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496B1 -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496B1
KR101570496B1 KR1020140121363A KR20140121363A KR101570496B1 KR 101570496 B1 KR101570496 B1 KR 101570496B1 KR 1020140121363 A KR1020140121363 A KR 1020140121363A KR 20140121363 A KR20140121363 A KR 20140121363A KR 101570496 B1 KR101570496 B1 KR 101570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cable control
control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남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40121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ft warning signal, e.g. visual or audible signal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도난 방지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메뉴 선택, 충전 개시/종료 명령, 및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처리하여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지피에스 수신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정보 및 상기 지피에스 수신부를 통해 검출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사용자 기기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유/무선 통신부, 및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를 이용한 충전이 종료/완료된 후 다시 충전을 시작하거나 콘센트에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플러그 연결이 해제되었다가 다시 연결될 경우 사용자 인증정보를 요구하여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인증정보에 따라 상기 유/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도난 방지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FT AN IN-CABLE-CONTROL BOX OF AN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케이블 제어 장치에서 사용자 인증을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인-케이블 제어 장치에서 자체적으로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사용자 기기나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친환경적인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다만 모터로 구동되는 전기자동차의 경우 내연기관을 사용하는 기존의 자동차의 비해 최대운행거리가 짧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차량의 무게를 가중시키기 때문에 효율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으므로 잦은 충전이 요구된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의 보급을 위해서는 충전 인프라의 확충이 필요하다.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은 크게 충전방식, 연결방식, 통신방식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충전방식은 접촉식(Conductive) 충전방식, 유도식(Inductive) 충전방식 그리고 배터리 교환방식(Battery Swapping)으로 구분가능하다. 전기적 연결 장치는 주유기에 해당하는 커넥터(Connector), 및 주유구에 대응되며 전기자동차에 장착되는 인렛(Inlet)을 포함하며, 사용 전원의 유형에 따라 단상 및 삼상 교류용, 직류 전용 및 교류와 직류가 함께 있는 콤보(Combo)형으로 구분된다. 충전설비와 전기자동차간의 통신방식은 크게 일본에서 사용하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방식과 미국 및 유럽에서 선호하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통신방식이 있다.
전기자동차의 충전방식 중 접촉식은 전기적 접속을 통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교류 충전스탠드를 사용하는 방법과 직류충전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교류 충전스탠드는 충전장치가 아니라 충전을 위하여 교류 전원을 공급해 주는 전원 공급 장치에 해당하며 실제 충전은 전기자동차 내부의 온보드 충전기(On Board Charger)가 담당한다. 이러한 교류 충전스탠드의 입력 및 출력은 모두 상용주파수의 교류 전원이다.
교류 충전스탠드에는 크게 자립형 충전 스탠드와 휴대 가능한 인-케이블 제어 장치(In-cable-Control Box: 이하 'ICCB'라 함)가 있다. 자립형 충전 스탠드는 ICCB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충전 스테이션에 주로 사용되며, 가정에서는 주로 ICCB가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ICCB는 교류 충전스탠드의 일종으로 충전장치가 아니라 전원 공급 장치에 해당하므로, ICCB 자체적으로 충전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온보드 충전기를 통해 전기자동차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ICCB는 전기자동차 내부의 온보드 충전기의 상태에 따른 PWM 신호를 입력받은 후, PWM 레벨에 근거하여 충전 케이블의 전류용량, 충전 준비 상태, 전류 누설 상태 등 전기자동차의 상태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전원을 공급한다.
