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150B1 - 슬라이드 방식의 승강장 발판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방식의 승강장 발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150B1
KR101549150B1 KR1020140009873A KR20140009873A KR101549150B1 KR 101549150 B1 KR101549150 B1 KR 101549150B1 KR 1020140009873 A KR1020140009873 A KR 1020140009873A KR 20140009873 A KR20140009873 A KR 20140009873A KR 101549150 B1 KR101549150 B1 KR 101549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auxiliary
main
hous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3820A (ko
Inventor
박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헤로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헤로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헤로스테크
Publication of KR20150073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3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전동차에 의한 충격으로 전동차가 탈선되거나 승객의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드 방식의 승강장 발판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발판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함체; 상기 함체를 덮는 상판; 및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을 출입하는 발판을 포함하며, 상기 발판은 전동차의 주행방향에 대해 90도보다 작은 예각을 이루는 경사를 따라 전진하거나 후진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방식의 승강장 발판장치{Slide-typed platform foothold apparatus}
본 발명은 슬라이드 방식의 승강장 발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애 발생시 전동차에 의한 충격으로 전동차가 탈선되거나 발판 파손에 따른 승객의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련한다.
일반적으로 전철 등의 승강장에는 전동차가 도착할 때, 승강장에 있는 승객이 안전하게 대기하여 전동차에 승차할 수 있도록 노란색의 안전선을 그려놓고 있다. 따라서, 전동차가 도착할 때, 승객은 안전선 밖으로 물러난 후 안전하게 승하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승강장에 있어서,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에 비교적 넓은 간격이 발생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특히 장애인 또는 노약자의 경우에는 승하차시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출퇴근 시간과 같이 승객이 붐비는 시각의 승하차시 잦은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전진과 후진에 의해 승강장에 설치된 함체에 수납되거나 함체로부터 인출되도록 한 슬라이드 방식의 안전발판이 제안되었다.
가령, 국내 특허등록 제0318334호는, 차량의 착발시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에어컴프레셔와, 상기 에어컴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동작되는 에어실린더를 구비하는 함체를 포함하고, 차량의 정차시 출입문의 위치와 대응하여 플랫폼에 설치되며, 상기 함체내에는 상기 에어실린더와 결합하여 왕복운동하는 발판이 설치되고, 상기 함체의 상부에는 내장된 부품을 보호하고, 승객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상판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의 일단부에는 회전축에 의해 지지커버가 결합되어, 발판의 작동시 이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의 안전발판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국내 특허등록 제0918674호는, 지하철 승강장의 연단부 내측으로 상판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구동모터와 구동 기어를 개재하여 좌우 일정각도 회전 가능토록 연설되는 구동 가이드암; 상기 구동 가이드암의 전방 단부에 힌지부를 개재하여 좌우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발판 플레이트; 상기 프레임의 양측 중앙에는 가이드암이 각각 설치되어, 상기 발판 플레이트의 양측 후방단부에 연설되는 지지대와 힌지부를 개재하여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는 제1 회전 안내부; 및 상기 프레임의 전방 양측으로 가이드암이 각각 설치되어, 상기 발판 플레이트의 양측으로 힌지부를 개재하여 각각 회전 가능토록 연설되는 제2 회전 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슬라이드 방식의 안전발판의 경우, 안전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갖는다.
