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041B1 - 스위치기어, 램프 제어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광을 포함하는 건물에 대한 광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위치기어, 램프 제어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광을 포함하는 건물에 대한 광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041B1
KR101549041B1 KR1020097003522A KR20097003522A KR101549041B1 KR 101549041 B1 KR101549041 B1 KR 101549041B1 KR 1020097003522 A KR1020097003522 A KR 1020097003522A KR 20097003522 A KR20097003522 A KR 20097003522A KR 101549041 B1 KR101549041 B1 KR 101549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s
switching device
light
contro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3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5712A (ko
Inventor
고트하르트 슐라이허
Original Assignee
오스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오스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35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8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data-bu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선순위의 개념을 DALI 기술에 도입한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스위치기어(18)는 DALI 버스(40,38)가 각각 접속될 수 있는 두 개의 입력부들(28,22)과, 다른 DALI 버스(26)가 접속될 수 있는 출력부(24)를 포함한다.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56)은 미리-결정된 기준에 따라, 두 개의 입력부들(28,22)을 통해 들어오는 신호들에 우선순위들을 할당하고, 상기 신호들을 각자의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부에 제공하며, 이를 통해 신호들이 전자식 안정기들(14)로 포워딩된다. 스위치기어(18), 특히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56)은 상이한 명령들, 예컨대 중앙 건물 제어 명령들 및 국부적 제어 명령들 사이에서 충돌 상충들 발생시 어느 명령이 우선순위 할당을 통해 수행되는지를 결정한다.

Description

스위치기어, 램프 제어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광을 포함하는 건물에 대한 광 제어 시스템 {SWITCHGEAR, SYSTEM FOR CONTROLLING A LAMP, AND LIGHT CONTROL SYSTEM FOR A BUILDING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
본 발명은 스위칭 디바이스, 결합된 스위칭/광 제어 디바이스,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램프 제어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광을 포함하는 건물에 대한 광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DALI 기술 분야에 속하며, 이 기술분야에서 DALI는 "어드레스로 불러낼 수 있는 디지털 조명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DALI 기술은 광들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폭넓게 사용중인 기술이다. 상기 DALI 기술은 다수의 광들이 제어될 건물 시스템들에서 특히 성공적으로 사용된다. DALI 기술의 사용은 또한 개별적인 방들에서 광들을 제어하는데 의미가 있을 수 있다.
건물 시스템들에서, 광들의 중앙 제어는 광들의 국부적 선택과 종종 상충을 일으킨다. 특히, 스탠딩 램프들의 경우, 스탠딩 램프들이 개별적으로 스위치 온될 수 있고 개별적으로 꺼질 수도 있는 것이 원해진다. 또한, 사람이 특정 위치(예컨대 책상)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존재 인식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어야 하고, 스탠딩 램프는 상기 국부적 정보에 기초하여 스위치 온 되거나 또는 스위치 오프 되거나 꺼져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모든 광들이 중앙집중적으로 스위치 온 및 스위치 오프 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컨대, 근무 시간 종료 이후에, 광이 건물의 점유자들에 의해 상기 점유자들이 건물을 떠날 때 언제나 스위치 오프 되지 않을 경우, 모든 광들을 스위치 오프 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또한, 모든 광들을 동일한 시간에, 예컨대 청소 서비스 직원이 건물에 들어와 모든 광들을 수동으로 스위치 온 하고 이후에 다시 수동으로 스위치 오프 하지 않도록, 스위치 온 하는 것이 적절할 수도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광들을 제어하기 위한 국부적 제어 엘리먼트들(키 스위치들 및 센서들)이 건물 시스템의 단일 버스에 모두 접속된다. 따라서, 제어가 매우 복잡하고, 높은 프로그래밍 복잡성이 연관된다. 이러한 국부적 엘리먼트들의 존재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변경하는 경우, 건물 제어 시스템은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재프로그래밍된 랩(elaboratory)이여야만 한다.
또한, DALI 기술이 마스터/슬레이브 시스템인 것은 불편하다. 충돌 상층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DALI 제어 시스템이 국부적 제어 명령들 또는 전체 빌딩과 관련된 제어 명령들이 동시에 존재할 때 둘 중 어느 것을 따를 것인지를 특정하지 않는 것은 미해결된 문제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DALI 기술을 사용하는 건물 제어 시스템들이, 상기 건물 제어 시스템이 단순한 구조를 가짐을 동시에 보장하면서, 자신들의 제어에 있어서 더욱 유연하게 되도록, 예컨대 광들에 대한 국부적 스위칭 및 중앙 스위칭 모두를 허용하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스위칭 디바이스, 청구항 10에 따른 결합된 스위칭/광 제어 디바이스, 청구항 11에 따른 램프 제어 시스템, 청구항 12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광을 포함하는 건물에 대한 광 제어 시스템, 그리고 청구항 13에 따른 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디바이스는 DALI 버스가 각각의 경우에 접속될 수 있는 두 개의 입력부들, DALI 버스가 접속될 수 있는 한 개의 출력부를 갖는다. 또한,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는, 상기 두 개의 입력부들을 통해 도착하는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신호들에 미리 결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우선순위를 할당하도록 설계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는데, 상기 신호들은 각자의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부에 제공된다.
