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018B1 - 물품을 전환시키는 컨베이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품을 전환시키는 컨베이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018B1
KR101560018B1 KR1020107028454A KR20107028454A KR101560018B1 KR 101560018 B1 KR101560018 B1 KR 101560018B1 KR 1020107028454 A KR1020107028454 A KR 1020107028454A KR 20107028454 A KR20107028454 A KR 20107028454A KR 101560018 B1 KR101560018 B1 KR 101560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s
conveyor belt
conveyor
drive
driv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8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2612A (ko
Inventor
매듀 엘. 포니
Original Assignee
라이트람,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트람, 엘엘씨 filed Critical 라이트람,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10022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rollers which are moved, e.g. over a supporting surface, by the traction element to effect conveyance of loads or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Relays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시스템(300)은 컨베이어 벨트 상의 물품(O)을 전환시키기 위해 구성된 복수의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304)을 가진 컨베이어 벨트 (302), 및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과 맞물리는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을 구동시키기 위해 구성되고,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이 제 1 각도 방향, 및 반대인 제 2 각도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조정가능함으로써, 물품들은 원하는 전환 각도에서 컨베이어 벨트의 양측으로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구동 메커니즘의 일 양태는 카트리지들(320)에 장착된 구동 롤러들(308), 및 상기 카트리지들 상에서 피니온 기어들(334)과 맞물리는 랙 기어들(342)을 가져서, 구동 롤러들을 선택적으로 반대 각도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벨트 롤러들에 대해 구동 롤러들의 배향을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품을 전환시키는 컨베이어 시스템{CONVEYOR SYSTEMS FOR DIVERTING OBJECT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가동-구동 컨베이어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품 지지 롤러들이 일 방향 또는 또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배향성을 변경할 수 있고 또한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구동 롤러들과 접촉하여 회전되는 물품 지지 롤러들을 구비한 컨베이어 벨트들을 가지는 컨베이어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유형 또는 또 다른 유형을 처리하는 물품을 회전 또는 위치시키는 목적으로, 물품들을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예를 들면, 또 다른 컨베이어 벨트로 전환시키는 것은 종종 필요하다.
최근에, 개발되는 컨베이어 시스템들은, 컨베이어 벨트가 벨트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넘어서 연장되는 작고 각이진 복수의 롤러들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으로, 컨베이어 벨트, 특히 벨트 내에 포함된 롤러들에 의해 운반되는 물품들은 롤러들을 회전시킴으로써 벨트로부터 전환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일 방법에서, 롤러들은 롤러와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를 이루는 컨베이어 벨트 아래에 위치된 마찰 판(friction plate)을 선택적으로 구비함으로써 구동된다. 상기 판이 상기 롤러들과 맞물리면, 상기 롤러들은 마찰 판과 롤러들 사이의 마찰력에 응하여 회전을 일으키게 된다. 또 다른 방법에서, 컨베이어 벨트 아래에 위치된 프리-스피닝롤러들(free-spinning rollers)은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과 선택적으로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를 이루고, 맞물림을 이루는 롤러들 간의 마찰은 반대 방향으로 롤러 세트 양쪽의 회전을 일으킨다.
상술된 컨베이어 시스템들이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물품들의 전환에 대한 상당한 이점을 제공하지만, 그들의 사용에는 여전히 일부 제한점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의 각도가 고정되었기 때문에, 전환은 고정 전환 각도로 컨베이어 벨트의 일 측면에서만 실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환 방향 또는 각도를 변화시키길 원한다면, 컨베이어 라인은 멈춰야 하고, 컨베이어 벨트는 서로 다른 배향으로 배치된 롤러들을 가진 상이한 컨베이어 벨트로 대체되어야 한다.
추가적인 단점은 롤러 미끄러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마찰 판이 롤러들과 접촉할 시에, 롤러들은 0의 각속도로부터, 컨베이어 벨트가 이동되는 속도에 비례하는 최종 각속도로 가속되어야 한다. 롤러들이 최종 각 속도로 즉각적으로 가속될 수 없는 경우, 롤러 미끄러짐은 마모가 롤러들에서 일어나게 한다. 정도가 약하긴 하나,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을 회전시키기 위해 프리-스피닝 롤러들을 사용하는 실시예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프리-스피닝 롤러들의 회전이 미끄러짐을 감소시키지만, 미끄러짐은 접촉이 롤러들 간에서 일어난 직후 동안 여전하게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마찰 판 또는 프리-스피닝 롤러들이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과 맞물림이 해제되면,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컨베이어 벨트 상에 있는 물품들이 벨트를 가로질러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동이 일부 상황들에서는 필요할 수 있지만, 컨베이어 벨트 상의 물체의 측면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하기를 원할 상황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단점들은 본 발명의 특징으로 사용한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 해결된다.
상기와 같은 컨베이어 시스템의 일 양태는 벨트 이동의 방향으로 정렬된 고정 축들 상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을 가지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한다. 카트리지들(cartridges)은 컨베이어 벨트 아래에 위치한 운반로 팬(carryway pan)의 개구부들에서 회전가능하게(rotatably) 지지된다. 각각의 카트리지는 컨베이어 벨트 아래로부터의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과 맞물리는 위치에서 유지되는,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구동 롤러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기어(cartridge gear)는 운반로 팬 아래에서 카트리지 상에 배치된다. 액츄에어터 기어들(actuator gears)들의 어레이는 카트리지 기어들과 맞물리도록 위치된다. 액츄에이터 기어들의 어레이에 연결된 액츄에이터는, 기어들이 카트리지를 회전시키도록 작동하고, 구동 롤러들 및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 사이의 맞물림의 각도를 변화시키도록 작동한다.
기술된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 도면과 관련하여 이해될 수 있다. 도면에서의 구성요소는 축척화될 필요는 없다.
도 1은 컨베이어 시스테의 일부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사용된 구동 롤러 모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1의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사용된 구동 롤러 모듈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추가적인 부분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사용된 복수의 구동 롤러 모듈들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5a는 제 1 방향으로의 전환 작동을 나타낸 것으로, 도 3에서 도시된 컨베이어 시스템 부분의 도면이다.
도 5b는 제 2 방향으로의 전환 작동을 나타낸 것으로, 도 3에서 도시된 컨베이어 시스템 부분의 도면이다.
도 6a는 제 1 각도 방향으로 모듈의 피봇(pivoting)을 나타낸 것으로, 구동 롤러 모듈의 상부도이다.
