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849B1 -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전용 토우·캠버 자동화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전용 토우·캠버 자동화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849B1
KR101558849B1 KR1020150103576A KR20150103576A KR101558849B1 KR 101558849 B1 KR101558849 B1 KR 101558849B1 KR 1020150103576 A KR1020150103576 A KR 1020150103576A KR 20150103576 A KR20150103576 A KR 20150103576A KR 101558849 B1 KR101558849 B1 KR 101558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camber
toe
ball
torsion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동
Original Assignee
이상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동 filed Critical 이상동
Priority to KR1020150103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849B1/ko
Priority to PCT/KR2016/005202 priority patent/WO201701441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torsion-bar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suspensions, brakes or whee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14Suspension elements of automobile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되는 커플드 토션 빔 액슬(Coupled Torsion Beam Axle)의 양측에 요구되는 토우(TOE)·캠버(CAMBER)를 더욱 효과적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즉, 베이스판(100) 상부의 좌, 우측에는 피가공물(A)에 구성된 휠 캐리어(60) 일면의 스핀들 플레이트(70)에 토우·캠버 가공용 밀링머신(200)을 각각 설치하는 것과; 상기 토우·캠버 가공용 밀링머신(200) 사이에는, 트레일링 아암 받침수단(310)과, 상기 스프링 시트(40)의 저면을 받침할 수 있는 스프링 시트 받침수단(320)과, 내부에 통공(31)이 형성된 상기 부쉬 슬리브(30)를 잡아줄 수 있는 부쉬 슬리브 자동화 클램핑장치(330), 상기 스핀들플레이트(70)의 상부를 눌러주는휠 캐리어 누름형 클램프수단(340)이 각각 설치된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를 설치한 것과; 상기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의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지그체 받침대(400)를 설치하되, 상기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와 지그체 받침대(400) 사이에는 이탈착수단(500) 및 픽업수단(600)이 설치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전용 토우·캠버 자동화 가공장치{Couple de torsion beam axle toe, camber only automated processing equipment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되는 커플드 토션 빔 액슬(Coupled Torsion Beam Axle)의 양측에 요구되는 토우(TOE)·캠버(CAMBER)를 더욱 효과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커플드 토션 빔 액슬(CTBA) 전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자동화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CTBA ; Coupled Torsion Beam Axle)는, 독립현가방식의 현가장치에 비하여 승차감 및 조종 안정성 등의 설계 성능 영역이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한 부품 구성으로 인하여 낮은 생산 단가와 중량이 작은 이점으로 주로 경차 및 중,소형급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로 적용되어 왔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피가공물(A)이라 통칭한다.
이러한 피가공물(A)은 지금까지 매우 다양하게 설계 및 제작되고 있기는 하지만,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의 튜브형 토션 빔(10)이 구성되고, 상기 튜브형 토션 빔(10)의 좌,우 한 쌍의 트레일링 아암(20)이 튜브형 토션 빔(10)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트레일링 아암(2)의 앞단부에는 차체에 피봇식으로 결합되는 러버부쉬가 장착된 부쉬 슬리브(30)가 구성되며, 상기 트레일링 아암(20)의 후단부 안쪽에는 현가 스프링이 장착되는 스프링 시트(40)가 구성되는 동시에 쇽 업쇼버가 장착되는 댐퍼 브래킷(50)이 설치되고, 트레일링 아암(2)의 후단부 바깥쪽에는 자동차의 후륜을 결합시키기 위한 휠 캐리어(60)와 스핀들 플레이트(70)가 설치된다.
결국,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CTBA) 즉 피가공물(A)은, 튜브형 토션 빔(10), 트레일링 아암(20), 부쉬 슬리브(30), 스프링 시트(40), 댐퍼 브래킷(50), 휠 캐리어(60) 및 스핀들플레이트(70)이 구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피가공물(A)의 좌우측에 각각 구성되어 있는 휠 캐리어(60) 일면의 스핀들 플레이트(70)에는, 자동차 바퀴의 정렬인 토우(차량의 바퀴를 위에서 봤을때 양쪽 바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타이어의 앞부분과 뒷부분의 길이 차이, Toe) 및 캠버(차량의 바퀴를 정면에서 봤을때 양쪽 바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길이 차이, Camber)를 올바르게 맞춰질 수 있도록 하는 그 가공이 필수로 요구된다.
