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110B1 -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 및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방법 - Google Patents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 및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110B1
KR101551110B1 KR1020140096281A KR20140096281A KR101551110B1 KR 101551110 B1 KR101551110 B1 KR 101551110B1 KR 1020140096281 A KR1020140096281 A KR 1020140096281A KR 20140096281 A KR20140096281 A KR 20140096281A KR 101551110 B1 KR101551110 B1 KR 101551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change
medical record
no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인
류세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to KR1020140096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1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 및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은, 환자의무기록에 대한 변경 명령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변경 명령이 감지된 환자의무기록으로부터, 변경 정보를 식별하는 식별부와, 상기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 레벨을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확인된 변경 레벨에 따라 결정되는 통지 대상에,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하는 통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 및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CHANGE OF MEDICAL RECORD ABOUT PATIENT}
본 발명은 환자의무기록에 대해 변경 명령이 감지 됨에 따라, 변경 정보를 식별하여 변경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변경 레벨에 따라 통지 대상을 상이하게 결정하여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 함으로써, 환자의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의료 행위의 위험도에 따라, 환자, 보호자 또는 환자와 관련 있는 통지 대상이, 의료 행위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 및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에 관해, 상기 통지 대상으로부터 동의 응답이 수신될 경우, 전자의무기록 시스템(EMR: Elotronic Medical Record)에 기록된 환자의무기록이 상기 변경 명령에 따라 변경되어 재기록되도록 함으로써, 의료진이 통지 대상으로부터 동의를 얻기 위해, 환자에게 수행된 의료 행위에 관해 충분히 설명하도록 유도할 수 있어, 환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더불어 의료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 및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다음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0912호(2014.03.12), "의무기록서식 작성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2)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75482호(2002.10.05),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의무-건강기록 및 예방 알림을 제공하여주는 써비스".
3)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0792호(2008.10.09),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 및 그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해 의사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환자의 임상진료에 관한 모든 정보를 처리하여 환자에 관한 의무기록 데이터를 생성 및 보관하는 의료정보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은 환자의 의무기록을 찾아 진료실에 전달하고 다시 처방전을 받아 조제하는 일련의 과정을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해 처리하므로, 종래의 종이 차트를 이용하는 방식에 비해 환자의 대기시간을 큰 폭으로 줄여 환자의 병원 이용 시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의료진이 설명해주지 않는 이상, 환자가 실시간으로 자신에게 행해지는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의료 행위를 파악할 방법이 없었다. 또한, 의료진은 환자의 동의 없이도 환자의 의무기록을 손쉽게 수정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의도와 다른 처방, 처치에 의해 환자의 건강을 위협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처방, 진료, 수술 등 환자 관련한 의료 행위에 따라 환자의 의무기록이 의료진에 의해 수정될 경우,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의무기록의 변경을 실시간으로 통지하여, 환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료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환자의무기록에 대해 변경 명령이 감지 됨에 따라, 변경 정보를 식별하여 변경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변경 레벨에 따라 통지 대상을 상이하게 결정하여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 함으로써, 환자의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의료 행위의 위험도에 따라, 환자, 보호자 또는 환자와 관련 있는 통지 대상이, 의료 행위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에 관해, 상기 통지 대상으로부터 동의 응답이 