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831B1 - 인피니티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인피니티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831B1
KR102606831B1 KR1020230038098A KR20230038098A KR102606831B1 KR 102606831 B1 KR102606831 B1 KR 102606831B1 KR 1020230038098 A KR1020230038098 A KR 1020230038098A KR 20230038098 A KR20230038098 A KR 20230038098A KR 102606831 B1 KR102606831 B1 KR 102606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window
image
unit
transparent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8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정현
김병찬
Original Assignee
허정현
김병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정현, 김병찬 filed Critical 허정현
Priority to KR1020230038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8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25Stereoscopic displays; 3D display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인피니티 디스플레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피니티 디스플레이는, 상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배치된 판상형 하프미러 구조의 제1투명창; 상기 제1투명창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한 상태로 장착되고, 하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배치된 판상형 하프미러 구조의 제2투명창; 및 상기 제2투명창의 하부면에 인접하여 장착되고, 제2투명창을 통해 제1투명창과 제2투명창 사이 공간에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치 실제 사물처럼 보는 각도에 따라 변화되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고, 무한 깊이감을 가지는 이미지와 평면의 입체미감을 가지는 입체 이미지가 조화롭게 융합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인피니티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피니티 디스플레이{Infinity Display}
본 발명은 인피니티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치 실제 사물처럼 보는 각도에 따라 변화되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인피니티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엘이디 전광판 이외에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엘이디 전광판 이외에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한편, 근자에는 깊이감을 갖도록 디스플레이되는 인피니티미러 이미지표시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 하나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1-0106792호(명칭: 이미지 표시장치/2011.10.19.)가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1하프미러; 상기 제1하프미러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되며, 일 영역에는 개방영역을 구비하는 제2하프미러; 상기 제1하프미러와 상기 제2하프미러 사이에 마련되는 제1발광소자; 상기 개방 영역에 위치하며, 광 투과성의 이미지 조성 부재; 및 상기 개방영역을 통해 상기 이미지 조성 부재로 빛을 투사하는 제2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이미지 표시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1-0138677호(명칭: 입체감을 표현하는 이미지 표시장치/2011.12.2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상호 평행하게 마주보며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제1하프미러 및 제2하프미러; 상기 제1하프미러와 상기 제2하프미러 사이의 상기 공간을 향해 빛을 측면 투사하여 상기 공간에 입체감을 부여하는 제1발광소자; 상기 제2하프미러의 일 영역에 마련되며, 표현 대상 이미지를 포함하고, 아크릴, 유리,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투명 및 반투명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는 이미지 조성 부재; 및 상기 이미지 조성 부재, 상기 제2하프미러 및 상기 제1하프미러의 순서대로 빛이 투과하도록 상기 이미지 조성부재의 일측면에서 빛을 투사하여 상기 입체감이 형성된 공간에 상기 이미지 조성 부재의 이미지를 투영하는 제2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이미지 표시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42325호(명칭: 빛의 반사와 투과를 이용한 미러형 3D 엘이디 전광판/2014.04.09.)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다수의 엘이디가 패널기판에 실장된 다수의 엘이디 픽셀패널로 이루어지는 엘이디 발광부와 상기 엘이디 픽셀패널의 엘이디(도트)를 on/off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모듈과 상기 엘이디 전광판의 전체적인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부 및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부와 이들을 설치하기 위한 전광판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엘이디 전광판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 발광부는 엘이디가 실장된 면 전체에 대하여 반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반사면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반투광판;을 더 포함하여 상기 반투광판에 의해 반사된 빛이 상기 반사면에 맺히도록 하는 엘이디 전광판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8-0160835호(명칭: 무한 깊이 공간을 배경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18.12.13.)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상하부가 개방되는 테두리를 가지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하부 개방 영역에 구성되는 전반사 거울과, 케이스의 상부 개방 영역에 구성되는 반투명 거울과, 전반사 거울과 반투명 거울 사이의 케이스 내부에 구성되어 깊이감을 제공하는 복수의 배경용 발광체와, 전반사 거울과 반투명 거울 사이에 배치되어 반투명 거울 방향으로 발광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용 발광체들이 배치된 선 발광부와, 선 발광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무한 깊이감을 갖는 공간 이미지 효과를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인피니티미러 이미지 표시장치가 개발되었다.