먼저, 제어시스템이나 구동시스템의 장애에 의해 발판이 작동한 상태에서 저속으로 주행하는 전동차에 의해 발판이 수평방향으로 충격을 받을 때, 발판이 곧바로 후진하여 함체로 들어가지 못하기 때문에 발판이 파손되거나 발판과 연결된 구동유닛나 안내유닛 등이 한꺼번에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속으로 주행하는 전동차에 의해 발판이 수평방향으로 충격을 받을 때, 충격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발판이 파손되면서 튕김으로써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안전발판에 결합된 다른 구조물까지 파손될 수 있어 사고의 규모가 확장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판이 다른 장치와 결합된 상태이고 승강장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고속 주행하는 전동차에 의해 충돌된 발판이 쉽게 떨어져 나오지 못하는 경우 오히려 전동차가 파손되거나 최악의 경우 전동차가 탈선할 가능성도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속으로 주행하는 전동차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충격을 받은 경우 빠른 시간 내에 발판이 후진하도록 함으로써 발판이나 다른 장치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승강장 발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속으로 주행하는 전동차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충격을 받은 경우 발판의 특정 부분이 신속하게 분리되어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인명사고를 최소화하고 전동차의 탈선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장 발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속으로 주행하는 전동차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충격을 받은 경우 분리되어 이탈된 발판의 특정 부분이 승강장 쪽으로 튕겨나가지 않도록 하여 인명사고와 전동차의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승강장 발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함체; 상기 함체를 덮는 상판; 및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을 출입하는 발판을 포함하며, 상기 발판은 전동차의 주행방향에 대해 90도보다 작은 예각을 이루는 경사를 따라 전진하거나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승강장 발판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하면이 상기 함체의 바닥에 고정되고, 상면이 상기 발판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발판이 전진하거나 후진하도록 안내하며, 상기 경사를 따라 설치되는 안내유닛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유닛은, 상기 함체의 바닥에 고정되는 안내레일; 및 상기 발판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안내레일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안내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블록은 상기 발판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블록은 승객 하중에 의해 유동되지 않을 정도로 상기 안내레일과 밀착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판의 좌측단에는 충격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전동차에 의한 충격을 감지한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판은, 상기 구동유닛에 결합된 메인 발판; 상기 메인 발판의 전단에 결합하는 보조 발판; 및 상기 메인 발판과 보조 발판 사이의 경계에 끼워지고, 상기 메인 발판과 보조 발판에 각각 고정되는 결합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브래킷의 기계적 강도는 상기 메인 및 보조 발판의 기계적 강도보다 약하다.
상기의 목적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함체; 상기 함체를 덮는 상판; 및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을 출입하는 발판을 포함하며, 상기 발판은, 상기 구동유닛에 결합된 메인 발판; 상기 메인 발판의 전단에 결합하는 보조 발판; 및 상기 메인 발판과 보조 발판 사이의 경계에 끼워지고, 상기 메인 발판과 보조 발판에 각각 고정되는 결합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브래킷의 기계적 강도는 상기 메인 및 보조 발판의 기계적 강도보다 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승강장 발판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 브래킷은 수평부와 수직부를 구비한 T자 단면 형상의 단일체이고, 상기 수평부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바닥이 상기 수직부와 맞닿도록 절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경계에서, 상기 메인 발판과 상기 보조 발판의 가장자리에는 각각 상기 수직부가 끼워지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는 상기 메인 발판과 상기 보조 발판의 상면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 브래킷은, 단면이 C 형상인 파지 편이 개구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브리지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개구에는 각각 상기 메인 발판과 보조 발판의 가장자리가 끼워지고, 상기 파지 편의 상면으로부터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하나의 상기 메인 발판에 대해 상기 보조 발판은 다수 개로 분할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인접하는 상기 보조 발판의 경계면은 서로 경사를 이루어 비스듬하게 대향하며, 상기 전동차의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앞쪽의 보조 발판의 경계면이 상기 주행방향으로 경사지고 뒤쪽의 보조 발판의 경계면이 반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전동차에 의한 충격으로 상기 앞쪽의 보조 발판이 선로 쪽으로 미끄러져 이탈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 발판을 감싸도록 상기 보조 발판에 결합되는 고무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발판이 함체의 수용공간으로부터 출입할 때 경사를 이루며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전동차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충격을 받더라도 쉽게 함체 내부로 밀려 들어가도록 하여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동차에 의해 수평방향으로부터 충격이 있는 경우, 메인 발판과 보조 발판의 경계에 있는 결합 브래킷의 파손에 의해 보조 발판만 메인 발판으로부터 이탈되기 때문에 전동차에 의한 충격이 보조 발판에만 국한되어 사고의 규모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보조 발판의 크기를 작게 하여 튕기거나 이탈된 발판에 의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탈되어 파손된 보조 발판만 교체하면 되므로 관리비용이 적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 발판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위에서 본 평면도로서, 도 2(a)는 발판이 인출되기 전이고 도 2(b)는 발판이 인출된 후를 각각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서, 도 4(a)는 발판이 인출되기 전이고 도 4(b)는 발판이 인출된 후를 각각 나타낸다.
도 5는 승강장 발판장치에 적용되는 발판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6은 승강장 발판장치에 적용되는 발판의 다른 예를 보여준다.
