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4867A - 연계 조작 기구 - Google Patents

연계 조작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4867A
KR20140024867A KR1020137026932A KR20137026932A KR20140024867A KR 20140024867 A KR20140024867 A KR 20140024867A KR 1020137026932 A KR1020137026932 A KR 1020137026932A KR 20137026932 A KR20137026932 A KR 20137026932A KR 20140024867 A KR20140024867 A KR 20140024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upport point
standby position
acting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1481B1 (ko
Inventor
요오헤이 가지모토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4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4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0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mechanically
    • B60T11/046Using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33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foot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2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foot operat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와이어(50)를 이용해서 조작 페달(12)과 종동 레버(32)를 로크 위치와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핀(17, 38)의 주위에 연계 회전시키는 기구에 있어서, 스프링(33)으로 종동 레버(32)를 로크 위치측으로 구동하고, 조작 페달(12)과 와이어(50) 사이에 와이어 홀더(13)를 개재시켜, 와이어 홀더(13)를 조작 페달(12)의 긴 구멍(12c)에 끼워서 핀(17)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 가능, 또한 핀(17)의 주위에 조작 페달(12)과 일체 회전 가능으로 하고, 우측 홀더(11)에는 와이어(50)의 장력을 받아내면서 와이어 홀더(13)와 접촉하고, 조작 페달(12)이 로크 위치 및 로크 해제 위치의 때에 와이어 홀더(13)를 끼워넣는 오목부(16a, 16b)와, 와이어 홀더(13)가 타넘는 볼록부(16c)를 갖는 안내부(18)를 설치한다.

Description

연계 조작 기구{LINKED OPERATION MECHANISM}
본 발명은 복수의 조작 부재를 연계해서 조작하는 연계 조작 기구에 관한 것이다.
베이비 카에 설치된 좌우의 차륜의 브레이크 장치를 조작하는 기구로서, 각 차륜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조작 부재를 로크 위치를 향해서 스프링으로 압박하는 한편, 양쪽 조작 부재를 와이어로 접속하고, 한쪽의 조작 부재를 스프링에 저항해서 로크 위치(작용 위치)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대기 위치)로 동작시켰을 때, 그 동작을 와이어 경유로 다른쪽의 조작 부재에 전달해서 당해 다른쪽의 조작 부재도 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로 동작시키는 연계 조작 기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14894호 공보
종래의 연계 조작 기구에서는, 와이어를 한쌍의 조작 부재의 각각과 직결해서 양쪽 조작 부재를 연동시키고 있다. 따라서, 와이어를 그 도중에 잡아당기는 것 같은 조작이 가해지면, 한쪽의 조작 부재만이 그 조작에 연동해서 본래 있어야 할 위치로부터 편위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쌍의 조작 부재의 동작을 와이어에서 연계시킬 경우의 오작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연계 조작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계 조작 기구는, 제1 베이스부에 대하여 제1 지지점을 중심으로 작용 위치와 대기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1 조작 부재와, 제2 베이스부에 대하여 제2 지지점을 중심으로 작용 위치와 대기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2 조작 부재와, 상기 제1 조작 부재와 상기 제2 조작 부재가 상기 작용 위치와 상기 대기 위치 사이에서 연동하도록 양쪽 조작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와이어와, 상기 양쪽 조작 부재가 상기 작용 위치 또는 상기 대기 위치의 어느 한쪽을 향해서 구동되도록 상기 와이어에 장력을 부여하는 스프링 부재와, 상기 제1 조작 부재와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 사이에 개재하고, 상기 제1 지지점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조작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란, 상기 제1 조작 부재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와이어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에는, 상기 와이어 연결 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받도록 해서 당해 와이어 연결 부재와 접촉하고, 또한 상기 제1 조작 부재가 상기 작용 위치 및 상기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와이어 연결 부재를 끼워넣는 오목부와, 양쪽 오목부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와이어 연결 부재가, 상기 오목부에 끼워져 있을 때보다도 상기 제1 지지점으로부터 먼 곳에 있는 상태에서 타고 넘는 볼록부를 갖는 안내부가 설치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가 제1 조작 부재와 직결되는 일이 없고, 와이어 연결 부재를 통해서 제1 조작 부재와 연결되고, 그 와이어 연결 부재는 와이어의 장력으로 제1 베이스부의 안내부와 접촉한다. 그로 인해, 제1 조작 부재를 제1 지지점의 주위로 작용 위치와 대기 위치 사이에서 회전시킬 때, 와이어 연결 부재는 제1 지지점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하는 것 같이 동작하면서 제1 베이스부의 안내부를 따라 이동한다. 제1 조작 부재가 작용 위치 및 대기 위치에 있을 때는, 와이어 연결 부재가 안내부의 오목부에 끼워넣고, 그들의 오목부 사이를 와이어 연결 부재가 이동할 때에는, 도중에 와이어 연결 부재가 제1 지지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볼록부를 타고 넘는다. 따라서, 제1 조작 부재가 작용 위치 및 대기 위치에 각각 있는 상태에서 와이어를 인출하는 것 같이 조작해도, 와이어 연결 부재가 오목부내로 가압되어, 볼록부를 타넘어서 반대측의 오목부로 와이어 연결 부재가 의도하지 않고 이동할 우려가 없다. 이에 의해, 조작 부재의 오작동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 부재가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의해 상기 작용 위치와 상기 대기 위치 사이를 회전하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그 경우, 상기 제1 지지점으로부터 한쪽의 오목부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1 지지점으로부터 다른쪽의 오목부까지의 거리가 서로 상이해도 된다. 제1 조작 부재를 작용 위치와 대기 위치 사이에서 회전시킬 경우, 와이어 연결 부재가 각 오목부로부터 이동을 개시해서 볼록부를 타넘기까지의 사이는 제1 조작 부재의 조작에 저항이 발생하지만, 그 저항은, 볼록부가 제1 지지점에 대하여 먼 곳으로 이동해야 할 거리의 대소에 의해 변화된다. 거리가 크면 저항도 증가하고, 그것에 수반하여 사용자에 요구되는 조작력도 증가한다. 따라서, 제1 조작 부재를 작용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회전시킬 때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와의 사이에서 사용자의 조작력을 차별화하고, 어느쪽의 조작을 행하고 있는지를 인식하는 단서를 사용자에 부여할 수 있다.
