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890B1 - 차량 머플러의 배기파이프 삽입연결부 확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머플러의 배기파이프 삽입연결부 확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890B1
KR101558890B1 KR1020130086287A KR20130086287A KR101558890B1 KR 101558890 B1 KR101558890 B1 KR 101558890B1 KR 1020130086287 A KR1020130086287 A KR 1020130086287A KR 20130086287 A KR20130086287 A KR 20130086287A KR 101558890 B1 KR101558890 B1 KR 101558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ffler
unit
expanding
exhaust pipe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1245A (ko
Inventor
강승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우공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우공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우공영
Priority to KR1020130086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890B1/ko
Publication of KR20150011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8Tube expa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2Enl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머플러의 배기파이프 삽입연결부 확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삽입연결부를 갖는 머플러를 장치 상에 안착 고정 및 가압 지지하기 위한 머플러 고정유닛; 상기 머플러 고정유닛에 대해 X축(좌우), Y축(전후), Z축(상하), θ축(회전) 방향에 대한 각각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머플러 측 삽입연결부에 대한 확관 작업이 가능하도록 확관유닛 측의 원하는 곳에 머플러가 위치하도록 조정하기 위한 위치조정유닛; 상기 머플러 고정유닛 상에 안착 고정된 상태로 가압 지지되고 위치조정유닛에 의해 위치 제어된 머플러에 대해 삽입연결부를 확관 처리하기 위한 확관유닛; 을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종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머플러측 삽입연결부의 확관 작업을 자동화 처리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정밀한 확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 머플러의 배기파이프 삽입연결부 확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머플러의 배기파이프 삽입연결부 확관장치{EXPANDING APPARATUS FOR EXHAUST PIPE INSERTION JOINT PART OF VEHICLE MUFFLER}
본 발명은 차량의 배기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 배기파이프를 삽입 연결하는데 용이성을 부여하기 위한 차량 머플러측 삽입연결부 확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머플러측 삽입연결부의 확관 작업을 자동화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정밀한 확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머플러의 배기파이프 삽입연결부 확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배기시스템은 차량의 바닥 하부면에 배치되어 차량에서 발생하는 각종 배기가스의 소음 및 불순물 등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엔진의 배기가스를 엔진의 외부로 유도하는 배기매니폴드와, 상기 배기매니폴드에 일단이 연결되면서 타단은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차체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차체에 지지되는 배기파이프와, 상기 배기파이프의 연장 경로에 설치되는 머플러(소음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머플러는 하우징의 형체를 갖는 것으로서, 도 1의 예시에서와 같이, 하우징(10)의 좌우측부에 배기가스의 유입과 유출을 담당하는 2개의 배기파이프(20)를 삽입 연결할 수 있도록 홀(hole) 또는 파이프(pipe) 형태의 삽입연결부(11)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연결부(11)는 배기파이프(20)의 삽입에 따른 용이성을 부여하기 위해 직경을 확경(擴徑)시켜 넓히는 확관 작업이 요구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차량의 머플러측 삽입연결부(11)를 확관 처리하는 경우, 수작업으로 확관 작업이 수행됨에 의해 작업능률이 저하될뿐더러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확관 부위의 정밀성 또한 떨어지므로 배기파이프(20)의 삽입시 공차가 발생되어 배기파이프(20)를 삽입 후 용접으로 연결을 마감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차량의 배기파이프와 연결되는 머플러측 삽입연결부의 확관 처리기술 관련해서는 종래 제안된 선행기술을 찾기가 어려웠으며, 국내등록특허 제10-0336323호에서는 파이프 상호간의 연결 작업이나 사이즈가 다른 파이프 상호간의 연결시 또는 별도의 조립부재를 연결하고자 파이프의 선단을 필요한 형상으로 확관하는데 사용되는 파이프 확관기를 제안하고 있고, 국내공개특허 제10-2007-0090056호에서는 보일러나 콘덴서 또는 라디에이터 등의 열교환기의 제조 공정의 튜브를 관판에 접합 고정하는 공정에 있어서 튜브를 내경측으로부터 확관 성형하기 위한 튜브 확관장치를 제안하고 있을 뿐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3632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9005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 등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배기시스템에 있어 배기가스의 유입과 유출을 담당하는 배기파이프를 머플러측 삽입연결부에 용이하게 삽입 연결할 수 있도록 배기파이프의 직경에 맞게 머플러측 삽입연결부를 확관 처리하기 위한 차량 머플러의 배기파이프 삽입연결부 확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머플러측 삽입연결부의 확관 작업을 