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648B1 - 입체감을 표현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입체감을 표현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648B1
KR101211648B1 KR1020110138677A KR20110138677A KR101211648B1 KR 101211648 B1 KR101211648 B1 KR 101211648B1 KR 1020110138677 A KR1020110138677 A KR 1020110138677A KR 20110138677 A KR20110138677 A KR 20110138677A KR 101211648 B1 KR101211648 B1 KR 101211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mage
light emitting
half mirror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8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성길
김병훈
Original Assignee
(주)한국킹유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킹유전자 filed Critical (주)한국킹유전자
Priority to KR1020110138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6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8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both translucent and non-translucent 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14Arrangements of reflectors therei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3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moving optical part of parts, e.g. mirr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14Arrangements of reflectors therein
    • G09F2013/145Arrangements of reflectors therein curved refle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86Special effects
    • G09F2013/189Three dimensional effects

Abstract

본 발명은 인테리어 벽면, 익스테리어 벽면, 간판, 사인 보드, 포스트박스, 광고물, 시계, TV, 가전제품, 가구 및 다양한 이미지 표시물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합적인 입체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이미지 표시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입체감을 표현하는 이미지 표시장치{3D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입체감을 표현하는 이미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출되어 일정 시간 동안 면에 반복 반사되는 빛의 시차를 이용한 입체적인 효과를 구현하는 입체감을 표현하는 이미지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를 입체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좌측, 우측 안구에 서로 다른 영상을 제공하여, 인체의 뇌에서 두 영상을 합성함으로써 평면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입체로 느끼도록 한다. 따라서, 평면 이미지를 입체로 느끼도록 하기 위해서는 좌측 및 우측 안구에 서로 다른 영상을 제공하는 편광필터 안경을 착용해야 하며, 편광필터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평면 이미지를 입체로 인식할 수 없으므로 TV 또는 모니터 화면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08-0074223호 '공간 연출기'는 하프미러와 아크릴 미러간의 간격 및 각도를 조절하고 3색 LED를 하프미러와 미러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반사시키는 공간 연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색 LED에서 발생하는 광의 가시광을 입체적으로 스펙트럼화시킴에 따라 연출 공간의 깊이를 표현하는 공간 연출기에 관한 것이다. 하프미러는 광 투과율이 30% ~ 50%인 아크릴 또는 유리로 형성되며 빛의 일부는 투과하고 나머지는 반사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하프미러와 미러 사이에 이미지 필름이 배치되도록 하면, 이미지 필름에 형성되는 이미지는 하프미러 외부로 돌출되는 듯한 입체감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두 장의 하프미러 사이에 위치하는 이미지 필름의 입체감은 이미지 필름에 표시된 이미지가 단순히 하프미러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를 보여줄 뿐 그 이상의 다양한 이미지 효과를 구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이미지 표시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프미러, 미러 및 투명 빛 조사체를 이용하여 입체 효과를 구현 가능한 입체감을 표현하는 이미지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미지 필름을 대신하는 사물을 입체 영상으로 표현 가능한 입체감을 표현하는 이미지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호 평행하게 마주보며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제1하프미러 및 제2하프미러; 상기 제1하프미러와 상기 제2하프미러 사이의 상기 공간을 향해 빛을 측면 투사하여 상기 공간에 입체감을 부여하는 제1발광소자; 상기 제2하프미러의 일 영역에 마련되며, 표현 대상 이미지를 포함하고, 아크릴, 유리,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투명 및 반투명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는 이미지 조성 부재; 및 상기 이미지 조성 부재, 상기 제2하프미러 및 상기 제1하프미러의 순서대로 빛이 투과하도록 상기 이미지 조성 부재의 일 측면에서 빛을 투사하여 상기 입체감이 형성된 공간에 상기 이미지 조성 부재의 이미지를 투영하는 제2발광소자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인테리어 벽면, 익스테리어 벽면, 간판, 사인 보드, 포스트박스, 광고물, 시계, TV, 가전제품, 가구 및 다양한 이미지 표시물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합적인 입체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에서 입체감을 구현하는 방식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1 이미지 표시장치, 제 2 이미지 표시장치, 제 3 이미지 표시장치 및 제 4 이미지 표시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투명 빛 조사체에 발광소자부를 끼움 또는 몰딩 결합하는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시계 이미지 표시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10은 도 9에 개시된 이미지 표시장치에서 입체감을 구현하는 방식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의 측면 사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광고판 사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시계 이미지 표시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감을 표현하는 이미지 표시장치에서 입체감을 구현하는 방식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입체감을 표현하는 이미지 표시장치(이하, 이미지 표시장치라 한다)는 입체감 형성을 위해 한 쌍의 하프미러(301, 302)를 구비하며, 한 쌍의 하프미러(301, 302) 사이에는 발광소자(304)가 마련된다.