상기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조작 부재 및 상기 제2 조작 부재는, 상기 작용 위치에 있을 때에 한쌍의 조작 대상의 각각을 제동하고, 상기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한쌍의 조작 대상의 제동을 해제하는 것 같이 설치되어도 된다. 그 경우, 상기 제1 조작 부재가 상기 작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와이어 연결 부재가 상기 한쪽의 오목부에 끼워 맞추어지고, 상기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와이어 연결 부재가 상기 다른쪽의 오목부에 끼워 맞추어지고, 상기 제1 지지점으로부터 상기 한쪽의 오목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지지점으로부터 상기 다른쪽의 오목부까지의 거리보다도 크게 설정되어도 된다. 이것에 따르면, 조작 대상을 제동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그 제동을 해제하는 상태로 전환하는 것 같이 제1 조작 부재를 조작할 때의 조작력을, 반대 방향으로의 조작시의 조작력보다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사용자에 의한 준비되지 않은 제동 해제 조작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스프링 부재가 상기 제2 조작 부재를 상기 작용 위치를 향해서 구동하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이것에 따르면, 작용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에의 제1 조작 부재의 조작에 대하여 스프링 부재가 저항으로 해서 작용하는 한편, 대기 위치로부터 작용 위치에의 제1 조작 부재의 조작에 대해서는, 스프링 부재가 그 조작을 보조하는 것 같이 작용한다. 따라서, 제동 해제 조작시의 조작력이 제동 조작시의 조작력보다도 더욱 증가하고, 사용자에 의한 준비되지 않은 제동 해제 조작을 방지하는 효과가 더욱 높아진다.
또한, 상기 한쌍의 조작 대상은 손수레의 좌우 한쌍의 차륜이여도 좋다. 이것에 따르면, 손수레의 차륜의 제동 및 제동 해제를 전환하는 기구에 대하여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조작 부재로서, 상기 작용 위치와 상기 대기 위치 사이의 사용자에 의한 답입 조작이 가능한 조작 페달이 설치되어도 된다. 이것에 따르면, 사용자의 답입 조작에 의한 차륜의 제동 및 제동 해제 조작에 대하여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가, 상기 손수레의 좌우 한쌍의 다리부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다리부의 선단부 사이에는 연결 레버가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는 튜브에 수용되고, 상기 튜브는 상기 연결 레버의 내부에 통과되어도 좋다. 이것에 따르면, 와이어가 그 도중에 의도하지 않고 인장될 우려가 없어진다. 그로 인해, 상술한 본 발명의 작용 효과와의 상승에 의해, 오작동을 보다 한층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 부재는 상기 안내부를 덮어 숨기도록 해서 상기 제1 베이스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이것에 따르면, 이물질의 부착으로부터 안내부를 보호하고, 그것에 의해 오작동을 보다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와이어를 제1 조작 부재와 직결하지 않고, 와이어 연결 부재를 통해서 제1 조작 부재와 연결하고, 제1 조작 부재를 제1 지지점의 주위에 작용 위치와 대기 위치 사이에서 회전시킬 때에, 와이어 연결 부재를 그 회전 도중에 제1 지지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볼록부를 타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조작 부재가 작용 위치 및 대기 위치에 각각 있는 상태에서 와이어가 인출하는 것 같이 조작되어도, 와이어 연결 부재가 오목부내에 보유 지지되고, 볼록부를 타넘어서 반대측의 오목부에로 의도하지 않고 이동하는 우려를 배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작 부재의 오작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연계 조작 기구로서의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한 베이비 카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우측 제동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우측 제동부를 다른 방향으로부터 확대해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좌측 제동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브레이크 장치의 주요부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조작 페달이 로크 위치에 있을 때의 우측 제동부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6은 조작 페달이 로크 해제 위치에 있을 때의 우측 제동부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7은 와이어 홀더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동 레버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의 좌측 제동부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9는 