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910B1 - 스핀들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스핀들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910B1
KR102280910B1 KR1020190126072A KR20190126072A KR102280910B1 KR 102280910 B1 KR102280910 B1 KR 102280910B1 KR 1020190126072 A KR1020190126072 A KR 1020190126072A KR 20190126072 A KR20190126072 A KR 20190126072A KR 102280910 B1 KR102280910 B1 KR 102280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nit
torsion beam
beam ax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3203A (ko
Inventor
박종덕
Original Assignee
(주)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신 filed Critical (주)화신
Priority to KR1020190126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910B1/ko
Publication of KR20210043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10Auxiliary devices, e.g. bolsters, extension members
    • B23Q3/103Constructional elements used for constructing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torsion-bar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핀들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토션빔 액슬이 안착되는 받침부와, 받침부에 형성되고 토션빔 액슬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토션빔 액슬을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하여, 다양한 크기를 갖는 토션빔 액슬에 구비되는 스핀들을 가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핀들 가공장치{PROCESSING DEVICE OF SPINDLE}
본 발명은 스핀들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토션빔 액슬에 구비되는 스핀들을 가공할 수 있는 스핀들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플드 토션 빔 액슬(CTBA; Coupled Torsion Beam Axle) 타입의 현가장치는 단순한 부품으로 인하여 설계 성능 영역이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낮은 생산 단가와 작은 질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주행 안정성을 갖추어 주로 경차 및 준 중형차의 후륜 현가장치로 적용되어져 왔다.
이러한 커플드 토션 빔 액슬(CTBA) 타입의 현가장치의 구성은, 차체 횡방향으로 토션빔이 배치되고, 토션빔의 양단에는 타이어와 휠을 장착하기 위한 스핀들 브라켓를 일측에 장착한 트레일링암이 용접된다.
한편, 스핀들 브라켓은 대상물과 안정적인 장착을 위해 별도의 가공 공정이 추가되는데, 차량 마다 커플드 토션 빔 액슬의 길이가 달라 가공기를 호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1251호(2015.06.18. 등록, 발명의 명칭 : 치핑방지 유닛이 장착된 커플드 토션 빔 액슬)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크기를 갖는 토션빔 액슬에 구비되는 스핀들을 가공할 수 있는 스핀들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핀들 가공장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토션빔 액슬이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형성되고, 상기 토션빔 액슬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토션빔 액슬을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받침레일부; 상기 받침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받침이동부; 상기 받침이동부에 형성되고, 상기 토션빔 액슬을 받쳐주는 받침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받침이동부와 연결되며, 자체 길이가 가변되어 상기 받침이동부를 이동시키는 받침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받침부에 형성되고, 상기 토션빔 액슬이 안착되는 고정안착부; 및 상기 받침부에 형성되고, 상기 토션빔 액슬을 가압하는 고정클램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상기 토션빔 액슬을 감지하는 고정센서부; 및 상기 고정센서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고정클램프부를 작동시키는 고정자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토션빔 액슬의 파이프부를 고정하는 추가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가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이동 가능한 추가이동부; 및 상기 추가이동부에 장착되고, 길이가 가변되어 상기 파이프부에 삽입되는 추가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핀들 가공장치는: 상기 토션빔 액슬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받침부를 작동시켜 상기 받침부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핀들 가공장치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토션빔 액슬에 대응되도록 위치 이동이 가능하여 호환 가능하고, 스핀들부 가공을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가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가공장치의 자동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핀들 가공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가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가공장치(1)는 베이스부(10)와, 받침부(20)와, 고정부(30)와, 가공부(4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는 지면에 장착되고, 받침부(20)는 베이스부(10)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받침부(20)에는 토션빔 액슬(90)이 안착된다. 일예로, 토션빔 액슬(90)은 차량을 가로지르는 빔(91)과, 빔(91)의 양단부에 용접되는 트레일링암(92)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일링암(92)의 선단에는 부시가 압입되어 차체와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부(921)가 설치되고, 트레일링암(92)의 내측에는 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시트부(922)가 설치되며, 트레일링암(92)의 외측에는 휠 캐리어를 장착하기 위한 스핀들부(923)가 설치된다.
고정부(30)는 받침부(20)에 형성되고, 토션빔 액슬(90)을 고정시킨다. 일예로, 고정부(30)는 트레일링암(92)을 고정시킬 수 있다.
가공부(40)는 고정부(30)에 의해 고정된 토션빔 액슬(90)을 가공한다. 일예로, 가공부(40)는 전후 이동 가능한 가공이동부(41)와, 가공이동부(41)에 장착되고 스핀들부(923)를 가공하는 가공처리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20)는 받침레일부(21)와, 받침이동부(22)와, 받침지지부(23)와, 받침조절부(24)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받침레일부(21)는 베이스부(10)에 형성되고, 베이스부(10)의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받침이동부(22)는 받침레일부(21)를 따라 이동 가능하다.
