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044B1 -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044B1
KR102418044B1 KR1020170163625A KR20170163625A KR102418044B1 KR 102418044 B1 KR102418044 B1 KR 102418044B1 KR 1020170163625 A KR1020170163625 A KR 1020170163625A KR 20170163625 A KR20170163625 A KR 20170163625A KR 102418044 B1 KR102418044 B1 KR 102418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date
region
regional
update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4224A (ko
Inventor
박애희
Original Assignee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3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044B1/ko
Publication of KR20190064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 G01C21/30Map- or contour-matching
    • G01C21/32Structuring or formatting of map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70Software maintenance or management
    • G06F8/71Version control; Configuration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Navig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장치는, 내비게이션 장치로 업데이트를 제공한 업데이트 이력을 저장하는 업데이트 히스토리 정보 DB;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지역구성을 위한 메타정보를 저장하는 업데이트 지역구성 메타정보 DB; 지역별 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지역별 지도데이터 DB; 업데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지도데이터의 지역구성 및 변경로그를 저장하는 지도데이터 지역구성 DB; 및 업데이트 히스토리 정보 DB에 저장된 업데이트 이력을 기반으로 내비게이션 장치로 업데이트를 제공한 지역별 업데이트 빈도를 계산하고, 지역별 업데이트 빈도 및, 업데이트 지역구성 메타정보 DB에 저장된 지역구성을 위한 메타정보 및 변경로그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지역의 재구성 필요성을 판단하여 업데이트 지역을 재구성하여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업데이트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NAVIGATION UPDATE AND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비게이션 지도데이터 업데이트 시, 업데이트 빈도를 반영하여 업데이트되는 지역 단위를 유연하게 재구성함으로써 업데이트 서비스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비게이션은 운행 중인 차량에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목적지에 정확하게 유도하는 운행 안내 시스템 또는 운행 유도 시스템을 말한다.
내비게이션은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자료를 이용하여 현재 차량의 위치 및 진행 방향을 화면을 통해 보여 주며, 낯선 지역을 방문할 경우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하면 화면상에 진행해야 할 도로와 거리 예상 시간 등을 표시하여 제공한다.
또한 운행 중에 차량이 내비게이션에서 표시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진행할 경우 경로를 재설정하거나 경고 메시지를 방송하여 운전자의 안전 운전에 많은 도움을 준다.
이러한 내비게이션 장치는 저장된 지도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를 탐색하게 된다. 따라서 지도정보는 신뢰성 있는 최적화된 경로 안내를 확보하기 위하여 비교적 자주 업데이트 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지도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사용자가 지도제공 서버에 컴퓨터를 통해 접속하여 업데이트 정보를 다운로드한 후 다시 내비게이션에 연결하여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주기적으로 지도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업데이트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내비게이션에 업데이트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업데이트 정보가 발생한 경우 내비게이션에서 자동으로 다운로드 받아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89591호(2015.08.05. 공개, 내비게이션 자동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지도데이터를 업데이트할 때 전체 지역을 모두 받기보다는 필요한 지역만을 업데이트 하면 용량, 시간 등을 절약할 수 있다.