그런데 종래의 ICCB는 휴대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그 때문에 도난 가능성이 높다. 예컨대 통상적으로 차량을 충전하기 위해서는 수 시간 정도가 소요되기 때문에 운전자(사용자)가 항상 충전기 근처에 있거나 차량 내부에 있을 수 없는 상황이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운전자는 충전이 이루어지는 동안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다른 활동을 하다가 충전이 완료될 시점에 돌아오기 때문에 그 사이에 ICCB가 도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80956호(2012.09.03.등록, 전기 차량의 충전기 도난 방지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인-케이블 제어 장치에서 사용자 인증을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케이블 제어 장치에서 자체적으로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사용자 기기나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도난 방지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메뉴 선택, 충전 개시/종료 명령, 및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처리하여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지피에스 수신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정보 및 상기 지피에스 수신부를 통해 검출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사용자 기기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유/무선 통신부; 및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를 이용한 충전이 종료/완료된 후 다시 충전을 시작하거나 콘센트에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플러그 연결이 해제되었다가 다시 연결될 경우 사용자 인증정보를 요구하여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인증정보에 따라 상기 유/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도난 방지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도난 방지 장치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동작이나 상태에 따라 발생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시각적 수단이나 청각적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 인증정보의 입력을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인증정보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도난 방지 동작으로서 현재 위치정보를 미리 지정된 서버나 사용자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도난 방지 동작으로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를 이용한 충전을 금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의 정상/비정상 여부에 관계없이 충전이 종료/완료된 후 다시 충전을 시작하거나, 콘센트에서 상기 플러그연결이 해제되었다가 다시 연결될 경우, 자동으로 현재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부를 통해 미리 지정된 서버나 사용자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통신부는, 근거리/원거리 무선 통신 방식, 이동통신 방식, 또는 전력선 통신을 포함한 유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도난 방지 방법은, 제어부가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를 이용한 충전이 종료/완료된 후 다시 충전을 시작하거나 콘센트에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플러그 연결이 해제되었다가 다시 연결되는지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가 다시 충전을 시작하거나 플러그가 연결되는 경우, 정보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 인증정보의 입력을 요구하여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인증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 인증정보가 정상인지 아닌지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도난 방지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난 방지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난 방지 동작으로서, 현재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미리 지정된 서버나 사용자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난 방지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난 방지 동작으로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를 이용한 충전을 금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가 다시 충전을 시작하거나 플러그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의 정상/비정상 여부에 관계없이 자동으로 현재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미리 지정된 서버나 사용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가 다시 충전을 시작하거나 플러그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현재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저장부에 기 저장되어 있던 이전의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현재 위치정보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정보가 변경된 경우,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의 정상/비정상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검출된 현재 위치정보를 미리 지정된 서버나 사용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전의 위치정보는, 상기 저장부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위치정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에서 사용자 인증을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인-케이블 제어 장치에서 자체적으로 현재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사용자 기기나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도난을 방지하거나 도난당하더라도 인증된 사용자가 아니면 사용할 수 없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도난 방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도난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도난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도난 방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도난 방지 장치는, 사용자 입력부(110), 지피에스 수신부(120), 저장부(130), 유/무선 통신부(140), 정보 출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는 메뉴 선택, 충전 개시/종료 명령, 및 정보 입력(예 : 비밀번호) 등을 위한 수단으로서, 버튼, 스위치, 및 터치 패드/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지피에스 수신부(1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처리하여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받은 정보(예 : 환경설정 정보, 비밀번호 정보 등) 및 상기 지피에스 수신부(120)를 통해 검출된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유/무선 통신부(140)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동작/상태 정보, 상기 지피에스 수신부(120)를 통해 검출된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기기(예 :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서버, 혹은 지정된 컴퓨터에 전송한다.
상기 유/무선 통신부(140)는 근거리/원거리 무선 통신 방식(예 : 와이파이, 블루투스, 적외선, NFC 등)이나 이동통신 방식(예 : LTE, 3G 등), 또는 유선 통신 방식(예 : 전력선 통신(PLC), 유선 인터넷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유/무선 통신부(140)는 상기 유/무선 통신을 위한 모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출력부(150)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동작이나 상태에 따라 발생되는 정보를 사용자(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는 시각적 수단(예 : LCD, LED 등)이나 청각적 수단(예 : 스피커, 부저 등)을 통해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 인증정보(예 :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사용자 인증정보는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서 수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상기 지피에스 수신부(120)를 통해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현재 위치정보가 업데이트 될 때마다 그 새로운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충전이 종료/완료된 후 다시 충전을 시작하거나, 콘센트(미도시)에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플러그(미도시) 연결이 해제되었다가 다시 연결될 경우에 사용자 인증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의 요구는 상기 정보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 플러그(미도시)의 연결이나 해제는 AC 전원의 입력을 검출하는 것으로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의 요구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인증정보(예 : 비밀번호)가 비정상인 경우, 현재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부(140)를 통해 미리 지정된 서버나 사용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 인증정보의 정상/비정상 여부에 관계없이 충전이 종료/완료된 후 다시 충전을 시작하거나, 콘센트(미도시)에서 상기 플러그(미도시) 연결이 해제되었다가 다시 연결될 경우, 자동으로 현재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부(140)를 통해 미리 지정된 서버나 사용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도난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는 최초 구입 후 정상 운전자(사용자)에 의해서 사용자 인증정보(예 : 비밀번호) 및 현재 위치정보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플러그(미도시)가 콘센트(미도시)에 연결될 경우(S101), 정보 출력부(150)를 통해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하여 운전자(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는다(S102).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받은 비밀번호가 미리 등록된 정상적인 비밀번호인지 판단한다(S103).
