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356B1 - 제전 장치 - Google Patents

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356B1
KR101560356B1 KR1020147002382A KR20147002382A KR101560356B1 KR 101560356 B1 KR101560356 B1 KR 101560356B1 KR 1020147002382 A KR1020147002382 A KR 1020147002382A KR 20147002382 A KR20147002382 A KR 20147002382A KR 101560356 B1 KR101560356 B1 KR 101560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discharge
walls
discharge needle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2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3136A (ko
Inventor
게이지 가와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43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9/00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 H01T19/04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having point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제전 장치(11)는, 제전 대상을 향하여 돌출하는 한 쌍의 보호벽(60, 61)을 구비한다. 보호벽(60, 61)은, 제전 장치(11)의 일렬로 나열된 복수의 이온 방출구(42)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이온 방출구(42)가 나열되는 방향을 따라서 직선 형상으로 뻗어 있다. 이 때문에, 보호벽(60, 61)을 따라서 예를 들면 브러시를 움직이는 것에 의해, 복수 존재하는 이온 방출구(42) 및 방전 침(23)을 한꺼번에 클리닝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전 장치{NEUTRALIZ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제전(除電)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방전 침(針)에의 고전압의 인가를 통한 코로나 방전에 의해 이온을 생성하고, 이 생성되는 이온을 제전 대상에 분사하는 제전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제전 장치에 있어서는, 방전 침에 공기 중의 절연성 이물이 석출하는 등 하여 이온의 생성 효율이 경년적(經年的)으로 저하한다. 이 때문에, 방전 침을 정기적으로 클리닝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제전 장치에서는, 방전 침을 방전 바에 부착한 상태에서 클리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10-125445호 공보
그러나, 방전 침은, 절연체 파이프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클리닝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특허문헌 1의 제전 장치의 경우, 방전 침을 보호하기 위하여, 방전 침의 선단이 절연체 파이프의 선단보다도 안으로 들어가 있어, 이 때문에 방전 침의 둘레를 한층 더 클리닝하기 어려웠다. 또한, 방전 침은, 가늘기 때문에 꺾일 가능성도 있어, 메인터넌스 시, 취급에는 주의가 필요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 목적은, 방전 침의 클리닝을 간단하며, 또한, 안전하게 행할 수 있는 제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제전 대상에 대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대향면을 가지며, 그 대향면에 형성된 이온 방출구와, 상기 이온 방출구에 배치되어 이온을 발생시키는 방전 침을 구비하는 제전 장치가 제공된다. 제전 장치는, 상기 이온 방출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됨과 함께 제전 대상을 향하여 돌출하는 보호벽을 더 구비한다. 상기 보호벽에는, 상기 방전 침의 선단을 통과하는 미리 결정된 직선 방향을 따라서 뻗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제전 대상에 대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대향면을 가지며, 그 대향면에 형성된 복수의 이온 방출구와, 상기 이온 방출구 내에 각각 배치되어 이온을 발생시키는 방전 침을 구비하는 제전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이온 방출구는, 미리 결정된 직선 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나열되어 있다. 제전 장치는, 상기 복수의 이온 방출구를 사이에 두도록 설치됨과 함께 제전 대상을 향하여 돌출하는 한 쌍의 보호벽을 더 구비한다. 상기 보호벽은, 상기 이온 방출구가 나열되는 방향을 따라서 직선 형상으로 뻗어 있다.
제2 태양의 제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호벽 중 한쪽의 보호벽의 단부(端部)는 다른 보호벽의 단부와 이어져 있지 않고 이간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태양의 제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방출구에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은, 보호벽의 기부(基部)에 다가갈수록 상기 이온 방출구와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태양의 제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호벽은 절연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태양의 제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방출구의 내경(內徑)은 상기 방전 침의 외경(外徑)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태양의 제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호벽의 홈은 상기 이온 방출구의 중심을 통과하여 뻗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태양의 제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호벽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이온 방출구의 내경의 크기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전 침의 클리닝을 간단하며, 또한,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제전 장치의 본체부 및 방전 침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의 (b)는, 동 제전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및 도 1의 (b)의 제전 장치의 본체부를 그 상부를 절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b)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D-D선 단면도.
