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884B1 - 풋 컨트롤 겸용 전동 모빌랙 - Google Patents

풋 컨트롤 겸용 전동 모빌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884B1
KR101569884B1 KR1020150034317A KR20150034317A KR101569884B1 KR 101569884 B1 KR101569884 B1 KR 101569884B1 KR 1020150034317 A KR1020150034317 A KR 1020150034317A KR 20150034317 A KR20150034317 A KR 20150034317A KR 101569884 B1 KR101569884 B1 KR 101569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foot
light
us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근
Original Assignee
피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4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3/00Cabinets or racks having several sections one behind the other
    • A47B53/02Cabinet systems, e.g. consisting of cabinets arranged in a row with means to open or close passages between adjacent cabi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풋 컨트롤 겸용 전동 모빌랙에 관한 것으로, 가시광선 또는 비가시광선을 풋 센서로 하여 사용자가 안정적인 자세에서 발로 가시광선을 가리는 동작을 통해 랙을 이동시켜 통로를 확보함으로써 손으로 스위치를 조작할 수 없는 조건에서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랙을 사용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풋 컨트롤 겸용 전동 모빌랙은,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10)과; 바닥판(21), 상기 바닥판의 둘레부에 세워지는 측판(22), 상기 측판들의 사이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선반(23), 상기 측판들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천정판(24), 상기 측판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격벽(25)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탑재되는 다수의 랙(20)과; 상기 랙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랙을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주행수단과; 상기 랙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후 반사되는 가시광선을 수광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수광부로 이루어진 풋 센서와; 상기 풋 센서의 수광부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변화를 근거로 하여 상기 주행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랙들의 마주하는 곳에 설치되는 근접 센서에 의한 감지시 상기 주행수단의 정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풋 컨트롤 겸용 전동 모빌랙{FOOT CONTROL ELECTROMOTIVE MOBILE RACK}
본 발명은 모빌랙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손 대신 발을 사용하여 모빌랙을 이동시켜 사용자가 손에 문서 등을 들고 있는 경우에도 모빌랙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사용자가 발을 움직이지 않고 바닥에 놓는 편안한 동작만으로도 랙의 조작이 가능한 풋 컨트롤 겸용 전동 모빌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양의 책이나 서류, 사무용품 및 각종 자료 등을 보관할 시에 랙과 랙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 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그 이동수단에 따라 핸들식 모빌랙 및 전동식 모빌랙으로 분리된다.
상기 모빌랙은 바닥면에 한 쌍의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각각의 랙의 하면에는 주행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랙은 주행부재와 연결되는 핸들이나 구동모터등을 통하여 수동및 자동식으로 주행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는 스위치의 온(ON)시 그 회전력이 스프로켓 및 체인, 회전축 등을 통하여 주행부재에 전달되며, 상기 구동모터는 각각의 랙에 설치되어 스위치부 및 안전장치 등에 의해 제어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전동식 모빌랙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74280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바닥면에 설치된 한 쌍의 레일 위를 모터부의 구동에 의해 주행부재가 주행하고, 상기 모빌랙에는 복수개의 안전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안전장치는, 랙의 베이스에 프레임이 형성된 후 그 양단부 인접한 위치에는 힌지로서 접촉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접촉부재의 후면에는 상기 서브컨트롤러와 연결되면서 감지부가 돌출되는 리미트스위치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안전장치는 상기 주행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 개의 걸림홈 및 이에 삽입토록 삽입부가 구비되는 솔레노이드로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3안전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에 힌지부로서 연결되는 안전봉으로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전동식 모빌랙은, 안전장치를 동작시키면 리미트스위치가 동작되어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공급 주행부재의 회전을 제하도록 하고, 안전봉을 인접하는 랙에 걸쳐놓을 경우 일정한 작업공간을 확보하게 되어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전동식 모빌랙은 스위치의 높이 상 사용자가 손만을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양 손에 문서를 들고 있는 경우에는 문서를 바닥에 내려놓은 후 스위치를 조작하여 모빌랙에 통로를 확보하고, 바닥에 