaca ctcccatcga catctccttg 120 tccttgacac agtttctgct cagcgagttc gtgccaggag ctgggttcgt tctcggacta 180 gttgacatca tctggggtat ctttggtcca tctcaatggg atgcattcct ggtgcaaatt 240 gagcagttga tcaaccagag gatcgaagag ttcgccagga accaggccat ctctcgtttg 300 gaaggattga gcaatctcta ccaaatctat gcagagagct tcagagagtg ggaagccgat 360 cctactaacc cagctctccg cgaggaaatg cgtattcaat tcaacgacat gaacagcgcc 420 ttgaccacag ctatcccatt gttcgcagtc cagaactacc aagttcctct cttgtccgtg 480 tacgttcaag cagctaatct tcacctcagc gtgcttcgag acgttagcgt gtttgggcaa 540 agatggggat tcgatgctgc aaccatcaat agccgttaca acgaccttac taggctgatt 600 ggaaactaca ccgactacgc tgttcgttgg tacaacactg gcttggagcg tgtctggggt 660 cctgattcta gagattgggt gagatacaac cagttcagga gagaattgac cctcacagtt 720 ttggacattg tggctctctt cccgaactat gactccagac gttaccctat ccgtacagtg 780 tcccaactta ccagagaaat ctacactaac ccagttcttg agaacttcga cggtagcttc 840 cgtggttctg cccagggtat cgaaagatcc atcaggagcc cacacttgat ggacatcttg 900 aacagcataa ctatctacac cgatgctcac agaggatact attactggtc tggacaccag 960 atcatggcct ctccagttgg attctccgga cctgagttta cctttcctct ctatggaact 1020 atgggaaacg ccgctccaca acaacgtatc gttgctcaac taggacaggg tgtctacaga 1080 accttgtctt ccaccttgta cagaagaccc ttcaatatcg gtatcaacaa ccagcaactt 1140 tccgttcttg acggaacaga gttcgcctat ggaacctctt ctaacttgcc atccgctgtt 1200 tacagaaaga gcggaaccgt tgattccttg gacgaaatcc caccacagaa caacaatgtg 1260 ccacccaggc aaggattctc ccacaggctt agccacgtgt ccatgttccg ttccggattc 1320 agcaacagtt ccgtgagcat catcagagct cctatgttct cttggattca ccgttctgcc 1380 gagttcaaca acatcatcgc atctgatagt attactcaaa tccctgccgt gaagggaaac 1440 ttccttttca atggaagcgt aatcagcgga ccaggattca ctggcggaga tcttgtgaga 1500 cttaacagct ctggcaacaa cattcagaat agaggctaca tcgaagttcc tatccacttc 1560 ccatccacat ctactagata cagagttagg gttagatacg cctctgtgac cccaatccac 1620 cttaacgtga actggggcaa ttcatctatc ttctccaaca ccgttccagc tactgctacc 1680 tcactcgata atcttcaatc cagcgatttt ggttacttcg aaagtgccaa cgcattcact 1740 tcttcattgg gcaacatcgt gggtgttagg aatttcagcg gtactgcagg agtgatcatt 1800 gacagattcg agttcattcc tgttactgcc actcttgagg ctgagtacaa tctttaaggt 1860 acc 1863 <210> 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Cry1Ac1 forward primer <400> 4 cgtgtctggg gtcctgattc t 21 <210> 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Cry1Ac1 reverse primer <400> 5 ggccatgatc tggtgtccag a 21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1)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벼(Oryza sativa) 유래의 rbcS1(smallsubunit of ribulose-1,5-bis-phosphate carboxylase) 유전자의 프로모터(promoter)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아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 tumefaciens) 유래의 NOS(Nopaline synthase) 유전자의 터미네이터(terminator)를 이용한 유전자 발현 시스템에,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바실러스균(Bacillus thuringiensis, Bt) 유래의 살충성 유전자 mCryⅠAc1(modified CryⅠAc1)을 삽입한 발현 벡터를 제작하는 단계;
    2) 상기 발현 벡터를 아그로박테리움에 도입하는 단계;
    3) 상기 발현 벡터가 도입된 아그로박테리움을 벼 또는 벼의 조직과 공동배양하여 형질전환 벼(T0)를 생산하는 단계; 및
    4) 상기 생산된 형질전환 벼(T0)의 조직에서 유전체 DNA(genomic DNA)를 분리하고, 서열번호 4 및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mCryⅠAc1가 도입된 형질전환 벼(T0)를 선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벼 혹명나방 유충에 대한 내충성 벼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충성 벼는 선발 마커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성 벼의 제조방법.
