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384B1 -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 - Google Patents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384B1
KR101546384B1 KR1020150063707A KR20150063707A KR101546384B1 KR 101546384 B1 KR101546384 B1 KR 101546384B1 KR 1020150063707 A KR1020150063707 A KR 1020150063707A KR 20150063707 A KR20150063707 A KR 20150063707A KR 101546384 B1 KR101546384 B1 KR 101546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s
light
transmitted
inclined surface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병
Original Assignee
이춘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병 filed Critical 이춘병
Priority to KR1020150063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3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 F21V33/0032Paintings, pictures or photographs; Fram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들에 표현된 그림이 겹쳐져서 시각적으로 입체감을 갖도록 전방은 물론 측면에서도 투시되어 보일 수 있게 하는, 등록특허 제10-1185838호를 개량한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wall finish ornament of multi structure}
본 발명은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들에 표현된 그림이 겹쳐져서 시각적으로 입체감을 갖도록 전방은 물론 측면에서도 투시되어 보일 수 있게 하는, 등록특허 제10-1185838호를 개량한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건축물의 실내에는 장식용 벽체를 설치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얻고 있다. 즉, 벽면 혹은 칸막이벽면에 무늬가 표현된 벽지 혹은 타일 등을 부착 설치하여 인테리어를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벽지 혹은 타일은 단순한 종류의 무늬로 표출되고 있음으로서, 장시간 사용시 사용자로 하여금 싫증 감을 일으켜 미려함을 얻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벽지 혹은 타일만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디자인이나 단순하기 때문에 외적 미감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를 탈피하기 위해, 입체그림이나 홀로그램이 인쇄되어 있는 벽지나, 타일(국내특허 등록번호 제10-0845639호) 혹은 필름 등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역시 단순함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즉, 입체그림을 효과적으로 사람들에게 보여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입체그림이 인쇄된 타일(국내특허 등록번호 제10-0845639호)의 경우 이미지가 인쇄된 투명소재를 다수 결합하여 입체감 있는 이미지를 형성함으로서 입체적인 이미지가 투과되도록 한 것이나, 이러한 타일은 이미지가 인쇄된 투명소재들이 서로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뒤쪽에 위치하는 투명소재의 이미지는 빛의 투과율이 낮아 잘 보이지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 이미지들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단순하게 보여지기 때문에 입체감으로 보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본 출원에 의한 등록특허 제10-1185838호(이하, "선 특허"하 한다,)의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 특허"는 몸체의 내측면에 계단 형상의 단차 부위를 이루게 형성하여 그 단차 부위에 의해 서로 다른 그림이 표현된 투명판체들이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게 함으로서 상기 투명판체들에 표현된 그림이 겹쳐지게 보일 때 입체감을 갖도록 투시되어 보이게 함과 아울러 계단 형상의 단차 부위로 뒷부분에 위치하는 투명판체에 까지 빛이 투과되게 하여 뒷부분에 위치하는 투명판체에 표현된 그림이 전방에서 선명하게 투시되어 보일 수 있게 함으로서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장점을 갖는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845639호, 입체적인 이미지가 투과되는 장식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장식소재. 국내 등록특허 제10-1185838호,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 등록번호 제10-1185838호를 개량하여 소정 색상의 빛이 산란되게 함으로서 입체화를 더욱 극대화 할 수 있게, 인접하는 몸체들의 사이에서 단차에 의한 빛의 산란에 의해 보는 각도에 따라 변화가 일어나는 효과를 갖게 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한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 중공부를 갖는 후면(後面)만이 개구되도록 원형상, 사각형상,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며 전방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평면으로 형성된 유리, 크리스탈, 수지 중 어느 하나의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몸체; 상기 몸체의 후면 내측에 다겹으로 설치되고, 표면에는 서로 다른 그림 혹은 사진이 표현되어 있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패널들; 및 상기 패널들이 서로 겹쳐지는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게 하여 상기 공간부에 의해 겹쳐지는 그림 혹은 사진이 입체감을 갖도록 투시되어 보일 수 있게 상기 몸체의 테두리부에 상기 패널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단부는 몸체의 테두리를 따라 내측면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투과되는 빛이 단차 부위를 통해 뒷부분에 위치하는 패널들 및 공간부에 까지 