도 7은 도 1의 (a) 및 도 1의 (b)의 제전 장치의 본체부의 하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제전 장치의 본체부의 하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제전 장치의 보호벽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제전 장치의 보호벽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 실시형태를 도 1의 (a)∼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전 장치(11)는, 본체부(12), 및 당해 본체부(12)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방전 침 유닛(13)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방전 침 유닛(13)은, 직사각형 판상의 기대(基臺)(21), 및 당해 기대(21)의 하면에 설치된 4개의 유지부(22), 및 각 유지부(22)에 유지되는 4개의 방전 침(23)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기대(21) 및 각 유지부(22)는,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각 유지부(22)는,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지부(22)는, 기대(21)의 길이 방향을 따른 직선상에 일정 간격으로 나열되어 있다. 도 5에 부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유지부(22)의 선단부에는, 방전 침(23)의 기단부가 안쪽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다. 각 방전 침(23)의 중간부에는, 원추 코일 스프링(24)이 바깥쪽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다. 각 원추 코일 스프링(24)은, 도선(導線)이 원추 형상으로 감겨서 이루어진 있다. 원추 코일 스프링(24)의 소경부(小徑部)(25)는 각각, 방전 침(23)에 고정된 상태에서 유지부(22)의 선단에 형성된 오목부(23a)에 수용되어 있다. 원추 코일 스프링(24)의 대경부(大徑部)(26)는 각각, 방전 침(23)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기대(21)의 하면에는, 환상(環狀)의 패킹(27)이 각 유지부(22)의 기부에 바깥쪽에 끼워진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2)는,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2)의 상면에는, 4개의 삽입구(31)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31)는, 본체부(1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나열되어 있으며, 각 삽입구(31)는, 방전 침 유닛(13)의 각 방전 침(23)과 동축(同軸)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삽입구(31)의 내경은, 방전 침 유닛(13)의 각 유지부(22)의 외경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2)의 상면에는, 2개의 걸어맞춤 부재(32)가 형성되어 있다. 각 걸어맞춤 부재(32)는, 본체부(1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측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삽입구(31)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부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걸어맞춤 부재(32)는, 본체부(1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2개의 암부(腕部)(33)와, 이들 암부(33)의 선단에 각각 형성된 2개의 돌출부(3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들 돌출부(34)는, 본체부(12)의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반대측으로 돌출해 있다. 또한, 도 3의 상부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돌출부(34)의 하면에 있어서, 본체부(1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측의 부분에는, 각각 경사면(35)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35)은, 본체부(1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단부를 향할수록, 돌출부(34)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2)의 내부에는, 공기 유로(100)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 유로(100)는, 본체부(1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뻗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12)의 내부, 즉 공기 유로(100) 내에는, 4개의 통부(41)가 4개의 삽입구(31)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부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삽입구(31)는 각 통부(41)를 관통하여, 본체부(12)의 하면 근방까지 뻗어 설치되어 있다. 각 삽입구(31)의 저벽의 중앙에는, 이온 방출구(42)가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통부(41)의 둘레 벽에는, 작은 구멍(41a)이 형성되어 있다. 작은 구멍(41a)은, 통부(41)의 안쪽을 향할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원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2)의 내저면에는, 각 통부(41)의 주위에 4개의 송풍 구멍(4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송풍 구멍(43)은, 본체부(12)의 하면의 근방까지 뻗어 설치되어 있다. 각 송풍 구멍(43)의 저벽에는, 송풍구(44)가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2)에는 공기 유로(100)의 아래쪽에 전극(51)이 매설되어 있다. 전극(51)은, 구리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장척(長尺)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극(51)은 공기 유로(100)를 따라서 뻗음과 함께, 각 통부(41)에 대응하는 범위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즉, 모든 통부(41)가 전극(51)의 위쪽에 위치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51)은, 본체부(1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각 삽입구(31)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전극(51)에 있어서, 각 삽입구(31)의 내부로 노출되어 있는 부분에는, 관통 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 구멍(52)은, 각 방전 침(23)에 대하여 동축을 이룬다. 관통 구멍(52)의 내경은, 방전 침(23)의 외경보다도 크며, 또한 원추 코일 스프링(24)의 대경부(26)의 외경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2)의 단부에는 튜브 커플링(63)이 설치되어 있다. 튜브 커플링(63)에는, 도시하지 않은 에어 튜브를 통하여 압축 공기 공급원이 접속된다. 압축 공기 공급원으로부터의 압축 공기는, 튜브 커플링(63)을 통하여, 본체부(12)의 내부, 즉 공기 유로(100)에 공급된다. 또한, 본체부(12)의 튜브 커플링(63)과 반대측의 단부에는, 전원 케이블(64)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고압 교류 전원이 접속된다. 고압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은, 전원 케이블(64)을 통하여, 전극(51)에 인가된다.