도 6b는 제 2 각도 방향으로 모듈의 피봇을 나타낸 것으로, 구동 롤러 모듈의 상부도이다.
도 7은 시스템의 각도가 조정가능한 구동 롤러들에 의해 제공되는 브레이크 기능을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각도가 조정가능한 구동 롤러들과 컨베이어 벨트 구동 롤러들과의 맞물림을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8b는 각도가 조정가능한 구동 롤러들과 컨베이어 벨트 구동 롤러들과의 맞물림 해제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일부의 제 2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0a-10c는 전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시스템의 구동 롤러들의 각도 조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9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상부도이다.
도 11a 및 11b는 도 9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동 롤러들의 앵귤레이션(angulation)을 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메커니즘의 실시예의 사시도들이다.
도 12는 도 9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동 롤러들의 말단들을 지지하는 조인트들(joints)의 실시예의 상세도이다.
도 13은 랙-앤드-피니온 롤러 구동 메커니즘(rack-and-pinion roller drive mechanism)을 가진 컨베이어 시스템의 일부의 제 3 실시예의 분해 등각 투상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동 롤러 카트리지의 상부 분해 등각 투상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롤러 구동 메커니즘의 선형 액츄에이터의 하부 등각 투상도이다.
도 16a 및 16b는 마주보는 최대 말단 위치에서 나타난 도 13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동 롤러들의 상부 평편도들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을 포함하는, 존재하는 컨베이어 시스템들은 이전 시스템에 대한 이점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여전히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술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제한점은 컨베이어 벨트 내에서 포함된 롤러들의 회전을 제어하는 각이진 프리-스피닝 조정가능한 롤러들(free-spinning angularly adjustable roller)을 포함하는 구동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으로 극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컨베이어 벨트는 컨벤이어 벨트 아래에 위치된, 각이진 프리-스피닝 조정가능한 롤러들과의 접촉을 통해 "구동되는" 길이 방향으로 배향된 복수의 프리-스피닝 롤러들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들에서, 물품들은 상기 각이진 조정가능한 롤러들의 단순한 작동을 통하여 컨베이어 벨트의 양측으로(either side) 다양한 각도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이진 조정가능한 롤러들이 벨트 이동의 방향과 정렬될 시에,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은 브레이크가 걸려서, 회전을 못하며, 이로써, 물품 이동은 감소 또는 정지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각이진 조정가능한 롤러들이 브레이크가 걸리는 방향에서 원하는 전환 각도로 점차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은 점차적으로 가속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미끄럼은 감소 또는 제거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면의 번호는 여러 도면들을 통해 해당 부분을 지칭하며, 도 1은 컨베이어 시스템(100)의 일부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100)은 물품들을 상기 시스템의 양측으로 다양한 각도로 전환시키는데 조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시스템(100)은 컨베이어 벨트(102), 및 각이진 조정가능한 "구동" 롤러 모듈들(106)의 필드(104)를 포함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벨트(102)는 컨베이어 벨트 프레임(108)을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 프레임(108)은 복수의 횡형 모듈러 컨베이어 벨트 섹션들(110)로 구성된다. 각각의 컨베이어 벨트 섹션(110) 내에서는 복수의 장형(elongated) 컨베이어 벨트 링크들(112)이 있고, 상기 장형 컨베이어 벨트 링크들은 벨트 이동(114)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인접한 컨베이어 벨트 섹션들의 인접한 컨베이어 벨트 링크들에 연결된다. 예를 들면, 각각의 컨베이어 벨트 링크(112)는 개구부(116)를 가지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부재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개구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 링크의 양 말단들 각각에 구비되고, 인접한 컨베이어 벨트 섹션들(110)의 컨베이어 벨트 링크들의 개구부를 관통하는 로드(rod) 또는 샤프트(미도시)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 벨트 섹션들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길이 방향으로 배향된 장형 프리-스피닝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118)은 컨베이어 벨트 링크들(112) 사이에 개재된다. 본원의 목적에 있어서, 용어 "프리-스피닝"은 롤러들이 롤러들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어느 각도 방향으로(in either angular direction) 자유롭게 회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상기 롤러들(118)은 적당한 힘으로 구동될 시에, 어느 각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아이들러(idler)" 롤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롤러들(118)은 상기 롤러들의 회전 축이 벨트 이동(114)의 방향으로 평행하도록 위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들(118)은 컨베이어 벨트 링크들(112)에 대해 각각의 컨베이어 벨트 섹션(110)의 폭을 따라 대안적으로 구비될 수 있어서, 인접한 컨베이어 벨트 링크들의 각 쌍 사이에서 롤러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치에 있어서, 다양한 컨베이어 벨트 섹션들(110)의 롤러들(118)은 벨트 이동(114)의 방향으로 연장된 열들, 및 컨베이어 벨트(102)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된 행들(121)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롤러들(118)이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기술되고 제시되었지만, 상기 롤러들은 상기 롤러들의 회전 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필요는 없다.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118)은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며, 그리고 롤러 모듈들(106)의 롤러들이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과 접촉할 시에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의 높은 마찰 외부 층 또는 코팅으로 구비된다. 각각의 롤러(118)는 그의 말단들 각각에서 컨베이어 벨트 프레임(108)과 연결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다양한 컨베이어 벨트 섹션들(110)을 연결시키는 로드들 또는 샤프트들과도 연결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들(118)은 컨베이어 벨트 프레임(108)(및 벨트 링크들(112))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넘어서 연장되도록 치수화됨으로써, 이들은 컨베이어 벨트(102) 상에 위치한 물품들을 양쪽으로 전환시킬 수 있고, 구동 롤러 모듈들(106)에 의해 아래로부터 구동될 수 있다.
