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823B1 -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823B1
KR101567823B1 KR1020140057528A KR20140057528A KR101567823B1 KR 101567823 B1 KR101567823 B1 KR 101567823B1 KR 1020140057528 A KR1020140057528 A KR 1020140057528A KR 20140057528 A KR20140057528 A KR 20140057528A KR 101567823 B1 KR101567823 B1 KR 101567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sheet
slide
seat
sea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민
Original Assignee
임종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민 filed Critical 임종민
Priority to KR1020140057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5/00Emergency apparatus 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25/08Ejecting or escaping means
    • B64D25/10Ejector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위급 상황 시 탑승자의 생명을 보호하며, 보다 안전하게 차량의 내부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구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드 사출시트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출로 인해 발생하는 탑승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드레일, 제1벨트 및 제2벨트를 구현함으로서, 사출 후 사출시트의 착지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탑승자가 사출시트에 깔리거나 예측 불가능한 지면에 직접 접촉하여 2차 사고를 입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 및 그 구동방법{A SLIDE EJECTION SEAT FOR FLYING CARS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행 자동차의 위급 상황 시 탑승자의 생명을 보호하며, 보다 안전하게 차량의 내부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구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드 사출시트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대중화로 현대인들은 편리한 삶을 영위하고 있다. 한편 이로 인해서 점점 교통혼잡이 가중되고 있으며, 물류비용이 증가하고, 특히 도심지역에서는 더 이상 지상에 계속 도로를 확장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또한 고속도로에서 사고라도 나게 되면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약속을 어기게 되거나, 회사에 지각하게 되며, 목적지에 언제 도착할지 모르는 최악의 상황까지 초래하게 된다.
이로 인해서 점점 도심에서의 생활은 그 삶의 질이 떨어지게 되며, 고비용을 지불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시골이나 교외에서 도심의 직장으로 출퇴근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그러나 경비행기로는 고비용의 구조를 가진 현재 도로 교통혼잡 상황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즉, 교외나 도심 근처에 별도의 활주로를 마련하거나, 이렇게 활주로를 마련하더라도 도심까지는 결국 자동차를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가 최근 실용화에 성공하였다. 하늘을 나는 자동차는 비행기 겸용 자동차로 육상에서는 자동차로 활용하고 하늘에서는 비행기로 전환되는 장치로 그 효용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자동차의 대중화에 빗대어 보면, 향 후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확대 보급으로 또 다른 교통 혼잡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을 것이다.
비행기 겸용 자동차가 공중에서 사고가 날 경우, 지상에서의 자동차 사고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그 피해가 심각해 질 것이다. 따라서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경우 안전장치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공중에서 비행중에 충돌하거나 균형을 잃게되면 추락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바로 목숨을 잃게 되는 위험이 따르게 된다.
특히, 하늘을 나는 자동차(복합 비행체)가 공중에서 비상 상황 시 탑승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사출하는 시트(의자)가 안전장치로서 매우 중요하다. 종래의 비행체 사출체제는 전투기에만 적용되어 파일럿의 생명을 구하는 최후의 수단이었으며, 일반적으로 민간 항공기나 현제 개발단계에 있는 하늘 나는 자동차의 경우 적용되어 있지 않아 비행체 추락 시 탑승자 전원이 사망할 수 있다.
