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347B1 -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 - Google Patents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347B1
KR101563347B1 KR1020130120707A KR20130120707A KR101563347B1 KR 101563347 B1 KR101563347 B1 KR 101563347B1 KR 1020130120707 A KR1020130120707 A KR 1020130120707A KR 20130120707 A KR20130120707 A KR 20130120707A KR 101563347 B1 KR101563347 B1 KR 101563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gent
diaphragm
mixing
accommodating
accommod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0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2017A (ko
Inventor
이성동
Original Assignee
(주)타스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타스컴 filed Critical (주)타스컴
Priority to KR1020130120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347B1/ko
Publication of KR20150042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2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ow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가 개시된다. 이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는 제 1 시약이 수용된 제 1 수용부와, 제 2 시약이 수용되되 제 1 수용부와 동일 층상에 위치하는 제 2 수용부, 및 제 1 수용부와 제 2 수용부의 사이에 형성된 혼합용 파괴 라인을 포함하는 격막을 포함하되, 혼합용 파괴 라인의 파괴로 형성되는 혼합용 통로를 통해 제 1 시약과 제 2 시약 중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이동하여 서로 혼합된다. 이에 의해 보존 기간이 늘어나며 보존 방식의 제약이 해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Container for single dose control solution}
본 발명은 물질 수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단일용량의 물질을 수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도 관리를 위한 정도 관리 물질(control solution)이 잘 알려져 있다. 정도 관리 물질은 대상 장비를 테스트하기 위한 표준 물질로서, 생체 측정 장비와 장비에 이용되는 생체 측정용 스트립에 대한 품질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측정용 스트립은 일회용인바, 매번 정도 관리 물질을 이용하여 생체 측정 장비와 스트립에 대해 검사가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이 정도 관리 물질은 일회용으로 혹은 유리병과 같은 용기에 일정량이 담겨져 시중에 판매되는데, 일회용의 경우 파우치에 표준 물질이 담겨져 판매되고 있다. 그런데 파우치의 경우에는 표준 물질인 시약이 액체 상태로 수용되어 있는바, 보존 기간이 짧을 수밖에 없으며 냉장 혹은 냉동 보관해야 하는 제약이 따른다.
이에 반해, 유리병과 같은 용기의 경우에는 표준 물질인 시약이 건조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는바, 파우치의 경우에 비해 보존이 자유롭다. 그런데 이 표준 물질을 이용하려면 우선 정해진 양의 증류수를 용기에 넣어서 표준 물질을 용해시켜야 한다. 따라서 일단 용해되고 나면 파우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보존 기간이 짧아지며 냉장 혹은 냉동 보관해야 하는 제약이 따르게 된다. 그리고 대형 병원의 경우에는 테스트가 자주 이루어지는바 보존 기간이 짧더라도 용기에 담긴 표준 물질을 테스트로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소형 병원의 경우는 미처 다 사용하지 못하고 버려야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24517호 (2002년 03월 30일)
본 발명은 보존 기간을 늘리고 보존 방식의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는 제 1 시약이 수용된 제 1 수용부와, 제 2 시약이 수용되되 제 1 수용부와 동일 층상에 위치하는 제 2 수용부, 및 제 1 수용부와 제 2 수용부의 사이에 형성된 혼합용 파괴 라인을 포함하는 격막을 포함하되, 혼합용 파괴 라인의 파괴로 형성되는 혼합용 통로를 통해 제 1 시약과 제 2 시약 중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이동하여 서로 혼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시약 또는 제 2 시약은 건조된 표준 물질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는 격막 상부에 결합하는 상부 판 및 격막 하부에 결합하는 하부 판을 더 포함하며, 격막의 제 1 수용부와 제 2 수용부는 상하가 관통된 관통 홀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상부 판은 제 1 수용부와 대응되게 형성된 제 1 블리스터, 및 제 2 수용부와 대응되게 형성된 제 2 블리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격막은 