하프미러(301, 302)는 임계각(θ1) 이상의 빛은 외부로 투사하고, 임계각(θ1) 이내의 빛은 내부로 반사시키는 미러(Mirror)로서, 외부 노출 면의 반사율에 비해 내측 방향의 반사율이 더 높게 설정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한 쌍의 하프미러(301, 302)를 이격된 상태에서 마주보게 배치하고, 하프미러(301, 302) 사이에 구비되는 발광소자(304)에서 빛을 방출할 때, 임계각(θ1)(예컨대 60도, 이하 생략함) 이하의 빛(B2)은 하프미러(301, 302) 사이에서 무한 반복되고, 임계각(θ1) 이상의 빛(B1) 하프미러(301, 302) 외부로 방출된다. 임계각(θ1)을 만족하지 못하고 하프미러(301, 302) 사이에서 수차 반복되던 빛 중 일부는 임계각(θ1)을 만족하여 하프미러(301, 302)의 외부로 방출되며, 이때, 외부로 방출되는 빛(B3)은 빛(B1)과의 시차(T1)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시차(T1)에 의해 한 쌍의 하프미러(301, 302) 사이의 공간은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다. 발광소자(304)는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며, 발광소자(304)의 발광 면은 하프미러(301, 302)의 면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발광면과 하프미러(301, 302)의 면 방향에 대한 위치관계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쳐 공히 적용될 수 있다. 발광소자(304)는 하프미러(301)와 하프미러(302) 사이에 위치하고, 균일한 입체감을 위해 중심점은 하프미러(301)와 하프미러(302) 사이의 거리가 균등할 수 있으며, 발광소자(304)와 하프미러(301, 302) 사이의 거리 관계 또한 본 발명 전반에 걸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D1과 D2의 비가 1:1 ~ 1:1.5일 수 있으나, 이 수치는 증감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 1 이미지 표시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이미지 표시장치는 하프미러(301, 302), 제1발광소자(304), 제2발광소자(305), 및 이미지 조성 부재(3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프미러(302)는 일 영역에 개방 영역(314)을 구비하며, 개방 영역(314)에는 이미지 조성 부재(306)가 배치되고, 제2발광소자(305)는 이미지 조성 부재(306)의 후단에서 이미지 조성 부재(306)를 향해 광을 투사할 수 있다.
제1발광소자(304)가 한 쌍의 하프미러(301, 302) 사이로 투사하는 광은 임계각(θ1)을 만족하여 선 방출된 빛과, 후 방출되는 빛의 시차에 비례하여 입체감을 구현한다. 이때, 제2발광소자(305)에 의해 투사된 광(B4)은 하프미러(302)의 임계각(θ1)을 만족하므로 외부로 이탈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조성 부재(306)를 투과한 빛(B4)이 가장 먼저 외부로 이탈하며, 제1발광소자(304)의 빛은 임계각(θ1)을 만족할 때, 하프미러(302)를 이탈하는 빛(B5, B6)이 형성되므로, 양자 간 시차(T2)만큼 이미지 조성 부재(306)를 투과한 빛(B4)이 하프미러에서 돌출되어 입체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미지 조성 부재(306)는 아크릴, 유리, 플라스틱, 크리스탈,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조성 부재(306)는 표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조형물일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조성 부재(306)는 상품모형, 인물모형, 동물모형, 기업의 로고 또는 기타 다양한 조형물일 수 있다. 다만,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미지 조성 부재(306)는 한 쌍의 하프미러(301, 302)가 형성한 입체감 상에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이미지 조성 부재(306)의 교체에 따라 다양한 입체 이미지 표현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미지 조성 부재(306)와 제2발광소자(305) 사이에는 제2발광소자(305)에서 조사되는 광을 확산시켜 이미지 조성 부재(306)로 투사하는 광 확산 레이어(307)가 마련되어 있다. 광 확산 레이어(307)는 폴리카보네이트, 유리, 플라스틱 또는 아크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개방 영역(314)과 제2발광소자(305) 사이에는 광 가이드 레이어(308)가 마련되어 제2발광소자(305)에서 방출되는 빛이 이미지 조성 부재(306)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 가이드 레이어(308)는 불투명한 아크릴, 포맥스 또는 반사재질(예컨대 금속)로 구성될 수 있다. 광 가이드 레이어(308)는 제2발광소자(305)의 빛이 이미지 조성 부재(306)를 향해 투사된 후, 그대로 하프미러(301)를 지나 외부로 이탈하도록 한다. 