현재 전투기에서만 사용되는 사출방식 탈출장치의 경우 조종석 시트가 전투기의 상부로 치솟는 방식의 사출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사출방식의 경우 유사시 탑승자가 다리를 오므리지 않으면 사출시 신체가 절단되는 사례가 다수 발생한다. 또한 전투기의 캐노피 개방 상태가 불량하면 사출시 시트와 캐노피의 충돌로 탑승자가 부상당하거나 사망사고가 일어나며, 사출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이들 중 대다수는 과다출혈 및 쇼크로 인해 사망하는 등 이는 사출의 본래 취지와는 다른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다음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선행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996-0004067호(1996.02.23)는 자동차용 탑승자 탈출장치를 제시하고 있으며, 시트의 하부에는 폭발성 화약 또는 가스 발생제를 배치하고 후면에는 낙하산을 배치하여 응급상황 시 차량의 상부면으로 탈출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998-0051082호(1998.10.07)는 시트의 하부면에 탄성스프링이 설치되고, 시트의 후면에는 낙하산이 배치되어 응급상황 시 차량의 상부면으로 시트와 함께 탈출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응급상황 시 차량에서 탈출을 용이하게 한다는 점에서 본원 발명과 그 목적은 유사하나, 단순히 폭약 및 스프링을 이용하여 차량의 상부로 탈출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을 뿐, 본원 발명과 같이 시트에 2중 안전장치가 구현되어 있지 않고, 차량의 측면이 아닌 상부면으로 탈출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과의 차이가 있다. 특히 자동차의 경우 도어가 옆으로 열리기에 편리한 구조적인 특징을 이용하여 시트의 사출 방향을 정한다.
즉, 본 발명은 비상 상황 시 차량에서 빠르게 탈출할 수 있고, 탈출 시 부상을 당하거나 사망의 위험성을 줄여 안전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탈출시트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사출시트, 낙하산, 시트레일, 바닥레일, 가드레일, 추진체를 포함하는 시트부와 사출핸드, 사출푸셔를 포함한 안전장치부를 이용하여 탈출시트의 오작동을 최소화하고 일반 비행체와 비행 자동차(복합 비행체)에 적합한 사출체제를 확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출시트의 하부면에 시트레일 및 시트 슬라이드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구비되어 사출 시 비행체와 비행 자동차(복합 비행체)의 주날개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출 후 탑승자의 생존 가능성을 향상시키고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출시트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가드레일을 구현함으로서, 사출 시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낙하산의 착지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시트가 뒤집히더라도 사용자의 부상을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에 있어서, 탑승자가 비행 자동차를 제어하도록 착석 가능하고 비상시 탑승자와 함께 차량의 측면으로 사출되도록 구성되는 시트부 및 시트부가 측면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하는 시트 슬라이드부 시트부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사출시트가 사출을 개시하도록 스위치 역할을 하는 사출 스위치부 및 시트 슬라이드부는 상기 시트부의 사출시 비행 겸용 자동차의 날개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상향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고, 시트부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사출시트의 상부면에 압축포장되어 설치되는 낙하산, 사출시트의 양측면으로 부터 연장되어 탑승자의 외곽에서 탑승자의 전면부 까지 연장되는 봉 형상의 가드레일, 사출시트의 상부면과 상기 사출시트의 등받이 전면에 설치되는 제1벨트 및 제2벨트, 사출시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시트부를 사출시키는 추진체를 포함하며, 슬라이드부는 차량의 바닥에 결합되어 상기 사출시트를 차량의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며 차량에 고정하도록 하는 바닥레일, 홈 형태로 바닥레일과 결합되어 체결 되는 슬라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사출 스위치부는 상기 시트부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부의 사출 전에 1차적으로 스위치-온 시키는 사출안전푸셔, 상기 시트부의 정면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부의 사출 전에 2차적으로 스위치-온 시키는 사출핸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의 구동방법은 탑승자가 바닥레일 사출 스위치부를 작동시켰을 경우, 스위치-온 되는 단계; 상기 사출시트의 측면에 장치된 추진체에서 압력을 사출구의 반대편으로 발사 시키는 단계; 사출시트가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외부로 상향으로 경사진 슬라이드를 통해서 사출되는 단계; 사출된 후에 상기 사출시트에 구비된 낙하산이 펼쳐지는 단계;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출시트, 낙하산, 바닥레일, 가드레일, 추진체, 사출핸드, 사출푸셔를 포함하여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상부가 아닌 측면으로 시트가 사출됨으로서 사출로 인해 발생하는 탑승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드레일, 제1벨트 및 제2벨트를 구현함으로서, 사출 후 사출시트의 착지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탑승자가 사출시트에 깔리거나 예측 불가능한 지면에 직접 접촉하여 2차 사고를 입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정상 상태의 사출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시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사출시트를 나타낸 등각 투상도이며,