이러한 스위칭 디바이스를 통해, 우선순위에 대한 개념이 따라서 DALI 기술에 도입된다. 우선순위들을 사용하는 것은 충돌 상충들이 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두 개의 입력부들을 제공하는 것은, 제어를 위해 두 개의 DALI 버스들의 사용을 대비한다. 하나의 DALI 버스는 국부적 제어가 가능하게 되도록 선택될 것이고, 두 번째 DALI 버스는 중앙 제어가 가능하게 되도록 선택될 것이다. 따라서, 키 스위치들 및 센서들과 같은 국부적 엘리먼트들이 제1 DALI 버스에 접속될 수 있고 제2 DALI 버스와는 무관하여서, 국부적 제어가 또한 중앙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질 필요도 없지만 센터과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중앙 제어 시스템이 해제(relieved)된다. 따라서, 시스템은 더욱 간단하고 더욱 콤팩트하게 구조화된다.
스위칭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도 일시적으로 신호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는, 한편으로, 전체적으로 어떠한 신호들이 도착하는지를 기다릴 수 있기 위하여, 두 개의 입력부들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들을 가로챌 수 있도록 한다. 일정 시간 이후에, 두 개의 입력부들 모두로부터 동시에 신호들이 도착하여 우선순위의 정의가 특히 절절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나중에 도착한 신호가 또한 더 높은 우선순위를 받을 수 있으며, 따라서 더 일찍 도착했던 신호 이전에 출력부로 포워딩될 수 있다.
메모리를 이용한 실시예는 또한, 스위칭 디바이스가 두 개의 입력부들 중 하나에 포워딩될 수 있는 리턴 신호들을 출력부를 통해 수신하도록 설계되는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서도 적절하다. 이 경우는 입력부들을 통해 제공된 신호들이 일정한 문의들을 포함하는 경우에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문의의 통상적인 경우는 특정한 광이 작동중인지의 여부에 관한 문의이다. 수신 가능한 리턴 신호들을 이용하는 상기 실시예가 메모리를 포함하는 실시예와 조합되는 것이 유용한데, 그 이유는 리턴 신호들이 물론 출력부로서 동작하는 두 개의 입력부들이 프리해지기 전까지 저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스위칭 디바이스 그 자체가 정기적으로 이러한 타입의 문의를 전달하고 응답을 저장하고 문의가 스위칭 디바이스에 도착할 때 이미 준비하여 즉시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메모리를 이용한 실시예의 바람직한 개선예에서는,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이, 사전에 입력부들을 통해 수신된 신호들의 우선순위들에 따라 특정되는 시간에, 리턴 신호들의 입력부로의 포워딩을 개시하도록 설계된다. 그 결과로, 리턴 신호들의 포워딩 시간은 포워딩 방향으로 상충이 일어나지 않게 선택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데이터가 입력부들에 먼저 도착하거나 데이터가 입력부들을 통해 송신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우선순위들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리턴 신호들을 포워딩하는데 우선순위들을 이용하는 것이 또한 의미있는데, 그 이유는 리턴 신호의 생성을 유도한 히스토리가 고려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이것이 긴급 문의일 경우, 두 개의 입력부들 중 하나를 통해 제공되고 출력부로 제공되게 하는 우선순위를 받는다. 대응하게, 리턴 신호들은 또한 신속하게 도착하고, 상기 리턴 신호들은 두 번째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가 포워딩되기 이전에 역으로 송신되어야 하고 가능한 리액션들을 유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위칭 디바이스는 클록을 포함하고, 데이터 프로세싱은 클록 시간에 따라 우선순위들을 할당한다. 이것은 우선순위들이 배타적으로 클록 시간에 따라 할당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두 개의 입력부들 중 첫 번째 입력부는 결정된 클록 시간들에 우선순위를 누리고 상기 두 개의 입력부들 중 두 번째 입력부는 다른 클록 시간들에서 우선순위를 누린다. 클록 시간에 부가하여, 우선순위는 또한 신호들의 타입에 따라 좌우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는 특히,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이 신호들을 통해 전달되는 명령 타입들 간을 구별하기 위해 및 명령 타입들을 통해 우선순위들을 할당하기 위해 설계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적절하다. 상기 실시예는 일정한 입력부를 통해 도착하는 신호들이 우선순위를 누리는 명세를 방지한다. 대신에, 상기 신호들의 이러한 타입에 실제로 더 높은 우선순위가 할당되는 것이 정당화되는지의 여부에 관한 체크가 이루어진다. 우선순위들의 클록-시간-종속적 명세와 관련하여, 상기 실시예는 예컨대, 비록 원칙적으로 두 개의 입력부들 중 전술된 바와 같이 우선순위를 누릴지라도, 결정된 명령 타입들이 더 높은 우선순위를 누려서, 클록-시간-종속적 명세가 일정한 신호들에 의해 극복될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모든 광들이 일정한 시간에 건물 안에서 스위치 오프 되고 상기 건물 안에 위치한 사람이 그런 이후에 상기 광을 다시 스위치 온 하길 원할 때 적절하다. 