다음으로, 본체부(12)에 대한 방전 침 유닛(13)의 장착 태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전 침 유닛(13)은, 본체부(12)에 대하여 위쪽으로부터 장착된다. 각 방전 침(23) 및 각 유지부(22)는, 본체부(12)의 각 삽입구(31)에 위쪽으로부터 삽입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전 침 유닛(13)의 아래쪽에의 변위는, 기대(21)의 하면이 각 패킹(27)을 통하여, 본체부(12)의 상면에 맞닿는 것에 의해 규제된다. 방전 침 유닛(13)을 본체부(12)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각 삽입구(31), 정확하게는 각 통부(41)의 내주면과 각 유지부(22)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극간은, 각 패킹(27)에 의해 위쪽으로부터 폐색된다.
또한, 방전 침 유닛(13)을 본체부(12)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각 원추 코일 스프링(24)의 대경부(26)는, 전극(51)의 상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접촉해 있다. 즉, 각 방전 침(23)은, 각 원추 코일 스프링(24)을 통하여, 전극(51)에 대하여 도통(導通)한 상태로 접속되어 있다. 각 원추 코일 스프링(24)은, 약간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원추 코일 스프링(24)의 전극(51)에 대한 접촉압이 바람직하게 확보된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각 방전 침(23)은, 전극(51)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에서 각 관통 구멍(52)에 삽입 관통해 있다. 각 방전 침(23)의 선단부는, 본체부(12)의 각 이온 방출구(42)의 내부에, 이온 방출구(42)의 내벽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본체부(12) 및 방전 침 유닛(13)이 조립되는 것에 의해, 본체부(12)의 내부에는, 공기 유로(100)로부터 분기하는 형태로 2개의 공기 공급 경로가 형성된다.
즉, 도 5에 굵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통부(41)의 작은 구멍(41a), 당해 각 통부(41)의 내주면과 각 유지부(22)의 외주면 사이의 극간(각 삽입구(31)), 및 전극(51)의 각 관통 구멍(52)에 의하여 제1 분기 유로(10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굵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송풍 구멍(43)에 의하여 제2 분기 유로(10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공기 유로(100)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는, 제1 분기 유로(101)를 통하여, 각 이온 방출구(42)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제1 공기 공급 경로). 또한, 공기 유로(100)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는, 제2 분기 유로(102)를 통하여, 각 송풍구(44)로부터도 외부로 방출된다(제2 공기 공급 경로).
공기 유로(100)로부터 제1 분기 유로(101)로 분류(分流)하는 공기는, 각 방전 침(23)의 주위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 즉 시스(sheath) 에어로서, 각 방전 침(23)의 선단 부근에 발생하는 이온과 함께 각 이온 방출구(42)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그리고, 각 이온 방출구(42)로부터 방출되는 이온의 주위에는, 각 송풍구(44)로부터 외부로 방출되는 공기 흐름, 즉 어시스트 에어가 발생하는 것에 의해, 이온이 보다 멀리까지 운반된다.
본 실시형태의 제전 장치(11)에서는, 본체부(12)로부터의 방전 침 유닛(13)의 탈락을 억제함과 함께 각 제1 분기 유로(101)의 기밀(氣密) 상태를 확보할 목적으로, 본체부(12)에 방전 침 유닛(13)의 유지 기구(201)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기구(201)는, 2개의 슬라이드 홀더(20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슬라이드 홀더(202)는, 직사각형 형상의 천판(天板)(203)과, 당해 천판(203)에 직교하는 2개의 측벽(204)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들 측벽(204)은, 천판(203)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2개의 긴 변측 가장자리에 설치됨과 함께, 천판(203)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해 있다. 대향하는 2개의 측벽(204)의 간격은, 방전 침 유닛(13)의 기대(21)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측벽(204)의 선단 가장자리에는, 각각 직사각형 판상의 걸어맞춤 부재(205)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어맞춤 부재(205)는, 각각 천판(203)에 대하여 평행을 이뤄서 대향해 있다. 슬라이드 홀더(202)의 내형 형상은, 기대(21)의 단부의 외형 형상에 대응해 있다.