상기 판단 결과(S103)에 따라, 만약 상기 입력받은 비밀번호가 정상적인 비밀번호가 아닌 경우(S103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60)는 지피에스 수신부(120)를 통해 현재 위치정보를 검출한다(S104).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유/무선 통신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검출된 현재 위치정보를 미리 지정된 서버나 사용자 기기로 전송한다(S105).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충전을 금지하여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한다(S106).
그러나 상기 판단 결과(S103)에 따라, 상기 입력받은 비밀번호가 정상적인 비밀번호인 경우(S103의 예), 상기 제어부(160)는 충전을 개시하여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S107).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는, 사용자 인증을 통해 정상적인 사용자만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 인증이 되지 않은 비정상적인 사용자는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가 있는 현재 위치정보를 미리 지정된 서버나 사용자 기기로 전송함으로써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도난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는 최초 구입 후 정상 운전자(사용자)에 의해서 사용자 인증정보(예 : 비밀번호) 및 현재 위치정보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플러그(미도시)가 콘센트(미도시)에 연결될 경우(S201), 상기 제어부(160)는 지피에스 수신부(120)를 통해 현재 위치정보를 검출한다(S202).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검출된 현재 위치정보와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던 이전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위치정보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한다(S203).
이때 상기 이전의 위치정보는 미리 등록된 복수의 위치정보(예 : 가정, 회사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S203)에 따라, 만약 상기 현재 위치정보가 이전의 위치정보와 다른 경우(즉, 위치정보가 변경된 경우)(S203의 예),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 인증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유/무선 통신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검출된 현재 위치정보를 미리 지정된 서버나 사용자 기기로 전송한다(S204).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정보 출력부(150)를 통해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하여 운전자(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는다(S205).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받은 비밀번호가 미리 등록된 정상적인 비밀번호인지 판단한다(S206).
상기 판단 결과(S206)에 따라, 만약 상기 입력받은 비밀번호가 정상적인 비밀번호가 아닌 경우(S206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60)는 충전을 금지하여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한다(S207).
그러나 상기 판단 결과(S206)에 따라, 상기 입력받은 비밀번호가 정상적인 비밀번호인 경우(S206의 예), 상기 제어부(160)는 충전을 개시하여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S208).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는, 사용자 인증 여부에 관계없이 사용을 위해 플러그를 콘센트에 연결하는 경우에 곧바로 현재 위치정보를 미리 지정된 서버나 사용자 기기로 전송함으로써 도난을 방지하고, 또한 사용자 인증을 통해 정상적인 사용자만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사용자 입력부
120 : 지피에스 수신부
130 : 저장부
140 : 유/무선 통신부
150 : 정보 출력부
160 : 제어부

Claims (12)

  1.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도난 방지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메뉴 선택, 충전 개시/종료 명령, 및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처리하여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지피에스 수신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정보 및 상기 지피에스 수신부를 통해 검출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사용자 기기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유/무선 통신부; 및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를 이용한 충전이 종료/완료된 후 다시 충전을 시작하거나 콘센트에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플러그 연결이 해제되었다가 다시 연결될 경우 사용자 인증정보를 요구하여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인증정보에 따라 상기 유/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도난 방지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의 정상/비정상 여부에 관계없이 충전이 종료/완료된 후 다시 충전을 시작하거나, 콘센트에서 상기 플러그연결이 해제되었다가 다시 연결될 경우, 자동으로 현재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부를 통해 미리 지정된 서버나 사용자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도난 방지 장치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동작이나 상태에 따라 발생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시각적 수단이나 청각적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 인증정보의 입력을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인증정보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도난 방지 동작으로서 현재 위치정보를 미리 지정된 서버나 사용자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도난 방지 동작으로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를 이용한 충전을 금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통신부는,