수신될 경우,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기록된 환자의무기록이 상기 변경 명령에 따라 변경되어 재기록되도록 함으로써, 의료진이 통지 대상으로부터 동의를 얻기 위해, 환자에게 수행된 의료 행위에 관해 충분히 설명하도록 유도할 수 있어, 환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더불어 의료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은, 환자의무기록에 대한 변경 명령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변경 명령이 감지된 환자의무기록으로부터, 변경 정보를 식별하는 식별부와, 상기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 레벨을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확인된 변경 레벨에 따라 결정되는 통지 대상에,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하는 통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방법은, 환자의무기록에 대한 변경 명령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 명령이 감지된 환자의무기록으로부터, 변경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 레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변경 레벨에 따라 결정되는 통지 대상에,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의료 행위의 위험도에 따라, 환자, 보호자 또는 환자와 관련 있는 통지 대상이, 의료 행위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진이 통지 대상으로부터 동의를 얻기 위해, 환자에게 수행된 의료 행위에 관해 충분히 설명하도록 유도할 수 있어, 환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더불어 의료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무기록으로부터 임부 금기 약품의 처방에 관한 변경 정보가 식별되는 경우, 변경 레벨을 고위험으로 확인하여, 환자 및 보호자에게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 함으로써, 임산부 또는 임신 가능성이 있는 환자가 상기 처방을 즉시 인지하여, 의료진으로부터 추가 설명을 들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상태가 급격히 나빠져 수술이 이루어질 경우, 환자의무기록으로부터 상기 변경 정보로서 '긴급 수술'을 식별하여 변경 레벨을 고위험으로 확인하면, 보호자에게 자동으로 긴급 수술을 통지 함으로써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무기록으로부터 식별되는 '수술 상황', '응급 상황' 등의 환자의 현재 상태와 연관된 변경 정보에 대해 변경 레벨을 고위험으로 확인하여, 보호자에게 실시간으로 환자의 현재 상태와 연관된 변경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과,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및 통지 대상 단말 간의 전체적인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변경 명령이 감지된 환자의무기록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변경 정보에 따른 변경 레벨과, 통지 대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용프로그램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과,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및 통지 대상 단말 간의 전체적인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100)은 전자의무기록 시스템(EMR, 110)에 기록되어 있는 환자의무기록에 대한 저장(추가), 수정 또는 삭제 등과 같은 변경 명령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경 명령은 환자에 대해 문진, 진료, 처방, 처치, 수술 등의 다양한 의료 행위를 수행하는 의사 또는 간호사와 같은 의료인의 단말(이하에서는, '의사 단말'로 통칭함)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110)은 환자의무기록을 생성하여 기록하는 시스템으로서, 의사 단말에 의해 환자의무기록이 저장(추가), 수정 또는 삭제 요청된 후, 공인인증서 등으로 인증될 경우, 본 발명의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100)은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으로부터 국제 표준 서식(CDA) 형태로 전달되는 환자의무기록에 대해 상기 변경 명령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100)은 변경 명령이 감지된 환자의무기록으로부터 변경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 레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100)은 상기 식별한 변경 정보가 환자의 건강 상태에 미치는 위험도를, 예컨대, 병명, 현재 상태 등이 유사한 과거 다른 환자의 환자의무기록을 참조하여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변경 정보에 대한 변경 레벨을 예를 들어, 고위험, 중위험, 저위험 중 어느 하나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100)은 환자의무기록 내 진료 정보로부터 병명 '당뇨' 추가 및 약품 투여량 '5mg' 증가와 같은 변경 정보를 식별한 경우, 상기 변경 정보의 환자의 건강 상태에 미치는 위험도에 따라, 변경 레벨을 '고위험'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100)은 확인된 변경 레벨에 따라 결정되는 통지 대상(120)에,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100)은 변경 레벨이 고위험으로 확인되는 경우, 환자 단말 및 보호자 단말을 통지 대상(120)으로 결정하여,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할 수 있다.
여기서, 통지 대상(120)은 환자, 환자의 보호자, 또는 사전에 입력된 환자의 지인 등일 수 있다. 일례로,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100)은 전화, 메시지, 이메일,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및 메신저 중 적어도 하나의 통지 수단을 이용하여, 통지 대상(120)으로 결정된 단말로, 상기 변경 정보를 전송 함으로써,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할 수 있다.
