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581B1 - 자기 기록 매체 판독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 기록 매체 판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581B1
KR101554581B1 KR1020147003498A KR20147003498A KR101554581B1 KR 101554581 B1 KR101554581 B1 KR 101554581B1 KR 1020147003498 A KR1020147003498 A KR 1020147003498A KR 20147003498 A KR20147003498 A KR 20147003498A KR 101554581 B1 KR101554581 B1 KR 101554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pattern
card
magnetic strip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3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7708A (ko
Inventor
히로유키 스즈키
아키히로 다다마사
지안종 마이
료타 가와구치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7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G07F19/2055Anti-skimming aspects at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0873Details of the card read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 G06K7/0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방해 자계를 발생하는 루프안테나(35)를, 자기 카드(21)가 삽입되는 삽입구(22) 부근에 설치하고, 삽입구(22)의 전방과 후방에 방해 자계를 항시 작용시킴으로써, 삽입구(22)의 전방에 장착된 부정 판독 장치에 의한 자기 데이터의 부정 취득이나,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용의 자기 헤드(34)에 접속된 리드선에 의한 자기 데이터의 부정 취득을 방지한다. 방해 자계는 자기 헤드(34)에도 미치지만,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 전의 검출 신호의 패턴과,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 후의 검출 신호의 패턴이 다른 것을 이용하여, 자기 카드(21)의 자기 스트라이프에 있어서의 자기 데이터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기 기록 매체 판독 장치{DEVICE FOR READING MAGNETIC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자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이터의 부정 취득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자기 기록 매체 판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ATM(Automated Teller Machine : 현금 자동 입출금기)이나 CD(Cash Dispenser : 현금 자동 지불기) 등의 거래 처리 장치에는, 자기 카드를 판독하는 카드 리더가 탑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거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최근에는, 자기 카드가 카드 리더에 삽입될 때에, 카드의 자기 스트라이프에 기록된 데이터를 부정하게 취득하는 스키밍(skimming)이라고 불리는 범죄가 발생하고 있다.
스키밍의 유형에는, 크게 2종류가 있다. 그 1개는, 자기 헤드를 구비한 부정 판독 장치를, ATM이나 CD에 구비되는 카드 리더의 카드 삽입구에 씌우도록 설치하여, 이 부정 판독 장치의 자기 헤드에 의해, 카드 리더에 삽입되는 자기 카드의 데이터를 부정하게 취득하는 것이다(이하, 「제1 유형」이라고 함). 또 하나는, 카드 삽입구 부근에 설치된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용의 자기 헤드를 포함하는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에, 부정 판독 장치를 리드선으로 접속하고,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자기 헤드가 판독한 데이터)를, 리드선을 통하여 부정하게 취득하는 것이다(이하, 「제2 유형」이라고 함).
상기와 같은 스키밍에 대해서는, 지금까지도 각종의 대책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뒤에 나타낸 특허문헌 1에는, 카드 삽입구의 근방에 방해 자계 발생기를 설치한 카드 리더가 기재되어 있다. 이 카드 리더에 있어서는, 방해 자계 발생기에 의해, 카드 삽입구의 외측 영역에 방해 자계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카드 삽입구의 외측에 부정 판독 장치가 장착된다고 해도, 당해 장치로 판독한 데이터는, 방해 자계의 영향을 받아, 카드에 기록된 원래의 데이터와는 다른 데이터가 된다. 이에 따라, 카드의 데이터가 부정하게 취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뒤에 나타낸 특허문헌 2에는, 카드 삽입구의 주위에, 방해 자계를 발생시키기 위한 루프안테나를 배설한 카드 리더가 기재되어 있다. 루프안테나의 안테나면은, 카드 삽입구의 전면(前面)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이 카드 리더에 있어서도, 카드 삽입구의 외측 영역에 방해 자계가 발생하므로, 카드 삽입구의 외측에 부정 판독 장치가 장착된다고 해도, 카드의 데이터가 부정하게 취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뒤에 나타낸 특허문헌 3에는, 카드의 자기 스트라이프를 검출하기 위한 프리 헤드를 카드 삽입구의 근방에 배치하고, 이 프리 헤드로부터, 자기 스트라이프에 기록된 자기 정보와는 다른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 카드 리더가 기재되어 있다. 이 카드 리더에서는, 프리 헤드에 리드선을 통하여 부정 판독 장치가 장착되어도, 프리 헤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카드에 기록된 정보와 다른 신호이므로, 카드의 데이터가 부정하게 취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본국 특개2001-67524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4425674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0-205187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카드 리더는, 카드 삽입구의 외측 영역에 방해 자계가 발생하므로, 부정 판독 장치를 카드 삽입구의 외측에 장착하는 제1 유형의 스키밍에 대하여 유효하다. 그러나, 이 카드 리더에서는,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에 리드선을 통하여 부정 판독 장치를 장착하는 제2 유형의 스키밍이 행해진 경우에는, 데이터가 부정하게 취득될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카드 리더도, 카드 삽입구의 외측 영역에 방해 자계가 발생하므로, 제1 유형의 스키밍에 대하여 유효하다. 그러나, 이 카드 리더에서는, 제2 유형의 스키밍의 대책에 대해서는 고려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3의 카드 리더는, 프리 헤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카드의 기록 정보와 다른 신호이므로, 제2 유형의 스키밍에 대하여 유효하다. 그러나, 이 카드 리더에서는, 프리 헤드의 헤드부에서 판독한 신호를, 그것과는 다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 변환 수단이 필요해지고, 구성이 복잡해진다. 또한, 제1 유형의 스키밍에 대해서는, 대책이 실시되어 있지 않고, 카드 삽입구의 외측에 장착된 부정 판독 장치에 의해, 데이터가 부정하게 취득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유형의 스키밍에 대해서도, 제2 유형의 스키밍에 대해서도, 데이터의 부정 취득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자기 기록 매체 판독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 매체 판독 장치는, 자기 기록 매체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자기 기록 매체의 자기 스트라이프를 검출하기 위한 자기 헤드를 포함하는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와, 자기 기록 매체의 자기 스트라이프에 기록된 데이터의 판독을 방해하기 위한 방해 자계를 발생하는 자계 발생부와,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자기 스트라이프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자기 기록 매체가 삽입됐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한다. 자계 발생부는, 삽입구 부근에 설치되어 있으며, 항시, 방해 자계를 삽입구의 전방과 후방에 작용시킨다. 판정 수단은, 자기 헤드가 자기 스트라이프를 검출하기 전의 검출 신호의 제1 패턴과, 자기 헤드가 자기 스트라이프를 검출한 후의 검출 신호의 제2 패턴을 비교하고, 제2 패턴이 제1 패턴과 다른 경우에, 자기 스트라이프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자기 기록 매체가 삽입되었다고 판정한다.