이때 상기 토우·캠버 가공은, 피가공물이면서 중량체인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CTBA)를 클램프 등으로 견고히 고정한 다음 그 좌,우측에 각각 구성되어 있는 휠 캐리어(60) 일면의 스핀들 플레이트(70)에, 다양한 가공를 대응시켜 원하는 토우(Toe) 및 캠버(Camber)의 각도 조건에 맞게 아주 정밀하게 면치(면을 절삭하는 가공)를 실시하는 것으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CTBA)에 실시되는 종래의 토우·캠버 가공 및 이를 위한 장치는,
부피가 크고 중량체이면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CTBA)을 지그 등에 안착 및 클램프하는 형식이, 지그의 상부에 상당한 크기 프레임과 실린더 동작에 따라 하방으로 눌러서 피가공물을 고정시키는 클램프 시스템 등을 포함하는 복잡구성의 구조물이 설치되어 상방향으로는 비개방성일 수 밖에 없어,
휠 캐리어(60) 일면의 스핀들 플레이트(70)에 토우(Toe) 및 캠버(Camber)의 각도 조건에 맞게 면치를 실시할 때, 면치용 Tool이 움직이는 방향이 전,후로 지나가는 방식에 국한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가공에 필요한 툴의 동작거리가 길고 불필요한 마찰까지 수반하고 이의 원인으로 가공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 Tool의 마모율을 크게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군다나 종래의 장비는 가공이 필요한 피가공물은 지그에 안착시켜 로딩할 때 또는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을 지그로부터 분리하는 언로딩시, 토우·캠버 가공장비에 구비되어 있는 상태의 지그로부터 그 소재를 직접적으로 집어서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부피가 크고 중량체이면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복잡 및 특이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CTBA)을 지그 등에 고정 및 안착하고 분리하는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공정이 상당히 난해하고 매우 정밀하면서 안정적으로 클램프하는 자체로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뿐 아니라, 간섭 등으로 TOOL을 교체하는 과정도 불편하고 중량 및 부피와 함께 설계 및 제작에 따른 공정과 비용 또한 상당하여 지극히 고가일 수 밖에 없ㄴ는 문제점도 있었다.
나아가, 종래의 장비는 특정한 모델의 피가공물에 맞게 제작된 지그가 고정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형태 및 크기 등의 차이점을 갖는 다른 모델의 피가공물인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CTBA)을 가공하고자 할때는,
그 모델에 맞게 설계·제작된 중량 및 초고가인 가공장비를 별도로 더 구매하고 준비하지 않으면 아니됨으로,
다양한 종류 및 모델의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CTBA)에 대한 자유로운 가공을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 및 설치공간 등이 요구되는 등 상당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토우·캠버 가공시,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인 피가공물(A)이 갖는 형태 및 구조적인 특성이 고려되고 신속 간단하면서도 정밀한 가공에 최적의 셋팅조건(고정 및 클램핑)을 제시하는 동시에, 토우·캠버 가공을 위한 면치 작업시 최대한 짧은 시간과 간단한 조작에 의한 효과적인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효율을 극대화하는 한편, 간단한 이탈착의 조작만으로 다양한 모델에 대한 선택적이고 자유로운 멀티가공대응도 가능하게 되는 등 그 효율이 더욱 뛰어난 신개념의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빔액슬 전용 토우·캠버 자동화 가공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판(100) 상부의 좌, 우측에는 피가공물(A)에 구성된 휠 캐리어(60) 일면의 스핀들 플레이트(70)에 토우·캠버 가공용 밀링머신(200)을 상호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각각 설치하는 것과; 상기 토우·캠버 가공용 밀링머신(200) 사이에는, 상기 좌, 우측 휠 캐리어(60)가 부착된 트레일링 아암(20)의 저면부를 지지할 수 있는 트레일링 아암 받침수단(310)과, 상기 스프링 시트(40)의 저면을 받침할 수 있는 스프링 시트 받침수단(320)과, 내부에 통공(31)이 형성된 상기 부쉬 슬리브(30)를 잡아줄 수 있는 부쉬 슬리브 자동화 클램핑장치(330), 그리고 상기 스핀들플레이트(70)의 상부를 눌러주는휠 캐리어 누름형 클램프수단(340)이 각각 설치된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를 설치한 것과; 상기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의 저면에는 일정한 높이 만큼 유지가 가능하도록 받침하는 하나이상의 지그체 받침대(400)를 설치하되, 상기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와 