다시 스위칭 온 하는 것은, 모든 광들이 스위치 오프 되는 기본 명령을 넘어서는 우선순위를 가져야 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은 개별 신호들의 수신 순서에 따라 우선순위를 할당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첫 번째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는 특히 전술된 메모리의 도움으로 억제될 수 있고, 임의의 신호가 두 번째 입력부를 통해 또한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보기 위해 대기될 수 있다. 그런 이후에 나중 신호에 우선순위를 주던지, 또는 일찍 수신된 신호를 먼저 포워딩하고 나중에 수신된 신호를 완벽하게 억제하든지가 가능하다, 다시 말해 조금도 출력부에 제공하지 않거나 명백하게 나중 시간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은, 신호들이 일정한 신호들 이전에 동일한 입력부를 통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 및 바람직하게는 어느 신호들이 일정한 신호들 이전에 동일한 입력부를 통해 이와 같이 수신되었는지에 따라, 일정한 신호들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할당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실시예는, 특히, 다소 더 복잡한 제어 명령들의 시퀀스가 전달되는 경우에 적절하다. 따라서, 이러한 시퀀스가 현재 두 개의 입력부들 중 하나를 통해 진행될 때, 시스템이 두 번째 입력부로부터의 신호의 포워딩이 뒤이어서 이루어지도록 변경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후자가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기 실시예는, 신호들에 포함된 명령 타입들 사이에 구별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상기 구별이 또한 결정된 명령 타입들의 명령 시퀀스들 사이에서도 이루어지는 정도까지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제1 신호 시퀀스는 제2 신호 시퀀스를 넘어서는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램프를 제어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디바이스,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의 두 개의 입력부들 중 첫 번째 한 입력부에 DALI 버스를 통해 접속되는 광 제어 유닛을 갖는 국부적 광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고, 여기서 램프를 국부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센서들 및/또는 작동 엘리먼트들이 상기 광 제어 유닛과, 램프가 접속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식 안정기에 접속되고, 이때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의 출력부는 각각의 전자식 안정기에 DALI 버스를 통해 접속된다. 이는 여전히 스위칭 디바이스의 두 번째 입력부를 남겨놓는다. 이는, 동시에, 시스템 전체로서 외부 DALI 버스에 접속될 수 있도록, 램프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의 입력부여야 한다.
램프를 제어하기 위한 이러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은, 특히, 건물 제어 시스템을 위하여, 스위칭 디바이스의 제공과 관련하여 이미 전술된 콤팩트하면서 복잡하지 않은 구조를 허용한다. 램프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은 램프에(또는 공동으로 적어도 하나의 광을 형성하는 여러 램프들에 동시에) 할당되는 유닛을 나타내야 한다. 램프를 제어하기 위한 이러한 시스템 또는 여러 개의 이러한 시스템들은 각각의 경우에 건물의 방 한 칸에 배열될 수 있다. 램프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은 따라서 국부적 모듈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위칭 디바이스는 상이한 입력부들을 통해 도착하는 두 개의 입력 신호들로부터 단일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기능성은, 특히, 첫 번째 입력부를 통해 들어오는 신호들 및 두 번째 입력부를 통해 들어오는 신호들에 상이한 우선순위들을 할당하기가 어렵게 되는 경우에 중요해질 수 있다. 그 예시는, 매우 짧은 시간 내에 두 개의 입력부들을 통한 상이한 신호들의 수신이다. 따라서, 스위칭 디바이스는 클록의 도움으로 예컨대 개별 신호들이 도착할 때를 검출할 수 있다. 최소 기간이 신호들에 대하여 명목 시간 간격으로 특정된다. 시간이 상기 최소 기간 미만으로 떨어지면, 이는, 신호들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신된 것으로서 해석되고 타협으로서 일정한 관점에서 두 개의 인입 입력 신호들을 통해 전달된 명령들을 만족시키는 출력 신호가 생성됨을 의미한다. 그 예시는, 결정된 클록 시간에, 모든 광들에 대하여 중앙집중적으로 광을 스위치 오프하기 위한 명령이 제공되고, 동시에 운영자가 일정한 광을 스위치 온 하는 경우일 수 있다. 타협으로서, 상기 광은 그런 이후에 꺼지도록 작동될 수 있다. 그 결과로, 운영자는 이전 상태에 관하여 변화를 인지하고, 자신의 작동 액션이 결과를 갖는다는 것을 알게 된다. 동시에, 전체 빌딩에서 조명을 억제하는 기본 추세가 뒤이어진다.
스위칭 디바이스가 국부적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국부적 모듈은 또한 추가의 기능성에 의해, 즉 광 제어 디바이스의 기능성에 의해 확장될 수도 있다. 이는, 결합된 스위칭/광 제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이것은 이제 스위칭 디바이스의 두 개의 입력부들 중 하나와 출력부만을 포함한다. 내부적으로, 이전의 두 번째 입력부가 광 조절 유닛에 접속된다. 상기 내부 접속은 DALI 기능성을 활용할 필요가 없다. 두 번째 입력부 대신에, 램프를 국부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엘리먼트들을 작동시키거나 및/또는 센서들을 접속시킬 가능성이 존재한다.