하프미러(301)의 면을 향해 수직하게 진행하는 빛(B4)은 하프미러(301)에서 반사되지 않고 외부로 이탈된다. 하프미러(301)를 그대로 이탈한 빛(B4)이 형성하는 이미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미러에서 외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이미지(310-2)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발광소자(305)에는 반사 시트가 부가될 수 있다. 반사 시트(미도시)는 제2발광소자(305)에서 방출되는 빛이 하프미러(301, 302)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반사 재질의 금속, 아크릴 또는 합성수지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제 2 이미지 표시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미지 표시장치는 한 쌍의 하프미러(301, 302), 제1발광소자(304), 이미지 필름(310), 광 확산 레이어(307), 제2발광소자(305), 및 반사 시트(3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하프미러(301, 302)는 이격되어 배치되며, 하프미러(301)와 하프미러(302)의 면은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하프미러 사이에는 제1발광소자(304)가 배치되고, 제1발광소자(304)에서 방출되는 빛은 하프미러(301, 302) 사이의 공간에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다. 제2발광소자(305)에서 투사되는 빛은 광 확산 레이어(307)를 통해 확산되어 이미지 필름(310)을 투사하며, 이미지 필름(310)을 투사한 빛은 하프미러(301, 302)가 형성하는 입체감에 의해 하프미러(301, 302)의 외부에서 돌출되어 이미지(310-2)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필름(310)은 염화비닐 또는 아크릴 수지로 구성되는 렌티큘러(Lenticular) 필름, 광학 필름 또는 표면부에 돌기가 있는 필름일 수 있다. 이미지 필름(310)이 렌티큘러 필름일 때, 필름의 일 면은 좌측 안구와 우측 안구로 볼 때의 이미지를 하나의 필름에 인쇄하여 형성하고, 인쇄면에 0.5mm 전후의 피치를 갖는 반구형 렌즈를 배열하여 형성하므로 이미지 필름(310)은 그 자체로 입체감을 가질 수 있다. 이미지 필름(310)이 렌티큘러 필름일 때, 이미지 필름(310)은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상이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고, 바라보는 각도 변화에 의해 수 장의 이미지가 순차로 표시되어 동영상처럼 표현될 수도 있다.
이때, 제2발광소자(305)를 통해 투사된 빛이 이미지 필름(310)의 외부에 표현될 때, 하프미러(301, 302)가 형성하는 입체감에 의해, 하프미러(301, 302)의 외부로 더욱 돌출되어 표현될 수 있다. 즉, 하프미러(301, 302)가 형성하는 입체감에 이미지 필름(310)(렌티큘러 필름)이 형성하는 입체감이 부가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필름(310)은 2차원 인쇄물일 수도 있다. 이미지 필름(310)이 2차원 인쇄물인 경우, 광 가이드 레이어(308)를 통해 투사된 빛은 이미지 필름(310)에 나타난 이미지를 수직하게 하프미러(301, 302)의 외부로 이탈시키고, 하프미러(301, 302)가 형성하는 입체감 상에 표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미지 필름(310)의 2차원 이미지는 하프미러(301, 302) 외부로 돌출되어 표현되는 형태일 수 있다. 제2발광소자(305)의 일 측에는 반사 시트(311)가 마련되며, 반사 시트(311)는 제2발광소자(305)에서 방출되는 빛이 하프미러(301) 방향으로 향하도록 반사 재질의 금속, 아크릴,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필름(310)과 제2발광소자(305) 사이에는 제2발광소자(305)에서 조사되는 광을 확산시켜 이미지 필름(310)으로 투사하는 광 확산 레이어(307)가 마련되어 있다. 광 확산 레이어(307)는 폴리카보네이트, 유리, 플라스틱 또는 아크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제 3 이미지 표시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이미지 표시장치는 투명 빛 조사체(330), 시선 차단 시트(312), 제1발광소자(304), 이미지 조성 부재(306), 및 제2발광소자(30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투명 빛 조사체(330)는 일정 두께를 가진 다각형 또는 원형 형상의 미러, 아크릴, 유리,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구현될 수 있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10mm내지 12mm의 두께이다. 그러나 투명 빛 조사체(330)의 형상은 사용자의 사용 목적에 따라 용이하게 변형 가능하고 수치는 증감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투명 빛 조사체(330)는 외부 노출 면 또는 대응 면에 투과율이 7 내지 19%, 반사율이 8 내지 50%의 시선 차단 시트(312) 또는 거울 기능 시트(312)를 부착한다. 이는 투명 빛 조사체(330) 외면의 반사율이 높을수록 이미지의 반사감이 깊어지고 사용자에게 이미지의 입체감이 효과적으로 제공되기 때문이다. 투명 빛 조사체(330)의 일 영역에는 개방 영역(314)이 구비되어 이미지 조성 부재(306)가 배치되고, 제2발광소자(305)는 이미지 조성 부재(306)의 후단에서 이미지 조성 부재(306)를 향해 광을 투사할 수 있다.