이들 슬라이드 홀더(202)는, 2개의 측벽(204)을 아래쪽으로 향하고, 기대(21)의 양단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슬라이딩시키는 형태로 장착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슬라이드 홀더(202)의 2개의 걸어맞춤 부재(205)는, 기대(21)와 본체부(12)의 상면 사이의 극간에 배치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홀더(202)는, 본체부(12)에 부착된 방전 침 유닛(13)의 기대(21)의 단부를 포위하는 형태로, 방전 침(23)이 나열되는 방향을 따라서 왕복 슬라이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 홀더(202)는, 도 3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제1 위치(P1)와, 도 3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제2 위치(P2) 사이에서 변위한다.
슬라이드 홀더(202)가 제1 위치(P1)에 있을 때에는, 방전 침 유닛(13)이 본체부(12)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유지된다. 즉, 슬라이드 홀더(202)의 걸어맞춤 부재(205)가, 본체부(12)에 설치된 걸어맞춤 부재(32)의 돌출부(34)에 대하여 걸어맞춰지는 것에 의해, 본체부(12)의 삽입구(31)로부터 방전 침(23)을 빼내는 방향으로 방전 침 유닛(13)이 변위하는 것이 규제된다.
슬라이드 홀더(202)가 제2 위치(P2)에 있을 때에는, 본체부(12)에 대한 방전 침 유닛(13)의 유지가 해제된다. 이때, 슬라이드 홀더(202)의 걸어맞춤 부재(205)는, 본체부(12)의 걸어맞춤 부재(32)의 돌출부(34)와는 걸어맞춰지지 않는 위치에 있다. 또한, 슬라이드 홀더(202)의 걸어맞춤 부재(205)는,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전 침 유닛(13)과도 걸어맞춰지지 않는 위치에 있다. 즉, 본체부(12)로부터의 방전 침 유닛(13)의 분리가 슬라이드 홀더(202)에 의하여 방해받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방전 침(23)을 본체부(1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2)의 하면, 즉, 제전 대상과 대향하는 대향면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이온 방출구(42)가, 본체부(12)의 길이 방향을 따른 직선상에 일정 간격으로 나열되어 있다. 방전 침 유닛(13)이 본체부(12)에 장착되었을 때, 방전 침(23)의 선단은, 본체부(12)의 하면과 거의 동일한 위치로 되거나, 혹은 본체부(12)의 하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해 있다.
본체부(12)의 하면에는, 복수의 이온 방출구(42)를 사이에 두도록 해서 한 쌍의 보호벽(60, 61)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벽(60, 61)은, 절연체의 수지에 의해 본체부(1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보호벽(60, 61)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2)의 하면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즉 제전 대상을 향하여) 돌출해 있다. 보호벽(60, 61)의 선단은, 적어도 방전 침(23)의 선단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해 있어, 방전 침(23)의 선단에 작업자의 손이 쉽게 닿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보호벽(60, 61)은, 본체부(1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직선 형상으로 뻗어 있다. 보호벽(60, 61)은 이온 방출구(42)에 각각 인접해 있으며, 보호벽(60, 61) 사이의 거리는 이온 방출구(42)의 내경의 크기와 동일하다. 이온 방출구(42)의 내경은 방전 침(23)의 외경보다도 크다. 보호벽(60, 61) 사이의 거리는, 보호벽(60, 61) 사이에 작업자의 손가락이 들어가지 않을 정도(본 실시형태에서는, 0.5㎝)의 크기로 설정된다. 또한, 보호벽(60, 61)은, 본체부(12)의 양단에서 서로 이어져 있지 않다. 각 보호벽(60, 61)의 양단부는, 본체부(12)의 단부에 다가갈수록 서서히 높이가 작아지게 되어 있다.