종동 레버가 로크 해제 위치에 있을 때의 좌측 제동부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10은 브레이크 장치를 로크 해제 상태로 전환할 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브레이크 장치를 로크 상태로 전환할 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관한 연계 조작 기구를, 손수레의 일 예인 베이비 카의 브레이크 장치에 적용한 일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베이비 카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베이비 카(1)는 프레임 구조의 본체(2)를 갖고, 그 본체(2)에는 한쌍의 전방 다리(3) 및 한쌍의 후방 다리(4)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 다리(3)의 선단부(하단부)에는 전륜(5)이, 후방 다리(4)의 선단부에는 후륜(6)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후방 다리(4)의 선단부에는, 조작 대상으로서의 좌우 한쌍의 후륜(6)의 회전의 제동 및 제동 해제를 일체적으로 전환하는 브레이크 장치(7)가 설치되어 있다. 도 2a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장치(7)는, 우측의 후방 다리(4)의 선단부에 설치된 우측 제동부(10)와, 좌측의 후방 다리(4)의 선단부에 설치된 좌측 제동부(30)를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제동부(10)는, 제1 베이스부로서의 우측 홀더(11)와, 그 우측 홀더(11)에 조립되는 제1 조작 부재로서의 조작 페달(12)과, 그 조작 페달(12)과 조합되는 와이어 연결 부재로서의 와이어 홀더(13)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좌측 제동부(30)는, 제2 베이스부로서의 좌측 홀더(31)와, 그 좌측 홀더(31)에 조립되는 제2 조작 부재로서의 종동 레버(32)와, 좌측 홀더(31)와 종동 레버(32) 사이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33)을 구비하고 있다. 제동부(10, 30)의 사이에는 와이어(50)가 걸쳐져 있다. 와이어(50)는, 좌우의 홀더(11, 31)의 사이에 설치된 튜브(51)의 내부로 통하고, 그 일단부(50a)는 와이어 홀더(13)에 고정되고, 타단부(50b)는 종동 레버(32)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페달(12)을 동작시키면, 그 동작이 와이어(50)를 통해서 종동 레버(32)에 전달되고, 그것에 의해 종동 레버(32)가 조작 페달(12)에 연계해서 동작한다. 또한, 도 2a 및 도 3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좌우의 홀더(11, 31)의 사이에는, 본체(2)를 보강하기 위한 후방부 연결 레버(8)가 걸쳐져 있다. 후방부 연결 레버(8)는 파이프 형상의 부재이다. 튜브(51)는 홀더(11, 31)로부터 인출된 부분을 제외하고, 후방부 연결 레버(8)의 내부에 수용된다.
도 5 및 도 6은 우측 제동부(10)의 상세를 도시하고, 도 5는 조작 페달(12)이 로크 위치(작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 6은 조작 페달(12)이 로크 해제 위치(대기 위치)에 있는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로크 위치는 작용 위치에 상당하고, 로크 해제 위치는 대기 위치에 상당한다. 우측 홀더(11)에는, 상방으로 개방하는 후방 다리 끼워 맞춤부(14)와, 측방으로 개방하는 연결 레버 끼워 맞춤부(15)가 설치되어 있다. 도 2a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후방 다리 끼워 맞춤부(14)에는 우측의 후방 다리(4)의 선단부가, 연결 레버 끼워 맞춤부(15)에는 후방부 연결 레버(8)의 우측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있다. 후방 다리(4) 및 후방부 연결 레버(8)는 핀 등의 체결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해서 우측 홀더(11)와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도 5 및 도 6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우측 홀더(11)의 후방부에는, 한쌍의 페달 설치 벽(16)이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조작 페달(12)은, 중앙을 바닥으로 하는 완만한 오름 구배가 붙여진 한쌍의 조작부(12a, 12b)를 표면에 갖고, 이면측은 두께가 거의 일정해지도록 도려내진 부품이다. 조작 페달(12)은 페달 설치 벽(16)을 내부에 도입하도록 해서 우측 홀더(11)와 조합되어 있다. 환언하면, 페달 설치 벽(16)은 조작 페달(12)에 의해 덮어 숨겨져 있다. 한쪽의 페달 설치 벽(16)으로부터 조작 페달(12)을 관통해서 다른쪽의 페달 설치 벽(16)에 도달하도록 핀(17)이 장착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조작 페달(12)은, 핀(17)을 제1 지지점으로 하고, 당해 핀(17)의 주위에 로크 위치(도 5의 위치)와 로크 해제 위치(도 6의 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우측 홀더(11)에 설치되어 있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륜(6)의 허브에는, 반경 방향 외주를 향해서 연장하는 다수의 핀 형상의 돌기(6a)가 둘레 방향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조작 페달(12)에는 후륜(6)을 향해서 돌출하는 스토퍼 핀(12d)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페달(12)이 도 5의 로크 위치에 있을 때는, 스토퍼 핀(12d)이 돌기(6a)끼리의 간극에 끼워넣어진다. 