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102B1 - 전락 방지 장치 및 부체 구조물용 탱크 - Google Patents

전락 방지 장치 및 부체 구조물용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102B1
KR101552102B1 KR1020147002255A KR20147002255A KR101552102B1 KR 101552102 B1 KR101552102 B1 KR 101552102B1 KR 1020147002255 A KR1020147002255 A KR 1020147002255A KR 20147002255 A KR20147002255 A KR 20147002255A KR 101552102 B1 KR101552102 B1 KR 101552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member
bypass
rail
tank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2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0838A (ko
Inventor
에이지 아오키
Original Assignee
재팬 마린 유나이티드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팬 마린 유나이티드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재팬 마린 유나이티드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040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81Equipment which can travel along the length of a lifeline, e.g. travelers
    • A62B35/0087Arrangements for bypassing lifeline supports without lanyard dis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62Rail-form lifelines for permanent instal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설비 비용을 감소 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락 방지 장치 및 부체 구조물용 탱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벽면부(W)에 인접한 통로(P)를 따라 설치되어 벽면부(W)에 고정되는 레일 부재(2)와 레일 부재(2)에 접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과 동시에 구명밧줄(L)이 계지되는 가이드 부재 (3)를 가지며고, 레일 부재(2)는 이동용의 난간으로서 겸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레일 부재(2)는, 복수의 가이드 부재(3L, 3R)가 대립되는 경우에 한편의 가이드 부재(3R)를 우회시키는 바이패스부(21)를 가지고 있다. 바이패스부(21)는, 예를 들면, 레일 부재(2)의 일부에서 분기해 레일 부재(2)의 다른 부분에 접속되는 우회 경로나 레일 부재(2)의 일부에서 분기한 관말에 의해 구성된다.

Description

전락 방지 장치 및 부체 구조물용 탱크{FALL PREVENTION DEVICE AND TANK FOR FLOATING BODY STRUCTURE}
본 발명은 작업자나 통행자가 통로로부터 전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전락 방지 장치 및 부체 구조물용 탱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면을 따라서 배치된 통로에 적합한 전락 방지 장치 및 부체 구조물용 탱크에 관한다.
벌크 캐리어(Bulk Carrier) 탱커(액체화물선),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system : 부체식 해양 석유·가스 생산 저장적출설비), FSO(Floating Storage and Offloading system : 부체식 해양 석유·가스 저장 적출설비) 등의 부체 구조물에는, 복수의 탱크가 선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탱크는, 도크 입거(入渠)시나 정박시 뿐만 아니라, 해상에서의 선체 요동시에 탱크 안을 점검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점검에 대비하고자, 탱크의 내벽에 배치된 수평보의 개방측의 단부에, 한개 조의 난간과 복수 조의 전락 방지용 가로대와 이들을 펜스상에 배치하기 위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세로 지주(예를 들면 높이 1m의 강지주)와 출입구를 구성하는 문을 구비한 고정식의 난간을 설치하거나 수평보의 페이스 플레이트 등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식 난간과 같은 구성을 갖는 가설의 난간을 설치하여, 작업자의 전락 방지를 도모하고 있었다. 또, 탱크의 높이는, 20m 이상이 되기도 하고, 탱크 안의 점검 작업은 높은 위치에서 작업되는 것이 많아, 작업자는, 구명밧줄을 난간에 걸어 작업 및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난간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전락 방지 장치에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것이 이미 제안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전락 방지 장치는, 틀 비계를 하부에서 위쪽으로 순차 조립할 때에, 순차적으로차 위쪽에서 바꾸면서 비계에 설치하는 선행 난간에 있어서, 좌우 한쌍의 세로 지주와 각 세로 지주의 상단부에 회전자재에 가설한 옆 지주를 구비하고 옆 지주를 친강용의 지주로서 이용하면서 옆지주에 구명밧줄을 결합한 가이드를 슬라이드자재에 삽입한 것이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전락 방지 장치는, 플랫폼의 바닥면 상에 고정 된 레일 부재와 레일 부재에 접동자재에 계합하는 계합 부재와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 벨트에 접속한 구명밧줄의 한쪽 끝을 계지하기 위하여 계합부재에 고정된 계지부를 갖는 것이다.
