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700B1 - 자전거의 시트회전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의 시트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700B1
KR101553700B1 KR1020140033663A KR20140033663A KR101553700B1 KR 101553700 B1 KR101553700 B1 KR 101553700B1 KR 1020140033663 A KR1020140033663 A KR 1020140033663A KR 20140033663 A KR20140033663 A KR 20140033663A KR 101553700 B1 KR101553700 B1 KR 101553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seat
frame
hol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으뜸
Original Assignee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3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700B1/ko
Priority to PCT/KR2014/012299 priority patent/WO201514192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7/00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ssisting bal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9/00Children's cycles
    • B62K9/02Tr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의 시트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시트(30)가 자전거의 프레임(10)에 고정된 회전지지구(4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시트(30)에는 레치가이드레일(33)과 레치공(34,34')이 원형의 궤적상에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레치가이드레일(33)에는 상기 회전지지구(40)에 설치된 레치(50)의 걸이돌기(54)가 밀착되어 안내되고, 상기 걸이돌기(54)는 상기 레치공(34,34')을 만나면 탄성부재(5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레치공(34,34')에 자동적으로 삽입된다. 상기 회전지지구(40)는 프레임(10)에 설치된 지지봉(11)이 지지부통공(48)을 관통해서 볼트와 너트에 의해 프레임(10)에 체결된다. 상기 회전지지구(40)에는 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프레임안착홈(46)이 형성되어 프레임(1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Description

자전거의 시트회전장치{Seat rotating apparatus of cycle}
본 발명은 자전거의 시트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자가 앉는 시트를 전방방향과 후방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자전거의 시트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유아용 자전거는 유아 스스로 페달을 밟아서 주행하기도 하지만, 보호자가 자전거를 밀어서 주행할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이는 마치 유모차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모차 겸용으로 쓸 수 있는 세발자전거가 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세발자전거에서는 보호자가 자전거를 밀고 갈 때, 탑승한 유아와 서로 눈을 맞추면서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서는 유아가 앉는 시트를 회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나와 있는 세발자전거에서는 시트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기는 하지만, 예를 들면 시트를 고정하는 볼트를 풀어서 시트의 고정상태를 해제하여 시트의 방향을 반대로 하고, 다시 볼트를 죄어서 시트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어 별도의 공구가 없으면 사용자들이 시트의 방향을 쉽게 바꿀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세발자전거의 프레임은 중량의 최소화를 위해 봉과 같은 부재를 사용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회전되는 시트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더해 유모차 겸용으로 되는 세발자전거에서는 시트의 크기가 일반 자전거의 시트(안장)에 비해 큰 것이 일반적이므로, 시트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835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7129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공구없이 원터치식으로 자전거의 시트를 회전시켜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를 회전시켜 정해진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시키는 것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전거의 프레임 상에 시트를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하고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레치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레치가이드레일과 연속되게 적어도 2개의 레치공이 형성되며 탑승자가 앉는 시트와, 상기 시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회전지지구와, 상기 회전지지구에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시트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레치가이드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걸이돌기가 상기 레치공에 걸어져 시트를 회전지지구에 대해 고정시키는 레치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는 상기 레치가이드레일과 레치공이 형성된 시트판과 상기 회전지지구의 회전안내외면이 위치되는 회전공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판의 하부를 차폐하는 시트판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지지구에는 상기 프레임이 안착되는 프레임안착홈이 상기 프레임의 연장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봉이 관통하는 지지봉통공이 상기 프레임안착홈 내에 상기 회전지지구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다.
상기 회전지지구의 상단 외면을 둘러서는 상기 시트에 형성된 회전공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회전안내외면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공에 형성된 회전안내내면의 상단에 걸어지는 회전걸이리브가 상기 회전안내외면의 상단에 형성된다.
삭제
상기 레치의 걸이돌기는 상기 레치가이드레일의 곡률과 같은 곡률을 가지고 선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줄어들도록 외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레치에는 상기 걸이돌기의 반대쪽에 손잡이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지지구를 관통하여 형성된 레치통공의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된다.