각 보호벽(60, 61)의 이온 방출구(42)에 대향하는 면인 내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 즉 외측의 면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벽(60, 61)의 기부에 다가갈수록 내측의 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에 따라, 도 6 중에 가느다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온 방출구(42)로부터 방출된 이온이 보호벽(60, 61)을 따라서 보호벽(60, 61)의 외측으로 이동하기 쉬워져, 보호벽(60, 61)의 외측에 설치된 송풍구(44)로부터 방출되는 어시스트 에어에 의해 운반되기 쉬워진다. 또한, 각 보호벽(60, 61)의 모서리를 둥글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작업자의 손이 모서리에 닿아도 날카로움을 느끼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보호벽(60, 61)을 설치함으로써, 보호벽(60, 61)을 가이드로서 이용하여, 보호벽(60, 61)을 따라 예를 들면 브러시를 움직이는 것에 의해, 보호벽(60, 61) 사이의 홈의 먼지 및 이온 방출구(42) 및 방전 침(23) 주위의 먼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즉, 이온 방출구(42) 및 방전 침(23)을 간단히 클리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전 장치(11)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극(51) 및 각 원추 코일 스프링(24)을 통하여 각 방전 침(23)에 고압 전원으로부터의 교류 고전압이 인가되면, 각 방전 침(23)의 선단 부근에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여 각 방전 침(23) 주위의 공기가 이온화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방전 침(23)에 대하여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는 교류 방식이 채용되어 있으므로,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이온이 번갈아 생성된다.
코로나 방전에 의해 각 방전 침(23)의 주위에 생성되는 이온은, 공기 유로(100)로부터 제1 분기 유로(101)로 분류하여 각 방전 침(23)의 주위를 통과하는 시스 에어와 함께, 각 이온 방출구(42)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각 방전 침(23) 주위에 시스 에어를 흘리는 것에 의해, 각 방전 침(23)에 있어서의 절연성 이물의 석출 및 부착이 억제된다. 또한, 제1 분기 유로(101)의 상류측에 설치된 작은 구멍(41a)에 의해, 시스 에어의 압력은, 공기 유로(100)에 공급되는 공기 압력보다도 작아진다. 이 때문에, 이온의 발생 효율이 유지된다.
그리고, 각 이온 방출구(42)로부터 방출되는 이온의 주위에는, 공기 유로(100)로부터 제2 분기 유로(102)로 분류하여 각 송풍구(44)로부터 방출되는 어시스트 에어가 발생한다. 이 어시스트 에어에 의해, 각 이온 방출구(42)로부터 방출되는 이온이 보다 멀리까지 운반된다. 당해 이온이 제전 대상에 공급되는 것에 의해, 당해 대상의 전하가 중화되어 정전기가 제거된다.
이상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이하의 효과를 갖는다.
(1) 제전 대상을 향하여 돌출하는 한 쌍의 보호벽(60, 61)을, 본체부(1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나열된 복수의 이온 방출구(42)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본체부(1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직선 형상으로 뻗도록 형성했다. 이 때문에, 보호벽(60, 61)을 따라서 예를 들면 브러시를 움직이는 것에 의해, 복수 존재하는 이온 방출구(42) 및 방전 침(23)을 한꺼번에 클리닝할 수 있다. 또한, 보호벽(60)의 단부와 보호벽(61)의 단부가 서로 이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보호벽(60, 61)의 단부까지 브러시를 움직이는 것에 의해, 보호벽(60, 61) 사이의 홈의 먼지를 용이하게 쓸어낼 수 있다.
(2) 각 보호벽(60, 61)의 양단부를, 본체부(12)의 단부에 다가갈수록 서서히 높이가 작아지도록 형성했다. 이 때문에, 보호벽(60, 61)을 따라서 예를 들면 브러시 등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쓸어낸 먼지를, 보호벽(60, 61)의 양단부에 있어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3) 각 보호벽(60, 61)의 이온 방출구(42)에 대향하는 면인 내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 즉 외측의 면을, 보호벽(60, 61)의 기부에 다가갈수록 내측의 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했다. 이에 따라, 이온 방출구(42)로부터 방출된 이온이 보호벽(60, 61)을 따라서 보호벽(60, 61)의 외측으로 이동하기 쉬워져, 보호벽(60, 61)의 외측에 설치된 송풍구(44)로부터 방출되는 어시스트 에어를 타고 아래쪽으로 운반되기 쉬워진다. 또한, 각 보호벽(60, 61)의 모서리가 둥근 형태를 띠고 있는 것에 의해, 작업자의 손이 모서리에 닿아도 날카로움을 느끼지 않게 할 수 있다.