일본공개특허 2005-207225호 일본공개실용신안 평06-016394호
그렇지만, 탱크 안에 있어서의 수평보에 고정식의 난간을 설치한 경우에는, 설비 비용이 비싸고, 화물의 운동에 의해 난간이 손상을 받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탱크 안에 있어서의 수평보에 가설의 난간을 설치한 경우에는, 난간의 설치 및 철거에 공정수를 필요로 하고, 점검 비용이 증대해, 점검 기간이 길어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처럼, 난간의 옆 지주에 구명밧줄을 계지하는 경우에는, 옆 지주를 지지하는 세로지주의 부분을 통과할 때에, 구명밧줄을 난간으로부터 일단 제외해 여벌이 필요하며, 일시적으로 구명밧줄을 착용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복수의 작업자가, 같은 난간에 구명밧줄을 계지하고 있는 경우에도, 구명밧줄의 여벌이 없으면 엇갈리지 못하고, 일시적에 구명밧줄을 착용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것처럼, 구명밧줄을 레일 부재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한 경우에는, 세로 지주를 횡단할 필요가 없기는 하지만, 동요하는 부체 구조물 안의 넓은 범위를 이동하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이동시에 신체를 걸기 위한 난간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 또, 복수의 작업자가, 같은 난간에 구명밧줄을 계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구명밧줄의 여벌이 없으면 엇갈리지 못하고, 일시적으로 구명밧줄을 착용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에 기반해 창안된 것이며, 설비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락 방지 장치 및 부체 구조물용 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벽면부에 인접한 통로 또는 작업 장소를 따라서 설치되는 전락 방지 장치로서, 상기 벽면부에 고정되는 레일 부재와 그 레일 부재에 접동(摺動, sliding)가능하게 배치되는 것과 동시에 구명밧줄이 계지되는 가이드 부재를 가지며, 상기 레일 부재는, 이동용의 난간으로서 겸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일 부재는, 복수의 상기 가이드 부재가 대립되는 경우에 한편의 전기 가이드 부재를 우회 또는 퇴피(退避)시키는 바이패스부를 가지고 있는 구성으로 한다. 이와 같이, 레일 부재에 바이패스부를 형성한 것에 의해, 동일 경로의 레일 부재에 복수의 작업자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도, 바이패스부를 이용하여 구명밧줄을 떼어내는 일 없이 엇갈릴 수 있어 작업 효율 및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이패스부는, 상기 레일 부재의 일부에서 두 갈래로 분기되되, 상기 두 갈래로 분기된 바이패스부가 항상 상기 레일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분기로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이패스부의 상기 분기로는, 상기 레일 부재의 일부에서 분기해 상기 레일 부재의 다른 부분에 접속되는 우회 경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다.
덧붙여, 바림직하게는 상기 바이패스부의 상기 분기로는, 상기 레일 부재의 일부에서 분기한 관말(막다른 골목형태)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일 부재를 복수 배치해, 인접하는 상기 레일 부재를 접속하는 연결 경로에 의해 상기 바이패스부의 상기 분기로를 구성하는 구성으로 한다.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이패스부의 상기 분기로는, 상기 레일 부재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다.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이패스부의 상기 분기로는, 상기 레일 부재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기 바이패스부의 상기 분기로에 우회 또는 퇴피(退避) 가능하게 하는 게이트 부재를 가지고 있는 구성으로 한다.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일 부재는, 중공부 및 그 중공부와 연통하는 슬릿부를 갖는 중공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앵커부와 상기 슬릿부에 삽입 통과되는 지지부와 상기 구명밧줄이 계지되는 계지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한다.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공관은 작업자가 파지 가능한 외형을 가지는 구성으로 한다.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앵커부는, 상기 중공부에 내접하는 차륜 또는 베어링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지지부와 자재이음을 통하여 접속 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체 구조물 상에 화물, 연료, 해수, 청수(淸水) 등의 탑재물을 수용 가능하게 형성 또는 배치되는 벽면부와 그 벽면부를 따라서 배치되는 수평보를 구비하는 부체 구조물용 탱크에 있어서, 상기 벽면부에 인접한 상기 수평보를 따라 배치되는 전락 방지 장치를 가지며, 그 전락 방지 장치는, 상기 벽면부에 고정되는 레일 부재와 그 레일 부재에 접동(摺動, sliding)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과 동시에 구명밧줄이 계지되는 가이드 부재를 가지고, 상기 레일 부재는, 이동용의 난간으로서 겸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과 관련된 전락 방지 장치 및 부체 구조물용 탱크에 의하면, 벽면부에 레일 부재를 고정해 접동(摺動, sliding) 가능한 가이드 부재를 배치하고, 이 가이드 부재에 구명밧줄을 계지시킴과 동시에, 레일 부재를 이동용의 난간으로서 겸용 가능하게 구성한 것에 의해, 수평보의 단부나 페이스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상설 또는 가설의 난간을 배치할 필요가 없고, 종래의 긴 세로 지주나 복수조의 전락 방지용 가로대를 생략 할 수 있고, 설비 비용을 감소 할 수 있다. 