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618B1 - 다양한 사용자 네트워크 환경 지원 및 자유로운 데이터 권역 설정을 위한 지도 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과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양한 사용자 네트워크 환경 지원 및 자유로운 데이터 권역 설정을 위한 지도 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과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618B1
KR101556618B1 KR1020130123353A KR20130123353A KR101556618B1 KR 101556618 B1 KR101556618 B1 KR 101556618B1 KR 1020130123353 A KR1020130123353 A KR 1020130123353A KR 20130123353 A KR20130123353 A KR 20130123353A KR 101556618 B1 KR101556618 B1 KR 101556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area
map
reg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4227A (ko
Inventor
최원경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30123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618B1/ko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US14/502,217 priority patent/US9436703B2/en
Priority to CN201810367182.4A priority patent/CN108731692B/zh
Priority to CN201410544948.3A priority patent/CN104567894B/zh
Publication of KR20150044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618B1/ko
Priority to US15/239,301 priority patent/US9766076B2/en
Priority to US15/691,007 priority patent/US10012507B2/en
Priority to US16/123,836 priority patent/USRE48713E1/en
Priority to US17/060,832 priority patent/US20210095988A1/en
Priority to US17/673,986 priority patent/US2022024405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85Transmission of map data to client devices; Reception of map data by client devices
    • G01C21/3896Transmission of map data from central datab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Details, e.g. road map scale, orientation, zooming, illumination, level of detail, scrolling of road map or positioning of current position mark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33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source of data
    • G01C21/3852Data derived from aerial or satellite ima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63Structures of map data
    • G01C21/387Organisation of map data, e.g. version management or database structures
    • G01C21/3881Tile-based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85Transmission of map data to client devices; Reception of map data by clien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85Transmission of map data to client devices; Reception of map data by client devices
    • G01C21/3889Transmission of selected map data, e.g. depending on ro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 G08G1/137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the indicator being in the form of a ma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0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Naviga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다양한 사용자 네트워크 환경 지원 및 자유로운 데이터 권역 설정을 위한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내비게이션 단말은, 지도 제공 서버로부터 특정 권역의 지도 데이터가 저장된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파일을 통하여 상기 특정 권역에 대한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파일은 차등 크기의 메시(mesh) 단위로 분할된 지리적 영역 각각에 대하여 개별 단위로 생성되고, 상기 메시 단위는 상기 파일의 크기가 평준화 되도록 상기 지리적 영역에 포함된 정보량에 따라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양한 사용자 네트워크 환경 지원 및 자유로운 데이터 권역 설정을 위한 지도 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과 그 시스템{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AP DATA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지도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발달로, 내비게이션 활용에 있어 통신 네트워크 기능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하지만 현존하는 대부분의 단말은 여전히 대용량의 지도 데이터를 미리 탑재하거나, 혹은 다운받아야 하고, 아니면 항상 통신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어야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등 제한 조건이 존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기능에 비하여 훨씬 많은 저장 용량을 허비하거나 통신 패킷을 소모하고 있는 실정이다.
첫째, 전통적 내비게이션의 경우 필요한 정보들을 각각의 특성에 맞추어 여러 개의 별도 파일로 생성한다. 예를 들면, 도로 데이터, 배경 데이터, 검색 데이터 등과 같은 요소 별로 몇 개씩의 파일이 존재하며, 해당 파일이 없는 경우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형태이다.
해당 파일의 경우 대체로 국가 단위 혹은 시도 단위 별로 구분되어 존재하게 되며, 이는 곧 내비게이션 서비스 영역과 동일하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10-0532144호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메시 단위로 분할된 지역 별 지도 데이터를 내비게이션 단말로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전통적 내비게이션 방식을 따를 경우, 통신형 내비게이션이라 하더라도 초기에 대용량의 지도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야만 내비게이션 기능의 수행이 가능하다.
둘째, 최근 등장한 통신형 내비게이션의 경우, 서버 부분에 대부분의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클라이언트 단말 쪽으로는 지도 표출 및 경로 안내에 대한 최소한의 데이터만을 전송함으로써 초기 대용량 지도 데이터의 다운로드는 필요 없도록 개선된 상태이다. 하지만, 통신이 두절될 경우 내비게이션이 더 이상의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고, 이는 통신 불가 지역이 많은 해외 혹은 산간 지역에서는 치명적인 약점으로 작용하게 된다.