즉, 어느 지역은 변경되는 정보가 많아 업데이트가 많이 발생하지만, 또 어느 지역은 새로운 정보가 거의 없어 업데이트가 거의 발생하지 않은 지역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도로 개통이나 지역 개발로 인해 인근 지역들과의 상호 연관성이 변경되면서 초기 설정된 구성과는 상호 연관성이 다르게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초기 설정된 지역구성으로 업데이트를 제공하게 되면 필요한 지역만을 업데이트할 때 위와 같은 변동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면서 업데이트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내비게이션 지도데이터 업데이트 시, 업데이트 빈도를 반영하여 업데이트되는 지역 단위를 유연하게 재구성함으로써 업데이트 서비스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장치는, 내비게이션 장치로 업데이트를 제공한 업데이트 이력을 저장하는 업데이트 히스토리 정보 DB;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지역구성을 위한 메타정보를 저장하는 업데이트 지역구성 메타정보 DB; 지역별 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지역별 지도데이터 DB; 업데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지도데이터의 지역구성 및 변경로그를 저장하는 지도데이터 지역구성 DB; 및 업데이트 히스토리 정보 DB에 저장된 업데이트 이력을 기반으로 내비게이션 장치로 업데이트를 제공한 지역별 업데이트 빈도를 계산하고, 지역별 업데이트 빈도 및, 업데이트 지역구성 메타정보 DB에 저장된 지역구성을 위한 메타정보 및 변경로그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지역의 재구성 필요성을 판단하여 업데이트 지역을 재구성하여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업데이트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업데이트 이력은, 업데이트 지역, 날짜, 횟수, 지역 연관관계, 지도 객체 업데이트 건수, 용량 및 사용자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메타정보는, 업데이트 기간, 용량, 최소/최대 구성단위, 지역 연관관계 및 기타 메타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변경로그는, 신규 지도와 기존 지도 사이의 영역구성 변경정보와 지역 간 도로연결 변경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업데이트 서버는, 설정주기 단위로 업데이트 빈도를 계산하여 업데이트 지역을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업데이트 서버는, 업데이트 지역의 세분화 또는 확장 관련 판단 요소들의 업데이트 이력에 요소별 가중치를 부여한 후 필수 고려 요소를 포함하여 지역 재구성의 필요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필수 고려 요소는, 지역 재구성 최소 단위 및 지역적 인접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방법은, 업데이트 서버가 업데이트 히스토리 정보 DB로부터의 업데이트 이력을 기반으로 지역별 업데이트 빈도를 계산하는 단계; 업데이트 서버가 지역별 업데이트 빈도 및, 업데이트 지역구성 메타정보 DB로부터의 지역구성을 위한 메타정보 및 변경로그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지역의 재구성 필요성을 판단하는 단계; 업데이트 서버가 업데이트 지역의 재구성 필요성의 판단에 따라 업데이트 지역을 재구성하는 단계; 및 업데이트 서버가 업데이트 지역을 재구성한 후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업데이트 이력은, 업데이트 지역, 날짜, 횟수, 지역 연관관계, 지도 객체 업데이트 건수, 용량 및 사용자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메타정보는, 업데이트 기간, 용량, 최소/최대 구성단위, 지역 연관관계 및 기타 메타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변경로그는, 신규 지도와 기존 지도 사이의 영역구성 변경정보와 지역 간 도로연결 변경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업데이트 서버가 설정주기의 경과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설정주기가 경과한 경우 지역별 업데이트 빈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업데이트 지역의 재구성 필요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업데이트 서버가 업데이트 지역의 세분화 또는 확장 관련 판단 요소들의 업데이트 이력에 요소별 가중치를 부여한 후 필수 고려 요소를 포함하여 지역 재구성의 필요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필수 고려 요소는, 지역 재구성 최소 단위 및 지역적 인접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은 내비게이션 지도데이터 업데이트 시, 업데이트 빈도를 반영하여 업데이트되는 지역 단위를 유연하게 재구성함으로써 지역별 지도데이터의 변경 패턴 및 사용자의 업데이트 패턴 등을 반영하여 업데이트의 서비스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장치는, 업데이트 히스토리 정보 DB(30), 업데이트 지역구성 메타정보 DB(40), 지역별 지도데이터 DB(50), 지도데이터 지역구성 DB(60) 및 업데이트 서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업데이트 히스토리 정보 DB(30)는 내비게이션 장치(10)로 업데이트를 제공한 업데이트 이력을 저장하여 업데이트 서버(20)에서 지역별 업데이트 빈도를 계산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여기서, 업데이트 히스토리 정보 DB(30)에 저장되는 업데이트 이력은 업데이트 지역, 날짜, 횟수, 지역 연관관계, 지도 객체 업데이트 건수, 용량 및 사용자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업데이트 지역구성 메타정보 DB(40)는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지역구성을 위한 메타정보를 저장하여 업데이트 서버(20)에서 지역 재구성을 여부를 판단할 때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여기서, 업데이트 지역구성 메타정보 DB(40)에 저장되는 지역구성을 위한 메타정보는, 업데이트 기간, 용량, 최소/최대 구성단위, 지역 연관관계 및 기타 메타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지역별 지도데이터 DB(50)는 지역별 지도데이터를 저장하여 업데이트 시 내비게이션 장치(10)에 지역 구성에 따라 지도데이터를 제공한다.