또, 레일 부재가 벽면부에 고정되고 있는 것으로부터, 화물과의 접촉에 의한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레일 부재를 차단하는 부재(예를 들면, 세로 지주 등)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부터, 구명밧줄을 떼어내지 않고, 가이드 부재를 레일 부재에 따라 접동(摺動, sliding)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부체 구조물용 탱크의 횡단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전락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a에 있어서의 A부 확대도
도 2a는 도 1a에 나타낸 부체 구조물용 탱크의 종단면도
도 2b는 도 1b에 나타낸 전락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a에 있어서의 B부 확대도
도 3은 도 1a에 나타낸 부체 구조물용 탱크의 수평 단면도
도 4a는 바이패스부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바이패스부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c는 바이패스부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는 바이패스부의 제4 변형예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바이패스부의 제4 변형예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c는 도 5a에 있어서의 C-C단면도
도 5d는 도 5c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는 가이드 부재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b는 가이드 부재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c는 가이드 부재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a ~ 도 6c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a,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부체 구조물용 탱크 및 전락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a는 부체 구조물용 탱크의 횡단면도, 도 1b는 도 1a에 있어서의 A부 확대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a, 도 2b는 도 1a, 도 1b에 나타낸 부체 구조물용 탱크 및 전락 방지 장치의 설명도이며, 도 2a는 부체 구조물용 탱크의 종단면도, 도 2b는 도 2a에 있어서의 B부 확대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1a에 나타낸 부체 구조물용 탱크의 수평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락 방지 장치(1)는, 도 1a ~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벽면부(W)에 인접한 통로(P)에 따라 설치되어, 벽면부(W)에 고정되는 레일 부재(2)와 레일 부재(2)에 접동(摺動, sliding)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과 동시에 구명밧줄(L)이 계지되는 가이드 부재(3)를 가지고, 레일 부재(2)는, 이동용의 난간으로서 겸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레일 부재(2)는, 복수의 가이드 부재(3L, 3R)가 대립되는 경우에 한편의 가이드 부재(3R)를 우회시키는 바이패스부(21)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전락 방지 장치(1)는, 예를 들면, 도 1a에 나타낸 것처럼, 부체 구조물용 탱크(4)에 배치된다. 도시한 부체 구조물용 탱크(4)는, 자립각형(SPB형) LNG 탱크이다. 이와 같은 부체 구조물용 탱크(4)는, 부체 구조물(5)(여기에서는, LNG 탱커) 상에 화물을 수용 가능하게 배치되는 벽면부(W)와 벽면부(W)를 따라 배치되는 수평보(41)를 갖추고 있다. 수평보(41)는,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예를 들면, 탱크 안의 벽면부(W)에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는, 탱크 안점검을 위해서, 수평보(41) 상을 주회한다. 따라서, 수평보(41)는, 작업자의 통로(P) 또는 작업 장소를 구성해 있다. 덧붙여 벽면부(W)에 복수의 수평보(41)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점검 작업이 필요한 수평보(41)를 따라 전락 방지 장치(1)를 배치하도록 하면 좋다.
부체 구조물(5)는, LNG 탱커로 한정되지 않고, 화물, 연료, 해수, 청수(淸水) 등의 탑재물을 수용 가능한 탱크를 가지고 있으면 좋고, LPG 탱커 등의 다른 탱커(액체 화물선)도 좋고, 벌크 캐리어(Bulk Carrier)도 좋고, FPSO(해상 부체식 석유·가스 생산 저장적출설비)나 FSO(해상 부체식 석유·가스 저장적출설비) 등이어도 된다. 덧붙여 부체 구조물용 탱크(4)는, 도시한 자립각형인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구형이나 원통형이어도 좋고, 어떤 형상의 경우도 상기 탑재물을 수용하지 않은 빈 것도 좋다.