국부적 모듈, 즉 스위칭 디바이스 또는 스위칭/광 제어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도 청구항 12에 청구되는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광을 포함하는 건물을 위한 광 제어 시스템과 관련되어 사용된다. 광 제어 시스템은: DALI와 상이한 표준에 따른 제1 버스(예컨대, LON(Local Operating Network), 또는 EIB(European Installation Bus))를 포함한다. 게이트웨이가 상기 버스에 상기 제1 버스로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된다. 상기 게이트웨이는, DALI 버스에 접속된 DALI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이번에는, DALI 버스에, 램프 제어 시스템이 접속될 수 있다, 즉 전술된 스위칭 디바이스의 두 번째 입력부의 도움으로 접속될 수 있다. 광 제어 시스템은 마지막으로 제1 버스에 접속된 중앙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광 제어 시스템이 작동될 때, 상기 제어 유닛은 제어 신호들을 제1 버스, 게이트웨이, 마지막으로 DALI 버스를 통해, 물론 램프 제어 시스템 내에 위치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광을 제어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하기의 개별적인 단계들을 포함한다: 한편으로, 광 조절 유닛이, 국부적 작동 엘리먼트(통상적으로 스위치)의 동작 또는 국부적 센서(예컨대, 존재를 측정함; 열 센서 또는 카메라)의 신호들 덕분에, 제1 제어 신호들을 제1 DALI 버스를 통해 광을 국부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이와는 독립적으로, 제2 제어 신호들이 스위칭 디바이스에 제2 DALI 버스를 통해 송신된다. 제2 제어 신호들은 또한 광을 제어하도록 의도되는데, 이것은 상기 경우에 중앙 제어일 수 있다, 즉 여러 광들에 동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그러한 제어일 수 있다. 그런 이후에 스위칭 디바이스는 각각의 경우에 미리 결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제1 제어 신호들 및 제2 제어 신호들에 우선순위를 할당하고, (적어도 초기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제어 신호들만을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전자식 안정기에 포워딩하고, 이번에는 상기 전자식 안정기가 제어 신호들을 추가로 처리하고 광에 대하여 출력 신호들을 전달한다. 우선순위들의 할당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제1 및 제2 제어 신호들이 상호 무관하게 생성(및 마지막으로 스위칭 디바이스에 송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우선순위를 할당하는 것은 가능한 충돌 상충을 해결한다.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더 높은 우선순위가 제1 결정된 클록 시간에 제1 제어 신호들에 할당되고, 더 높은 우선순위가 제2 결정된 클록 시간에 제2 제어 신호들에 할당된다. 상기 실시예는 특히 단순하고, 광을 국부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각각의 건물 안에 사람이 위치하는 경우에 적절하단 사실을 고려한다, 즉 여러 광들을 동시에 영향을 끼치는 제어는 건물에 사람이 없을 때 적절하다. 그러나, 이를 위해 통상적인 클록 시간들이 존재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위칭 디바이스는 제어 신호들에 의해 전달되는 상이한 타입의 명령들 사이를 구별한다. 우선순위는 제1 및 제2 제어 신호들 내 명령 타입들에 따라 할당된다. 상기 실시예는 매우 유연성 있는데, 그 이유는 다중 명령들의 경우, 원칙적으로 모든 타입들의 명령들에 적용될 필요 없이, 한편으로, 국부적 제어가 우선순위를 받고, 다른 한편으로 중앙 제어가 우선순위를 받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방법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어 디바이스는 시간상 앞서 수신된 신호들에 따라 우선순위를 할당하는데, 이러한 어레인지먼트에서, 특히, 앞서 수신된 신호들에 대하여 더 이른 우선순위 할당들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는 일정한 신호 시퀀스들이 통상적으로 사용될 때 특히 적절하다. 예컨대, 신호 시퀀스가 처음 우선순위를 받았을 경우, 상기 신호 시퀀스가 지속될 때 상기 우선순위를 또한 보유하여야 한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며, 상기 도면은 건물을 위한 광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은 전체적으로 10에 의해 지시된, 건물을 위한 광 제어 시스템의 도면.
건물 내 각각의 광을 위해, 제어 시스템(12)이 국부적으로 제공된다. 상기 도 1은 두 개의 제어 시스템들(12)을 나타낸다. 상기 제어 시스템들 사이의 점들은 다중의 상기 시스템들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묘사하도록 의도된다. 제어 시스템들은 상기 두 개의 도시된 제어 시스템들(12)이 동일한 타입을 갖는 것으로 현재 도시되어 있을지라도, 전혀 동일한 타입을 가질 필요가 없다. 시스템들(12)은 각각의 경우에 두 개의 전자식 안정기들(14)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식 안정기들(14)은 각각의 경우에 광에 접속된다. 광은 예컨대 두 개의 램프들(16)을 포함한다. 점선을 이용하여 각각의 시스템(12)에서 두 개의 램프들(16)을 분리시키는 것은 상기 두 램프들이 공통으로 하나의 광을 형성하는 것을 묘사하도록 의도된다. 제어 시스템(12)은 또한 스위칭 디바이스(18)를 포함한다. 스위칭 디바이스(18)는 세 개의 DALI 인터페이스들을 갖는데,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들(22,28)은 DALI 입력부를 제공하고 제3 인터페이스(24)는 DALI 출력부를 제공한다. 출력부에, 즉 DALI 인터페이스(24)에 DALI 버스(26)가 접속되고, 전자식 안정기들(14)은 DALI 인터페이스(28)를 이용하여 DALI 버스(26)에 접속된다.
시스템(12)은 또한 광 부근에서 국부적으로 배열된 엘리먼트들, 즉 키 스위치 또는 광 스위치(30) 및 센서(32)를 포함한다.