제1발광소자(304)가 투명 빛 조사체(330) 사이로 투사하는 광은 임계각(θ1)을 만족하여, 선 방출된 빛과, 후 방출되는 빛의 시차에 비례하여 입체감을 구현한다. 이때, 제2발광소자(305)에 의해 투사된 광은 투명 빛 조사체(330)의 임계각(θ1)을 만족하므로 외부로 이탈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조성 부재(306)를 투과한 빛이 가장 먼저 외부로 이탈하며, 제1발광소자(304)의 빛은 임계각(θ1)을 만족할 때, 투명 빛 조사체(330)를 이탈하는 빛이 형성되므로, 양자 간 시차(T2)만큼 이미지 조성 부재(306)를 투과한 빛이 하프미러에서 돌출되어 입체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미지 조성 부재(306)는 아크릴, 유리, 플라스틱, 크리스탈,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조성 부재(306)는 표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조형물일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조성 부재(306)는 상품모형, 인물모형, 동물모형, 기업의 로고 또는 기타 다양한 조형물일 수 있다. 다만,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미지 조성 부재(306)는 한 쌍의 하프미러(301, 302)가 형성한 입체감 상에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이미지 조성 부재(306)의 교체에 따라 다양한 입체 이미지 표현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미지 조성 부재(306)와 제2발광소자(305) 사이에는 제2발광소자(305)에서 조사되는 광을 확산시켜 이미지 조성 부재(306)로 투사하는 광 확산 레이어(307)가 마련되어 있다. 광 확산 레이어(307)는 폴리카보네이트, 유리, 플라스틱 또는 아크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개방 영역(314)과 제2발광소자(305) 사이에는 광 가이드 레이어(308)가 마련되어 제2발광소자(305)에서 방출되는 빛이 이미지 조성 부재(306)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 가이드 레이어(308)는 불투명한 아크릴, 포맥스 또는 반사재질(예컨대 금속)로 구성될 수 있다. 광 가이드 레이어(308)는 제2발광소자(305)의 빛이 이미지 조성 부재(306)를 향해 투사된 후, 그대로 투명 빛 조사체(330)를 지나 외부로 이탈하도록 한다. 투명 빛 조사체(330)의 면을 향해 수직하게 진행하는 빛(B4)은 투명 빛 조사체(330)에서 반사되지 않고 외부로 이탈된다. 투명 빛 조사체(330)를 그대로 이탈한 빛(B4)이 형성하는 이미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빛 조사체(330)에서 외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이미지(310-2)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발광소자(305)에는 반사 시트가 부가될 수 있다. 반사 시트(미도시)는 제2발광소자(305)에서 방출되는 빛이 투명 빛 조사체(330)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반사 재질의 금속, 아크릴 또는 합성수지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제 4 이미지 표시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미지 표시장치는 투명 빛 조사체(330), 시선 차단 시트, 제1발광소자(304), 반사 시트(311), 이미지 필름(310), 및 제2발광소자(30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투명 빛 조사체(330)는 일정 두께를 가진 다각형 또는 원형 형상의 미러, 아크릴, 유리,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구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mm내지 12mm의 두께이다. 그러나 투명 빛 조사체(330)의 형상은 변형 가능하고 수치는 증감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투명 빛 조사체(330)는 외부 노출 면 또는 대응면에 투과율이 7 내지 19%, 반사율이 8 내지 50%의 시선 차단 시트(312) 또는 거울 기능 시트(312)를 부착한다. 이는 투명 빛 조사체(330) 외면의 반사율이 높을수록 이미지의 반사감이 깊어지고 사용자에게 이미지의 입체감이 효과적으로 제공되기 때문이다.