지그체 받침대(400)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서 다른 모델의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로 손쉬운 교체가 가능할 수 있도록 이탈착수단(500) 및 픽업수단(600)이 설치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전용 토우·캠버 자동화 가공장치는, 전술된 바와 같이 피가공물인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CTBA)을 지그장치에 클램핑시킬 때, 안전성이 탁월하면서도 개방성(전체적으로 열려있는 구조임으로 피가공물을 지그에 안착하고 빼내는 데 아주 수월한 구조임)의 특성을 나타내는 뉘어진 상태로 안착이 가능할 뿐 아니라 보다 신속 간단하고 최대한 정밀하게 셋팅이 가능하여 가공준비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피가공물인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CTBA) 양측에 실시되는 토우·캠버 가공을 위한 면치 작업시에는 그 Tool이 상,하 움직임을 통하여 보다 효과적인 절삭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공시간단축과 Tool 교환의 용이성 및 Tool 초경팁의 마모률 저하에도 크게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지그장치만 교체하면 모델이 다른 피가공물도 하나의 장비내에서 가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막대한 비용절감 효과가지 기대되는 등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 작동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 작동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밀링머신,지그장치,이탈착수단의 작동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피가공물이 지그장치에 결합되는 작동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피가공물이 지그장치에 결합된 사시도 및 평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피가공물이 지그장치에 결합된 다른 각도에서 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피가공물의 스핀들 플레이트 가공작동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피가공물의 스핀들 플레이트에 대한 가공용 Tool 가공 작동실시상태 예시도
도 10는 본 발명의 피가공물의 토션 빔 고정을 위한 작동실시 상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피가공물의 토션 빔 고정을 위한 클램프수단 작동실시 상태예시도
도 12은 본 발명의 클램프수단의 부분확대 작동실시 상태 예시도
도 13는 본 발명의 피가공물의 토션 빔 고정을 위한 지그수단 작동실시 상태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지그장치의 또 다른 작동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클램핑장치의 단면 작동실시 상태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클램핑 유닛의 단면 작동실시 상태 예시도
본 발명의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전용 토우·캠버 자동화 가공장치는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즉, 본 발명은 하부에는 일정한 크기와 넓이를 갖는 베이스판(100)이 구성되는 것과;
상기 베이스판(100) 상부의 좌, 우측에는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인 피가공물(A)에 구성된 휠 캐리어(60) 일면의 스핀들 플레이트(70)에 토우·캠버 가공용 밀링머신(200)을 상호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각각 설치하는 것과;
상기 토우·캠버 가공용 밀링머신(200) 사이에는, 상기 좌, 우측 휠 캐리어(60)가 부착된 트레일링 아암(20)의 저면부를 지지할 수 있는 트레일링 아암 받침수단(310)과, 상기 스프링 시트(40)의 저면을 받침할 수 있는 스프링 시트 받침수단(320)과, 내부에 통공(31)이 형성된 상기 부쉬 슬리브(30)를 잡아줄 수 있는 부쉬 슬리브 자동화 클램핑장치(330), 그리고 상기 스핀들플레이트(70)의 상부를 눌러주는휠 캐리어 누름형 클램프수단(340)이 각각 설치된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를 설치한 것과;
상기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의 저면에는 일정한 높이 만큼 유지가 가능하도록 받침하는 하나이상의 지그체 받침대(400)를 설치하되, 상기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와 지그체 받침대(400)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서 다른 모델의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로 손쉬운 교체가 가능할 수 있도록 이탈착수단(500) 및 픽업수단(600)이 설치된 것; 을 그 특징적 요지로 하였다.