도 7은 승강장 발판장치에 적용되는 발판의 또 다른 예를 보여준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발판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을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부 구성은 치수 등이 무시되고 다소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 발판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위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서, 도 4(a)는 발판이 인출되기 전이고 도 4(b)는 발판이 인출된 후를 각각 나타낸다.
승강장 발판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100)이 마련된 함체(120), 함체(120)를 덮는 상판(110), 구동유닛에 의해 수용공간(100)을 출입하는 발판(200)으로 구성된다.
이하, 각 구성부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판(110)>
상판(110)은 직사각 형상으로 대략 2000㎜(길이)×1100㎜(폭)×20㎜(두께)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편의를 위하여 도 1과 같이 길이방향을 Y 방향으로 나타내고, 폭 방향을 X 방향으로 나타낸다.
이 실시 예에서 상판(110)은 일체로 형성되지만, 수용공간(100)에 장착된 구동유닛을 검사 또는 교체하는 등의 작업을 위한 점검구를 구비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점검구가 구비되도록 분할된 다수의 상판(110)을 조립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분할된 상판(11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유닛이 수용공간(1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판(110)의 표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그루우브(groove)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판(110)은 가장자리를 따라 함체(120)의 상단면과 후술하는 지지유닛(150, 160)의 상단면에 볼트 등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함체(120)>
함체(120)는 한 쌍의 대향하는 옆판(121), 뒷판(123), 및 이들을 지지하는 밑판(122)으로 구성되는데, 이들이 각각 결합하여 함체(120)를 구성하거나 단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령 이들의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 턱에 상판(110)에 놓일 수 있다.
함체(12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100)이 형성되어 구동유닛(미도시)과 발판(200) 및 안내유닛(310)이 수용된다.
옆판(121)과 뒷판(123)은 같은 단면 형상을 가지며, 도 1과 같이, 하단에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플랜지(121a, 123a)가 각각 형성되고, 플랜지(121a, 123a)에 형성된 볼트구멍(미도시)에 볼트를 끼워 각각 밑판(122)에 고정한다.
또한, 옆판(121)과 뒷판(123)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삽입구멍(121b, 123b)이 형성되어 중량을 가볍게 함과 동시에 강도를 크게 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밑판(122)의 전단에는 스토퍼(122a)가 수직으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것처럼 고무 커버와 접촉하여 함체(120) 입구에서의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발판(200)>
발판(200)은 상판(110)과 미세한 간격, 가령 2㎜ 정도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발판(200)의 하면에는 다수의 안내유닛(310)이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판(200)은 구동유닛에 의해 폭 방향(X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여 함체(120)를 출입하는데 폭 방향을 따른 기준선에 대해 경사를 이루며 왕복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b)에 화살표로 나타낸 경사방향을 따라 전진하거나 후진하여 함체(120) 내부로 들어가거나 외부로 돌출한다. 여기서, 경사방향은, 도 2(b)에 나타낸 전동차의 주행방향에 대해 90도보다 작은 예각 α을 이루는 방향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발판(200)이 경사방향을 따라 전진하거나 후진하도록 하기 위해 발판(200)을 안내하는 안내유닛(310)은, 도 2(b)와 같이, 전동차의 주행방향에 대해 90도보다 작은 예각 α을 이루도록 함체(120)의 밑판(122)에 고정된다.
한편, 발판(200)의 좌측단 하부에는 충격감지센서(400)가 장착되는데, 전동차에 의한 충격을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저속으로 주행하는 전동차에 의해 발판(200)이 충격을 받은 경우, 충격감지센서(400)가 전동차에 의한 충격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달하고 제어부는 구동유닛을 제어하여 발판(200)이 신속하게 후진하도록 한다. 이때, 발판(200)이 전동차의 주행방향에 대해 예각을 이루면서 경사진 상태이기 때문에 전동차의 충격에 의해 오히려 후진이 빠르게 이루어진다. 특히, 경사각 α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발판(200)이 빠르게 후진하도록 할 수 있다.
저속과 고속을 구분하는 기준은 특별히 정해지지는 않았지만, 상기의 방법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전동차의 주행속도를 감안하여 10㎞/H를 기준으로 그 이하를 저속으로 하고 그 이상을 고속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기준을 적용한다.