  6. 제 4항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내충성 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내충성 벼는 선발 마커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성 벼.
  8. 1)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벼(Oryza sativa) 유래의 rbcS1(smallsubunit of ribulose-1,5-bis-phosphate carboxylase) 유전자의 프로모터(promoter)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아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 tumefaciens) 유래의 NOS(Nopaline synthase) 유전자의 터미네이터(terminator)를 이용한 유전자 발현 시스템에,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바실러스균(Bacillus thuringiensis, Bt) 유래의 살충성 유전자 mCryⅠAc1(modified CryⅠAc1)을 삽입한 발현 벡터를 제작하는 단계;
    2) 상기 발현 벡터를 아그로박테리움에 도입하는 단계;
    3) 상기 발현 벡터가 도입된 아그로박테리움을 벼 또는 벼의 조직과 공동배양하여 형질전환 벼(T0)를 생산하는 단계;
    4) 상기 형질전환 벼(T0)를 배양하여 종자(T1)를 수득하는 단계; 및
    5) 상기 수득된 종자(T1)의 조직에서 유전체 DNA(genomic DNA)를 분리하고, 서열번호 4 및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mCryⅠAc1가 도입된 형질전환 종자(T1)를 선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벼 혹명나방 유충에 대한 내충성 벼의 제조방법.
KR1020130140355A 2013-11-19 2013-11-19 무선발 마커 형질전환 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생산된 내충성 벼 KR101570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355A KR101570761B1 (ko) 2013-11-19 2013-11-19 무선발 마커 형질전환 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생산된 내충성 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355A KR101570761B1 (ko) 2013-11-19 2013-11-19 무선발 마커 형질전환 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생산된 내충성 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632A KR20150058632A (ko) 2015-05-29
KR101570761B1 true KR101570761B1 (ko) 2015-11-23

Family

ID=53392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355A KR101570761B1 (ko) 2013-11-19 2013-11-19 무선발 마커 형질전환 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생산된 내충성 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761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sect Molecular Biology, Volume 11, Issue 6, pages 619-625, December 20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632A (ko) 2015-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75510B1 (da) Fremgangsmåde til transformation af plantearveanlæg
MX2014009113A (es) Composiciones citricas resistentes a patogeno, organismos, sistemas y metodos.
CN107459565B (zh) 大豆抗旱相关蛋白在调控大豆抗旱性中的应用
CN108368515A (zh) 耐旱玉米
CN115449521A (zh) 一种同时表达抗虫基因和抗除草剂基因的双元载体及其应用
CN112626111A (zh) 一种除草剂抗性基因表达载体及其应用
CN116083445A (zh) 一种CrBZR1基因及其应用
US20080189805A1 (en) Novel genes and rna molecules that confer stress tolerance
CN116103262A (zh) 棉花丝/苏氨酸蛋白磷酸酶GhTOPP4及其编码基因和应用
KR100723070B1 (ko) 혹명나방 저항성 벼 형질전환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570761B1 (ko) 무선발 마커 형질전환 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생산된 내충성 벼
CN109912721B (zh) 创建抗虫融合基因的方法及其应用
CN101665803B (zh) 具有改变的生长特性的植物及其生产方法
CN107109432A (zh) 生产质体转化体的方法
Zhao et al. Regeneration of Chinese cabbage transgenic plants expressing antibacterial peptide gene and cowpea trypsin inhibitor gene
CN101831429B (zh) 水稻胚乳特异表达基因的启动子及表达模式鉴定
KR20190051565A (ko) 후대교배 복합해충저항성 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454987B (zh) GhNAC091基因在提高植物光合利用效率和强光耐受中的应用
CN115785235B (zh) Vip3Aa截短蛋白变体及其载体和应用
US20220195444A1 (en) Method for the transient expression of nucleic acids in plants
KR102081963B1 (ko) 식물 성숙 종자에서 특이적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는 프로모터 및 이의 용도
CN109678940B (zh) 蛋白BhDnaJ6及其编码基因与应用
KR100953762B1 (ko) 벼에서 분리된 병 저항성 증진 및 단간 유도 유전자를포함하는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형질 전환체, 및 이 형질전환체의 제조방법
KR101589147B1 (ko) 딱정벌레목에 대한 내충성을 가지는 형질전환 벼 및 이의 제조방법
Ho et al. Development of Agrobacterium-mediated in planta transformation method through coleoptile in r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