이때,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100)은 통지 대상(120) 각각으로 설정된 통지 수단을 통해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100)은 통지 대상(120)이 환자일 경우, SMS 메시지를 통해, 체중 증가에 관한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100)은 통지 대상(120)이 동일한 경우에도, 상기 변경 레벨에 따라 상이한 통지 수단을 통해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100)은 통지 대상(120)인 환자에게 변경 레벨이 고위험으로 확인되는, 병명 '당뇨' 추가 및 약품 투여량 '5mg' 증가에 관한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전화를 통해 통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의료 행위의 위험도에 따라, 환자, 보호자 또는 환자와 관련 있는 통지 대상(120)이, 의료 행위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100)은 상기 통지 대상(120)으로부터 동의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동의 응답을 전자의무기록 시스템(110)으로 전달하여, 전자의무기록 시스템(110) 상에 상기 변경된 환자의무기록이 기록되도록 함으로써, 의료진이 통지 대상(120)으로부터 동의를 얻기 위해, 환자에게 수행된 의료 행위에 관해 충분히 설명하도록 유도할 수 있어, 환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더불어 의료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200)은 감지부(210), 식별부(220), 확인부(230) 및 통지부(2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200)은 데이터베이스(250) 및 응답부(260)를 각각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감지부(210)는 환자의무기록에 대한 변경 명령을 감지한다.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은 의사 또는 간호사와 같은 의료인에 의해 수행되는 환자에 대한 문진, 진료, 처방, 처치, 수술 등의 다양한 의료 행위를 기록한 환자의무기록을 생성 및 보관할 수 있다.
상기 환자의무기록에는 환자의 이름, 성별, 주민등록번호, 나이, 키, 체중, 임신 여부 등에 관한 환자 정보와, 병명, 처방 약품(약품 코드 및 약품 투여량 포함), 처치 기록, 수술 기록, 알레르기 및 부작용 등에 관한 진료 정보, 및 수납 금액, 수납 기한, 수납처 등에 관한 수납 정보 등이 기재될 수 있다.
감지부(210)는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 상에서, 환자의무기록에 대해 발생한, 저장, 수정 및 삭제 중 어느 하나가 선정된 의사 단말(즉, 상기 의료인의 단말)에 의해 인증 됨에 연동하여, 상기 변경 명령을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감지부(210)는 의사 단말에 의해 환자의무기록이 저장(추가), 수정 또는 삭제 요청된 후 공인인증서 등으로 인증 됨에 따라, 상기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으로부터 국제 표준 서식(CDA) 형태로 전달되는 환자의무기록에 대해, 상기 변경 명령을 감지할 수 있다.
식별부(220)는 상기 변경 명령이 감지된 환자의무기록으로부터, 변경 정보를 식별한다.
실시예에 따라,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200)은 데이터베이스(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50)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으로부터 일정 주기로 환자의무기록을 수신하여 기록한다.
식별부(220)는 상기 변경 명령이 감지된 환자의무기록을, 상기 데이터베이스(250)에 기록된 환자의무기록과 비교하여, 상기 변경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별부(220)는 상기 비교 결과, 병명, 약품 투여량의 증가, 처치 기록 및 수술 기록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변경 정보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식별부(220)는 상기 비교 결과, 알레르기나 부작용에 관한 정보, 또는 비만 환자 또는 고혈압 환자의 체중 증가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변경 정보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식별부(220)는 상기 비교 결과, 약품 투여량의 감소, 수납 정보, 및 환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변경 정보로 식별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250)는 상기 식별한 변경 정보를, 상기 환자의무기록과 연관시켜 더 기록할 수 있다.
확인부(230)는 상기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 레벨을 확인한다.
