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946B1 - 경도선/위도선을 기반으로 교통로를 구성하고, 지도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경도선/위도선을 기반으로 교통로를 구성하고, 지도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946B1
KR101756946B1 KR1020170009669A KR20170009669A KR101756946B1 KR 101756946 B1 KR101756946 B1 KR 101756946B1 KR 1020170009669 A KR1020170009669 A KR 1020170009669A KR 20170009669 A KR20170009669 A KR 20170009669A KR 101756946 B1 KR101756946 B1 KR 101756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line
cube
search
mesh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수진
Original Assignee
장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수진 filed Critical 장수진
Priority to KR1020170009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9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946B1/ko
Priority to US16/479,237 priority patent/US20190383635A1/en
Priority to EP18741653.2A priority patent/EP3573013A4/en
Priority to PCT/KR2018/000793 priority patent/WO2018135852A1/ko
Priority to CN201880007830.3A priority patent/CN110199313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35Guidance using 3D or perspective road m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35Guidance using 3D or perspective road maps
    • G01C21/3638Guidance using 3D or perspective road maps including 3D objects and build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63Structures of map data
    • G01C21/3867Geometry of map features, e.g. shape points, polygons or for simplified m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63Structures of map data
    • G01C21/387Organisation of map data, e.g. version management or database structures
    • G01C21/3881Tile-based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06F17/3004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G06T15/20Perspective computation
    • G06T15/205Image-based ren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경도선/위도선자체를 3D 입방·평면 격자망으로 사용하여 교통로를 구성하고, 지도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경도선/위도선을 기반으로 교통로를 구성하고, 지도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은 지도 생성 장치가 평면 좌표계를 기반으로 한 3D(dimension) 격자망을 사용한 3D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 지도 생성 장치가 사용자 장치에 의해 입력된 검색 정보 및 3D 지도를 기반으로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지도 검색용 아이콘 연동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도선/위도선을 기반으로 교통로를 구성하고, 지도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ap search and constructing a traffic route based longitude line and latitude line}
본 발명은 경도선/위도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도선/위도선을 기반으로 교통로를 구성하고, 지도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디지털 영상 지도(항공 뷰, 로드 뷰, 3D(dimension) 영상 지도 등)에 관한 현재까지의 기법은 각종 포털이나 구글, 국토 정보 지리원, 네비게이션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수치선(경·위도선의 위치에 따른 고유한 거리 간격 및 위치로 표현되는 각각 혹은 1개의 3D 격자망의 크기 및 위치)의 영상 지도가 모니터에서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지 않아 정밀도가 요구되는 검색이나 운행로 설정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초정밀 영상 지도를 구현하고, 이를 기반으로 보다 정밀하고 정확한 검색/운행로 설정이 필요하다.
10-2013-0134846
본 발명의 목적은 경도선/위도선을 기반으로 교통로를 구성하고, 지도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도선/위도선을 기반으로 교통로를 구성하고, 지도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경도선/위도선을 기반으로 교통로를 구성하고, 지도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은 지도 생성 장치가 평명 좌표계를 기반으로 한 3D(dimension) 격자망을 사용한 3D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지도 생성 장치가 사용자 장치에 의해 입력된 검색 정보 및 상기 3D 지도를 기반으로 지도 정보를 제공 및 지도 검색용 아이콘을 연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3D 격자망은 점, 선 및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점, 상기 선 및 상기 면은 단일 또는 조합으로 생성물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위도선의 위치가 변함으로서 고유한 선간 거리가 도출되는 3D 격자망 상 격자망의 크기는 주행도로 생성 및 지도 검색 경로의 설정에 따라 정밀도를 감안하여 설정되고, 상기 생성물은 삭도(ropeway), 궤도, 경로, 피추적물 유도선, 센서, 차선의 기능 및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D 격자망에 기반하여 일련상의 요소인 1개 단위의 (영상) 지도의 크기 및 검색 경로가 구성되고, 일면(일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일련 배열된 격자망 기반 (영상)지도 단위에 해당하는 큐브의 연속 구성을 제공하고, 상기 큐브는 상기 3D 격자망에 대응되는 로드뷰 대체용 4면 사진, 4방향 드론뷰(또는 항공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4면 사진 및 상기 4방향 드론뷰는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큐브는 모 큐브에 포함되고, 상기 모 큐브는 상기 각 큐브와 관련된 격자망을 구성하는 정보 즉 주소, 번지, 격자망의 임의 일련 번호, 수치(거리+위치) 등 생성물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 큐브는 역으로 영상 지도의 일련상 구성 요소인 개별 큐브의 모형 하단부에 구성 요소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경도선/위도선을 기반으로 교통로를 구성하고, 지도 검색을 수행하는 지도 생성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평면 좌표계를 기반으로 한 3D(dimension) 격자망을 사용한 3D 지도를 생성하고, 사용자 장치에 의해 입력된 검색 정보 및 상기 3D 지도를 기반으로 지도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3D 격자망은 점, 선 및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점, 상기 선 및 상기 면은 단일 또는 조합으로 생성물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D 격자망 상 격자망의 크기는 정밀도를 감안하여 설정되고, 상기 생성물은 삭도(ropeway), 궤도, 경로, 피추적물 유도선, 센서, 차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D 지도는 큐브를 제공하고, 상기 큐브는 상기 3D 격자망에 대응되는 로드뷰 대체용 4면 사진, 4방향 드론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4면 사진 및 상기 4방향 드론뷰는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큐브는 모 큐브에 포함되고, 상기 모 큐브는 상기 큐브와 관련된 수치, 생성물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큐브(해당 격자망 크기의 단위로 선정된)에 해당하는 영상 지도의 검색로(경로 검색을 위한 별도의 격자망 크기의 단위로 선정된)는 아이콘의 연동 검색 방식에 의거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도선/위도선을 기반으로 교통로를 구성하고, 지도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서는 기존의 로드 뷰에서 제한된 장소 검색이나 부정확한 거리 이동 검색이 가진 부정확성 및 불판함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즉, 단순 평면 수치 지도 제작 및 로드 뷰를 대체하고 검색 및 정밀도를 높인 영상 지도를 제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운항/교통로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지도 정보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의 상단은 지구의 경도선/위도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하단은 3D(dimension) 수직 직각 좌표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구역/목적에 따른 (경·위도선에 의한 3D)격자 교차점 연결에 의한 선의 생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한 권역(예:경부선) 적용시 경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직각 좌표계에 의한 격자망의 상부에서의 조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도가 표현된 측면 조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의 경로 생성용 격자망의 교차점 및 선,면의 조합에 의한 생성물들의 활용에 대한 기능 및 정보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의 방향 및 위치 검색용 아이콘과 해당 영상(사진)지도와 연동되어 기능 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큐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배송 등을 위한 목적지 검색 및 주행(비행)을 위한 이동 경로 설정/생성을 위한 지도 제작 등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경도선/위도선에 기반한 3D 평면 직각 좌표계 망을 도시하여 목적에 따른 초정밀(영상) 지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도선/위도선에 기반한 3D 평면 직각 좌표를 이용하기 때문에 경도선/위도선을 따라 경로 및 검색로를 설정할 수 있고, 포털 등에서 제공하는 로드 뷰에서의 제한된 장소 검색이나 부정확한 거리 이동 검색(네이버, 다음의 로드뷰)은 검색에 부정확상/불편함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아래의 3D 지도를 생성하는 동작은 지도 생성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의 상단은 지구의 경도선/위도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하단은 3D(dimension) 수직 직각 좌표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하단에 도시된 그림은 평면이지만, 3D를 적용하여 고도가 반영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경도선/위도선을 기반으로 교통로를 구성하고, 지도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정밀도를 높인 영상 지도의 제작이 가능하고, 이러한 영상 지도는 기존의 단순 평면 수치 지도 제작 및 로드뷰를 대체할 수 있다.
평면 직각 좌표계(경도 위도 좌표계)를 3D(dimension) 수치(각각의 위치에 따른 경·위도선들이 가지는 고유한 위치 및 거리) 격자망, 입방체 상에 도시한 일반 및 영상 지도(4방향 사진+4방향 드론뷰 동영상)가 제공될 수 있다.
(전자) 지도 제작 및 검색시 3D(입방) 격자망이 도시되는 경우, 경도선/위도선에 기반한 수치(위치+거리)가 사용되기 때문에 표준성(범용성), 정밀성, 용이성,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각각 1개의 격자망이 목적에 따라 선정될 경우, 1개의 격자망에 대한 수치(위치+거리)의 크기(단위)가 설정될 수 있다. 크기(단위)는 경도/위도의 도/분/초 단위일 수 있다. 이러한 단위는 지도 검색시 모니터에 오버랩되어 도시될 수 있다. 즉, 경도선/위도선(가로x세로)을 기반으로 구현된 평면 직각 좌표계에 의한 3D(입방체) 격자망(1개의 망을 구성하는 각각의 경·위도선으로 구성됨)으로 전체 영역이 덮힐 수 있다.