도 1을 더 참조하면, 각이진 조정가능한 구동 롤러 모듈들(106)의 필드(104)는 구동 롤러 모듈들의 복수의 행들(122) 및 열들(124)을 포함한다. 구동 롤러 모듈들(106)은, 상기 구동 롤러 모듈들의 열들(124)이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118)의 열들(120)과 정렬되고, 상기 구동 롤러 모듈들의 행들이 컨베이어 시스템 동작 동안 적어도 간헐적으로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의 행들(121)과 정렬되도록 위치된다. 도 1에 제시된 제 1 실시예에서, 구동 롤러 모듈들(106)은 (이들의 회전 축의 크기에) 상대적으로 짧은 캐스터 롤러들(caster rollers)(도 2a 및 2b 참조)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캐스터 롤러들은 서로 매우 가깝게 위치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구동 롤러는 동작 동안에 주어진 컨베이어 벨트 롤러(118)와 정렬된다. 실제로, 도 1의 실시예에서, 구동 롤러 모듈들(106)은 서로 매우 가깝게 위치됨으로써, 적어도 2 개의 구동 롤러들은 컨베이어 동작 동안 주어진 컨베이어 벨트 롤러(118)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도 2a 및 2b를 보면, 단일 구동 롤러 모듈(106)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때 각각의 구동 롤러 모듈은 프리-스피닝 구동 롤러(125)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스피닝 구동 롤러(125)는 그의 회전 축에 대해 어느 각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따라서, "구동" 롤러들로서 나타내었지만, 구동 롤러들(125)은 일부 기계적인 수단, 예를 들면 모터 등에 의해 그 자체로 구동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각각의 구동 롤러(125)는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마찬가지로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118)은 고무 또는 플라스틱의 높은 마찰 외부 층 또는 코팅을 가진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롤러(125)는 마주보는 수직형 지지 부재들(128)을 포함하는 프레임(126) 내에서 지지된다. 샤프트(130)는 지지 부재들(128) 간을 연장하고, 그리고 구동 롤러(125)에 구비된 중앙 개구부를 통하고, 이때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구동 롤러는 회전할 수 있다(즉, 회전 축). 지지 부재들(128)과 더불어, 프레임(126)은 제 1 및 제 2 제어 암들(control arms)(131 및 132)을 포함하고, 이들 제어 암들은 이하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벨트 이동(114) (도 1)의 방향에 대해 롤러(125)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중앙 수직 축(134)을 중심으로 구동 롤러 모듈(106)을 피봇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어 암(131, 132)은, 구동 롤러 모듈(106)의 각도 배향을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적합한 부재에 피봇적으로 연결이 가능한 개구부(133)를 포함한다.
도 2b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26)은 베이스(135), 및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는 피봇 메커니즘(137)을 더 포함한다. 도 2b의 실시예에서, 피봇 메커니즘(137)은, 서로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부 및 하부(139 및 141)를 포함함으로써, 구동 롤러 모듈(106)의 피봇을 가능케 한다. 적합한 마찰 감소 소자들, 예를 들면, 베어링들은, 상기와 같은 피봇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부 및 하부(139 및 141) 사이에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컨베이어 시스템(100)의 추가적인 부분을 도시한다. 특히, 도 3은 구동 롤러들(125)과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118) 사이의 상호 작용을 나타낸다. 특히, 컨베이어 벨트 프레임(108)은 컨베이어 시스템(100)의 다른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기술되는 목적으로 본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롤러들(125)은, 컨베이어 벨트(120)의 이동이 벨트 이동(114)의 방향으로 구동 롤러들 및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한 상기 양 롤러들의 회전을 일으키도록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118)과 접촉하여 위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배향에 있어서, 구동 롤러들(125)은 화살표(136)로 나타난 다운스트림 방향(downstream direction)으로 회전한다. 회전의 결과에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118)은 이들의 샤프트틀(138)을 중심으로(즉, 회전 축) 화살표(140)에 나타난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구동"된다. 따라서, 도 3에 있어서,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118)은 시계반대 방향(컨베이어 벨트(102)를 보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말단에서의 업스트림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러므로,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에 의해 지지된 물품들을 도면의 좌측 배향으로 전환시킬 것이다. 도 3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컨베이어 벨트 롤러(118)는 다수의 구동 롤러들(125)에 의해 상기의 방식으로 구동된다.
그러므로, 상술된 바와 같이, 구동 롤러 모듈들(106) 및 구동 롤러들(125)은 이들의 중앙 수직 축들(134)(도 2a 및 2b)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어서, 벨트 이동의 방향에 대해 이들의 앵귤레이션을 조정할 수 있다. 구동 롤러들(125)은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있거나, 그룹으로 하여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도 4는 후자에 대한 작동 설계를 가능케 하는 메커니즘을 도시한다(컨베이어 벨트(102) 미도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롤러 모듈들(106)의 복수의 행들(142) 및 열들(144)은 도 2에 대해 기술된 일반적인 구성을 가진다. 도 4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롤러 모듈들(106)의 행들(142)은 롤러들(125)의 각도 배향을 제어하는 링킹 부재들(linking members)(146)과 함께 연결된다. 특히, 구동 롤러 모듈들(106)의 제어 암들(132)은 로드 또는 샤프트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링킹 부재(146)에 피봇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은 구동 롤러 모듈들(106)의 제어 암들(132)에 구비된 개구부들(133)(도 2a 및 2b)을 통하여, 링킹 부재(146)의 정렬된 개구부들(미도시) 내로 연장되는 핀들(미도시)로 구현된다. 각각의 구동 롤러 모듈(106)의 위치가 그의 중앙 수직 축(134)에 대해 고정되면, 예를 들면, 피봇 메커니즘(137)(도 2a 및 2b)의 하부(141)의 고정 때문에, 화살표(148)에 나타난 방향으로의 링킹 부재들(146)의 횡 방향 이동은 롤러들(125)이 중앙 수직 축들을 중심으로 피봇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이들의 각도 배향은 조정된다.
링킹 부재들(146)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다수의 링킹 부재들(146)이 동시에 배치되는 실시예에서, 롤러들(125)의 다수의 행들은 동시에 피봇될 수 있고, 링킹 부재들은 컨베이어 시스템(100)의 양측에 인접하여 위치된 단일 작동 부재(150)에 연결되고, 구동 롤러 모듈들(106)의 인접한 열(144)의 제어 암들(131)에 피봇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서, 화살표(151)로 나타낸 방향으로 작동 부재(150)의 길이 방향 배치는 구동 롤러 모듈들(106)의 인접한 열(144)을 피봇시킬 수 있고, 그러므로, 링킹 부재들(146)이 측면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그 다음 잔류한 구동 롤러 모듈들이 피봇되도록 한다.