도 1에 도시된 인피니티미러 이미지 표시장치의 경우 단순 이미지만을 출력할 수 있는 구조로서, 다양한 이미지를 사용용자의 의도에 따라 출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361176호 (등록일자: 2022년02월07일)
본 발명의 목적은, 마치 실제 사물처럼 보는 각도에 따라 변화되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고, 무한 깊이감을 가지는 이미지와 평면의 입체미감을 가지는 입체 이미지가 조화롭게 융합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인피니티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피니티 디스플레이는, 상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배치된 판상형 하프미러 구조의 제1투명창; 상기 제1투명창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한 상태로 장착되고, 하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배치된 판상형 하프미러 구조의 제2투명창; 및 상기 제2투명창의 하부면에 인접하여 장착되고, 제2투명창을 통해 제1투명창과 제2투명창 사이 공간에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재생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피니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투명창과 제2투명창을 소정 간격 이격시켜 고정하도록 제1투명창과 제2투명창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장착되어 제1투명창과 제2투명창을 고정하고, 제2투명창이 장착되는 위치의 하부에 영상재생부를 탈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투명창은 정중앙으로부터 좌우대칭형태로 절곡되는 구조이고, 상기 제2투명창은 제1투명창과 함께 정중앙으로부터 좌우대칭형태로 절곡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제1투명창과 제2투명창을 절곡시키는 절곡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곡조절부는, 상기 제1투명창과 제2투명창 각각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고, 절곡되는 부분에 힌지구조가 형성된 절곡가이드 프레임; 상기 절곡가이드 프레임의 양단에 장착되고, 하우징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딩구동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면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제1투명창이 장착되는 높이와 제2투명창이 장착되는 높이에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된 레일;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제1투명창과 제2투명창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기 설정된 색상과 조도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측면에 장착되고, 제1투명창과 제2투명창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는 구조의 제1간격조절부; 상기 하우징부의 측면에 장착되고, 조명부의 색상 및 조도를 조절하는 구조의 조명조절부; 상기 하우징부의 측면에 장착되고, 영상재생부의 장착 위치를 조절하여 제2투명창과의 간격을 변경하는 구조의 제2간격조절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측면에 형성되고, 제2투명창과 영상재생부 사이에 판상형 필터를 삽입할 수 있는 구조의 필터삽입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제1투명창과 제2투명창 사이에 배치되며, 제1투명창과 제2투명창의 테두리를 따라 장착되고, 제1투명창과 제2투명창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상으로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조명부를 고정하고, 제1투명창과 제2투명창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 시켜 다수의 조명부를 고정하는 조명고정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고정고정부의 일측면에 맞닿아 장착되고, 하우징부의 내부의 제1투명창과 제2투명창의 테두리를 따라 장착되는 판상형 구조이며, 다수의 조명부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제1투명창과 제2투명창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상으로 확산시키는 소재로 구성된 조명확산창; 상기 조명확산창 및 조명고정부와 제2투명창이 맞닿는 사이에 적층되고, 제1투명창과 제2투명창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상에 기설정된 온도의 열을 가하는 열선부; 및 상기 조명확산창의 일측에 장착되고, 제1투명창과 제2투명창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상에 부유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기함과 동시에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구조의 환기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투명창은, 투명한 특성의 판상형 부재의 하부면에 하프미러가 적층된 구조이고, 상기 제2투명창은, 제1투명창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투명한 특성의 판상형 부재의 상부면에 하프미러가 적층된 구조이며, 상기 영상재생부는, 제1투명창과 동일한 형상의 영상출력 화면구조를 가지는 구조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피니티 디스플레이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투명창, 제2투명창 및 영상재생부를 구비함으로써, 마치 실제 사물처럼 보는 각도에 따라 변화되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고, 무한 깊이감을 가지는 이미지와 평면의 입체미감을 가지는 입체 이미지가 조화롭게 융합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인피니티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피니티 디스플레이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투명창과 제2투명창을 절곡시키는 절곡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로부터 재생되는 영상을 다각도와 다방향으로 왜곡시켜 다양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인피니티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피니티 디스플레이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조명부를 제1투명창과 제2투명창 사이에 장착하고, 특정 구조의 조명고정부 및 조명확산창을 구비함으로써, 더욱 강한 조도가 필요한 환경 하에서 조명부를 작동시켜 입체 이미지가 조화롭게 융합된 영상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인피니티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피니티 디스플레이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간격조절부, 조명조절부, 제2간격조절부 및 필터삽입구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와 취향에 따라 제1투명창과 제2투명창 사이 이격 간격을 변경하여 다양한 깊이감을 가지는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시각적 표현을 구현할 수 있는 필터를 필터삽입구를 통해 탈착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담은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인피니티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피니티 디스플레이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열선부와 환기부를 특정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제1투명창과 