<토우·캠버 가공용 밀링머신(200)>
상기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상태에서 베이스판(100) 상부의 좌, 우측에 각각 대칭으로 설치되는 상기 토우·캠버 가공용 밀링머신(200)은,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는 일반적인 밀링머신과 크게 다를 바 없는 것으로 대략적인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인 휠 캐리어(60)의 스핀들 플레이트(70)면에 대하여 토우·캠버 가공을 위한 절삭이 가능한 초경팁을 포함하는 가공용 Tool(210)이 구성되고,
상기 가공용 Tool(210)은 후방으로 이어지는 회전축(미도시) 및 서보모터(220)의 동작에 따라 고속으로 회전이 가능한 동시에,
몸체(230)의 저면과 서로 가이드수단(가이드레일과 가이드블럭간의 맞물림 결합으로 이송이 자유로움, 이하 가이드수단이라 약침함)에 의해 수직으로 연결된 승하강 슬라이드 이송판(240)에 결합되어 정밀한 상,하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할 뿐 아니라,
몸체(230)의 저면과 베이스판(100) 사이에는 가이드수단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좌우방향으로도 슬라이드동작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토우·캠버 가공용 밀링머신(200)에 각각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는 상기 가공용 Tool(210)을 이용하여 토우·캠버를 가공할 때, 좌우 미세한 유동을 포함하고 주로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통해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
그리고, 상기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는, 상호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상기 토우·캠버 가공용 밀링머신(200) 사이에 설치되며, 피가공물인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CTBA)을 안정적이면서 토우·캠버 가공시 필요한 견고하고 정밀한 조건으로 안착 및 셋팅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특히 피가공물(A)에 구비된 부쉬 슬리브(30)는 튜브형 토션 빔(10)의 후방에 위치하는 반면 트레일링 아암(20), 스프링 시트(40), 댐퍼 브래킷(50)은 튜브형 토션 빔(10)의 전방으로 향하게 되고, 양측에는 스핀들플레이트(70)를 포함하는 좌, 우측 휠 캐리어(60)가 각각 위치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옆으로 안전하게 늬어진 상태로 클램핑시키는 장치로서,
지그안착판(301) 위에의 좌,우측에 트레일링 아암 받침수단(310)과, 스프링 시트 받침수단(320), 부쉬 슬리브 자동화 클램핑장치(330),휠 캐리어 누름형 클램프수단(340)이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트레일링 아암 받침수단(310)은,
피가공물에 구성된 상기 좌, 우측 휠 캐리어(60)가 부착된 트레일링 아암(20)의 저면부를 용이하게 받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좌,우측 휠 캐리어(60)가 부착되어 있는 지점의 트레일링 아암 받침수단(310) 저면의 부분적인 형상에 맞게 대응할 수 있는 모양이 포함된 구조의 아암용 받침블럭(311) 및 하나이상의 안내편(312)이 구성된 정도이면 족하다.
스프링 시트 받침수단(320)의 경우에는,
피가공물에 구성된 상기 스프링 시트(40)의 저면을 유효하고 안정적으로 받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스프링 시트의 저면 일부를 받침하는 시트용 받침블럭(221)이 구성되는 동시에 스프링 시트에 천공된 다수개의 홀에 꽂혀서 걸림성까지 부여가 가능한 하나이상의 걸림핀(222)이 돌출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부쉬 슬리브 자동화 클램핑장치(330)는,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하부 지지대의 일측에는 부쉬 슬리브(30)의 바깥쪽 끝부분을 더 이상 이탈 또는 밀리지 않도록 받침하는 부쉬 슬리브 외측 받침부(331)가 구성되고, 이에 맞 대응하는 다른 일측에는 부쉬 슬리브(30)의 내부 통공내에 삽입된 후 볼이 돌출되면서 그 내벽면에 대하여 완벽하고도 견고한 자동화 클램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볼확장형 클램핑 유닛(332)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볼확장형 클램핑 유닛(332)은,
하부 지지대(332-1) 일측에 전후진 이송용 실린더(332-2)가 구성되고, 상기 전후진 이송용 실린더(332-2)의 내부에는 상기 전후진 이송용 실린더(332-2)의 동작에 따라 전,후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이 가능한 전후진 푸시 작동관(332-3)이 관통되며,
상기 푸시 작동관(332-3)의 후방 끝에는 또 다른 클램프 동작용 실린더(332-4)를 하나 더 구성하며,
상기 클램프 동작용 실린더(332-4)로 부터 상기 푸시 작동관(332-3)의 내부를 통과하는 전방으로는 클램프 동작용 실린더(332-4)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전후진 푸시 작동관(332-3)과 별개로 미세간격 추가적인 전후진 푸시동작이 이루어지는 클램프 동작용 푸시로드(332-5)가 더 구비되며,
이때 상기 클램프 동작용 푸시로드(332-5)의 전방 끝에는 일정하게 뛰어나온 도출부(333-1)와 일정각으로 테이퍼진 경사안내부(333-2) 및 수평 기이드부(333-3)로 이루어진 볼클램프 동작용 헤드(33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볼클램프 동작용 헤드(333)가 위치하는 푸시 작동관(332-3) 앞쪽에는 볼클램프 동작용 헤드(333)를 감싸는 동시에 볼클램프 동작용 헤드(333)의 경사안내부(333-2)와 대응하는 지점의 외주 둘레에는 다수의 볼수용홈(334-1)이 형성되어 있는 볼커버용 하우징(334)이 결합되며,
상기 볼커버용 하우징(334)에 형성된 다수의 볼수용홈(334-1)과 볼클램프 동작용 헤드(333)의 경사안내부(333-2) 사이에는 다수의 볼(335)을 수납하여 구성시킨 구조로 설계할 수 있다.