전달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패널들의 그림 혹은 사진이 실사에 가깝게 보여지도록 빛이 산란되게 하는 실사 투시부:를 형성하되, 상기 실사 투시부는: 상기 몸체의 전방은 물론 옆쪽으로도 빛이 전달되어 산란되도록 상기 걸림단부를 형성하는 단차 부위에 45도의 각도를 이루며 형성된 경사면; 상기 경사면에 의해 산란되는 빛이 색상을 갖도록 상기 경사면에 설치된 적색과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으로 이루어진 반사체; 및 상기 반사체에 의한 빛의 색으로 패널에 전달되도록 상기 경사면에 빛이 산란되도록 상기 몸체의 후방에서 패널의 뒤쪽으로 위치되게 설치된 LED;를 포함하되, 상기 패널의 두께는 상기 경사면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패널의 외측 끝단면은 상기 경사면의 각도에 대응하는 45도의 각도를 이루게 형성되어, 상기 패널의 외측 끝단면에 상기 반사체가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LED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상기 경사면에 의해 패널로 전달시 상기 반사체의 색이 상기 패널로 전달되어 상기 패널에 표현된 그림의 색상과 반사체의 색상이 일치되는 경우 그 패널에 표현된 그림이 선명하게 보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는 좌우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며 연속되게 설치되되, 인접하는 몸체들의 사이에 충진되어, 상기 LED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단차에 의한 빛의 산란에 의해 보는 각도에 따라 변화가 일어나게 하는 몰탈 혹은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마감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재에 투과되는 빛이 좌우 혹은 상하 인접한 몸체에서 각각 투과됨으로서, 인접한 몸체에 구비되는 반사체의 색상이 다른 경우, 그 다른 색상이 각각 마감재에 투과되어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르게 보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에 의하면, 패널들에 표현된 그림이 겹쳐져 입체감을 갖도록 투시되어 보이게 함과 아울러 뒷부분에 위치하는 패널에 까지 빛이 투과되는 구조를 갖게 하여 뒷부분에 위치하는 패널에 표현된 그림이 전방은 물론 측면에서도 선명하게 투시되어 보일 수 있게 함으로써 실내 장식 및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소정 색상의 빛이 산란되게 하여 입체화를 극대화할 수 있게 함으로서, 실사에 가까운 입체감을 전방은 물론 측면에서도 투시되어 보이게 하고, 이로 인해 인테리어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인접하는 몸체들의 사이에서 단차에 의한 빛의 산란에 의해 보는 각도에 따라 변화가 일어나는 효과를 갖게 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에서 LED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경사면 및 반사체에 의해 소정 색상을 갖으며 투과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에 구비되는 몸체를 인접하여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표시의 "B"부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5표시를 좌측에서 보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표시의 "C"부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등록특허 제10-1185838호의 일부 구성을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0-1185838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0-1185838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정 구성 일부를 개선한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의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0-1185838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고,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실사 투시부의 구성에 대하여서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에서 LED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경사면 및 반사체에 의해 소정 색상을 갖으며 투과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에 구비되는 몸체를 인접하여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표시의 "B"부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5표시를 좌측에서 보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표시의 "C"부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는 몸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몸체(110)는 투명한 재질로 내부 중공부(110a)를 갖는 후면(後面)만이 개구되게 형성된 것으로, 원형상, 사각형상,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외의 장방형상, 반구형상, 삼각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몸체(110)는 유리나 크리스탈 혹은 수지 중 어느 하나의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110)는 단면(斷面)에서 보아 전방으로 돌출되는 곡면 구조를 이루게 형성하여 외적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몸체(110)의 전면(외면)이 전방으로 볼록한 곡면을 이루게 형성하는 것만으로도 실내 장식에 대한 외적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110)의 정면은 전방으로 곡면을 이루게 돌출되지 않고 평면 형태로 형성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패널(112a,112b,112c)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 패널(112a,112b,112c)들은 표면에 소정 형상의 그림 혹은 사진이 표현되어 상기 몸체(110)의 후면 내측으로 겹쳐지게 설치된다. 즉, 상기 패널(112a,112b,112c)에 표현된 소정 형상의 그림 혹은 사진은 서로 다른 그림으로 인쇄되어 상기 그림들이 겹쳐서 보이게 한다.