받침지지부(23)는 받침이동부(22)에 형성되고, 토션빔 액슬(90)을 받쳐준다. 일예로, 받침지지부(23)는 받침이동부(22)에 장착되어 이동 가능한 지지조절부(231)와, 지지조절부(231)에서 돌출되고 시트부(922)가 안착되는 지지안착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조절부(231)는 유압이나 공압 또는 모터 구동에 의해 왕복 이동되면서 위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지지안착부(232)는 중앙부가 시트부(922)를 관통하여 토션빔 액슬(90)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받침조절부(24)는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받침이동부(22)와 연결되며, 자체 길이가 가변되어 받침이동부(22)를 이동시킨다. 일예로, 받침조절부(24)는 받침레일부(21)의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어 받침이동부(22)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30)는 고정안착부(31)와 고정클램프부(32)를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부(30)에 의해 스핀들부(923) 가공시 스핀들부(923)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고정안착부(31)는 받침부(20)에 장착되고, 토션빔 액슬이 안착된다. 일예로, 고정안착부(31)는 받침이동부(22)의 단부에 배치되고, 받침지지부(23)에 안착된 토션빔 액슬(90)의 스핀들부(923)가 지지될 수 있다. 그 외, 고정안착부(31)는 베이스부(10)에 장착되고, 받침이동부(22)가 이동되면 스핀들부(923)를 지지할 수 있다.
고정클램프부(32)는 받침부(20)에 장착되고, 토션빔 액슬(90)을 가압한다. 일예로, 복수개의 고정클램프부(32)는 받침이동부(22)에 장착되고, 유압에 의해 상부의 클램프가 회전되면서 트레일링암(92)을 압박할 수 있다. 그 외, 고정클램프부(32)는 베이스부(10)에 장착되고, 받침이동부(22)가 이동되면 트레일링암(92)을 압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30)는 고정센서부(33)와 고정자동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센서부(33)는 베이스부(10)에 형성되고, 토션빔 액슬(90)을 감지한다. 일예로, 받침이동부(22)가 이동되어 받침지지부(23)에 안착된 토션빔 액슬(90)의 스핀들부(923)가 고정안착부(31)에 안착되면, 트레일링암(92)이 고정센서부(33)와 접촉될 수 있다. 그 외, 고정센서부(33)는 고정안착부(31)에 형성되어 스핀들부(923)를 감지할 수 있다.
고정자동부(34)는 고정센서부(33)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고정클램프부(32)를 작동시킨다. 이로 인해, 토션빔 액슬(90)의 위치가 설정된 지점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토션빔 액슬(90)이 고정될 수 있다. 그 외, 고정센서부(33)의 감지신호를 수신한 고정자동부(34)는 후술할 추가고정부(5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가공장치는 추가고정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고정부(50)는 베이스부(10)에 장착되고, 토션빔 액슬(90)의 파이프부(921)를 고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가고정부(50)는 추가이동부(51)와 추가삽입부(52)를 포함한다. 이러한 추가고정부(50)는 파이프부(921) 마다 한 쌍이 배치되어 파이프부(921)를 고정할 수 있다.
추가이동부(51)는 베이스부(10)에 장착되고, 이동 가능하다. 일예로, 추가이동부(51)는 직선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상을 갖는 토션빔 액슬(90)의 파이프부(921) 형상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추가삽입부(52)는 추가이동부(51)에 장착되고, 길이가 가변되어 파이프부(921)에 삽입된다. 일예로, 추가삽입부(52)는 자체 길이가 조절 가능하고, 길이가 늘어나면 파이프부(921)의 양단부에 삽입되어 파이프부(92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가공장치의 자동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가공장치(1)는 감지부(60)와 제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60)는 토션빔 액슬(90)을 감지한다. 일예로, 감지부(60)는 토션빔 액슬(90)의 사이즈나 형상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60)는 베이스부(10)에 장착되고 베이스부(10)의 상방에 도달한 토션빔 액슬(90)을 촬영할 수 있다. 그 외, 감지부(60)는 복수개가 배치되어 토션빔 액슬(90)의 형상 및 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감지부(6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받침부(20)를 작동시켜 받침부(20)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홀더가 토션빔 액슬(90)을 베이스부(10)의 상방에 도달시키면 받침부(20)는 자동으로 이동되면서 토션빔 액슬(90)을 지지하고, 토션빔 액슬(90)을 가공부(40)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가공장치에 대한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토션빔 액슬(90)이 베이스부(10)의 상방에 도달하면 감지부(60)가 토션빔 액슬(90)의 크기와 형상을 감지하여 제어부(70)에 전송하고, 제어부(70)의 제어로 받침부(20)가 이동되어 토션빔 액슬(90)의 시트부(922)가 안착된다.
이때, 스핀들부(923)가 고정안착부(31)에 안착되고, 고정클램프부(32)는 트레일링암(92)을 압박한다. 그리고, 추가고정부(50)가 파이프부(921)의 양단부에 밀착되면서 파이프부(921)를 고정시킨다.