도 5의 (a), 도 5의 (b), 도 5의 (c), 도 6의 (a), 도 6의 (b), 도 6의 (c)는 사출안전푸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등각 투상도 및 회로도이고,
도 7의 (a), 도 7의 (b), 도 7의 (c)는 사출핸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등각 투상도이고,
도 8의 (a), 도 8의 (b)는 사출시트의 최종 사출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사출시트의 사출 경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시트의 작동 단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 및 그 구동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1)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1)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부(100), 시트부(100)가 측면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하는 시트 슬라이드부(120), 시트부(100)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사출시트(110)가 사출을 개시하도록 스위치 역할을 하는 사출 스위치부(200)로 구성되며, 사출 스위치부(200)는 사출핸드(210)와 사출안전푸셔(220)를 포함한다. 또한, 시트 슬라이드부(120)는 시트부(100)의 사출시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날개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시트부(100)는 사용자가 착석하여 비행 내부에 탑승하는 사출시트(110), 사출시트(110)의 상부면에 압축 포장되어 설치되는 낙하산(112), 사출시트(110)의 양측면으로 부터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탑승자의 전면까지 구비되는 봉 형상의 가드레일(130), 사출시트(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출시트(110)를 사출시키는 추진체(140)를 포함하고 탑승자가 착석한 상태로 사출되는 하나의 구성요소이며, 사출시트(110)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통상적인 시트 형상의 구성요소 하나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1)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이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1)의 평면도에 의하면 사출시트(110)의 우측에는 사출안전푸셔(220)가 사출시트(110)의 후면에서부터 정면까지 봉형상의 가드레일(130)이 구비되며 사출시트(110)의 전면부에는 사용자가 당길 수 있는 사출핸드(210)가 구비된다. 또한 사출시트(110)의 상부면에는 낙하산(112)이 배치되며, 탑승자가 앉는 사출시트(110)의 전면과 하부면에는 제1벨트(114)와 제2벨트(116)가 배치된다.
먼저, 사출시트(110)는 탑승자가 착석하여 비행기 겸용 자동차를 제어할 수 있도록 통상의 시트의 형상으로 제공된다. 이렇게 제공된 사출시트(110)의 상부면 상에는 낙하산(112)이 제공되는데, 통상의 낙하산(112)으로서 압축포장되어 있으며, 평소에는 헤드레스트로서 탑승자의 머리를 받치는 기능을 하고, 비상시 헤드레스트의 상부 커버가 개방되어 내장된 낙하산(112)이 밖으로 튀어 나오도록 구성된다. 또한 낙하산(112)은 사출시트(110)의 무게중심이 잘 유지되도록 끈이 연결된 상태로 공중에서 펼쳐지도록 동작하여 추락하는 탑승자의 추락속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사출시트(110)에는 가드레일(130)이 배치된다.
상기 가드레일(130)은 사출시트(110)의 양측면에서 부터 연장되어 탑승자의 외곽에서 탑승자의 전면부 까지 연장되는 봉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가드레일(130)은 사출 후 사출시트(110)가 지면에 도착 시 최후의 프래임 샤시로서 탑승자를 보호하며 낙하 후 사출시트(110)가 비정상 적으로 착지하여 탑승자가 사출시트(110)에 깔리거나 예측 불가능한 지면으로 인해 부상당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가드레일(130)의 중간에는 탑승자가 손으로 쥘 수 있는 손잡이가 구비됨으로서 탑승자의 안정감을 더할 수 있다. 따라서 가드레일(130)은 충격을 완화 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벨트(114)는 통상의 X자 형태의 안전벨트로서 탑승자가 사출시트(110)의 등받이와 밀착 시키는 기능을 하며, 상기 제2벨트(116)는 통상의 1자 벨트로서 탑승자의 하체가 사출시트(114)와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탑승자의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1)를 나타낸 등각 투상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출시트(110)의 등각 투상도에 의하면, 상기 사출시트(110)의 우측에는 배치되는 사출안전푸셔(220), 사출안전푸셔(2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사출안전케이스(222), 사출시트(110)의 내부에 제공되는 추진체(140), 사출시트(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시트 슬라이드부(120)를 포함한다.