지도데이터 지역구성 DB(60)는 업데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지도데이터의 지역구성 및 변경로그를 저장하여 업데이트 시 지역 구성을 기반으로 지도데이터를 제공하고 변경로그를 기반으로 변경된 부분에 대한 부분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변경로그는 신규 지도와 기존 지도 사이의 영역구성 변경정보와 지역 간 도로연결 변경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업데이트 서버(20)는 업데이트 히스토리 정보 DB(30)로부터 내비게이션 장치(10)로 업데이트를 제공한 지역별 업데이트 빈도를 계산하고 업데이트 지역구성 메타정보 DB(40)에 저장된 지역구성을 위한 메타정보와 변경로그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지역의 재구성 필요성을 판단하여 업데이트 지역을 재구성하고 업데이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업데이트 서버(20)는 설정주기 단위로 업데이트 빈도를 계산하여 업데이트 지역을 재구성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업데이트 서버(20)는 설정주기 단위로 내비게이션 장치(10)로 업데이트를 제공한 지역별 업데이트 빈도를 계산하여 좀 더 많은 업데이트가 일어나는 지역은 좀 더 작게 재구성하거나, 업데이트가 거의 일어나지 않은 지역은 인근 지역들을 묶어 크게 재구성할 수 있다.
이때, 지역을 좀 더 작게 세분화하여 재구성하기 위한 판단요소로는 지도 객체나 지역의 업데이트 용량이 커지거나, 건수나 횟수가 많아지는 경우 등이 될 수 있고, 지역을 크게 확장하여 재구성하기 위한 판단요소로는 인근 지역별 업데이트 상호 연관성 및 업데이트되는 객체/지역의 건수나 횟수가 적어지는 경우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초기 구성에서는 A, B 지역을 인근지역으로 구성했지만, 실제로는 A, C 지역이 상호 업데이트 연관성 좀 더 크다면 지역을 재구성할 수 있다. 한편, 지도데이터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경될 수 있기에 그 흐름에 맞추어 업데이트 지역구성 메타정보를 반영하여 재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업데이트 서버(20)는 업데이트 지역 재구성 시 지역 구성 최소 단위 이상으로 구성되어야 하고, 지역 간 그룹핑 시 위치상 실제 지역이 서로 이웃해 있어야 하는 조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 히스토리 정보 DB(30)에 저장된 업데이트 이력과 업데이트 지역구성 메타정보 DB(40)에 저장된 지역구성 메타정보를 기반으로 세분화 또는 확장 관련 판단 요소들의 업데이트 이력에 요소별 가중치를 부여한 후 필수 고려 요소(지역 재구성 최소 단위, 지역적 인접 여부 등)를 포함하여 지역 재구성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요소별 가중치는 신경망(Neural Network) 학습을 통해 예측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즉, 지역 재구성으로 운영하여 얻게 되는 예측결과와 업데이트 이력을 통해 얻은 결과 사이의 차이가 발생하는 만큼 가중치를 재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업데이트 서버(20)는 지역 재구성을 하여 지도데이터 지역구성 DB(60)에 저장한 후 변경된 업데이트 지역구성을 기반으로 업데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변경 전 지역 ID와 변경 후 지역 ID의 매칭 테이블을 제공하여 부분 업데이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장치에 따르면, 내비게이션 지도데이터 업데이트 시, 업데이트 빈도를 반영하여 업데이트되는 지역 단위를 유연하게 재구성함으로써 지역별 지도데이터의 변경 패턴 및 사용자의 업데이트 패턴 등을 반영하여 업데이트의 서비스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방법에서는 먼저, 업데이트 서버(20)가 내비게이션 장치(10)에서 업데이트할 때마다 히스토리 이력을 업데이트 히스토리 정보 DB(30)에 저장하면서 설정주기의 경과여부를 판단한다(S10).
S10 단계 설정주기가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종료되지만 설정주기가 경과한 경우, 업데이트 서버(20)는 업데이트 히스토리 정보 DB(30)에 저장된 업데이트 이력을 기반으로 지역별 업데이트 빈도를 계산한다(S20).
여기서 업데이트 이력은 업데이트 지역, 날짜, 횟수, 지역 연관관계, 지도 객체 업데이트 건수, 용량 및 사용자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S20 단계에서 지역별 업데이트 빈도를 계산한 후 업데이트 서버(20)는 업데이트 빈도와 업데이트 지역구성 메타정보 DB(40)로부터 지역구성을 위한 메타정보 및 변경로그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지역의 재구성 필요성을 판단한다(S30).