상기 레치의 골격을 형성하는 레치몸체의 양측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안착되는 탄성부재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회전지지구의 레치통공 내부 양단에 형성된 탄성부재봉에 끼워진다.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의 시트회전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한손으로 레치를 당겨 시트의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 시트를 회전시키면 되므로 사용자는 원터치식으로 시트의 회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레치가 시트의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 시트를 약간만 회전시키고 레치를 다시 놓은 상태로 시트를 회전시키면 시트가 반대방향으로 가면 자동적으로 레치가 시트를 잠금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는 레치의 선단이 레치가이드레일을 따라 안내되다가 레치공을 만나면 자동적으로 레치공에 삽입되어 잠금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트의 회전을 보다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을 관통하여 지지봉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봉이 중앙을 관통하게 회전지지구를 설치하였고, 상기 회전지지구에 대해서 시트가 회전하도록 하였으므로 시트가 프레임 상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고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지지구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되어 시트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시트회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채용된 유아용 세발자전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시트의 시트판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회전지지구의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주요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의 주요부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시트가 후방을 향하도록 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시트회전장치가 채용된 자전거의 골격을 프레임(10)이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10)에는 프레임본체(10')가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파이프형상의 부재를 사용하여 만든다. 상기 프레임본체(10')에는 지지봉(11)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봉(11)은 도 3 및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본체(10')의 중간부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물론, 상기 지지봉(11)이 상기 프레임본체(10')의 외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선단에는 헤드튜브(12)가 구비되고, 후단에는 후륜지지부(13)가 양갈래로 갈라져 구비된다. 상기 헤드튜브(12)를 관통하여 핸들스템(1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핸들스템(14)의 하단에는 앞포크(16)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앞포크(16)는 2갈래로 분지되어 있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앞바퀴(20)의 양단에 앞포크(16)의 선단이 위치되어 앞바퀴(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핸들스템(14)의 상단에는 핸들(18)이 설치된다. 상기 핸들(18)은 탑승자가 양손으로 잡고 자전거의 진행방향을 조정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앞포크(16)에는 앞바퀴(20)가 설치된다. 상기 앞바퀴(20)는 상기 핸들(18)의 조작에 의해 그 방향이 달리되면서 자전거가 정해진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한다. 상기 앞바퀴(20)의 회전중심에는 앞바퀴(20)의 양측으로 연장되게 크랭크축(21)이 설치되고, 상기 크랭크축(21)의 양단에는 페달(22)이 설치된다. 상기 페달(22)은 탑승자가 발로 눌러 답력을 가하는 부분이다.
상기 프레임(10)의 후륜지지부(13)에는 각각 뒷바퀴(24)가 설치된다. 상기 뒷바퀴(24)는 2개가 있어 상기 2개의 후륜지지부(13)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본체(10')의 후단중에서 상기 후륜지지부(13)가 갈라져 연장되는 부분에 연결되어 보호자조향핸들(26)이 설치된다. 상기 보호자조향핸들(26)은 보호자가 상기 핸들(18) 및 상기 앞바퀴(20)의 방향을 조작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프레임(10)의 내부를 통해 상기 앞포크(16)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보호자조향핸들(26)의 상단에는 손잡이(28)가 있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상기 보호자조향핸들(26)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부호 29는 짐을 넣을 수 있는 바스켓이다.
상기 프레임본체(10')에서 상기 지지봉(11)이 설치된 위치에는 시트(30)가 설치된다. 상기 시트(30)는 탑승자가 앉는 부분이다. 상기 시트(30)는 상기 프레임본체(10')의 폭보다 훨씬 넓은 폭을 가지는데, 이는 유아가 보다 안정적으로 앉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시트(30)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본다. 상기 시트(30)는 시트판(31), 등받이(32) 및 시트판커버(31')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판(31)은 시트(30)의 상면을 형성한다. 즉, 상기 시트판(31) 상에 직접 탑승자의 엉덩이가 안착된다. 상기 시트판(31)의 하면에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레치가이드레일(33)이 소정의 반지름을 가지는 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레치가이드레일(33)과 연결되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는 각각 제1 및 제2 레치공(34,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치공(34,34')은 상기 레치가이드레일(33)이 가지는 곡률반경과 같은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레치가이드레일(33)과 레치공(34,34')은 서로 협력하여 하나의 원형 궤적을 형성한다. 상기 레치공(34,34')들은 그 입구가 상기 레치가이드레일(33)의 표면과 같은 높이에 있게 된다.