결국 기존 내비게이션의 경우, 정해진 대용량 지도데이터를 받거나 혹은 항상 통신이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 두 가지 중의 한가지 약점을 무조건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통신 두절 상황에서 내비게이션 기능이 모두 동작하며, 필요 없는 대용량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에 대해 최소한의 용량으로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지도 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통신이 두절되더라도 미리 전송 받은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즉 통신의 상황에 영향을 최소화 하여 어떤 사용자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한 지도 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비게이션 단말은, 지도 제공 서버로부터 특정 권역의 지도 데이터가 저장된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파일을 통하여 상기 특정 권역에 대한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파일은 차등 크기의 메시(mesh) 단위로 분할된 지리적 영역 각각에 대하여 개별 단위로 생성되고, 상기 메시 단위는 상기 파일의 크기가 평준화 되도록 상기 지리적 영역에 포함된 정보량에 따라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특정 권역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분할된 지리적 영역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권역에 해당되는 영역의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권역에 해당되는 영역의 파일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신부는 이동하고자 하는 경로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권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경로에 포함된 영역의 파일을 일괄로 추가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특정 권역은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자동 설정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분할된 지리적 영역 중 상기 현재 위치에 해당되는 영역과 위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현재 위치와 인접한 영역의 파일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특정 권역은 경로 탐색에 따라 목적지까지의 경로로 설정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분할된 지리적 영역 중 상기 경로에 포함된 영역의 파일을 일괄로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분할된 지리적 영역 중 수신 빈도로 예측된 일부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수신된 파일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파일은 상기 메시 단위에 따라 타일맵(tile map) 형태로 분할된 영역의 지도 데이터가 벡터 방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파일에는 지도 화면 디스플레이와 경로 탐색 및 경로 안내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되어 저장되고, 상기 수행부는 상기 파일의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지도 제공 서버와의 통신 여부와는 무관하게 상기 파일을 통하여 상기 특정 권역에 대한 내비게이션 기능을 지속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메시 단위로 분할된 지리적 영역 간에 상기 내비게이션 기능이 연결되도록 상기 개별 단위의 파일 간에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도 제공 서버는, 지리적 영역을 차등 크기의 메시(mesh) 단위로 분할하는 분할부; 및 상기 메시 단위 각각에 대하여 분할된 영역의 지도 데이터를 개별 단위의 파일(file)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분할부는 상기 파일의 크기가 평준화 되도록 상기 지리적 영역에 포함된 정보량에 따라 상기 메시 단위의 크기를 영역 별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수신부와 수행부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단말에서의 내비게이션 제공 방법은, 상기 수신부에서, 지도 제공 서버로부터 특정 권역의 지도 데이터가 저장된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행부에서, 상기 파일을 통하여 상기 특정 권역에 대한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파일은 차등 크기의 메시(mesh) 단위로 분할된 지리적 영역 각각에 대하여 개별 단위로 생성되고, 상기 메시 단위는 상기 파일의 크기가 평준화 되도록 상기 지리적 영역에 포함된 정보량에 따라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리적 영역에 대한 소분할 메시 단위의 파일 DB를 통한 데이터 관리로 갱신된 부분적인 업데이트가 가능하여 업데이트 시간을 감소시키고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리적 영역에 대한 차등형 분할 단위에 의해 각 파일 DB의 용량을 균등하게 구성함으로써 파일 DB 별로 정보량을 평준화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 업데이트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분할 메시 단위의 파일 DB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영역만을 보다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여러 네트워크 환경(네트워크 항시 사용, 네트워크 부분적인 사용, 네트워크 비 사용)을 모두 지원하고 이를 1가지 데이터 포맷으로 처리 가능한 파일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내비게이션 단말과 지도 제공 서버 간의 관계를 개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소분할 메시 단위의 파일 DB를 제공하는 지도 제공 서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리적 영역을 차등 크기의 메시 단위로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의 차등 분할 영역에 대한 파일 DB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소분할 메시 단위의 파일 DB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단말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내비게이션 단말의 통신 환경에 따라 지도 데이터의 전달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소분할 메시 단위의 파일 DB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사용자 네트워크 환경 지원 및 자유로운 데이터 권역 설정이 가능한 지도 데이터의 파일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도 데이터'는 2D 지도, 3D 지도, 항공 사진 등 모든 형태의 지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및/또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과 연계된 지도 검색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개인 내비게이션 시스템(personal navigation system)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내비게이션 단말과 지도 제공 서버 간의 관계를 개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내비게이션 단말(101)과 지도 제공 서버(102)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화살표는 내비게이션 단말(101)과 지도 제공 서버(102) 간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내비게이션 단말(101)은 지도 검색이 가능한 로컬 디바이스(local device)를 의미하는 것으로,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내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DMB),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 모바일 웹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지도 제공 서버(102)는 지도에 대한 지리적 정보를 나타내는 지리 데이터(geometry data) 및 지도 상의 각종 POI(point of interest)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를 저장 및 유지하기 위한 파일 DB 시스템(file database system)이다. 이때, 지도 데이터는 지도나 정보가 표현된 텍스트, 이미지, 영상, 음성 등 여러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도 제공 서버(102)는 PC 환경이나 모바일 환경에서 클라이언트(client)인 내비게이션 단말(101)을 대상으로 지도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소분할 메시 단위의 파일 DB를 제공하는 지도 제공 서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제공 서버는 분할부(210), 생성부(220), 및 제공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프로세서(200)와, 메모리(201)와, 데이터베이스(2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201)는 지도 제공 및 업데이트를 위한 전반의 기능들을 제공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로그램에는 내비게이션 단말과 연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권역의 지도 데이터 또는 내비게이션 단말에서 필요로 하는 권역의 지도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하는 명령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01)는 하드디스크, SSD, SD 카드 및 기타 저장매체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02)는 전체 지도에 대한 지도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파일 DB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메시 단위로 분할된 영역 별로 개별 단위의 파일 DB를 통해 지도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메모리(201)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명령어에 따라 처리하는 장치로서, CPU 등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200)의 세부 구성은 다음과 같다.
분할부(210)는 지도 데이터를 나누어 관리하기 위해 전체 지도에 대한 지리적 영역을 메시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할부(210)는 데이터 용량 및 처리 속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의 양에 따라 메시 단위의 크기를 영역 별로 차등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지리적 영역을 분할하는 메시 단위의 크기가 전 영역에서 모두 동일할 경우 도심 지역과 산간 지역을 비교할 때 지역 간에 정보량의 편차가 크게 되며, 이에 따라 분할 지역 별 데이터 크기 또한 차이가 발생하여 통신 성능과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메시 단위의 크기는 다르지만 메시 단위로 분할된 지리적 영역의 정보량을 평준화 하여 분할 영역에 대한 데이터 크기를 균등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메시 단위의 크기를 영역 별로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소정 범위의 지리적 영역(300)에 대하여 차등 크기의 메시 단위(310)를 적용하는데, 도시 밀집 지역 등 정보량이 많은 영역(302)과 산간 지역 등 정보량이 비교적 적은 영역(301)을 분할할 때 정보량이 많은 영역(302)에 대해서는 메시 크기를 정보량이 적은 영역(30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하고 정보량이 적은 영역(301)에 대해서는 메시 크기를 정보량이 많은 영역(30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는 메시 단위로 분할된 영역(이하, '분할 영역'이라 칭함) 간에 정보량을 평준화 하여 결과적으로 분할 영역 각각에 대한 파일 용량을 균등하게 구성하기 위함이다. 즉, 정보량이 적은 영역(301) 내의 어느 한 분할 영역(area-1)과 정보량이 많은 영역(302) 내의 어느 한 분할 영역(area-N)은 서로 다른 크기의 메시로 분할되나 각각의 영역 안에 포함되는 정보의 양은 동일하거나 소정 범위 내에서 비슷한 수준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WGS-84(World Geodetic System) 좌표계를 사용할 경우, 메시 단위(310)의 크기는 중위도를 기준으로 지구 전체를 위도 0.6°, 경도 0.4°로 분할하면 메시 단위(310)의 위도축 600장과 경도축 450장을 곱한 것으로 지구의 면적과 같을 수 있다. 그리고, 메시 단위(310)는 정보량에 따라 차등적인 가변 크기의 메시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이 중 가장 작은 크기의 메시는 메시 단위(310)의 위도로 1/32, 경도로 1/32로 분할한 최대 1,024개의 영역으로 나뉘어 질 수 있다. 메시 단위(310)를 상위 분할 단위로서 어퍼 메시(upper mesh)라 하고, 그 어퍼 메시에 포함되는 메시들을 하위 분할 단위로서 로 메시(lower mesh)라 할 때, 일반적으로 1개의 메시 단위(310)인 어퍼 메시는 정보량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진 여러 개의 로 메시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1개의 어퍼 메시에 포함된 영역의 정보의 양이 매우 적을 경우에는 1개의 로 메시만이 포함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에서, 생성부(220)는 메시 단위 각각에 대하여 분할 영역의 지도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에 저장함으로써 개별 단위의 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생성부(220)는 메시 단위에 따라 타일맵 형태로 분할된 영역의 지도 데이터를 벡터 방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타일(tile)은 지리적 영역을 메시 단위로 나누었을 때 하나의 분할된 영역이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체 지도에 대한 지리적 영역은 차등 분할 영역 1, 차등 분할 영역 2, ..., 차등 분할 영역 N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이때 차등적으로 분할된 영역 각각에 대하여 개별 단위의 파일 DB(즉, 파일 DB 1, 파일 DB 2, ..., 파일 DB N)가 생성된 후 서버 저장소인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될 수 있다.