이 실시 예에서 발판(200)은 돌출된 부분의 모서리가 직각을 이루는 직사각 형상의 평판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동차에 의한 충격을 감안하여 라운드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안내유닛(310)>
안내유닛(310)은 발판(200)의 하면에 고정되는 안내블록(312)과 밑판(122) 위에 고정되어 안내블록(312)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된 안내레일(322)로 이루어진다.
안내블록(312)은 발판(200)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발판(200)이 끝까지 외부로 인출되어도 안내레일(322)과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발판(200)의 안내유닛(310)은, 가령 리니어 모션(linear motion, LM) 가이드일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발판(200)이 인출되어 승객의 하중이 발판(200)에 가해질 때, 그 하중은 모두 안내블록(312)에 가해지고, 다시 안내블록(312)에 결합된 안내레일(322)에 가해지는데, 상기한 것처럼, 안내레일(322)이 밑판(122)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고 안내블록(312)은 안내레일(322)에 밀착 결합되기 때문에 승객 하중에 의해 유동되지 않으며, 그 결과 안내블록(312)에 결합된 발판(200)의 흔들림이 전혀 없게 된다.
상기한 것처럼, 발판(200)의 좌측단에 충격감지센서(400)를 설치하여 저속으로 주행하는 전동차에 의한 충격시 구동유닛이 신속하게 대응하여 발판(200)을 후진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발판(200)이 함체(120)의 수용공간(100)에서 폭 방향을 따른 기준선에 대해 경사를 이루면서 이동되도록 하여 전동차에 의한 충격을 오히려 발판(200)을 후진시키는 힘으로 변환하여 사용함으로써 발판(200)의 파손을 방지한다.
반면, 고속으로 주행하는 전동차에 의해 발판(200)이 충격을 받는 경우, 충격감지센서(400)가 충격을 감지하더라도 제어부가 구동유닛을 제어하여 발판(200)을 후진하도록 하는데 있어서 시간적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전동차가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 상기한 방법에 의할 경우 효율적으로 발판(200)의 파손이나 인명사고를 방지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속으로 주행하는 전동차의 충격에 대응하여 발판(200)의 특정 부분이 신속하게 분리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사고가 발판(200)의 특정 부분에 국한되도록 하여 사고의 확산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발판(200)을 메인 발판과 보조 발판으로 구성하여 보조 발판이 전동차에 의한 충격시 쉽게 떨어져 나가도록 하였다.
도 5는 승강장 발판장치에 적용되는 발판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것처럼, 발판(200)을 메인 발판(210)과 보조 발판(220)으로 분리 구성하고, 이들을 결합 브래킷(230)으로 결합함으로써 보조 발판(220)에 가해지는 승객의 하중은 충분히 지지함과 동시에 보조 발판(220)에 전동차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질 때, 수평방향으로의 기계적 강도가 메인 발판(210)과 보조 발판(2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결합 브래킷(230)에 의해 보조 발판(220)이 메인 발판(210)으로부터 쉽게 이탈하도록 한다.
도 5를 보면, 결합 브래킷(230)은 메인 발판(210)과 보조 발판(220) 사이의 경계에 끼워지는데, 단면이 T형상을 이루도록 수직부(233)와 수평부(231)로 이루어진다.