이와 같이 하면, 삽입구 부근에 설치된 자계 발생부에서 방해 자계가 항시 발생하고 있으므로, 자기 헤드를 구비한 부정 판독 장치가 삽입구에 장착되어도, 당해 자기 헤드에 반드시 방해 자계가 작용하게 된다. 이 때문에, 부정 판독 장치에 의한 자기 데이터의 부정 취득이 불가능해지고, 제1 유형의 스키밍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계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방해 자계는,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용의 자기 헤드에도 항시 작용한다. 이 때문에,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에 리드선을 접속해도, 자기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제2 유형의 스키밍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방해 자계가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용의 자기 헤드에 작용함으로써, 당해 자기 헤드로부터 정규의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 신호가 얻어지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는,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 전의 검출 신호의 패턴과,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 후의 검출 신호의 패턴이 다른 것을 이용하여, 자기 기록 매체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유무를 지장 없이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패턴은, 미리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판정 수단은, 메모리로부터 판독한 제1 패턴과,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의 제2 패턴을 비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기 헤드가 자기 스트라이프를 검출하기 전에,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자기 기록 매체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설치하고, 판정 수단은, 검지 수단이 자기 기록 매체를 검지한 시점으로부터 거슬러 올라간 일정 기간에 있어서의 제1 패턴과,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의 제2 패턴을 비교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의 일정 기간은, 검지 수단이 자기 기록 매체를 검지하기 직전의 기간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대신, 판정 수단은, 검지 수단이 자기 기록 매체를 검지한 시점 이후의 일정 기간에 있어서의 제1 패턴과,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의 제2 패턴을 비교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의 일정 기간은, 검지 수단이 자기 기록 매체를 검지한 직후의 기간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판정 수단은, 자기 헤드가 자기 스트라이프를 검출하기 전의 검출 신호를 샘플링하여,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각 샘플링값의 총합을 제1 패턴으로 하고, 자기 헤드가 자기 스트라이프를 검출한 후의 검출 신호를 샘플링하여,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각 샘플링값의 총합을 제2 패턴으로 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판정 수단은, 자기 헤드가 자기 스트라이프를 검출하기 전의 검출 신호를 샘플링하여, 복수의 소정 기간의 각 기간에 있어서의 샘플링값의 총합의 평균값을 제1 패턴으로 하고, 자기 헤드가 자기 스트라이프를 검출한 후의 검출 신호를 샘플링하여, 복수의 소정 기간의 각 기간에 있어서의 샘플링값의 총합의 평균값을 제2 패턴으로 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계 발생부가 방해 자계를 항시 발생하므로, 삽입구에 부정 판독 장치를 장착하는 제1 유형의 스키밍과,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에 리드선을 통하여 부정 판독 장치를 장착하는 제2 유형의 스키밍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데이터의 부정 취득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해 자계가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용의 자기 헤드에 작용해도, 자기 스트라이프의 검출 전후에서 검출 신호의 패턴이 다른 것을 이용하여, 자기 기록 매체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유무를 지장 없이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카드 리더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동(同) 카드 리더의 측면 단면도 및 정면도.
도 3은 루프안테나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자기 카드의 평면도.
도 5는 제1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6은 기준 패턴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드 삽입 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드 반환 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9는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10은 카드 삽입 검출의 타이밍과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의 타이밍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드 삽입 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12는 제3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13은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드 삽입 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14는 제4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15는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드 삽입 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16은 제5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17은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드 삽입 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 부분 또는 대응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제1 실시형태)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카드 리더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카드 리더(1)는,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로 이루어지는 제어부(2)와, 자기 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자기 데이터를 판독하는 자기 정보 판독부(3)와, 자기 카드를 반송하는 카드 반송부(4)와, 자기 카드를 검출하는 카드 검출 센서(5)와, 자기 정보 판독부(3)에서 판독한 자기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6)와, 상위 장치(예를 들면 ATM)와의 접속부인 호스트 인터페이스(7)와, 자기 카드의 자기 스트라이프를 검출하는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10)와, 자기 스트라이프에 기록된 데이터의 판독을 방해하기 위한 방해 자계를 발생하는 자계 발생부(8)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판정 수단」의 일례이다.
제어부(2)는, 자계 발생부(8)를 제어하는 자계 제어부(9)와, 카드 반송부(4)를 제어하는 카드 반송 제어부(12)를 포함한다.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10) 및 자계 발생부(8)는, 카드 삽입구 유닛(24) 내에 설치되어 있다.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10)는, 후술하는 자기 헤드(34)(도 2)를 포함한다. 또한, 자계 발생부(8)는, 후술하는 루프안테나(35)(도 2)를 포함한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드 리더(1)의 케이싱(100)의 전면에는, 카드 삽입구 유닛(24)이 설치되어 있다. 카드 삽입구 유닛(24)에는, 자기 카드(이하, 단지 「카드」라고 함)(21)가 삽입되는 삽입구(22)가 형성되어 있다. 카드(2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스트라이프(21a)를 갖고 있다. 도 4는, 카드(21)를 이면(裏面)에서 본 도면이다. 삽입구(22)의 근처에는, 삽입된 카드(21)를 검출하는 카드 삽입 검출 센서(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카드 삽입 검출 센서(23)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삽입구(22)로부터 삽입된 카드(21)에 의해 가압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카드 삽입 검출 센서(23)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검지 수단」의 일례이다. 또한, 삽입구(22)의 근처에는,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용의 자기 헤드(3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자기 헤드(34)는, 카드(21)의 자기 스트라이프(21a)를 검출한다.
카드 리더(1)의 케이싱(100)의 내부에는, 반송 롤러(25∼28), 카드 위치 검출 센서(30∼33), 자기 헤드(29)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 롤러(25∼28)는, 각각 반송로(P)를 사이에 두고 1쌍 설치되어 있고, 1쌍의 롤러에서 카드(21)를 협지하여 반송한다. 이들의 반송 롤러(25∼28)는, 반송 벨트(도시 생략)를 통하여, 모터(도시 생략)에 연결되어 있다. 1쌍의 반송 롤러 중, 한쪽은 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구동 롤러이며, 다른 쪽은 이 구동 롤러에 종동(從動)하여 회전하는 종동 롤러이다. 반송 롤러(25∼28)는, 상기의 반송 벨트 및 모터와 함께, 카드 반송부(4)(도 1)를 구성한다.