원칙적으로, 두 개의 엘리먼트들 중 하나(30 또는 32)로도, 본 명세서에 두 개 모두가 도시되어 있더라도, 충분하다. 키 스위치(30)는 임의의 종래의 광 스위치를 이용하는 것과 같이 램프를 스위치 온 하고 스위치 오프 하는 기능성을 갖도록 의도된다. 센서(32)는 램프에 의해 비추어지는 영역에 사람이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도록 의도된다. 센서(32)는 카메라일 수 있다. 열 및 광 센서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키 스위치들(30,32)은 광 조절 유닛(34)에 접속되고, 상기 광 조절 유닛(34)은 엘리먼트들(30,32)로부터 나오는 신호들을 선택하여 전자식 안정기들(14)을 위한 제어 신호들로 변환한다. 상기 광 조절 유닛(34)은 DALI 인터페이스(36)를 갖고, DALI 버스(38)를 통해 스위칭 디바이스(18)의 하나의 입력부, 여기서는 DALI 인터페이스(22)에 접속된다. 따라서, 광 조절 유닛(34)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은 스위칭 디바이스(18)를 통해 출력부(24)에 전도될 수 있다. 이것은 광을 국부적으로 제어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중앙 제어를 동시에 제공하기 위하여, DALI 버스(38)(자연스럽게 DALI 버스(26)도)와 무관한 추가의 DALI 버스(40)가 각각의 경우에 스위칭 디바이스의 다른 입력부, 즉 DALI 인터페이스(28)에 제공된다. DALI 버스(40)는 바람직하게 건물 섹션을 넘어서 연장되는 멀티-광 버스이다. 광들의 중앙 제어는 제어 디바이스(42)에 의해 조정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42)는 또한, 건물 제어와 연관된, 예컨대 블라인드들, 난방 등의 적응들을 제어하는 것과 연관된 다른 직무들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42)의 직무들이 광 제어들에만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DALI 버스와 상이한 이 버스(44)는 인터페이스(46,46')를 통해 접속된다. 버스(44)는 예컨대 LON(Local Operating Network) 버스 또는 EIB(European Installation Bus)일 수 있다. 버스(44)로의 인터페이스(48) 및 DALI 버스(40)로의 인터페이스(50)를 갖는 게이트웨이(46)은 버스들(44 및 40) 간 접속으로서 제공된다. 따라서, 게이트웨이(46)는 자신을 거쳐 버스(44)를 통과하는 신호들을, DALI 버스(40)를 통해 반대로 송신되는 신호들로 변환한다. 버스(44) 상에는, 다른 기능성들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키 스위치, 즉 여기서는 키 스위치(52) 또는 센서(54)가 제공될 수도 있다. 키 스위치(52) 및 센서(54)는 예컨대 건물 입구에 위치한다. 따라서, 건물에 들어오는 사람은 건물 입구에 이미 있는 키 스위치(52)를 통해 건물 내 광을 스위치 온 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센서(54)를 통해, 사람이 건물에 진입중이고 선택된 광들이 예컨대 복도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는 것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 디바이스(42)는 상기 중앙 직무들을 관리하고, 대응하는 제어 명령들을 발행한다.
제1 제어 명령들이 이제 인터페이스(28)를 통해 스위칭 디바이스(18)에 도착하고, 제2 제어 명령들이 인터페이스(22)를 통해 도착하고 있다. 중앙 제어 명령들은 국부적 제어 명령들과 상충될 수 있다. 스위칭 디바이스(18)는 어느 신호가 언제 출력부 인터페이스(24)로 포워딩되는지에 관하여 결정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56)(CPU:central processing unit)을 갖는다. 이를 위한 기준이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에 저장딘다.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은 제어 신호들 내에서 결정된 명령 타입들을 식별하기 위해 설계된다. 결정된 명령 타입들은 우선순위를 받는데, 원칙적으로, 다른 결정된 명령 타입들이 일정한 제1의 다른 명령 타입들을 넘어서서 우선순위를 받고, 그러나 미리 결정되지 않은 제2의 다른 명령 타입들은 우선순위를 받지 않고, 원칙적으로 일부 명령 타입들은 우선순위를 갖지 않는다.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56)은 메모리(58)("M")와 상호작용할 수 있고, 예컨대 일정한 시간 동안에 일부 명령 타입들을 지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56)의 숙련된 프로그래밍은, 한편으로 제어 디바이스(42)에 의해 생성되어 DALI 버스를 통해 DALI 인터페이스(28)에 도달하는 제어 신호들과, 키 스위치(30)의 작동 또는 센서(32)의 활성화 때문에 생성되는 제어 신호들 간에 어쩌면 발생하는 상충들이 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중앙 제어(제어 디바이스(42)) 및 국부적 제어(광 조절 유닛(34))이 경쟁하도록 하는 것은 스위칭 디바이스(18)뿐이다.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가능하다. 따라서, 우선순위들의 클록-시간-종속적 발행은, 예컨대 특정한 클록 시간들에 그곳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떠나는 그러한 오피스 건물들에서 의미가 있다. 근무 시간 동안에, 국부적 제어(광 조절 유닛(34))는 기본적인 우선순위를 받을 수 있고, 오피스 시간 이외에, 중앙 제어(제어 디바이스(42))는 우선순위를 받을 수 있다. 추가의 구별을 위해, 초기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특정한 시간에 수행되는 명령이 이후 시간에 다시 취소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예컨대, 모든 광들이 오피스 건물에서 19:00시에 스위치 오프될 수 있다. 모든 다른 광들이 오피스 건물에서 스위치 오프 된 상태로 유지되는 반면에, 누군가 키 스위치(30)를 19:05시에 작동시키면, 즉 광을 다시 스위치 온 하길 원하면, 대응하는 명령이 스위치 스루(through) 되고 대응하는 광이 다시 국부적으로 활성화된다.