도 5a 및 5b는 구동 롤러 모듈들(106)의 각도 조정의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컨베이어 벨트 프레임(108)은 컨베이어 시스템(100)의 다른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기술하는 목적으로 인해 도 5a 및 5b에서 도시되지 않는다. 도 5a를 보면, 구동 롤러 모듈들(106)은 화살표(152)로 나타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118)의 시계반대 방향(컨베이어 벨트(102)를 보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말단에서의 업스트림 방향)으로 회전을 일으키기 위해, 시계반대 방향(컨베이어 벨트(102)를 상부에서 봄)으로 피봇된다.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118)의 상기와 같은 회전은 화살표(154)의 방향으로 물품(O)을 이동시키도록, 도 5a의 배향으로 좌측 방향으로의 전환 작동을 일으킨다. 그러나, 도 5b에서, 구동 롤러 모듈들(106)은,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118)이 화살표(155)에 나타난 시계 방향(컨베이어 벨트(102)를 보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말단에서의 업스트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시계 방향(컨베이어 벨트(102)를 상부에서 봄)으로 피봇되어서, 우측 방향으로의 전환 작동이 일어나고, 물품(0)은 화살표(156)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6a 및 6b는 구동 롤러 모듈들(106)이 전환 가능한 각도로 변화되는 것을 도시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구동 롤러 모듈(106)은 롤러(125)의 회전 축이 컨베이어 벨트의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되는 0°의 배향으로부터 α 만큼 나타난 음의 각도(negative angle)로 잠재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롤러 모듈(106)은 0°의 배향으로부터 β 만큼으로 나타난 양의 각도로 일어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α 및 β 모두는 0 내지 90°의 각도를 포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각도의 변화성은 180°와 같다. 상기와 같은 각도 변화성의 넓은 범위가 가능하지만, 구동 롤러들(125) 및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118)을 위해 사용되는 물질의 컨베이어 벨트 속도 및 제한은 롤러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는 각도 배향의 범위를 한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약 -70° 내지 +70°의 각도 범위는 공지된 높은 마찰 표면들을 사용하여 적어도 100 ft/min의 컨베이어 벨트 속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구동 롤러들(125)의 각도 이동은 최종 전환 각도에 직접 대응된다. 예를 들면, 구동 롤러들(125)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0°의 배향의 시계 방향으로 35°로 배향될 시에, 우측 방향으로 35°전환 각도가 일어난다.
구동 롤러들(125)이 도 7에 도시된 0°의 배향으로 위치될 시에, 상기 구동 롤러들의 회전 축들은 벨트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되고, 구동 롤러들의 각도 회전의 방향은 벨트 이동의 방향과 일치되고,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118)은 실질적으로 회전을 막아서 "브레이크"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 상의 물체의 원하지 않는 측면 이동은 필요에 따라 구동 롤러 모듈들(106)을 0°의 배향으로 위치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특히, 구동 롤러들(125)의 각도 배향이 처음 위치로서 0°의 배향으로부터 조정될 시에,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118)은 일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가속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마찰 판 또는 각이진 롤러들이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에 갑자기 맞물릴 시에 일어날 수 있는 롤러 미끄러짐은 감소되거나 또는 모두 함께 방지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125)의 점차적인 가속은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물품을 넘어뜨림 없이 전화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환되는 물품이 상대적으로 크고 상대적으로 작은 베이스를 가진다면, 상기 물품은 0°의 배향으로부터 구동 롤러들의 각도를 천천히 증가시킴으로써, 컨베이어 벨트(102)의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점차적으로 가속될 수 있다.
각도 조정과 더불어, 구동 롤러 모듈들(106)은 선택적으로 구동 롤러들(125)을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118)과 맞물리게 하거나 맞물리지 않도록 수직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성은 도 8a 및 8b에 도시된다. 특히, 도 8a는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118)과 맞물리는 구동 롤러들(125)을 도시하는 반면에, 도 8b는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로부터 맞물림이 해제되는 구동 롤러들을 도시한다. 상기와 같은 선택적인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는 구동 롤러들(125)을 상승시켜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118)에 접촉하고, 그리고 구동 롤러들을 하강시켜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을 접촉 해제하는 적절한 메커니즘(미도시)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로부터, 컨베이어 벨트 내에 포함된 롤러들을 구동시키는 각이진 조정가능한 롤러들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시스템들의 사용을 통하여 여러 이점들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품들은 다양한 각도로 컨베이어 시스템의 양측으로 전환될 수 있다. 게다가,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은 컨베이어 벨트를 가로질러 물품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걸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은 실질적으로 미끄러짐 없이 원하는 각속도로 가속될 수 있다.
특히, 다른 이점들은 상기와 같은 컨베이어 시스템들로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별적인 그룹의 구동 롤러들은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 방향을 따를 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제어 메커니즘들(예를 들면, 링킹 부재들)의 제공을 통하여 컨베이어 벨트의 폭도 따라서 컨베이어 시스템의 상이한 구역들에서 동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서, 컨베이어 벨트 상의 물품들의 위치는 상이한 구역들의 구동 롤러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정확성이 큰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사실, "활발한(smart)" 검출 및 제어 시스템, 예를 들면 영상에 기반한 시스템이 구비될 시에, 개별적인 물품들은 식별될 수 있고 벨트를 따르고/따르거나 가로질러 정확하게 이동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물품들이 위치된 추가적인 컨베이어 벨트들 상의 물품들의 원하는 순서 및/또는 정렬을 가능케 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도 9를 보면, 컨베이어 시스템(200)의 일부의 제 2 실시예가 제시된다. 본 도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시스템(200)은 도 1에 도시된 컨베이어 시스템(100)과 몇몇 방식에서 유사하다. 그러므로, 컨베이어 시스템(200)은 길이 방향으로 배향된 복수의 프리-스피닝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204)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벨트(202)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컨베이어 벨트(202)는 화살표(206)로 나타난 벨트 이동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게다가, 시스템(200)은 복수의 각이진 프리-스피닝 조정가능한 롤러들(208)을 포함한다. 그러나, 시스템(200)에서, 상기 구동 롤러들(208)은 길게 형성되거나, 또는 캐스터 롤러들 대신에 "길이 방향의" 롤러들이다. 도 9에 제시된 실시예에서, 구동 롤러들(206)은 컨베이어 벨트(202)의 폭보다 길다.
도 10a-10c는 컨베이어 벨트(202)에 대해 구동 롤러들(208)의 각도 조정을 나타낸다. 특히, 화살표(206)에 나타난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 방향을 고려하면, 도 10a는 물품들의 전환이 좌측으로 일어나게 하는 구동 롤러들(208)의 앵귤레이션을 나타내고, 도 10b는 구동 롤러들의 "브레이크 걸리는" 배향을 나타내고, 그리고 도 1Oc는 물품들의 전환이 우측으로 일어나게 하는 구동 롤러들의 앵귤레이션을 나타낸다.