카드 위치 검출 센서(30∼33)는, 투과형의 광센서이며, 각각, 반송로(P)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고 있다. 이들의 센서(30∼33)의 배치 간격은, 자기 카드(21)의 반송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센서(30)는, 삽입구(22)에 가장 가까운 반송 롤러(25)에 카드(21)가 협지된 것을 검출한다. 센서(33)는, 삽입된 카드(21)가, 카드를 일시적으로 저류(貯留)하는 저류부(도시 생략)에 도달한 것을 검출한다. 센서(31, 32)는, 반송 중인 카드(21)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들의 카드 위치 검출 센서(30∼33)는, 상기의 카드 삽입 검출 센서(23)와 함께, 카드 검출 센서(5)(도 1)를 구성한다.
자기 헤드(29)는, 반송 롤러(26)와 반송 롤러(27) 사이에서, 반송로(P)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자기 헤드(29)는, 삽입된 카드(21)가 반송로(P)로 반송되는 과정에서, 카드(21)의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한다. 상술의 자기 헤드(34)가, 자기 스트라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자기 헤드인 것에 반해, 자기 헤드(29)는, 자기 스트라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그 자체를 재생하기 위한 자기 헤드이다. 자기 헤드(29)와 센서(33)의 간격은, 카드(21)의 반송 방향의 길이보다도 조금 길게 되어 있다. 따라서, 카드(21)가 저류부에 도달했을 때, 즉, 카드(21)의 선단이 센서(33)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는, 자기 헤드(29)는, 카드(21)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판독을 완료하고 있다.
카드 삽입구 유닛(24)의 전면(前面) 근방에는, 루프안테나(35)가 설치되어 있다. 도 2(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루프안테나(35)는, 삽입구(22) 부근에 있어서, 카드(21)의 삽입 A방향에 대하여,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용의 자기 헤드(34)보다도 삽입구(22) 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루프안테나(35)는, 도체를 1회 또는 복수회 루프상으로 감은 안테나이며,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구(22)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자계 제어부(9)의 제어에 의거하여, 자계 발생부(8)에 있어서 루프안테나(35)에 구동 전류가 흐르면, 루프안테나(35)는, 삽입구(22) 부근에 자계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루프안테나(35)에 계속하여 구동 전류를 흐름으로써, 루프안테나(35)는 항시 자계를 발생하고 있다. 이 자계는, 삽입구(22)의 전방(前方)에 방해 자계로서 작용하고, 삽입구(22)의 전방에 부정 판독 장치(도시 생략)가 장착된 경우에, 당해 장치에 의한 자기 정보의 판독을 방해한다. 또한, 이 자계는, 삽입구(22)의 후방에 있는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용의 자기 헤드(34)에도 방해 자계로서 작용하고, 자기 헤드(34)에 있어서의 자기 정보의 부정한 판독을 방해한다.
또, 도 2(b)에 나타낸 루프안테나(35) 대신에,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독립한 루프안테나(35a, 35b)를, 삽입구(22)의 양측에 배치해도 된다. 혹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루프안테나(35c)를,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용의 자기 헤드(34)(도 2(a)) 부근에만 배치해도 된다.
다음으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키밍 대책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루프안테나(35)에 흐르는 구동 전류의 파형이다. 루프안테나(35)로부터는, 이 구동 전류에 따른 방해 자계가 발생한다. 도 5(b)는, 방해 자계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10)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의 파형이다. 자기 헤드(34)가 자기 스트라이프(21a)(도 4)를 검출한 시각(t) 이후에,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10)는, 자기 헤드(34)가 자기 스트라이프(21a)로부터 판독한 자기 데이터에 의거하여, 도면과 같은 펄스상의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도 5(c)는, 방해 자계가 존재할 경우에,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10)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의 파형이다. 시각(t)보다 전에 있어서는, 자기 헤드(34)에 방해 자계만이 작용하기 때문에, 검출 신호의 파형은, 도 5(a)의 방해 자계에 대응한 파형이 된다. 시각(t)보다 후에 있어서는, 자기 헤드(34)에 방해 자계와, 자기 스트라이프(21a)의 자기 데이터에 의한 자계가 작용하기 때문에, 검출 신호의 파형은, 도 5(a)와 도 5(b)를 합성한 파형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a)와 같이, 루프안테나(35)로부터 방해 자계가 항시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이 방해 자계는, 삽입구(22)의 전방과 후방에 작용한다. 따라서, 자기 헤드를 구비한 부정 판독 장치가 삽입구(22)의 전방에 장착되어도, 당해 자기 헤드에 반드시 방해 자계가 작용하게 된다. 이 때문에, 방해 자계의 휴지 기간을 이용하여 카드(21)의 자기 데이터를 부정하게 취득하는 것이 불가능해지고, 제1 유형의 스키밍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해 자계는, 자기 헤드(34)에도 항시 작용하므로, 자기 헤드(34)로부터 리드선을 통하여 자기 데이터를 부정하게 취득하는 것도 불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제2 유형의 스키밍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루프안테나(35)로부터 발생하는 방해 자계가, 자기 헤드(34)에 항시 작용함으로써, 자기 헤드(34)가 자기 스트라이프(21a)를 판독할 때에, 자기 헤드(34)로부터, 도 5(b)의 우측에 나타낸 정규의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 신호가 얻어지지 않게 된다. 그런데, 자기 헤드(34)는,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있어서의 자기 데이터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으면 되며, 자기 데이터 그 자체를 재생할 필요는 없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 전의 검출 신호의 패턴과,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 후의 검출 신호의 패턴이 다른 것을 이용하여,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있어서의 자기 데이터의 유무를 검출한다. 이하, 이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기 헤드(34)가 자기 스트라이프(21a)를 검출하기 전(시각(t) 이전)의 검출 신호의 패턴(이하, 「제1 패턴」이라고 함)과, 자기 헤드(34)가 자기 스트라이프(21a)를 검출한 후(시각(t) 이후)의 검출 신호의 패턴(이하, 「제2 패턴」이라고 함)을 비교했을 경우, 양패턴은 다르다. 즉,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카드(21)가 삽입되었을 경우, 자기 헤드(34)가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에 의해, 검출 신호의 패턴이, 제1 패턴으로부터 제2 패턴으로 변화된다. 한편,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카드(21)가 삽입된 경우에는, 도 5(b)의 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검출 신호의 패턴은 제1 패턴인 채로 변화되지 않는다. 이상으로부터, 제1 패턴과 제2 패턴을 비교함으로써,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카드(21)가 삽입됐는지의 여부의 판정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의 제1 패턴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준 패턴으로서, 미리 메모리(6)(도 1)에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도 5(c)의 시각(t) 이후에 있어서,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10)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를 해석하여, 당해 검출 신호의 패턴(제2 패턴)과 기준 패턴의 조합을 행하고, 검출 신호의 패턴이 기준 패턴과 일치하는 것인지의 여부의 검증을 행한다. 패턴의 조합은, 예를 들면, 각각의 패턴의 샘플링값을 순차 비교하는 것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루프안테나(35)가 항시 발생하는 방해 자계에 의해, 제1 유형의 스키밍과 제2 유형의 스키밍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카드(21)의 데이터의 부정 취득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해 자계가 자기 헤드(34)에 작용해도, 자기 스트라이프(21a)의 검출 전후에서 검출 신호의 패턴이 다른 것을 이용하여, 카드(21)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유무를 지장 없이 검출할 수 있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드 삽입 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이 플로우 차트에 의거하여, 카드(21)의 취입 및 판독을 행할 경우의 순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스텝의 처리는, 제어부(2)에 의해 실행된다.
