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551B1 - 3축 침 발진 장치 - Google Patents

3축 침 발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551B1
KR101551551B1 KR1020130164381A KR20130164381A KR101551551B1 KR 101551551 B1 KR101551551 B1 KR 101551551B1 KR 1020130164381 A KR1020130164381 A KR 1020130164381A KR 20130164381 A KR20130164381 A KR 20130164381A KR 101551551 B1 KR101551551 B1 KR 101551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treatment needle
axis
treatment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5938A (ko
Inventor
류연희
박지은
권오상
조성진
최광호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64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551B1/ko
Publication of KR20150075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3축 침 발진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고, 더 구체적으로는, 모터를 사용해 주기적으로 3축 방향으로 침 진동을 유도하여 자침 후 수기법을 전자식으로 제어함으로써 자동화시키는 3축 침 발진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3축 침 발진 장치는 시술침 상기 시술침이 삽입되어 상기 시술침을 고정시키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시술침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시술침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시술침의 병진이동, 회전이동 또는 좌우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진동을 유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3축 침 발진 장치{DEVICE FOR 3-AXIS MOTORIZED NEDDLE OSCILLATING}
일 실시예에 따른 3축 침 발진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고, 더 구체적으로는, 모터를 사용해 주기적으로 3축 방향으로 침 진동을 유도하여 자침 후 수기법을 전자식으로 제어함으로써 자동화시키는 3축 침 발진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침술은 가늘고 예민한 바늘 또는 유사한 도구로 인체의 일정한 부위에 자극을 주어 인체의 기혈을 조절하고 질병을 치료하는 기술이다. 병증에 해당하는 경혈의 정확한 위치를 잡고 시침을 함으로써 신경계에 자극을 주어 특정한 치료 효과를 거두고자 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침은 생긴 모양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병에 따라 다양한 시침방법이 사용된다. 또한, 침을 놓고 나서 치료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침을 좌 혹은 우로 돌리거나 상하로 움직이는 것과 같은 자침 후 수기법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공개특허 제 10-2011-0135591호에는 전자 침에 대한 장치가 개시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직선 편광을 이용한 비침습적 방법으로 침 시술 부위에 자극을 가하는 전자 침에 대한 장치가 개시된다. 공개특허에 개시된 발명은 비 침습 방법으로 다양한 종류의 보사법을 구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3축 방향으로 모터를 사용해 주기적으로 침 진동을 유도하는 3축 침 발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자침 후 수기법을 전자식으로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자동화시키는 3축 침 발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프로그램 구성을 통하여 연쇄적으로 3축 방향으로 침을 진동시킬 수 있는 3축 침 발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일 실시예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3축 침 발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3축 침 발진장치는 시술침, 상기 시술침이 삽입되어 상기 시술침을 고정시키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시술침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시술침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시술침의 병진이동, 회전이동 또는 좌우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진동을 유발시킬 수 있다.
상기 진동부는 상기 시술침이 시술되는 피부와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시술침을 진동시키는 병진용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부는 상기 시술침을 축으로 하여 상기 시술침을 회전시키거나 상기 시술침을 축으로 하여 상기 시술침을 좌우로 진동시키는 회전 진동용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시술침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일 면에는 상기 하우징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부착면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3축 침 발진 장치는 상기 진동부의 회전 속도, 회전 방향, 회전 각도 또는 회전 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3축 침 발진 장치는 시술침이 삽입되는 침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및 진동부는 상기 침관 상에 부착되어 침관에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시술침에 진동을 유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3축 침 발진 방법은 시술침을 피부에 시침하는 단계, 상기 시술침의 진동 방식이 설정되는 단계 및 시술침이 축방향을 기준으로 병진이동, 회전이동 또는 좌우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단계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시술침의 진동이 반복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3축 침 발진 장치 및 방법은 3축 방향으로 모터를 사용해 주기적으로 침 진동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3축 침 발진 장치 및 방법은 자침 후 수기법을 전자식으로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자동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3축 침 발진 장치 및 방법은 프로그램 구성을 통하여 연쇄적으로 3축 방향으로 침을 진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3축 침 발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3축 침 발진 장치의 본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3축 침 발진 장치의 작동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축 침 발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관을 포함하는 3축 침 발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3축 침 발진 방법의 작동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여러 태양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룬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3축 침 발진 장치(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3축 침 발진 장치(1)의 본체부(12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3축 침 발진 장치(1)는 시술침(110) 및 본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20)는 시술침(110)의 중앙에 부착되어 시술침(110)의 진동을 유발시킬 수 있다. 본체부(120)는 원기둥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직육면체 또는 육면체기둥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체부(120)는 하우징(122) 및 하우징(122)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관통공(121)을 포함하고, 관통공(121)을 관통하여 시술침이 하우징(122)에 수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시술침(110)과 본체부(120)는 일체로서 작동할 수 있다. 