고정부(30)와 추가고정부(50)에 의해 토션빔 액슬(90)이 고정되면, 가공부(40)가 구동되어 스핀들부(923)를 가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가공장치(1)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토션빔 액슬(90)에 대응되도록 위치 이동이 가능하여 호환 가능하고, 스핀들부(923) 가공을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부 20 : 받침부
21 : 받침레일부 22 : 받침이동부
23 : 받침지지부 24 : 받침조절부
30 : 고정부 31 : 고정안착부
32 : 고정클램프부 40 : 가공부
50 : 추가고정부 51 : 추가이동부
52 : 추가삽입부 60 : 감지부
70 : 제어부

Claims (7)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토션빔 액슬이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형성되고, 상기 토션빔 액슬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토션빔 액슬을 가공하는 가공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토션빔 액슬을 고정하는 추가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션빔 액슬은 차량을 가로지르는 빔과, 상기 빔의 양단부에 용접되는 트레일링암을 포함하며, 상기 트레일링암의 선단에는 부시가 압입되어 차체와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부가 설치되고, 상기 트레일링암의 내측에는 시트부가 설치되며, 상기 트레일링암의 외측에는 스핀들부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받침레일부;
    상기 받침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받침이동부;
    상기 받침이동부에 형성되고, 상기 토션빔 액슬을 받쳐주는 받침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받침이동부와 연결되며, 자체 길이가 가변되어 상기 받침이동부를 이동시키는 받침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지지부는
    상기 받침이동부에 장착되어 이동 가능한 지지조절부; 및
    상기 지지조절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시트부가 안착되는 지지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받침이동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핀들부가 안착되는 고정안착부;
    상기 받침이동부에 형성되고, 상기 트레일링암을 가압하는 고정클램프부;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핀들부가 상기 고정안착부에 안착될 때 상기 트레일링암과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고정센서부; 및
    상기 고정센서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고정클램프부와 상기 추가고정부를 작동시키는 고정자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추가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파이프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위치로 직선 및 회전 이동 가능한 추가이동부; 및
    상기 추가이동부에 장착되고, 길이가 가변되어 상기 파이프부에 삽입되는 추가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핀들 가공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빔 액슬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받침부를 작동시켜 상기 받침부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핀들 가공장치.
KR1020190126072A 2019-10-11 2019-10-11 스핀들 가공장치 KR102280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072A KR102280910B1 (ko) 2019-10-11 2019-10-11 스핀들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072A KR102280910B1 (ko) 2019-10-11 2019-10-11 스핀들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203A KR20210043203A (ko) 2021-04-21
KR102280910B1 true KR102280910B1 (ko) 2021-07-27

Family

ID=75744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072A KR102280910B1 (ko) 2019-10-11 2019-10-11 스핀들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9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29761B (zh) * 2021-11-30 2024-05-07 四川建安工业有限责任公司 扭力梁镗铣夹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1225A (ja) * 2000-01-06 2001-07-17 Nippei Toyama Corp ワーク保持装置
KR100316471B1 (ko) * 1998-09-01 2001-12-12 김용래 로드리스 실린더
KR101558849B1 (ko) * 2015-07-22 2015-10-08 이상동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전용 토우·캠버 자동화 가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6236A (ja) * 1996-12-11 1998-06-23 Seiko Precision Kk 板状ワークの位置決め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板状ワークの加工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471B1 (ko) * 1998-09-01 2001-12-12 김용래 로드리스 실린더
JP2001191225A (ja) * 2000-01-06 2001-07-17 Nippei Toyama Corp ワーク保持装置
KR101558849B1 (ko) * 2015-07-22 2015-10-08 이상동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전용 토우·캠버 자동화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203A (ko) 202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828B1 (ko) 서스펜션암의 부시 조립장치
KR102280910B1 (ko) 스핀들 가공장치
KR101558849B1 (ko)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전용 토우·캠버 자동화 가공장치
KR101758875B1 (ko) 수평형 부시 압입장치
US6401319B1 (en) Rear suspension mounting feature and method
KR102546846B1 (ko) 차량 부품 조립을 위한 지그장치
JPH08215918A (ja) 輪軸の切削加工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AU2014245314B2 (en) Knuckle bracket and pair of knuckle brackets
KR102082827B1 (ko)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검사장치
CN102608202A (zh) 轮毂单元的探伤检查装置
CN102506637A (zh) 一种汽车控制臂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KR101308062B1 (ko) 자동차 조향장치용 스플라인 샤프트의 가공장치
JP2005257691A (ja) ラテラルフォース測定装置とその測定方法
CN107877064B (zh) 扭力梁纵臂柔性焊接夹具
CN2928294Y (zh) 车底架校正夹具
KR100857833B1 (ko) 상용차량 조립용 차체 자동 정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1079342A (ja) 自動二輪車
JP2011513108A (ja) 車両用ホイール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264649B1 (ko) 자동차용 맥퍼어슨식 독립현가현가장치
KR20070009113A (ko) 토션빔 타입 현가장치
WO2017125803A1 (en) Modular frame structure for an automotive vehicle
KR20130056642A (ko)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의 가변조절장치
KR102366337B1 (ko) 차량용 부품 로딩장치
CN206623741U (zh) 一种汽车轮胎夹紧固定装置
KR101658814B1 (ko)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