수평부(231)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절개 홈(232)이 형성되는데, 가령 절개 홈(232)의 바닥이 수직부(233)와 맞닿을 때까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발판(210)에는 다수 개의 결합 브래킷(230)이 설치되는데, 도시된 것처럼, 결합 브래킷(230)의 수직부(233)가 끼워지도록 메인 발판(210)과 보조 발판(220)의 가장자리의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삽입홈(222)이 형성되며, 수직부(233)가 삽입홈(222)에 끼워진 상태에서 수평부(231)는 볼트(234)에 의해 메인 및 보조 발판(210, 220)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결합되면, 실제 메인 발판(210)과 보조 발판(220)의 경계에는 절개 홈(232)이 형성되어 있어 결합 브래킷(230)의 수직부(233)만 존재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수직방향으로부터 하중에 대해서는 수직부(233)의 전단 응력이 크기 때문에 충분히 견딜 수 있다. 또한, 고속으로 주행하는 전동차에 의해 수평방향으로부터 충격이 있는 경우, 결합 브래킷(230)의 수평부(231)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절개 홈(222)에 의해 메인 발판(210)과 보조 발판(220)의 경계에는 결합 브래킷(230)의 수직부(233)만 존재하는 구조로 되어 수평방향으로의 기계적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해 전동차에 의한 수평방향에서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며, 그 결과 보조 발판(220)이 쉽게 메인 발판(210)으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고속으로 주행하는 전동차에 의한 충격이 보조 발판(220)에만 국한되어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발판(200)과 결합된 다른 장치에까지 충격이 전달되어 사고의 규모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른 장치와 결합되고 승강장의 구조물에 연결된 구조에 의해 최악의 경우 전동차가 탈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발판(220)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충격에 의해 튕기거나 이탈된 발판에 의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탈되어 파손된 보조 발판(220)만 교체하면 되므로 관리비용이 적다는 이점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메인 발판(210)에 대해 보조 발판(220)은 다수 개로 분할되어 결합되며, 인접하는 보조 발판(220)의 경계면은 서로 경사를 이루어 대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전동차의 충격에 의해 분할된 보조 발판(220)이 순차적으로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충격이 어느 정도 분산되도록 함과 동시에 분할에 의해 보조 발판(220)의 크기를 작게 하여 이탈된 보조 발판(220)에 의해 2차 충격이 있더라도 충격량이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도 5의 화살표와 같이 전동차가 주행하는 경우, 앞쪽의 보조 발판(221)의 경계면이 주행방향으로 경사지고 뒤쪽의 보조 발판(222)의 경계면이 반대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고속으로 주행하는 전동차에 의한 충격으로 보조 발판(221)이 화살표 a 방향, 다시 말해 하방으로 미끄러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전동차의 충격에 의해 분리되어 이탈된 보조 발판(220)이 선로 쪽으로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방으로 튕겨 승강장으로 비산되어 제2의 인명사고를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동차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승강장 발판장치에 적용되는 발판의 다른 예를 보여준다.
이 예에서, 결합 브래킷(240)은 단면이 C 형상인 파지 편(241, 242)이 개구(241a, 242a)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브리지(245)에 의해 연결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개구(241a, 242a)에는 각각 메인 발판(210)과 보조 발판(220)의 가장자리가 끼워지고, 파지 편(241, 242)의 상면으로부터 볼트(244)에 의해 결합된다.
이 예에 의하면, 수평방향으로부터 충격, 가령 전동차에 의한 충격이 있는 경우, 결합 브래킷(240)의 살 부분이 얇은 브리지(245)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며, 그 결과 보조 발판(220)만 메인 발판(210)으로부터 이탈된다.
도 7은 승강장 발판장치에 적용되는 발판의 또 다른 예를 보여준다.
결합 브래킷(240)의 파지 편(241)이 메인 발판(2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파지 편(241)의 개구(241a)에 끼워지는 메인 발판(210)의 가장자리의 두께를 얇게 하여 플랜지(212)를 형성하고, 메인 발판(210)의 나머지 부분의 두께는 파지 편(241)의 두께와 같도록 한다.
또한, 보조 발판(220)에 외부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고무 커버(250)가 결합될 수 있는데, 고무 커버(250)는 보조 발판(220)과 같이 'ㄱ'자 단면 형상을 구비하고, 상면에 결합 브래킷(240)의 파지 편(242)을 수용하는 홈(252)이 형성된다.
또한 고무 커버(25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 구멍(251)이 형성되어, 가령 강재의 보강 스트립이 끼워진다. 이 보강 스트립에 의해 고무 커버(250)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고무 커버(250)를 볼트 등을 이용하여 보조 발판(220)에 결합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도 7(b)을 참조하면, 고무 커버(250)의 하단에는 함체(120)의 밑판(122) 전단에 돌출된 스토퍼(122a)에 접촉되는 차단부(254)가 연장 형성되어 발판(200)이 함체(120) 내부로 들어간 경우 고무 커버(250)가 함체(120)의 입구를 모두 막아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수납공간(10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승강장 발판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전동차가 진입하여 정차하면, 제어부의 제어하여 구동유닛이 기동하여 발판(200)이 함체(120) 내부의 수용공간(100)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밀어낸다.
구동유닛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가령 모터나 실린더(공압 또는 유압)가 적용될 수 있으며, 동력전달은 벨트나 기어가 이용될 수 있다.