관통공(121)은 침 부분의 두께와 크기가 비슷하여 시술침(110)이 하우징(122)에 수용되고 스스로 분리되지 않아 본체부(120)가 시술침(110)과 일체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관통공(121)에는 높은 마찰력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분리하지 않은 경우 본체부(120)가 시술침(110)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부(123)는 시술침(110)이 시술되는 피부와 수직인 방향으로 시술침(110)을 진동시키는 병진용 모터(1231)를 포함할 수 있다. 시술침(110)이 시술되는 피부에 삽입된 후에 병진용 모터(1231)는 시술침(110)을 상하로 진동시킬 수 있는데, 시술침(110)이 피부에서 삽입되었다가 빠지는 정도가 아닌 삽입된 상태에서 자극을 줄 수 있는 만큼의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도 3(a)에 시술침(110)이 병진운동을 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진동부(123)는 시술침(110)을 축으로 하여 시술침(110)을 회전시키거나, 시술침(110)을 축으로 하여 시술침(110)을 좌우로 진동시키는 회전 진동용 모터(12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에는 시술침(110)이 회전운동을 하는 형태가, 도 3(c)에는 시술침(110)이 진동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시술침(110)은 시계 방향 회전하고, 회전하기 전 상태로 돌아온 다음,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다시 회전하기 전 상태로 돌아오는 움직임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시술침(110)은 시술침(110)이 피부에 삽입된 곳을 중심으로 하여 시술침(110)의 상부가 진자 운동과 같은 움직임을 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병진이동, 회전이동 또는 좌우이동으로 진동하는 운동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 있고 하기에 묘사되는 제어부(124)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3축 침 발진 장치(1)는 진동부(122)의 회전 속도, 회전 방향 또는 회전 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침을 받는 사람의 상태, 시침부위, 병세 등에 따라 병진용 모터(1231)가 진동하는 횟수 또는 진동하는 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진동용 모터(1232)가 시술침(110)을 회전시키는 정도, 각도 또는 진동 폭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24)는 외부의 제어장치와 통신하는 송수신장치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의 제어장치에서 진동의 강도를 설정하면 이에 따라 병진용 모터(1231) 또는 회전 진동용 모터(1232)가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설정 값에 따라 상기 진동하는 횟수 또는 진동하는 폭등이 결정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축 침 발진 장치(2)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3축 침 발진 장치(2)는 시술침(210) 또는 본체부(2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부착면(230)을 구비할 수 있다. 시술침(210)이 안정적으로 진동을 하기 위하여 본체부(220)는 피부와 접할 수 있고, 피부와 접하는 면에 부착면(230)이 구비될 수 있다.
부착면(230)은 본체부(220)보다 무거운 재질로 구성되어 무게중심을 기하학적 중심보다 낮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진동의 축이 될 수 있는 시술침(210)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부착면(230)은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 또는 접착력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관을 포함하는 3축 침 발진 장치(3)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3축 침 발진 장치(1, 2)와 유사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3축 침 발진 장치(3)는 시술침이 삽입되는 침관(300)을 더 포함하고, 본체부(320) 및 진동부는 상기 침관(300) 상에 부착되어 침관(300)에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시술침(310)에 진동을 유발할 수 있다.
자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침관(300)이 사용될 수 있는데, 침관(300)은 시술침(310)이 삽입되는데 적합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관(300)은 원기둥 또는 육각기둥의 형태일 수 있고 시술침(310)이 삽입되는데 충분한 내부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를 포함하는 본체부(320)는 침관(30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묘사된 3축 침 발진 장치(1, 2)가 시술침(110, 210)을 직접 진동시키는 것과 달리,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축 침 발진 장치(3)는 진동부를 포함하는 본체부(320)가 침관(300)에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시술침(310)에 진동을 유발할 수 있다.
즉, 시침을 할 피부에 침관(300)을 놓고 침관(300) 내부에 시술침(310)을 삽입하여 시침을 하면 침관(300)에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침관(300)의 진동이 시술침(310)에 전달되면서 시술침(310)에 진동을 유발할 수 있다.
다만, 침관(300)의 형태 및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시술침(310)이 직접 진동하지 않고 외부 진동에 의하여 시술침(310)에 진동이 유발되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관(300)의 상부가 막힌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3축 침 발진 방법의 작동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3축 침 발진 방법은 시술침을 피부에 시침하는 단계(S10), 시술침의 진동 방식이 설정되는 단계(S20), 시술침이 축방향을 기준으로 병진이동, 회전이동 또는 좌우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시술침을 피부에서 시침하는 단계(S10)에서 본체부(120)가 결합된 시술침(110)을 사용하거나 본체부(220)를 피부에 배치하고 시술침(210)이 본체부(220)를 관통하도록 하여 시침할 수 있다. 또한, 침관(300)을 사용하여 시침을 할 수도 있다.
시술침의 진동 방식이 설정되는 단계(S20)에서 제어부(124)로부터 진동의 강도에 대한 정보를 받을 수 있다. 즉, 시침을 받는 사람의 상태, 시침부위, 병세에 따라 적절한 진동의 강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병진, 회전 또는 좌우이동의 진동이 동시에 일어나거나 순차적으로 일어나는 등의 순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설정단계(S20)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시술침(110, 210, 310)의 진동이 반복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침 후 수기법은 시침한 직후에 이루어지지만 기 설정된 주기마다 진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처음 진동이 발생되고, 일정한 시간마다 진동이 다시 발생되며, 시술침(110, 210, 310)을 피부에서 분리하기 전에 다시 진동이 발생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 다음 시술침이 축방향을 기준으로 병진이동, 회전이동 또는 좌우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단계(S30)에서는 시술침의 진동 방식이 설정되는 단계(S20)에서 설정된 진동의 강도에 따라 시술침(110, 210, 310)이 진동을 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3축 침 발진 장치(1, 2, 3) 및 방법은 3축 방향으로 모터를 사용해 주기적으로 침 진동을 유도할 수 있고, 자침 후 수기법을 전자식으로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자동화시킬 수 있으며 프로그램 구성을 통하여 연쇄적으로 3축 방향으로 침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고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야 할 것이다.
1 3축 침 발진 장치
110 시술침
120 본체부
121 관통공
122 하우징
123 진동부
1231 병진용 모터
1232 회전 진동용 모터
124 제어부
2 3축 침 발진 장치
210 시술침
220 본체부
230 부착면
3 3축 침 발진 장치
300 침관
310 시술침
320 본체부