상기 레치가이드레일(33)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상기 시트판(31)의 하면에는 회전안내링부(36)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안내링부(36)는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지지구(40)의 회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시트판커버(31')는 상기 시트판(31)의 하부를 덮어 가리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시트판(31)과 시트판커버(31')가 별개로 만들어져 있으나 이들은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시트판커버(31')에는 상기 회전안내링부(36)의 직경과 같거나 비슷한 직경을 가지는 회전공(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공(38)의 내면은 회전안내내면(39)이 된다. 상기 회전공(38)은 상기 레치가이드레일(33)과 레치공(34,34')이 상기 시트(30)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시트판(31)과 시트판커버(31')는 별개로 만들어진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는데, 이들이 결합되는 구조는 일반적인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회전지지구(40)는 상기 시트(30)의 회전중심이 된다. 상기 회전지지구(40)는 상기 프레임본체(10')의 지지봉(11)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 회전지지구(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봉(11)과 회전지지구(40)를 관통하는 볼트(도면부호 부여않음)와 이에 결합되는 너트(도면부호 부여않음)에 의해 상기 지지봉(11)에 설치된다.
상기 회전지지구(40)는 대략 반구형상으로 만들어지는 지지구몸체(42)가 골격과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일측에 레치통공(44)이 형성된다. 상기 레치통공(44)은 상기 지지구몸체(42)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레치통공(4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레치(50)가 위치된다. 상기 레치통공(44)의 내부 양측에는 도 5 및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봉(4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봉(4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부재(58)의 일단부가 끼워진다.
상기 프레임본체(10')에 안착되는 부분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안착홈(46)이 있다. 상기 프레임안착홈(46)는 그 횡단면이 반원형으로 되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안착홈(46)은 회전지지구(40)가 프레임본체(10')에 접촉되는 면적을 크게 만들어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안착홈(46)에는 지지봉통공(48)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통공(48)은 상기 지지구몸체(42)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통공(48)은 그 위치에 따라 내경이 달리되어 상기 지지봉(11')이 위치되는 부분과 너트가 위치되는 부분을 구획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본체(10')의 상단부를 둘러서는 회전안내외면(4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안내외면(49)은 상기 시트(30)의 회전공(38) 내면인 회전안내내면(39)과 서로 대응되고 마주보게 된다. 상기 회전안내외면(49)이 상기 회전공(38) 내에서 상기 회전안내내면(39)과 접하면서 상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안내외면(49)의 상단을 둘러서는 회전걸이리브(49')가 있다. 상기 회전걸이리브(49')는 상기 회전안내외면(49)보다 돌출되어 상기 시트(30)의 시트판커버(31')의 회전안내내면(39) 상단에 걸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30)가 상기 회전지지구(40)에 대해서 임의로 빠지지 않고 회전할 수 있다.
레치(50)는 상기 회전지지구(4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시트(30)를 회전지지구(40)에 잠금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치(50)의 골격을 레치몸체(52)가 형성한다. 상기 레치몸체(52)는 대략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된다. 상기 레치몸체(52)의 선단에는 걸이돌기(5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54)는 평면도로 볼 때,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곡률은 상기 레치가이드레일(33)의 곡률과 같다. 상기 걸이돌기(54)는 선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좁아지도록 외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레치공(34,34')으로의 삽입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걸이돌기(54)의 최선단의 횡단면적은 상기 레치공(34,34')의 횡단면적 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
상기 레치몸체(52)의 걸이돌기(54) 반대쪽에는 손잡이홈(56)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홈(56)은 상기 레치몸체(52)의 일단부에 오목하게 들어가게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지지구(40)의 레치통공(44)의 외부에서 보이도록 된다.