내려놓은 문서를 다시 들고 통로로 이동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허문헌 2(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7398호, 소멸)는, 다수의 선반 및 제어부를 구비한 제어판넬로 구성되는 이동랙 또는 고정랙의 하단측 횡프레임에 설치되는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랙 또는 고정랙의 하단측 횡프레임의 후면에 볼트로 체결 설치되는 리미트스위치 고정판과; 상기 리미트스위치 고정판에 고정되어 리미트스위치의 작동구가 상기 횡프레임을 관통하여 전면으로 돌출되는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작동구에 감기어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횡프레임의 전면에 상부 선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작동구를 작동시켜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스위치 접점을 단속하는 작동판 및; 상기 제어판넬의 제어부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연결하는 선로로 구성되며, 또한 기둥과 횡프레임, 다수의 선반 및 제어부를 구비한 제어판넬로 구성된 것으로, 리미트 스위치가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지만, 사용자가 직접 발로 리미트 스위치를 눌러야 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중심을 잃게 되면서 문서를 떨어뜨릴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74280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739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선(가시광선, 비가시광선)을 풋 센서로 하여 사용자가 안정적인 자세에서 발로 광선을 가리는 동작을 통해 랙을 이동시켜 통로를 확보함으로써 손으로 스위치를 조작할 수 없는 조건에서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랙을 사용할 수 있는 풋 컨트롤 겸용 전동 모빌랙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풋 컨트롤 겸용 전동 모빌랙은,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과;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둘레부에 세워지는 측판, 상기 측판들의 사이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선반, 상기 측판들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천정판, 상기 측판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탑재되는 다수의 랙과; 상기 랙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랙을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주행수단과; 상기 랙의 하부에 설치되어 광선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후 반사되는 광선을 수광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수광부로 이루어진 풋 센서와; 상기 풋 센서의 수광부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변화를 근거로 하여 상기 주행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랙들의 마주하는 곳에 설치되는 근접 센서에 의한 감지시 상기 주행수단의 정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풋 컨트롤 겸용 전동 모빌랙에 의하면, 사용자가 손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육안 확인이 가능한 풋센서의 광선(가시광선, 비가시광선)에 발을 놓은 것만으로도 랙의 이동할 수 있으며 즉 사용자가 발로 스위치를 누르는 동작없이 편안하게 랙의 앞에 서 있는 동작만으로도 랙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흔들림없이 랙의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풋 컨트롤 겸용 전동 모빌랙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풋 컨트롤 겸용 전동 모빌랙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풋 컨트롤 겸용 전동 모빌랙의 주행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풋 컨트롤 겸용 전동 모빌랙에 적용된 풋 센서의 다른 예시도.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풋 컨트롤 겸용 전동 모빌랙은,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10)과; 문서가 수납되는 수납부가 구비되며 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랙(20)과; 랙(20)을 이동시키는 전동식 주행수단(30)과; 상기 전동식 주행수단의 구동과 정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40)와; 그리고, 사용자의 발 조작을 감지하여 랙(20)이 이동되도록 하는 풋 센서(50)로 구성된다.
레일(10)은 매립식과 돌출식 모두가 가능하다.
랙(20)은 바닥판(21), 바닥판(21)의 둘레부에 세워지는 측판(22), 측판(22)들의 사이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선반(23), 측판(22)들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천정판(24), 측판(22)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격벽(25)으로 이루어진다.
전동식 주행수단(30)은 전동 모터(31), 전동 모터(31)의 동력을 공급받아 레일(10)을 따라 회전하면서 랙(20)을 이동시키는 이동 바퀴(32)로 이루어진다.
전동식 주행수단(30)의 전동 모터(31)는 이동 스위치(33)의 조작에 의해 온 제어되고, 랙(20)들의 마주하는 곳에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의 감지를 통해 오프 제어된다.
이동 스위치(33)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조작되며 양쪽 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2개가 갖추어진다.
컨트롤러(40)는 전동 모터(31)의 구동을 제어하며, 풋 센서(50)의 감지를 근거로 하여 전동 모터(31)의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이동 스위치(33)의 조작에 의해 전동 모터(31)가 직접 제어되는 것도 컨트롤러에 의한 제어로 포함된다.
이동 스위치(33)는 측판(22)에 각종 정보를 화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함께 설치된다.