상기 부쉬 슬리브 자동화 클램핑장치(330)를 위와 같이 구성하면, 피가공물(A)에 형성되어 있는 부쉬 슬리브(30)의 바깥쪽 끝부분이 상기 부쉬 슬리브 외측 받침부(331)에 의해 받침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 동작용 실린더(332-4)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전후진 푸시 작동관(332-3)을 전진시켜, 상기 볼클램프 동작용 헤드(333)를 포함하는 볼커버용 하우징(334)의 전측 일부분이 상기 부쉬 슬리브(30) 내의 통공(31)으로 삽입되고,
동시에 상기 클램프 동작용 실린더(332-4)의 동작에 따라 상기 클램프 동작용 푸시로드(332-5)가 앞전과 별개로 2차로 전진하면 상기 볼클램프 동작용 헤드(333) 및 경사안내부(333-2)의 전진 이동 및 이에 의한 확장식 밀림력에 따라 다수의 볼수용홈(334-1)에 각각 장입되어 있던 볼(335)들이 외부로 돌출되면서 이와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는 부쉬 슬리브(30)의 통공 내벽을 가압하면서 완벽한 동심도 유지 및 크램핑동작이 가능하게되는 등 아우 유용하다.
상기 좌,우측에 각각 대칭으로 구비되는 상기 부쉬 슬리브 자동화 클램핑장치(330)의 설치방향은, 도면과 같이 상기 부쉬 슬리브의 기울기 각도에 맞게 비스듬하게 설치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휠 캐리어 누름형 클램프수단(340)은,
상기 스핀들플레이트(70)의 상부를 아주 간단하면서도 손쉽고 안전하게 눌러서 클램핑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부에는 동작용 실린더(341)가 내장되어 있는 지지용 바디(342)가 구성되고, 상기 지지용 바디(342)의 상측에는 내장된 실린더(341)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푸시로드(343)가 구성되며, 상기 푸시로드(343)의 끝단에는 접힘형 누름바(344)가 구성되고, 상기 젖힘형 누름바(344)와 푸시로드(343)의 끝단부 사이에는 힌지핀(345)이 결합되며,
상기 푸시로드(343)가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그 일측의 지지용 바디(342)와 힌지핀(345)이 위치한 자리로 부터 좀더 윗쪽으로 올라간 지점 사이에는 핀(346-1)으로 결합된 링크부재(346)가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접힘형 누름바(344)의 끝단의 일측에는 누름력을 인가시킬 때 좀더 효과적이고 탄력적으로 밀착 대응이 가능한 탄성패드(346)가 보조적으로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휠 캐리어 누름형 클램프수단(340)은, 전,후측에 각각 하나씩 대칭으로 구성하여 셋트화를 이루며, 이는 상기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의 좌, 우측에 각각 한 셋트씩 설치된다.
<이탈착수단(500)>
그리고, 상기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 저면과 지그체 받침대(400)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이탈착수단(500)은,
상기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를 필요에 따라 상기 지그체 받침대(400)로 부터 탈락시키거나 또는 안착 후 체결시키는 등 이탈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지그체 받침대(40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볼트체결홈(510)이 구성되는 한편, 바깥쪽의 측면과 전면에는 각각 하나이상의 안내편(520)과 스톱편(530)이 돌츨되고, 볼트체결홈(510)과 대응하는 상기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의 가장자리에는 볼트홈(540)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는 필요에 따라 양측의 상기 지그체 받침대(400) 위에 안전하게 이송 및 안내하여 안착시킨 후 볼트로 결합시키거나 또는 볼트를 간단하게 풀어서 반대로 분리도 가능하다.
<픽업수단(600)>
상기 픽업수단(600)의 경우에는, 상기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를 이송장비(지게차, 로봇 등) 등으로 용이하게 이송하는데 필요한 수단으로, 상기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 저면의 양측에 지게차, 로봇 등과 같은 이송장비의 포크 삽입되어 중량물인 지그장치(300)를 용이하게 들어서 픽업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포트삽입관(610)이 구성되는 구조다.