제 2 수용부와 연결된 배출용 파괴 라인을 더 포함하며, 배출용 파괴 라인의 파괴로 형성되는 배출용 통로를 통해 혼합 시약이 이동되어 격막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판은 격막 외부로 배출된 혼합 시약이 하부 판 위에 놓이도록 그 배출 방향으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는 제 1 시약이 수용된 제 1 수용부, 제 2 시약이 수용된 제 2 수용부, 및 제 1 수용부와 제 2 수용부를 구획하는 파괴 가능한 격막을 포함하되, 격막 파괴에 의해 형성된 제 1 수용부와 제 2 수용부를 잇는 통로를 통해 제 1 시약과 제 2 시약 중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이동하여 서로 혼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수용부와 제 2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는 블리스터 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격막은 제 1 수용부와 제 2 수용부를 상하로 구획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수용부의 일부 또는 제 2 수용부의 일부는 혼합 시약의 배출을 위해 제거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는 제 1 수용부 또는 제 2 수용부에 구비되어 가해진 힘에 의해 격막을 파괴하는 격막 파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시약 또는 제 2 시약은 건조된 표준 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는 일회성의 표준 물질을 수용하는 컨테이너로서, 표준 물질을 액체 상태가 아닌 건조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하여 액상 보존에 비해 보존 기간을 늘리고 보존 방식의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는 두 시약의 안정적인 분리 및 혼합을 보장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의 차단막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의 시약 혼합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막 파괴 설명을 위한 참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막 파괴 설명을 위한 또다른 참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막 파괴 설명을 위한 또다른 참조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의 단면도이다.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는 일회용 물질을 수용하는 용기라는 점에서 일회용 물질 수용 컨테이너로 불릴 수 있다. 이러한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는 격막(100)을 포함한다. 이 격막(100)에는 제 1 수용부(110)와 제 2 수용부(120)가 포함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수용부(110)와 제 2 수용부(120)는 동일 층상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수용부(110)와 제 2 수용부(120)는 상측에 홈이 형성되고 하측은 막혀 있는 형상일 수 있다. 제 1 수용부(110)에는 제 1 시약이 수용되고, 제 2 수용부(120)에는 제 2 시약이 수용된다. 제 1 시약과 제 2 시약 중 어느 하나는 건조된 시약(dry reagent)일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액체 시약(liquid reagent)일 수 있다. 건조된 시약은 정도 관리를 위한 표준 물질일 수 있다. 이 건조된 시약은 인간 또는 동물 유래의 혈장(plasma) 또는 혈청(serum)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건조된 시약은 인간 또는 동물 유래의 헤모글로빈일 수도 있다. 그리고 액체 시약은 증류수일 수 있다.
나아가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는 상부 판(200)과 하부 판(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판(200)은 격막(100)의 상부에 결합하며, 하부 판(300)은 격막(100)의 하부에 결합한다. 상부 판(200)과 하부 판(300)이 더 포함될 경우, 상부 판(200)은 제 1 접합 층(1st sealing layer)이 되고, 격막(100)은 격막층이 되며, 하부 판(300)은 제 2 접합 층(2nd sealing layer)이 되는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같은 구조일 경우에, 제 1 수용부(110)와 제 2 수용부(120) 각각은 격막(100)의 상하가 관통된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격막(100)에는 도 1 및 도 2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혼합용 파괴 라인(130)이 형성될 수 있다. 혼합용 파괴 라인(130)은 제 1 수용부(110)와 제 2 수용부(120)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파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깨지거나 찢어질 수 있다. 혼합용 파괴 라인(130)이 파괴되면, 도 2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혼합용 통로(140)가 형성된다. 