스텝 S1에서는, 메모리(6)로부터 제1 패턴(도 6의 기준 패턴)이 판독된다. 스텝 S2에서는, 카드 삽입 검출 센서(23)가 카드(21)의 삽입을 검출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카드(21)의 삽입이 검출되지 않으면(스텝 S2; NO), 스텝 S2를 반복 실행하여, 카드(21)의 삽입이 검출될 때까지 대기한다. 카드(21)의 삽입이 검출되면(스텝 S2; YES), 스텝 S3으로 진행된다.
스텝 S3에서는,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10)의 검출 신호로부터 제2 패턴을 추출하고, 스텝 S1에서 판독한 제1 패턴(기준 패턴)과 비교한다. 그리고, 스텝 S4에서, 제2 패턴이 제1 패턴과 다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4에서의 판정의 결과, 제2 패턴이 제1 패턴과 다른 경우에는(스텝 S4; YES),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데이터 있음」이므로,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카드(21)가 삽입되었다고 판단하여, 스텝 S5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4에서의 판정의 결과, 제2 패턴이 제1 패턴과 같을 경우, 즉 제1 패턴으로부터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스텝 S4; NO),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데이터 없음」이므로,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카드(21)가 삽입되었다고 판단하여, 카드(21)를 반환하고 나서 스텝 S2로 돌아간다.
스텝 S5에서는, 카드 반송 제어부(12)에 의해, 카드(21)의 반송이 개시된다. 이때, 반송 롤러(25∼28)는, 삽입된 카드(21)를 케이싱(100)의 내부에 취입하는 방향(이하, 「정방향」이라고 함)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카드(21)는 반송로(P)를 통과하여, 케이싱(100) 내에 취입된다. 카드(21)가 반송로(P)로 반송되는 과정에서, 스텝 S6에 있어서, 카드(21)의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기록되어 있는 자기 데이터가, 자기 헤드(29)에 의해 판독된다.
스텝 S7에서는, 반송 롤러(28)의 옆에 배치된 센서(33)가 카드(21)의 단(도 2(a)에서 우단)을 검출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센서(33)가 카드단을 검출하지 않으면(스텝 S7; NO), 스텝 S7을 반복 실행한다. 즉, 카드단이 검출될 때까지, 반송 롤러(25∼28)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카드(21)의 반송을 계속한다. 센서(33)가 카드단을 검출하면(스텝 S7; YES), 카드(21)가 반송로(P)의 후단에 도달했다고 판단하여, 스텝 S8로 진행된다.
스텝 S8에서는, 카드 반송 제어부(12)에 의해 반송 롤러(25∼28)의 회전이 정지되며, 카드(21)의 반송이 정지한다. 이때, 카드(21)는 상술한 저류부(도시 생략)에 일시적으로 저류된다. 이상에 의해, 도 7의 일련의 처리가 전부 종료한다.
도 8은, 카드(21)의 반환을 행할 경우의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각 스텝의 처리는, 제어부(2)에 의해 실행된다.
스텝 S11에서는, 카드 반송 제어부(12)에 의해, 카드(21)의 반송이 개시된다. 이때, 반송 롤러(25∼28)는, 삽입된 카드(21)를 저류부에서 삽입구(22)로 반송하는 방향(이하, 「역방향」이라고 함)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카드(21)는, 삽입구(22)를 향하여 반송로(P)로 반송된다.
스텝 S12에서는, 반송 롤러(25)의 옆에 배치된 센서(30)가 카드(21)의 단(도 2(a)에서 우단)을 검출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센서(30)가 카드단을 검출하지 않으면(스텝 S12; NO), 스텝 S12를 반복 실행한다. 즉, 카드단이 검출될 때까지, 반송 롤러(25∼28)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카드(21)의 반송을 계속한다. 센서(30)가 카드단을 검출하면(스텝 S12; YES), 반송된 카드(21)가 삽입구(22)로 반환되었다고 판단하여, 스텝 S13으로 진행된다.
스텝 S13에서는, 카드 반송 제어부(12)에 의해 반송 롤러(25∼28)의 회전이 정지되며, 카드(21)의 반송이 정지한다. 이때, 카드(21)는, 도 2(a)와 같이 상하의 반송 롤러(25)로 협지되어 있으며, 또한, 카드의 선단 부분이 삽입구(22)로부터 외부로 돌출하여 있다. 이 때문에, 이용자는, 삽입구(22)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카드(21)의 선단 부분을 파지하여, 카드(21)를 추출할 수 있다.