이러한 패널(112a,112b,112c)들을 겹쳐지게 설치하게 되면, 그 패널(112a,112b,112c)들에 표현된 그림 혹은 사진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보이면서 입체감을 갖도록 투시되어 보일 수 있다. 즉, 상기 패널(112a,112b,112c)들에 표현된 서로 다른 그림 혹은 사진이 겹쳐진 상태로 상기 몸체(110)를 투시되어 보이면서 입체감을 갖도록 상기 패널들은 소정 간격을 이루며 이격되게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는 걸림단부(114)를 구비하고 있다. 이 걸림단부(114)는 상기 패널(112a,112b,112c)들이 몸체(110)에 설치될 때, 상기 패널(112a,112b,112c)들의 사이에 공간부(116)가 형성될 수 있게 하여, 상기 공간부(116)에 의해 겹쳐져 보이는 그림이 입체감을 갖게 보이게 한다.
이러한 걸림단부(114)에 상기 패널(112a,112b,112c)들을 고정 설치할 때, 상기 패널(112a,112b,112c)들은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부착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수단으로는 접착제 혹은 접착필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패널(112a,112b,112c)들의 테두리에 접착제 혹은 접착필름을 설치하여 걸림단부(114)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걸림단부(114)에 의해 상기 패널(112a,112b,112c)들의 사이에 공간부(116)가 형성될 수 있게 하고자, 상기 몸체(110)의 내측면에 걸림단부(114)를 단차지게 형성하여 그 단차진 부위에 상기 패널(112a,112b,112c)들을 설치하게 되면, 몸체(110)의 내부로 투과되는 빛이 상기 단차 부위를 통해 뒷부분에 위치하는 패널(112a) 및 공간부(116)에 까지 빛이 전달되어, 뒷부분에 위치하는 패널의 그림이 몸체(110)의 전방은 물론 몸체(110)의 옆쪽에서도 선명하게 투시되어 보일 수 있게 하였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몸체(110)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몸체(110)의 전방에서 내부로 투과되는 빛이 도 2와 도 3표시와 같이 단차 부위를 통해서도 투과되므로, 단차 부위를 통해 투과되는 빛이 뒷부분에 위치하는 패널에까지 전달되어 뒷부분에 위치하는 패널의 그림도 전방과 아울러 측면에서도 선명하게 보이게 되며, 이는 공간부(116)에 의해 더욱 선명하게 보여 지게된다.
또한, 단차를 이루게 형성되는 걸림단부(114)에 의해, 패널(112a,112b,112c)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116)들은 뒷부분으로 갈수록 넓은 면적을 갖게 되므로, 빛 투과율을 좋게 하여 뒷부분에 위치하는 장식판체(112c)의 그림까지 선명하게 전방은 물론 측면으로부터도 투시되어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걸림단부(114)에 의해 패널(112a,112b,112c)들의 사이에 공간부(116)가 형성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걸림단부(114)를 계단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서, 상기 패널(112a,112b,112c)들에 표현되어 겹쳐지게 보일 때 뒷부분에 위치하는 패널(112c)에 까지 빛이 전달되어 선명하게 보이게 됨은 물론, 겹쳐져 보이는 그림들이 공간부(116)에 의해 입체감을 갖도록 투시되어 보일 수 있다. 즉, 상기 공간부(116)에 의해 패널(112a,112b,112c)들에 표현된 그림은 보는 시각에 따라 다른 느낌을 갖는 입체감으로 보이게 됨은 물론, 뒷부분에 위치되는 패널에 까지 빛이 전달됨으로서 뒷부분에 위치하는 패널의 그림도 선명하게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패널(112a,112b,112c)들에 표현된 서로 다른 그림들이 서로 겹쳐졌을 경우 상기 공간부(116)에 의해 입체감을 갖도록 투시되어 보일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 어느 하나의 패널에는 배경 그림을, 그리고 다른 패널에는 사람과 같은 세부적인 그림으로 분리하여 표현함에 의해, 이 그림들이 겹쳐져서 보일 경우 상기 공간부(116)에 의해 입체감을 갖도록 상기 몸체(110)를 통해 투시되어 보이게 된다.
