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508B1 -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508B1
KR101559508B1 KR1020140050321A KR20140050321A KR101559508B1 KR 101559508 B1 KR101559508 B1 KR 101559508B1 KR 1020140050321 A KR1020140050321 A KR 1020140050321A KR 20140050321 A KR20140050321 A KR 20140050321A KR 101559508 B1 KR101559508 B1 KR 101559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housing
preventing member
noise
outer r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준용
김선직
최종환
Original Assignee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0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6Optimisation of rolling resistance, e.g. weight reduction 

Landscapes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실할 위험이 없고, 분해 조립이 용이하며, 무게 및 재료비를 줄일 수 있는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는, 아우터 레이스의 축부에 삽입되고 상기 아우터 레이스의 하우징의 단부에 구비되어 허브 베어링과의 마찰 소음을 방지하는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로, 상기 축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접촉되는 원판 형상의 마찰 방지 부재; 및 상기 마찰 방지 부재의 가장자리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마찰 방지 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적어도 두 개의 착탈 리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Structure for preventing fiction-noise of driving shaf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구동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엔진의 동력은 변속기를 거쳐 구동축에 의해 구동 바퀴로 전달된다. 이때, 구동축은 엔진의 토크를 전달받아 고속 회전하게 되어 비틀림 진동이나 굽힘 진동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축은 엔진으로부터 변속기를 거쳐 전달받은 동력을 구동바퀴로 원활하게 전달하기 위해 양 선단에 축이음 부재를 장착하고 있다.
등속 조인트는 상기한 축이음 부재의 한 종류로, 컵 형상의 하우징과 축부를 갖는 아우터 레이스(outer race)와,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이너 레이스(inner race)와, 그리고 하우징에 연결되며 윤활유를 실링하는 부트(boot)를 포함한다. 한편, 아우터 레이스의 축부에는 외주면에 베어링이 결합된 허브가 체결된다.
이와 같은 부품으로 구성된 등속 조인트는 엔진으로부터 변속기를 거쳐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되는 구동축에 맞물려 함께 고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아우터 레이스와 허브 사이의 틈새 오차가 발생하고, 아우터 레이스의 축부의 탄성변형으로 인해 허브에 결합된 베어링과 아우터 레이스의 하우징의 단부의 접촉부가 엇갈리며 마찰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마찰소음의 발생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그 사이에 접촉형 와셔(washer)를 접촉시키거나 체결형 와셔를 체결하는 방법을 이용했다.
그러나 종래의 접촉형 와셔(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된 원판 형상을 가지므로, 차량을 조립하는 작업자의 입장에서 접촉형 와셔(30)를 제 위치에 장착하는데 번거로움이 있고, 접촉형 와셔(30)를 축부에 조립하여 운반할 경우 흘러 내려 망실할 위험이 있다.
또한, 종래의 체결형 와셔(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된 원판 형상의 몸체(41)의 외주연에 연이어서 몸체(41)에 대해 대략 90도 절곡된 체결 칼라(42)(coupling collar)가 그 외주연 전체에 환형으로 감싸는 형상을 가지므로, 요구 이탈력이 커 분해 조립이 어렵고, 즉 아우터 레이스의 하우징 단부에 체결 칼라(42)가 일단 끼워지면 그 강한 체결력에 의해 제거가 어렵고, 체결 칼라(42)가 외주연 전체에 환형으로 존재하므로 무게 및 재료비가 많이 나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망실할 위험이 없고, 분해 조립이 용이하며, 무게 및 재료비를 줄일 수 있는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는, 아우터 레이스의 축부에 삽입되고 상기 아우터 레이스의 하우징의 단부에 구비되어 허브 베어링과의 마찰 소음을 방지하는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로, 상기 축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접촉되는 원판 형상의 마찰 방지 부재; 및 상기 마찰 방지 부재의 가장자리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마찰 방지 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적어도 두 개의 착탈 리브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착탈 리브는, 상기 마찰 방지 부재의 외주연에 180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 및 제2 착탈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착탈 리브는, 상기 마찰 방지 부재의 외주연에 120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 제2 및 제3 착탈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착탈 리브 각각에는 상기 마찰 방지 부재의 이탈력을 조절하는 조절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절구는, 상기 각 착탈 리브에 상기 마찰 방지 부재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구는 프레스 가공을 통해 상기 각 착탈 리브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마찰 방지 부재와, 그리고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착탈 리브를 제공하므로, 적어도 두 개의 착탈 리브를 통해 마찰 방지 부재가 망실될 위험이 없고, 적어도 두 개의 착탈 리브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므로 이 착탈 리브를 통한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적어도 두 개의 착탈 리브 사이의 간격을 통해 무게 및 재료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절구를 제공하므로, 이 조절구를 통해 마찰 방지 부재의 이탈력을 조절할 수 있어, 마찰 방지 부재의 망실 위험이 없으면서도 분해 조립이 용이한 설계치를 쉽고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가 장착된 등속 조인트의 아우터 레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접촉형 와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체결형 와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가 장착된 등속 조인트의 아우터 레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레이스(10)의 축부(13)에 삽입되고 아우터 레이스(10)의 하우징(11)의 단부에 구비되어 허브 베어링(3)과의 마찰 소음을 방지하는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로, 마찰 방지 부재(110)와, 그리고 적어도 두 개의 착탈 리브(120)를 포함한다.