사출안전케이스(222)는 사출안전푸셔(220)의 일측과 사출안전케이스(222)의 일측이 서로 결합되어 있어 평상시에는 사출안전푸셔(220)의 버튼이 탑승자의 실수로 인해 눌리지 않도록 하며, 비상시 탑승자가 사출안전케이스(222)를 열고 사출안전푸셔(220)를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사출시트(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추진체(140)는 사출시트(110)가 사출되도록 압력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탑승자가 후술하는 사출 스위치부(200)의 작동 여부에 따라 동작하며 사출 스위치부(200)를 작동 시키면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사출부의 반대 방향으로 압력이 제공되어 사출시트(110)를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차량 외부로 밀어내게 된다.
상기 시트 슬라이드부(120)는 차량의 바닥에 결합되어 있어 사출시트(110)를 차량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며 차량에 고정되도록 하는 바닥레일(124), 시트부(100)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있고 바닥레일(124)과 체결되도록 형성되고 비상시 시트부(100)가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드홈(121)을 포함한다.
먼저 바닥레일(124)은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바닥에 설치되며, 바닥레일(124)의 상부면에는 슬라이드홈(121)과 맞물리는 형태의 돌출부가 설치된다. 즉 바닥레일(124)의 상부면에는 레일 형태를 가지는 돌출부와 슬라이드홈(121)이 서로 맞닿아 있으며 비상시 슬라이딩 되면서 시트부(100)를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외부로 사출되도록 안내한다.
또한, 바닥레일(124)은 시트부(100)의 사출시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날개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출경로를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상향 배치된다. 상향 각도는 도 9의(a), 도 9의(b)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날개 각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바닥레일(124)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맞닿아 있는 슬라이드홈(121)간의 사이에는 도 9의 (c) 도시된 바와 같이 볼베어링(126)이 배치됨으로서, 시트부(100)의 사출시 돌출부와 슬라이드홈(121)의 마찰로 인해 사출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 않거나, 바닥레일(124)의 특징인 상향된 각도와 급작스럽게 발생한 이물질로 인해 시트부(100)의 사출속도가 줄어드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5의 (a), 도 5의 (b), 도 5의 (c), 도 6의 (a), 도 6의 (b), 도 6의 (c)는 사출안전푸셔(22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등각 투상도 및 회로도이다.
도 5의 (a), 도 5의 (b), 도 5의 (c), 도 6의 (a), 도 6의 (b)에 도시된바와 같이 사출안전푸셔(220)의 등각 투상도에 의하면, 사출안전푸셔(220)의 상부에는 사출LED(228)가 제공되고, 사출안전푸셔(220)의 하부에는 걸림턱(223)이 형성되며, 걸림턱(223)의 상부에는 제1사출도체(290)가 형성된다. 또한 걸림턱(223)의 하부에는 사출안티푸셔(224)가 제공되고, 이러한 사출안티푸셔(224)의 상부면에는 제2사출도체(292)가 형성되며, 사출안티푸셔(224)의 중앙부에는 걸림홈(225)이 형성되고, 사출안티푸셔(224)의 하부에는 스프링(226)이 제공된다.
즉, 비상시 탑승자는 비상시 사출안전푸셔(224)를 걸림턱(223)과 걸림홈(225)이 맞물리도록 설정한 후 인장력이 발생하는 사출안전푸셔(224)를 밀어 넣고 사출안전푸셔(224)를 회전시켜 사출안전푸셔(224)를 놓으면 걸림턱(223)이 걸림홈(225)과 사선으로 고정되고 스프링(226)은 인장력을 상하로 발산하여 사출안티푸셔(224)를 지속적으로 밀어올림으로서 제1사출도체(290)와 제2사출도체(292)가 수직으로 맞닿음으로서 단전되었던 전류신호를 통전시킨다. 따라서 통전된 전류신호로 인해 시트부(100)의 사출 전에 1차적으로 스위치-온이되고 사출LED(228)가 점등됨으로서 사용자에게 1차적으로 스위치-온이 되었음을 인지시킬 수 있다.