3D 격자망 상의 요소인 점, 선, 면의 구성물(생성물)들이 증강 현실, 가상 현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에는 화살표로 방향이 제시되었으나, 용도에 따른 3D 격자망 상의 선 잇기로 생성된 구성물이 현재는 도로 등의 표면에 방향 지시 그래픽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생성물 자체에 센서 기능 등을 부여하여 안정성을 확보하여 대체할 수 있다. 시간을 반영한 4차원, 방향/궤적 등의 6차원에 대한 표현은 차후 필요 및 가능성에 따라 보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은 3D 수직 격자도 상의 용도에 따라 경도선/위도선의 조합으로 생성될 수 있다. 즉, 용도에 따라, 묶음, 잇기를 기반으로 교차점, 교차점, 임의점, 선의 조합으로 생성하여 도시될 수 있다. 면은 용도에 따른 선의 조합으로 생성되어 도시될 수 있다. 3D 입방체는 용도에 따른 점, 선, 면의 조합으로 생성되어 도시될 수 있다.
3D 격자망 상에 목적에 따라 점, 선, 면들이 단일 또는 조합으로 구성되는 생성물들은 각각의 경·위도선들이 갖는 고유의 위치+거리에 기반하고 용도별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생성물의 일종으로서 수치(거리+위치)가 반영된 경·위도선(세로선x가로선) 으로 구성된 검색선(레이어layer 모드로 지도 상에 3D 격자로 도시)은 항공뷰등의 장소 이동 및 추적 검색선으로 기능할 수 있다. 더불어 생성물은 삭도(ropeway), 궤도, 경로, 피추적물 유도선, 센서, 차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조합 요소인 점, 선, 면 입체에 부가적인 장치를 더하여 목적한 기능체 역할을 부여할 수 있다. 즉, 격자선 상에 생성된 선, 면, 입방체는 자율 주행 등에서 센서, IoT(internet of things) 산업 분야, 드론 등 항공 촬영 비행, 비행로, 차로, 차선, 궤도, 역할체, 피추적물의 유도선 및 자체/객체로 도시되어 기능 요소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3D 격자선은 항공뷰 검색에서 오버랩 모드로 도시되어 정확하고 용이하게 검색 수단으로 기능하며 3D 격자망의 선(가로x세로)들은 각종 정보(경위도의 도/분/초 수치)를 내장하여 (영상, 사진) 배송지의 검색 경로, 이동로로 도시되고 기능할 수 있다.
경도/위도의 3D 격자망 상에 기초하여 선 요소의 조합으로 목적에 따른 생성물이 목적지 설정이나 수치상 정밀도가 필요한 부분에 인식 탐지 등의 피사체로서 자체 센서 기능 또는 구성 요소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자율 주행 등에서 인식 센서 및 제어에 필요한 복잡한 알고리즘이 단순/정화된 삭도(索道), 궤도, 피추적물 유도선, 센서 등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등 분야에서 증강 현실·가상 현실(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loT 기술)이 구성되는 경우, 각종 생성물에 적용될 수 있다. 3D 격자망을 구성하는 점, 선, 면의 센서(sensor) 기능 요소(특히 삭도·궤도용)에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 processing unit, GPU) 기술 등을 접목하여 생성물에 자율 주행 등에 필요한 기능이 부여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구역/목적에 따른 격자 교차점 연결에 의한 선의 생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격자 교차점의 연결에 따라 선(200) 및 면이 생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한 권역 적용시 경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경부선(300)에 대한 정보를 표시/생성한 실시예가 개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직각 좌표계에 의한 격자망의 상부에서의 조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해당 지역의 3D 격자 구성 요소들을 연결하여 선이 구성될 수 있다. 목적에 따라 경로(비행로), 차선, 삭도, 궤도, 센서 등이 점+선+면의 조합으로 생성될 수 있다.
격자 교차점 연결에 의한 선 및 면,입방체의 생성은 예를 들어, 비행로(삭도) 구성과 기능, 궤도 생성과 기능, 피추적물 등 자율 주행차·비행체 유도선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의 (a)는 3D 입방 격자 상에서 구성된 비행로(삭도)를 나타낸다.