자동화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절감함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공차를 없앨 수 있는 등 정밀한 확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머플러의 배기파이프 삽입연결부 확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장치의 효율적인 구조배치설계를 통해 하나의 장치 내에서 다양한 규격에 대응하여 확관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다단계를 거친 점진적 확관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완전한 원형상의 확관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 머플러의 배기파이프 삽입연결부 확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머플러의 배기파이프 삽입연결부 확관장치는, 삽입연결부를 갖는 머플러를 장치 상에 안착 고정 및 가압 지지하기 위한 머플러 고정유닛; 상기 머플러 고정유닛에 대해 X축(좌우), Y축(전후), Z축(상하), θ축(회전) 방향에 대한 각각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머플러 측 삽입연결부에 대한 확관 작업이 가능하도록 확관유닛 측의 원하는 곳에 머플러가 위치하도록 조정하기 위한 위치조정유닛; 상기 머플러 고정유닛 상에 안착 고정된 상태로 가압 지지되고 위치조정유닛에 의해 위치 제어된 머플러에 대해 삽입연결부를 확관 처리하기 위한 확관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머플러 고정유닛은 삽입연결부를 갖는 머플러를 장치 상에 안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머플러 고정지그; 상기 머플러 고정지그에 안착 고정된 머플러의 상면을 눌러 움직이지 않도록 가압 지지하기 위한 머플러 지지클램프; 상기 머플러 지지클램프를 통한 머플러 상면의 가압 지지 또는 해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클램프 구동실린더; 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조정유닛은 머플러 고정유닛에 대해 좌우(左右)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X축 구동부; 머플러 고정유닛에 대해 전후(前後)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Y축 구동부; 머플러 고정유닛에 대해 상하(上下)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Z축 구동부; 머플러 고정유닛에 대해 회전에 따른 방향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θ축 구동부; 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관유닛은 분할된 다수의 조각편으로 원형몸체를 형성하되 전방(前方)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진 관통중공이 중심부에 형성되는 확관수행부재; 상기 확관수행부재의 테이퍼진 관통중공에 삽입 가능하도록 테이퍼진 삽입몸체를 가지며 분할된 다수의 조각편을 외측방향으로 확장 유도하기 위한 확관유도부재; 상기 확관유도부재의 전후진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후진구동 실린더; 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관유닛은 확관수행부재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 제어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확관유도부재의 삽입에 따른 확관수행부재의 외측 확장유도 가압시 조각편 사이의 틈새로 인해 확관되지 아니하는 부위까지 커버하여 완전한 원형의 확관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진원확관수단; 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관유닛은 서로 다른 직경의 크기를 갖는 확관수행부재를 다수 배열하는 구성을 통해 하나의 장치 내에서 다양한 규격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다단계를 거친 점진적 확관작업으로 보다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머플러측 삽입연결부의 확관 작업을 자동화 처리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정밀한 확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업시간 및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불량률까지 개선할 수 있으며, 확관 부위의 정밀성 증대를 통해 배기파이프의 삽입에 따른 공차를 없앨 수 있어 이후 용접품질에 보탬을 줄 수 있으며, 차량의 머플러 제조를 위한 일련의 제조공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장치의 효율적인 구조배치설계를 통해 하나의 장치 내에서 다양한 규격에 대응하여 확관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할 수 있고, 다단계를 거친 점진적 확관작업은 물론 완전한 원형상의 확관작업을 가능하게 하므로 확관작업의 정밀성을 높일 수 있으며,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차량 머플러와 배기파이프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머플러의 배기파이프 삽입연결부 확관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머플러의 배기파이프 삽입연결부 확관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머플러의 배기파이프 삽입연결부 확관장치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머플러의 배기파이프 삽입연결부 확관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머플러 고정유닛(100), 위치조정유닛(200), 확관유닛(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머플러 고정유닛(100)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하우징 몸체를 갖되 좌우 양측부에 삽입연결부(2)가 형성된 머플러(1)를 장치 상에 안착 고정 및 가압 지지하기 위한 유닛으로서, 삽입연결부(2)가 형성된 머플러(1)를 장치 상에 안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머플러 고정지그(110)와, 상기 머플러 고정지그(110)에 안착 고정된 머플러(1)의 상면을 눌러 움직이지 않도록 가압 지지하기 위한 머플러 지지클램프(120)와, 상기 머플러 지지클램프(120)를 통한 머플러(1) 상면의 가압 지지 또는 해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클램프 구동실린더(130)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머플러 지지클램프(120)는 