하나의 타일맵에 해당되는 파일 DB에는 위치 정보는 물론, 분할 영역의 지도 데이터에 대한 인덱스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파일 DB만으로도 완전한 내비게이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개별 단위의 파일 DB 안에 지도 화면 디스플레이(내비 DP)와 경로 탐색 및 경로 안내에 필요한 모든 요소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더욱이, 파일 DB 안에는 인접한 영역의 파일 DB와의 연결 정보가 더 포함되어 타일맵 간의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분할 영역 별로 파일 DB가 개별적으로 생성되더라도 파일 DB 간에 연동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분할 영역 간에 내비게이션 기능이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2에서, 제공부(230)는 내비게이션 단말의 요청에 따라 특정 권역에 해당되는 영역의 파일 DB를 내비게이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특정 권역은 내비게이션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내비게이션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자동 설정되거나, 경로 탐색을 통해 목적지까지의 경로로 설정되거나, 내비게이션 단말에서의 수신 빈도로 예측된 지역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분할된 영역에 대한 개별 단위의 파일 DB를 통해 사용자가 필요한 최소한의 영역만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처리 가능하며, 다운로드 할 데이터 권역의 설정(예컨대, 사용자 주변 100Km의 지도 데이터 혹은 서울시의 지도 데이터 등)이 보다 정확하고 자유로워질 수 있다.
일 예로, 제공부(230)는 내비게이션 단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권역에 해당되는 영역의 파일 DB를 내비게이션 단말로 일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공부(230)는 내비게이션 단말의 요청에 따라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한 후 탐색 경로에 포함된 영역의 파일 DB를 내비게이션 단말로 일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공부(230)는 내비게이션 단말의 요청에 따라 내비게이션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현재 위치에 해당되는 영역과 위치 이동 방향에 따라 현재 위치와 인접한 영역의 파일 DB를 내비게이션 단말로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파일 DB 안에 지도 화면 디스플레이(내비 DP)와 경로 탐색 및 경로 안내에 필요한 모든 요소의 정보가 저장되므로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항시 사용하거나(항시 통신형), 부분적으로 사용하거나(부분 통신형), 네트워크 사용이 불가한 경우(비 통신형)라 하더라도 모든 상황에 대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의 연속적인 수행이 가능한 지도 데이터 전달을 지원할 수 있다.
지도 데이터에 대한 구체적인 전달 방식은 내비게이션 단말의 구성 요소와 함께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소분할 메시 단위의 파일 DB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단말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단말은 수신부(510) 및 수행부(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프로세서(500)와, 메모리(501)와, 데이터베이스(5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501)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이하 도 9를 통해 설명하게 될 내비게이션 단말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은 메모리(501)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501)는 하드디스크, SSD, SD 카드 및 기타 저장매체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02)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한 시스템 전반의 기능들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모든 정보들을 저장 및 유지할 수 있는 저장소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베이스(502)에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위해 지도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 받은 로우 스케일 데이터(low scale data) 및 기타 설정 데이터는 물론, 분할 영역 별로 지도 데이터가 저장된 파일 DB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메모리(501)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명령어에 따라 처리하는 장치로서, CPU 등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500)의 세부 구성은 다음과 같다.
수신부(510)는 지도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들을 지도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수신부(510)는 지도 제공 서버로부터 특정 권역의 지도 데이터가 저장된 파일 DB를 수신하되, 특정 권역에 포함된 분할 영역 각각에 대하여 파일 DB를 개별 단위로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도 데이터가 저장된 파일 DB는 분할 영역 별로 개별적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위치 정보를 통하여 파일 스트림에 직접 접근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개별 단위의 파일 DB는 내비게이션 단말로의 수신이 완료되면 지도 제공 서버와의 통신 여부와 무관하게 오프라인 환경에서 지속적인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데 이용 가능하다.