이것에 의해, 우측 후륜(6)의 회전이 로크된다. 조작 페달(12)이 도 6의 로크 해제 위치로 회전하면, 스토퍼 핀(12d)이 돌기(6a)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외주측으로 대피하고, 우측 후륜(6)의 로크가 해제되어서 우측 후륜(6)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페달 설치 벽(16)의 외주에는, 제1 오목부(16a) 및 제2 오목부(16b)가 설치되고, 그들의 오목부(16a, 16b)의 사이에는 볼록부(16c)가 형성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페달 설치 벽(16)의 외주는 와이어 홀더(13)에 대한 안내부(18)로서 기능한다. 조작 페달(12)에는 긴 구멍(12c)이 설치되고, 그 긴 구멍(12c)에 와이어 홀더(13)가 장착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홀더(13)는, 대략 원통 형상의 가이드 통(13a)과, 그 가이드 통(13a)의 외주로부터 돌출한 와이어 고정부(13b)를 갖고 있다. 와이어(50)의 일단부(50a)는 와이어 고정부(13b)에 고정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홀더(13)의 가이드 통(13a)은 그 양 단부에 있어서 긴 구멍(12c)에 끼워 맞추어지고, 그것에 의해 와이어 홀더(13)는 긴 구멍(12c)에 따라 이동 가능하다. 또한, 와이어 홀더(13)의 가이드 통(13a)은 와이어(50)에 작용하는 장력으로 페달 설치 벽(16)의 외주에 접촉한다. 환언하면, 페달 설치 벽(16)의 외주는, 와이어 홀더(13)에 작용하는 장력을 받아내면서 와이어 홀더(13)를 소정의 궤적으로 동작시키는 캠으로서 기능한다. 조작 페달(12)이 로크 위치(도 5)에 있을 때는 가이드 통(13a)이 제1 오목부(16a)에, 로크 해제 위치(도 6)에 있을 때는 가이드 통(13a)이 제2 오목부(16b)에 각각 끼워 맞추어진다.
핀(17)으로부터 제1 오목부(16a), 제2 오목부(16b) 및 볼록부(16c)까지의 거리를 비교하면, 핀(17)으로부터 제1 오목부(16a)까지의 거리가 핀(17)으로부터 제2 오목부(16b)까지의 거리보다도 작다. 핀(17)으로부터 볼록부(16c)까지의 거리는 핀(17)으로부터 제2 오목부(16b)까지의 거리보다도 크다. 따라서, 조작 페달(12)이 핀(17)을 중심으로 해서 로크 위치와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때, 와이어 홀더(13)는 볼록부(16c)를 타넘기 위해서 긴 구멍(12c)내를 핀(17)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단 이동하고, 볼록부(16c)를 통과하면 긴 구멍(12c)내를 핀(17)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1 오목부(16a)로부터 볼록부(16c)에 이르기까지의 페달 설치 벽(16)의 외주[즉, 와이어 홀더(13)와 접촉하는 부분]의 윤곽 형상과, 제2 오목부(16b)로부터 볼록부(16c)에 이르기까지의 페달 설치 벽(16)의 윤곽 형상은 서로 상이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페달(12)이 단위 각도 회전할 때의 거리의 변화량을 비교하면, 제1 오목부(16a)로부터 볼록부(16c)에 이르는 사이의 변화량이, 제2 오목부(16b)로부터 볼록부(16c)에 이르는 사이의 변화량보다도 커지도록 페달 설치 벽(16)의 윤곽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도 8 및 도 9는 좌측 제동부(30)의 상세를 도시하고, 도 8은 종동 레버(32)가 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 9는 종동 레버(32)가 로크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좌측 홀더(31)에는, 상방으로 개방하는 후방 다리 끼워 맞춤부(34)와, 측방으로 개방하는 연결 레버 끼워 맞춤부(35)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후방 다리 끼워 맞춤부(34)에는 좌측의 후방 다리(4)의 선단부가, 연결 레버 끼워 맞춤부(35)에는 후방부 연결 레버(8)의 좌측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있다. 후방 다리(4) 및 후방부 연결 레버(8)는 핀 등의 체결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해서 좌측 홀더(31)와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좌측 홀더(31)의 후방부에는, 한쌍의 레버 설치 벽(36)이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종동 레버(32)에는 스프링 지지축(37)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지지축(37)의 외주에는 코일 스프링(33)이 설치되어 있다. 그 코일 스프링(33)이 장착된 상태에서, 스프링 지지축(37)은 레버 설치 벽(36)의 사이에 삽입되고, 또한 한쪽의 레버 설치 벽(36)으로부터 스프링 지지축(37)을 통해 다른쪽의 레버 설치 벽(36)에 도달하도록 핀(38)이 장착된다. 그것에 의해, 종동 레버(32)는, 핀(38)을 제2 지지점으로 하고, 당해 핀(38)의 주위에 로크 위치(도 8의 위치)와 로크 해제 위치(도 9의 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좌측 홀더(31)에 설치되어 있다. 