즉, 확인부(230)는 상기 변경 정보가 환자의 건강 상태에 미치는 위험도를, 예컨대, 병명, 현재 상태 등이 유사한 과거 다른 환자의 환자의무기록을 참조하여 판단하고, 상기 위험도에 따라, 상기 변경 정보에 대한 변경 레벨을 예를 들어, 고위험, 중위험, 저위험 중 어느 하나로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확인부(230)는 상기 변경 정보가, 병명, 약품 투여량의 증가, 처치 기록 및 수술 기록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정보를 포함하여 식별되는 경우, 변경 레벨을 고위험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부(230)는 병명 '당뇨' 추가, 약품 투여량 '5mg' 증가와 같은 변경 정보를 식별한 경우, 환자 정보 또는 수납 정보에 비해 환자의 건강 상태에 상대적으로 큰 위험 요소가 될 수 있으므로, 변경 레벨을 '고위험'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확인부(230)는 상기 변경 정보가, 알레르기 또는 부작용과 연관되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비만 환자 또는 고혈압 환자의 체중 증가와 연관되는 정보를 포함하여 식별되는 경우, 상기 변경 레벨을 중위험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부(230)는 체중 '2kg' 증가와 같은 변경 정보를 식별한 경우, 비만 환자 또는 고혈압 환자에게 있어 약간의 체중 증가라도 건강 상태에 위험 요소가 될 수 있으므로, 변경 레벨을 중위험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확인부(230)는 알레르기 약품 코드 '65457111'와 같은 변경 정보가 식별되는 경우, 알레르기 약품에 대해 환자 또는 보호자가 이미 인지하고 있으면, 건강 상태에 영향을 주는 중요 요소라 하더라도, 변경 레벨을 저위험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후술하는 통지부(240)는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에 대한 통지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확인부(230)는 상기 변경 정보가, 약품 투여량의 감소, 수납 정보, 및 환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정보를 포함하여 식별되는 경우, 상기 변경 레벨을 저위험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확인부(230)는 동일한 약품에 대한 약품 투여량이 증가하는지 또는 감소하는지에 따라서도 변경 레벨을 상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부(230)는 상기 변경 정보로서 식별한 약품 투여량의 증가를, 환자의 건강 상태에 위험 요소로 판단하여, 변경 레벨을 중위험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확인부(230)는 상기 변경 정보로서 식별한 약품 투여량의 감소를, 환자의 건강 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변경 레벨을 저위험으로 확인할 수 있다.
통지부(240)는 상기 확인된 변경 레벨에 따라 결정되는 통지 대상에,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한다. 여기서, 통지 대상은 환자, 환자의 보호자, 또는 사전에 입력된 환자의 지인 등일 수 있다.
일례로, 통지부(240)는 상기 변경 정보가, 병명, 약품 투여량의 증가, 처치 기록 및 수술 기록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변경 레벨이 고위험으로 확인되는 경우, 환자 단말 및 보호자 단말을 모두 상기 통지 대상으로 결정하여,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통지부(240)는 상기 변경 정보가, 알레르기 또는 부작용과 연관되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비만 환자 또는 고혈압 환자의 체중 증가와 연관되는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변경 레벨이 중위험으로 확인되는 경우, 환자 단말을 상기 통지 대상으로 결정하여,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할 수 있다.
이때, 통지부(240)는 상기 통지 대상으로 결정된 환자 단말이 미성년자의 단말이거나, 또는 정상적인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상태이면, 상기 환자 단말 대신에, 보호자 단말을 상기 통지 대상으로 재결정하여,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통지부(240)는 상기 변경 정보가, 약품 투여량의 감소, 수납 정보, 및 환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변경 레벨이 저위험으로 확인되는 경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에 대한 통지를 생략할 수 있다. 이때, 통지부(240)는 추후에 환자 또는 보호자가 상기 변경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상에서 저위험으로 확인된 변경 정보가, 환자의무기록 내 특이사항에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통지부(240)는 상기 변경 정보가 수납 금액을 포함하여, 변경 레벨이 저위험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보호자 단말을 상기 통지 대상으로 결정하고, 보호자 단말에 설정된 이메일(예를 들어, 'happyday@email.com')을 통해 상기 변경 정보(즉, 수납 금액)을 전송하여,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할 수도 있다.
