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331B1 - 화장품 이중 용기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화장품 이중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이중 용기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화장품 이중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331B1
KR101549331B1 KR1020140021087A KR20140021087A KR101549331B1 KR 101549331 B1 KR101549331 B1 KR 101549331B1 KR 1020140021087 A KR1020140021087 A KR 1020140021087A KR 20140021087 A KR20140021087 A KR 20140021087A KR 101549331 B1 KR101549331 B1 KR 101549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uter container
content
blowing
pre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자영
Original Assignee
김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자영 filed Critical 김자영
Priority to KR1020140021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33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외용기를 얻기 위해 브로잉하는 외용기 브로잉 단계(S10)와,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상기 외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기를 브로잉 사출하여 얻게 되는 내용기 브로잉단계(S20)와, 상기 외용기 및 내용기 브로잉 단계에 의해 얻게 되는 외용기내부에 내용기를 내합하여 제조되어지는 화장품용 이중 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 브로잉단계(S10)에서, 외용기(10)를 이루는 1차프리폼(11)을 얻기 위한 캐비티(30)에 외용기토출구(12)의 측면을 관통하는 핀(31)을 구비하여 외용기의 1차프리폼(11) 사출시 상기 외용기토출구(12) 측면을 관통하는 통기공(13)이 형성되는 1차프리폼(11)을 얻은 다음 브로잉 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하고,
상기 내용기 브로잉단계(S20)에서, 연질의 프리폼을 형성한 다음 브로잉하여 내용기(20) 상단측의 외측 테두리부(21)가 외용기(10) 상단측에 안착되는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내용기(20)의 형태를 이룬 상태에서 진공흡착한 후 상기 외용기(10) 내부로 내입하도록 하고,
상기 외용기(10)에 내용기(20)가 내합된 후, 외용기(10)와 내용기(20)를 결합하여서 되는 이중 용기를 제공하여,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블로우 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하여 얻도록 하되 화장품 용기를 내용기와 외용기로 구별하여 제조한 다음 블로잉하여 내용기가 외용기에 내합되며 결합되도록 하되, 튜브형태의 용기를 눌러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후 용기가 원상회복되어질 때 외부용기는 원상회복되고 내부용기는 내용물이 추출된 체적에 따라 수축되도록 하므로서, 내부용기내에 수용 저장되는 내용물을 완전하게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화장품 이중 용기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화장품 이중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품 이중 용기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화장품 이중 용기{DOUBLE BLOWING RECEPTACLE MANUFACTURE METHOD AND THAT'S GOODS}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화장품 용기를 내용기와 외용기로 구성하여 이중 브로우 방식으로 용기를 제조하되 내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을 용기에서 취출하여 사용할 때 내용기 내부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된 후 외용기와 내용기 사이의 공극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져 외용기는 원상태로 복귀 가능하도록 하되, 내용기는 내용물이 토출된 것과 같은 체적을 유지하며 원상 복귀 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내용기 내부 내용물의 완전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화장품 이중 용기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화장품 이중 용기에 관한 것이다.
각종 세제, 세정용품, 화장품 등과 같은 액상이나 겔상의 내용물을 저장하여 사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튜브형 용기나 합성수지등을 사출 또는 압출 성형하여 얻게 되는 용기 등에 저장하여 사용되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이러한 용기는 종래의 경우 주로 단일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통상적인 구조로, 용기의 토출구측에 결합 되는 마개의 펌프를 이용하여 펌핑 작동에 의해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용기의 사용 과정에서, 마개의 펌프측과 연결되는 흡입관이 용기 내부의 바닥 저부에 닿아 있는 상태에서 펌프의 펌핑 작동에 의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데, 흡입관과 용기 저부간 접촉을 하고 있더라도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전부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잔량의 내용물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폐기처분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상기와 같은 펌핑수단을 갖는 화장품 용기의 경우에도 내용기와 외용기를 응용하여, 내용기 내부의 화장품 내용물을 완전하게 사용하는 구성이 개시되고 있으나, 펌핑 수단을 갖지 않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경우에는 튜브형 용기를 누르며 짜내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내용물을 모두 사용하지 못하고 버리게 되는 경우와, 외부 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어 변질 되는 경우도 발생되고 있다.