풋 센서(50)는 사용자의 발 조작에 의해 랙(20)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기구적 스위치 대신 육안 확인이 가능한 가시광선, 레이저 등(이하 가시광선을 예로 들어 설명함) 특히 유색의 가시광선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고, 사용자가 가시광선을 육안 확인하여 풋 센서(50)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며 사용자가 발로 누르지 않고 가시광선을 가리는 동작만으로도 조작이 가능하여 흔들림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풋 센서(50)는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발광부, 발광부에서 조사된 후 반사되는 빛을 수광 및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수광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의 위치는 사용자의 발이 닿는 위치이며, 랙(20)의 측판(22)의 저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광부의 위치를 사용자의 손으로 가시광선을 가릴 수 있는 위치로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의해서도 랙(20)의 이동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가시광선을 바닥을 향해 조사하며 측판(22)의 앞쪽을 향하는 경우 랙(20)을 지나가는 행인에 의해 이동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랙(20)은 풋 센서(50)에 의한 조작을 통해 제어되고, 정지는 리미트 센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리미트 센서의 유무와 상관없이 풋 센서(50)의 1회 조작시 이동, 2회 조작시 정지 제어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풋 센서(50)는 랙(20)의 양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좌측과 우측용 2개가 갖추어지며, 이때, 기존에 적용되어 있는 이동 스위치(33)와 연결되어 양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시광선을 이용한 풋 센서(50)는 사용자가 가시광선을 확인하기 때문에 풋 센서(50)를 랙(2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숨길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바닥판(21)의 옆 또는 측판(22)의 저부에 설치되고 가시광선을 측판(22)의 앞쪽으로 사선으로 조사함으로써 사용자가 랙(20)의 앞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모빌랙의 사용 중에 풋 센서(50)의 조작에 따라 랙(20)의 이동하는 경우 랙(20) 사이의 통로에 들어간 사용자의 안전을 해칠 수 있으며, 이러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모빌랙이 사용 중인 경우 풋 센서(50)를 조작하여도 랙(20)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진입센서(60)가 함께 갖추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입센서(60)는 광센서가 바람직하며, 이웃하는 랙의 마주하는 면에 발광부와 수광부가 각각 설치된다. 진입센서(60)에 의한 사용자의 진입이 감지되면, 컨트롤러(40)는 풋 센서(50)가 조작되어도 전동 모터(31)가 구동하지 않고 정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이는 이동 스위치(33)의 조작시에도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풋 컨트롤 겸용 전동 모빌랙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랙(20)에 문서를 보관하는 경우로서, 사용자가 양 손으로 문서나 다른 짐을 들고 있는 경우 다수의 랙(20)에서 사용할 랙(20)을 선택한다.
랙(20)의 하부에는 가시광선이 조사되고 있을 것이며,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랙(20) 또는 이웃하는 랙(20)의 이동을 통해 통로를 확보하고, 발로 가시광선을 가린다. 풋 센서(50)의 수광부는 사용자의 발이 가려지는 경우 평상시와 다른 값을 출력하고, 따라서 컨트롤러(40)는 전동 모터(31)의 구동을 제어하여 랙(20)을 이동시킨다.
랙(20)이 이동하다가 리미트 센서가 작동하면 컨트롤러(40)에 의해 랙(20)이 정지하여 랙(20) 앞에 통로가 마련된다.
사용자는 통로에 들어가서 문서를 랙(20)에 보관한다.
지금까지는 육안 확인이 가능한 가시광선을 이용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가시광선 특히 육안 확인이 가능한 유색의 가시광선은 거부감을 줄 수 있으므로 육안 식별이 되지 않는 비가시광선을 발광 조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의 풋 센서(50)의 발광부는 비가시광선을 조사하며, 사용자가 비가시광선의 조사 경로에 발을 놓을 수 있도록 인디케이터(51)가 적용된다.
인디케이터(51)는 유색의 빛을 조사하는 램프가 바람직하고, 사용자는 이 램프형의 인디케이터(51) 아래에 비가시광선이 조사되는 것을 인지하여 발을 풋 센서(50) 아래에 놓게 되고 따라서 전술한 것처럼 랙(20)이 이동한다.
램프형의 인디케이터(51)는 평상시 점등(또는 적색) 상태이고 발이 놓여질 경우 소등(또는 녹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10 : 레일, 20 : 랙
30 : 전동식 주행수단, 40 : 컨트롤러
50 : 풋 센서, 60 : 진입 센서

Claims (5)

  1.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10)과;
    바닥판(21), 상기 바닥판의 둘레부에 세워지는 측판(22), 상기 측판들의 사이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선반(23), 상기 측판들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천정판(24), 상기 측판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격벽(25)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탑재되는 다수의 랙(20)과;
    상기 랙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랙을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주행수단과;
    상기 랙의 하부에 설치되어 광선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후 반사되는 광선을 수광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수광부로 이루어진 풋 센서(50)와;
    상기 랙들의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는 진입 센서와;
    상기 풋 센서의 수광부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변화를 근거로 하여 상기 주행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랙들의 정지를 제어하되, 상기 진입 센서에 의한 사용자의 감지시 상기 풋 센서에 의한 감지와 관계없이 상기 주행수단을 정지 제어하는 컨트롤러(40)를 포함하고,
    상기 풋 센서는 육안으로 식별되는 가시광선을 상기 랙의 앞쪽의 바닥을 향해 사선으로 발광하여 사용자가 상기 가시광선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발을 가시광선의 경로에 놓아 상기 랙의 이동을 조작하도록 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랙들의 마주하는 곳에 설치되는 근접 센서에 의한 감지 또는 상기 풋 센서의 조작을 근거로 하여 상기 주행수단의 정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 컨트롤 겸용 전동 모빌랙.