도 1b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레일 부재(2)는, 중공부(2a) 및 중공부(2a)와 연통하는 슬릿부(2b)를 갖는 중공관에 의해 구성되고, 가이드 부재(3)는, 중공부(2a)에 삽입되는 앵커부(3a)와 슬릿부(2b)에 삽입 통과 되는 지지부(3b)와 구명밧줄(L)이 계지되는 계지부(3c)를 가지고 있다. 레일 부재(2)를 작업자가 파지 가능한 외형을 갖는 중공관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이동용의 난간으로서 겸용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슬릿부(2b)는, 예를 들면, 중공부(2a)에 대해 거의 수평 방향으로 탱크 안쪽 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레일 부재(2)를 구성하는 중공관은 지지부(2c)에 접속되어 있어 지지부(2c)에 의해 벽면부(W)에 고정 되고 있다. 벽면부(W)는, 평면을 구성하는 벽면 그 자체여도 좋고, 벽면에 골재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골재를 포함하여도 된다. 지지부(2c)는, 용접에 의해 벽면부(W)(벽면 또는 골재)에 고정되어도 좋고,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어도 된다. 덧붙여 지지부(2c)는, 중공관의 전체 길이에 따라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적당한 간격을 비워 분산해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가이드 부재(3)의 앵커부(3a)는, 중공부(2a)에 삽입되는 것과 동시에, 슬릿부(2b)로부터 누락 없는 크기를 갖는 구형상 또는 원통 형상의 슬라이더이다. 앵커부(3a)의 접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중공부(2a), 앵커부(3a) 또는 그 양쪽 모두의 표면에 코팅층이나 유막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3b)는, 슬릿부(2b)에 따라 이동하는 부분이며, 가장 응력이 생겨 쉬운 부분이다. 따라서, 지지부(3b) 또는 가이드 부재(3) 전체를 강도 부재에 의해 형성해도 좋고, 지지부(3b)의 표면에 내마모성의 코팅층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계지부(3c)는, 예를 들면,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구명밧줄(L)의 첨단에 배치된 훅(F)이 착탈 가능하게 계지된다. 구명밧줄(L)은, 통로(P)(수평보(41)) 상의 작업자(M)와 가이드 부재(3)을 연결하는 부재이며, 예를 들면, 작업자(M)의 안전 벨트 등에 접속되어 있다.
바이패스부(21)는, 예를 들면, 도 2a 및 도 2b에 기재된 것처럼, 레일 부재 (2)의 일부에서 분기해 레일 부재(2)의 다른 부서에 접속 되는 우회 경로에 의해 구성된다. 덧붙여 도 2a 및 도 3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레일 부재(2) 및 바이패스부(21)를 파선에 의해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바이패스부(21)를 구성하는 우회 경로는, 레일 부재(2)와 같은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슬릿부(2b)와 같은 형상의 슬릿부(21b)를 가진다. 또, 도 2a에 나타낸 것처럼, 바이패스부(21)는, 각 레일 부재(2)에 대해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우회 경로가 형성된다. 바이패스부(21)는, 각 레일 부재(2)에 대해 작업 경로의 중간 지점의 한 개소에 배치하도록 해도 되나, 작업자(M)가 마주하는 위치를 예측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적당한 간격으로 복수의 우회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마주치는 근방에서 엇갈림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지금, 도 2b에 나타낸 것처럼, 레일 부재(2)의 좌측에서 가이드 부재(3L)에 연결된 작업자(M)가 이동하고, 레일 부재(2)의 우측에서 가이드 부재(3R)에 연결된 작업자(M)가 이동해 왔을 경우를 상정한다. 예를 들면, 가이드 부재(3L)에 연결된 작업자(M)가, 레일 부재(2) 상을 그대로 직진하고, 가이드 부재(3R)에 연결된 작업자(M)가, 바이패스부(21)를 우회함으로써, 대립된 작업자(M)는 용이하게 엇갈릴 수 있고 각자의 점검 작업을 계속할 수 있다. 이 때, 작업자(M)는 구명밧줄(L)을 떼어낼 필요가 없어, 작업자(M)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벽면부(W)에 전락 방지 장치(1)를 상설함으로써, 통로(P)(수평보(41))의 탱크 내측(개방 단부측)에 난간을 상설 또는 가설할 필요가 없고, 설비 비용을 감소 할 수 있다. 또, 전락 방지 장치(1)는 벽면부(W)에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탱크 내측(개방 단부측)에 난간을 배치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화물과의 충돌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고 전락 방지 장치(1)의 손상을 감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이패스부(21)의 변형예에 대해 도 4a ~ 도 4c 및 도 5a ~ 도 5d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4a ~ 도 4c는, 바이패스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a는 제1 변형예, 도 4b는 제2 변형예, 도 4c는 제3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a ~ 도 5d는, 바이패스부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a는 닫힌 상태, 도 5b는 열린 상태, 도 5c는 도 5a에 있어서의 C-C단면도, 도 5d는 도 5c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덧붙여 도 2b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부품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교부했으므로 중복한 설명을 생략 한다.