또한, 상기 패널(112a,112b,112c)들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면 표시와 같이 3장의 패널(112a,112b,112c)들을 구성함이 가장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 2장 혹은 4장 등 다양한 개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패널(112a,112b,112c)들의 개수가 많을수록 더욱 입체감을 살려 투시되어 보이게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는 실사 투시부(118)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사 투시부(118)는 등록특허 제10-1185838호의 구성에서 일부를 개선한 부분으로 본 발명의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의 특징을 이룬다.
이와 같은 실사 투시부(118)는, 상기 패널(112a,112b,112c)들의 그림 혹은 사진이 실사에 가깝게 투시되어 보여지게 하고자 빛이 산란되어 투과되게 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실사 투시부(118)는 몸체(110)의 테두리를 따라 내측면에 단차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110)의 후방에서 패널(112a,112b,112c)의 뒤쪽으로 위치되게 LED(120)가 설치되어, 상기 LED(120)로부터 발광되는 빛에 의해 상기 패널(112a,112b,112c)들의 그림 혹은 사진이 실사에 가깝게 보여지도록 상기 LED(120)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산란되어 투과되게 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상기 실사 투시부(118)는, 경사면(114a)과 소정 색상을 갖는 반사체(118a) 및 LED(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114a)은 걸림단부(114)를 형성하는 단차부위에 형성하고, 그 경사면(114a)에 반사체(118a)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LED(120)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상기 경사면(114a)에 의해 몸체(110)의 측면으로부터도 빛이 전달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반사체(118a)에 의하여 소정 색상을 갖도록 하여 산란되게 한다.
이때, 상기 반사체(118a)는 적색과 청색으로 이루어지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상기 경사면(114a)의 각도는 45도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좋으나, 그 외의 각도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경사면(114a) 부위에서 빛이 산란되어 투과되게 함으로서 실사에 가깝게 보여질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반사체(118a)에 소정 색상이 부여되면 그 색상에 의해 또 다른 신미감을 갖도록 그림 및 사진이 보여지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사 투시부(118)는 상기 패널(112a,112b,112c)의 뒤쪽에 설치되는 상기 LED(120)에 의해 더욱 확실하게 실사에 가깝게 보여지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LED(120)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상기 경사면(114a)에서 산란되어 투과되게 하여 상기 몸체(110)를 통해 보여지는 그림 혹은 사진이 사람들에게 더욱 확실하게 보이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LED(120)는 몸체(110)의 후단 내측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10)가 설치되는 벽체 혹은 판넬 등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뒤쪽에 설치되는 LED(120)에서 발광되는 빛이 상기 반사체(118a)에 의해 소정 색상을 갖으면서 공간부(116) 측으로 전달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고, 특히 경사면(114a)을 통해 산란되어 투과되게 함으로서 더욱 확실한 입체감의 표현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패널(112a,112b,112c)들이 다겹으로 설치된 몸체(110)를 다수의 개수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벽체에 다수 개의 몸체(110)들을 좌우상호로 연속하여 일정 간격을 이루게 배열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110)는 좌우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며 연속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인접하는 몸체(110)들의 사이에는 몰탈 혹은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마감재(140)를 충진하여, 단차에 의한 빛의 산란에 의해 보는 각도에 따라 변화가 일어나는 효과를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마감재(140)에 투과되는 빛이 좌우 혹은 상하 방향으로 인접한 몸체(110)에서 각각 투과됨으로서, 인접한 몸체(110)에 구비되는 반사체(118a)의 색상이 다른 경우, 그 다른 색상이 각각 마감재(140)에 투과되어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르게 보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외부 공간의 장식 효과를 갖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옆으로 나가는 빛에 의해 연속 치장의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그림이 표현된 패널(112a,112b,112c)들의 사이에 공간부(116)가 형성되도록 다겹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단차 부위에 패널들을 설치함에 의해 상기 단차 부위를 통해 뒷부분에 위치하는 패널 및 공간부에 까지 빛이 전달되게 하여 뒷부분에 위치하는 패널의 그림을 몸체(110)의 전방과 측면에서 선명하게 투시되어 보이게 할 수 있다.