상기 이탈착수단(500) 및 픽업수단(600)을 위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는, 파렛트와 같이 지게차나 로봇 등을 이용하여 손쉽게 분리하여 다른 모델의 지그체로 교체할 수도 있게되는 등 상당히 유용하다.
A: 피가공물 20: 아암
30: 슬리브 31: 통공
40: 시트 60: 휠 캐리어
70: 스핀들 플레이트 100: 베이스판
200: 밀링머신 300: 지그장치
301: 안착판 310: 받침수단
320: 받침수단 330: 클램핑장치
340: 클램프수단 400: 받침대
500: 이탈착수단 600: 픽업수단

Claims (7)

  1. 베이스판(100) 상부의 좌, 우측에는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이하 "피가공물" 이라고함, A)에 구성된 휠 캐리어(60) 일면의 스핀들 플레이트(70)에 토우·캠버 가공용 밀링머신(200)을 상호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각각 설치하는 것과;
    상기 토우·캠버 가공용 밀링머신(200) 사이에는, 지그 안착판(301)이 구성되고 그 위에는, 상기 좌, 우측 휠 캐리어(60)가 부착된 트레일링 아암(20)의 저면부를 지지할 수 있는 트레일링 아암 받침수단(310)과, 스프링 시트(40)의 저면을 받침할 수 있는 스프링 시트 받침수단(320)과, 내부에 통공(31)이 형성된 부쉬 슬리브(30)를 잡아줄 수 있는 부쉬 슬리브 자동화 클램핑장치(330), 그리고 상기 스핀들플레이트(70)의 상부를 눌러주는휠 캐리어 누름형 클램프수단(340)이 각각 설치된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를 설치한 것과;
    상기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의 저면에는 일정한 높이 만큼 유지가 가능하도록 받침하는 하나이상의 지그체 받침대(400)를 설치하되, 상기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와 지그체 받침대(400)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서 다른 모델의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로 손쉬운 교체가 가능할 수 있도록 이탈착수단(500) 및 픽업수단(600)이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전용 토우·캠버 자동화 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상태에서 베이스판(100) 상부의 좌, 우측에 각각 대칭으로 설치되는 상기 토우·캠버 가공용 밀링머신(200)은,

    수직인 휠 캐리어(60)의 스핀들 플레이트(70)면에 대하여 토우·캠버 가공을 위한 절삭이 가능한 초경팁을 포함하는 가공용 Tool(210)이 구성되고,
    상기 가공용 Tool(210)은 토우·캠버를 가공할 때, 좌우 미세한 유동을 포함하고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유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전용 토우·캠버 자동화 가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쉬 슬리브 자동화 클램핑장치(330)는,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하부 지지대의 일측에는 부쉬 슬리브(30)의 바깥쪽 끝부분을 더 이상 이탈 또는 밀리지 않도록 받침하는 부쉬 슬리브 외측 받침부(331)가 구성되고,
    이에 맞 대응하는 다른 일측에는 부쉬 슬리브(30)의 내부 통공내에 삽입된 후 볼이 돌출되면서 그 내벽면에 대하여 완벽하고도 견고한 자동화 클램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볼확장형 클램핑 유닛(332)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전용 토우·캠버 자동화 가공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볼확장형 클램핑 유닛(332)은,
    하부 지지대(332-1) 일측에 전후진 이송용 실린더(332-2)가 구성되고, 상기 전후진 이송용 실린더(332-2)의 내부에는 상기 전후진 이송용 실린더(332-2)의 동작에 따라 전,후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이 가능한 전후진 푸시 작동관(332-3)이 관통되며,
    상기 푸시 작동관(332-3)의 후방 끝에는 또 다른 클램프 동작용 실린더(332-4)를 하나 더 구성하며,
    상기 클램프 동작용 실린더(332-4)로 부터 상기 푸시 작동관(332-3)의 내부를 통과하는 전방으로는 클램프 동작용 실린더(332-4)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전후진 푸시 작동관(332-3)과 별개로 미세간격 추가적인 전후진 푸시동작이 이루어지는 클램프 동작용 푸시로드(332-5)가 더 구비되며,
    이때 상기 클램프 동작용 푸시로드(332-5)의 전방 끝에는 일정하게 뛰어나온 도출부(333-1)와 일정각으로 테이퍼진 경사안내부(333-2) 및 수평 가이드부(333-3)로 이루어진 볼클램프 동작용 헤드(33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볼클램프 동작용 헤드(333)가 위치하는 푸시 작동관(332-3) 앞쪽에는 볼클램프 동작용 헤드(333)를 감싸는 동시에 볼클램프 동작용 헤드(333)의 경사안내부(333-2)와 대응하는 지점의 외주 둘레에는 다수의 볼수용홈(334-1)이 형성되어 있는 볼커버용 하우징(334)이 결합되며,