컨베이어 시스템(100)과 마찬가지로, 구동 롤러들(208)은 다양한 조정 메커니즘들을 사용하여 각이지게 조정될 수 있다. 도 11a 및 11b는 상기와 같은 일 메커니즘을 도시한다(컨베이어 벨트는 명료상의 목적으로 미도시됨). 이러한 도면들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동 롤러들(208)은 다수의 프레임 부재들(212)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프레임(210)에 의해 피봇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이때, 상기 다수의 프레임 부재들(212)은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에 위치된 피봇 조인트들(pivot joints)(214)에서 서로에 피봇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각각의 피봇 조인트(214)는 서로 끼워지고, 핀 또는 샤프트(미도시)와 함께 고정되는 프레임 부재들(212)의 판들(leaves)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프레임(210)의 배향은 도 11a에 도시된 직각 배향으로부터 변화될 수 있고, 도 11a에서 프레임 부재들(212)은, 2 개의 예각 및 2 개의 둔각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모서리들에서 형성된 또 다른 배향에 대해, 프레임의 모서리들 각각에서 약 90°의 각도를 형성하고, 이로 인해, 상기 프레임을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1a의 직각 배향에서, 구동 롤러들(208)은 도 10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의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되도록 정렬된다. 그러므로, 도 11a의 직각 배향은 브레이크가 걸리는 배향이다. 그러나, 도 11b에서 나타난 것과 같은 다른 배향에서, 구동 롤러들(208)은 벨트 이동의 방향에 비례한 각도로 위치되도록 배향됨으로써, 전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구동 롤러(208)는, 배향을 변화시킬 수 있고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는 조인트에 의해 양 말단들에서 지지된다. 도 12의 상세한 도면을 참조하면, 각각의 구동 롤러(208)는, 예를 들면, 샤프트(2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샤프트는 핀(218)을 수용하기 위해 구성된 "아이(eye)" 커넥터들(216)을 가지고, 상기 핀은 프레임 부재(212)에 장착되는 지지 브라켓(support bracket)을 통해 연장된다.
도 11a 및 11b를 참조하면, 프레임(210)은 예를 들면, 액츄에이터(222)를 사용함으로써, 상기에서 기술된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다. 도 11a 및 11b에서 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액츄에이터(222)는 피스톤 몸체(224)를 가지는 피스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몸체(224)로부터 피스톤 암(226)은, 예를 들면, 유압 또는 공기압의 영향 하에 연장될 수 있다. 피스톤 몸체(224) 및 피스톤 암(226) 모두는 장착 브라켓들(228)과 함께 인접한 프레임 부재들(212)에 피봇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배치로, 피스톤 암(226)이 피스톤 몸체(224) 내로 수축되면, 구동 롤러들(208)은 제 1 각도 방향으로 각도가 조정되는 반면에, 피스톤 암이 피스톤 몸체로부터 연장되면, 구동 롤러들은 반대인 제 2 각도 방향으로 각도가 조정된다. 상기와 같은 조작은 도 11a 및 11b에서 명백하다. 특히, 도 11a는 피스톤 몸체(224)로부터의 피스톤 암(226)의 연장의 제 1 범위 및 구동 롤러들(208)의 제 1 배향을 제시하는 반면, 도 11b는 피스톤 몸체로부터의 피스톤 암의 연장의 제 2 (보다 큰) 범위 및 구동 롤러들의 제 2 배향을 제시한다. 피스톤 암(226)의 적절한 연장 및 수축을 통하여, 구동 롤러들(208)의 배향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고, 물품들의 전환은 도 10a-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전환 각도로 컨베이어 벨트(202)의 양측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이한 롤러 구동 메커니즘을 가지는 전환 컨베이어 시스템(300)의 또 다른 실시예의 일부의 분해도는 도 13에서 도시된다. 컨베이어 벨트(302)는 벨트 이동(306)의 방향으로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축대들(미도시) 상에 장착된 복수의 원통형 롤러들(304)을 가진다. 벨트는 하나 이상의 벨트 모듈들의 일련의 행들(307)로 구성되고, 단지 하나의 행만이 도 13에서 도시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벨트 모듈들은, 좌우로(side to side) 그리고 세로로(end to end), 벨트 이동의 방향으로 컨베이어 운반로(309)의 일부를 따라 진행하는 무한 벨트 루프(endless belt loop)에 연결된다. 벨트 롤러들은 운반로의 일부를 따라서 구동 롤러들(308)의 어레이의 상부에서 지지된다. 구동 롤러 어레이의 좁은 레일들(310)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은 운반로의 나머지를 따라서 벨트를 지지한다. UHMW 웨어스트립들(wearstrips)(312)에 덮인 좁은 레일들은 인접한 롤러들 사이의 벨트의 아래쪽을 지지한다.