(4) 보호벽(60, 61)은, 절연체의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호벽(60, 61)이 전위(電位)를 띠지 않아, 이온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5) 보호벽(60, 61) 사이의 거리는, 이온 방출구(42)의 내경의 크기와 동일하다. 이 거리를 보호벽(60, 61) 사이에 작업자의 손가락이 들어가지 않는 크기로 하는 것에 의해, 이온 방출구(42) 내의 방전 침(23)에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온 방출구(42) 및 방전 침(23)의 수를 각각 4개로 했지만, 임의의 수로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면 ,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온 방출구(42)의 수를 8개로 변경하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똑바로 나열되도록 해도 된다. 보호벽(60, 61)의 길이는, 이온 방출구(42)의 수에 따라서 변경해도 된다. 또한, 보호벽(60, 61)은, 이온 방출구(42)의 일부씩(예를 들면 4개씩)을 사이에 두도록 해도 된다.
· 상기 실시형태의 보호벽(60, 61) 대신에,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이온 방출구(42)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해서 제전 대상을 향하여 돌출하는 보호벽(70)이 설치되어도 된다. 보호벽(70)에는, 이온 방출구(42)의 중심, 즉 방전 침(23)의 선단을 통과하는 미리 결정된 직선 방향을 따라서 뻗는 홈(42a)이 노칭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홈(42a)을 따라서 예를 들면 브러시 등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온 방출구(42)를 용이하게 클리닝할 수 있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보호벽(60, 61)이 본체부(12)와 일체 형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일체 형성이 아니어도 된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 보호벽(60, 61)은 양단부에서 서서히 높이가 작아지게 되어 있지만, 반드시 그러하지 않아도 된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보호벽(60, 61)의 모서리를 둥글게 되도록 형성했지만, 반드시 둥글지 않아도 된다. 보호벽(60, 61)은,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각 보호벽(60, 61)의 외측의 면은, 보호벽(60, 61)의 기부에 다가갈수록 보호벽(60, 61)의 내측의 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 보호벽(60, 61)의 외측의 면은, 보호벽(60, 61)의 기부에 다가갈수록 보호벽(60, 61)의 내측의 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지만, 반드시 경사져 있지 않아도 된다.
11 : 제전 장치
12 : 본체부
13 : 방전 침 유닛
21 : 기대
22 : 유지부
23 : 방전 침
27 : 패킹(탄성 부재)
31 : 삽입구
41a : 작은 구멍(스로틀부)
42 : 이온 방출구
44 : 송풍구
60, 61 : 보호벽

Claims (8)

  1. 제전(除電) 대상에 대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대향면을 가지며, 그 대향면에 형성된 이온 방출구와,
    상기 이온 방출구에 배치되어 이온을 발생시키는 방전 침(針)을 구비하는 제전 장치로서,
    상기 이온 방출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됨과 함께 제전 대상을 향하여 돌출하는 보호벽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호벽에는, 상기 방전 침의 선단을 통과하는 미리 결정된 직선 방향을 따라서 뻗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 장치.
  2. 제전 대상에 대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대향면을 가지며, 그 대향면에 형성된 복수의 이온 방출구와,
    상기 이온 방출구 내에 각각 배치되어 이온을 발생시키는 방전 침을 구비하는 제전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이온 방출구는, 미리 결정된 직선 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나열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이온 방출구를 사이에 두도록 설치됨과 함께 제전 대상을 향하여 돌출하는 한 쌍의 보호벽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보호벽은, 상기 이온 방출구가 나열되는 방향을 따라서 직선 형상으로 뻗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보호벽 중 한쪽의 보호벽의 단부는 다른 보호벽의 단부와 이어져 있지 않고 이간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 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벽에서, 상기 이온 방출구에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은, 보호벽의 기부(基部)에 다가갈수록 상기 이온 방출구와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벽이 절연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방출구의 내경(內徑)이 상기 방전 침의 외경(外徑)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벽의 홈이 상기 이온 방출구의 중심을 통과하여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호벽 사이의 거리가 상기 이온 방출구의 내경의 크기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 장치.