도 4의 (b)는 3D 입방 격자 상에서 구성된 자율 주행차 등의 차로 혹은 궤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도가 표현된 측면 조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격자망 상에 삭도·궤도·비행로·피추적물체(유도체)의 구성이 도시될 수 있다. 비행체의 경우 선(비행체를 매다는 선 또는 시장의 관제 이동 유도선 역할)을 대체할 수 있다. 측면에서 본 측면 조감도는 고도를 반영할 수 있다.
3D 격자선을 구성하는 선, 면, 입체 및 생성물(경로, 차선 등)에는 용도에 따른 고유 구분이 존재할 수 있다.
선, 면, 입체 및 생성물 에 대해 정보를 배정하고 부여하는 절차 상에서 격자망의 경위도선(가로선x세로선) 기반 고유 임의 번호 및 크기, 행정동, 주소 지번, 위치 지명 선의 조합으로 구성된 면들에 대한 정보가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 면, 입방체로 구성되는 전술한 생성물에 임의 구분용 고유 일련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즉, 1선(단독선 또는 선들의 조합) 운행로, 2선(단독선 또는 선들의 조합) 운행로 등으로 고유 구분 번호가 배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1호면,2호면 등으로 배정 부여할 수 있으며 각각의 격자망을 구성하는 경위도선의 경우도 고유의 임의의 일련 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큐브의 일면에 내장 검색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행 경로 생성, 검색로 설정 도시 및 배송지 검색 영상(드론뷰+4방향 사진) 지도가 제작될 수 있고, 지도 제작에 따른 특수한 용도의 3D 격자망 상 수치가 설정될 수 있다.
3D 격자망 상 격자망의 특정 단위(수치)를 한정된 지역(예를 들어, 서울), 목적을 각각 선정되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율 주행 경로 생성 검색을 위해 3D 격자망 상 수치(도/분/초 중 0.01초 단위인 약 30cm)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배송지, 목적지 등 확인 및 경로 검색용 영상(드론 뷰 + 4 방향 사진) 지도의 경우 해당지역 격자망 1개의 영상 사진과 드론 및 항공뷰의 크기는 로드뷰를 대체할 수 있는 크기를 기준으로 3D 격자망 상 수치(도/분/초 중 실제 거리 약 200m~300m에 해당하는 1/6분 수치)가 선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의 경로 생성용 격자망의 크기 및 격자망의 점,선,면,입방체의 조합으로 생성된 도로가 각각 생성물이 기능화 되어 자율차량에 적용되는 정보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즉 도4의 (b) 경우가 교통로의 구성 실례로서 종합적으로 확대 적용된 경우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자율 주행을 위한 경로 생성용의 3D 격자망 상 격자망의 크기는 자율 주행 허용 정밀도 근사치(수치의 선정/적용은 정밀도 허용 범위에 따라 변할 수 있음)를 감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분/초 중 0.01 초 단위인 약 30cm가 선정 적용될 수 있다.
배송지 영상(사진 및 드론뷰)지도 및 이동 경로 검색용 경위도선 격자망 크기 단위는 이원적 단위로 구성할 수 있다(큐브를 구성하는 영상 지도의 3D 격자망 1개 면의 단위)는 도/분/초 중 실거리 약 200m~300m에 해당하는 1/6 분 수치가 선정되어 적용될 수 있다.
즉, 기준에 의거하여 카메라 성능 등 기기의 발전, 촬영 기술, 피사체 거리 등을 감안한 가독성 기준에 의거하여 선정된 영상 지도의 수치는 필요에 따라 보정되어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지도)사진을 내장하는 격자망 상 단위가 가로x세로 200m에서 300m로 확대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분/초 중에서 자율 주행에 필요한 차량 상호 간 위치, 차로, 차선 등 생성물 간 허용 오차 정밀도 수치 0.01초를 선정할 때 약 30cm가 적용될 수 있다.
큐브 속에 내장하며 격자망 상 해당 로드뷰 대체용 4면 사진, 4방향 드론뷰가 내장될 수 있다. 각각의 격자망에 해당되는 구역의 정보 및 4방향 사진, 4방향 드론뷰가 내장될 수 있다.