종동 레버(32)와 좌측 후륜(6)과의 관계는, 조작 페달(12)과 우측 후륜(6)과의 관계와 같다. 즉, 종동 레버(32)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는 종동 레버(32)의 스토퍼 핀(도시하지 않음)이 좌측 후륜(6)의 돌기 사이의 간극에 인입해서 좌측 후륜(6)이 로크되고, 종동 레버(32)가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하면 그 스토퍼 핀이 좌측 후륜(6)의 돌기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대피하고, 좌측 후륜(6)의 로크가 해제되어서 좌측 후륜(6)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좌측 홀더(31)에 종동 레버(32)를 설치했을 때, 코일 스프링(33)의 한쪽의 팔(33a)은 좌측 홀더(31)에, 다른쪽의 팔(33b)은 종동 레버(32)에 각각 가압된다. 그것에 의해, 코일 스프링(33)은, 도 4의 시계 방향을 따라 적절하게 비틀어진 상태로 좌측 홀더(31)와 종동 레버(32) 사이에 개재된다. 그 비틀림에 대한 복원력으로 종동 레버(32)는 핀(38)의 주위에 로크 위치를 향해서 다시 밀쳐진다. 종동 레버(32)에는, 또한 와이어 고정부(32a)가 설치되어 있다. 와이어(50)의 타단부(50b)는 그 와이어 고정부(32a)에 고정되어 있다. 와이어(50)의 길이는 와이어 홀더(13)의 가이드 통(13a)이 우측 홀더(11)의 제2 오목부(16b)에 위치할 때에 종동 레버(32)가 로크 해제 위치까지 회전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해, 우선 종동 레버(33)가 핀(38)을 중심으로 해서 로크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구동된다. 그 복원력이 와이어(50) 및 와이어 홀더(13)를 통해서 조작 페달(12)에도 전달됨으로써, 조작 페달(12)도 로크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구동된다. 종동 레버(32)는, 가이드 통(13a)이 우측 홀더(11)의 볼록부(16c)를 타넘을 때에 로크 해제 위치를 초과해서 더욱 도 4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정해져 있다. 가이드 통(13a)이 우측 홀더(11)의 제1 오목부(16a)에 있을 때는, 종동 레버(32)가 코일 스프링(33)의 복원력으로 로크 위치로 보유 지지된다.
다음에, 브레이크 장치(7)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륜(6)의 회전이 로크된 상태에서는, 조작 페달(12)이 핀(17)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위치에 있고, 와이어 홀더(13)는 페달 설치 벽(16)의 제1 오목부(16a)에 끼워 맞추어진 위치에 있다. 이 경우, 조작 페달(12)은 로크 위치에 보유 지지되고, 와이어(50)는 좌측 제동부(30)를 향해 조출된 상태에 있다. 그것에 의해, 종동 레버(32)는, 코일 스프링(33)의 복원력으로 핀(38)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해서 로크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도 10에 화살표 A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페달(12)의 상측의 조작부(12a)가 답입 조작(로크 해제 조작이라고 부른다)되면, 조작 페달(12)은 핀(17)을 중심으로 해서 도면 중의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것에 의해, 조작 페달(12)은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하고, 그것에 수반하여 와이어 홀더(13)는 긴 구멍(12c)을 이동하면서, 페달 설치 벽(16)의 제1 오목부(16a)로부터 볼록부(16c)를 초과해서 제2 오목부(16b)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와이어(50)가 화살표 B로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제동부(10) 측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그로 인해, 종동 레버(32)는, 도면 중에 화살표 C로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33)에 저항해서 핀(38)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좌우의 후륜(6)의 회전에 대한 로크가 일체적으로 해제된다.
도 11에 화살표 D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페달(12)의 하측의 조작부(12b)가 답입 조작(그 조작을 로크 조작이라고 부른다)되었을 경우, 조작 페달(12)은 핀(17)을 중심으로 해서 로크 해제 위치로 회전한다. 그 회전에 따라, 와이어 홀더(13)는 긴 구멍(12c)을 이동하면서, 페달 설치 벽(16)의 제2 오목부(16b)로부터 볼록부(16c)를 넘어서 제1 오목부(16a)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와이어(50)가 화살표 E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제동부(30)측으로 조출된다. 그로 인해, 종동 레버(32)는, 도면 중에 화살표 F로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33)의 복원력으로 핀(38)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해서 로크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좌우의 후륜(6)의 회전이 일체적으로 로크된다.