  2. 삭제
  3.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10)과;
    바닥판(21), 상기 바닥판의 둘레부에 세워지는 측판(22), 상기 측판들의 사이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선반(23), 상기 측판들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천정판(24), 상기 측판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격벽(25)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탑재되는 다수의 랙(20)과;
    상기 랙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랙을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주행수단과;
    상기 랙의 하부에 설치되어 광선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후 반사되는 광선을 수광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수광부로 이루어진 풋 센서(50)와;
    상기 풋 센서의 수광부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변화를 근거로 하여 상기 주행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랙들의 정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40)를 포함하고,
    상기 풋 센서는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는 비가시광선을 발광하며, 상기 랙의 저부에는 상기 비가시광선의 조사 위치를 알려주는 인디케이터(51)가 포함되어 사용자가 상기 인디케이터 저부에 발을 놓아 상기 랙의 이동을 조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 컨트롤 겸용 전동 모빌랙.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랙들의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는 진입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진입 센서에 의한 사용자의 감지시 상기 풋 센서에 의한 감지와 관계없이 상기 주행수단을 정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 컨트롤 겸용 전동 모빌랙.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랙들의 마주하는 곳에 설치되는 근접 센서에 의한 감지 또는 상기 풋 센서의 조작을 근거로 하여 상기 주행수단의 정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 컨트롤 겸용 전동 모빌랙.
KR1020150034317A 2015-03-12 2015-03-12 풋 컨트롤 겸용 전동 모빌랙 KR101569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317A KR101569884B1 (ko) 2015-03-12 2015-03-12 풋 컨트롤 겸용 전동 모빌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317A KR101569884B1 (ko) 2015-03-12 2015-03-12 풋 컨트롤 겸용 전동 모빌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9884B1 true KR101569884B1 (ko) 2015-11-27

Family

ID=54847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317A KR101569884B1 (ko) 2015-03-12 2015-03-12 풋 컨트롤 겸용 전동 모빌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8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56149A (zh) * 2019-08-29 2022-05-27 滑动存储自由轨道有限公司 带有LiDAR操作系统的电驱动货架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823A (ja) * 2000-05-29 2001-12-04 Daifuku Co Ltd 移動棚設備の障害物検出装置
JP4275367B2 (ja) * 2002-08-09 2009-06-10 金剛株式会社 移動棚用エリアセンサおよび移動棚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823A (ja) * 2000-05-29 2001-12-04 Daifuku Co Ltd 移動棚設備の障害物検出装置
JP4275367B2 (ja) * 2002-08-09 2009-06-10 金剛株式会社 移動棚用エリアセンサおよび移動棚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56149A (zh) * 2019-08-29 2022-05-27 滑动存储自由轨道有限公司 带有LiDAR操作系统的电驱动货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850B1 (ko) 승객 컨베이어
KR20060001884A (ko) 런닝머신 및 그 제어방법
KR101693619B1 (ko) 기계식 주차설비의 안전장치
JP2010255377A (ja) 機械式駐車装置に入庫する車両のはみ出し部検知方法及び装置
KR101569884B1 (ko) 풋 컨트롤 겸용 전동 모빌랙
KR20220144391A (ko) 제한 영역 또는 비제한 영역을 나타내는 자재 취급 차량 측면의 조명 바닥
GB2261866A (en) Lift for multi-storey parking system
KR101960868B1 (ko) 식별이 용이한 광원부를 갖는 랙크식 창고용 피난 안내 장치
JP2009102903A (ja) 駐車場の降車位置表示装置、駐車場の乗車位置表示装置、及び駐車場の乗降位置表示装置。
JP4819348B2 (ja) 作業車両の報知装置
KR200476227Y1 (ko) 비접촉식 선택 스위치
JP2012062162A (ja) エスカレーター等における逆進防止装置
JP4153730B2 (ja) 電動式移動棚装置における制御装置
JP6765898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入出庫誘導システム
JP5859776B2 (ja) 立体駐車装置
KR101255225B1 (ko) 자동 접이식 벤치
KR101145416B1 (ko) 사용 중 랙을 표시하는 모빌랙
GB2133782A (en) Controlling movement of a plurality of relatively movable units along guide track
JP7193432B2 (ja) 機械式駐車装置
KR20200103903A (ko) 자율주행식 상점거리를 가진 평면형 저상 전기차
JP4391345B2 (ja) 乗客コンベヤの欄干照明装置
JPH0818646B2 (ja) 走行クレーンの操作装置
JP2007254061A (ja) マンコンベアの表示装置
KR102505362B1 (ko) 셔터장치
GB2279480A (en) Valid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