또한, 통지부(240)는 환자의무기록으로부터 임부 금기 약품의 처방에 관한 변경 정보가 식별되는 경우, 변경 레벨을 고위험으로 확인하여, 환자 및 보호자에게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 함으로써, 임산부 또는 임신 가능성이 있는 환자가 상기 처방을 즉시 인지하여, 의료진으로부터 추가 설명을 들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지부(240)는 환자의 상태가 급격히 나빠져 수술이 이루어질 경우, 환자의무기록으로부터 상기 변경 정보로서 '긴급 수술'을 식별하여 변경 레벨을 고위험으로 확인하면, 보호자에게 자동으로 긴급 수술을 통지 함으로써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지부(240)는 환자의무기록으로부터 식별되는 '수술 상황', '응급 상황' 등의 환자의 현재 상태와 연관된 변경 정보에 대해 변경 레벨을 고위험으로 확인하여, 보호자에게 실시간으로 환자의 현재 상태와 연관된 변경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50)는 상기 식별한 변경 정보를 더 기록할 수 있으며, 통지부(240)는 데이터베이스(250)에 기록된 변경 정보를, 통지 대상으로 결정된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통지부(240)는 전화, 메시지, 이메일, SNS 및 메신저 중 적어도 하나의 통지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통지 대상으로 결정된 단말로 상기 변경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할 수 있다.
이때, 통지부(240)는 통지 대상 각각으로 설정된 통지 수단을 통해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지부(240)는 통지 대상이 환자일 경우, SMS 메시지를 통해, 체중 증가에 관한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통지부(240)는 통지 대상이 동일한 경우에도, 상기 변경 레벨에 따라 상이한 통지 수단을 통해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지부(240)는 통지 대상이 환자이면서, 변경 레벨이 고위험으로 확인되는 경우, 전화를 통해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할 수 있다. 즉, 통지부(240)는 긴급한 정도에 따라 이메일, 문자, 전화 등의 상이한 통지 수단으로 통지 대상에게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의료 행위의 위험도에 따라, 환자, 보호자 또는 환자와 관련 있는 통지 대상이, 의료 행위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200)은 응답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응답부(260)는 상기 통지 대상으로부터 동의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동의 응답을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으로 전달하여, 상기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상에서 상기 변경된 환자의무기록이 기록되도록 한다.
일례로, 통지부(240)는 환자의무기록으로부터 식별한 변경 정보에 대해, 통지 대상으로부터 동의 응답이 요구되는 경우, 통지 대상에게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 시, 동의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지 대상은 변경이 통지된 상기 환자의무기록에서의 변경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동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동의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응답부(260)는 상기 동의 응답의 수신에 따라, 상기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상에서 상기 변경된 환자의무기록이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환자는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에 대한 실시간 통지를 통해 자신에게 행해지는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의료 행위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동의를 할 수 있으며, 의료진은 환자의 동의 없이 환자의무기록을 마음대로 수정할 수 없게 되어, 환자에게 보다 정확하고 신중한 의료 행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진이 통지 대상으로부터 동의를 얻기 위해, 환자에게 수행된 의료 행위에 관해 충분히 설명하도록 유도하여, 환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더불어 의료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환자의무기록으로부터 변경 명령의 감지에 연동하여, 변경 레벨에 따라,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변경 명령이 감지된 환자의무기록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은 변경 명령이 감지된 환자의무기록(300)를,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으로부터 일정 주기로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 환자의무기록과 비교하여, 환자의무기록(300)에 새롭게 추가되거나, 수정되거나, 삭제된 변경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은 상기 변경 정보로서, 키 153cm 추가, 체중 2kg 증가, 병명 '당뇨' 추가, 약품코드 '67860003' 추가, 약품 코드 '67860001' 및 '67860002'에 대한 약품 투여량 5mg씩 증가, 알레르기 약품 코드 '65457111' 추가 및 이번 달 수납 금액 '123,456원' 결정을 식별할 수 있다.