아우터 레이스(10)의 하우징(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형상을 하며 그 내측에 이너 레이스(4)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은 중간 샤프트(6)의 일단에 연결 설치된 이너 레이스(4)가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내면에는 이너 레이스(4)에 구비되는 복수의 스틸 볼(5)이 구름 접촉되도록 반원형의 마찰 저감홈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우터 레이스(10)의 축부(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110)의 타측 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며, 허브(2)가 이에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축부(13)의 둘레에는 허브(2)가 체결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허브(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레이스(10)의 축부(13)에 체결되며 그 외주면에는 허브 베어링(3)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허브(2)는 내부가 중공되어 아우터 레이스(10)와 체결되는 결합부에 나사산(8)이 형성되어 아우터 레이스(10)의 축부(13)와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이때, 허브(2)는 아우터 레이스(10)에 체결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너트(7)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레이스(10)의 하우징(11)의 단부에 마주하여 축간 마찰을 줄이기 위해 허브(2)의 외주면에는 허브 베어링(3)이 결합된다.
마찰 방지 부재(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13)가 삽입되는 삽입공(111)을 가지고 하우징(11)의 단부에 접촉되어 허브 베어링(3)과의 마찰을 저감시킨다.
적어도 두 개의 착탈 리브(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 방지 부재(110)의 가장자리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마찰 방지 부재(110)를 하우징(11)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예를 들어, 적어도 두 개의 착탈 리브(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 방지 부재(110)의 외주연에 180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 및 제2 착탈 리브(121)(12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두 개의 착탈 리브(120)를 통해 마찰 방지 부재(110)가 망실될 위험이 없고, 적어도 두 개의 착탈 리브(120)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므로 이 착탈 리브(120)를 통한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적어도 두 개의 착탈 리브(120) 사이의 간격을 통해 무게 및 재료비를 줄일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의 착탈 리브(220)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착탈 리브(220) 위주로 설명한다.
적어도 두 개의 착탈 리브(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 방지 부재(210)의 외주연에 120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 제2 및 제3 착탈 리브(221)(222)(22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3개의 착탈 리브(221)(222)(223)를 제공하므로 2개의 착탈 리브(121)(122)를 제공하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비해 무게 및 재료비가 증가되기는 하나, 120도 간격으로 하우징(11)의 단부를 잡아주므로 마찰 방지 부재(210)의 망실 위험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3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의 착탈 리브(320)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착탈 리브(320) 위주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의 착탈 리브(320) 각각에는 마찰 방지 부재(310)의 이탈력을 조절하는 조절구(320a)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구(320a)는, 각 착탈 리브(320)에 마찰 방지 부재(31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조절구(320a)는 프레스 가공을 통해 착탈 리브(320)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조절구(320a)는 프레스를 통해 착탈 리브(320)에 엠보싱 형태(embossing shape)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조절구(320a)를 통해 마찰 방지 부재(310)의 이탈력을 조절할 수 있어, 마찰 방지 부재(310)의 망실 위험이 없으면서도 분해 조립이 용이한 설계치를 쉽고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100, 200, 300)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마찰 방지 부재(110, 210, 310)와, 그리고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착탈 리브(120. 220. 320)를 제공하므로, 적어도 두 개의 착탈 리브(120, 220, 320)를 통해 마찰 방지 부재(110, 210, 310)가 망실될 위험이 없고, 적어도 두 개의 착탈 리브(120, 220, 320)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므로 이 착탈 리브(120, 220, 320)를 통한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적어도 두 개의 착탈 리브(120, 220, 320) 사이의 간격을 통해 무게 및 재료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조절구(320a)를 제공하므로, 이 조절구(320a)를 통해 마찰 방지 부재(310)의 이탈력을 조절할 수 있어, 마찰 방지 부재(310)의 망실 위험이 없으면서도 분해 조립이 용이한 설계치를 쉽고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2: 허브 3: 허브 베어링