특정 지역/특정 목적을 위한 3D 격자망이 가시적 격자망으로 도시되어야 할 경우(즉, 대축척으로 경위도 수치를 선정, 적용해야 할 경우), 수치의 변환, 조정, 보정, 연동을 위한 프로그래밍이 수행될 수 있다.
즉, 경위도 위치 변동이나, 축척 비율 적용 변동으로 도시되는 격자망의 수치(거리)가 수정, 보정, 보정, 연동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즉, 3D 격자망 상에서 측지, 측량된 실거리를 수치로 변환하는 일반적 수치 조정, 보정, 연동 프로그래밍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축척에 따라 다르나, 포털 등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1/5,000 등에서는 0.01초(20cm~30cm) 간격 수치선으로 미세하게 도시되기 때문에(즉, 3D 격자망이 모니터 상에서 육안으로 도시될 수 없기 때문에), 축척에 따라 목적용 해당 수치 선정시 육안 도시가 가능한 수치(확대)로 선정, 변환, 연동 프로그래밍 하거나 검색 대상 부분을 기기적, 소프트웨어적으로 확대하여 3D 격자망 상의 수치 경위도선 및 각종 생성물을 도시하여 육안 정보 검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목적에 따라 경로를 구성하는 선들의 경우, 기타 지도 부분과 축척 비율을 분리/구분하여 동일 지도 상에 이원적인 단위(예를 들어, 동일한 지도 상에 건물 등 부분은 1/5,000 적용, 경로 표시는 1/1,000 적용)를 선정, 설계할 수 있다. 정보는 구글 지도 등을 레이어하여 보정하고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3D 격자망 상에서 경로 이동을 검색하고 배송지에 대한 영상(사진+드론뷰) 지도를 검색하기 위한 도구로서 아래와 같은 구성이 활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용 아이콘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아이콘을 기반으로 3D 격자망의 선이 선택/검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 기능식 연속 푸시로 이동 경로를 선택하여 검색하고, 경로 탐색 엔진을 기반으로 선 숨기기, 복귀 기능, 3D 격자망 크기 선택 기능 등이 수행될 수 있다.
검색용 아이콘은 3D 격자망의 수치(거리) 이동 단위 및 방향 제시 수단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검색용 아이콘은 격자망 상의 선에 수치 단위(거리+위치)가 내재되어 있으므로 아이콘의 검색용 수치 단위와 연동되어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아이콘의 검색 방향과 검색 속도(연속 푸시 기능)만으로도 검색지를 선택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아이콘은 터치, 마우스 클릭, TV 리모컨 등의 원리를 기반으로 조정될 수 있다. 검색 격자선 선택(또는 채널 선택)을 수행하고, 이동 방향 선택 후 계속 푸시하면(예:볼륨 조정과 유사한 기능식)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영상지도 검색시에는 영상에 의하여 입체부분을 조망할 수 있으므로 3D경위도선 격자망이 아닌 영상에 도시되는 평면경위도선 격자망으로 검색로를 도시하여 검색지를 확인 할 수 있으며 격자망선 숨기기(복귀) 기능, 3D 격자망의 단위 선정 기능으로 해당 수치선(도/분/초)를 방향 표시도에 따라 검색하면, 목표물(지)로의 이동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정보 기입 및 검색만으로도 동일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3D격자망상의 영상지도의 단위와 검색로 단위는 이원적·중복적으로 기능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큐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배송지, 목적지 등 확인 및 경로 검색용 영상(드론 뷰 + 4 방향 사진) 지도의 경우 선정된 1개의 격자망속에 해당 지역 영상 사진과 드론 및 항공뷰에 로드뷰를 대체할 수 있는 크기를 기준으로 큐브를 기반으로 배송지 및 검색 대상지(대상물)의 사진(4방향 및 드론 뷰, 네비게이션 뷰)이 내장될 수 있다. 큐브 상에는 지역 권역 별 지도, 3D 격자망 상의 개별 정보(구성되는 해당 경도선, 위도 선) 및 해당 생성물에 관한 정보 검색란 등이 설계 내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모 큐브가 설정되어 위와 같은 큐브를 일부분으로 설계할 수도 있다. 즉, 큐브는 모 큐브에 포함되고, 모 큐브는 상기 큐브와 관련된 수치, 생성물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 큐브는 역으로 영상 지도의 일련상 구성 요소인 개별 큐브의 모형 하단부에 구성요소로 배치될 수 있다.