상기 레치몸체(52)의 양측에는 탄성부재안착부(57)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안착부(57)는 상기 레치(50)가 상기 레치통공(44)에 있을 때 상기 탄성부재봉(45)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안착부(57)는 탄성부재(58)의 타단부가 위치되는 공간이다. 상기 탄성부재(58)는 상기 레치(50)의 걸이돌기(54)가 상기 회전지지구(40)의 레치통공(44)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의 시트회전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시트회전장치에서는 상기 시트(30)를 사용자가 별도의 공구없이 원터치식으로 쉽게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즉, 평상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30)에 탑승자가 앉게 되면 전방을 볼 수 있도록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레치(50)의 걸이돌기(54)가 상기 시트(30)의 제1레치공(34)에 삽입되어 시트(30)가 상기 회전지지구(40)에 대해서 회전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시트(30)가 상기 프레임(10)에 대해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되어, 탑승자가 전방을 보면서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시트(3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레치(50)를 조작하게 된다. 상기 레치(50)의 손잡이홈(56)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레치(50)가 상기 회전지지구(40)의 레치통공(44)에서 하부로 돌출되도록 당기면, 상기 레치(50)의 걸이돌기(54)가 상기 시트(30)의 제1레치공(34)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상기 레치(50)는 상기 탄성부재(58)를 탄성변형시킨 상태가 된다.
상기 레치(50)의 걸이돌기(54)가 상기 시트(30)의 제1레치공(34)에서 빠져나와 있으므로, 상기 시트(30)는 상기 회전지지구(4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시트(30)가 상기 회전지지구(40)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사용자가 상기 레치(50)에 계속해서 힘을 가하는 경우와 상기 레치(50)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는 경우가 있다. 물론, 상기 시트(30)가 전혀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레치(50)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다시 제1레치공(34)에 상기 걸이돌기(54)가 삽입되지만, 상기 시트(30)가 약간 회전되고 나서 레치(50)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레치(50)의 걸이돌기(54)는 상기 레치가이드레일(33) 상에 안착된다. 특히 상기 레치가이드레일(33)의 곡률과 상기 걸이돌기(54)의 곡률은 일치하므로 걸이돌기(54)가 상기 레치가이드레일(33)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로 상대 이동된다.
상기 시트(30)가 자전거의 후방을 향하도록 회전하게 되면, 상기 걸이돌기(54)는 상기 레치가이드레일(33)에 연속되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레치공(34')을 만나게 되고, 상기 제2레치공(34')에 상기 탄성부재(58)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삽입된다.
참고로, 사용자가 상기 레치(50)에 계속적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가, 시트(3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된 후에 레치(50)에 가하던 힘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역시 상기 탄성부재(58)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레치(50)가 상기 시트(3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레치공(34')으로 들어가게 된다. 물론, 상기 시트(30)의 회전위치가 정확하지 않으면 상기 레치(50)가 상기 제2레치공(34')으로 들어가지 않을 수도 있는데, 상기 걸이돌기(54)의 외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걸이돌기(54)의 선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작아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어느 정도의 위치오차는 상기 레치(50)의 걸이돌기(54)에 의해 보정이 되면서 시트(30)의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시트(30)가 회전되어 후방을 향하도록 된 상태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30)를 다시 전방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것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동작에 의해 수행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레치공(34,34')이 상기 레치가이드레일(33)에 180도 간격으로 2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90도 간격으로 레치공(34,34')이 4개가 형성되면 전후 좌우방향을 시트(30)가 향할 수 있도록 될 수 있다. 즉, 레치공(34,34')의 갯수와 위치를 달리하여 다양한 위치에 시트(30)가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시트회전장치가 유아용 세발자전거에 적용되었으나,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일반 자전거나 유모차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10: 프레임 10': 프레임본체
11: 지지봉 12: 헤드튜브
13: 후륜지지부 14: 핸들스템
16: 앞포크 18: 핸들
20: 앞바퀴 21: 크랭크축
22: 페달 24: 뒷바퀴
26: 보호자조향핸들 28: 손잡이
29: 바스켓 30: 시트
31: 시트판 31': 시트판커버
32: 등받이 33: 레치가이드레일
34: 제1레치공 34': 제2레치공
36: 회전안내링부 38: 회전공
39: 회전안내내면 40: 회전지지구
42: 지지구몸체 44: 레치통공
45: 탄성부재봉 46: 프레임안착홈
48: 지지봉통공 49: 회전안내외면
49': 회전걸이리브 50: 레치
52: 레치몸체 54: 걸이돌기
56: 손잡이홈 57: 탄성부재 안착부