투명 빛 조사체(330) 사이에는 제1발광소자(304)가 끼움 결합 또는 몰딩되어 배치되고, 제1발광소자(304)에서 방출되는 빛은 투명 빛 조사체(330) 사이의 공간에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다. 제2발광소자(305)에서 투사되는 빛은 광 확산 레이어(307)를 통해 확산되어 이미지 필름(310)을 투사하며, 이미지 필름(310)을 투사한 빛은 투명 빛 조사체(330)가 형성하는 입체감에 의해 투명 빛 조사체(330)의 외부에서 돌출되어 이미지(310-2)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필름(310)은 염화비닐 또는 아크릴 수지로 구성되는 렌티큘러(Lenticular) 필름, 광학 필름 또는 표면부에 돌기가 있는 필름일 수 있다. 이미지 필름(310)이 렌티큘러 필름일 때, 필름의 일 면은 좌측 안구와 우측 안구로 볼 때의 이미지를 하나의 필름에 인쇄하여 형성하고, 인쇄면에 0.5mm 전후의 피치를 갖는 반구형 렌즈를 배열하여 형성하므로 이미지 필름(310)은 그 자체로 입체감을 가질 수 있다. 이미지 필름(310)이 렌티큘러 필름일 때, 이미지 필름(310)은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상이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고, 바라보는 각도 변화에 의해 수 장의 이미지가 순차로 표시되어 동영상처럼 표현될 수도 있다.
이때, 제2발광소자(305)를 통해 투사된 빛이 이미지 필름(310)의 외부에 표현될 때, 투명 빛 조사체(330)가 형성하는 입체감에 의해, 투명 빛 조사체(330)의 외부로 더욱 돌출되어 표현될 수 있다. 즉, 투명 빛 조사체(330)가 형성하는 입체감에 이미지 필름(310)(렌티큘러 필름)이 형성하는 입체감이 부가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필름(310)은 2차원 인쇄물일 수도 있다. 이미지 필름(310)이 2차원 인쇄물인 경우, 광 가이드 레이어(308)를 통해 투사된 빛은 이미지 필름(310)에 나타난 이미지를 수직하게 투명 빛 조사체(330)의 외부로 이탈시키고, 투명 빛 조사체(330)가 형성하는 입체감 상에 표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미지 필름(310)의 2차원 이미지는 투명 빛 조사체(330) 외부로 돌출되어 표현되는 형태일 수 있다. 제2발광소자(305)의 일 측에는 반사 시트(311)가 마련되며, 반사 시트(311)는 제2발광소자(305)에서 방출되는 빛이 투명 빛 조사체(330) 방향으로 향하도록 반사 재질의 금속, 아크릴,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필름(310)과 제2발광소자(305) 사이에는 제2발광소자(305)에서 조사되는 광을 확산시켜 이미지 필름(310)으로 투사하는 광 확산 레이어(307)가 마련되어 있다. 광 확산 레이어(307)는 폴리카보네이트, 유리, 플라스틱 또는 아크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투명 빛 조사체에 발광소자부를 끼움 결합하는 구조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투명 빛 조사체의 수평 방향 양 측부의 홈부에 발광소자부(313)를 끼움 결합한다. 끼움결합부(315)의 끼움 간격은 바람직하게 D3는 3mm, D4는 10mm, D5는 4mm 및 D6는 9mm 일 수 있으나, 이 수치는 증감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투명 빛 조사체에 발광소자부를 몰딩 결합하는 구조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투명 빛 조사체의 수평 방향 양 측부에 발광소자부(313)를 몰딩결합한다. 몰딩결합부(316)의 몰딩간격은 바람직하게 D7 8mm, D8 12mm, D9 10mm일 수 있으나, 이 수치는 증감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시계 이미지 표시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미지 표시장치의 이미지 필름(310) 또는 이미지 조성 부재(306) 위치에 시계 이미지(360)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입체감 있는 시계 이미지 효과를 제공한다. (시계 이미지 표시 장치는 도 18 및 도 19에 추가 부연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 도 3, 도 4, 도 5 에 개시된 제 1, 제 2, 제 3, 제 4 이미지 표시장치(300a, 300b, 300c, 300d)의 일 측 부에 하프미러(Half Mirror)와 미러(Mirror)를 각각 몰딩 또는 끼움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깊이 있는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표시장치이다. 하프미러와 미러는 사용자의 시각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부착 위치 또는 형상이 용이하게 변경가능하며 수치를 한정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이미지 표시장치의 양쪽 측 부에 90도 각도로 결합한다.
