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469B1 - 침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침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469B1
KR101885469B1 KR1020170046123A KR20170046123A KR101885469B1 KR 101885469 B1 KR101885469 B1 KR 101885469B1 KR 1020170046123 A KR1020170046123 A KR 1020170046123A KR 20170046123 A KR20170046123 A KR 20170046123A KR 101885469 B1 KR101885469 B1 KR 101885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acupuncture
posture
electrode
fix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윤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46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4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02Using electric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02Skin piercing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17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with leads or electrodes penetrating the skin

Abstract

침 치료 장치의 일측면에 따르면, 침 치료 장치는 환부에 적용되는 침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침 단자는, 침 수용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기둥 형태의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침 수용홀에 수용된 침과 접하여 상기 침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 1 자세 또는 상기 침과 이격되는 제 2 자세를 선택적으로 갖는 고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침 치료 장치{ACUPUNCTURE APPARATUS}
이하의 설명은 침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환부 내지는 경혈자리에 침을 놓고, 전침(electro-acupuncture) 치료를 위하여 일정시간이 지난 후 집게 형태의 구조물을 침에 연결한 후 상기 구조물에 전류를 흘려주었다. 이 경우, 상기 구조물의 무게로 인해 침이 휘거나 환부에서 이탈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쑥뜸 등은 연기 및 화상 가능성 때문에 선호도가 떨어지고 있고, 이의 대체수단으로 전자뜸이 많이 이용되었으나 전자뜸 역시 피부 표면을 가열하여 경혈자리로 열이 전도되는 방식이기에 효율성 측면에서 한계가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비해, RF뜸은 피부 표면이 아닌 피부 안쪽에 고주파발진을 가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경혈자리에 열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에는, 침, RF뜸, 전침을 이용한 치료를 할 때 각기 다른 장비 내지는 도구를 이용하여 시술을 하였는바, 치료의 불편함 및 치료 시간의 증가라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05060호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침 시술 후 침의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침 치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하나의 장비로 침, 전침, RF뜸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치료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침 치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침 치료 장치의 일측면에 따르면, 침 치료 장치는 환부에 적용되는 침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침 단자는, 침 수용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기둥 형태의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침 수용홀에 수용된 침과 접하여 상기 침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 1 자세 또는 상기 침과 이격되는 제 2 자세를 선택적으로 갖는 고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초기상태에서 상기 제 1 자세를 갖고, 외력에 의해 상기 제 2 자세를 가지며, 상기 침 단자는, 상기 고정유닛이 상기 제 2 자세를 가질 때 상기 고정유닛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일단부; 자유단으로서 상기 침에 선택적으로 접하는 타단부; 및 상기 일단부 및 상기 타단부 사이의 중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단부는 상기 타단부보다 상기 침 수용홀의 입구측으로 치우치고, 상기 중간부는 상기 일단부에서 상기 타단부로 갈수록 상기 침 수용홀의 입구측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이 상기 제 1 자세를 가진 상태에서 상기 침이 상기 침보다 큰 직경의 관형 침봉에 수용된 채로 상기 침 수용홀에 삽입되면, 상기 침봉은 상기 타단부에 상기 환부 방향의 외력을 가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일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환부 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 2 자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의 일단부가 상기 환부에 삽입된 후 상기 침봉이 상기 침 수용홀의 입구측으로 제거되면,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탄성체가 제공하는 상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일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침 수용홀의 입구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 1 자세를 가지면서 상기 침에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도체이고, 전원; 및 상기 고정유닛과 상기 전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유닛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 단자는 적어도 한 쌍으로 제공되고, 상기 한 쌍의 침 단자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전원의 양극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전원의 음극에 연결될 수 있다.