제2투명창 사이에 발생된 습기, 성애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제1투명창과 제2투명창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상의 공기를 신선한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어, 입체 이미지가 조화롭게 융합된 영상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인피니티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피니티미러 이미지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피니티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피니티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피니티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어부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피니티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피니티 디스플레이(110)는 특정 구조의 제1투명창(110), 제2투명창(120) 및 영상재생부(130)를 구비함으로써, 마치 실제 사물처럼 보는 각도에 따라 변화되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고, 무한 깊이감을 가지는 이미지와 평면의 입체미감을 가지는 입체 이미지가 조화롭게 융합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인피니티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인피니티 디스플레이(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피니티 디스플레이(100)의 제1투명창(110)은 상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배치된 판상형 하프미러 구조이다. 상기 어급한 하프미러의 대표적인 예로서 원웨이필름(one way film)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피니티 디스플레이(100)의 제2투명창(120)은 제1투명창(110)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한 상태로 장착되고, 하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배치된 판상형 하프미러 구조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재생부(130)는 제2투명창(120)의 하부면에 인접하여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2투명창(120)을 통해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 사이 공간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제1투명창(110)은 투명한 특성의 판상형 부재의 하부면에 하프미러가 적층된 구조이고, 제2투명창(120)은 제1투명창(1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투명한 특성의 판상형 부재의 상부면에 하프미러가 적층된 구조이다. 또한, 영상재생부(130)는, 제1투명창(110)과 동일한 형상의 영상출력 화면구조를 가지는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피니티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피니티 디스플레이(100)는 특정 구조의 하우징부(140) 및 조명부(16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명부(160)는 하우징부(140)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기 설정된 색상과 조도로 빛을 조사하는 구조이다. 경우에 따라서, 조명부(160)는 특정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품을 전시하는 조형물이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부(140)는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을 소정 간격 이격시켜 고정하도록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장착되어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을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제2투명창(120)이 장착되는 위치의 하부에 영상재생부(130)를 탈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피니티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제어부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피니티 디스플레이(100)의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은 정중앙으로부터 좌우대칭형태로 절곡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때, 하우징부(140)에는 절곡조절부(150)가 장착되어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을 절곡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언급한 절곡조절부(150)는 특정 구조의 절곡가이드 프레임(151), 슬라이딩구동부(152) 및 레일(153)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절곡조절부(150)의 절곡가이드 프레임(151)은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 각각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고, 절곡되는 부분에 힌지구조가 형성된 구조이다. 절곡조절부(150)의 슬라이딩구동부(152)는 절곡가이드 프레임(151)의 양단에 장착되고, 하우징부(140)의 내측면에 형성된 레일(153)을 따라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조이다. 또한, 절곡조절부(150)의 레일(153)은 하우징부(140)의 내측면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제1투명창(110)이 장착되는 높이와 제2투명창(120)이 장착되는 높이에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하우징부(140)의 측면과 상부는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되어 절곡조절부(150)의 구동에 의해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이 절곡 될 때 함께 변형되는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곡조절부(150)에 의해 절곡되는 각도는 절곡 힌지구조(111)를 중심으로 1도 내지 5도 범위 내의 각도임이 바람직하며, 5도를 초과할 경우 하우징부(140)의 내부에 탑재된 다른 구성에 변형을 가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을 절곡시키는 절곡조절부(15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로부터 재생되는 영상을 다각도와 다방향으로 왜곡시켜 다양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인피니티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140)는 특정 구조의 제1간격조절부(141), 조명조절부(161), 제2간격조절부(142) 및 필터삽입구(14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부(140)의 제1간격조절부(141)는 하우징부(140)의 측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는 구조이다. 조명조절부(161)는 하우징부(140)의 측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조명부(160)의 색상 및 조도를 조절하는 구조이다. 제2간격조절부(142)는 하우징부(140)의 측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영상재생부(130)의 장착 위치를 조절하여 제2투명창(120)과의 간격을 변경하는 구조이다. 