특허문헌 1,2,3은 주로 펌핑 수단을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용물을 완전하게 사용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고, 특허문헌 4는 화장품용 이중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블로우 성형에 의해 외용기를 성형하는 단계, 사출성형에 의해 내용기를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내용기를 상기 외용기 내에 삽입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블로우 성형 단계는 원료수지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원료수지를 공급하는 단계를 통해 공급된 수지를 페리슨 노즐을 통해 다이헤드의 하부로 압출시켜 페리슨으로 성형하는 압출단계, 상기 페리슨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페리슨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불어 넣어 캐비티 모양으로 페리슨을 형성하는 브로잉단계 및 상기 페리슨이 캐비티 형태로 다 부풀어 오르면 상기 페리슨을 상온까지 냉각시킨 후에 상기 용기를 꺼낸 후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용기를 제작 완성하는 후처리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4에 의하면 블로우 성형에 의해 내용기와 외용기를 성형한 후 상호 결합하여 완성된 화장품 용기를 얻도록 하고 있는데, 내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에 대하여 완전하게 배출하여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 않아, 내용기 내용물이 일부 잔존하며 폐기처분되는 문제점은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5인 특허등록 제 10-1335812 호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1차 브로잉하여 외용기를 성형하는 1차 브로잉 단계와,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2차 프리폼을 형성하고, 상기 2차 프리폼을 가열하여 상기한 1차 브로잉 단계에 의해 기 성형된 외용기내에 삽입한 후 2차 성형하여 내용기를 형성하는 2차 브로잉 단계로 이루어져, 경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1차 브로잉하여 얻되 저면부측에 다수의 통공이 천공되는 외용기와, 상기 외용기 내부에 유입되는 것으로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얻게 되는 프리폼을 2차 브로잉하여 외용기 내측에 접하도록 한 후 내용물이 충진되어지는 내용기와, 상기 내용기의 토출구와 결합 되는 것으로, 흡입관이 연결되어 있는 마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용기 내용물을 배출할 때 내용기가 압착되어지므로 내용물의 완전한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이중 브로우 저장 용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 등록되어 개시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5는 펌핑수단을 구비하여서 되는 것으로서, 펌핑수단에 의해 내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이 모두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나, 펌핑수단이 없는 튜브형 용기에 적용하는 경우에, 튜브형 용기를 짜내는 작업이 동반하게 되는데 전술한 것과 같이 내용물을 짜낸 후 내용기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예상된다.
등록실용신안 제 338767 호 등록실용신안 제 394424 호 특허공개 제 2004-95862 호 특허등록 제 10-1258895 호 특허등록 제 10-1335812 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을 저장하며 사용되는 용기 특히, 마개와 결합 되며 펌핑 수단을 구비하지 않는 화장품 튜브형 저장 용기에서 내부 내용물을 완전히 토출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화장품 이중 용기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화장품 이중 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경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외용기를 얻기 위해 브로잉하는 외용기 브로잉 단계(S10)와,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상기 외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기를 브로잉 사출하여 얻게 되는 내용기 브로잉단계(S20)와, 상기 외용기 및 내용기 브로잉 단계에 의해 얻게 되는 외용기내부에 내용기를 내합하여 제조되어지는 화장품용 이중 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 브로잉단계(S10)에서, 외용기(10)를 이루는 1차프리폼(11)을 얻기 위한 캐비티(30)에 외용기토출구(12)의 측면을 관통하는 핀(31)을 구비하여 외용기의 1차프리폼(11) 사출시 상기 외용기토출구(12) 측면을 관통하는 통기공(13)이 형성되는 1차프리폼(11)을 얻은 다음 브로잉 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하고,