도 4a에 나타낸 제1 변형예는, 바이패스부(21)를 레일 부재(2)의 상부에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직진 때에 가이드 부재(3)가 바이패스부(21)의 출입구에 걸리는 일 없이 원활히 이동할 수 있다.
도 4b에 나타낸 제2 변형예는, 바이패스부(21)를 레일 부재(2)의 일부에서 분기한 관말(막다른 골목형태)에 의해 구성한 것이다. 지금, 도시한 것처럼, 레일 부재(2)의 좌측에서 가이드 부재(3L)에 연결된 작업자(M)가 이동해, 레일부재(2)의 우측에서 가이드 부재(3R)에 연결된 작업자(M)가 이동해 왔을 경우를 상정한다. 예를 들면, 가이드 부재(3R)에 연결된 작업자(M)가, 바이패스부(21)에 퇴피해, 가이드 부재(3L)에 연결된 작업자(M)가, 레일 부재(2) 상을 그대로 직진함으로써, 대립된 작업자(M)는 용이하게 엇갈릴 수 있고 각자의 점검 작업을 계속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M)는 구명밧줄(L)을 떼어낼 필요가 없어 작업자(M)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덧붙여 이와 같은 제2 변형예에 있어서, 바이패스부(21)를 구성하는 관말(막다른 골목형태)을 도 4a에 나타낸 제1 변형예와 같게, 레일 부재(2)의 상부에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c에 나타낸 제3 변형예는, 레일 부재(2)를 복수 배치해(예를 들면, 제1 레일 부재(22)및 제2 레일 부재(23)), 인접하는 레일 부재(2)(제1 레일 부재(22)및 제2 레일 부재(23))를 접속하는 연결 경로에 의해 바이패스부(21)를 구성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레일 부재(2)를 배치해 양자를 왕래 가능한 연결 경로(바이패스부(21))를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제1 레일 부재(22)로 제2 레일 부재(23) 사이에 임의로 가이드 부재(3L, 3R)를 이동시킬 수 있고 작업자(M)가 동일한 레일 부재(2) 상에서 대립되었을 경우여도 용이하게 엇갈릴 수 있다.
도 5a ~ 도 5d에 나타낸 제4 변형예는, 바이패스부(21)가 레일 부재(2)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있어 가이드 부재(3)를 바이패스부(21)에 우회 또는 퇴피 가능하게 하는 게이트 부재(24)를 갖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게이트 부재(24)는, 예를 들면, 레일 부재(2)의 슬릿부(2b)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게이트(24a)와 슬라이드 게이트(24a)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24b)를 가진다.