특히, 단차 부위에 경사면(114a)과 소정 색상을 갖는 반사체(118a) 및 LED(120)를 설치함으로서, 상기 LED(120)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상기 경사면(114a)과 반사체(118a)에 의해 색상을 가지면 산란되어 상기 패널(112a,112b,112c)들에 표현된 그림이 겹쳐지게 보일 때 실사에 가깝게 투시되어 보이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면에서 도 4표시와 같이, 그림 및 사진이 표현되어 있는 패널에 적색의 반사체는 패널 그림의 적색부분(패널을 타고 간 빛에 의해)의 그림을 더욱 선명하게 보여지게 하고, 같은 구성의 청색 반사체는 청색부분의 그림을 선명하게 보여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LED(120)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상기 경사면(114a)에 의해 패널로 전달시 상기 반사체(118a)의 색이 상기 패널에 표현된 그림의 색상과 일치되어 패널에 표현된 그림이 선명하게 보여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패널(112a,112b,112c)의 두께가 상기 경사면(114a)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패널(112a,112b,112c)의 외측 끝단면이 경사면의 각도와 대응하는 45도의 각도를 이루게 형성되어, 상기 패널(112a,112b,112c)의 외측 끝단면에 상기 반사체(118a)가 밀착되도록 설치됨으로서, 상기 LED(120)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상기 경사면(114a)과 반사체(118a)에 의해 패널로 전달되면서 패널에 표현된 그림을 더욱 실감나는 입체감 있게 보여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적색과 청색의 반사체에 의해 전체 구조에 빛의 변화를 줄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반사체는 외측 끝단면에 경사면과 대응하는 각도를 이루게 형성되어 반사체가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구조로써, 일반인들이 쉽게 생각할 수 없는 구조이다. 즉, 이와 같은 구조는 본 출원인에 의한 특허등록 제10-1185838호의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에 의한 입체 표현 방식과는 전혀 다른 입체 표현 방식으로, 등록특허 제10-1185838호를 개량한 구조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10 - 몸체 112a,112b,112c - 패널
114 - 걸림단부 114a - 경사면
116 - 공간부 118 - 실사 투시부
118a - 반사체 120 - LED

Claims (1)

  1. 내부 중공부(110a)를 갖는 후면(後面)만이 개구되도록 원형상, 사각형상,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며 전방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평면으로 형성된 유리, 크리스탈, 수지 중 어느 하나의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후면 내측에 다겹으로 설치되고, 표면에는 서로 다른 그림 혹은 사진이 표현되어 있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패널(112a,112b,112c)들; 및
    상기 패널(112a,112b,112c)들이 서로 겹쳐지는 사이에 공간부(116)가 형성될 수 있게 하여 상기 공간부(116)에 의해 겹쳐지는 그림 혹은 사진이 입체감을 갖도록 투시되어 보일 수 있게 상기 몸체(110)의 테두리부에 상기 패널(112a,112b,112c)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단부(114):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단부(114)는 몸체(110)의 테두리를 따라 내측면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1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투과되는 빛이 단차 부위를 통해 뒷부분에 위치하는 패널(112a,112b,112c)들 및 공간부(116)에 까지 전달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패널(112a,112b,112c)들의 그림 혹은 사진이 실사에 가깝게 보여지도록 하는 실사 투시부(118):를 형성하되,
    상기 실사 투시부(118)는:
    상기 몸체(110)의 전방은 물론 옆쪽으로도 빛이 전달되어 산란되도록 상기 걸림단부(114)를 형성하는 단차 부위에 45도의 각도를 이루며 형성된 경사면(114a);
    상기 경사면(114a)에 의해 산란되는 빛이 색상을 갖도록 상기 경사면(114a)에 설치된 적색과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으로 이루어진 반사체(118a); 및