한편, 탑승자가 상기 사출안전푸셔(224)를 눌러 고정시킴으로 인해 인가된 전류 신호는 제1사출도체(290)와 제2사출도체(292)를 지나 후술하는 2차 안전체제인 사출핸드(210)를 향해 흐르게 된다. 따라서 시트부(100)의 사출여부를 인식하는 최종전류신호인가 상태는 도 6의 (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AND게이트 회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1차 안전스위치와 2차 안전스위치가 모두 만족된 경우(ADN)에, 시트부의 사출이 개시됨을 의미한다. 1차 안전스위치를 통해서 배터리의 전원이 LED 램프에 인가되면, LED 램프가 온되는 것과 동시에 2차 안전스위치 쪽으로 전류가 흘러들어가며, 2차 안전스위치가 최종적으로 온되면 추진체가 동작되어 시트부가 사출되게 된다.
도 7의 (a), 도 7의 (b), 도 7의 (c)는 사출핸드(21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등각 투상도이다.
도 7의 (a), 도 7의 (b), 도 7의 (c)에 도시된바와 같이 사출핸드(210)의 하부 중앙에는 안전핀(212)이 배치되고 안전핀(212)의 하부에는 핸드도체(214)가 제공되며 상기 핸드도체(214)의 상부에는 사출안전푸셔(224)를 지나 인입되는 전류의 C점과 최정전류신호를 출력하는 D점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치된다.
먼저 사출핸드(210)는 T자 형상을 가지며 사출핸드(210)의 하부에는 안전핀(212)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관통공은 원통 바 형상의 안전핀(212)과 결합됨으로서 탑승자가 의도와는 다르게 사출핸드(210)가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출핸드(210)의 하부에는 핸드도체(214)가 고리형상으로 제공됨으로서 사출핸드(210)의 제거 시 C점과 D점이 핸드도체(214)를 통해 전류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도 7의 (a), 도 7의 (b), 도 7의 (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전핀(212)이 체결되어 있을 때는 사출핸드(210)의 제거는 불가능하며, 비상상황 발생시 탑승자가 상기 사출안전푸셔(224)를 누르고 고정시켜 전류를 통전시키고 점등되는 사출LED(228)를 확인한 후 안전핀(212)을 제거하고 사출핸드(210)를 탑승자의 상부로 잡아당김으로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C점과 D점이 고리형상을 가진 핸드도체(214)와 맞닿음으로 인해 통전된다. 따라서 단전되어 있던 C점과 D점이 사출핸드(210)를 들어올릴때 도 7의 (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순간적으로 전류가 통전됨으로서 2차적으로 스위치-온 상태가 되며, 최종전류신호가 인가되고, 추진체(140)가 동작하여 사출부(100)를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외부로 사출시킨다.
도 8의 (a), 도 8의 (b)는 사출시트(110)의 최종 사출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의 (a), 도 8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상 상황 시 탑승자가 사출안전푸셔(220)와 사출핸드(210)를 작동시키면 추진체(140)가 사출구의 반대쪽으로 분출하면서 사출시트(110)가 탑승자의 왼쪽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외부로 사출된다.
이때, 전술한 제1벨트(114)와 제2벨트(116)는 탑승자의 몸을 사출시트(110)와 밀착시킴으로서, 사출부(100)의 사출시 탑승자가 사출부(100)의 외부로 튕겨져 나가거나 사출부(100)가 비정상적으로 지면에 착륙하더라도 탑승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한다.