클램프 구동실린더(130)의 동작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동(回動)되게 결합 구성함으로써 머플러(1)의 상면을 가압 지지 또는 가압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머플러 고정지그(110)는 교체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머플러(1)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달리 적용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상기 위치조정유닛(200)은 머플러 고정유닛(100)에 대해 X축(좌우), Y축(전후), Z축(상하), θ축(회전) 방향에 대한 각각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유닛으로서, 머플러(1) 측 삽입연결부(2)에 대한 확관 작업이 가능하도록 확관유닛(300) 측의 원하는 곳에 머플러(1)가 위치하도록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조정유닛(200)은 머플러 고정유닛(100)에 대해 좌우(左右)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X축 구동부(210)와, 머플러 고정유닛(100)에 대해 전후(前後)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Y축 구동부(220)와, 머플러 고정유닛(100)에 대해 상하(上下)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Z축 구동부(230)와, 머플러 고정유닛(100)에 대해 회전에 따른 방향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θ축 구동부(240)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X축 구동부(210)는 제1서보모터(211)의 동작제어로 좌우(左右)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게 하고, Y축 구동부(220)는 제2서보모터(221)의 동작제어로 전후(前後)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게 하고, Z축 구동부(230)는 상하구동 실린더(231)의 동작제어로 상하(上下)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게 하며, 상기 θ축 구동부(240)는 0~18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구동 실린더(241) 및 기어(242) 결합을 통한 동작제어로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확관유닛(300)은 머플러 고정유닛(100) 상에 안착 고정된 상태로 가압 지지되고 위치조정유닛(200)에 의해 위치 제어된 머플러(1)에 대해 삽입연결부(2)의 직경을 확경 처리하기 위한 유닛으로서, 분할된 다수의 조각편으로 원형몸체(311)를 형성하되 전방(前方)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진 관통중공(312)이 중심부에 형성되는 확관수행부재(310)와, 상기 확관수행부재(310)의 테이퍼진 관통중공(312)에 삽입 가능하도록 테이퍼진 삽입몸체를 가지며 분할된 다수의 조각편으로 형성된 원형몸체(311)를 외측방향으로 확장 유도하기 위한 확관유도부재(320)와, 상기 확관유도부재(320)의 전후진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후진구동 실린더(330)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확관유닛(300)에는 분할된 다수의 조각편으로 형성되는 확관수행부재(310)에 대해 완전한 원형의 확관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확관수행부재(31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 제어하기 위한 진원(眞圓)확관수단(3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원확관수단(340)은 분할된 다수의 조각편으로 형성되는 확관수행부재(31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0~20도를 회전시켜줌으로써 확관유도부재(320)의 삽입에 따른 외측 확장유도 가압시 조각편 사이의 틈새로 인해 확관되지 아니하는 부위까지 커버하여 완전한 원형의 확관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진원구동 실린더(341)를 확관수행부재(310) 측에 결합함으로써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확관유닛(3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성 및 정밀성을 위해 1개가 아닌 다수 개의 설치구조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면, 확관유닛(300)을 4개로 배열하여 설치하되, 확관수행부재(310)의 직경을 모두 다르게 형성시킴으로써 하나의 장치 내에서 다양한 규격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다단계를 거친 점진적 확관작업을 통해 보다 정밀한 확관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머플러 고정유닛(100)을 비롯한 위치조정유닛(200) 및 확관유닛(300) 측에는 원활한 동작 및 작업 연계성을 위해 센서(미 도시됨)가 다수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사항이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머플러의 배기파이프 삽입연결부 확관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머플러 고정지그(110) 상에 삽입연결부(2)가 형성된 머플러(1)가 안착 고정되면, 클램프 구동실린더(130)가 동작하여 머플러 지지클램프(120)를 하측방향으로 회동(回動)시킴으로써 머플러(1)의 상면을 눌러 가압 지지하게 되며, 머플러(1)는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되어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때, 머플러(1)는 로봇 등의 이동기구를 통해 머플러 고정지그(110) 상에 안착되게 구성할 수 있고, 때로는 작업자에 의해 안착 고정될 수 있다.
이어, 위치조정유닛(200)이 동작되며, 삽입연결부(2)를 갖는 머플러(1)가 안착 고정 및 지지되어 있는 머플러 고정유닛(100)에 대해 X축 구동부(210)가 제1서보모터(211)의 동작제어로 좌우(左右)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게 되고, Y축 구동부(220)가 제2서보모터(221)의 동작제어로 전후(前後)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게 되고, Z축 구동부(230)가 상하구동 실린더(231)의 동작제어로 상하(上下)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게 되며, θ축 구동부(240)가 회전구동 실린더(241) 및 기어(242)를 통한 동작제어로 회전 및 방향 전환하게 된다.