    상기 반사체(118a)에 의한 빛의 색으로 패널에 전달되도록 상기 경사면(114a)에서 빛이 산란될 수 있게 상기 몸체(110)의 후방에서 패널(112a,112b,112c)의 뒤쪽으로 위치되게 설치된 LED(120);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112a,112b,112c)의 두께는 상기 경사면(114a)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패널(112a,112b,112c)의 외측 끝단면은 상기 경사면(114a)의 각도에 대응하는 45도의 각도를 이루게 형성되어, 상기 패널(112a,112b,112c)의 외측 끝단면에 상기 반사체(118a)가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LED(120)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상기 경사면(114a)에 의해 패널로 전달시 상기 반사체(118a)의 색이 상기 패널로 전달되어 상기 패널에 표현된 그림의 색상과 반사체의 색상이 일치되는 경우 그 패널에 표현된 그림이 선명하게 보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
KR1020150063707A 2015-05-07 2015-05-07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 KR101546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707A KR101546384B1 (ko) 2015-05-07 2015-05-07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707A KR101546384B1 (ko) 2015-05-07 2015-05-07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616 Division 2014-05-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384B1 true KR101546384B1 (ko) 2015-08-21

Family

ID=5406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707A KR101546384B1 (ko) 2015-05-07 2015-05-07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3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7402B2 (ja) 1990-10-03 2000-02-07 株式会社松谷製作所 歯科用ハンドピース
JP2003246200A (ja) 2002-02-25 2003-09-02 Raizu:Kk 装飾パネル
KR101185838B1 (ko) 2012-05-16 2012-10-02 이춘병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7402B2 (ja) 1990-10-03 2000-02-07 株式会社松谷製作所 歯科用ハンドピース
JP2003246200A (ja) 2002-02-25 2003-09-02 Raizu:Kk 装飾パネル
KR101185838B1 (ko) 2012-05-16 2012-10-02 이춘병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8035B2 (en)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having 3D sheet
EP3426974B1 (en) Lighting device with sparkling effect
US10775026B2 (en) Moon appearance generating system
JP2010148684A (ja) 遊技機用演出表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遊技機
JP2012034849A (ja) ドットマトリクス表示器
JPH0956888A (ja) 遊技機
WO2017144371A1 (en) Lighting device with sparkling effect
KR101185838B1 (ko)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
KR101546384B1 (ko)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
EP0425670A4 (en) Decorative colour-dynamic material
KR101449739B1 (ko) 조명 모듈
KR101211648B1 (ko) 입체감을 표현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CN113366257A (zh) 照明设备
JP4633596B2 (ja) 星空表示装置,これを有する家具,建造物およびミラーハウス
KR102365959B1 (ko) 다색 조명 장치
JP6734351B2 (ja) 装飾体、装飾体照明設備、装飾体製造装置及び装飾体製造方法
KR101293991B1 (ko) 이미지 표시장치
US11987071B2 (en) Device with backlit colored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08261211A (ja) 偏光板の利用方法、並びに偏光板を用いて成る構築物、並びにペン立て、並びに身飾品、並びにゲーム玩具、並びに入れ物。
JP2019106291A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システム
JP6019445B2 (ja) 遊技機
JP3214212U (ja) 額縁
JP2017119416A (ja) 装飾具
JP2009083375A (ja) 装飾用パネル
TW201400870A (zh) 立體成像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