침 치료 장치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침 치료 장치는 환부에 적용되는 침 단자; 및 상기 침 단자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침 단자는, 침 수용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기둥 형태의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의 반대전극인 제 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환부에 고주파발진을 가하는 RF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링 형태이고,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제 1 전극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 상기 제 1 전극의 중공부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 수용홀에 수용된 침에 접하는 도체; 및 상기 도체와 상기 전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도체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따르면, 침 시술 후 침의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침 치료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장비로 침, 전침, RF뜸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치료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침 치료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침 치료 장치의 침 단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침이 환부에 놓이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전침 치료 모습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 치료 장치의 침 단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침 치료 장치를 이용하여 치료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공지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상기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닌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리고 특정 부분이 특정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상기 특정 부분은 상기 특정 구성 외의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침 치료 장치의 침 단자(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침 치료 장치의 침 단자(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 고정유닛(120, 121), 탄성체(130), RF뜸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침 치료 장치의 침 단자(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스(11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기둥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케이스(110)의 길이방향(도 1 기준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침 수용홀(115)이 형성될 수 있다. 침 수용홀(11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를 상하로 관통할 수 있다. 침(10)은 침 수용홀(115)의 입구측(116)으로부터 침 수용홀(115)에 삽입될 수 있다. 참고로, 여기에서는 환부가 케이스(110)의 하부 측에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고정유닛(120, 121)은 침 수용홀(115)에 수용된 침(1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유닛(120, 121)은 제 1 자세를 가질 때에는 그 일부가 침(10)에 접하여 침(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고(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 제 2 자세를 가질 때에는 침(10)으로부터 이격되어 침(10)의 위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고정유닛(120, 121)이 한 쌍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되는 본 실시예에서는, 침(10)은 한 쌍의 고정유닛(120, 121) 사이에 협지되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고정유닛(120, 121)에 의해 침(10)의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침 시술 및 전침 시술 간에 침(10)이 환부에 삽입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고정유닛(120, 121)이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변형예에서는 고정유닛은 셋 이상으로 제공되거나 하나만 제공될 수도 있다. 고정유닛이 하나로만 제공되는 경우, 침은 고정유닛과 침 수용홀(115)의 내주면 사이에 협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유닛(120, 121)은 외력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유닛(120, 121)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제 1 자세를 가질 수 있고, 외력이 가해지면 제 2 자세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제 2 자세에서 외력이 제거되면 후술할 탄성체(130)가 제공하는 복원력에 의해 다시 제 1 자세로 복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기준 하방 외력이 고정유닛(120, 121)에 가해지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유닛(120, 121)이 외력에 의해 작동하는 것이나, 다른 변형예에서는 고정유닛은 모터 등의 구동장치에 의해 전동식으로 작동하여 제 1 자세 또는 제 2 자세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유닛(120, 121)은 회동 방식으로 자세 전환을 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예를 들어,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고정유닛(120)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고정유닛(120)은 일단부(120a), 타단부(120b), 그리고 상기 일단부(120a)와 타단부(120b)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부(120c)를 포함할 수 있다. 일단부(120a)는 케이스(1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타단부(120b)는 자유단으로서 침(10)에 선택적으로 접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고정유닛(12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부(120b)가 침(10)에 접하는 제 1 자세를 가진 상태에서, 타단부(120b)에 도 1 기준 하방 외력이 가해지면 고정유닛(120)은 일단부(120a)를 기준으로 환부 측, 즉 침 수용홀(115)의 입구측(116)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 2 자세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타단부(120b)는 침(1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유닛(120, 121)은 하방 회동에 적합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우측의 고정유닛(120)을 예로 들면, 일단부(120a)는 타단부(120b)보다 침 수용홀(115)의 입구측(116)으로 치우친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간부(120c)는 일단부(120a)에서 타단부(120b)로 갈수록 침 수용홀(115)의 입구측(116)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유닛(120, 121)은 이러한 구조를 가진 채 일단부(120a)를 기준으로 하방 회동하는바, 우측의 고정유닛(120)은 침(10)에 의해 형성되는 수직 경계선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을 침범하지 않고, 좌측의 고정유닛(121) 역시 침(10)에 의해 형성되는 수직 경계선을 기준으로 우측 영역을 침범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고정유닛(120, 121)은 회동 시 서로의 움직임을 간섭하지 않을 수 있다.
탄성체(130)는 고정유닛(120, 121)이 제 1 자세일 때 초기상태를 가질 수 있고, 제 2 자세일 때 압축되어 고정유닛(120, 121)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고정유닛(120, 121)이 외력에 의해 작동하는 경우, 고정유닛(120, 121)이 제 2 자세를 가진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복원력에 의해 고정유닛(120, 121)은 제 1 자세로 복귀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130)의 구체적인 종류, 배치 형태 등은 다양할 수 있다.