상기 내용기 브로잉단계(S20)에서, 연질의 프리폼을 형성한 다음 브로잉하여 내용기(20) 상단측의 외측 테두리부(21)가 외용기(10) 상단측에 안착되는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내용기(20)의 형태를 이룬 상태에서 진공흡착한 후 상기 외용기(10) 내부로 내입하도록 하고,
상기 외용기(10)에 내용기(20)가 내합된 후, 외용기(10)와 내용기(20)를 결합하여, 내용기에 내용물을 유입하며 완성된 화장품 이중 용기를 얻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이중 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에 의해 얻게 되는 화장품 이중 용기를 제공는 것으로, 외용기(10)와 내용기(20)로 이루어지고, 외용기(10)의 외용기토출구(12)와 나사결합되는 마개(50)로 이루어지는 화장품 이중 용기에 있어서,
상기 마개(50)와 나사 결합되는 외용기토출구(12) 외측면으로 적어도 두 곳 이상의 통기공(13)이 형성되는 외용기(10)와,
상단에 테두리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외용기(10) 상단을 커버하며 상기 외용기(10) 내부로 삽입되는 내용기(20)와,
상기 마개(50)와 외용기토출구(12)의 나사 결합에 의해 내용기(20)간 고정되며 전체적인 이중 용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이중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블로우 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하여 얻도록 하되 화장품 용기를 내용기와 외용기로 구별하여 제조한 다음 블로잉하여 내용기가 외용기에 내합되며 결합되도록 하되, 튜브형태의 용기를 눌러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후 용기가 원상회복되어질 때 외부용기는 원상회복되고 내부용기는 내용물이 추출된 체적에 따라 수축되도록 하므로서, 내부용기내에 수용 저장되는 내용물을 완전하게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외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과정 중 1차프리폼을 인젝션 블로우 방식에 의해 사출 성형하기 위한 개괄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도 1에 의해 형성된 1차프리폼을 이용하여 블로우 성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프리폼을 이용하여 박막 형태로 내용기를 형성한 상태의 내용기
도 4는 도 3에 의한 내용기를 진공상태로 한 후 외용기에 삽입하여 내용기를 확장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단면도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의해 각각 얻게 되는 외용기와 내용기 및,마개가 결합 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마개를 대체하여 푸싱수단이 구비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내용기 및 외용기에 의한 이중 용기를 이용하여 내용물이 토출된 후, 외용기만 복원되고 내용기는 그대로 내용물이 토출된 체적만큼 체적이 줄어드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도시한 개괄적 도면
도 9 내지 도 10은 도 7 내지 도 8과는 달리, 본 발명을 푸싱수단을 갖는 화장품 용기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외용기 브로잉 단계(S10)와, 내용기 브로잉 단계(S20)를 거치는 내용기와 외용기로 이루어지는 화장품용 이중 용기 제조방법에서, 상기한 외용기 브로잉 단계(S10)와 내용기 브로잉 단계(S20)를 일부 변형하여 펌핑 수단이 없는 튜브형 화장품용 이중 용기에 적용되는 화장품용 이중 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으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용기(100)는 외용기(110)와 내용기(120)로 구분되어 명명하며, 외용기(110)는 경질의 성질을 갖는 합성수지계열에 해당되는 수지를 이용하고, 내용기(120)는 연질의 성질을 갖는 합성수지계열에 해당되는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내용기(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질의 성질을 갖는 것으로 비닐 형태를 이루는 것과 같이 외부 또는 내부의 힘에 의해 쉽게 변형이 가능한 박막 형태를 갖도록 하는 성질을 갖도록 하여야 한다.