이러한 위치조정유닛(200)의 위치 조정에 따라 확관작업을 위한 확관유닛(300) 측의 원하는 곳에 머플러(1)가 위치하도록 이동 조정함과 더불어 머플러(1)의 어느 일측에 형성된 머플러(1)의 삽입연결부(2)가 확관유닛(300)의 확관수행부재(310) 측에 삽입되어 위치되게 한다.
이후, 확관유닛(300)에서는 전후진구동 실린더(330)의 전진 구동을 통해 확관수행부재(310)의 테이퍼진 관통중공(312) 내에 위치된 확관유도부재(320)를 전진시켜 분할된 다수의 조각편으로 형성된 확관수행부재(310)를 외측방향으로 확장 유도하게 되며, 이에 따라 확관수행부재(310)는 분할된 조각편의 외측 확장을 통해 머플러(1)의 삽입연결부(2) 측 직경을 강제 확경하는 확관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확관유닛(300)에서는 머플러(1)의 삽입연결부(2) 측 확관시 진원(眞圓)확관수단(340)인 진원구동 실린더(341)를 구동시킴으로써 확관수행부재(31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0~20도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분할된 조각편 사이의 틈새로 인해 삽입연결부(2)의 확관되지 아니하는 부위까지 커버하여 확관 처리하게 되며, 완전한 원형의 확관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확관유닛(300)의 구성요소를 다수 개로 배열 설치하되 확관수행부재(310)의 직경을 규격별로 모두 다르게 형성시킨 경우, 다단계를 거친 점진적 확관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보다 정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머플러(1)의 어느 한쪽 삽입연결부(2)에 대한 확관작업이 완료되면, 위치조정유닛(200)이 다시 구동하여 위치 조정함으로써 머플러(1)의 다른 한쪽 삽입연결부(2)를 확관유닛(300)의 확관수행부재(310) 측에 삽입 위치되게 한다.
이때, 위치조정유닛(200)의 θ축 구동부(240)는 머플러(1)의 방향 전환을 위해 반드시 구동되며, 180도 회전을 통해 방향을 전환시킨다.
이후, 이미 상술하게 설명한 확관유닛(300)에서의 전후진구동 실린더(330)와 확관유도부재(320) 및 확관수행부재(310)의 동작을 통해 머플러(1)의 다른 한쪽 삽입연결부(2) 측 직경을 강제 확경하는 확관작업을 수행함과 더불어 진원확관수단(340)의 구동을 통해 완전한 원형의 확관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또는 치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머플러 고정유닛
110: 머플러 고정지그 120: 머플러 지지클램프
130: 클램프 구동실린더
200: 위치조정유닛
210: X축 구동부 211: 제1서보모터
220: Y축 구동부 221: 제2서보모터
230: Z축 구동부 231: 상하구동 실린더
240: θ축 구동부 241: 회전구동 실린더
242: 기어
300: 확관유닛
310: 확관수행부재 311: 원형몸체
312: 관통중공 320: 확관유도부재
330: 전후진구동 실린더 340: 진원확관수단
341: 진원구동 실린더

Claims (6)

  1. 차량 머플러의 배기파이프 삽입연결부를 확관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삽입연결부를 갖는 머플러를 장치 상에 안착 고정 및 가압 지지하기 위한 머플러 고정유닛;
    상기 머플러 고정유닛에 대해 X축(좌우), Y축(전후), Z축(상하), θ축(회전) 방향에 대한 각각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머플러 측 삽입연결부에 대한 확관 작업이 가능하도록 확관유닛 측의 원하는 곳에 머플러가 위치하도록 조정하기 위한 위치조정유닛;
    상기 머플러 고정유닛 상에 안착 고정된 상태로 가압 지지되고 위치조정유닛에 의해 위치 제어된 머플러에 대해 삽입연결부를 확관 처리하기 위한 확관유닛; 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확관유닛은 분할된 다수의 조각편으로 원형몸체를 형성하되 전방(前方)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진 관통중공이 중심부에 형성되는 확관수행부재; 상기 확관수행부재의 테이퍼진 관통중공에 삽입 가능하도록 테이퍼진 삽입몸체를 가지며 분할된 다수의 조각편을 외측방향으로 확장 유도하기 위한 확관유도부재; 상기 확관유도부재의 전후진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후진구동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확관수행부재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 제어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확관유도부재의 삽입에 따른 확관수행부재의 외측 확장유도 가압시에 조각편 사이의 틈새로 인해 확관되지 아니하는 부위까지 커버하여 진원의 확관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진원확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머플러의 배기파이프 삽입연결부 확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 고정유닛은,
    삽입연결부를 갖는 머플러를 장치 상에 안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머플러 고정지그;
    상기 머플러 고정지그에 안착 고정된 머플러의 상면을 눌러 움직이지 않도록 가압 지지하기 위한 머플러 지지클램프;