이 혼합용 통로(140)를 통해 제 1 수용부(110)에 수용된 제 1 시약과 제 2 수용부(120)에 수용된 제 2 시약이 혼합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혼합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부 판(200)은 제 1 수용부(110)와 대응되는 제 1 블리스터(blister)(210)와 제 2 수용부(120)와 대응되는 제 2 블리스터(220)를 더 포함하여 제 1 시약과 제 2 시약을 수용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제 1 블리스터(210)에 힘이 가해지면, 제 1 수용부(110)에 수용되어 있는 제 1 시약은 혼합용 통로(140)를 통해 제 2 수용부(120)로 이동된다. 또한 외부로부터 제 2 블리스터(220)에 힘이 가해지면, 제 2 수용부(120)에 수용되어 있는 제 2 시약은 혼합용 통로(140)를 통해 제 1 수용부(110)로 이동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블리스터(210)와 제 2 블리스터(220)에 교대로 힘을 가하여 제 1 시약과 제 2 시약을 용이하게 혼합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격막(100)에는 배출용 파괴 라인(15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배출용 파괴 라인(150)은 제 2 수용부(12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파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깨지거나 찢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배출용 파괴 라인(150)이 파괴되면, 도 2의 (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배출용 통로(160)가 형성된다. 혼합용 통로(140)를 통해 혼합된 시약은 이 배출용 통로(160)를 통해 격막(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부 판(300)은 격막(100) 외부로 배출된 혼합 시약이 하부 판 위에 놓이도록 그 배출 방향으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이는 혼합 시약이 정도 관리 물질 컨테이너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부 판(300)의 일단이 격막(100)보다 길게 연장되어 있으면, 격막(100)의 배출용 통로(160)를 통해 배출된 혼합 시약은 하부 판(300) 위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혼합 시약이 테스트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정도 관리 물질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입장에서 살펴보면, 사용자는 우선 혼합용 파괴 라인(130)을 휘거나 굽혀서 깨뜨려 혼합용 통로(140)를 형성시키고, 형성된 혼합용 통로(140)를 통해 제 1 시약과 제 2 시약이 섞이게 한다. 이때 사용자는 제 1 블리스터(210)와 제 2 블리스터(220)에 교대로 힘을 가하여 제 1 시약과 제 2 시약이 혼합용 통로(140)를 통해 섞이게 할 수 있다. 제 1 시약과 제 2 시약의 혼합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배출용 파괴 라인(150)에 힘을 가하여 깨뜨린다. 배출용 파괴 라인(150)을 깨뜨리기 전에, 사용자는 혼합 시약을 제 2 수용부(120)에 위치시켜 놓을 수 있다. 배출용 파괴 라인이 깨져 배출용 통로(160)가 형성되면, 사용자는 배출용 통로(160)를 통해 격막(100)의 외부로 혼합 시약을 배출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제 2 블리스터(220)에 힘을 가하여 혼합 시약을 격막(10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의 차단막 예시도이다.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는 일회용 물질을 수용하는 용기라는 점에서 일회용 물질 수용 컨테이너로 불릴 수 있다. 이러한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는 제 1 수용부(500)와 제 2 수용부(600) 및 격막(700)을 포함한다. 이들은 모두 몸체(400) 상에 구성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몸체(400) 상에 제 2 수용부(600)가 위치하고, 제 2 수용부(600) 위에 격막(700)이 위치하며, 격막(700) 위에 제 1 수용부(500)가 위치할 수 있다. 적층 구조를 살펴보면, 맨 아래에 몸체 층이 위치하고, 그 위에 순차적으로 제 2 수용부(600)를 갖는 제 2 수용층과 격막층 및 제 1 수용부(500)를 갖는 제 1 수용층이 위치한다. 제 1 수용부(500)에는 제 1 시약(510)이 수용되고, 제 2 수용부(600)에는 제 2 시약(610)이 수용될 수 있으며, 제 1 시약(510)과 제 2 시약(610) 중 어느 하나는 건조된 시약일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액체 시약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제 1 시약(510)은 건조된 시약이며, 제 2 시약(610)은 액체 시약이다. 건조된 시약은 정도 관리를 위한 표준 물질일 수 있다. 이 건조된 시약은 인간 또는 동물 유래의 혈장(plasma) 또는 혈청(serum)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건조된 시약은 인간 또는 동물 유래의 헤모글로빈일 수도 있다. 그리고 액체 시약은 증류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수용부(500)와 제 2 수용부(600) 중 적어도 하나는 블리스터 팩(blister pack)일 수 있다.