    근거리/원거리 무선 통신 방식, 이동통신 방식, 또는 전력선 통신을 포함한 유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도난 방지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를 이용한 충전이 종료/완료된 후 다시 충전을 시작하거나 콘센트에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플러그 연결이 해제되었다가 다시 연결되는지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가 다시 충전을 시작하거나 플러그가 연결되는 경우, 정보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 인증정보의 입력을 요구하여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인증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 인증정보가 정상인지 아닌지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도난 방지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가 다시 충전을 시작하거나 플러그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의 정상/비정상 여부에 관계없이 자동으로 현재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미리 지정된 서버나 사용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도난 방지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난 방지 동작으로서, 현재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미리 지정된 서버나 사용자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도난 방지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난 방지 동작으로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를 이용한 충전을 금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삭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가 다시 충전을 시작하거나 플러그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현재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저장부에 기 저장되어 있던 이전의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현재 위치정보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정보가 변경된 경우,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의 정상/비정상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검출된 현재 위치정보를 미리 지정된 서버나 사용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의 위치정보는,
    상기 저장부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위치정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40121363A 2014-09-12 2014-09-12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570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363A KR101570496B1 (ko) 2014-09-12 2014-09-12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363A KR101570496B1 (ko) 2014-09-12 2014-09-12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0496B1 true KR101570496B1 (ko) 2015-11-19

Family

ID=54843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363A KR101570496B1 (ko) 2014-09-12 2014-09-12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4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1911A (ja) 2009-01-09 2010-07-22 Alpha Corp 電気自動車の充電ケーブル
JP2011015529A (ja) 2009-07-02 2011-01-20 Toyota Motor Corp 車両用充電ケーブル
JP2011183839A (ja) * 2010-03-04 2011-09-22 Denso Corp 車両盗難防止装置
JP2012186948A (ja) * 2011-03-07 2012-09-27 Panasonic Corp 電気推進車両用充電ケーブ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1911A (ja) 2009-01-09 2010-07-22 Alpha Corp 電気自動車の充電ケーブル
JP2011015529A (ja) 2009-07-02 2011-01-20 Toyota Motor Corp 車両用充電ケーブル
JP2011183839A (ja) * 2010-03-04 2011-09-22 Denso Corp 車両盗難防止装置
JP2012186948A (ja) * 2011-03-07 2012-09-27 Panasonic Corp 電気推進車両用充電ケーブ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57184B (zh) 供对电动车辆充电使用的车辆充电站和方法
CN102957183B (zh) 供对电动车辆充电使用的车辆控制器和方法
JP5418431B2 (ja) 不正電池充電制限システム
CN107182035B (zh) 使用基于位置的服务的无线车辆充电通信系统和方法
US20130041850A1 (en) Electrically powered vehicles and methods for use in charging an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US20170150531A1 (en) Operating a mobile hotspot at a vehicle
US20130110340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nd, and method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CN108349403B (zh) 用于对电驱动车辆的牵引储能器充电的方法和充电器
TW201512029A (zh) 電動車輛及其管理方法
US9387771B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port lock
US20190225107A1 (en) Recharging system, recharging controller, battery charger, information device, recharg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654714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양방향 충전 관리시스템 및 방법
US9937811B2 (en) Vehicle authentication for a BEV charger
JP2009015719A (ja) 車両盗難防止装置
CN104283255A (zh) 附接于电缆安装型充电控制设备的附加通信装置
KR20230084457A (ko) 전기자동차 충전 제어방법
JP2014093686A (ja) 車載通信装置
JP2014075858A (ja) ワイヤレス充電器
KR101570496B1 (ko)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578919B1 (ko)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장치의 정격전류 설정장치 및 그 방법
JP2014024458A (ja) 給電装置及び携帯通信機探索システム
JP5165713B2 (ja) 電気自動車の給電装置
JP2014103498A (ja) 置き忘れ報知装置
KR20160031674A (ko)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KR20160031675A (ko)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 장치의 충전 차단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