스텝 S14에서는, 카드 삽입 검출 센서(23)가 카드(21)의 추출을 검출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카드 삽입 검출 센서(23)가 카드를 검출하고 있는 상태에 있을 때에는, 카드(21)가 추출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스텝 S14; NO), 스텝 S14를 반복 실행하여, 카드(21)가 추출되는 것을 기다린다. 카드 삽입 검출 센서(23)가, 카드를 검출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카드를 검출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변화되면, 카드(21)가 추출되었다고 판단하여(스텝 S14; YES),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에 의해, 도 8의 일련의 처리가 전부 종료한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드 리더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의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패턴(기준 패턴)은, 미리 메모리(6)에 기억되어 있었다. 이에 대하여, 제2 실시형태에서는, 실제의 검출 신호로부터 제1 패턴을 취득하고, 이것을 기준 패턴으로 한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의 각 파형은, 도 5의 각 파형과 같은 것이다. 도 9(c)의 t1은, 카드 삽입 검출 센서(23)가 카드(21)를 검출한 시각, t2는 자기 헤드(34)가 자기 스트라이프(21a)를 검출한 시각을 나타내고 있다. 즉, 카드(21)가 도 10(a)와 같이 A방향으로 삽입되어 가면, 도 10(b)와 같이, 우선, 카드 삽입 검출 센서(23)(마이크로 스위치)가 카드(21)를 검출한다. 이 시각이, 도 9(c)의 t1이다. 그 후, 카드(21)가 A방향으로 더 삽입되어 가면, 도 10(c)와 같이, 자기 헤드(34)가 자기 스트라이프(21a)의 판독을 개시한다. 이 시각이, 도 9(c)의 t2이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드(21)가 검출된 시각(t1)의 직전의, 일정 기간의 검출 신호를 기준 패턴(제1 패턴)으로서 추출한다. 추출된 기준 패턴은, 메모리(6)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그리고, 자기 스트라이프(21a)가 검출된 시각(t2) 이후에 있어서,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10)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를 해석하여, 당해 검출 신호의 패턴(제2 패턴)과 기준 패턴의 조합을 행하고, 검출 신호의 패턴이 기준 패턴과 일치하는 것인지의 여부의 검증을 행한다. 패턴의 조합은, 예를 들면, 각각의 패턴의 샘플링값을 순차 비교하는 것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경우에도, 제1 실시형태와 같이, 루프안테나(35)가 항시 발생하는 방해 자계에 의해, 제1 유형의 스키밍과 제2 유형의 스키밍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카드(21)의 데이터의 부정 취득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해 자계가 자기 헤드(34)에 작용해도, 자기 스트라이프(21a)의 검출 전후에서 검출 신호의 패턴이 다른 것을 이용하여, 카드(21)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유무를 지장 없이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카드(21)가 검출된 직전의, 실제의 검출 신호로부터 기준 패턴(제1 패턴)을 취득하므로, 온도나 외래 노이즈 등의 환경 변화를 반영한 기준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실시형태와 같이 고정한 기준 패턴을 사용할 경우에 비하여, 기준 패턴의 정밀도가 오르고, 카드(21)에 있어서의 데이터 유무의 검출 정밀도가 향상한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드 삽입 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각 스텝의 처리는, 제어부(2)에 의해 실행된다.
스텝 S1a에서는,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10)의 검출 신호로부터, 소정 기간에 있어서 제1 패턴을 추출하고, 추출한 제1 패턴을 메모리(6)에 기억한다.
스텝 S2a에서는, 카드 삽입 검출 센서(23)가 카드(21)의 삽입을 검출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카드(21)의 삽입이 검출되지 않으면(스텝 S2a; NO), 스텝 S1a로 되돌아오고, 다음 기간에 있어서 제1 패턴의 추출·기억을 행한다. 이 경우, 메모리(6)에서는, 제1 패턴이 덮어 써져서 갱신된다. 카드(21)의 삽입이 검출될 때까지는, 스텝 S1a, S2a가 반복 실행된다. 그리고, 카드(21)의 삽입이 검출되면(스텝 S2a; YES), 스텝 S3a로 진행된다.
스텝 S3a에서는,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10)의 검출 신호로부터 제2 패턴을 추출하고, 메모리(6)에 기억되어 있는 카드 검출 직전의 제1 패턴(기준 패턴)과 비교한다. 그리고, 스텝 S4a에서, 제2 패턴이 제1 패턴과 다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4a에서의 판정의 결과, 제2 패턴이 제1 패턴과 다른 경우에는(스텝 S4a; YES),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데이터 있음」이므로,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카드(21)가 삽입되었다고 판단하여, 스텝 S5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4a에서의 판정의 결과, 제2 패턴이 제1 패턴과 같을 경우, 즉 제1 패턴으로부터 변화가 없을 경우에는(스텝 S4a; NO),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데이터 없음」이므로,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카드(21)가 삽입되었다고 판단하여, 카드(21)를 반환하고 나서 스텝 S1a로 돌아간다.
스텝 S5에서는, 카드 반송 제어부(12)에 의해, 카드(21)의 반송이 개시된다. 스텝 S5∼S8의 순서에 대해서는, 도 7에 있어서의 스텝 S5∼S8의 순서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카드(21)의 반환을 행할 경우의 순서에 대해서는, 도 8의 순서와 같으므로, 이것에 대해서도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드 검출 직전의 일정 기간에 있어서의 검출 신호를 기준 패턴(제1 패턴)으로서 추출했다. 이 대신에, 카드 검출 직전의 일정 기간보다 전(前) 기간에 있어서의 검출 신호를 기준 패턴으로서 추출해도 된다. 또한, 1개의 기간으로부터 기준 패턴을 추출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기간으로부터 추출한 패턴을 평균한 것을 기준 패턴으로 해도 된다. 요컨데, 카드 검출 시점으로부터 거슬러 올라간 임의의 일정 기간에 있어서의 패턴에 의거하여, 기준 패턴을 설정하면 된다. 또한, 일정 기간에 포함되는 신호의 전부가 아니라 일부를 사용하여, 기준 패턴을 설정해도 된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드 리더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2 실시형태와 같이, 실제의 검출 신호로부터 제1 패턴을 취득하고, 이것을 기준 패턴으로 한다. 단, 제2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카드 검출 직전의 일정 기간의 검출 신호를 기준 패턴으로 한 것에 반해, 제3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드(21)가 검출된 시각(t1)의 직후의, 일정 기간의 검출 신호를 기준 패턴(제1 패턴)으로서 추출한다.
추출된 기준 패턴은, 메모리(6)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그리고, 자기 스트라이프(21a)가 검출된 시각(t2) 이후에 있어서,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10)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를 해석하여, 당해 검출 신호의 패턴(제2 패턴)과 기준 패턴의 조합을 행하고, 검출 신호의 패턴이 기준 패턴과 일치하는 것인지의 여부의 검증을 행한다. 패턴의 조합은, 예를 들면, 각각의 패턴의 샘플링값을 순차 비교하는 것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의 경우에도, 제1 실시형태와 같이, 루프안테나(35)가 항시 발생하는 방해 자계에 의해, 제1 유형의 스키밍과 제2 유형의 스키밍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카드(21)의 데이터의 부정 취득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해 자계가 자기 헤드(34)에 작용해도, 자기 스트라이프(21a)의 검출 전후에서 검출 신호의 패턴이 다른 것을 이용하여, 카드(21)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유무를 지장 없이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서는 카드(21)가 검출된 직후의, 실제의 검출 신호로부터 기준 패턴(제1 패턴)을 취득하므로, 온도나 외래 노이즈 등의 환경 변화를 반영한 기준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2 실시형태와 같이, 기준 패턴의 정밀도가 오르고, 카드(21)에 있어서의 데이터 유무의 검출 정밀도가 향상한다.
도 13은,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드 삽입 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각 스텝의 처리는, 제어부(2)에 의해 실행된다.