상술한 고정유닛(120, 121)은 통전 가능한 도체일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침 치료 장치는 전원 및 전선을 포함할 수 있고, 전선의 일단부는 고정유닛(120, 121)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으로부터 인가된 전류는 전선을 통해 고정유닛(120, 121)에 전달되고, 고정유닛(120, 121)이 침(10)에 접하는 제 1 자세일 경우 고정유닛(120, 121)에 전달된 전류는 다시 침(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침 단자(100)는 전침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침(10)의 위치가 고정유닛(120, 121)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전침 치료가 이루어지므로, 안정적인 치료가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침 치료 장치의 침 단자(100)는 RF뜸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RF뜸부(140)는 제 1 전극(141)과 제 2 전극(14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두 전극(141, 142)은 서로 반대전극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RF뜸부(140)는 고주파발진을 피부 내측에 가하여 온열치료 내지는 뜸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극(141)에서 고주파신호가 발산되고 상기 고주파신호가 인체를 통과하여 제 2 전극(142)으로 수렴되는 방식으로 피부 내측에 고주파발진이 가해질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침 치료 장치는 RF뜸부의 작동을 위한 전원, 전선 등 기본적인 전기-기계적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침 단자(100)에 RF뜸부(140)가 제공되기 때문에, 침 치료, 전침 치료 및 뜸 치료가 하나의 장비만을 사용해 이루어질 수 있고, 더 나아가 침 치료, 전침 치료 및 뜸 치료 중 적어도 두 가지의 치료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RF뜸부(140)가 케이스(110)의 하부 측에 제공되어 치료 시 환부에 인접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며, 제 1 전극(141) 및 제 2 전극(142)이 모두 중공부를 가지는 링(ring) 형태이되 제 2 전극(142)의 직경이 제 1 전극(141)의 직경보다 작아서 제 2 전극(142)은 제 1 전극(141)의 중공부에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케이스(110)의 일측에는 온도센서가 제공될 수 있다. 온도센서는 RF뜸 치료 간에 변화하는 온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는 케이스(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온도가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RF뜸부(140)로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거나 알람을 발생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침(10)이 환부에 놓이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명확한 이해를 위하여 침(10), 침봉(11) 및 고정유닛(120, 121) 이외의 구성은 그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침(10)은 침(10)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관형의 침봉(11) 내부에 수용된 채 케이스(110)의 침 수용홀(115)에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침(10) 및 침봉(11)은 침 수용홀(115)의 입구측(116)으로 삽입되어 도면 기준 하방 이동함에 따라 환부에 접근할 수 있다.
침(10)과 침봉(11)이 침 수용홀(115) 내부에서 환부 측으로 하방 이동함에 따라 침봉(11)은 고정유닛(120, 121)의 타단부(120b)에 하방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외력에 의하여, 고정유닛(120, 121)은 일단부(120a)를 기준으로 환부 측으로 회동할 수 있다(도 2 참조). 여기에서, 침(10)과 침봉(11)의 하방 이동이 계속되면 침(10)과 침봉(11)이 고정유닛(120, 121)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이 때에는 도 2 대비 고정유닛(120, 121)의 회동의 정도가 더 클 수 있다(도 3 참조).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유닛(120, 121)은 침(10)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제 2 자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침(10)이 환부(1) 측에 접근하는 것에 이어서 침(10)의 하단부가 환부(1)에 삽입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봉(11)은 시술자에 의해 상방 이동하여 침 수용홀(115)의 입구측(116)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 때에는 고정유닛(120, 121)의 타단부(120b)에 가해지던 하방 외력이 제거되기 때문에, 고정유닛(120, 121)은 탄성체(130)가 제공하는 복원력에 의해 일단부(120a)를 기준으로 침 수용홀(115)의 입구측(116)으로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유닛(120, 121)은 침(10)에 접하면서 침(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 1 자세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유닛(120, 121)은 하방 회동하되 회동의 기준점인 일단부(120a)가 침(10)과 접하는 부분인 타단부(120b)보다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한 쌍의 고정유닛(120, 121) 각각은 회동 시 서로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10)가 환부 위에 올려진 상태에서 침(10) 및 침봉(11)이 침 수용홀(115)에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변형예에서는 침(10) 및 침봉(11)이 미리 침 수용홀(115)에 삽입되어 고정유닛(120, 121)에 의해 협지된 상태에서 케이스(110)가 환부 측으로 접근하는 방식으로 침(10)이 환부에 놓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이 경우에는 침 단자(100)는 미리 도 2의 과정을 거쳐 도 3의 상태로 준비될 수 있고, 시술자가 케이스(110)를 환부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침(10)을 놓은 후 도 4와 같이 침봉(11)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침(10)이 환부에 놓인 상태에서 케이스(110)가 환부 측으로 접근하면서 침(10)이 침 수용홀(115)에 삽입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침(10)의 상단이 한 쌍의 고정유닛(120, 121) 사이에 끼워지게 되며, 케이스(110)의 하강이 계속되면서 고정유닛(120, 121)은 침(10)의 중간부 내지는 하단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고정유닛(120, 121)은 침(10)과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슬라이딩 이동). 