58: 탄성부재

Claims (7)

  1.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레치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레치가이드레일과 연속되게 적어도 2개의 레치공이 형성되며 탑승자가 앉는 시트와,
    상기 시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회전지지구와,
    상기 회전지지구에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시트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레치가이드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걸이돌기가 상기 레치공에 걸어져 시트를 회전지지구에 대해 고정시키는 레치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는 상기 레치가이드레일과 레치공이 형성된 시트판과 상기 회전지지구의 회전안내외면이 위치되는 회전공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판의 하부를 차폐하는 시트판커버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시트회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구에는 상기 프레임이 안착되는 프레임안착홈이 상기 프레임의 연장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봉이 관통하는 지지봉통공이 상기 프레임안착홈 내에 상기 회전지지구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자전거용 시트회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구의 상단 외면을 둘러서는 상기 시트에 형성된 회전공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회전안내외면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공에 형성된 회전안내내면의 상단에 걸어지는 회전걸이리브가 상기 회전안내외면의 상단에 형성되는 자전거용 시트회전장치.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치의 걸이돌기는 상기 레치가이드레일의 곡률과 같은 곡률을 가지고 선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줄어들도록 외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자전거용 시트회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치에는 상기 걸이돌기의 반대쪽에 손잡이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지지구를 관통하여 형성된 레치통공의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되는 자전거용 시트회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치의 골격을 형성하는 레치몸체의 양측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안착되는 탄성부재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회전지지구의 레치통공 내부 양단에 형성된 탄성부재봉에 끼워지는 자전거용 시트회전장치.
KR1020140033663A 2014-03-21 2014-03-21 자전거의 시트회전장치 KR101553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663A KR101553700B1 (ko) 2014-03-21 2014-03-21 자전거의 시트회전장치
PCT/KR2014/012299 WO2015141929A1 (ko) 2014-03-21 2014-12-12 자전거의 시트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663A KR101553700B1 (ko) 2014-03-21 2014-03-21 자전거의 시트회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3700B1 true KR101553700B1 (ko) 2015-09-17

Family

ID=54144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663A KR101553700B1 (ko) 2014-03-21 2014-03-21 자전거의 시트회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53700B1 (ko)
WO (1) WO2015141929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4183B2 (en) * 2006-07-14 2008-04-29 Tsung-Daw Lee Seat rotating device for baby strollers
CN200942791Y (zh) * 2006-09-18 2007-09-05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一种婴儿车收折骨架
IL183033A (en) * 2007-05-07 2012-10-31 Babyjogger Llc Adjustable stroller with single seat or multiple seats
KR101268358B1 (ko) * 2012-08-28 2013-06-04 조용훈 뒤보기가 가능한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41929A1 (ko)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4013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CA2303687C (en) Vehicle steering head
KR101399896B1 (ko) 카시트용 발받침
CN101712332B (zh) 婴儿车及婴儿车与汽车座椅的组合
KR102256389B1 (ko) 자동차용 유아 시트
KR101736129B1 (ko) 변형 가능한 운송 장치 및 이것에 구비된 조인트 모듈
JP4912988B2 (ja) 子供乗せ装置及び二輪車
WO2018051807A1 (ja) ベビーカー
KR20100025835A (ko) 시트 분리형 유모차
KR101553700B1 (ko) 자전거의 시트회전장치
JP2009067125A (ja) 子供乗せ装置及び二輪車
KR101553699B1 (ko) 자전거의 핸들조립체
JP2016043844A (ja) 三輪車
KR101537923B1 (ko) 접이식 자전거
JP2009056879A (ja) 子供乗せ装置及び二輪車
JP6230872B2 (ja) 乳幼児収容具
JP2006182199A (ja) 荷籠兼用子供同乗席
CN115366975A (zh) 儿童车辆
CN210391282U (zh) 婴儿车车架和婴儿车
JP2009056878A (ja) 子供乗せ装置及び二輪車
CN112606931B (zh) 儿童座椅、带儿童座椅的自行车以及防护装置
US20140252828A1 (en) Child safety seat for motorcycles
JP2020075583A (ja) ベルト固定装置
JP2012096699A (ja) 子乗せ装置付自転車
KR20140024867A (ko) 연계 조작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