슬라이드 게이트(24a)는, 도 5c에 나타낸 것처럼, 예를 들면, 레일 부재(2)의 내면을 따라서 만곡한 곡면부와 슬릿부(2b)로부터 외부에 연장된 조작부를 가진다. 슬라이드 게이트(24a)는, 도 5a에 나타낸 것처럼, 바이패스부(21)의 슬릿부(21b)의 폭보다 큰 길이에 형성된다. 슬라이드 게이트(24a)의 조작부에는, 작업자가 슬라이드 게이트(24a)를 슬라이딩하기 쉽게 하도록 손잡이나 마찰부를 배치하도록 할 수 있다. 스토퍼(24b)는, 레일 부재(2)의 외면에 배치된 돌기부이며, 슬라이드 게이트(24a)의 이동하는 거리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게이트 부재(24)를 배치함으로써, 가이드 부재(3)가 레일 부재(2)를 직진하는 경우에는, 도 5a에 나타낸 것처럼, 슬라이드 게이트(24a)로 슬릿부(21b)를 막도록 슬라이드 시키는 것에 의해서, 바이패스부(21)의 출입구부(21a)를 닫힌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3)는, 레일 부재(2)를 따라 원활히 직진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3)가 바이패스부(21)을 우회하는 경우에는, 도 5b에 나타낸 것처럼, 슬라이드 게이트(24a)를 스토퍼(24b)의 위치까지 슬라이드 시키는 것에 의해서, 바이패스부(21)의 출입구부(21a)를 열린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3)는, 바이패스부(21)에 따라 원활히 우회 할 수 있다. 덧붙여 바이패스부(21)를 우회한 다음은, 슬라이드 게이트(24a)를 슬라이드 시키고, 도 5a에 나타낸 닫힌 상태로 해 두면 편리하다.
또한, 도 5d에 나타낸 것처럼, 레일 부재(2)에 슬라이드 게이트(24a)를 수용하는 수용부(24c)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수용부(24c)는, 슬라이드 게이트(24a)가 이동하는 거리에 따라 형성된다. 이와 같이, 레일 부재(2)에 수용부(24c)를 형성함으로써, 슬라이드 게이트(24a)를 가이드 부재(3)의 이동 경로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고 원활히 가이드 부재(3)를 레일 부재(2)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덧붙여 게이트 부재(24)는, 상술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스토퍼(24b)를 생략해도 좋고, 수용부(24c)를 슬라이드 게이트(24a)와 거의 동일 길이로 형성해도 좋다. 이때, 슬라이드 시에 슬라이드 게이트(24a)가 수용부(24c)에서 벗어나 있어도 되며, 수용부(24c)의 양단부에 슬로프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슬라이드 게이트(24a)에 스프링을 배치해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부세해도 좋고, 소정의 압력 또는 중력이 부하 되었을 경우에 회동하는 비부(扉部)를 출입구부(21a)에 배치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게이트 부재(24)는, 레일 부재(2)에 단지 배치되는 것이 아니고, 가이드 부재(3)에 배치되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가이드 부재(3)의 앵커부(3a)의 길이를 신축 가능하게 구성해, 레일 부재(2)를 직진 할 때, 앵커부(3a)의 길이를 중공부(2a)의 내경보다 크게 하고, 바이패스부(21)에서 우회 할 때, 앵커부(3a)의 길이를 중공부(2a)의 내경보다 작아지도록 변형시키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가이드 부재(3)의 변형예에 대해 도 6a ~ 6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6a ~ 6c은, 가이드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a는 제1 변형예, 도 6b는 제2 변형예, 도 6c는 제3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덧붙여 도 1b에 나타낸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부품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교부하였으므로 중복한 설명을 생략 한다.