격막(700)은 파괴 가능한 플레이트일 수 있다. 격막(700)은 유리 플레이트(glass plate)일 수 있으며, 플라스틱 플레이트(plastic plate)일 수도 있다. 이 같은 격막(700)은 압력 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파괴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깨지거나 찢어질 수 있다. 파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격막(700)에는 외부로부터 가해진 힘에 의해 격막(700)을 둘로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라인(parting line)(71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분리 라인(710)은 홈일 수 있다. 이러한 격막(700)은 제 1 수용부(500)와 제 2 수용부(600)를 구획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격막(700)은 제 1 수용부(500)와 제 2 수용부(600)를 상하로 구획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수용부(500)와 제 2 수용부(600)는 적어도 일부가 격막(700)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격막(700)이 파괴되면, 제 1 수용부(500)에 수용된 제 1 시약과 제 2 수용부(600)에 제 2 수용부(600)에 수용된 제 2 시약이 그 파괴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통해 혼합될 수 있다.
한편, 제 1 시약과 제 2 시약이 혼합된 후 그 혼합 시약은 테스트를 위해 배출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제 1 수용부(500) 또는 제 2 수용부(600)는 그 일부가 제거되어 수용 공간이 개방될 수 있다. 제 1 수용부(500) 또는 제 2 수용부(600)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에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새김눈(800)과 제거 라인(81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새김눈(800)과 제거 라인(810)은 제 1 수용부(500) 또는 제 2 수용부(600)의 일부분이 제거되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새김눈(800)과 제거 라인(810)을 이용하여 제 1 수용부(500) 또는 제 2 수용부(600)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제거에 의해 수용 공간이 개방되면, 혼합 시료가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몸체(400)는 제 1 수용부(500) 또는 제 2 수용부(600)로부터 배출된 혼합 시약이 몸체(400) 위에 놓이도록 그 배출 방향으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이는 혼합 시약이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몸체(400)가 혼합 시약의 배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제 1 수용부(500) 또는 제 2 수용부(600)로부터 배출된 혼합 시약이 몸체(400) 위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혼합 시약이 테스트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의 시약 혼합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도 6의 (a)에 예시된 화살표 방향대로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를 휘거나 비틀어서 격막을 파괴한다(bending & breaking). 이에 격막의 일부가 파괴되어 제 1 수용부(500)와 제 2 수용부(600) 간에 통로가 형성되면, 사용자는 제 1 수용부(500)와 제 2 수용부(600)에 압력을 교대로 가하여 제 1 시약과 제 2 시약을 혼합한다(press & mixing). 즉, 건조된 시약을 액체시약으로 완전히 녹이는 것이다. 도 6의 (c)와 같이 제 1 시약과 제 2 시약의 혼합이 진행되어 완료되면, 사용자는 도 6의 (d)와 같이 새김눈(800)을 이용하여 격막(700)을 깨뜨린 다음에 제거 라인(810)을 따라 제거 대상 부위(820)를 찢어서 제거한다(breaking & tearing). 이에 따라 제거 대상 부위(820)에 속하는 제 1 수용층과 격막층 및 제 2 수용층이 제거되며, 제 1 수용부(500) 또는 제 2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던 혼합 시약이 배출되게 된다.