도 4는 변경 정보에 따른 변경 레벨과, 통지 대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은 도 3과 같이 식별한 변경 정보가 각각 환자의 건강 상태에 미치는 위험도를, 예컨대, 병명, 현재 상태 등이 유사한 과거 다른 환자의 환자의무기록을 참조하여 판단하고, 상기 위험도에 따라, 상기 변경 정보에 대한 변경 레벨을, 표(400)와 같이 고위험, 중위험, 저위험 중 어느 하나로 확인할 수 있다.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은 병명 '당뇨' 추가 또는 약품 투여량 '5mg' 증가와 같은 변경 정보를 식별한 경우, 환자의 건강 상태에 상대적으로 큰 위험 요소가 될 수 있어, 변경 레벨을 '고위험'으로 확인하고, 통지 대상을 환자 단말 및 보호자 단말로 결정하여, 각 통지 대상에 설정된 통지 수단 '전화'를 이용해,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즉시 통지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은 체중 '2kg' 증가와 같은 변경 정보를 식별한 경우, 비만 환자 또는 고혈압 환자에게 있어 약간의 체중 증가라도 건강 상태에 위험 요소가 될 수 있어, 변경 레벨을 중위험으로 확인하고, 통지 대상을 환자 단말로 결정하여, 설정된 통지 수단 'SMS 메시지'를 이용해,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즉시 통지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은 약품 투여량 '5mg' 감소 또는 환자 키 '153cm' 추가와 같은 변경 정보를 식별한 경우, 위험도가 낮다고 판단하여 변경 레벨을 저위험으로 확인하고,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에 대한 통지를 생략하는 대신에, 추후에 환자 또는 보호자가 상기 변경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상에서 상기 변경 정보가 환자의무기록 내 특이사항에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은 상기 변경 정보가 수납 금액 '123,456원'을 포함하여, 변경 레벨이 저위험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보호자 단말을 통지 대상으로 결정하고, 보호자 단말에 설정된 이메일(happyday@email.com)을 통해 수납 금액을 전송하여,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할 수도 있다.
이하,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200)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방법은 상술한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510)에서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200)은 환자의무기록에 대한 변경 명령을 감지한다.
본 발명에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은 환자의무기록을 생성하여 기록하는 시스템으로서, 의사 단말에 의해 환자의무기록이 저장(추가), 수정 또는 삭제 요청된 후, 공인인증서 등으로 인증될 경우,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200)은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으로부터 국제 표준 서식(CDA) 형태로 전달되는 환자의무기록에 대해 상기 변경 명령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520)에서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200)은 상기 변경 명령이 감지된 환자의무기록으로부터, 변경 정보를 식별한다.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200)은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으로부터 일정 주기로 환자의무기록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상기 변경 명령이 감지된 환자의무기록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환자의무기록과 비교하여, 상기 변경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200)은 상기 비교 결과, 병명, 약품 투여량의 증감, 처치 기록, 수술 기록, 알레르기나 부작용 등의 진료 정보와, 체중의 증감 등의 환자 정보 또는 수납 정보 등을 상기 변경 정보로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한 변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환자의무기록과 연관시켜 더 기록할 수 있다.
단계(530)에서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200)은 상기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 레벨을 확인한다.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200)은 상기 식별한 변경 정보가 환자의 건강 상태에 미치는 위험도를, 예컨대, 병명, 현재 상태 등이 유사한 과거 다른 환자의 환자의무기록을 참조하여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변경 정보에 대한 변경 레벨을 예를 들어, 고위험, 중위험, 저위험 중 어느 하나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200)은 환자의무기록 내 진료 정보로부터 병명 '당뇨' 추가 및 약품 투여량 '5mg' 증가와 같은 변경 정보를 식별한 경우, 상기 변경 정보의 환자의 건강 상태에 미치는 위험도에 따라, 변경 레벨을 '고위험'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단계(540)에서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200)은 상기 확인된 변경 레벨에 따라 결정되는 통지 대상에,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한다.