일 예로, 사용자는 내비게이션 단말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특정 위치를 중심으로 주변 일정 반경을 선택하거나 특정 행정계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수신부(5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권역에 해당되는 영역의 파일 DB를 지도 제공 서버로부터 일괄로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도 제공 서버에서는 내비게이션 단말의 요청에 따라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할 수 있으며, 이에 수신부(510)는 지도 제공 서버로부터 경로 탐색에 따른 경로에 포함된 영역의 파일 DB를 일괄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수신부(510)는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현재 위치에 해당되는 영역과 위치 이동 방향에 따라 현재 위치와 인접한 영역의 파일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수행부(520)는 개별 단위의 파일 DB를 통하여 특정 권역에 대한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행부(520)에서는 파일 DB에 포함된 정보들(분할 영역의 지도 데이터에 대한 인덱스, 지도 화면 디스플레이(내비 DP)와 경로 탐색 및 경로 안내 등과 관련된 요소들의 정보)을 이용하여 경로 탐색, 경로 안내, 지도 검색 등 내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는 내비게이션 단말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통신 환경에 적합한 방식으로 지도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1) 사용자가 내비게이션 이용 시 네트워크 사용을 원하지 않을 경우(On-Board)(비 통신형): 먼저 수신부(510)는 전체 지도에 대한 모든 파일 DB(파일 DB 1, 파일 DB 2, ..., 파일 DB N)를 사전에 로딩하여 로컬 저장소인 데이터베이스(502)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수행부(520)에서는 데이터베이스(502)에 저장된 파일 DB를 로컬에서 직접 처리함으로써 오프라인 환경에서 전체 지도의 지리적 영역에 대한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2) 사용자가 내비게이션 이용 시 부분적인 네트워크 사용만을 원할 경우(Semi-Board)(부분 통신형): 먼저 수신부(510)는 전체 지도에 대한 모든 파일 DB(파일 DB 1, 파일 DB 2, ..., 파일 DB N)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권역에 대한 파일 DB(파일 DB X, 파일 DB Y, ..., 파일 DB Z)를 사전에 로딩하여 데이터베이스(502)에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반경 몇 km를 입력하거나 특정 행정계를 선택하는 방식 등으로 자신이 다운로드 하고자 하는 권역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지도 제공 서버에서는 전체 지도에 대한 모든 파일 DB(파일 DB 1, 파일 DB 2, ..., 파일 DB N)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권역의 지도 데이터가 저장된 파일 DB(파일 DB X, 파일 DB Y,..., 파일 DB Z)를 선별하여 내비게이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지리적 영역(300)이 전체 지도라고 가정할 때 파일 DB 1, 파일 DB 2,..., 파일 DB N은 지리적 영역(300)에서 차등 크기로 분할된 영역 각각에 대하여 일대일로 생성된 파일 DB들이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권역이 지리적 영역(300)의 일부 영역(A)이라고 가정할 때 파일 DB X, 파일 DB Y,..., 파일 DB Z는 파일 DB 1, 파일 DB 2, ..., 파일 DB N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파일 DB로서 사용자 선택 권역(A)에 포함되는 분할 영역에 대한 파일 DB들이다. 파일 DB X, 파일 DB Y, ..., 파일 DB Z는 개수가 정해지거나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권역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이때, 수신부(510)는 지도 제공 서버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권역에 대한 파일 DB(파일 DB X, 파일 DB Y, ..., 파일 DB Z)를 수신하여 단말 내부 메모리인 데이터베이스(502)에 저장한다. 이에, 수행부(520)는 데이터베이스(502)에 저장된 파일 DB를 로컬에서 직접 처리함으로써 오프라인 환경에서 사용자 설정 권역 내에서의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수신부(510)는 사전에 다운로드 받은 권역 이외에 추가 영역의 파일 DB가 필요한 경우 추가 영역의 파일 DB를 일괄로 모두 수신하거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신부(510)는 이동하고자 하는 경로가 사전에 다운로드 받은 권역을 벗어나는 경우 해당 경로에 포함된 영역의 파일 DB를 일괄로 추가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추가 영역의 파일 DB는 기본적으로 캐시 등에 임시 저장될 뿐 데이터베이스(502)에 저장되지 않으나, 수신 빈도가 일정 횟수 이상일 경우 자주 이용되는 지역으로 예측하여 데이터베이스(502)에 추가 파일 DB로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city A(701)와 city Z(702)를 설정 권역으로 사전 다운로드를 받은 경우 city A(701)와 city Z(702) 내의 영역에서는 해당 영역의 파일 DB를 로컬에서 직접 처리하여 오프라인 환경에서 내비게이션 기능을 단독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city A(801)와 city Z(802)가 인접한 지역이 아닐 경우 city A(801)의 어느 한 위치에서 출발하여 city Z(802)의 특정 위치에 도착하는 이동 경로에 대해서는 city A(801)와 city Z(802) 사이의 영역(803)에 해당되는 파일 DB가 저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네트워크를 활성화 하여 파일 DB 간의 연결 정보를 통해 해당 경로에 포함된 영역의 파일 DB를 일괄 수신한 후, 다시 오프라인 환경에서 city A(801)에서 영역(803)을 거쳐 city Z(802)로 이동되는 경로에 대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3) 다시 도 6에서, 사용자가 내비게이션 이용 시 네트워크를 항시 사용하고자 할 경우(Off-Board)(항시 통신형): 데이터베이스(502)에는 지도 데이터에 대한 파일 DB는 저장되어 있지 않고, 로우 스케일 데이터 및 기타 설정 데이터만이 저장되어 있다. 이에, 수신부(510)는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현재 위치에 해당되는 영역과 위치 이동 방향에 따라 현재 위치와 인접한 영역의 파일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파일 DB는 기본적으로 캐시 등에 임시 저장될 뿐 데이터베이스(502)에 저장되지 않으나, 수신 빈도가 일정 횟수 이상일 경우 자주 이용되는 지역으로 설정되어 데이터베이스(502)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에, 수행부(520)는 실시간으로 수신된 파일 DB를 통해 현재 위치에 대한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미 수신이 완료된 파일 DB의 영역에 대해서는 통신이 두절되더라도 오프라인으로 지도 화면 디스플레이, 경로 탐색, 경로 안내 등 모든 내비게이션 기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의 양에 따라 지리적 영역을 차등적으로 분할하여 분할 영역 간 파일 DB의 정보량을 평준화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권역의 지도 데이터를 보다 정확하게 다운로드 받을 수 있고, 수신 완료 시 오프라인에서 완전한 내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함과 동시에 여러 통신 환경에 대응하여 1가지 데이터 포맷으로 처리 가능한 파일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소분할 메시 단위의 파일 DB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한 지도 제공 서버 및 내비게이션 단말에 의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 단말은 지도 제공 서버에서 공급하는 지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901)에서 지도 제공 서버의 분할부는 전체 지도에 대한 지리적 영역을 차등 크기의 메시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이때, 지도 데이터를 분할하기 위한 메시 단위는 분할 영역에 대한 파일 크기가 평준화 되도록 지리적 영역에 포함된 정보량에 따라 크기가 영역 별로 차등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계(S902)에서 지도 제공 서버의 생성부는 메시 단위 각각에 대하여 분할 영역의 지도 데이터를 개별 단위의 파일 DB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파일 DB는 지도 제공 서버의 생성부에서 메시 단위에 따라 타일맵 형태로 분할된 영역의 지도 데이터를 벡터 방식으로 저장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더욱이, 파일 DB는 지도 제공 서버의 생성부에서 인접한 영역의 파일 DB와의 연결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저장함으로써 분할 영역 별로 파일 DB가 개별적으로 생성되더라도 파일 DB 간에 연동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분할 영역 간에 내비게이션 기능이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파일 DB만으로도 완전한 내비게이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개별 단위의 파일 DB 안에는 지도 화면 디스플레이(내비 DP)와 경로 탐색 및 경로 안내에 필요한 모든 요소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단계(S903)에서 지도 제공 서버의 제공부는 내비게이션 단말의 요청에 따라 특정 권역에 해당되는 영역의 파일 DB를 