스텝 S1b에서는, 카드 삽입 검출 센서(23)가 카드(21)의 삽입을 검출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카드(21)의 삽입이 검출되지 않으면(스텝 S1b; NO), 스텝 S1b를 반복 실행하여, 카드(21)의 삽입이 검출될 때까지 대기한다. 카드(21)의 삽입이 검출되면(스텝 S1b; YES), 스텝 S2b로 진행된다.
스텝 S2b에서는,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10)의 검출 신호로부터, 카드 검출 직후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제1 패턴을 추출하고, 이것을 기준 패턴으로 하여 메모리(6)에 기억한다.
스텝 S3b에서는,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 후에,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10)의 검출 신호로부터 제2 패턴을 추출하고, 메모리(6)에 기억되어 있는 제1 패턴(기준 패턴)과 비교한다. 그리고, 스텝 S4b에서, 제2 패턴이 제1 패턴과 다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4b에서의 판정의 결과, 제2 패턴이 제1 패턴과 다른 경우에는(스텝 S4b; YES),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데이터 있음」이므로,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카드(21)가 삽입되었다고 판단하여, 스텝 S5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4b에서의 판정의 결과, 제2 패턴이 제1 패턴과 같을 경우, 즉 제1 패턴으로부터 변화가 없을 경우에는(스텝 S4b; NO),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데이터 없음」이므로,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카드(21)가 삽입되었다고 판단하여, 카드(21)를 반환하고 나서 스텝 S1b로 돌아간다.
스텝 S5에서는, 카드 반송 제어부(12)에 의해, 카드(21)의 반송이 개시된다. 스텝 S5∼S8의 순서에 대해서는, 도 7에 있어서의 스텝 S5∼S8의 순서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카드(21)의 반환을 행할 경우의 순서에 대해서는, 도 8의 순서와 같으므로, 이것에 대해서도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제3 실시형태에서는,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드 검출 직후의 일정 기간에 있어서의 검출 신호를 기준 패턴(제1 패턴)으로서 추출했다. 이 대신에, 카드 검출 시각(t1)으로부터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 시각(t2)까지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t1∼t2 사이에 있어서, 카드 검출 직후의 일정 기간보다 후의 기간에 있어서의 검출 신호를 기준 패턴으로서 추출해도 된다. 또한, 1개의 기간으로부터 기준 패턴을 추출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기간으로부터 추출한 패턴을 평균한 것을 기준 패턴으로 해도 된다. 요컨데, 카드 검출 시점 이후의 임의의 일정 기간에 있어서의 패턴에 의거하여, 기준 패턴을 설정하면 된다. 또한, 일정 기간에 포함되는 신호의 전부가 아니라 일부를 사용하여, 기준 패턴을 설정해도 된다.
(제4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드 리더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의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1 패턴(기준 패턴)과 제2 패턴의 조합을, 검출 신호의 파형끼리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행했다. 이에 반해, 제4 실시형태에서는, 검출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샘플링값의 총합을 비교함으로써 조합을 행한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4(a)의 파형은, 도 9(c)의 파형과 같은 것이다. 도 14(b)는, 도 14(a)의 기간(T1)에 있어서의 샘플링의 모양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 전의 검출 신호를 샘플링하여, 소정 기간(T1)에 있어서의 샘플링값의 총합을 산출한다. 그리고, 이 총합을 제1 패턴으로 하여 메모리(6)에 기억한다. 또한,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 시각(t2)보다 후의 검출 신호를 샘플링하여(도시 생략), 소정 기간(T2)에 있어서의 샘플링값의 총합을 산출한다. 그리고, 이 총합을 제2 패턴으로 한다.
도 14(a)에서는, 기간(T1)은, 카드 검출 시각(t1)의 직전의 기간으로 되어 있지만, 그것보다 전(前) 기간이어도 된다. 또한, 기간(T2)도,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 시각(t2)의 직후의 기간이어도 되며, 도시(圖示)의 기간보다 후의 기간이어도 된다. 또한, 기간(T1)의 스타트 시점과, 기간(T2)의 스타트 시점은, 동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카드(21)가 삽입된 경우에는,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 전의 검출 신호의 패턴과,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 후의 검출 신호의 패턴이 다르기 때문에, 기간(T1)과 기간(T2)에 있어서의 각 검출 신호의 샘플링값의 총합도 다른 것이 된다. 따라서, 각각의 총합을 제1 패턴 및 제2 패턴으로 하고, 이들을 비교함으로써,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의 경우에도, 제1 실시형태와 같이, 루프안테나(35)가 항시 발생하는 방해 자계에 의해, 제1 유형의 스키밍과 제2 유형의 스키밍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카드(21)의 데이터의 부정 취득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해 자계가 자기 헤드(34)에 작용해도, 자기 스트라이프(21a)의 검출 전후에서 검출 신호의 샘플링값의 총합이 다른 것을 이용하여, 카드(21)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유무를 지장 없이 검출할 수 있다.
도 15는,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드 삽입 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각 스텝의 처리는, 제어부(2)에 의해 실행된다.
스텝 S1c에서는,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10)의 검출 신호로부터, 제1 패턴(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샘플링값의 총합)을 연산하고, 메모리(6)에 기억한다.
스텝 S2c에서는, 카드 삽입 검출 센서(23)가 카드(21)의 삽입을 검출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카드(21)의 삽입이 검출되지 않으면(스텝 S2c; NO), 스텝 S1c로 되돌아오고, 다음 기간에 있어서의 제1 패턴의 연산·기억을 행한다. 이 경우, 메모리(6)에서는, 제1 패턴이 덮어 써져서 갱신된다. 카드(21)의 삽입이 검출될 때까지는, 스텝 S1c, S2c가 반복 실행된다. 그리고, 카드(21)의 삽입이 검출되면(스텝 S2c; YES), 스텝 S3c로 진행된다.
스텝 S3c에서는, 자기 스트라이프의 검출 후에,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10)의 검출 신호로부터, 기간(T2)에 있어서의 제2 패턴(샘플링값의 총합)을 연산하고, 메모리(6)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 패턴, 즉 카드 검출 직전의 기간(T1)에 있어서의 제1 패턴(샘플링값의 총합)과 비교한다. 이어서, 스텝 S4c에서, 제2 패턴이 제1 패턴과 다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4c에서의 판정의 결과, 제2 패턴이 제1 패턴과 다른 경우에는(스텝 S4c; YES),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데이터 있음」이므로,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카드(21)가 삽입되었다고 판단하여, 스텝 S5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4c에서의 판정의 결과, 제2 패턴이 제1 패턴과 같을 경우, 즉 제1 패턴으로부터 변화가 없을 경우에는(스텝 S4c; NO),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데이터 없음」이므로,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카드(21)가 삽입되었다고 판단하여, 카드(21)를 반환하고 나서 스텝 S1c로 돌아간다.