도 8의 상단은 큐브 형태의 4방향 사진 드론 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검색지의 4방향 사진과 상단에 동일한 4방향의 드론 뷰(동영상 사진,혹은 360˚사진)이 내장될 수 있다.
도 8의 하단은 모 큐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모 큐브는 도 8의 상단과 같은 큐브 형태의 뷰를 포함할 수 있고, 다양한 정보(수치, 정보, 사진/영상, 생성물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도 생성 장치가 경위도선에 의한 평면 좌표계를 기반으로 한 3D(dimension)격자망을 사용한 3D지도를 생성하는 단계, 지도 생성 장치가 사용자 장치에 의해 입력된 검색 정보 및 3D 지도를 기반으로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기반으로 3D지도에 대한 검색이 수행될 수 있다.
3D 격자망은 점, 선 및 면을 포함하고, 점, 선 및 면은 단일 또는 조합으로 생성물을 구성할 수 있다. 3D 격자망 상 격자망의 크기는 정밀도를 감안하여 설정되고, 생성물은 삭도(ropeway), 궤도, 경로, 피추적물 유도선, 센서, 차선을 포함할 수 있다.
3D 지도는 큐브를 제공하고, 큐브는 3D 격자망에 대응되는 로드뷰 대체용 4면 사진, 4방향 드론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4면 사진 및 4방향 드론뷰는 로드뷰를 대체할 수 있다.
경도선/위도선을 기반으로 교통로를 구성하고, 지도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일 수 있고,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경도선/위도선을 기반으로 교통로를 구성하고, 지도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은,
    지도 생성 장치가 평면 좌표계를 기반으로 한 3D(dimension) 격자망을 사용한 3D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지도 생성 장치가 사용자 장치에 의해 입력된 검색 정보 및 상기 3D 지도를 기반으로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3D 격자망은 점, 선 및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점, 상기 선 및 상기 면은 단일 또는 조합으로 생성물을 구성하고,
    상기 3D 격자망 상 격자망의 크기는 정밀도를 감안하여 설정되고,
    상기 생성물은 삭도(ropeway), 궤도, 경로, 피추적물 유도선, 센서, 차선을 포함하고,
    상기 3D 지도는 큐브를 제공하고,
    상기 큐브는 상기 3D 격자망에 대응되는 로드뷰 대체용 4면 사진, 4방향 드론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4면 사진 및 상기 4방향 드론뷰는 대응되고,
    상기 큐브는 모 큐브에 포함되고,
    상기 모 큐브는 상기 큐브와 관련된 수치, 생성물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를 구성하는 상기 선은 목적에 따라 기타 지도 부분과 축척 비율을 분리 및 구분하여 동일 지도 상에 이원적 단위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자율 주행을 위한 경로 생성용의 상기 3D 격자망 상 격자망의 크기는 자율 주행 허용 정밀도 근사치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배송지 영상 지도 및 이동 경로 검색용 경위도선의 상기 3D 격자망 상 격자망 크기 단위는 상기 이원적 단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6. 경도선/위도선을 기반으로 교통로를 구성하고, 지도 검색을 수행하는 지도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도 생성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평면 좌표계를 기반으로 한 3D(dimension) 격자망을 사용한 3D 지도를 생성하고,
    사용자 장치에 의해 입력된 검색 정보 및 상기 3D 지도를 기반으로 지도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현되되,
    상기 3D 격자망은 점, 선 및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점, 상기 선 및 상기 면은 단일 또는 조합으로 생성물을 구성하고,
    상기 3D 격자망 상 격자망의 크기는 정밀도를 감안하여 설정되고,
    상기 생성물은 삭도(ropeway), 궤도, 경로, 피추적물 유도선, 센서, 차선을 포함하고,
    상기 3D 지도는 큐브를 제공하고,
    상기 큐브는 상기 3D 격자망에 대응되는 로드뷰 대체용 4면 사진, 4방향 드론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4면 사진 및 상기 4방향 드론뷰는 대응되고,
    상기 큐브는 모 큐브에 포함되고,
    상기 모 큐브는 상기 큐브와 관련된 수치, 생성물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생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를 구성하는 상기 선은 목적에 따라 기타 지도 부분과 축척 비율을 분리 및 구분하여 동일 지도 상에 이원적 단위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생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자율 주행을 위한 경로 생성용의 상기 3D 격자망 상 격자망의 크기는 자율 주행 허용 정밀도 근사치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배송지 영상 지도 및 이동 경로 검색용 경위도선의 상기 3D 격자망 상 격자망 크기 단위는 상기 이원적 단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생성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70009669A 2017-01-20 2017-01-20 경도선/위도선을 기반으로 교통로를 구성하고, 지도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56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669A KR101756946B1 (ko) 2017-01-20 2017-01-20 경도선/위도선을 기반으로 교통로를 구성하고, 지도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6/479,237 US20190383635A1 (en) 2017-01-20 2018-01-17 Method and device for constructing traffic route on basis of longitude/latitude lines and performing map search