내비게이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특정 권역은 내비게이션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내비게이션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자동 설정되거나, 경로 탐색을 통해 목적지까지의 경로로 설정되거나, 내비게이션 단말에서의 수신 빈도로 예측된 지역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S904)에서 내비게이션 단말의 수신부는 지도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들을 지도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내비게이션 단말의 수신부는 지도 제공 서버로부터 특정 권역의 지도 데이터가 저장된 파일 DB를 수신하되, 특정 권역에 포함된 분할 영역 각각에 대하여 개별 단위의 파일 DB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내비게이션 단말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특정 위치를 중심으로 주변 일정 반경을 선택하거나 특정 행정계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내비게이션 단말의 수신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권역에 해당되는 영역의 파일 DB를 지도 제공 서버로부터 일괄로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권역의 파일 DB는 내비게이션 단말의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으며, 로컬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파일 DB를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데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도 제공 서버에서는 내비게이션 단말의 요청에 따라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할 수 있으며, 이에 내비게이션 단말의 수신부는 경로 탐색에 따른 경로에 포함된 영역의 파일 DB를 지도 제공 서버로부터 일괄 수신할 수 있다. 경로에 포함된 영역의 파일 DB는 기본적으로 캐시 등에 임시 저장될 뿐 내비게이션 단말의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지 않으나, 수신 빈도가 일정 횟수 이상일 경우 자주 이용되는 지역으로 설정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선택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내비게이션 단말의 수신부는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현재 위치에 해당되는 영역과 위치 이동 방향에 따라 현재 위치와 인접한 영역의 파일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실시간으로 수신된 파일 DB는 기본적으로 캐시 등에 임시 저장될 뿐 내비게이션 단말의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지 않으나, 수신 빈도가 일정 횟수 이상일 경우 자주 이용되는 지역으로 설정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선택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단계(S905)에서 내비게이션 단말의 수행부는 개별 단위의 파일 DB를 통하여 특정 권역에 대한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단말의 수행부에서는 상기한 특징들의 파일 구조에 따라 파일 DB에 포함된 정보들(분할 영역의 지도 데이터에 대한 인덱스, 지도 화면 디스플레이(내비 DP)와 경로 탐색 및 경로 안내 등과 관련된 요소들의 정보)을 이용하여 경로 탐색, 경로 안내, 지도 검색 등 내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개별 단위의 파일 DB는 내비게이션 단말로의 수신이 완료되면 지도 제공 서버와의 통신 여부와 무관하게 오프라인 환경에서 지속적인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데 이용 가능하다.
상기한 내비게이션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한 내비게이션 단말과 지도 제공 서버의 상세 내용을 바탕으로 보다 단축된 동작들 또는 추가의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동작이 조합될 수 있고, 동작들의 순서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는 지도 제공 서버로부터 특정 권역의 지도 데이터가 저장된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및 파일을 통하여 특정 권역에 대한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파일은 차등 크기의 메시 단위로 분할된 지리적 영역 각각에 대하여 개별 단위로 생성되고, 메시 단위는 파일의 크기가 평준화 되도록 지리적 영역에 포함된 정보량에 따라 크기가 결정되며, 파일에는 지도 화면 디스플레이와 경로 탐색 및 경로 안내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되어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검색 데이터 처리를 위한 앱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거나, 혹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지도 검색 프로그램 등)의 인-앱(in-app)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리적 영역에 대한 소분할 메시 단위의 파일 DB를 통한 데이터 관리로 갱신된 부분적인 업데이트가 가능하여 업데이트 시간을 감소시키고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리적 영역에 대한 차등형 분할 단위에 의해 각 파일 DB의 용량을 균등하게 구성함으로써 파일 DB 별로 정보량을 평준화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 업데이트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분할 메시 단위의 파일 DB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영역만을 보다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여러 네트워크 환경(네트워크 항시 사용, 네트워크 부분적인 사용, 네트워크 비 사용)을 모두 지원하고 이를 1가지 데이터 포맷으로 처리 가능한 파일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10: 분할부
220: 생성부
230: 제공부
510: 수신부
520: 수행부

Claims (25)

  1. 지도 제공 서버로부터 특정 권역의 지도 데이터가 저장된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파일을 통하여 상기 특정 권역에 대한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수행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은 차등 크기의 메시(mesh) 단위로 분할된 지리적 영역 각각에 대하여 개별 단위로 생성되고,
    상기 메시 단위는 상기 파일의 크기가 평준화 되도록 상기 지리적 영역에 포함된 정보량에 따라 크기가 결정되고,
    상기 수신부는,
    분할된 지리적 영역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특정 권역에 해당되는 영역의 파일을 주행 이전에 일괄로 수신하고,
    일괄로 수신된 파일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수행부는,
    상기 수신부가 상기 지도 제공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목적지까지 탐색된 경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권역에 해당하는 영역의 파일에 기초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지속하여 제공하고,
    상기 수신부가 상기 지도 제공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경우, 상기 목적지까지 탐색된 경로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권역에 해당하는 영역의 파일을 나타내는 인덱스에 기초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지속하여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권역에 해당하는 영역의 파일은, 상기 분할된 지리적 영역 중 상기 인덱스와 매칭하는 영역의 파일로서, 상기 지도 제공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캐시에 임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단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이동하고자 하는 경로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권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경로에 포함된 영역의 파일을 일괄로 추가 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분할된 지리적 영역 중 현재 위치에 해당되는 영역과 위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현재 위치와 인접한 영역의 파일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권역은 경로 탐색에 따라 목적지까지의 경로로 설정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분할된 지리적 영역 중 상기 경로에 포함된 영역의 파일을 일괄로 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지리적 영역 중 수신 빈도로 예측된 일부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수신된 파일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단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은 상기 메시 단위에 따라 타일맵(tile map) 형태로 분할된 영역의 지도 데이터가 벡터 방식으로 저장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단말.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 단위로 분할된 지리적 영역 간에 상기 내비게이션 기능이 연결되도록 상기 개별 단위의 파일 간에 연동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단말.