KR1020147002382A 2011-09-29 2012-01-23 제전 장치 KR1015603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14988 2011-09-29
JP2011214988A JP5805483B2 (ja) 2011-09-29 2011-09-29 除電装置
PCT/JP2012/051362 WO2013046735A1 (ja) 2011-09-29 2012-01-23 除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136A KR20140043136A (ko) 2014-04-08
KR101560356B1 true KR101560356B1 (ko) 2015-10-15

Family

ID=47994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382A KR101560356B1 (ko) 2011-09-29 2012-01-23 제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05483B2 (ko)
KR (1) KR101560356B1 (ko)
CN (1) CN103733733B (ko)
WO (1) WO20130467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3895B2 (en) 2013-05-17 2016-03-22 Illinois Tool Works Inc. Ionizing bar for air nozzle manifold
WO2015025685A1 (ja) * 2013-08-20 2015-02-26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US9802863B1 (en) 2016-03-09 2017-10-31 Flashfill Services, Llc Accelerating set times of flowable fill compositions with dry calcium chloride, and methods of utilizing and producing the same
US10322971B1 (en) 2016-04-21 2019-06-18 MK1 Construction Services Fast-setting flowable fil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tilizing and producing the same
US10851016B1 (en) 2017-02-28 2020-12-01 J&P Invesco Llc Trona accelerate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tilizing and producing the same
US10919807B1 (en) 2018-04-25 2021-02-16 J&P Invesco Llc High-strength flowable fill compositions
US11434169B1 (en) 2018-04-25 2022-09-06 J&P Invesco Llc High-strength flowable fill composi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5397A (ja) 2002-07-22 2004-02-19 Sunx Ltd 除電装置及び放電針ユニット
JP2008140591A (ja) 2006-11-30 2008-06-19 Keyence Corp イオン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096U (ja) * 1993-12-29 1995-07-21 横河電子機器株式会社 除電器
CN101835332B (zh) * 2010-05-14 2014-10-29 无锡市中联电子设备有限公司 一体式静电消除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5397A (ja) 2002-07-22 2004-02-19 Sunx Ltd 除電装置及び放電針ユニット
JP2008140591A (ja) 2006-11-30 2008-06-19 Keyence Corp イオン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46735A1 (ja) 2013-04-04
CN103733733B (zh) 2016-04-20
JP5805483B2 (ja) 2015-11-04
CN103733733A (zh) 2014-04-16
KR20140043136A (ko) 2014-04-08
JP2013077378A (ja) 201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356B1 (ko) 제전 장치
JP5098883B2 (ja) 放電電極清掃機構付きイオナイザ
US7375944B2 (en) Ionizer and discharge electrode assembly to be assembled therein
JP5661542B2 (ja) 除電装置
JP5201338B2 (ja) イオナイザ
US11458223B2 (en) Discharge device and electric machine
US7465340B2 (en) Ionizer with parts-extension unit
WO2018189928A1 (ja) 放電装置および電気機器
JP5539848B2 (ja) イオン生成装置
US11618041B2 (en) Base body and dust collector
JP4573631B2 (ja) イオン化装置
TWI624194B (zh) Ion generator
JP2005525221A (ja) 空気循環・イオン化方式空気清浄機
JP4844734B2 (ja) ファン型除電器
TWI646743B (zh) Ion generator
US20150123008A1 (en) Ion generator
KR100788186B1 (ko) 송풍형 이온발생장치의 일체형 챔버와 챔버의 탈부착방식구조
KR20230026040A (ko) 전기집진장치
JPH0855692A (ja) 除帯電電極構造
KR20210050859A (ko) 대향 전극이 구비된 방전 전극 소켓
KR20130008765A (ko) 정전기 제거 장치
KR20190129485A (ko) 폭발성 배기가스 입자의 정전 제거 장치
KR20150009738A (ko) 전기집진기
JPH08131980A (ja) 気体噴出機構を備えたイオン化除電装置
KR20010076922A (ko) 청소기의 정전기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