일례로,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200)은 전화, 메시지, 이메일, SNS 및 메신저 중 적어도 하나의 통지 수단을 이용하여, 통지 대상으로 결정된 단말로, 상기 변경 정보를 전송 함으로써,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200)은 변경 레벨이 고위험으로 확인되는 경우, 환자 단말 및 보호자 단말을 통지 대상으로 결정하여,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할 수 있다. 여기서, 통지 대상은 환자, 환자의 보호자, 또는 사전에 입력된 환자의 지인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00: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
210: 감지부 220: 식별부
230: 확인부 240: 통지부
250: 데이터베이스 260: 응답부

Claims (16)

  1. 변경 명령이 감지된 환자의무기록으로부터, 변경 정보를 식별하는 식별부; 및
    상기 변경 정보를 통해, 환자의 건강 상태에 미치는 위험도를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에 대한 통지를 생략하되, 상기 변경 정보에 수납과 관련되는 수납 정보가 포함되면, 적어도 하나의 통지 대상을 결정하여,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하는 통지부
    를 포함하는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 상에서, 상기 환자의무기록에 대해 발생한, 저장, 수정 및 삭제 중 어느 하나가 선정된 의사 단말에 의해 인증 됨에 연동하여, 변경 명령을 감지하는 감지부
    를 더 포함하는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으로부터 일정 주기로 환자의무기록을 수신하여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부는,
    상기 변경 명령이 감지된 환자의무기록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환자의무기록과 비교하여, 상기 변경 정보를 식별하는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식별한 변경 정보를 더 기록하고,
    상기 통지 대상으로 결정된 단말로부터 조회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통지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변경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건강 상태에 미치는 위험도를, 상기 변경 정보에 포함되는, 병명, 약품 투여량, 처치 기록 및 수술 기록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정보에 의해 판단하는 경우, 변경 레벨을 고위험으로 확인하는 확인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지부는,
    환자 단말 및 보호자 단말을 통지 대상으로 결정하여,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하는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건강 상태에 미치는 위험도를, 상기 변경 정보에 포함되는, 알레르기, 부작용, 비만 환자의 체중 증가, 및 고혈압 환자의 체중 증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정보에 의해 판단하는 경우, 변경 레벨을 중위험으로 확인하는 확인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지부는,
    환자 단말을 통지 대상으로 결정하여,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하는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대상으로 결정된 환자 단말이 미성년자의 단말이거나, 또는 정상적인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상태이면,
    상기 통지부는,
    상기 환자 단말 대신에, 보호자 단말을 상기 통지 대상으로 재결정하여,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하는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정보에 수납 정보 또는 환자 정보가 포함되어, 상기 변경 정보를 통해, 환자의 건강 상태에 미치는 위험도를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 변경 레벨을 저위험으로 확인하는 확인부
    를 더 포함하는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전화, 메시지, 이메일 및 SMS 메신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통지 대상으로 결정된 단말로 상기 변경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하는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
  10.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대상으로부터 동의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은,
    상기 동의 응답을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으로 전달하여, 상기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상에 상기 변경된 환자의무기록이 기록되도록 하는 응답부
    를 더 포함하는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
  11.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에서, 변경 명령이 감지된 환자의무기록으로부터, 변경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 정보를 통해, 환자의 건강 상태에 미치는 위험도를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에서,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에 대한 통지를 생략하되, 상기 변경 정보에 수납과 관련되는 수납 정보가 포함되면, 적어도 하나의 통지 대상을 결정하여,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건강 상태에 미치는 위험도를, 상기 변경 정보에 포함되는, 병명, 약품 투여량, 처치 기록 및 수술 기록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정보에 의해 판단하는 경우,
    상기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에서, 변경 레벨을 고위험으로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에서, 환자 단말 및 보호자 단말을 상기 통지 대상으로 결정하여,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건강 상태에 미치는 위험도를, 상기 변경 정보에 포함되는, 알레르기, 부작용, 비만 환자의 체중 증가, 및 고혈압 환자의 체중 증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정보에 의해 판단하는 경우,
    상기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에서, 변경 레벨을 중위험으로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에서, 환자 단말을 상기 통지 대상으로 결정하여,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대상으로 결정된 환자 단말이 미성년자의 단말이거나, 또는 정상적인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상태이면,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 단말 대신에, 보호자 단말을 상기 통지 대상으로 재결정하여, 상기 환자의무기록의 변경을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정보에 수납 정보 또는 환자 정보가 포함되어, 상기 변경 정보를 통해, 환자의 건강 상태에 미치는 위험도를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에서, 변경 레벨을 저위험으로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방법.