  10. 지리적 영역을 차등 크기의 메시(mesh) 단위로 분할하는 분할부;
    상기 메시 단위 각각에 대하여 분할된 영역의 지도 데이터를 개별 단위의 파일(file)로 생성하는 생성부; 및
    로컬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권역에 해당되는 영역의 파일을 상기 로컬 디바이스로 일괄 제공하는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부는,
    상기 파일의 크기가 평준화 되도록 상기 지리적 영역에 포함된 정보량에 따라 상기 메시 단위의 크기를 영역 별로 결정하고,
    상기 로컬 디바이스로 일괄 제공된 파일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로컬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목적지까지 탐색된 경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권역에 해당하는 영역의 파일에 기초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지속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로컬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목적지까지 탐색된 경로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권역에 해당하는 영역의 파일을 나타내는 인덱스와 매칭하는 영역의 파일을 상기 로컬 디바이스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권역에 해당하는 영역의 파일은, 상기 지도 제공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캐시에 임시 저장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제공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메시 단위에 따라 타일맵(tile map) 형태로 분할된 영역의 지도 데이터를 벡터 방식으로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제공 서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메시 단위 각각의 지도 데이터에 대하여 지도 화면 디스플레이와 경로 탐색 및 경로 안내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개별 단위의 파일로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제공 서버.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 단위로 분할된 지리적 영역 간에 상기 내비게이션 기능이 연결되도록 상기 개별 단위의 파일 간에 연동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제공 서버.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로컬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경로 탐색에 의한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포함된 영역의 파일을 상기 로컬 디바이스로 일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제공 서버.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로컬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상기 로컬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현재 위치에 해당되는 영역과 위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현재 위치와 인접한 영역의 파일을 상기 로컬 디바이스로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제공 서버.
  17.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단말의 내비게이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은 수신부 및 수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제공 방법은,
    상기 수신부에서, 지도 제공 서버로부터 특정 권역의 지도 데이터가 저장된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행부에서, 상기 파일을 통하여 상기 특정 권역에 대한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은 차등 크기의 메시(mesh) 단위로 분할된 지리적 영역 각각에 대하여 개별 단위로 생성되고,
    상기 메시 단위는 상기 파일의 크기가 평준화 되도록 상기 지리적 영역에 포함된 정보량에 따라 크기가 결정되고,
    상기 지도 데이터가 저장된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는,
    분할된 지리 영역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특정 권역에 해당되는 영역의 파일을 주행 이전에 일괄로 수신하고,
    일괄로 수신된 파일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지도 제공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목적지까지 탐색된 경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권역에 해당하는 영역의 파일에 기초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지속하여 제공하고,
    상기 지도 제공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목적지까지 탐색된 경로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권역에 해당하는 영역의 파일을 나타내는 인덱스에 기초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권역에 해당하는 영역의 파일은, 상기 분할된 지리적 영역 중 상기 인덱스와 매칭하는 영역의 파일로서, 상기 지도 제공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캐시에 임시 저장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제공 방법.
  18. 삭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권역은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자동 설정되며,
    상기 지도 데이터가 저장된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분할된 지리적 영역 중 상기 현재 위치에 해당되는 영역과 위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현재 위치와 인접한 영역의 파일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제공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권역은 경로 탐색에 따라 목적지까지의 경로로 설정되며,
    상기 지도 데이터가 저장된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분할된 지리적 영역 중 상기 경로에 포함된 영역의 파일을 일괄로 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제공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은 상기 메시 단위에 따라 타일맵(tile map) 형태로 분할된 영역의 지도 데이터가 벡터 방식으로 저장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제공 방법.
  22. 삭제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 단위로 분할된 지리적 영역 간에 상기 내비게이션 기능이 연결되도록 상기 개별 단위의 파일 간에 연동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제공 방법.