도 9의 (a), 도 9의 (b), 도 9의 (c)는 사출시트(110)의 사출 경로와 바닥레일(124)의 각도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의 (a), 도 9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행기 겸용 자동차가 지상에 정지 하고 있을 경우 주 날개에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지 않아 날개가 수평을 이루지만 비행 중에는 주 날개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로 인해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날개가 위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비행 시 사출시트(110)가 사출되면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주 날개와 사출시트(110)가 충돌하여 탑승자의 부상을 초래할 수 있어 도 9의 (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닥레일(124)의 돌출부를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상향 배치된다.
즉, 바닥레일(124)의 돌출부가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상향 배치됨으로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경로(A)가 아닌 사출경로(B)의 경로를 따라 시트부(100)가 사출되어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주 날개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레일(124)의 각도는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날개 각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한편, 바닥레일(124)이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배치되기 때문에 평소에 탑승자의 사출시트(110)는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설치되어 비행기 겸용 자동차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1)의 작동 단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탑승자가 사출 스위치부(200)를 작동 시켰을 경우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1)의 실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탑승자가 사출안전푸셔(220)와 사출핸드(210)를 작동시켜 2개의 스위치를 온 되도록 하는 단계(S101), 추진체(140)에서 압력을 사출구의 반대편으로 발사 시키는 단계(S102), 사출시트(110)가 바닥레일(124)을 따라 슬라이딩 되며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외부로 사출되는 단계(S103), 낙하산(112)이 펼쳐지는 단계(S104)로 탑승자에게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1)는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상부가 아닌 측면으로 시트부(100)가 사출됨으로서 사출로 인해 발생하는 탑승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드레일(130), 제1벨트(114), 제2벨트(116)를 구현함으로서, 사출 후 시트부(100)의 착지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탑승자가 시트부(100)에 깔리거나 예측 불가능한 지면에 직접 접촉하여 2차 사고를 입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서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1 :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
100 : 시트부 110 : 사출시트
112 : 낙하산 114 : 제1벨트
116 : 제2벨트 120 : 시트 슬라이드부
121 : 슬라이드홈 124 : 바닥레일
126 : 볼베어링 130 : 가드레일
140 : 추진체 200 : 사출 스위치부
210 : 사출핸드 212 : 안전핀
214 : 핸드도체 220 : 사출안전푸셔
222 : 사출안전케이스 223 : 걸림턱
224 : 사출안티푸셔 225 : 걸림홈
226 : 스프링 228 : 사출LED
290 : 제1사출도체 292 : 제2사출도체

Claims (5)

  1.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에 있어서,
    탑승자가 비행기 겸용 자동차를 제어하도록 착석 가능하고 비상시 탑승자와 함께 차량의 측면으로 사출되도록 구성되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가 측면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하는 시트 슬라이드부; 및
    상기 시트부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사출시트가 사출을 개시하도록 스위치 역할을 하는 사출 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출 스위치부는,
    상기 시트부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부의 사출 전에 스위치-온 시키는 사출안전푸셔; 및
    상기 시트부의 정면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부의 사출 전에 스위치-온 시키며, 상기 시트부를 사출하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사출핸드;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슬라이드부는,
    상기 시트부의 사출시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날개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상향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사출시트;
    상기 사출시트의 등받이 상부면에 압축포장되어 설치되는 낙하산;
    상기 사출시트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탑승자의 외곽에서 탑승자의 전면부까지 연장되는 봉 형상의 가드레일;
    상기 사출시트의 내부에 장치되어 시트부를 사출시키는 추진체;
    상기 사출시트의 상부면과 상기 사출시트의 등받이 전면에 설치되는 제1벨트 및 제2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 슬라이드부는,
    차량의 바닥에 결합되어 상기 사출시트를 차량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며 차량에 고정하도록 하는 바닥레일; 및
    임의의 모양을 가진 홈 형태로 상기 바닥레일과 결합되어 체결되는 슬라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
  4. 삭제
  5.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탑승자가 시트부의 측면 사출안전푸셔와 정면 사출핸드로 구성되는 사출 스위치부를 모두 작동시켰을 경우, 스위치-온 되는 단계;
    사출시트의 내부에 장치된 추진체에서 압력을 사출구의 반대편으로 발사시키는 단계;
    상기 시트부가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외부 상향으로 경사진 슬라이드를 통해서 사출되는 단계; 및
    상기 시트부가 사출된 후에 상기 사출시트에 구비된 낙하산이 펼쳐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의 구동 방법.