케이스(110)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함에 따라 고정유닛(120, 121)의 이동도 중단되고, 고정유닛(120, 121)은 그 위치에서 침(10)을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도 5는 전침 치료 모습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침 치료 장치에서, 침 단자(100, 200)는 적어도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각 침 단자(100, 200)에 수용된 침(10, 20)이 환부(1)에 삽입되고 고정유닛(120, 220)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도체인 고정유닛(120, 220)에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침 치료 장치는 전원(500), 그리고 전원(500)과 고정유닛(120, 220) 사이에 개재되는 전선(300, 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예를 들어, 도 5 기준 좌측의 전선(300)은 전원(500)의 양극에 연결될 수 있고 우측의 전선(400)은 전원(500)의 음극에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침 치료와 전침 치료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고, 치료 간에 침(10)의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침 단자(100, 200)에 제공된 RF뜸부(140, 240)에 의하여 뜸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침 치료, 전침 치료 및 뜸 치료가 동시에 이루어져 치료의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 치료 장치의 침 단자(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1에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차이가 나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케이스(210), RF뜸부(240) 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한 쌍의 고정유닛(220, 221)은 회동 방식이 아닌 직선 운동 방식으로 침(10)을 협지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한 쌍의 고정유닛(220, 2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면접촉을 할 수 있고, 각 고정유닛(220, 221)은 탄성체(230)에 의해 케이스(210)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체(230)는 도면 기준 좌우방향으로 압축 내지는 신장될 수 있고, 좌우방향의 탄성력(복원력)을 고정유닛(220, 221)에 제공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를 도 7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각 고정유닛(220, 221)은 수직 방향으로 평평한 평탄부(220a)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평탄부(220a)의 양단부에 제공되는 곡률부(22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탄부(220a)에 의해 양 고정유닛(220, 221)이 서로 면접촉할 수 있고, 침(10)은 평탄부(220a)에 의해 협지될 수 있다. 또한, 평탄부(220a) 간의 면접촉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곡률부(220b)에 의해 고정유닛(220, 221)의 상부 및 하부에는 홈(225)이 형성될 수 있다. 침(10)은 상기 홈(225)을 통해 용이하게 고정유닛(220, 221) 사이로 진입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침 치료 장치를 이용하여 치료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침(10)이 환부에 놓인 상태에서 침 단자(200)가 환부 측으로 이동(도면 기준 하강)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침(10)은 침 수용홀(215)에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침 단자(200)의 지속적인 이동에 의해 침(10)의 상단은 한 쌍의 고정유닛(220, 221) 사이로 진입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침(10)이 한 쌍의 고정유닛(220, 221) 사이에 끼워짐에 의하여 고정유닛(220, 221)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탄성체(230)도 초기상태 대비 압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탄성체(230)가 침(10) 방향(도 8의 화살표의 반대방향)으로의 복원력을 고정유닛(220, 221)에 제공함으로써, 침(10)은 고정유닛(220, 22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는 침(10)이 환부에 놓인 상태에서 케이스(210) 등 침 단자(200)가 환부 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변형예에서는 침 단자(200)가 환부에 놓인 상태에서 침(10)이 침 단자(200)의 상부로 삽입되면서 환부에 놓일 수도 있다. 또 다른 변형예에서는, 침(10)이 고정유닛(220, 221) 사이에 고정된 상태에서 침 단자(200)가 환부 측으로 이동하면서 침(10)이 환부에 놓일 수도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침봉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앞서 설명한 실시예처럼 본 실시예에서도 침봉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disclosure)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함께 설명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은 서로 분산되어 실시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실시예 각각에서 설명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은 서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청구항에 기재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도 서로 분산되어 실시되거나 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개시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침 단자 110: 케이스
120: 고정유닛 130: 탄성체
140: RF뜸부

Claims (11)

  1. 환부에 적용되는 침 단자를 포함하는 침 치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 단자는,
    침 수용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기둥 형태의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침 수용홀에 수용된 침과 접하여 상기 침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 1 자세 또는 상기 침과 이격되는 제 2 자세를 선택적으로 갖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침 치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초기상태에서 상기 제 1 자세를 갖고, 외력에 의해 상기 제 2 자세를 가지며,
    상기 침 단자는, 상기 고정유닛이 상기 제 2 자세를 가질 때 상기 고정유닛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침 치료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일단부;
    자유단으로서 상기 침에 선택적으로 접하는 타단부; 및
    상기 일단부 및 상기 타단부 사이의 중간부를 포함하는 침 치료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단부는 상기 타단부보다 상기 침 수용홀의 입구측으로 치우치고,
    상기 중간부는 상기 일단부에서 상기 타단부로 갈수록 상기 침 수용홀의 입구측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침 치료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이 상기 제 1 자세를 가진 상태에서 상기 침이 상기 침보다 큰 직경의 관형 침봉에 수용된 채로 상기 침 수용홀에 삽입되면, 상기 침봉은 상기 타단부에 상기 환부 방향의 외력을 가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일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환부 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 2 자세를 갖는 침 치료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침의 일단부가 상기 환부에 삽입된 후 상기 침봉이 상기 침 수용홀의 입구측으로 제거되면,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탄성체가 제공하는 상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일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침 수용홀의 입구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 1 자세를 가지면서 상기 침에 접하는 침 치료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도체이고,
    전원; 및
    상기 고정유닛과 상기 전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유닛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선을 더 포함하는 침 치료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침 단자는 적어도 한 쌍으로 제공되고,
    상기 한 쌍의 침 단자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전원의 양극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전원의 음극에 연결되는 침 치료 장치.