스텝 S5에서는, 카드 반송 제어부(12)에 의해, 카드(21)의 반송이 개시된다. 스텝 S5∼S8의 순서에 대해서는, 도 7에 있어서의 스텝 S5∼S8의 순서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카드(21)의 반환을 행할 경우의 순서에 대해서는, 도 8의 순서와 같으므로, 이것에 대해서도 설명을 생략한다.
(제5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드 리더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5 실시형태에서는, 제4 실시형태와 같이, 검출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샘플링값의 총합을 비교함으로써 조합을 행한다. 단, 제4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카드 검출 직전의 소정 기간(T1)에 있어서의 샘플링값의 총합을 기준 패턴으로 한 것에 반해, 제5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드 검출 직후의 소정 기간(T1')에 있어서의 샘플링값의 총합을 기준 패턴으로 한다.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패턴의 조합에 관해서는, 제4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5 실시형태의 경우에도, 제1 실시형태와 같이, 루프안테나(35)가 항시 발생하는 방해 자계에 의해, 제1 유형의 스키밍과 제2 유형의 스키밍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카드(21)의 데이터의 부정 취득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해 자계가 자기 헤드(34)에 작용해도, 자기 스트라이프(21a)의 검출 전후에서 검출 신호의 샘플링값의 총합이 다른 것을 이용하여, 카드(21)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유무를 지장 없이 검출할 수 있다.
도 17은,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드 삽입 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각 스텝의 처리는, 제어부(2)에 의해 실행된다.
스텝 S1d에서는, 카드 삽입 검출 센서(23)가 카드(21)의 삽입을 검출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카드(21)의 삽입이 검출되지 않으면(스텝 S1d; NO), 스텝 S1d를 반복 실행하여, 카드(21)가 삽입될 때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카드(21)의 삽입이 검출되면(스텝 S1d; YES), 스텝 S2d로 진행된다.
스텝 S2d에서는,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10)의 검출 신호로부터, 카드 검출 직후의 기간(T1')에 있어서의 제1 패턴(샘플링값의 총합)을 연산하고, 이것을 기준 패턴으로 하여 메모리(6)에 기억한다.
스텝 S3d에서는, 자기 스트라이프의 검출 후에,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10)의 검출 신호로부터, 기간(T2)에 있어서의 제2 패턴(샘플링값의 총합)을 연산하고, 메모리(6)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 패턴, 즉 기간(T1')에 있어서의 제1 패턴(샘플링값의 총합)과 비교한다. 이어서, 스텝 S4d에서, 제2 패턴이 제1 패턴과 다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4d에서의 판정의 결과, 제2 패턴이 제1 패턴과 다른 경우에는(스텝 S4d; YES),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데이터 있음」이므로,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카드(21)가 삽입되었다고 판단하여, 스텝 S5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4d에서의 판정의 결과, 제2 패턴이 제1 패턴과 같을 경우, 즉 제1 패턴으로부터 변화가 없을 경우에는(스텝 S4d; NO),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데이터 없음」이므로, 자기 스트라이프(21a)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카드(21)가 삽입되었다고 판단하여, 카드(21)를 반환하고 나서 스텝 S1d로 돌아간다.
스텝 S5에서는, 카드 반송 제어부(12)에 의해, 카드(21)의 반송이 개시된다. 스텝 S5∼S8의 순서에 대해서는, 도 7에 있어서의 스텝 S5∼S8의 순서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카드(21)의 반환을 행할 경우의 순서에 대해서는, 도 8의 순서와 같으므로, 이것에 대해서도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제4 실시형태와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개의 기간에 있어서의 샘플링값의 총합을 구했지만, 복수의 기간의 각각에 대해서 샘플링값의 총합을 구하고, 그들의 평균값을 구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 전의 검출 신호를 샘플링하여, 복수의 소정 기간의 각 기간에 있어서의 샘플링값의 총합의 평균값을 제1 패턴으로 하고,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 후의 검출 신호를 샘플링하여, 복수의 소정 기간의 각 기간에 있어서의 샘플링값의 총합의 평균값을 제2 패턴으로 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노이즈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져서, 각 패턴의 정밀도가 향상한다. 또한, 일정 기간에 포함되는 신호의 전부가 아니라 일부를 사용하여, 샘플링값의 총합을 구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카드(21)가 삽입될 경우의 스키밍 대책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루프안테나(35)로부터 방해 자계가 항시 발생하고 있으므로, 카드(21)가 반환될 경우에도, 스키밍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용의 자기 헤드(34)에 대한 스키밍 대책에 대해서 설명했다. 한편, 카드 리더(1)의 케이싱(100) 내에는, 자기 스트라이프(21a)를 판독하여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자기 헤드(29)가 존재한다(도 2(a) 참조). 이 자기 헤드(29)에 대한 스키밍 대책으로서는, 예를 들면, 자기 헤드(29)가 판독한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등의 대책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나 도 3의 루프안테나를 예로 들었지만, 루프안테나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루프안테나를 3개 이상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보다 강한 방해 자계가 발생하므로, 스키밍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루프안테나로부터, 다른 주파수의 방해 자계가 발생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부정 판독 장치에 작용하는 방해 자계가 복수의 주파수 성분을 갖게 되므로, 필터링 처리를 행해도 방해 자계를 제거하는 것이 곤란해져, 데이터의 부정 취득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루프안테나에 투자율이 높은 페라이트나 철 등의 금속의 코어를 배치함으로써, 자계에 지향성을 갖게 하거나, 보다 강한 방해 자계를 발생시키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자기 기록 매체로서, 이면에 자기 스트라이프가 있는 자기 카드를 예로 들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자기 스트라이프가 표면 혹은 표리 양면에 있는 자기 카드를 취급하는 자기 기록 매체 판독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자기 기록 매체로서 자기 카드를 예로 들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자기 카드에 한하지 않고, 자기 스트라이프를 갖는 통장과 같은 자기 기록 매체를 판독하는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ATM과 같은 자동 거래 처리 장치에 탑재되는 카드 리더나 통장 리더, 혹은 카드 인증 단말에 탑재되는 카드 리더 등, 자기 기록 매체를 판독하는 장치 전반에 적용할 수 있다.