10: 아우터 레이스 11: 하우징
13: 축부 100, 200, 300: 마찰 소음 방지 구조
110, 210, 310: 마찰 방지 부재 111, 211, 311: 삽입공
120, 220, 320: 적어도 두 개의 착탈 리브
121, 221: 제1 착탈 리브 122, 222: 제2 착탈 리브
223: 제3 착탈 리브 320a: 조절구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아우터 레이스의 축부에 삽입되고 상기 아우터 레이스의 하우징의 단부에 구비되어 허브 베어링과의 마찰 소음을 방지하는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로,
    상기 축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접촉되는 원판 형상의 마찰 방지 부재; 및
    상기 마찰 방지 부재의 가장자리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마찰 방지 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적어도 두 개의 착탈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착탈 리브 각각에는
    상기 마찰 방지 부재의 이탈력을 조절하는 조절구가 구비되는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
  5. 제4항에서,
    상기 조절구는
    상기 각 착탈 리브에 상기 마찰 방지 부재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
  6. 제5항에서,
    상기 조절구는 프레스 가공을 통해 상기 각 착탈 리브에 돌출 형성되는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
KR1020140050321A 2014-04-25 2014-04-25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 KR101559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321A KR101559508B1 (ko) 2014-04-25 2014-04-25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321A KR101559508B1 (ko) 2014-04-25 2014-04-25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9508B1 true KR101559508B1 (ko) 2015-10-12

Family

ID=54347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321A KR101559508B1 (ko) 2014-04-25 2014-04-25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5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201B1 (ko) * 2016-09-12 2017-02-15 주식회사 봉성비에스 등속조인트용 결착와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8986A (ja) * 2003-10-24 2007-04-12 ゲー カー エヌ ドライブライ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支持ディスクを備えたジョイント外側部分
JP2011005956A (ja) * 2009-06-25 2011-01-13 Ntn Corp 車輪用軸受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8986A (ja) * 2003-10-24 2007-04-12 ゲー カー エヌ ドライブライ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支持ディスクを備えたジョイント外側部分
JP2011005956A (ja) * 2009-06-25 2011-01-13 Ntn Corp 車輪用軸受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201B1 (ko) * 2016-09-12 2017-02-15 주식회사 봉성비에스 등속조인트용 결착와셔
CN107816484A (zh) * 2016-09-12 2018-03-20 株式会社峰成Bs 用于等速万向节的联结垫圈
CN107816484B (zh) * 2016-09-12 2020-06-16 株式会社峰成Bs 用于等速万向节的联结垫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5571A (en) Axle unit for driving a vehicle wheel
US8047724B2 (en) Bearing device for wheel
JPH06234302A (ja) 車輌用車輪ハブユニット
KR102016955B1 (ko) 코너 모듈
JPH09164803A (ja) 駆動輪支持用ハブユニット
KR101609828B1 (ko) 너클 및 휠 베어링 조립체
KR101559508B1 (ko) 구동축의 마찰 소음 방지 구조
JP6381238B2 (ja) 駆動輪のハブと動力伝達継手の椀形状体とのアセンブリ
JP4952922B2 (ja) エンジン騒音低減装置
JP4533272B2 (ja) 動力伝達装置
KR101935420B1 (ko) 휠 베어링 어셈블리 및 휠 베어링
JP4943019B2 (ja) 車輪用軸受装置の製造方法
JP2007327565A (ja) 車輪用軸受装置
KR101416384B1 (ko) 차량용 휠 베어링 유닛
JP2005289255A (ja) 車両用駆動輪ハブユニット
WO2017033571A1 (ja) 動力伝達装置
JP2018087601A (ja) スプライン嵌合構造、車輪用軸受装置、およびドライブシャフト
KR20170025426A (ko) 구동 휠 베어링의 씰링장치
JP2008240992A (ja) ハブユニット軸受
KR101431097B1 (ko) 휠 베어링 조립체
JP2014206239A (ja) 撓み軸継手
JP2014206239A5 (ko)
KR20140055751A (ko) 차량의 드라이브 샤프트와 허브 연결구조
KR101837396B1 (ko) 등속조인트
KR20200139502A (ko) 원가절감과 노이즈 제거로 운전피로도를 감소시킨 허브베어링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