    상기 볼커버용 하우징(334)에 형성된 다수의 볼수용홈(334-1)과 볼클램프 동작용 헤드(333)의 경사안내부(333-2) 사이에는 다수의 볼(335)을 수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전용 토우·캠버 자동화 가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휠 캐리어 누름형 클램프수단(340)은,
    하부에는 동작용 실린더(341)가 내장되어 있는 지지용 바디(342)가 구성되고, 상기 지지용 바디(342)의 상측에는 내장된 실린더(341)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푸시로드(343)가 구성되며, 상기 푸시로드(343)의 끝단에는 접힘형 누름바(344)가 구성되고, 젖힘형 누름바(344)와 푸시로드(343)의 끝단부 사이에는 힌지핀(345)이 결합되며,
    상기 푸시로드(343)가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그 일측의 지지용 바디(342)와 힌지핀(345)이 위치한 자리로 부터 좀더 윗쪽으로 올라간 지점 사이에는 핀(346-1)으로 결합된 링크부재(346)가 구성될 수 있고,
    접힘형 누름바(344)의 끝단의 일측에는 누름력을 인가시킬 때 좀더 효과적이고 탄력적으로 밀착 대응이 가능한 탄성패드(346)가 보조적으로 더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전용 토우·캠버 자동화 가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 저면과 지그체 받침대(400)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이탈착수단(500)은,
    상기 지그체 받침대(40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볼트체결홈(510)이 구성되는 한편, 바깥쪽의 측면과 전면에는 각각 하나이상의 안내편(520)과 스톱편(530)이 돌츨되고, 볼트체결홈(510)과 대응하는 상기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의 가장자리에는 볼트홈(5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전용 토우·캠버 자동화 가공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수단(600)은,
    상기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를 이송장비(지게차, 로봇 등) 등으로 용이하게 이송하는데 필요한 수단으로, 상기 피가공물 셋팅용 지그장치(300) 저면의 양측에 지게차, 로봇 등과 같은 이송장비의 포크 삽입되어 중량물인 지그장치(300)를 용이하게 들어서 픽업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포트삽입관(610)이 구성되어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전용 토우·캠버 자동화 가공장치.
KR1020150103576A 2015-07-22 2015-07-22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전용 토우·캠버 자동화 가공장치 KR101558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576A KR101558849B1 (ko) 2015-07-22 2015-07-22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전용 토우·캠버 자동화 가공장치
PCT/KR2016/005202 WO2017014419A1 (ko) 2015-07-22 2016-05-17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전용 토우·캠버 자동화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576A KR101558849B1 (ko) 2015-07-22 2015-07-22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전용 토우·캠버 자동화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8849B1 true KR101558849B1 (ko) 2015-10-08

Family

ID=54346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576A KR101558849B1 (ko) 2015-07-22 2015-07-22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전용 토우·캠버 자동화 가공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58849B1 (ko)
WO (1) WO2017014419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83144A (zh) * 2017-07-17 2017-10-24 昆山拓誉自动化科技有限公司 筒灯弹簧全自动装配设备
CN108115447A (zh) * 2017-11-29 2018-06-05 天人汽车底盘(芜湖)股份有限公司 一种倒角设备的固定台
CN108747514A (zh) * 2018-08-03 2018-11-06 芜湖勤惠科技有限公司 一种后扭转梁的液压式铣、钻、攻成套加工装置
CN112496601A (zh) * 2020-11-12 2021-03-16 山东恒泰车桥有限公司 一种与机械手配合的车桥夹具
KR20210043203A (ko) * 2019-10-11 2021-04-21 주식회사화신 스핀들 가공장치
CN114010807A (zh) * 2021-11-05 2022-02-08 大连医科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spect准直器清洁消毒装置