Claims (9)

  1. 시술침;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시술침이 수용되어 상기 시술침을 고정시키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시술침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부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시술침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시술침의 병진이동, 회전이동 또는 좌우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진동을 유발시킬 수 있고,
    상기 부착면은 상기 본체부보다 무거운 재질로 구성되어 무게중심을 기하학적 중심보다 낮게 형성하여 상기 시술침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3축 침 발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상기 시술침이 시술되는 피부와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시술침을 진동시키는 병진용 모터를 포함하는 3축 침 발진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상기 시술침을 축으로 하여 상기 시술침을 회전시키거나 상기 시술침을 축으로 하여 상기 시술침을 좌우로 진동시키는 회전 진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3축 침 발진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면은 접착력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3축 침 발진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의 회전 속도, 회전 방향, 회전 각도 또는 회전 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3축 침 발진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30164381A 2013-12-26 2013-12-26 3축 침 발진 장치 KR101551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381A KR101551551B1 (ko) 2013-12-26 2013-12-26 3축 침 발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381A KR101551551B1 (ko) 2013-12-26 2013-12-26 3축 침 발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938A KR20150075938A (ko) 2015-07-06
KR101551551B1 true KR101551551B1 (ko) 2015-09-08

Family

ID=53788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381A KR101551551B1 (ko) 2013-12-26 2013-12-26 3축 침 발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5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469B1 (ko) * 2017-04-10 2018-08-03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침 치료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561B1 (ko) * 2022-03-08 2024-01-30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진동 방향 조절이 가능한 초소형 진동침 시술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7881A (ja) * 2003-07-14 2005-02-03 Yoshimaro Ogawa 鍼治療装置
KR200408927Y1 (ko) 2005-10-27 2006-02-15 신대철 전동침
JP2009207779A (ja) * 2008-03-06 2009-09-17 Fujio Yamashita 小型電動鍼治療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7881A (ja) * 2003-07-14 2005-02-03 Yoshimaro Ogawa 鍼治療装置
KR200408927Y1 (ko) 2005-10-27 2006-02-15 신대철 전동침
JP2009207779A (ja) * 2008-03-06 2009-09-17 Fujio Yamashita 小型電動鍼治療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469B1 (ko) * 2017-04-10 2018-08-03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침 치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938A (ko) 201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99181B (zh) 利用声音压力的振动装置及具备上述装置的人体刺激装置
KR101551551B1 (ko) 3축 침 발진 장치
KR20190021513A (ko) 진동자를 구비한 마사지기
KR20030039567A (ko) 천공 보조기를 구비한 근육내 자극기
CA3140839A1 (en) Vibration generator
JP2006230942A (ja) 超音波美容器
JP7452882B2 (ja) タトゥー装置
JP6552805B2 (ja) 鍼治療用振動装置と鍼治療用振動装置の使用方法
JP2014217409A (ja) ゆらぎ振動針圧マッサージ器
KR20080004947U (ko) 양면 지압 마사지기
JPWO2018154770A1 (ja) 安眠誘導装置
JP2009247811A (ja) 超音波を用いた経皮浸透具
KR200233759Y1 (ko) 진동발생기
CN211157204U (zh) 一种音波震动式按摩装置
KR200394391Y1 (ko) 머리안마 자석헤드
JPH10174704A (ja) マッサージ装置
RU2678358C2 (ru) Вибростимулятор
KR101559212B1 (ko) 침술 장치
KR20060128589A (ko) 머리안마 자석헤드
KR200396484Y1 (ko) 자석안마기
KR101177533B1 (ko) 마사지 장치
JP3004388U (ja) 身体の微小領域に振動を加える装置
KR200404312Y1 (ko) 핸디안마기의 안마캡
JP2000106998A (ja) 催眠枕
KR200400798Y1 (ko) 머리안마기용 헤드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