상기 레일들은 운반로 팬(carryway pan)(314) 상에 장착되고, 상기 운반로 팬(carryway pan)(314)은 컨베이어 프레임(미도시)에서 그 자체로 장착된다. 상기 팬은 길이 방향의 열들(318) 및 측면 열들(319)에 배치된 복수의 원형 개구부들(316)로 천공된다. 개구부들의 열들은 벨트 롤러들의 측면 위치와 측면 방향으로 정렬된다. 각각의 개구부는,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구동 롤러(308)를 지지하는 카트리지(cartridge)(320)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고, 이때, 상기 회전가능한 구동 롤러는, 벨트가 벨트 이동의 방향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해당 열에서 벨트 롤러들과 맞물린다. 벨트 롤러들과 구동 롤러들 사이의 롤링 접촉(rolling contact)은 양 롤러들이 축이 서로에 대해 경사져 있는 한, 서로에 대해 롤링하도록 하고, 회전하도록 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롤러 카트리지(320)는, 구동 롤러(308)의 보어(327)에 수용되는 축(326)의 말단들을 지지하는, 직경 방향으로의 마주보는 홀들(holes)(324, 325)을 가진 리테이너 링(retainer ring)(322)을 포함한다. 홀들 중 하나(324)는 스루우 홀(through hole)일 수 있고, 상기 스루우 홀을 통하여 상기 축은 카트리지 및 구동 롤러 내로 삽입될 수 있고, 다른 홀(325)은 상기 축을 위해 말단 멈추개를 형성하는 블라인드 말단(blind end)을 가질 수 있다. 이 방식으로, 구동 롤러는 리테이너 링의 상부를 넘어 돌출되는 롤러의 돌출부와 함께 고정 축을 따른 카트리지에서 유지된다. 상부 저널 스템(upper journal stem)(328)은 구동 롤러를 에워싸는 리테이너 링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 저널 스템은 상기 링으로부터 내부로 움푹 들어간 원통형 외부 주변부를 가지고, 상기 링의 주변부들과 상기 스템 사이에서 숄더(shoulder)(330)를 형성한다. 상기 리테이너 링으로부터 멀리 떨어진(distal) 하부 저널 스탬(332)은 상부 저널 스템보다 직경이 작다. 하부 저널 스템의 주변부는 상부 저널 스템의 주변부의 움푹 들어간 내부이다. 카트리지 기어(334)는 상부 스템 및 하부 스템 사이에서 배치된다. 카트리지 기어는 주변 치형부(336)의 첨단들이 상부 저널 스템의 주변부를 지나 연장되는 않는 스퍼 기어(spur gear)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들(320)은 운반로 팬의 개구부들(316)에 수용된다. 개구부들의 벽들은 베어링 표면들(338)을 형성하고, 상기 베어링 표면들에 대항하여 상부 저널 스템들은 회전할 수 있다. 리테이너 링들의 직경이 상기 개구부들의 직경을 초과하기 때문에, 링의 숄더(330)는, 아래에 걸린 기아 및 보다 작은 직경의 스템들을 가진 운반로 팬 상에 위치된다.
기어 판(340)은 운반로 팬 아래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된다. 랙 기어들(rack gears)(342)의 형태인 액츄에이터 기어들은 기어 판 상에 배치된다. 각각의 랙 기어는 카트리지 기어들 중 하나의 치형부와 맞물리게 위치되어, 랙-앤드-피니언 시스템을 형성하고, 상기 랙-앤드-피니언 시스템은, 기어 판이 이동됨에 따라서, 카트리지들을 일제히 회전시킬 수 있다. 기어 판은 벨트 이동의 방향으로 장형 개구부들(344)을 가진다. 장형 개구부들은 랙 기어를 형성하는 치형부(346)의 선형 어레이에 의해 일 측면 상에 인접하고 있다. 각각의 장형 개구부는 운반로 팬의 개구부들(316) 중 하나 아래에 위치된다. 하부 저널 스템은 기어 판의 장형 개구부들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장형 개구부들은 2 개의 다른 판들: 운반로 팬(314)과 하부 판(348) 사이에서 개재된다. 컨베이어 프레임(350)의 일부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하부 판은 복수의 개구부들(352)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은 운반로 팬의 개구부와 수직으로 정렬되지만, 상기 운반로 팬의 개구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개구부들(352)은 카트리지들의 하부 저널 스템들(332)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진다. 이는, 롤러 구동 메커니즘의 어셈블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상부 지지 판 및 하부 지지 판을 정렬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또한 고정된 수직 축들 상에서 회전가능한 카트리지들의 회전을 한정한다.
하부 판(348)의 상부 상에서, 그리고 상부 판(314)의 하부 상에서 대향 스페이서 패드들(confronting spacer pads)(354)은 2 개의 판들 사이에서 적당한 공간을 유지하여, 이동가능한 기어 판(340)을 수용한다. 기어 판에서의 일부의 장형 개구부들(344')은 중간 슬롯들(intermediate slots)(356)에 의해 결합된다. 슬롯부들에서 롤러들(358)은 상부 판의 하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핀들(360)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핀들의 원위단들(distal ends)은 하부 판의 소켓들(362)에 수용된다. 롤러들(58)은, 기어 판이 상부 판 및 하부 판에 대해 이동됨에 따라서, 슬롯들의 측들에 지탱되어 있다.
기어 판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액츄에이터(364), 예를 들면 공기 실린더에 의해 이동된다. 액츄에이터의 일 말단은 클레비스(clevis) 및 타이 로드(tie rod)(368)에 의해 상부 판 또는 운반로 팬(314)의 하부로부터 걸려있는 장착 브라켓(366)에 부착된다. 액츄에이터의 다른 말단으로의 연장 로드(370)의 연장은 선택가능하다. 연장 로드의 원위단은 클레비스 및 타이 로드(372)에 의해, 기어 판(340)의 하부로부터 걸려있는 피봇 브라켓(374)에 연결된다. 상기 연장 로드는 기어 판을 이동시키고, 상기 로드의 연장부는 기어 판의 위치 및 구동 롤러들의 배향을 판별한다. 장착 브라켓(366) 아래에 있는 심들(shims)(376)은 운반로의 하부와 기어 판의 상부 사이에 오프셋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환 컨베이어 시스템의 동작은 도 16a 및 16b에서 제시된다. 도 16a에서, 기어 판(340)은 하나의 최대 말단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최대 말단 위치에서는 구동 롤러 카트리지들(320)이 장형 슬롯들(344)의 먼 우측에 위치된다. 상기 카트리지들이 이 위치에서 회전하는 상태에서, 구동 롤러들(308)의 회전의 축들(378)은 벨트 이동(306)의 방향으로부터 계측된 시계반대 방향의 예각 γ을 형성한다. 컨베이어 벨트(302)가 벨트 이동의 방향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이 배향에서 상기 구동 롤러들은 화살표(380)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맞물린 벨트 롤러들은 화살표(382)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물품들은 도 16a의 상부를 향하여 운반된다. 기어 판이 반대편의 최대 말단으로 기어 판의 범위에 걸쳐 이동되고, 카트리지들이 도 16b의 장형 슬롯들의 먼 좌측에서 위치될 시에, 구동 롤러들의 회전의 축들(378)은 벨트 이동의 방향으로부터 계측된 시계 방향의 예각 γ'을 형성한다. 이 동작으로, 구동 롤러들은 화살표(381)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벨트 롤러들은 도 16a의 전환 방향에 반대인 도 16b의 하부를 향해 운반된 물체들을 잡아당기기 위해 화살표(383)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특정 실시예들이 예의 목적용으로 상기의 설명 및 도면의 상세하게 기재되었지만,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변화 및 변형이 본원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변화에 있어서, 구동-롤러 카트리지들의 하부 스템들은 이들의 하부들에서 움푹 패일 수 있고, 하부 판의 개구부들은 상기 움푹 패인 곳 내로 연장되는 기둥들로 대체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움푹 패인 곳 상에서 카트리지들이 회전할 수 있다.