또한, 필터삽입구(143)는 하우징부(140)의 측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제2투명창(120)과 영상재생부(130) 사이에 판상형 필터를 삽입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간격조절부(141), 조명조절부(161), 제2간격조절부(142) 및 필터삽입구(143)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와 취향에 따라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 사이 이격 간격을 변경하여 다양한 깊이감을 가지는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와 제2투명창(120) 사이의 간격 역시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깊이감을 가지는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시각적 표현을 구현할 수 있는 필터를 필터삽입구(143)를 통해 탈착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담은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인피니티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140)는 특정 구조의 조명고정부(16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부(140)의 조명고정부(162)는 하우징부(140)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조명고정부(162)는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의 테두리를 따라 장착되고,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상으로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조명부(160)를 고정하며,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 시켜 다수의 조명부(160)를 고정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 다른 하우징부(140)는 특정 구조의 조명확산창(163), 열선부(144) 및 환기부(145)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명확산창(163)은 고정고정부의 일측면에 맞닿아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하우징부(140)의 내부의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의 테두리를 따라 장착되는 판상형 구조이다. 이때, 조명확산창(163)은 다수의 조명부(160)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상으로 확산시키는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조명부(160)를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 사이에 장착하고, 특정 구조의 조명고정부(162) 및 조명확산창(163)을 구비함으로써, 더욱 강한 조도가 필요한 환경 하에서 조명부(160)를 작동시켜 입체 이미지가 조화롭게 융합된 영상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인피니티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선부(144)는 조명확산창(163) 및 조명고정부(162)와 제2투명창(120)이 맞닿는 사이에 적층되는 구성으로서,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상에 기설정된 온도의 열을 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145)는 조명확산창(163)의 일측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상에 부유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기함과 동시에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구조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열선부(144)와 환기부(145)를 특정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 사이에 발생된 습기, 성애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상의 공기를 신선한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어, 입체 이미지가 조화롭게 융합된 영상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인피니티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인피니티 디스플레이(100)의 하우징부(140)의 일측에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연동할 수 있는 제어부(170)를 탑재하여, 인피니티 디스플레이(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의 작동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인피니티 디스플레이
110: 제1투명창
111: 절곡 힌지구조
120: 제2투명창
121: 절곡 힌지구조
130: 영상재생부
140: 하우징부
141: 제1간격조절부
142: 제2간격조절부
143: 필터삽입구
143a: 필터
144: 열선부
145: 환기부
150: 절곡조절부
151: 절곡가이드 프레임
152: 슬라이딩구동부
153: 레일
160: 조명부
161: 조명조절부
162: 조명고정부
163: 조명확산창
170: 제어부

Claims (5)

  1. 상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배치된 판상형 하프미러 구조의 제1투명창(110);
    상기 제1투명창(110)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한 상태로 장착되고, 하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배치된 판상형 하프미러 구조의 제2투명창(120);
    상기 제2투명창(120)의 하부면에 인접하여 장착되고, 제2투명창(120)을 통해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 사이 공간에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재생부(130);
    상기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을 소정 간격 이격시켜 고정하도록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장착되어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을 고정하고, 제2투명창(120)이 장착되는 위치의 하부에 영상재생부(130)를 탈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하는 하우징부(140); 및
    상기 하우징부(140)의 내부에 장착되고,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기 설정된 색상과 조도로 빛을 조사하며, 특정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조명부(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피니티 디스플레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40)는,
    상기 하우징부(140)의 내부에 장착되고,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 사이에 배치되며,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의 테두리를 따라 장착되고,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상으로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조명부(160)를 고정하고, 제1투명창(110)과 제2투명창(120)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 시켜 다수의 조명부(160)를 고정하는 조명고정부(16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피니티 디스플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명창(110)은, 투명한 특성의 판상형 부재의 하부면에 하프미러가 적층된 구조이고,
    상기 제2투명창(120)은, 제1투명창(1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투명한 특성의 판상형 부재의 상부면에 하프미러가 적층된 구조이며,
    상기 영상재생부(130)는, 제1투명창(110)과 동일한 형상의 영상출력 화면구조를 가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피니티 디스플레이.