이상의 브레이크 장치(7)에 있어서는, 와이어(50)가 조작 페달(12)에 와이어 홀더(13)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와이어 홀더(13)는 조작 페달(12)에 대하여 긴 구멍(12c)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조합되어 있으므로, 조작 페달(12)의 회전 중심인 핀(17)과, 와이어(50)의 조작 페달(12)에 대한 설치 위치인 와이어 고정부(13b)와의 사이의 거리는 조작 페달(12)이 로크 위치와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사이에 있어서 적당하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그 거리는, 로크 위치인 제1 오목부(16a) 및 로크 해제 위치인 제2 오목부(16b)에 와이어 홀더(13)가 위치할 때에 작고, 도중의 볼록부(16c)를 와이어 홀더(13)가 타넘을 때에 최대가 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33)이 와이어(50)에 부가하는 장력으로, 조작 페달(12)이 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는 와이어 홀더(13)가 제1 오목부(16a)에 압박할 수 있고, 로크 해제 위치에 있을 때는 와이어 홀더(13)가 제2 오목부(16b)에 압박할 수 있다.
조작 페달(12)이 도 10의 로크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와이어(50)가 도 10에 화살표 X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페달(12)을 로크 위치로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인입 조작되었다고 하더라도, 와이어 홀더(13)는 제2 오목부(16b)내에 구속되어, 볼록부(16c)를 타넘어서 제1 오목부(16a) 측으로 이동할 우려가 없다. 따라서, 조작 페달(12)의 의도하지 않는 회전에 의해, 우측 제동부(10)만이 로크 해제 상태로부터 로크 상태로 갑작스럽게 바뀔 우려가 없다. 조작 페달(12)이 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 와이어(50)가 마찬가지로 인장되었을 경우도, 마찬가지로 와이어 홀더(13)가 제1 오목부(16a)에 구속되고, 조작 페달(12)이 의도하지 않게 회전할 우려는 없다. 덧붙여서 말하면, 와이어 홀더(13)를 생략하고, 와이어(50)의 일단부(50a)를 조작 페달(12)에 직결했을 경우, 그 연결점과 핀(17)과의 거리는 조작 페달(12)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그 경우, 도 10에 화살표 X로 도시한 바와 같은 조작이 와이어(50)의 도중에 더하여지면, 그 조작에 연동해서 조작 페달(12)이 로크 위치측으로 회전하고, 로크 상태가 갑자기 바뀔 우려가 있다.
상기의 형태에 따르면, 페달 설치 벽(16)의 제1 오목부(16a)는 제2 오목부(16b)보다도 핀(17)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조작 페달(12)을 로크 위치와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시킬 경우, 와이어 홀더(13)가 제1 오목부(16a) 또는 제2 오목부(16b)로부터 이동을 개시해서 볼록부(16c)를 타넘기까지의 사이는 조작 페달(12)의 조작에 저항이 발생하지만, 그 저항은, 볼록부(16c)가 핀(17)에 대하여 먼 곳에 이동해야 할 거리의 대소에 의해 변화되고, 거리가 크면 저항도 증가하고, 그것에 수반하여 사용자에 요구되는 조작력도 증가한다. 따라서, 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로 조작할 때와, 반대 방향으로 조작할 때와의 사이에서, 조작 페달(12)의 조작력에 차이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로크 조작 또는 로크 해제 조작 사이에서 조작력을 차별화하고, 어느쪽의 조작을 행하고 있는지를 인식하는 단서를 사용자에 부여할 수 있다.
게다가, 로크 조작시와 로크 해제 조작시 사이에서, 와이어 홀더(13)가 볼록부(16c)를 타넘을 때까지 핀(17)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비교하면, 로크 해제 조작시의 거리가 로크 조작시의 거리보다도 크다. 따라서, 로크 해제 조작시에는, 로크 조작시보다도 큰 조작력이 필요해지고, 사용자에 의한 준비되지 않은 로크 해제 조작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33)의 복원력이 와이어(50) 및 와이어 홀더(13)를 통해서 조작 페달(12)을 로크 해제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인입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로크 해제 조작시의 조작력을 로크 조작시의 그것과 비해서 더욱 증대시켜, 그것에 의해 준비되지 않은 로크 해제 조작을 억제하는 효과를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브레이크 장치(7)에 따르면, 조작 페달(12)과 종동 레버(32)를 단일의 코일 스프링(33)으로 로크 위치에 보유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좌우의 제동부에 각각 스프링을 설치해서 양쪽 조작 부재를 개별로 로크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부품 개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조작 페달(12)은, 그 내부에 페달 설치 벽(16)의 안내부(18)를 덮어 숨기도록 해서 우측 홀더(11)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후륜(6)이 튀어날리는 진흙 등의 이물질의 부착으로부터 안내부(18)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형태에 한정되는 일이 없고, 적당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연계 조작 기구는 베이비 카의 후륜의 브레이크 장치에 적용되는 예에 한정되지 않고, 베이비 카 이외의 손수레에 설치되는 차륜의 제동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차륜의 제동 및 제동 해제를 전환하는 예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조작 대상의 상태를, 제1 조작 부재의 작용 위치와 대기 위치 사이의 회전에 의해 전환하는 것이면, 본 발명은 적당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손수레의 일부로서 설치되는 예에 한정되지 않고, 한쪽의 조작 부재의 조작을 다른쪽의 조작 부재에 와이어를 통해서 전달함으로써, 양쪽 조작 부재를 작용 위치와 대기 위치 사이에서 연동시키는 각종 연계 조작 기구에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상기의 형태에서는, 제1 조작 부재로서의 조작 페달(12)을 사용자 자신이 조작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제1 조작 부재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모터 등의 동력으로 제1 조작 부재가 조작되어도 좋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 조작 부재를 회전시킬 경우라도, 그 사용자가 직접 조작해야 할 부재는, 제1 조작 부재 및 제2 조작 부재와는 상이한 다른 조작 부재로서도 좋고, 그 조작 부재를 조작한 결과로서 제1 조작 부재가 조작되고, 그 조작이 와이어를 통해서 전달되어서 제2 조작 부재가 조작되어도 좋다. 이 경우, 다른 조작 부재와 제1 조작 부재 사이에 감속 기구, 배력 기구 기타의 각종 기구가 다시 개재해도 좋다.