KR1020140057528A 2014-05-14 2014-05-14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 및 그 구동방법 KR101567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528A KR101567823B1 (ko) 2014-05-14 2014-05-14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528A KR101567823B1 (ko) 2014-05-14 2014-05-14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823B1 true KR101567823B1 (ko) 2015-11-10

Family

ID=54605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528A KR101567823B1 (ko) 2014-05-14 2014-05-14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8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538B1 (ko) * 2018-12-20 2020-04-27 황호찬 자동차용 비상탈출장치
US20220185488A1 (en) * 2020-12-10 2022-06-16 Hyundai Motor Company Air mobility
CN115009124A (zh) * 2022-07-18 2022-09-06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分离式弹射座椅及车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9406A (en) 1980-01-21 1981-11-10 Thomas Warren R Motorcycle safety system
EP0483310B1 (en) 1990-02-26 1997-04-23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Anti tip-off ejection seat rails
US20090212160A1 (en) * 2006-07-13 2009-08-27 Michael Lawrence Beauchamp Method for producing lateral ejection apparattii for helicopter or pla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9406A (en) 1980-01-21 1981-11-10 Thomas Warren R Motorcycle safety system
EP0483310B1 (en) 1990-02-26 1997-04-23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Anti tip-off ejection seat rails
US20090212160A1 (en) * 2006-07-13 2009-08-27 Michael Lawrence Beauchamp Method for producing lateral ejection apparattii for helicopter or plan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538B1 (ko) * 2018-12-20 2020-04-27 황호찬 자동차용 비상탈출장치
US20220185488A1 (en) * 2020-12-10 2022-06-16 Hyundai Motor Company Air mobility
US11518529B2 (en) * 2020-12-10 2022-12-06 Hyundai Motor Company Air mobility
CN115009124A (zh) * 2022-07-18 2022-09-06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分离式弹射座椅及车辆
CN115009124B (zh) * 2022-07-18 2023-10-31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分离式弹射座椅及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0685B1 (ko) 차량용 에어백
KR101567823B1 (ko) 비행기 겸용 자동차의 슬라이드 사출시트 및 그 구동방법
US20170174172A1 (en) Passenger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and vehicle
CN105667448B (zh) 用于车辆的座椅安全带
CN104276129A (zh) 气囊装置
CN103129505A (zh) 用于车辆的安全气囊装置
WO2016169199A1 (zh) 一种分离式防撞击轿车
CN104026813A (zh) 一种按压式快速逃生安全带锁扣
CN107234988A (zh) 一种公共汽车、客车驾驶员安全座椅
CN101119658B (zh) 非惯性释放的安全约束带卡扣
KR102104538B1 (ko) 자동차용 비상탈출장치
CN103707834A (zh) 一种汽车安全气囊电控装置及其控制方法
CN101486337B (zh) 轿客车安全逃生系统
WO2011110875A1 (en) Safety seat
KR102263721B1 (ko) 동승석 에어백 장치
JP2013126873A (ja) 衝突衝撃座席前後移動防止装置p3
KR20210060236A (ko) 차량의 프런트 에어백장치
US6695257B2 (en) Ejection escape system for a passenger airplane
CN108973920B (zh) 车辆行车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203305948U (zh) 一种新型多防护汽车辅助安全气囊
KR101901581B1 (ko) 항공기 비상탈출시스템
CN104108371A (zh) 一种能自动解锁的安全锁扣
KR20160002102A (ko) 차량의 에어백
KR20050009439A (ko) 항공기 안전 착륙장치
KR101612792B1 (ko) 차량의 측면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