여기서, 메타정보는 업데이트 기간, 용량, 최소/최대 구성단위, 지역 연관관계 및 기타 메타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변경로그는 신규 지도와 기존 지도 사이의 영역구성 변경정보와 지역 간 도로연결 변경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업데이트 서버(20)는 내비게이션 장치(10)로 업데이트를 제공한 지역별 업데이트 빈도를 계산하여 좀 더 많은 업데이트가 일어나는 지역은 좀 더 작게 재구성하거나, 업데이트가 거의 일어나지 않은 지역은 인근 지역들을 묶어 크게 재구성할 수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지역을 좀 더 작게 세분화하여 재구성하기 위한 판단요소로는 지도 객체나 지역의 업데이트 용량이 커지거나, 건수나 횟수가 많아지는 경우 등이 될 수 있고, 지역을 크게 확장하여 재구성하기 위한 판단요소로는 인근 지역별 업데이트 상호 연관성 및 업데이트되는 객체/지역의 건수나 횟수가 적어지는 경우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초기 구성에서는 A, B 지역을 인근지역으로 구성했지만, 실제로는 A, C 지역이 상호 업데이트 연관성 좀 더 크다면 지역을 재구성할 수 있다. 한편, 지도데이터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경될 수 있기에 그 흐름에 맞추어 업데이트 지역구성 메타정보를 반영하여 재구성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업데이트 서버(20)는 업데이트 지역 재구성 시 지역 구성 최소 단위 이상으로 구성되어야 하고, 지역 간 그룹핑 시 위치상 실제 지역이 서로 이웃해 있어야 하는 조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 히스토리 정보 DB(30)에 저장된 업데이트 이력과 업데이트 지역구성 메타정보 DB(40)에 저장된 지역구성 메타정보 및 변경로그를 기반으로 세분화 또는 확장 관련 판단 요소들의 업데이트 이력에 요소별 가중치를 부여한 후 필수 고려 요소(지역 재구성 최소 단위, 지역적 인접 여부 등)를 포함하여 지역 재구성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요소별 가중치는 신경망(Neural Network) 학습을 통해 예측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즉, 지역 재구성으로 운영하여 얻게 되는 예측결과와 업데이트 이력을 통해 얻은 결과 사이의 차이가 발생하는 만큼 가중치를 재조정할 수 있다.
S30 단계에서 업데이트 지역의 재구성이 필요한 경우 업데이트 서버(20)는 지역 재구성 판단조건에 따라 업데이트 지역을 재구성한다(S40).
반면, S30 단계에서 업데이트 지역의 재구성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종료된다.
S40 단계에서 업데이트 지역을 재구성한 후 업데이트 서버(20)는 지도데이터 지역구성 DB(60)에 변경된 지역 구성을 저장하고, 변경된 지역 구성에 따라 업데이트를 제공한다(S50).
이때 업데이트 서버(20)는 변경 전 지역 ID와 변경 후 지역 ID의 매칭 테이블을 제공하여 부분 업데이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장치에 따르면, 내비게이션 지도데이터 업데이트 시, 업데이트 빈도를 반영하여 업데이트되는 지역 단위를 유연하게 재구성함으로써 지역별 지도데이터의 변경 패턴 및 사용자의 업데이트 패턴 등을 반영하여 업데이트의 서비스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내비게이션 장치 20 : 업데이트 서버
30 : 업데이트 히스토리 정보 DB
40 : 업데이트 지역구성 메타정보 DB
50 : 지역별 지도데이터 DB
60 : 지도데이터 지역구성 DB

Claims (14)

  1. 내비게이션 장치로 업데이트를 제공한 업데이트 이력을 저장하는 업데이트 히스토리 정보 DB;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지역구성을 위한 메타정보를 저장하는 업데이트 지역구성 메타정보 DB;
    지역별 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지역별 지도데이터 DB;
    업데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지도데이터의 지역구성 및 변경로그를 저장하는 지도데이터 지역구성 DB; 및
    상기 업데이트 히스토리 정보 DB에 저장된 상기 업데이트 이력을 기반으로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로 업데이트를 제공한 지역별 업데이트 빈도를 계산하고, 상기 지역별 업데이트 빈도 및, 상기 업데이트 지역구성 메타정보 DB에 저장된 지역구성을 위한 상기 메타정보 및 상기 변경로그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지역의 재구성 필요성을 판단하여 업데이트 지역을 재구성하여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업데이트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업데이트 서버는, 설정주기 단위로 업데이트 빈도를 계산하여 업데이트 지역을 재구성하고, 업데이트 지역의 세분화 또는 확장 관련 판단 요소들의 업데이트 이력에 요소별 가중치를 부여한 후 필수 고려 요소를 포함하여 지역 재구성의 필요성을 판단하며,
    상기 필수 고려 요소는, 지역 재구성 최소 단위 및 지역적 인접 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이력은, 업데이트 지역, 날짜, 횟수, 지역 연관관계, 지도 객체 업데이트 건수, 용량 및 사용자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정보는, 업데이트 기간, 용량, 최소/최대 구성단위, 지역 연관관계 및 기타 메타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로그는, 신규 지도와 기존 지도 사이의 영역구성 변경정보와 지역 간 도로연결 변경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업데이트 서버가 업데이트 히스토리 정보 DB로부터의 업데이트 이력을 기반으로 지역별 업데이트 빈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 서버가 상기 지역별 업데이트 빈도 및, 업데이트 지역구성 메타정보 DB로부터의 지역구성을 위한 메타정보 및 변경로그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지역의 재구성 필요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 서버가 업데이트 지역의 재구성 필요성의 판단에 따라 업데이트 지역을 재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 서버가 업데이트 지역을 재구성한 후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업데이트 서버가 설정주기의 경과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설정주기가 경과한 경우 지역별 상기 업데이트 빈도를 계산하고,