도 6a에 나타낸 제1 변형예는, 앵커부(3a)가 중공부(2a)에 내접하는 차륜(31)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앵커부(3a)에 차륜(31)을 배치함으로써, 차륜(31)을 레일 부재(2)에 따라 회전운동시킬 수 있고 가이드 부재(3)의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도 6b에 나타낸 제2 변형예는, 앵커부(3a)가 지지부(3b)와 자재이음(3d)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이다. 자재이음(3d)에는, 예를 들면, 볼조인트나 카르단 조인트(Cardan Joint) 등의 유니버설 조인트가 적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가이드 부재(3)의 이동시에 있어서, 앵커부(3a)에 작용하는 주된 힘을 회전 미끄럼 마찰력으로 분할시킬 수 있고 가이드 부재(3)를 레일 부재(2)에 따라 원활히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c에 나타낸 제3 변형예는, 앵커부(3a)가 중공부(2a)에 내접하는 베어링(3e)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앵커부(3a)에 베어링(3e)을 배치함으로써, 차륜(31)을 레일 부재(2)에 따라 활동 시킬 수 있고 가이드 부재(3)의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베어링(3e)의 배치 위치나 개수는, 도시 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제3 변형예에서는, 레일 부재(2)를 거의 직사각형 단면으로 구성해, 앵커부(3a)나 레일부재(2)의 중공부(2a)의 형상에 맞춘 거의 직사각형 단면으로 구성해 있다. 이와 같이, 레일 부재(2)(중공부(2a)) 및 앵커부(3a)를 직사각형으로 형성해도, 접동(摺動, sliding) 가능한 가이드 부재(3)를 배치할 수 있다. 또, 앵커부(3a)가 구형의 경우에도, 베어링(3e)을 배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바이패스부(21)는 불필요한 경우(예를 들면, 복수의 레일 부재(2)가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작업자가 엇갈릴 가능성이 없는 경우 등)에는 생략 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일정시간 체재하는 작업 장소에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전락 방지 장치(1) 이외에 통상의 난간 장치를 설치해도 좋다. 상술한 바이패스부(21)의 제1 변형예 ~ 제4 변형예 및 가이드 부재(3)의 제1 변형예 ~ 제3 변형예를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전락 방지 장치
2 레일 부재(중공관)
2a 중공부
2b 슬릿부
2c 지지부
3, 3L, 3R 가이드 부재
3a 앵커부
3b 지지부
3c 계지부
3d 자재이음
3e 베어링
4 부체 구조물용 탱크
21 바이패스부
24 게이트 부재
31 차륜
41 수평보

Claims (11)

  1. 벽면부에 인접한 통로 또는 작업 장소를 따라 설치되는 전락 방지 장치로서,
    상기 벽면부에 고정되는 레일 부재와 상기 레일 부재에 접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과 동시에 구명밧줄이 계지되는 가이드 부재를 갖고,
    상기 레일 부재는, 이동용의 난간으로서 겸용이 가능하게 구성되되,
    상기 레일 부재는, 복수의 상기 가이드 부재가 대립되는 경우에 한편의 상기 가이드 부재를 우회 또는 퇴피시키는 바이패스부를 갖고,
    상기 바이패스부는, 상기 레일 부재의 일부에서 두 갈래로 분기되되,
    상기 두 갈래로 분기된 바이패스부가 항상 상기 레일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분기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락 방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기로는, 상기 레일 부재의 일부에서 두 갈래로 분기되어 상기 레일 부재의 다른 부분에 접속되는 우회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락 방지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기로는, 상기 레일 부재의 일부에서 두 갈래로 분기한 관말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락 방지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 부재를 복수 배치하고, 인접하는 상기 레일 부재를 접속하는 연결 경로에 의해 상기 바이패스부의 상기 분기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락 방지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부의 상기 분기로는, 상기 레일 부재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락 방지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부의 상기 분기로는, 상기 레일 부재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기 바이패스부의 상기 분기로에 우회 또는 퇴피 가능하게 하는 게이트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락 방지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 부재는, 중공부 및 그 중공부와 연통하는 슬릿부를 갖는 중공관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앵커부와 상기 슬릿부에 삽입 통과 되는 지지부와 상기 구명밧줄이 계지되는 계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락 방지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은, 작업자가 파지 가능한 외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락 방지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는, 상기 중공부에 내접하는 차륜 혹은 베어링을 갖거나 또는 상기 지지부와 자재이음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락 방지 장치.
  10. 부체 구조물 위에 화물을 수용 가능하게 형성 또는 배치되는 벽면부와 그 벽면부를 따라 배치되는 수평보를 구비하는 부체 구조물용 탱크에 있어서,
    상기 벽면부에 인접한 상기 수평보를 따라 배치되는 전락 방지 장치를 갖고, 상기 전락 방지 장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락 방지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 구조물용 탱크.