스위칭 디바이스(18)의 구조는 데이터가 반대 방향으로 흐를 수 있는 것을 금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예컨대, 제어 디바이스(42)는, 램프들(16) 중 하나가 결함성인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문의를 전자식 안정기(14)에 정기적인 시간 간격들로 송신할 수 있다. 전자식 안정기의 대응하는 응답이 메모리(58)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고, 전적으로 특정한 시간에, 예컨대 DALI 인터페이스(28)를 통해 수신되고 있는 신호들이 우선순위를 가질 때, DALI 인터페이스(28)를 통해 DALI 버스(40)로 및 게이트웨이(46)를 통해 제어 디바이스(42)로 전도될 수 있다.
스위칭 디바이스(18) 및 광 조절 유닛(34)이 별개의 유닛들로서 현재 도시되더라도, 그들은 또한 하나의 유닛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는, 단 하나의 입력부(28) 및 외부로의 하나의 출력부(24)를 갖고, 키 스위치(30) 또는 센서(32)가 접속될 수 있는 결합된 스위칭/광 조절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내부 접속은 DALI 버스(38)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처음 건물을 위한 광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시스템에서 국부 제어 및 중앙 제어는 유연성 있는 방식으로 서로를 보충한다. 이를 위해, 램프(램프(16)가 있든지 또는 없든지) 제어 시스템(12)이 각각의 경우에 국부적으로 제공되고, 스위칭 디바이스(18)의 인터페이스(28)는 동시에 전체 시스템(12)에 대한 입력부이다. 건물에서 버스들(44), 게이트웨이(46) 및 DALI 버스(40)에 의해 구현된 잔여 버스 구조는 매우 단순하다. 종래 기술에서, 예컨대 키 스위치(30) 또는 센서(32) 타입의 국부적 엘리먼트들이 직접적으로 건물 버스(버스(40)에 대응)에 접속되었던 반면에, 국부적 제어는 이제 중앙 제어 디바이스(42)와 완전히 무관하게, 즉 광 조절 유닛(34)의 도움으로 수행된다.

Claims (19)

  1. 스위칭 디바이스(18)로서,
    제1 독립적 DALI 버스(38)가 접속될 수 있는 제1 입력부(22), 및 제2 독립적 DALI 버스(40)가 접속될 수 있는 제2 입력부(28);
    제3 독립적 DALI 버스(26)가 접속될 수 있는 하나의 출력부(24); 및
    상기 제1 입력부(22) 및 상기 제2 입력부(28)를 통해 도착하는 신호들을 수신하고, 미리 결정된 기준들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들에 우선순위들을 할당하도록 설계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56)
    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들은 각자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출력부(24)에 제공되는,
    스위칭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신호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58)
    를 포함하는,
    스위칭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입력부(22) 및 상기 제2 입력부(28) 중 적어도 하나에 포워딩될 수 있는 리턴 신호들을 상기 출력부(24)를 통해 수신하도록 설계되는,
    스위칭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56)은, 상기 제1 입력부(22) 및 상기 제2 입력부(28)를 통해 이전에 수신된 신호들의 우선순위들에 따라 특정되는 시각에, 상기 리턴 신호들을 상기 제1 입력부(22) 또는 상기 제2 입력부(28)로 포워딩하는 것을 개시하도록 설계되는,
    스위칭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는 시계(clock)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56)은 시계 시각(clock time)에 따라 상기 우선순위들을 할당하는,
    스위칭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56)은 상기 신호들을 통해 전달되는 명령 타입들을 구별하고 상기 명령 타입들에 의해 상기 우선순위들을 할당하도록 설계되는,
    스위칭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56)은 개별 신호들의 수신의 순서에 따라 상기 우선순위들을 할당하도록 설계되는,
    스위칭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56)은 특정 신호들에 대하여, 상기 신호들이 상기 특정 신호들에 앞서 상기 특정 신호들과 동일한 입력부를 통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우선순위들을 할당하도록 설계되는,
    스위칭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는 상이한 독립적 입력부들을 통해 수신되고 있는 두 개의 입력 신호들로부터 하나의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계되는,
    스위칭 디바이스.
  10. 스위칭 및 광 제어 디바이스로서,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위칭 디바이스; 및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의 두 개의 입력부들 중 제1 입력부에 내부적으로 접속되는 광 조절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및 광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의 상기 제1 입력부 및 상기 출력부에 부가적으로, 램프를 국부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작동 엘리먼트 및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접속 능력을 갖는,
    스위칭 및 광 제어 디바이스.
  11. 램프(16)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12)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위칭 디바이스(18);
    DALI 버스(38)를 통해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18)의 두 개의 입력부들 중 제1 입력부(22)에 접속되는 광 조절 유닛(34)을 갖는 국부적 광 조절 시스템 ― 작동 엘리먼트들(30) 및 센서들(32) 중 적어도 하나가 램프(16)를 국부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광 조절 유닛(34)에 접속됨 ―; 및
    상기 램프(16)가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식 안정기(14) ―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18)의 출력부(24)가 DALI 버스(26)를 통해 각각의 전자식 안정기(14)에 접속됨 ―
    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18)의 두 개의 입력부들(22,28) 중 제2 입력부(28)는 또한 램프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12)의 입력부이어서, 상기 시스템(12)이 램프를 제어하기 위한 외부 DALI 버스(40)에 접속될 수 있는,
    램프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12. 적어도 하나의 광을 포함하는 건물을 위한 광 제어 시스템(10)으로서,
    DALI와는 상이한 표준에 따른 제1 버스(44);
    상기 제1 버스(44)에 대한 인터페이스(48) 및 DALI 인터페이스(50)를 갖는 게이트웨이(46);
    DALI 버스(40);
    제 11 항에 따른 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12); 및
    상기 제1 버스(44)에 접속되는 중앙 제어 유닛(42) ― 상기 중앙 제어 유닛(42)은 제어 신호들을, 상기 제1 버스(44), 상기 게이트웨이(46) 및 상기 DALI 버스(40)를 통해, 상기 램프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12)의 스위칭 디바이스(18)로 송신함 ―
    을 포함하는,
    광 제어 시스템.