제1 조작 부재 및 제2 조작 부재의 각각의 작용 위치 및 대기 위치는 상기의 로크 위치 및 로크 해제 위치로 해서 인식되는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적당한 설정이 가능하다. 작용 위치는, 제1 조작 부재 및 제2 조작 부재가, 그것들의 조작 대상에 대하여 어떠한 작용을 부여하는 위치이면 충분하고, 대기 위치는 그 작용 위치로부터 조작 부재가 이격되고, 조작 부재에 의한 작용 위치의 작용이 상실되는 위치이면 된다. 따라서, 작용 위치에 있을 때의 작용이 대기 위치에서 상실되는 한에 있어서, 그 대기 위치에서 다른 작용이 발생할 것인가 아닌가는 묻지 않는다.
제1 베이스부 및 제2 베이스부는, 상기의 형태와 같이 서로 이격된 위치에 독립해서 설치되는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조작 부재와 제2 조작 부재가 각각의 제1 지지점 및 제2 지지점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가능한 한, 제1 베이스부 및 제2 베이스부는 공용되어도 좋다. 제1 지지점 및 제2 지지점은 제1 및 제2 조작 부재를 서로 평행한 축선의 주위로 회전시키는 것 같이 설치되는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조작 부재 및 제2 조작 부재는 서로 비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할 수 있는 것이여도 좋다.

Claims (8)

  1. 제1 베이스부에 대하여 제1 지지점을 중심으로 작용 위치와 대기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제1 조작 부재와,
    제2 베이스부에 대하여 제2 지지점을 중심으로 작용 위치와 대기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제2 조작 부재와,
    상기 제1 조작 부재와 상기 제2 조작 부재가 상기 작용 위치와 상기 대기 위치 사이에서 연동하도록 양쪽 조작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와이어와,
    상기 양쪽 조작 부재가 상기 작용 위치 또는 상기 대기 위치의 어느 한쪽을 향해서 구동되도록 상기 와이어에 장력을 부여하는 스프링 부재와,
    상기 제1 조작 부재와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 사이에 개재하고, 상기 제1 지지점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조작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조작 부재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와이어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에는, 상기 와이어 연결 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받도록 해서 당해 와이어 연결 부재와 접촉하고, 또한, 상기 제1 조작 부재가 상기 작용 위치 및 상기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와이어 연결 부재를 끼워넣는 오목부와, 양쪽 오목부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와이어 연결 부재가, 상기 오목부에 끼워져 있을 때보다도 상기 제1 지지점으로부터 먼 곳에 있는 상태에서 타넘는 볼록부를 갖는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는, 연계 조작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 부재가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의해 상기 작용 위치와 상기 대기 위치 사이를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점으로부터 한쪽의 오목부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1 지지점으로부터 다른쪽의 오목부까지의 거리가 서로 상이한, 연계 조작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 부재 및 상기 제2 조작 부재는, 상기 작용 위치에 있을 때에 한쌍의 조작 대상의 각각을 제동하고, 상기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한쌍의 조작 대상의 제동을 해제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조작 부재가 상기 작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와이어 연결 부재가 상기 한쪽의 오목부에 끼워 맞추어지고, 상기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와이어 연결 부재가 상기 다른쪽의 오목부에 끼워 맞추어지고,
    상기 제1 지지점으로부터 상기 한쪽의 오목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지지점으로부터 상기 다른쪽의 오목부까지의 거리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연계 조작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가 상기 제2 조작 부재를 상기 작용 위치를 향해서 구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연계 조작 기구.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조작 대상이 손수레의 좌우 한쌍의 차륜인, 연계 조작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 부재로서, 상기 작용 위치와 상기 대기 위치 사이의 사용자에 의한 답입 조작이 가능한 조작 페달이 설치되어 있는, 연계 조작 기구.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가 상기 손수레의 좌우 한쌍의 다리부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다리부의 선단부 사이에는 연결 레버가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는 튜브에 수용되고, 상기 튜브는 상기 연결 레버의 내부에 통과되어 있는, 연계 조작 기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 부재는 상기 안내부를 덮어 숨기도록 해서 상기 제1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있는, 연계 조작 기구.