도 10은 도 9에 개시된 이미지 표시장치에서 입체감을 구현하는 방식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미지 표시장치(300)와 그 양쪽 측 부에 결합한 하프미러와 미러의 반사를 통해 생긴 시차(T)를 통해 사용자가 보는 이미지가 더 깊이 있게 보이는 효과를 제공받는다. 이미지 표시 장치에서 조사되는 빛은 하프미러와 미러 사이를 반복하며 오가다가 빛의 반사 수치가 차츰 감소되고, 반사율이 0에 이를 때까지 반복되는 빛의 착시 효과로 인해 이미지가 이미지 표시장치 중심부 공중에 떠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는 그 일 측 부에 하프미러와 미러를 결합 가능하며 이는 ㅇ, ㅁ, ㄷ, c, < 또는 ㅌ 구조로 구성 가능하며, 그에 따른 이미지의 입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의 측면 사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는 이미지 표시장치에서 조사되는 빛이 이미지 표시장치의 양쪽 측 부에 결합되어 있는 하프미러와 미러의 반사를 통해 깊이감 있는 이미지 입체 효과를 제공한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광고판 사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의 전원이 들어오지 않은 우측 이미지는 발광소자에서 빛이 조사되지 않으므로 입체감 있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지 않는다. 그러나 좌측의 D 이미지, G 이미지 및 후단부의 사각 바둑판 이미지는 하프미러, 투명 빛 조사체(330) 및 미러를 통한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이미지가 이미지 표시장치 내측으로 깊이감 있는 이미지 입체 효과를 제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이전의 광고판 사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는 실시 이전에 거울 기능과 같은 반사 효과만을 제공한다. 도 15는 도 14의 광고판에 전원을 인가하여 본 발명을 실시한 사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는 전원이 인가되면 하프미러, 투명 빛 조사체, 미러 간 빛의 반사를 통해 사용자에게 입체감 있는 고양이 이미지를 제공하며 광고 상품의 이미지가 형성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시계 이미지 표시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는 이미지 표시장치의 이미지 필름 또는 이미지 조성 부재 위치에 시계 이미지를 삽입하여 입체감 있는 시계를 제공한다. 시계 이미지는 사용자가 측면에서 볼 때, 시계 이미지의 후단부로 깊이 제공되고 있는 것처럼 보이도록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 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300: 이미지 표시장치
300a: 제 1 이미지 표시장치
300b: 제 2 이미지 표시장치
300c: 제 3 이미지 표시장치
300d: 제 4 이미지 표시장치
301: 제1하프미러
302: 제2하프미러
303: 이미지 표시장치 측면부
304: 제1발광소자
305: 제2발광소자
306: 이미지 조성 부재
307: 광 확산 레이어
308: 광 가이드 레이어
309: Back 판
310: 이미지 필름
310-1: 이미지
310-2: 사용자에 제공되는 이미지
311: 반사시트
312: 시선차단 시트 또는 거울기능 시트
313: 발광 소자부
314: 개방 영역
315: 끼움 결합부
316: 몰딩 결합부
330: 투명 빛 조사체
360: 시계 이미지
361: 시계 바늘 이미지

Claims (16)

  1. 상호 평행하게 마주보며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제1하프미러 및 제2하프미러;
    상기 제1하프미러와 상기 제2하프미러 사이의 상기 공간을 향해 빛을 측면 투사하여 상기 공간에 입체감을 부여하는 제1발광소자;
    상기 제2하프미러의 일 영역에 마련되며, 표현 대상 이미지를 포함하고, 아크릴, 유리,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투명 및 반투명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는 이미지 조성 부재; 및
    상기 이미지 조성 부재, 상기 제2하프미러 및 상기 제1하프미러의 순서대로 빛이 투과하도록 상기 이미지 조성 부재의 일 측면에서 빛을 투사하여 상기 입체감이 형성된 공간에 상기 이미지 조성 부재의 이미지를 투영하는 제2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을 표현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소자는,
    발광 면이 상기 제1하프미러, 및 상기 제2하프미러의 면 방향에 대해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소자는,
    중심에서 상기 제1하프미러로 향하는 제1거리와, 상기 제2하프미러로 향하는 제2거리의 비가 1:1 내지 1: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을 표현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발광소자와 상기 이미지 조성 부재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2발광소자에서 투사되는 빛을 확산시켜 상기 이미지 조성 부재로 제공하는 광 확산 레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을 표현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발광소자를 지지하며,