  11. 삭제
KR1020147002255A 2011-06-27 2012-06-25 전락 방지 장치 및 부체 구조물용 탱크 KR101552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41763A JP5775380B2 (ja) 2011-06-27 2011-06-27 転落防止装置及び浮体構造物用タンク
JPJP-P-2011-141763 2011-06-27
PCT/JP2012/066108 WO2013002160A1 (ja) 2011-06-27 2012-06-25 転倒防止装置及び浮体構造物用タン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838A KR20140040838A (ko) 2014-04-03
KR101552102B1 true KR101552102B1 (ko) 2015-09-10

Family

ID=47424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255A KR101552102B1 (ko) 2011-06-27 2012-06-25 전락 방지 장치 및 부체 구조물용 탱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75380B2 (ko)
KR (1) KR101552102B1 (ko)
CN (1) CN103619417A (ko)
WO (1) WO20130021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78572B1 (da) * 2015-06-17 2016-07-04 Hvalpsund Vodbinderi As Sikkerhedssystem med flyderamme
JP6780877B1 (ja) * 2019-10-17 2020-11-04 株式会社ファシリコ 落下防止装置
CN111717804A (zh) * 2020-06-16 2020-09-29 南四成 一种简易龙门吊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5795A (ja) * 2003-10-01 2005-04-21 Yoichi Yoshida 曲線仮設足場の親綱支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1155U (ko) * 1984-10-18 1986-05-15
JPH04354771A (ja) * 1991-05-30 1992-12-09 Toshiba Corp 自走式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H057628A (ja) * 1991-07-04 1993-01-19 Fujikura Ltd 鉄塔昇降用ガイドレ−ル装置
JPH0673079U (ja) * 1992-07-20 1994-10-11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高所作業車における安全帯掛止装置構造
JPH0647104A (ja) * 1992-08-01 1994-02-22 Takenaka Komuten Co Ltd 命綱の支持案内装置及びこの装置の建物躯体への設置方法
JPH07180343A (ja) * 1993-12-22 1995-07-18 Nkk Corp Lng船足場作業床スライド装置
US7416054B2 (en) * 2004-10-25 2008-08-26 James Liggett Cable hook tracking system
JP3146541U (ja) * 2008-09-09 2008-11-20 中日本ハイウェイ・エンジニアリング名古屋株式会社 命綱支持装置
US8869934B2 (en) * 2009-05-20 2014-10-28 Mine Safety Appliances Company, Llc Method, apparatus, and arrangement for a lifeline system
CN201783107U (zh) * 2010-03-09 2011-04-06 国网电力科学研究院武汉南瑞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机械识别功能的高空作业防坠落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5795A (ja) * 2003-10-01 2005-04-21 Yoichi Yoshida 曲線仮設足場の親綱支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75380B2 (ja) 2015-09-09
WO2013002160A1 (ja) 2013-01-03
JP2013005973A (ja) 2013-01-10
CN103619417A (zh) 2014-03-05
KR20140040838A (ko)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502776A (ja) 貨物倉点検用のガントリータワークレーン
KR101552102B1 (ko) 전락 방지 장치 및 부체 구조물용 탱크
JP2007261339A (ja) 貨物船
US10625991B2 (en) Deck hoist tractor, rescue chute and tote tank
CN101435270B (zh) 高层柱子分段对接作业方法
JP2018505808A (ja) 貨物倉点検用ガントリータワークレーンの設置方法
US9862468B2 (en) Floating platform with an articulating keel skirt
JP6431652B2 (ja) 高欄用足場装置
ES2386863B1 (es) Cabina de atraque para el embarque y desembarque para buques.
KR101323826B1 (ko) 선박의 낙하물 차폐 장치
RU2709701C1 (ru) Выдвижная носовая погрузоч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CN102041755A (zh) 软轨式山地运管方法及其运管车
KR100929311B1 (ko) 대빗 장치
KR200466983Y1 (ko) 선박의 작업자 이동용 플랫폼
WO2018218802A1 (zh) 一种码头双船系泊过梯
US9242701B2 (en) Rail system of an oil supply ship, a method of positioning and arresting a hose, and an oil supply ship
TR201811186T4 (tr) Stinger taşıma sistemine yönelik gemi.
KR101725373B1 (ko) 선박 건조를 위한 플랫폼의 통행용 브릿지를 갖춘 사이드 오프닝의 통행구조물
US20130038078A1 (en) Supporting device for supporting a load to structure
KR101565792B1 (ko) 문풀 커버장치
WO2018132016A1 (en) Combined module handling and crane system
GB2538221A (en) Platform
JP2022056912A (ja) 船舶構造
JP6126508B2 (ja) 線状設備の防護構造
CN116080817A (zh) 一种化学品船货舱区域露天主甲板的布置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