  9. 침 치료 장치에 있어서,
    환부에 적용되는 침 단자; 및
    상기 침 단자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침 단자는,
    침 수용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기둥 형태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침 수용홀에 수용된 침과 접하여 상기 침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자세 또는 상기 침과 이격되는 제2자세를 선택적으로 갖는 고정유닛;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환부 측 단부에 제공되고, 제 1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의 반대전극인 제 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환부에 고주파발진을 가하는 RF뜸부를 포함하는 침 치료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링 형태이고,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제 1 전극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 상기 제 1 전극의 중공부에 제공되는 침 치료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침 수용홀에 수용된 침에 접하는 도체; 및
    상기 도체와 상기 전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도체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선을 더 포함하는 침 치료 장치.
KR1020170046123A 2017-04-10 2017-04-10 침 치료 장치 KR101885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123A KR101885469B1 (ko) 2017-04-10 2017-04-10 침 치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123A KR101885469B1 (ko) 2017-04-10 2017-04-10 침 치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469B1 true KR101885469B1 (ko) 2018-08-03

Family

ID=63250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123A KR101885469B1 (ko) 2017-04-10 2017-04-10 침 치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4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912B1 (ko) * 2010-11-29 2011-09-27 심양수 고주파를 이용한 화뜸 장치
KR101337334B1 (ko) * 2011-11-22 2013-12-06 한국 한의학 연구원 전침용 침 지지장치
KR101405060B1 (ko) 2012-12-28 2014-06-10 김현철 전침
KR101447530B1 (ko) * 2013-02-14 2014-10-0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침 구멍이 구비된 침뜸기용 전기뜸 단자
KR101551551B1 (ko) * 2013-12-26 2015-09-08 한국 한의학 연구원 3축 침 발진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912B1 (ko) * 2010-11-29 2011-09-27 심양수 고주파를 이용한 화뜸 장치
KR101337334B1 (ko) * 2011-11-22 2013-12-06 한국 한의학 연구원 전침용 침 지지장치
KR101405060B1 (ko) 2012-12-28 2014-06-10 김현철 전침
KR101447530B1 (ko) * 2013-02-14 2014-10-0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침 구멍이 구비된 침뜸기용 전기뜸 단자
KR101551551B1 (ko) * 2013-12-26 2015-09-08 한국 한의학 연구원 3축 침 발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061B1 (ko) 미용 의료 장치
KR101435886B1 (ko) 멀티니들장치
KR101400981B1 (ko) 고주파 수술용 전극, 고주파 수술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EP2892610B1 (en) Radio -frequency system for skin treatment including a roller with an electrode
US5908420A (en) Surgical scissors with bipolar distal electrodes
US2007028807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kin tightening and corrective forming
EP1095627A1 (en) Electrosurgical probe for surface treatment
CN106999235B (zh) 射频皮肤处理
US20130282000A1 (en) Non-electric field renal denervation electrode
KR101300122B1 (ko)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
KR102347530B1 (ko) 레이저 조사 장치
JP2005504560A5 (ko)
KR101290606B1 (ko) 피부 조직의 치료를 위한 자극 장치
JP2004508849A (ja) 組織に張力を付与する電気療法装置
KR101885469B1 (ko) 침 치료 장치
US20160324570A1 (en) Injection Coagulation Electrosurgical Device
KR20200101904A (ko) 미용 의료 장치
CN106236248B (zh) 一种射频消融设备、系统和方法
JP5132422B2 (ja) エネルギ検知装置
KR101300695B1 (ko) 고주파 치료기용 밴드타입 전극 유닛
KR101965766B1 (ko) 의료용 전기소작기
US20160135880A1 (en) Electrosurgical electrode
KR101066912B1 (ko) 고주파를 이용한 화뜸 장치
KR102507312B1 (ko) 고주파 전기 치료기
JP3117911U (ja) 低周波導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