먼저, 외용기 브로잉 단계(S10)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1차프리폼(11)을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인젝션 블로우 방식으로 성형하게 되는데, 1차프리폼(11) 성형을 위한 캐비티(30)에 핀(31)을 형성하여 1차프리폼(11) 성형시 외용기토출구(12) 외주면을 관통하는 통기공(13)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캐비티(30)를 통해 외용기토출구(12)측에 통기공(13)이 형성된 상태로 1차프리폼(11)을 얻은 상태에서 블로워를 이용하여 1차프리폼(11)을 브로잉하며 외용기(10)를 얻을 수 있다.(도 2 참조)
상기 외용기(10)의 외용기토출구(12) 외주면으로는 숫나사가 형성되도록 하여 후술하는 마개(50)의 내측 암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외용기 브로잉 단계(S10)에 의해 얻게 되는 외용기(10) 내부로 취입되기 위한 내용기(20)를 얻기 위한, 내용기 브로잉단계(S20)를 거치게 되는데 내용기(20)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박막 형태로 제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박막 블로우 단층을 갖도록 다이렉트 블로잉 작업을 통하여 도 3 에서와 같은 박막 형태의 내용기(20)를 얻도록 하는데, 내용기(20) 상단측은 절곡되며 외용기(10)의 외용기토출구(12) 상단을 커버하기 위한 테두리부(21)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테두리부(21)는 외용기(10)에 내용기(20)가 내합되어질 때 외용기(10)의 외용기토출구(12) 상단을 커버한 뒤 내용기(20) 상단 내부측으로 강제 압입하며 끼워지도록 하였다.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이 다이렉트 블로잉 방식에 의해 연질의 박막 내용기(20)를 얻은 상태에서, 내용기(20)가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압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용기(10) 내부에 삽입하게 되는데 내용기(20)의 상단측 테두리부(21)는 외용기토출구(12) 상단측에 걸려지도록 한 상태에서, 화장품 내용물이 공지의 장치를 이용하여 내용기(20) 내부에 충진되도록 하고, 마개(50)를 외용기토출구(12)와 나사 결합하게 되면 마개(50)와 외용기(10)간 결합과 함께 내용기(20)가 안전하게 고정되는 형태를 갖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개(50)는 중앙으로 토출공(51)을 형성하여 외용기(10)를 짜게 되면 내용기(20) 내부의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통상의 마개(50) 구조를 갖게 되는바 마개(50) 일측으로 힌지에 의해 회동되는 커버(52)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용기를 이용하여 화장품을 사용하게 될 경우, 사용자는 튜브형태를 갖는 외용기(10)의 외면을 누르거나 짜는 형태를 취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내용기(20) 내부의 내용물이 마개(50)의 토출공(5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이 완료된 후에 외용기(10)를 누르고 있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외용기토출구(12)의 통기공(13)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어져 외용기(10)는 원상태로 복원되고 내용기(20)는 내용물이 빠져나간 체적만큼 그 체적이 축소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외용기(10)는 전술한 것과 같이 경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게 되고, 내용기(20)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형성하게 되므로, 외용기(10)의 복원력은 상대적으로 내용기(20)보다 크게 되고, 외용기(10)의 외용기토출구(12)와 나사 결합되어 있는 마개(50) 내주면과의 간극에 의해 상기 외용기토출구(12)측 외주면으로 관통되어 있는 통기공(13)측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는데, 외용기(10)의 탄성 복원력으로 외기는 원할히 통기공(13)으로 유입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반면에, 내용기(20)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므로 복원력이 외용기(10)보다는 떨어지게 됨은 물론 외용기토출구(12)의 통기공(13)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압력에 의해, 내용기(20)의 상단측 즉 마개(20)의 토출공(51)을 통해 유입되려는 외기가 제어되는 효과를 가져와, 사용자가 화장품을 사용한 후 외용기(10)를 누르고 있는 힘을 제거하더라도 내용기(20)측으로의 외기 유입이 차단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장품 용기에서 내용물을 토출하여 사용한 후, 외용기(10)를 누르고 있는 힘을 제거하게 되더라도 외용기(10)와 내용기(20) 사이로만 외기가 유입되며 외용기(10)의 복원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내용기(20)는 내용물 토출 체적만큼 축소(즉 쭈그러드는 현상) 현상이 반복적으로 진행되면서 내용기(20) 내부의 내용물을 완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외용기 11; 1차프리폼
12; 외용기토출구 13; 통기공
20; 내용기 21; 테두리부
30; 캐비티 31; 핀
50; 마개 51; 토출공
52; 커버

Claims (3)

  1. 경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외용기를 얻기 위해 브로잉하는 외용기 브로잉 단계(S10)와,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상기 외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기를 브로잉 사출하여 얻게 되는 내용기 브로잉단계(S20)와, 상기 외용기 및 내용기 브로잉 단계에 의해 얻게 되는 외용기내부에 내용기를 내합하여 제조되어지는 화장품용 이중 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 브로잉단계(S10)에서, 외용기(10)를 이루는 1차프리폼(11)을 얻기 위한 캐비티(30)에 외용기토출구(12)의 측면을 관통하는 핀(31)을 구비하여 외용기의 1차프리폼(11) 사출시 상기 외용기토출구(12) 측면을 관통하는 통기공(13)이 형성되는 1차프리폼(11)을 얻은 다음 브로잉 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하고,
    상기 내용기 브로잉단계(S20)에서, 연질의 프리폼을 형성한 다음 브로잉하여 내용기(20) 상단측의 외측 테두리부(21)가 외용기(10) 상단측에 안착되는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내용기(20)의 형태를 이룬 상태에서 진공흡착한 후 상기 외용기(10) 내부로 내입하도록 하고,
    상기 외용기(10)에 내용기(20)가 내합된 후, 외용기(10)와 내용기(20)를 결합하여, 내용기에 내용물을 유입하며 완성된 화장품 이중 용기를 얻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이중 용기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 브로잉단계(S10)에서 1차프리폼(11)을 얻기 위한 사출성형시 인젝션블로우로 상기 1차프리폼(11)을 얻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장품 이중 용기 제조방법.