  24. 컴퓨터 시스템이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명령(instruction)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지도 제공 서버로부터 특정 권역의 지도 데이터가 저장된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일을 통하여 상기 특정 권역에 대한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고,
    상기 파일은 차등 크기의 메시(mesh) 단위로 분할된 지리적 영역 각각에 대하여 개별 단위로 생성되고,
    상기 메시 단위는 상기 파일의 크기가 평준화 되도록 상기 지리적 영역에 포함된 정보량에 따라 크기가 결정되며,
    상기 파일에는 지도 화면 디스플레이와 경로 탐색 및 경로 안내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되어 저장되고,
    상기 지도 데이터가 저장된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는,
    분할된 지리 영역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특정 권역에 해당되는 영역의 파일을 주행 이전에 일괄로 수신하고,
    일괄로 수신된 파일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지도 제공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목적지까지 탐색된 경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권역에 해당하는 영역의 파일에 기초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지속하여 제공하고,
    상기 지도 제공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상기 목적지까지 탐색된 경로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권역에 해당하는 영역의 파일을 나타내는 인덱스에 기초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권역에 해당하는 영역의 파일은, 상기 분할된 지리적 영역 중 상기 인덱스와 매칭하는 영역의 파일로서, 상기 지도 제공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캐시에 임시 저장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5.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지도 제공 서버로부터 특정 권역의 지도 데이터가 저장된 파일을 수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모듈; 및
    상기 파일을 통하여 상기 특정 권역에 대한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파일은 차등 크기의 메시(mesh) 단위로 분할된 지리적 영역 각각에 대하여 개별 단위로 생성되고,
    상기 메시 단위는 상기 파일의 크기가 평준화 되도록 상기 지리적 영역에 포함된 정보량에 따라 크기가 결정되며,
    상기 파일에는 지도 화면 디스플레이와 경로 탐색 및 경로 안내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되어 저장되고,
    상기 지도 데이터가 저장된 파일을 수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모듈은,
    분할된 지리적 영역 중,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권역에 해당되는 영역의 파일을 수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고,
    일괄로 수신된 파일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모듈은,
    상기 지도 제공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목적지까지 탐색된 경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권역에 해당하는 영역의 파일에 기초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지속하여 제공하고,
    상기 지도 제공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상기 목적지까지 탐색된 경로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권역에 해당하는 영역의 파일을 나타내는 인덱스에 기초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권역에 해당하는 영역의 파일은, 상기 분할된 지리적 영역 중 상기 인덱스와 매칭하는 영역의 파일로서, 상기 지도 제공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캐시에 임시 저장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
KR1020130123353A 2013-10-16 2013-10-16 다양한 사용자 네트워크 환경 지원 및 자유로운 데이터 권역 설정을 위한 지도 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과 그 시스템 KR101556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353A KR101556618B1 (ko) 2013-10-16 2013-10-16 다양한 사용자 네트워크 환경 지원 및 자유로운 데이터 권역 설정을 위한 지도 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과 그 시스템
US14/502,217 US9436703B2 (en) 2013-10-16 2014-09-30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ap data and system thereof
CN201810367182.4A CN108731692B (zh) 2013-10-16 2014-10-15 用于提供地图数据的装置和方法及其系统
CN201410544948.3A CN104567894B (zh) 2013-10-16 2014-10-15 用于提供地图数据的装置和方法及其系统
US15/239,301 US9766076B2 (en) 2013-10-16 2016-08-17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ap data and system thereof
US15/691,007 US10012507B2 (en) 2013-10-16 2017-08-30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ap data and system thereof
US16/123,836 USRE48713E1 (en) 2013-10-16 2018-09-0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ap data and system thereof
US17/060,832 US20210095988A1 (en) 2013-10-16 2020-10-01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ap data and system thereof
US17/673,986 US20220244053A1 (en) 2013-10-16 2022-02-17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ap data and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353A KR101556618B1 (ko) 2013-10-16 2013-10-16 다양한 사용자 네트워크 환경 지원 및 자유로운 데이터 권역 설정을 위한 지도 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과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227A KR20150044227A (ko) 2015-04-24
KR101556618B1 true KR101556618B1 (ko) 2015-10-01

Family

ID=52810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353A KR101556618B1 (ko) 2013-10-16 2013-10-16 다양한 사용자 네트워크 환경 지원 및 자유로운 데이터 권역 설정을 위한 지도 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과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6) US9436703B2 (ko)
KR (1) KR101556618B1 (ko)
CN (2) CN1087316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12628A (ja) * 2015-05-08 2016-12-15 スズキ株式会社 位置情報共有システムおよび送受信端末
KR102395023B1 (ko) * 2015-06-30 2022-05-06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그래픽 기반의 웹 벡터 지도 표시 시스템 및 방법
CN105427330A (zh) * 2015-12-21 2016-03-23 中科宇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矢量多边形的任意多比例分割方法
KR101756946B1 (ko) * 2017-01-20 2017-07-11 장수진 경도선/위도선을 기반으로 교통로를 구성하고, 지도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18044B1 (ko) * 2017-11-30 2022-07-07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11293770B2 (en) 2018-08-02 2022-04-05 salesforces.com, Inc. Geographic routing engine
US10274326B1 (en) * 2018-08-02 2019-04-30 Mapanything, Inc. Utilizing a geo-locator service and zone servers to reduce computer resource requirements for determining high quality solutions to routing problems
DE102018220115A1 (de) * 2018-11-23 2020-05-28 Zf Friedrichshafen Ag Ortsbezogene Radar-, Lidar-, und GCP-Daten
CN110083670B (zh) * 2019-03-26 2020-09-18 长安大学 一种基于路段密度的地图网格划分方法
US11105646B2 (en) 2019-04-17 2021-08-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viding navigation services using context-aware trajectory analysis
WO2021246551A1 (ko) * 2020-06-04 2021-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경로 제공 장치 및 그것의 경로 제공 방법
CN111581324B (zh) * 2020-06-10 2021-06-25 拉扎斯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导航数据的生成方法、装置及设备
JP7002681B2 (ja) * 2021-01-05 2022-01-20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 論理セグメント化データ処理システム
CN113069330B (zh) * 2021-03-24 2022-04-22 南京大学 一种基于智能终端的视障人士户外出行方向诱导方法
CN115451943B (zh) * 2022-11-11 2023-09-15 阿里巴巴(中国)有限公司 电子地图处理、导航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7292550B (zh) * 2023-11-24 2024-02-13 天津市普迅电力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面向车联网应用的限速预警功能检测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8861A (ja) * 2007-09-03 2009-03-19 Kddi Corp 分割地図画像生成装置、地図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構造
JP2011117740A (ja) * 2009-11-30 2011-06-16 Fujitsu Ten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車載装置