발판(200)의 하면에 장착된 안내블록(312)은 안내레일(322) 위에서 슬라이드 되어 이동되는데, 상기한 것처럼, 안내블록(312)과 안내레일(322)이 발판(20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장착되어 있어 도 2(b)와 같이 발판(200)은 경사지게 전진하여 함체(120)로부터 돌출된다.
전동차의 출발신호와 연동하여 제어부는 구동유닛을 제어하여 발판(200)을 함체(120) 내부로 후진시키는데, 구동유닛의 고장이나 제어 계통의 고장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발판(200)이 후진하지 못한 상태로 전동차가 출발하여 발판(200)이 전동차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접촉에 의한 충격을 받을 수 있다.
전동차가 출발하는 시점에서는 저속으로 주행하기 때문에 발판(200)이 충격을 받은 경우, 충격감지센서(400)가 전동차에 의한 충격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달하고 제어부는 구동유닛을 제어하여 발판(200)이 신속하게 후진하도록 한다. 이때, 구동유닛이 고장난 상태에서는 발판(200)이 후진하지 못하는데, 발판(200)이 전동차의 주행방향에 대해 예각을 이루면서 경사진 상태이기 때문에 전동차의 충격에 의해 발판(200)의 후진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동차가 일정한 고속에 도달하여 발판(200)이 수평방향으로 충격을 받은 경우, 결합 브래킷(230, 240)의 기계적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해 전동차에 의한 수평방향에서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며, 그 결과 보조 발판(220)이 쉽게 메인 발판(210)으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고속으로 주행하는 전동차에 의한 충격이 보조 발판(220)에만 국한되어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발판(200)과 결합된 다른 장치에까지 충격이 전달되어 사고의 규모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른 장치와 결합되고 승강장의 구조물에 연결된 구조에 의해 최악의 경우 전동차가 탈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발판을 다수 개로 분할하여 하나의 메인 발판에 결합함으로써 전동차의 충격에 의해 분할된 보조 발판이 순차적으로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충격이 어느 정도 분산되도록 함과 동시에 분할에 의해 보조 발판의 크기를 작게 하여 이탈된 보조 발판에 의해 2차 충격이 있더라도 충격량이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보조 발판에서, 앞쪽의 보조 발판의 경계면이 주행방향으로 경사지고 뒤쪽의 보조 발판의 경계면이 반대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고속으로 주행하는 전동차에 의한 충격으로 이탈된 보조 발판이 선로 쪽으로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방으로 튕겨 승강장으로 비산되어 제2의 인명사고를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00: 수용공간
121: 옆판
122: 밑판
123: 뒷판
200: 발판
210: 메인 발판
220: 보조 발판
230, 240: 결합 브래킷
250: 고무 커버
310: 안내유닛
312: 안내블록
322: 안내레일
400: 충격감지센서

Claims (11)

  1.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함체;
    상기 함체를 덮는 상판;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을 출입하는 발판; 및
    하면이 상기 함체의 바닥에 고정되고, 상면이 상기 발판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발판이 전진 또는 후진의 직선 운동을 하도록 안내하는 안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유닛은 전동차의 주행방향의 수직방향에서 상기 주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90도보다 작은 예각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발판은 상기 경사를 따라 직선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승강장 발판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유닛은,
    상기 함체의 바닥에 고정되는 안내레일; 및
    상기 발판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안내레일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안내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블록은 상기 발판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블록은 승객 하중에 의해 유동되지 않을 정도로 상기 안내레일과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승강장 발판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좌측단에는 충격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전동차에 의한 충격을 감지한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승강장 발판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상기 구동유닛에 결합된 메인 발판;
    상기 메인 발판의 전단에 결합하는 보조 발판; 및
    상기 메인 발판과 보조 발판 사이의 경계에 끼워지고, 상기 메인 발판과 보조 발판에 각각 고정되는 결합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브래킷의 기계적 강도는 상기 메인 및 보조 발판의 기계적 강도보다 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승강장 발판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합 브래킷은 수평부와 수직부를 구비한 T자 단면 형상의 단일체이고,
    상기 수평부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바닥이 상기 수직부와 맞닿도록 절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경계에서, 상기 메인 발판과 상기 보조 발판의 가장자리에는 각각 상기 수직부가 끼워지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는 상기 메인 발판과 상기 보조 발판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승강장 발판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합 브래킷은, 단면이 C 형상인 파지 편이 개구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브리지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개구에는 각각 상기 메인 발판과 보조 발판의 가장자리가 끼워지고, 상기 파지 편의 상면으로부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승강장 발판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메인 발판에 대해 상기 보조 발판은 다수 개로 분할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승강장 발판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보조 발판의 경계면은 서로 경사를 이루어 비스듬하게 대향하며, 상기 전동차의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앞쪽의 보조 발판의 경계면이 상기 주행방향으로 경사지고 뒤쪽의 보조 발판의 경계면이 반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전동차에 의한 충격으로 상기 앞쪽의 보조 발판이 선로 쪽으로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승강장 발판장치.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발판을 감싸도록 상기 보조 발판에 결합되는 고무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승강장 발판장치.