    상기 머플러 지지클램프를 통한 머플러 상면의 가압 지지 또는 해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클램프 구동실린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머플러의 배기파이프 삽입연결부 확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유닛은,
    머플러 고정유닛에 대해 좌우(左右)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X축 구동부;
    머플러 고정유닛에 대해 전후(前後)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Y축 구동부;
    머플러 고정유닛에 대해 상하(上下)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Z축 구동부;
    머플러 고정유닛에 대해 회전에 따른 방향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θ축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머플러의 배기파이프 삽입연결부 확관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유닛은,
    서로 다른 직경의 크기를 갖는 확관수행부재를 다수 배열하는 구성을 통해 하나의 장치 내에서 다양한 규격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다단계를 거친 점진적 확관작업으로 보다 정밀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머플러의 배기파이프 삽입연결부 확관장치.

    .
KR1020130086287A 2013-07-22 2013-07-22 차량 머플러의 배기파이프 삽입연결부 확관장치 KR101558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287A KR101558890B1 (ko) 2013-07-22 2013-07-22 차량 머플러의 배기파이프 삽입연결부 확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287A KR101558890B1 (ko) 2013-07-22 2013-07-22 차량 머플러의 배기파이프 삽입연결부 확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245A KR20150011245A (ko) 2015-01-30
KR101558890B1 true KR101558890B1 (ko) 2015-10-12

Family

ID=52482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287A KR101558890B1 (ko) 2013-07-22 2013-07-22 차량 머플러의 배기파이프 삽입연결부 확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88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508A (ko) 2016-08-26 2018-03-07 윤선규 자동확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4734A (ja) 1999-03-10 2000-09-19 Daito Spinning:Kk パイプ成形装置
JP7080019B2 (ja) 2017-06-02 2022-06-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列車運行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4734A (ja) 1999-03-10 2000-09-19 Daito Spinning:Kk パイプ成形装置
JP7080019B2 (ja) 2017-06-02 2022-06-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列車運行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508A (ko) 2016-08-26 2018-03-07 윤선규 자동확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245A (ko) 2015-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44604B (zh) 汽车空调热交换器中集流管、扁管和翅片组装设备及工艺
CN103894776B (zh) 一种快速拼装夹具
KR19990045474A (ko) 원통형부재의 단부를 성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584474B1 (ko) 자동차 아암 용접용 지그
KR101558890B1 (ko) 차량 머플러의 배기파이프 삽입연결부 확관장치
CN104879341A (zh) 一种长度可调的液压伺服作动器
CN104384781A (zh) 汽车净化器的法兰定位装置
CN115401379A (zh) 一种结构管自动焊接设备
CN111037070B (zh) 一种异形构件焊前装配的自动化内撑工装夹具
CN217316620U (zh) 汽车座椅骨架焊接工装
CN107999924B (zh) 长直结构导管钎焊用的同轴度精密控制装置及方法
CN210818183U (zh) 一种自行车车架自动焊接柔性工装
CN210649122U (zh) 车架座管焊接辅助治具
CN115890074A (zh) 一种铸件孔修复装置及铸件孔修复方法
CN113664346B (zh) 一种航空发动机燃油总管自动焊接气动式夹具
CN109664129B (zh) 一种电机悬置支架管梁的夹具及加工方法
CN203863251U (zh) 一种带白磁铁的夹紧工件
JP4637639B2 (ja) ミキサドラム後端部の製造方法、治具およびミキサドラム後端部の製造装置
CN110560974B (zh) 一种汽车消音器自动焊接系统
CN203621797U (zh) 一种汽车发动机排气系统出气锥管内壳的焊接夹具
CN203751569U (zh) 辅助工装组件
CN218695673U (zh) 一种用于管道焊接的定位装置
JPH07204750A (ja) パイプ端部の鍔部成形方法及び装置
JP2006075870A (ja) 軸合わせ機構及び自動管端溶接装置
CN116619039B (zh) 一种压缩机排气管组件的加工成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