KR101051141B1 (ko) 2010-12-09 2011-07-21 김동성 실시간 맵 전송 및 스마트폰 맵 가시화용 GridGML 구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2492A (en) * 1994-06-24 1998-09-01 Delorme Publishing Company, Inc. Computer aided routing and positioning system
JP3143927B2 (ja) * 1996-09-20 2001-03-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装置
JP3739945B2 (ja) * 1998-09-17 2006-01-25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用受信装置
US6427117B1 (en) * 1999-07-14 2002-07-30 Kabushikikaisha Equos Research Navigation method, navigation system,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s apparatus used in the navigation system
JP4147712B2 (ja) * 1999-11-18 2008-09-10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通信型経路案内システム
JP4024450B2 (ja) * 2000-03-03 2007-12-1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6721572B1 (en) * 2000-03-24 2004-04-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optimization near wireless dead zone regions
KR20020001369A (ko) * 2000-06-28 2002-01-09 이준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2002342330A (ja) * 2001-05-14 2002-11-29 Alpine Electronics Inc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6879980B1 (en) * 2001-06-29 2005-04-12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Nearest neighbor query processing in a linear quadtree spatial index
US6574554B1 (en) * 2001-12-11 2003-06-03 Garmin Ltd.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a navigation route based on non-contiguous cartographic map databases
CN100476831C (zh) * 2002-05-17 2009-04-08 株式会社查纳位资讯情报 地图数据处理方法和装置
US7243134B2 (en) * 2002-06-25 2007-07-10 Motorola, Inc. Server-based navigation system having dynamic transmittal of route information
JP3954454B2 (ja) * 2002-07-05 2007-08-0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地図データ配信システム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WO2004008073A1 (ja) * 2002-07-17 2004-01-22 Xanavi Informatics Corporation ナビゲーション方法、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のための処理方法、地図データ管理装置、地図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532144B1 (ko) 2002-12-24 2005-11-29 에스케이 주식회사 지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GB0303888D0 (en) * 2003-02-19 2003-03-26 Sec Dep Acting Through Ordnanc Image streaming
JP4350570B2 (ja) * 2004-03-23 2009-10-21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情報取得方法
JP4814507B2 (ja) * 2004-11-01 2011-11-1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差分地図データ配信方法
US7260474B1 (en) * 2005-02-08 2007-08-21 Cellco Partnership GIS point-to-point routing for directions
JP2006327314A (ja) * 2005-05-24 2006-12-07 Aisin Aw Co Ltd 配光制御システム及び配光制御方法
DE602006013274D1 (de) * 2006-03-31 2010-05-12 Research In Motion Ltd Verfahren zur Kontrolle von Kartenversionen und Vorrichtung zur Aktualisierung der Verwendung von über ein Netzwerk gewarteten Kartendatensätzen für mobile Kommunikationsvorrichtungen
JP5013738B2 (ja) * 2006-04-25 2012-08-29 アルパイン株式会社 地図データ作成装置
KR101508976B1 (ko) * 2007-12-31 2015-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1039312B1 (ko) * 2008-07-11 2011-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EP2354760A4 (en) * 2008-11-07 2012-05-09 Navitime Japan Co Ltd ROUTE GUIDING MEDIATION SYSTEM, ROUTE GUIDING MEDIATION SERVER, AND ROUTE GUIDING METHOD
US8386163B2 (en) * 2008-11-21 2013-02-26 Gary Severson GPS navigation code system
US9683850B2 (en) * 2009-02-03 2017-06-20 Telenav, Inc. Method for navigation using adaptive coverage
JP5054734B2 (ja) * 2009-06-26 2012-10-24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地図データ更新方法
US8606202B2 (en) * 2010-08-24 2013-12-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adio receiver apparatus
JP5277223B2 (ja) * 2010-09-17 2013-08-2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経路探索装置
CN103493116B (zh) * 2010-12-07 2016-06-29 谷歌公司 路线导引的方法和装置
US8863256B1 (en) * 2011-01-14 2014-10-14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secure transactions using flexible identity management in a vehicular environment
US9332387B2 (en) * 2012-05-02 2016-05-03 Google Inc. Prefetching and caching map data based on mobile network cover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8861A (ja) * 2007-09-03 2009-03-19 Kddi Corp 分割地図画像生成装置、地図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構造
JP2011117740A (ja) * 2009-11-30 2011-06-16 Fujitsu Ten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車載装置
KR101051141B1 (ko) 2010-12-09 2011-07-21 김동성 실시간 맵 전송 및 스마트폰 맵 가시화용 GridGML 구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731692A (zh) 2018-11-02
US20180003508A1 (en) 2018-01-04
US20210095988A1 (en) 2021-04-01
US20160356604A1 (en) 2016-12-08
CN108731692B (zh) 2022-09-06
KR20150044227A (ko) 2015-04-24
US9766076B2 (en) 2017-09-19
CN104567894B (zh) 2018-05-25
USRE48713E1 (en) 2021-08-31
US20220244053A1 (en) 2022-08-04
US20150106014A1 (en) 2015-04-16
US10012507B2 (en) 2018-07-03
US9436703B2 (en) 2016-09-06
CN104567894A (zh)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618B1 (ko) 다양한 사용자 네트워크 환경 지원 및 자유로운 데이터 권역 설정을 위한 지도 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과 그 시스템
US9404759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route guidance
US7974959B2 (en) Map update data supplying apparatus, version table, map data updating system, and map update data supplying method
JP5675751B2 (ja) ナビゲーションデータベースを構造化するための技法
EP2368238B1 (en) Navigation system with query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132675B1 (ko) 항공뷰를 통한 이동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1441197A2 (en) Device,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map information processing and recording media storing the map information and the processing program
US10288437B2 (en) Routing with data version stitching
EP2553390B1 (en) Hybrid navigation system with non-network updat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EP1441198A2 (en) Data structure for a navigation system
JP2012511721A (ja) 目的地を判定するためのベクトルを有する地図データベース、及びベクトル判定方法
CN107609080B (zh) 一种地图数据获取方法及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EP295153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navigational applications
JP5794453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JP2023134828A (ja) 明確なピックアップ場所を提供するための電子機器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9073396B (zh) 拼接混合导航中的混合版本的地图图块进行部分地图更新
JP2015082045A (ja) 地図データ配信システム、サーバ、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101354260A (zh) 一种通讯导航数据更新系统和方法
CN102710796B (zh) 一种基于多级分区网络的区域数据下载方法及装置
JP2007087069A (ja) データ通信装置、データ通信方法、データ更新方法、データ通信プログラム、データ更新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3170916A (ja) 地図情報処理装置、地図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90125263A (ko) 명확한 픽업 장소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19095281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4226650A (ja) 地図情報処理装置、そのシステム、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