  13. 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국부적으로 광을 제어하기 위하여, 광 조절 유닛(34)이 국부적 작동 엘리먼트(30)의 작동 또는 국부적 센서(32)의 신호들에 기초하여, 제1 제어 신호들을 제1 독립적 DALI 버스(38)를 통해 스위칭 디바이스(18)로 송신하고,
    여러 광들에 동시에 영향을 끼치는 제어를 위하여, 제2 제어 신호들이 제2 독립적 DALI 버스(40)를 통해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18)로 송신되고,
    각각의 경우에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는 미리 결정된 기준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들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들에 우선순위를 할당하고, 그리고 적어도 초기에, 각각의 경우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제어 신호들만을, 상기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제어 신호들을 추가로 처리하고 그리고 출력 신호들을 제3 독립적 DALI 버스(26)를 통해 광(16)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식 안정기(14)로 포워딩하는,
    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제1의 결정된 시계 시각들에서는, 상기 제2 제어 신호들의 우선 순위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가 상기 제1 제어 신호들에 할당되고,
    제2의 결정된 시계 시각들에서는, 상기 제1 제어 신호들의 우선 순위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가 상기 제2 제어 신호들에 할당되는,
    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18)는 상기 제어 신호들을 이용하여 전달되는 상이한 타입들의 명령들을 구별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들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들에서의 명령 타입들에 따라 우선순위를 할당하는,
    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는 시간상 앞서 수신된 신호들에 따라 우선순위를 할당하는,
    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56)은 특정 신호들에 대하여, 어느 신호들이 상기 특정 신호들에 앞서 상기 특정 신호들과 동일한 입력부를 통해 수신되었는지에 따라, 우선순위들을 할당하도록 설계되는,
    스위칭 디바이스.
  18. 삭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는 수신 신호들에 대한 우선순위 할당들에 따라 우선순위를 할당하는,
    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20097003522A 2006-07-20 2007-07-13 스위치기어, 램프 제어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광을 포함하는 건물에 대한 광 제어 시스템 KR1015490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33673A DE102006033673A1 (de) 2006-07-20 2006-07-20 Schaltgerät, System zum Steuern einer Lampe und Lichtsteuerungssystem für ein Gebäude mit zumindest einer Leuchte
DE102006033673.9 2006-07-20
PCT/EP2007/057248 WO2008009637A1 (de) 2006-07-20 2007-07-13 Schaltgerät, system zum steuern einer lampe und lichtsteuerungssystem für ein gebäude mit zumindest einer leuch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712A KR20090035712A (ko) 2009-04-10
KR101549041B1 true KR101549041B1 (ko) 2015-09-01

Family

ID=38654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3522A KR101549041B1 (ko) 2006-07-20 2007-07-13 스위치기어, 램프 제어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광을 포함하는 건물에 대한 광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129921B2 (ko)
EP (1) EP2044814A1 (ko)
JP (1) JP5156743B2 (ko)
KR (1) KR101549041B1 (ko)
CN (1) CN101491161B (ko)
AU (1) AU2007276204B2 (ko)
DE (1) DE102006033673A1 (ko)
WO (1) WO20080096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00463B4 (de) * 2006-09-15 2011-12-01 Honeywell Technologies S.A.R.L. Steuergerät
US8214084B2 (en) 2008-10-24 2012-07-03 Ilumisys, Inc. Integration of LED lighting with building controls
WO2010048987A1 (de) * 2008-10-28 2010-05-06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Gerät für eine lampenanwendung, verfahren zur kommunikation zwischen geräten
DE102009015068A1 (de) 2009-03-26 2010-10-07 Abb Ag Überspannungsschutz für ein Busgerät
GB201015756D0 (en) * 2010-09-21 2010-10-27 Airbus Operations Gmbh Remote data concentrator
DE102010042724A1 (de) * 2010-10-21 2012-04-26 Osram Ag Gerät für eine Lampenanwendung und Verfahren zur Ansteuerung des Geräts
KR20120095153A (ko) * 2011-02-18 2012-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Dali 통신 기반의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US9241389B2 (en) * 2012-03-23 2016-01-19 Cooper Technologies Company Digital lighting sub-network interface
DE102012205226A1 (de) * 2012-03-30 2013-10-02 Zumtobel Lighting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von Geräten in einem Beleuchtungssystem
US9398668B2 (en) * 2012-07-10 2016-07-19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lternative communication path for management of lighting network elements
CN105052007B (zh) * 2013-03-20 2019-02-26 飞利浦灯具控股公司 Dc配电系统
DE202013012557U1 (de) * 2013-08-08 2017-07-18 Insta Gmbh Steuervorrichtung für ein Leuchtmittel
DE102013223506A1 (de) * 2013-11-18 2015-05-21 Trilux Medical Gmbh & Co. Kg Versorgungseinheit mit verschiebbarer Lichtquelle
KR101433190B1 (ko) * 2014-04-07 2014-08-27 주식회사 에이비아이시스템스 파워플렉서를 이용한 전력과 통신 통합 배선용 장치
JP6288843B2 (ja) * 2014-04-24 2018-03-07 大成建設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
CN104244541B (zh) * 2014-10-17 2017-02-22 成都四为电子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照明监控系统