  16.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대상으로부터 동의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에서, 상기 동의 응답을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으로 전달하여, 상기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상에서 상기 변경된 환자의무기록이 기록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방법.
KR1020140096281A 2014-07-29 2014-07-29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 및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방법 KR101551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281A KR101551110B1 (ko) 2014-07-29 2014-07-29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 및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281A KR101551110B1 (ko) 2014-07-29 2014-07-29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 및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1110B1 true KR101551110B1 (ko) 2015-09-07

Family

ID=54247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281A KR101551110B1 (ko) 2014-07-29 2014-07-29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 및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1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870B1 (ko) 2022-03-14 2022-11-01 솔닥 주식회사 비대면 진료를 이용한 환자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0454A (ja) * 2004-11-18 2005-04-14 Mitsui Sumitomo Insurance Co Ltd 健康情報管理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0454A (ja) * 2004-11-18 2005-04-14 Mitsui Sumitomo Insurance Co Ltd 健康情報管理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870B1 (ko) 2022-03-14 2022-11-01 솔닥 주식회사 비대면 진료를 이용한 환자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30134410A (ko) 2022-03-14 2023-09-21 솔닥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비대면 진료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7397B2 (en) Records access and management
KR102144532B1 (ko) 블록체인 기반의 cPHR 서비스 운용 방법
JP2019067451A (ja) 透過的医療を提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2001683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rug interaction alerts
JP5731440B2 (ja) 患者呼出表示システム、患者呼出/案内方法、患者呼出/案内装置、プログラム
Wade et al. Aiming for elimination: outcomes of a consultation pathway supporting regional general practitioners to prescribe direct‐acting antiviral therapy for hepatitis C
US10622104B2 (e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facial recognition with online (social) network to access casualty health informa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Singh et al. Navigating the impact of COVID‐19 on palliative care for head and neck cancer
JP2003162578A (ja) 緊急医療情報提供方法および緊急医療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30098639A (ko) 의료 센서의 핸드오버에 따른 의료 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60180048A1 (en) Cloud-based medical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and system thereof
KR101551110B1 (ko)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시스템 및 환자의무기록 변경 통보 방법
JP7120811B2 (ja) プログラム及び処理端末
US20230215524A1 (en) Information system, information terminal, immunity certificate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200114239A (ko) 전자 처방전 전송 시스템
KR20200040705A (ko) 자기관리시스템
JP5583256B1 (ja) 救急医療システム、救急時対応装置、および救急医療情報提供装置
JP5112394B2 (ja) 医療情報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120253842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generating aggregated health care summaries
JP5730109B2 (ja) ホームヘルスケアシステム及び生体情報管理プログラム
Helmchen et al. Successful remediation of patient safety incidents: a tale of two medication errors
US20170323055A1 (en) Charting logic decision support in electronic patient charting
JP7424480B2 (ja) 医療情報制御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医療情報制御プログラム
US20230230189A1 (en) An integrated end to end system and method for accident and medical emergency response
KR20210056030A (ko)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