1 카드 리더
2 제어부
8 자계 발생부
9 자계 제어부
10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
21 자기 카드
21a 자기 스트라이프
22 삽입구
34 자기 헤드
35 루프안테나

Claims (8)

  1. 자기 기록 매체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자기 기록 매체의 자기 스트라이프를 검출하기 위한 자기 헤드를 포함하는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와,
    상기 자기 기록 매체의 자기 스트라이프에 기록된 데이터의 판독을 방해하기 위한 방해 자계를 발생하는 자계 발생부와,
    상기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 스트라이프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자기 기록 매체가 삽입됐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자계 발생부는, 상기 삽입구 부근에 설치되어 있으며, 항시, 상기 방해 자계를 상기 삽입구의 전방과 후방에 작용시키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자기 헤드가 상기 자기 스트라이프를 검출하기 전의 상기 검출 신호의 제1 패턴과, 상기 자기 헤드가 상기 자기 스트라이프를 검출한 후의 상기 검출 신호의 제2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제2 패턴이 상기 제1 패턴과 다른 경우에, 상기 자기 스트라이프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자기 기록 매체가 삽입되었다고 판정하고,
    상기 제1 패턴은, 미리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으며,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한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의 상기 제2 패턴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매체 판독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헤드가 자기 스트라이프를 검출하기 전에, 상기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자기 기록 매체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검지 수단이 상기 자기 기록 매체를 검지한 시점으로부터 거슬러 올라간 일정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의 상기 제2 패턴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매체 판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기간은, 상기 검지 수단이 상기 자기 기록 매체를 검지하기 직전의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매체 판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헤드가 자기 스트라이프를 검출하기 전에, 상기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자기 기록 매체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검지 수단이 상기 자기 기록 매체를 검지한 시점 이후의 일정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자기 스트라이프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의 상기 제2 패턴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매체 판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기간은, 상기 검지 수단이 상기 자기 기록 매체를 검지한 직후의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매체 판독 장치.
  7.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자기 헤드가 상기 자기 스트라이프를 검출하기 전의 상기 검출 신호를 샘플링하여,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각 샘플링값의 총합을 제1 패턴으로 하고, 상기 자기 헤드가 상기 자기 스트라이프를 검출한 후의 상기 검출 신호를 샘플링하여,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각 샘플링값의 총합을 제2 패턴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매체 판독 장치.
  8.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자기 헤드가 상기 자기 스트라이프를 검출하기 전의 상기 검출 신호를 샘플링하여, 복수의 소정 기간의 각 기간에 있어서의 샘플링값의 총합의 평균값을 제1 패턴으로 하고, 상기 자기 헤드가 상기 자기 스트라이프를 검출한 후의 상기 검출 신호를 샘플링하여, 복수의 소정 기간의 각 기간에 있어서의 샘플링값의 총합의 평균값을 제2 패턴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매체 판독 장치.
KR1020147003498A 2011-08-30 2011-08-30 자기 기록 매체 판독 장치 KR1015545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04825 WO2013030875A1 (ja) 2011-08-30 2011-08-30 磁気記録媒体読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708A KR20140047708A (ko) 2014-04-22
KR101554581B1 true KR101554581B1 (ko) 2015-09-21

Family

ID=47755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3498A KR101554581B1 (ko) 2011-08-30 2011-08-30 자기 기록 매체 판독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752823B1 (ko)
JP (1) JP5759552B2 (ko)
KR (1) KR101554581B1 (ko)
CN (1) CN103718219B (ko)
MY (1) MY167905A (ko)
WO (1) WO20130308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8954A (ja) * 2013-12-04 2015-06-11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カード読み取り装置、自動取引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110574A (ja) * 2014-12-10 2016-06-20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磁気カード処理装置
JP2016189055A (ja) * 2015-03-30 2016-11-0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カードリーダ
EP3082071A1 (en) * 2015-04-17 2016-10-19 Cardlab ApS Device for and method of outputting a magnetic field
JP6492984B2 (ja) * 2015-06-03 2019-04-0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
JP7178846B2 (ja) * 2018-09-26 2022-11-2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処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7524A (ja) * 1999-08-31 2001-03-16 Sankyo Seiki Mfg Co Ltd 磁気カード取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4348B2 (ja) * 2002-08-02 2007-02-2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カードリーダ
JP4680048B2 (ja) * 2005-12-13 2011-05-1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カード処理装置
JP4644592B2 (ja) * 2005-12-14 2011-03-02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カード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装置
AT507034B1 (de) * 2008-06-18 2010-04-15 Keba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bsicherung einer lesevorrichtung für kartenförmige datenträger gegen unerlaubtes auswerten oder kopieren von magnetisch codierten daten eines zugeführten kartenförmigen datenträgers
JP5185840B2 (ja) * 2009-01-08 2013-04-1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カードリーダおよびカードリーダの制御方法
JP5728791B2 (ja) * 2009-03-05 2015-06-03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カードリーダ
JP4990954B2 (ja) * 2009-11-09 2012-08-0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データ読取装置およびカード処理装置
DE102010000102A1 (de) * 2010-01-18 2011-07-21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33106 Selbstbedienungsgerä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7524A (ja) * 1999-08-31 2001-03-16 Sankyo Seiki Mfg Co Ltd 磁気カード取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18219A (zh) 2014-04-09
JP5759552B2 (ja) 2015-08-05
EP2752823B1 (en) 2019-08-28
MY167905A (en) 2018-09-26
CN103718219B (zh) 2016-11-09
WO2013030875A1 (ja) 2013-03-07
JPWO2013030875A1 (ja) 2015-03-23
EP2752823A1 (en) 2014-07-09
EP2752823A4 (en) 2015-07-01
KR20140047708A (ko) 201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581B1 (ko) 자기 기록 매체 판독 장치
JP5629330B2 (ja) 磁気記録媒体読取装置
CN102341854B (zh) 读卡器及读卡器的控制方法
US8985450B2 (en) Card insertion part and card reader
EP1688892B1 (en) Bill discrimination apparatus
US9734363B2 (en) Card reader
US7607580B2 (en) Object sensor and IC card reader with the object sensor
US20090159676A1 (en) Method for generating a protective electromagnetic field for a card reading device
JP5695204B2 (ja) 磁気記録媒体読取装置
JP5807123B2 (ja) 磁気記録媒体読取装置
US6681036B1 (en) Paper money identification method and device
JP6082824B2 (ja) 妨害磁界発生用ループアンテナを備えた磁気読取装置
JP6854709B2 (ja) 磁気センサ検出ユニット、カード処理装置、および磁気センサ検出方法
JP3631623B2 (ja) カードリーダ
US10083327B2 (en) Card read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969862B1 (ko) 안티 스키밍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 자동화기기의 안티 스키밍 방법
JP2009251766A (ja) 硬貨処理装置の盗難防止装置
JP2005135066A (ja) 紙幣識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