EP18741653.2A EP3573013A4 (en) 2017-01-20 2018-01-17 METHOD AND DEVICE FOR CONSTRUCTING A TRAFFIC ROUTE BASED ON LONGITUDE / LATITUDE LINES AND PERFORMING A MAP SEARCH
PCT/KR2018/000793 WO2018135852A1 (ko) 2017-01-20 2018-01-17 경도선/위도선을 기반으로 교통로를 구성하고, 지도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201880007830.3A CN110199313A (zh) 2017-01-20 2018-01-17 基于经线、纬线构成交通线,执行地图搜索的方法及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669A KR101756946B1 (ko) 2017-01-20 2017-01-20 경도선/위도선을 기반으로 교통로를 구성하고, 지도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946B1 true KR101756946B1 (ko) 2017-07-11

Family

ID=59354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669A KR101756946B1 (ko) 2017-01-20 2017-01-20 경도선/위도선을 기반으로 교통로를 구성하고, 지도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383635A1 (ko)
EP (1) EP3573013A4 (ko)
KR (1) KR101756946B1 (ko)
CN (1) CN110199313A (ko)
WO (1) WO201813585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690A (ko) * 2018-01-22 2019-07-31 네이버 주식회사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90089684A (ko) * 2018-01-22 2019-07-31 네이버 주식회사 항공뷰를 통한 이동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9177291A1 (ko) * 2018-03-13 2019-09-19 정종찬 에어웨이 설정방법
KR102137912B1 (ko) * 2019-09-24 2020-07-24 장수진 경도선 및 위도선의 3d 격자망 좌표를 이용한 개방형 정보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1060835A1 (ko) * 2019-09-24 2021-04-01 장수진 경도선 및 위도선의 격자망 좌표 기반 id 코드번호의 생성 및 활용 방법과 이를 이용한 개방형 정보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3388B2 (en) * 2016-10-17 2019-07-16 X Development Llc Drop-off location planning for delivery vehicle
US10699571B2 (en) * 2017-12-04 2020-06-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igh definition 3D mapping
AU2020409014A1 (en) 2019-12-20 2022-08-18 Niantic, Inc. Merging local maps from mapping devices
CN113781893A (zh) * 2021-09-18 2021-12-10 万翼科技有限公司 交通路线立体模型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511B1 (ko) 2005-10-04 2006-02-08 (주)아세아항측 수치사진측량기술과 레이져 스캐너를 이용한 gis용사진도면의 제작방법
JP2012043458A (ja) * 2004-11-12 2012-03-01 Every Scape Inc シーン間遷移のための方法
KR101220234B1 (ko) * 2012-06-26 2013-01-15 대원항업 주식회사 고도계를 이용한 자동 축척 변경 및 항공/위성 사진 수치 지도 제작 시스템과 그 방법
JP2014021810A (ja) 2012-07-20 2014-02-03 Seiko Epson Corp 衝突検出システム、衝突検出用データ生成装置、ロボットシステム、ロボット、衝突検出用データ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6680A (ja) * 2001-06-20 2003-01-10 Zenrin Co Ltd 3次元電子地図データの生成方法
JP4070507B2 (ja) * 2002-05-17 2008-04-02 アルパイン株式会社 三次元地図表示方法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7966301B2 (en) * 2003-05-09 2011-06-21 Planeteye Company Ulc System and method for employing a grid index for location and precision encoding
JP4550756B2 (ja) * 2006-03-22 2010-09-22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端末装置および地図表示方法
KR100967921B1 (ko) * 2008-10-10 2010-07-06 (주)엠앤소프트 네비게이션의 3차원 링크 저장 방법 및 매칭 방법
CN102436678B (zh) * 2010-09-29 2014-11-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三维道路模型生成方法及系统
US20130035853A1 (en) * 2011-08-03 2013-02-07 Google Inc. Prominence-Based Generation and Rendering of Map Features
KR101223739B1 (ko) * 2012-05-21 2013-01-17 (주)원지리정보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1556618B1 (ko) * 2013-10-16 2015-10-01 팅크웨어(주) 다양한 사용자 네트워크 환경 지원 및 자유로운 데이터 권역 설정을 위한 지도 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과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3458A (ja) * 2004-11-12 2012-03-01 Every Scape Inc シーン間遷移のための方法