KR1020230038098A 2023-03-23 2023-03-23 인피니티 디스플레이 KR102606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098A KR102606831B1 (ko) 2023-03-23 2023-03-23 인피니티 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098A KR102606831B1 (ko) 2023-03-23 2023-03-23 인피니티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831B1 true KR102606831B1 (ko) 2023-11-29

Family

ID=88969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8098A KR102606831B1 (ko) 2023-03-23 2023-03-23 인피니티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8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8272A (ko) * 2003-12-29 2005-07-05 김경희 다층 영상에 의한 입체감 표현이 용이한 전기디스플레이(display) 장치
KR101211648B1 (ko) * 2011-12-20 2012-12-12 (주)한국킹유전자 입체감을 표현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KR20150001466U (ko) * 2013-10-07 2015-04-16 주식회사 에이티옵트로닉스 Led광고디스플레이 패널
KR20170050375A (ko) * 2015-10-30 2017-05-11 (주) 에핀 3차원 입체 변환 패널
KR102361176B1 (ko) 2021-06-29 2022-02-14 (주)애드미러 인피니티미러 이미지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8272A (ko) * 2003-12-29 2005-07-05 김경희 다층 영상에 의한 입체감 표현이 용이한 전기디스플레이(display) 장치
KR101211648B1 (ko) * 2011-12-20 2012-12-12 (주)한국킹유전자 입체감을 표현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KR20150001466U (ko) * 2013-10-07 2015-04-16 주식회사 에이티옵트로닉스 Led광고디스플레이 패널
KR20170050375A (ko) * 2015-10-30 2017-05-11 (주) 에핀 3차원 입체 변환 패널
KR102361176B1 (ko) 2021-06-29 2022-02-14 (주)애드미러 인피니티미러 이미지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3449B2 (en) Light emitting diode (LED) picture element
ATE523807T1 (de) Integrierte modulatorbeleuchtung
CN102287683A (zh) 背光单元和具有该背光单元的显示装置
JP2007333995A (ja) 表示装置
CN108230905A (zh) 一种显示屏及显示装置
CN1313771C (zh) 空间加热器
CN110657376B (zh) 照明装置
JP5439294B2 (ja) 表示装置
KR20190031017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080120882A1 (en) Lighting system
KR102606831B1 (ko) 인피니티 디스플레이
JP2009128734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70082338A (ko) 홀로그램 기반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JP3474818B2 (ja) ホログラムディスプレイ装置
CN103389539B (zh) 导光板以及使用该导光板的液晶显示装置
KR102042901B1 (ko) 이미지 가변형 led 조명액자
KR101304295B1 (ko) 엘이디 광고판
KR20070017810A (ko) 장식 겸용 광고장치
KR101453257B1 (ko) Led를 이용한 감성 조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성적인 시각 효과의 구현 방법
KR101940212B1 (ko) 3d이미지 구현을 위한 led 라이트 윈도우
WO2007020455A1 (en) Illumination apparatus
JP4762534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116244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abilizing optical sheets in luminaires
KR200322860Y1 (ko) 스탠딩 백라이트 유니트
KR100533955B1 (ko) 하프미러를 이용한 광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