    상기 업데이트 지역의 재구성 필요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업데이트 서버가 업데이트 지역의 세분화 또는 확장 관련 판단 요소들의 업데이트 이력에 요소별 가중치를 부여한 후 필수 고려 요소를 포함하여 지역 재구성의 필요성을 판단하며,
    상기 필수 고려 요소는, 지역 재구성 최소 단위 및 지역적 인접 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이력은, 업데이트 지역, 날짜, 횟수, 지역 연관관계, 지도 객체 업데이트 건수, 용량 및 사용자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정보는, 업데이트 기간, 용량, 최소/최대 구성단위, 지역 연관관계 및 기타 메타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로그는, 신규 지도와 기존 지도 사이의 영역구성 변경정보와 지역 간 도로연결 변경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70163625A 2017-11-30 2017-11-30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2418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625A KR102418044B1 (ko) 2017-11-30 2017-11-30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625A KR102418044B1 (ko) 2017-11-30 2017-11-30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224A KR20190064224A (ko) 2019-06-10
KR102418044B1 true KR102418044B1 (ko) 2022-07-07

Family

ID=66848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625A KR102418044B1 (ko) 2017-11-30 2017-11-30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0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4298A (ja) * 2008-12-26 2009-06-18 Xanavi Informatics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地図データ更新方法
JP2011122978A (ja) * 2009-12-11 2011-06-23 Navitime Japan Co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サーバ、および、地図データ更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618B1 (ko) * 2013-10-16 2015-10-01 팅크웨어(주) 다양한 사용자 네트워크 환경 지원 및 자유로운 데이터 권역 설정을 위한 지도 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과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4298A (ja) * 2008-12-26 2009-06-18 Xanavi Informatics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地図データ更新方法
JP2011122978A (ja) * 2009-12-11 2011-06-23 Navitime Japan Co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サーバ、および、地図データ更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224A (ko)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4405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ap data and system thereof
KR102018816B1 (ko) 내비게이션 장치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방법 및 내비게이션 장치
CN102889891B (zh) 地图数据分发服务器、地图数据分发系统及地图数据分发方法
US7158149B2 (en) Map data transmitting method, map data transmitting apparatus, information device and map data transmitting system
US20200318979A1 (en) Route determination and navigation based on multi-version map regions
CN106802813A (zh) 用于空中固件升级的方法、装置及车辆
CN102364545A (zh) 一种查询道路路况的方法、装置及系统
WO2008023877A1 (en) Method for updating map data of terminal based on route area, and server using the same
KR102418044B1 (ko)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EP3326404B1 (en) Evaluating near range communications quality
CN113475107A (zh) 将云侧角色委派给设备
CN103512578A (zh) 用于按类别更新对象的导航装置及其更新方法
CN113850909B (zh) 点云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自动驾驶设备
CN102364303A (zh) 路径预约规划结果同步系统及方法
KR100856205B1 (ko) 디지털 지도 데이터를 동적으로 업데이트하는 경로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EP2189756A1 (en) Map data management using road ghosting characteristics
JP7451963B2 (ja) 配車システム、配車方法、及び配車プログラム
JP2004125449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におけるナビゲーションサーバ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クライアント装置
CN112133105B (zh) 交通流预测辅助装置以及交通流预测辅助方法
JP7267491B2 (ja) 端末装置、管理サーバ、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324276B1 (ko) 내비게이션의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US10657470B2 (en) Joint use utility management system
KR20200081568A (ko) 도로데이터 생성 방법, 경로 탐색 장치 및 방법
KR20240078713A (ko) 연속 객체의 정밀도로지도 갱신 시스템 및 방법
KR102127906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