  3. 외용기(10)와 내용기(20)로 이루어지고, 외용기(10)의 외용기토출구(12)와 나사결합되는 마개(50)로 이루어지는 화장품 이중 용기에 있어서,
    상기 마개(50)와 나사 결합되는 외용기토출구(12) 외측면으로 적어도 두 곳 이상의 통기공(13)이 형성되는 외용기(10)와,
    상단에 테두리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외용기(10) 상단을 커버하며 상기 외용기(10) 내부로 삽입되는 내용기(20)와,
    상기 마개(50)와 외용기토출구(12)의 나사 결합에 의해 내용기(20)간 고정되며 전체적인 이중 용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이중 용기.
KR1020140021087A 2014-02-24 2014-02-24 화장품 이중 용기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화장품 이중 용기 KR101549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087A KR101549331B1 (ko) 2014-02-24 2014-02-24 화장품 이중 용기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화장품 이중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087A KR101549331B1 (ko) 2014-02-24 2014-02-24 화장품 이중 용기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화장품 이중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331B1 true KR101549331B1 (ko) 2015-09-01

Family

ID=54246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087A KR101549331B1 (ko) 2014-02-24 2014-02-24 화장품 이중 용기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화장품 이중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3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97240A (ja) * 2016-04-28 2017-11-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97240A (ja) * 2016-04-28 2017-11-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75683B (zh) 双重容器
CN102218811B (zh) 用于制作不透气泵的容器的方法
JP5996355B2 (ja) 二重容器、その容器用プリフォーム、及びその容器の製造方法
TW201801995A (zh) 合成樹脂製多層瓶
JP5996354B2 (ja) 二重容器、その容器用プリフォーム、及びその容器の製造方法
US10189202B2 (en) Blow molding device
EP3438012A1 (en) Laminated release container and preform
JP6910735B2 (ja) 合成樹脂製容器、プリフォーム、及び合成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
CN109070432B (zh) 容器制造方法
KR101611211B1 (ko)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용기
CN107000301B (zh) 层叠剥离容器的液体吹塑成型方法
JP6091982B2 (ja) 二重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二重容器
EP3647214A1 (en) Synthetic resin container
KR101335812B1 (ko) 이중 브로우 저장 용기 제조방법
JP5847682B2 (ja) 二重容器、その容器用プリフォーム、及びその容器の製造方法
KR101549331B1 (ko) 화장품 이중 용기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화장품 이중 용기
JP7094620B2 (ja) 合成樹脂製容器
JP7039432B2 (ja) 吐出容器
JP6029917B2 (ja) 二重容器、その容器用プリフォーム、及びその容器の製造方法
JP6450616B2 (ja) ブロー成形装置
JP7154691B2 (ja) スクイズ容器
KR200454300Y1 (ko) 브로우 다중 성형용기
KR20180000826A (ko) 내용기와 외용기로 이루어지는 이중 브로우 용기에서의 내용기내 전량 사용이 가능한 용기 구조
JP6802741B2 (ja) 容器製造方法
JP7090977B2 (ja) 積層剥離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