KR1020140009873A 2013-12-23 2014-01-27 슬라이드 방식의 승강장 발판장치 KR101549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1465 2013-12-23
KR1020130161465 2013-1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820A KR20150073820A (ko) 2015-07-01
KR101549150B1 true KR101549150B1 (ko) 2015-09-03

Family

ID=535195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871A KR101530521B1 (ko) 2013-12-23 2014-01-27 슬라이드 방식의 승강장 발판장치
KR1020140009873A KR101549150B1 (ko) 2013-12-23 2014-01-27 슬라이드 방식의 승강장 발판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871A KR101530521B1 (ko) 2013-12-23 2014-01-27 슬라이드 방식의 승강장 발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5305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898B1 (ko) * 2016-11-25 2018-08-22 (주)진합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FR3067372A1 (fr) * 2017-06-07 2018-12-14 Sylvain Guiraud Dispositif d'amenagement d'une arete de bord de quai et le procede pour sa realisation
KR101937137B1 (ko) * 2018-04-26 2019-01-11 (주)에이.티.아이 슬라이딩 인출 구조를 갖는 지하철 승강장용 안전발판
CN116691754A (zh) * 2023-07-21 2023-09-05 江阴奇南机械有限公司 一种进门踏板及轨道车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482B1 (ko) 2008-09-08 2009-12-02 이갑규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KR101318262B1 (ko) 2013-04-12 2013-10-16 김원경 승강장 안전발판 및 그 구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8452B1 (ko) * 1998-11-28 2001-05-02 박우현 전철 플랫홈의 안전발판
KR100392932B1 (ko) * 2001-05-24 2003-07-28 박우현 전동차용 승강장의 안전장치
JP4846485B2 (ja) * 2006-08-18 2011-12-28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用ステップ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482B1 (ko) 2008-09-08 2009-12-02 이갑규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KR101318262B1 (ko) 2013-04-12 2013-10-16 김원경 승강장 안전발판 및 그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0521B1 (ko) 2015-06-23
KR20150073820A (ko)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150B1 (ko) 슬라이드 방식의 승강장 발판장치
KR101626260B1 (ko) 승강장용 안전발판
US20070256899A1 (en) Method For Mounting A Car Drive Machine, Especially For Elevators Without Any Machine Room And Elevator Obtained
JP5257867B2 (ja) 乗客コンベア
JPH03128885A (ja) エスカレータ装置
CN210480517U (zh) 高层电梯井防护结构
CN209522445U (zh) 一种电梯机械吊装用缓冲装置
CN103015881B (zh) 工装梯
KR101518454B1 (ko)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KR101701391B1 (ko) 승강장용 안전발판
CN205328400U (zh) 一种电梯和升降机坠落及人员坠井事故紧急救援系统
KR100794932B1 (ko)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
CN107628510A (zh) 一种卧式便捷代步爬楼器
CN111959543B (zh) 一种轨道交通站台上下乘客用安全踏板装置
CN102019931A (zh) 地铁防缝隙装置
CN211998372U (zh) 一种用于电梯轿厢安全门救援的踏板装置
CN216072637U (zh) 改进型的防失速救生电梯
KR102553292B1 (ko) 전차선로 보수용 절연 사다리차
CN213171048U (zh) 一种电梯轿厢
KR200249530Y1 (ko) 압축 공기식 지하철 가변식 안전 승강판
CN113233293B (zh) 一种客梯轿厢结构
CN220412556U (zh) 一种带缓冲装置的电梯轿厢
KR100924658B1 (ko) 승객수송장치의 발판 이탈감지장치
CN219429429U (zh) 一种客梯安全保护装置
KR101406260B1 (ko)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