KR100549511B1 (ko) 2005-10-04 2006-02-08 (주)아세아항측 수치사진측량기술과 레이져 스캐너를 이용한 gis용사진도면의 제작방법
KR101220234B1 (ko) * 2012-06-26 2013-01-15 대원항업 주식회사 고도계를 이용한 자동 축척 변경 및 항공/위성 사진 수치 지도 제작 시스템과 그 방법
JP2014021810A (ja) 2012-07-20 2014-02-03 Seiko Epson Corp 衝突検出システム、衝突検出用データ生成装置、ロボットシステム、ロボット、衝突検出用データ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유환희 외 2인."Web 3D를 이용한 3차원 가상도시공간정보 구축".한국측량학회지.2002.06.30.,v.20,no.2,(제119면 내지 제126면)*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690A (ko) * 2018-01-22 2019-07-31 네이버 주식회사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90089684A (ko) * 2018-01-22 2019-07-31 네이버 주식회사 항공뷰를 통한 이동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078859B1 (ko) 2018-01-22 2020-02-18 네이버 주식회사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32675B1 (ko) * 2018-01-22 2020-07-13 네이버 주식회사 항공뷰를 통한 이동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9177291A1 (ko) * 2018-03-13 2019-09-19 정종찬 에어웨이 설정방법
KR20190107891A (ko) * 2018-03-13 2019-09-23 정종찬 에어웨이 설정방법
KR102077389B1 (ko) * 2018-03-13 2020-02-13 정종찬 에어웨이 설정방법
KR102137912B1 (ko) * 2019-09-24 2020-07-24 장수진 경도선 및 위도선의 3d 격자망 좌표를 이용한 개방형 정보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1060835A1 (ko) * 2019-09-24 2021-04-01 장수진 경도선 및 위도선의 격자망 좌표 기반 id 코드번호의 생성 및 활용 방법과 이를 이용한 개방형 정보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83635A1 (en) 2019-12-19
EP3573013A4 (en) 2020-05-27
EP3573013A1 (en) 2019-11-27
CN110199313A (zh) 2019-09-03
WO2018135852A1 (ko) 2018-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946B1 (ko) 경도선/위도선을 기반으로 교통로를 구성하고, 지도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1041730B2 (en) Reverse rendering of an image based on high definition map data
US10598489B2 (en) Visual odometry and pairwise alignment for high definition map creation
US11353589B2 (en) Iterative closest point process based on lidar with integrated motion estimation for high definition maps
US10030990B2 (en) Alternate viewpoint image enhancement
JP4854819B2 (ja) 画像情報出力方法
KR100520707B1 (ko) 3차원 지도에서의 다중레벨 텍스트데이터 표시방법
US11415986B2 (en) Geocoding data for an automated vehicle
US11512975B2 (en) Method of navigating an unmanned vehicle and system thereof
Zang et al. Accurate vehicle self-localization in high definition map dataset
KR102115004B1 (ko)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3차원 지도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Ab Rahman et al. Volumetric calculation using low cost unmanned aerial vehicle (UAV) approach
CN112105892A (zh) 使用运动数据和面元数据识别地图特征
JP2024032805A (ja) 航空写真を利用して三次元地図を生成する装置及びその方法
US11947354B2 (en) Geocoding data for an automated vehicle
Hasler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a mobile mapping application using smartphones and augmented reality frameworks
Czerwionka A three dimensional map format for autonomous vehicles
Thomas et al. 3D modeling for mobile augmented reality in unprepared environment
Iclodean et al. Route Specification
Verbree et al. Interactive navigation through distance added valued panoramic images
Zhigalov et al. Development and Updating of 3D GIS by Using Aerial Photography Systems
Halgaš et al. Creating a 3D parking area design via a mobile measurement platform
Olesk Vision-based positioning and navigation with 3D maps: concepts and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