CN114083247A (zh) * 2021-12-27 2022-02-25 江苏华永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铰链加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3072A (zh) * 2018-08-01 2018-10-19 重庆通用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表面淬硬的大型薄壁不锈钢轴套制造工艺
CN109483207A (zh) * 2018-12-29 2019-03-19 成都焊研科技有限责任公司 汽车扭梁自动压胶套抓取定位机构及其定位方法
CN110385595A (zh) * 2019-08-26 2019-10-29 强胜精密机械(苏州)有限公司 一种多种零件及正反快换工装夹具及装夹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5184A (ko) * 2006-12-14 2008-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티비에이 시스템의 스핀들 마운팅 브라켓 결합구조
KR101305763B1 (ko) * 2007-06-26 2013-09-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tba 서스펜션
KR101101406B1 (ko) * 2010-02-26 2012-01-02 주식회사화신 토션빔 가공장치
KR101167717B1 (ko) * 2010-09-27 2012-07-20 주식회사 신영 지그 교체장치
KR101304675B1 (ko) * 2010-12-28 2013-09-17 서진산업 주식회사 서브플레이트를 이용한 스핀들 플레이트의 결합 방법, 서브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스핀들 플레이트가 결합된 스핀들 장치 및 서브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스핀들 플레이트를 장착한 현가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83144A (zh) * 2017-07-17 2017-10-24 昆山拓誉自动化科技有限公司 筒灯弹簧全自动装配设备
CN107283144B (zh) * 2017-07-17 2023-10-20 昆山拓誉自动化科技有限公司 筒灯弹簧全自动装配设备
CN108115447A (zh) * 2017-11-29 2018-06-05 天人汽车底盘(芜湖)股份有限公司 一种倒角设备的固定台
CN108747514A (zh) * 2018-08-03 2018-11-06 芜湖勤惠科技有限公司 一种后扭转梁的液压式铣、钻、攻成套加工装置
KR20210043203A (ko) * 2019-10-11 2021-04-21 주식회사화신 스핀들 가공장치
KR102280910B1 (ko) * 2019-10-11 2021-07-27 (주)화신 스핀들 가공장치
CN112496601A (zh) * 2020-11-12 2021-03-16 山东恒泰车桥有限公司 一种与机械手配合的车桥夹具
CN112496601B (zh) * 2020-11-12 2022-10-11 山东恒泰车桥有限公司 一种与机械手配合的车桥夹具
CN114010807A (zh) * 2021-11-05 2022-02-08 大连医科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spect准直器清洁消毒装置
CN114083247A (zh) * 2021-12-27 2022-02-25 江苏华永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铰链加工方法
CN114083247B (zh) * 2021-12-27 2023-01-31 江苏华永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铰链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14419A1 (ko) 2017-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849B1 (ko)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전용 토우·캠버 자동화 가공장치
KR101049246B1 (ko) 자동차용 엑슬빔 가공용 지그
US7459656B2 (en) Positioning jig device for vehicle body frame
JP2008542121A (ja) 車輪を車両に固定する機械
CN105834658A (zh) 一种扭力梁轮毂轴支座焊接夹具
CN104647044A (zh) 一种汽车制动钳支架的加工工艺
RU2556772C2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узла передней оси/подрамника в корпусную часть автомобиля
CN104669013A (zh) 物体固定装置、机床、机器人以及物体固定方法
CN105666097A (zh) 一种前下控制臂前衬套压装工装
CN201960189U (zh) 一种汽车后副车架铣夹具
CN103521971A (zh) 一种焊接工件定位调整装置
CN212145474U (zh) 一种工件快速夹紧装置
CN210527812U (zh) 定位工装、料车组件及上料组件
CN204524664U (zh) 桥壳机器人焊接夹具
KR20200004760A (ko) 자동차의 제조 방법 및 압축 보지 지그
KR20230079658A (ko) 너트 런너 소켓 교환 장치
CN209887321U (zh) 一种用于骨架油封部位的磨削工装
CN201427187Y (zh) 曲轴加工自动上下料装置
CN111070089A (zh) 一种闸门安装打磨智能工装机构
CN216681162U (zh) 无数显卧式镗床用转向桥桥壳加工工装
CN219275871U (zh) 车梁抓取夹具
CN215547087U (zh) 一种制动支架机加工工装
CN211541038U (zh) 一种新能源汽车副车架总成装配工装
CN219857437U (zh) 一种轮边传动轴辅助装配工装
CN203853576U (zh) 一种同步器锁止销自动线车用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