한편, 격막을 깨거나 찢는 방식은 몸체(400)를 휘거나 비트는 방식에 의해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몸체(400)를 접어서 격막(700)에 힘을 가해 찍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또다른 예로,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는 제 1 수용부(500) 또는 제 2 수용부(600)에 구비되는 격막 파괴체(90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격막 파괴체의 예가 도 8과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에서 격막 파괴체(900)는 탐침이며, 도 9에서 격막 파괴체(900)는 구슬이다. 사용자는 이 같은 격막 파괴체(900)에 힘을 가하여 격막을 깨거나 찢을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격막 110 : 제 1 수용부
120 : 제 2 수용부 130 : 혼합용 파괴 라인
140 : 혼합용 통로 150 : 배출용 파괴 라인
160 : 배출용 통로 200 : 상부 판
210 : 제 1 블리스터 220 : 제 2 블리스터
300 : 하부 판
400 : 몸체 500 : 제 1 수용부
510 : 제 1 시약 600 : 제 2 수용부
610 : 제 2 시약 700 : 격막
710 : 분리 라인 800 : 새김눈
810 : 제거 라인 900 : 격막 파괴체

Claims (12)

  1. 제 1 시약이 수용된 제 1 수용부와, 제 2 시약이 수용되되 제 1 수용부와 동일 층상에 위치하는 제 2 수용부와, 제 1 수용부와 제 2 수용부의 사이에 형성된 혼합용 파괴 라인, 및 제 2 수용부와 연결된 배출용 파괴 라인을 포함하는 격막;을 포함하되,
    혼합용 파괴 라인의 파괴로 형성되는 혼합용 통로를 통해 제 1 시약과 제 2 시약 중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이동하여 서로 혼합되며,
    배출용 파괴 라인의 파괴로 형성되는 배출용 통로를 통해 혼합 시약이 이동되어 격막 외부로 배출되는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시약 또는 제 2 시약은 건조된 표준 물질인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격막 상부에 결합하는 상부 판; 및
    격막 하부에 결합하는 하부 판;을 더 포함하며,
    격막의 제 1 수용부와 제 2 수용부는 상하가 관통된 관통 홀인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부 판은 :
    제 1 수용부와 대응되게 형성된 제 1 블리스터; 및
    제 2 수용부와 대응되게 형성된 제 2 블리스터;
    를 포함하는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
  5. 삭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판은 격막 외부로 배출된 혼합 시약이 하부 판 위에 놓이도록 그 배출 방향으로 연장된 것인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30120707A 2013-10-10 2013-10-10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 KR101563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707A KR101563347B1 (ko) 2013-10-10 2013-10-10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707A KR101563347B1 (ko) 2013-10-10 2013-10-10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017A KR20150042017A (ko) 2015-04-20
KR101563347B1 true KR101563347B1 (ko) 2015-10-26

Family

ID=53035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707A KR101563347B1 (ko) 2013-10-10 2013-10-10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3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3484A (ja) * 2002-05-29 2004-07-22 Fujimori Kogyo Co Ltd 包装体および流動物の付着方法
JP2012149050A (ja) * 2010-12-27 2012-08-09 Kenji Nakamura 抗菌パックシート包装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3484A (ja) * 2002-05-29 2004-07-22 Fujimori Kogyo Co Ltd 包装体および流動物の付着方法
JP2012149050A (ja) * 2010-12-27 2012-08-09 Kenji Nakamura 抗菌パックシート包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017A (ko) 201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9272B2 (en) Tissue container for molecular and histology diagnostics incorporating a breakable membrane
RU2741391C2 (ru) Анали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AU600085B2 (en) Analytical test strip
KR101624962B1 (ko) 조직검체 운반용기
CN105026931B (zh) 具有密封的板上试剂的微流控芯片
JP7010910B2 (ja) マルチウェル試料試験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試料試験方法
EP2214618B1 (en) Reagent vessel
CZ296644B6 (cs) Úlozná schránka pro vyuzití v kompaktním mericím prístroji a zarízení pro ulození analytických prípravku
CN107444756B (zh) 固体废物袋单元和包括固体废物袋单元的分析仪
KR101563347B1 (ko) 단일용량 물질 수용 장치
JPH10257881A (ja) 試料容器
JP2017102020A (ja) 反応容器
JP2003149093A5 (ko)
KR101953722B1 (ko) 소변검체용 보관용기
US11446666B2 (en) Fluid handling device
GB2365414A (en) Storage devices for fluids
JP4401845B2 (ja) 検体試験容器セット及び検体試験キット
KR19990083634A (ko) 분석장치저장용기
JP2017102005A (ja) 反応容器
JP2019219358A (ja)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法に用いる二液混合装置及び容器本体の製造方法
CN117491658A (zh) 生物样品处理装置、生物检测系统及其控制方法
SK101098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extraction and handling of biological liquids from thin walled receptacles
OA19871A (en) Apparatus, reagent kit, and method for detecting misfolded protein.
JP2006315721A (ja) 容器
WO2017123267A1 (en) Blood characteristic measurement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