Claims (9)

  1. 벨트 이동의 방향으로 정렬된 고정 축들 상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을 가지는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 아래에 위치하고 복수의 개구부들을 가지는 운반로 팬;
    상기 개구부들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카트리지들로서, 각각의 카트리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 아래로부터의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과 맞물리는 위치에서 유지되는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구동 롤러, 및 상기 운반로 팬 아래에 배치된 카트리지 기어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트리지들;
    상기 카트리지 기어들과 맞물리도록 위치되는 액츄에이터 기어들의 어레이;
    상기 액튜에이터 기어들의 어레이에 결합되어 상기 기어들을 작동시켜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 롤러들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 사이의 맞물림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액츄에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기어들 및 상기 카트리지 기어들은 랙-앤드-피니언 시스템(rack-and-pinion syste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기어들의 어레이는 복수의 개구부들을 가지는 판을 포함하고, 각각의 개구부들은 기어 치형부의 선형 어레이에 의해 일 측면 상에서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카트리지는 원위 하부 스템(distal lower stem)을 가지고,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은 상기 카트리지의 하부 스템을 그 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유지하는 고정형 하부 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하부 판은 상기 카트리지들의 하부 스템들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액츄에이터 기어의 어레이를 병진운동시켜 상기 카트리지들을 회전시키는 선형 액츄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이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제 1 각도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 롤러들이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제 2 각도 사이에서 맞물림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이동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에 유지되고, 구동 롤러의 회전 축을 규정하는 구동 롤러 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카트리지들은:
    리테이너 상에서 연장된 구동 롤러의 돌출부와 함께 상기 구동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유지하는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에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들 중 하나에 수용되는 원통형 주변부를 가지는 상부 저널 스템;
    상기 액츄에이터 기어들 중 하나와 맞물리는, 상기 상부 저널 스템 아래에 배치된 피니언;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KR1020107028454A 2008-05-20 2009-03-23 물품을 전환시키는 컨베이어 시스템 KR1015600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23,931 2008-05-20
US12/123,931 US7506751B2 (en) 2006-01-26 2008-05-20 Conveyor systems for diverting objec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612A KR20110022612A (ko) 2011-03-07
KR101560018B1 true KR101560018B1 (ko) 2015-10-13

Family

ID=40637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8454A KR101560018B1 (ko) 2008-05-20 2009-03-23 물품을 전환시키는 컨베이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7506751B2 (ko)
EP (1) EP2280886B1 (ko)
JP (1) JP5580810B2 (ko)
KR (1) KR101560018B1 (ko)
CN (1) CN102066217B (ko)
AT (1) ATE536324T1 (ko)
AU (1) AU2009249499B2 (ko)
BR (1) BRPI0908643B1 (ko)
CA (1) CA2724990C (ko)
DK (1) DK2280886T3 (ko)
ES (1) ES2378376T3 (ko)
MX (1) MX2010012620A (ko)
NZ (1) NZ588856A (ko)
PL (1) PL2280886T3 (ko)
WO (1) WO2009142809A1 (ko)
ZA (1) ZA2010085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1701B2 (en) * 2006-01-26 2011-07-05 Laitram, L.L.C. Diagonal sorter
US7743905B2 (en) * 2008-10-30 2010-06-29 Laitram, L.L.C. Transverse-roller-belt conveyor and methods for case turning
US8172069B2 (en) * 2009-03-26 2012-05-08 Habasit Ag Diverter ball conveyor
US7861849B2 (en) * 2009-04-02 2011-01-04 Laitram, L.L.C. Merge conveyor including high-friction rollers
US20110022221A1 (en) * 2009-07-24 2011-01-27 Laitram, L.L.C. Roller-belt sorter with control grid
US8167118B2 (en) 2009-09-10 2012-05-01 Laitram, L.L.C. Conveyors, belts, and modules with actuated rollers
AU2011224626A1 (en) * 2010-03-08 2012-08-23 Laitram, L.L.C. Package-culling conveyor system and method
US8322518B2 (en) 2010-04-15 2012-12-04 Laitram, L.L.C. Carousel conveyor and method
US8225922B1 (en) * 2011-03-10 2012-07-24 Laitram, L.L.C. Transverse driven-roller belt and conveyor
DE102011056532A1 (de) * 2011-12-16 2013-06-20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Behältern mit einer Rolleinrichtung
US8978879B2 (en) 2012-01-31 2015-03-17 Laitram, L.L.C. Multi-directional roller assembly
KR101370077B1 (ko) * 2012-02-21 2014-03-04 이준석 직각 방향 배출 체인 컨베이어
US9463931B2 (en) 2012-07-09 2016-10-11 Laitram, L.L.C. Article diverting conveyor belt
KR101420647B1 (ko) 2012-09-18 2014-08-14 구경본 볼어레이를 이용한 평면 이송장치
CN104884370B (zh) * 2012-10-25 2017-07-04 英特里格拉特德总部有限公司 具有可变输出方向的传动器
US9156629B2 (en) 2013-05-11 2015-10-13 Laitram, L.L.C. Diverting conveyor with bidirectional assist roller
DE102013214404A1 (de) * 2013-07-23 2015-01-29 Magna International Inc. Werkstückauflage für den Einsatz in einer Bearbeitungsmaschine
US9309954B2 (en) * 2013-10-25 2016-04-12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Transmission having variable output orientation and debris control
US9745143B2 (en) * 2013-10-25 2017-08-29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Pitch independent divert drive
US9079717B1 (en) * 2014-01-09 2015-07-14 Laitram, L.L.C. Conveyor systems for diverting objects
JP6524561B2 (ja) * 2014-03-13 2019-06-05 レイトラム,エル.エル.シー. 物品を方向転換するコンベヤベルト
KR101559146B1 (ko) * 2014-12-29 2015-10-12 박철규 방향전환을 위한 오토 디버터
CN107922120B (zh) 2015-08-05 2020-02-14 莱特拉姆有限责任公司 使物体转向的输送带
US10059522B2 (en) 2016-11-04 2018-08-28 Laitram, L.L.C. Divert chutes in sorting-conveyor systems