KR1020137026932A 2011-04-14 2012-04-10 연계 조작 기구 KR101831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89957A JP5701667B2 (ja) 2011-04-14 2011-04-14 連係操作機構
JPJP-P-2011-089957 2011-04-14
PCT/JP2012/059771 WO2012141168A1 (ja) 2011-04-14 2012-04-10 連係操作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867A true KR20140024867A (ko) 2014-03-03
KR101831481B1 KR101831481B1 (ko) 2018-02-22

Family

ID=47009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932A KR101831481B1 (ko) 2011-04-14 2012-04-10 연계 조작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698682B1 (ko)
JP (1) JP5701667B2 (ko)
KR (1) KR101831481B1 (ko)
CN (1) CN103620515B (ko)
TW (1) TWI531502B (ko)
WO (1) WO20121411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50134B2 (ja) * 2017-01-17 2021-03-31 ニューウェルブランズ・ジャパン合同会社 手押し車
JP7165158B2 (ja) * 2020-04-13 2022-11-02 株式会社メディカロイド 医師側操作装置および手術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705Y2 (ko) * 1987-09-18 1993-03-24
GB2283791B (en) * 1993-11-15 1997-08-27 Jane Sa Brake assembly for children's pushchairs
JP3128468B2 (ja) * 1995-05-09 2001-01-29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機器の点火時の火力調整機構
JP2002052950A (ja) * 2000-08-08 2002-02-19 Araco Corp 自動車運転装置
JP2002211409A (ja) * 2001-01-19 2002-07-31 Satsuki:Kk 手押し車用制動装置
JP2005014894A (ja) * 2003-06-06 2005-01-20 Aprica Kassai Inc 車輪同時ブレーキ機構、キャスタ回転防止機構および乳母車
CN2701725Y (zh) * 2004-04-30 2005-05-25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手推车用刹车装置
WO2006137143A1 (ja) * 2005-06-24 2006-12-28 Idx Company, Ltd. 架台装置、ペデスタル
JP5138231B2 (ja) * 2007-01-16 2013-02-06 コンビ株式会社 キャスタ及び該キャスタを有するベビーカー
JP4869083B2 (ja) * 2007-01-16 2012-02-01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US8057332B2 (en) * 2009-01-22 2011-11-15 Shimano Inc. Bicycle derailleur
TW201034816A (en) * 2009-03-20 2010-10-01 Allprofessional Mfg Co Ltd Metal wire cu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20515A (zh) 2014-03-05
JP2012221453A (ja) 2012-11-12
TW201249707A (en) 2012-12-16
KR101831481B1 (ko) 2018-02-22
WO2012141168A1 (ja) 2012-10-18
EP2698682A1 (en) 2014-02-19
CN103620515B (zh) 2015-04-01
JP5701667B2 (ja) 2015-04-15
TWI531502B (zh) 2016-05-01
EP2698682B1 (en) 2018-03-21
EP2698682A4 (en)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2889B1 (ko) 차량용 시이트이송트랙의 록킹장치
KR101869993B1 (ko) 관성 질량을 포함하는 차량 도어 핸들
EP1757484A3 (en) Child car seat
KR101560587B1 (ko) 잠금 장치
CN103538671B (zh) 两位置控制装置
CN105696880A (zh) 具有把手引导元件的机动车门把手布置
US9645600B2 (en) Two piece pedal arm
JP2010149694A (ja) 乗物用シート
US8052179B2 (en) Unlocking device for a control device
CN108502008B (zh) 婴儿车
CN105936307B (zh) 框架锁
KR20140024867A (ko) 연계 조작 기구
CN110753639B (zh) 头枕移动装置
JP6605636B2 (ja) 車両用ドア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JP4890529B2 (ja) 車両用前後連動ブレーキ装置
KR101201798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어웨이 시스템
KR20120058824A (ko) 차량용 브레이크 어웨이 시스템
JP5601907B2 (ja) シートのロック解除レバー装置
KR101867046B1 (ko) 케이블용 고정 장치를 구비한 벨트 버클
JP6610629B2 (ja) 操作ペダルの支持構造
KR101200532B1 (ko)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1610408B1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
KR200324044Y1 (ko) 차량용 시이트이송트랙의 록킹장치
KR101859934B1 (ko) 전자식 주차브레이크용 케이블 연결장치
JP2009286315A (ja) ストッパー付きキャス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