EP3725134A1 (de) * 2017-12-11 2020-10-21 MA Lighting Technology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teuerungssystems zur steuerung einer beleuchtungsanlage
DE102018000006B4 (de) * 2017-12-21 2019-10-24 Dietmar Friedrich Brück Bussystem und Master-Einheit zur Verwendung in einem Bussystem
JP6818190B1 (ja) * 2018-02-05 2021-01-20 シグニファイ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Signify Holding B.V. 待機モードにおいて低減された電力消費を有する、レトロフィット発光ダイオード(led)照明デバイス
EP3843507A1 (en) * 2019-12-27 2021-06-30 Zumtobel Lighting GmbH Transceiver for emulating an input device of a lighting system
DE102021105552B4 (de) 2020-03-08 2022-12-01 Rp-Technik Gmbh Notlichtbeleuchtungsanlage, erstellt aus autark operierenden Modulen, und Betrieb einer Notlichtbeleuchtungsanlage mit autark operierenden Modulen
CN112188697A (zh) * 2020-11-05 2021-01-05 宁波钧飞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面向不可靠ZigBee网络的灯光和空调控制算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1590A1 (en) * 2004-02-13 2005-09-01 Lutron Electronics Co., Inc. Multiple-input electronic ballast with processor
JP2005235775A (ja) * 2004-02-20 2005-09-02 Patent Treuhand Ges Elektr Gluehlamp Mbh 電子安定器におけるランプ作動方法及び電子安定器
WO2006065653A2 (en) * 2004-12-14 2006-06-22 Lutron Electronics Co., Inc. Distributed intelligence ballast system and extended lighting control protocol
US20060167572A1 (en) 2004-04-15 2006-07-27 Erco Leuchten Gmbh Device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lamp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7158B1 (en) * 2000-11-15 2003-01-14 Koninkljke Philips Electronics N.V. Protocol enhancement for lighting control networks and communications interface for same
US7417556B2 (en) * 2001-04-24 2008-08-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Wireless addressable lighting method and apparatus
US6810435B2 (en) * 2001-05-29 2004-10-26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Programmable identification in a communications controller
US20030020595A1 (en) * 2001-07-12 2003-01-30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ation of wireless networks using position information
DE102004055933A1 (de) * 2004-11-19 2006-05-24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Verfahren zur Vergabe von Kurzadressen in Beleuchtungsanlag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1590A1 (en) * 2004-02-13 2005-09-01 Lutron Electronics Co., Inc. Multiple-input electronic ballast with processor
JP2005235775A (ja) * 2004-02-20 2005-09-02 Patent Treuhand Ges Elektr Gluehlamp Mbh 電子安定器におけるランプ作動方法及び電子安定器
US20060167572A1 (en) 2004-04-15 2006-07-27 Erco Leuchten Gmbh Device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lamps
WO2006065653A2 (en) * 2004-12-14 2006-06-22 Lutron Electronics Co., Inc. Distributed intelligence ballast system and extended lighting control protoc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6033673A1 (de) 2008-01-24
CN101491161B (zh) 2013-05-08
JP2009544130A (ja) 2009-12-10
WO2008009637A1 (de) 2008-01-24
CN101491161A (zh) 2009-07-22
US8129921B2 (en) 2012-03-06
AU2007276204A1 (en) 2008-01-24
AU2007276204B2 (en) 2014-03-27
EP2044814A1 (de) 2009-04-08
JP5156743B2 (ja) 2013-03-06
US20090309512A1 (en) 2009-12-17
KR20090035712A (ko) 2009-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041B1 (ko) 스위치기어, 램프 제어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광을 포함하는 건물에 대한 광 제어 시스템
US8463454B2 (en) Wireless ballast control unit
JP6502329B2 (ja) 制御デバイスと被制御デバイスとを含むシステム
US7821210B2 (en) Control system for a plurality of lamp-operating devices that are arrang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method for initializing such a control system
JP2009021141A (ja) 照明制御装置
WO2001092139A1 (fr) Systeme de commande pour ascenseurs commandes en groupe
KR101602212B1 (ko) 지그비 연동 전원 중첩 방식의 조명제어시스템
JP2003045678A (ja) 照明制御装置
JP3829537B2 (ja) 照明装置
JP2008235127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US20220183129A1 (en) Lighting device, system comprising lighting device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ystem
JP5505017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7215602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03133081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3172319B2 (ja) 光走行式避難誘導装置
JP2016177985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7243864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00260575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US971323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lamp having a plurality of sub-units
EP4199657A1 (en) Priority control system, priority controller, and actuator
JP6920953B2 (ja) 照明制御装置および照明制御システム
JPH0927205A (ja) 照明システム
JPH0935876A (ja) 照明用中継器、照明器具、照明システム
JP2023107393A (ja) 照明制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トローラ
JP2000315585A (ja) 照明器具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