    상기 제2발광소자에서 방출되는 빛을 상기 제1하프미러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을 표현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조성 부재와 상기 제2발광소자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2발광소자에서 투사되는 광을 상기 이미지 필름으로 유도하는 광 통로를 형성하는 광 가이드 레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을 표현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 레이어는,
    불투명 재질, 및 반사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을 표현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10138677A 2011-12-20 2011-12-20 입체감을 표현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KR101211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677A KR101211648B1 (ko) 2011-12-20 2011-12-20 입체감을 표현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677A KR101211648B1 (ko) 2011-12-20 2011-12-20 입체감을 표현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1648B1 true KR101211648B1 (ko) 2012-12-12

Family

ID=4790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8677A KR101211648B1 (ko) 2011-12-20 2011-12-20 입체감을 표현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6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465B1 (ko) * 2013-07-10 2014-01-07 이점주 간판용 엘이디 조명 입체 문자
WO2021137614A1 (ko) * 2019-12-30 2021-07-08 이재진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606831B1 (ko) * 2023-03-23 2023-11-29 허정현 인피니티 디스플레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2824A (ja) * 2001-11-02 2003-07-18 Aibii Silkscreen Insatsu Kk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7241234A (ja) * 2006-02-13 2007-09-20 Hiroshi Nakazawa ディスプレイ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2824A (ja) * 2001-11-02 2003-07-18 Aibii Silkscreen Insatsu Kk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7241234A (ja) * 2006-02-13 2007-09-20 Hiroshi Nakazawa ディスプレイ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465B1 (ko) * 2013-07-10 2014-01-07 이점주 간판용 엘이디 조명 입체 문자
WO2021137614A1 (ko) * 2019-12-30 2021-07-08 이재진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606831B1 (ko) * 2023-03-23 2023-11-29 허정현 인피니티 디스플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8035B2 (en)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having 3D sheet
WO2006047488A3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s
KR101102610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022511A1 (en) Front-projection glasses-free, continuous 3d display
KR101211648B1 (ko) 입체감을 표현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TW201346471A (zh) 顯示裝置
US20080120882A1 (en) Lighting system
KR101293991B1 (ko) 이미지 표시장치
CN211426960U (zh) 一种透明显示器及一种显示系统
US20110228388A1 (en) Stereoscopic kaleidoscope and 3d viewer
KR20160080229A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WO2013146240A1 (ja) 表示装置
CN114563937A (zh) 一种全息成像结构
JP2015004942A (ja) 立体表示媒体
US20190178464A1 (en) Backlit 3d lamp
JP6869520B2 (ja) 透明基板を備える接眼型の映像表示装置
JP2021103269A (ja) 画像表示装置
KR200466901Y1 (ko) 관찰위치 표시가 가능한 입체영상 키오스크
JP2006163163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KR200359561Y1 (ko) 렌티큘러시트를 포함하는 입체광고패드
CN108469684B (zh) 一种透明显示器及一种显示系统
KR101600239B1 (ko) 직접 투과 홀로그램 편광 스크린을 구비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75637A (ko) 투명 lcd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광고장치
JP2012042598A (ja) 反射型再帰性フロントスクリーンおよび反射型立体表示用スクリーン
KR20150108525A (ko) 엘이디를 광원으로 하는 3차원 입체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