KR101920395B1 (ko) * 2017-01-23 2018-11-20 주식회사 가치소프트 자동 물품 싱귤레이터 및 그 방법
US11235356B2 (en) 2017-03-08 2022-02-01 Regal Beloit America, Inc. Package sorting transfer modules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US10532894B2 (en) 2017-03-10 2020-01-14 Regal Beloit America, Inc. Modular transfer units, systems, and methods
CA3083161A1 (en) 2017-11-22 2019-05-31 Regal Beloit America, Inc. Modular sortation units, systems, and methods
CN108082830A (zh) * 2018-01-18 2018-05-29 华南理工大学 一种基于视觉分析的全向移动传送平台
IT201800003165A1 (it) * 2018-03-01 2019-09-01 Avancon Sa Sistema di orientamento per convogliatori di prodotti
EP3533731A1 (de) * 2018-03-02 2019-09-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rägförderer
US10850843B2 (en) * 2018-05-03 2020-12-01 Advanced Aircraft Roller Systems, Inc. Roller assembly of a cargo loading system
CN108996190A (zh) * 2018-07-06 2018-12-14 山东鼎泰盛食品工业装备股份有限公司 输送装置及具有该装置的清洗设备
CN109967363B (zh) * 2019-04-12 2021-06-29 合肥哈工众志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货物自动分拣的转向机构
CN109867107B (zh) * 2019-04-17 2023-10-31 哈工大机器人(合肥)国际创新研究院 一种输送装置
EP3962842A4 (en) 2019-04-29 2023-01-11 Laitram, L.L.C. CONVEYOR DISCHARGE WITH DEVIATION ROLLS
US10543986B1 (en) * 2019-05-09 2020-01-28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Roller belt conveyor
CN114096473A (zh) 2019-08-07 2022-02-25 莱特拉姆有限责任公司 带有支撑边缘的辊带
CN111252483B (zh) * 2020-01-13 2021-09-14 宁波方源自动化科技有限公司 直线交叉分拣机
US20230278806A1 (en) 2020-07-21 2023-09-07 Laitram, L.L.C. Conveyor system for selectively diverting objec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21472A1 (en) 2006-01-26 2007-09-27 Materials Handling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verting Object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8617A (ja) 1989-08-31 1991-04-15 Shin Suzuki 自動仕分けコンベヤ装置
US5145049A (en) * 1990-10-12 1992-09-08 Mcclurkin Jack Pattern forming conveyor
JPH06219522A (ja) * 1993-01-22 1994-08-09 Tomio Imamura ローラコンベア
JP3349084B2 (ja) * 1998-01-29 2002-11-2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物品の分岐仕分装置
US6044956A (en) * 1998-07-01 2000-04-04 Fki Industries, Inc. Sortation conveyor system for high friction articles
US6318544B1 (en) * 1999-11-05 2001-11-20 The Laitram Corporation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article-conveying belt surface on a running conveyor
JP3516343B1 (ja) * 2002-06-20 2004-04-05 旭精機工業株式会社 搬送装置及び搬送システム
US6571937B1 (en) * 2002-09-13 2003-06-03 The Laitram Corporation Switch conveyor
FR2852940B1 (fr) * 2003-03-26 2006-04-07 Chapon Thierry Dispositif de transfert de charges isolees et installation de transfert correspondante
US7040478B2 (en) * 2003-08-05 2006-05-09 Rapistan Systems Advertising Corp. Steerable diverter system
US6923309B2 (en) * 2003-10-03 2005-08-02 Laitram, L.L.C. Article-orienting conveyor
US6968941B2 (en) * 2003-11-21 2005-11-29 Materials Handling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veying objects
US7137505B2 (en) * 2004-07-15 2006-11-21 Rexnord Industries, Inc. Split roller and modular conveying assemblies formed therefrom
AU2005289431B2 (en) * 2004-09-28 2010-07-22 Laitram,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high speed conveyor switching
CN101094799B (zh) * 2005-01-03 2012-07-25 莱特拉姆有限责任公司 用于无间隙端部输送的具有条板包括分段条板的传送带的传送装置
US7191894B2 (en) * 2005-04-04 2007-03-20 Laitram, L.L.C. Variable angled-roller belt and conveyor
US7344018B2 (en) * 2005-05-06 2008-03-18 Laitram, L.L.C. Conveyor and method for diverting closely spaced articles
US7249671B2 (en) * 2005-05-06 2007-07-31 Laitram, L.L.C. Roller-belt conveyor for accumulating and moving articles laterally across the conveyor
US7311192B2 (en) * 2005-08-15 2007-12-25 Laitram,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mproved timing conveyor
US7284653B2 (en) * 2006-03-23 2007-10-23 Laitram, L.L.C. Sorter belt conveyor
US7237670B1 (en) * 2006-07-21 2007-07-03 Laitram, L.L.C. Transverse-roller belt conveyor
JP2008174318A (ja) * 2007-01-16 2008-07-31 Ito Denki Kk 搬送モジュール、並びに、搬送装置
US7360641B1 (en) * 2007-04-13 2008-04-22 Laitram, L.L.C. Conveyor belt having rollers that displace objec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21472A1 (en) 2006-01-26 2007-09-27 Materials Handling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verting Obje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2280886T3 (da) 2012-02-06
BRPI0908643A2 (pt) 2020-06-23
AU2009249499A1 (en) 2009-11-26
CN102066217B (zh) 2013-04-10
MX2010012620A (es) 2011-02-25
PL2280886T3 (pl) 2012-04-30
WO2009142809A1 (en) 2009-11-26
JP2011520733A (ja) 2011-07-21
EP2280886B1 (en) 2011-12-07
US20080217138A1 (en) 2008-09-11
US7506751B2 (en) 2009-03-24
BRPI0908643B1 (pt) 2021-02-23
EP2280886A1 (en) 2011-02-09
AU2009249499B2 (en) 2013-09-19
KR20110022612A (ko) 2011-03-07
ES2378376T3 (es) 2012-04-11
ZA201008502B (en) 2012-01-25
NZ588856A (en) 2012-07-27
CN102066217A (zh) 2011-05-18
JP5580810B2 (ja) 2014-08-27
ATE536324T1 (de) 2011-12-15
CA2724990A1 (en) 2009-11-26
CA2724990C (en) 2014-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018B1 (ko) 물품을 전환시키는 컨베이어 시스템
USRE49707E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verting objects
EP3092188B1 (en) Conveyor systems for diverting objects
US7971701B2 (en) Diagonal sorter
EP1144279B1 (en) Conveyor having an article-conveying surface with article-engagement characteristics that can be changed while the conveyor is run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