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739B1 - 조명 모듈 - Google Patents

조명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739B1
KR101449739B1 KR1020140031202A KR20140031202A KR101449739B1 KR 101449739 B1 KR101449739 B1 KR 101449739B1 KR 1020140031202 A KR1020140031202 A KR 1020140031202A KR 20140031202 A KR20140031202 A KR 20140031202A KR 101449739 B1 KR101449739 B1 KR 101449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light source
light
region
transmis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택
Original Assignee
이춘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택 filed Critical 이춘택
Priority to KR1020140031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739B1/ko
Priority to PCT/KR2015/002589 priority patent/WO20151420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duce indicia, symbols, texts or the li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49Patterns or structured surfaces for diffusing light, e.g. frosted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3/061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g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2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a generally plana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Abstract

조명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은, 광원, 광원의 측부에 형성되고,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면광원으로 변환시켜 전방으로 사출하는 도광판, 도광판의 전방에 형성되고, 디자인 패턴이 형성되는 패턴 영역 및 패턴 영역을 제외한 비패턴 영역을 포함하며, 패턴 영역 및 비패턴 영역 중 어느 하나는 투과 영역이고, 다른 하나는 비투과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패턴 형성 미러, 및 패턴 형성 미러의 전방에 형성되는 반 투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 모듈{LIGHT MODU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명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실내 또는 실외에서 벽면 등에 설치되는 조명 장치는 형광등과 같은 광원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여 광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광원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광원의 망점이 패널의 표면에 비치게 되고, 패널의 전체 면적에서 빛이 균일하게 나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광원과 패널 간의 거리를 최소 20cm 이상 이격시키고, 패널의 후방에서 패널의 전체 면적을 커버하도록 복수 개의 광원을 배치하였다. 이 경우, 조명 장치의 부피가 커지고 무게가 증가하여 운반 및 설치 시 많은 어려움이 있고,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에서 공간 활용의 제한이 있게 된다. 또한, 조명 장치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벽면 설치만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에 원하는 형태로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2673호(2013.02.05)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체 부피를 줄이고 소형화 할 수 있는 조명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은, 광원; 상기 광원의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면광원으로 변환시켜 전방으로 사출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전방에 형성되고, 디자인 패턴이 형성되는 패턴 영역 및 상기 패턴 영역을 제외한 비패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패턴 영역 및 상기 비패턴 영역 중 어느 하나는 투과 영역이고, 다른 하나는 비투과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패턴 형성 미러; 및 상기 패턴 형성 미러의 전방에 형성되는 반 투과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 모듈은, 상기 광원의 외측에서 상기 광원을 둘러싸며 형성되고, 상기 도광판을 향하는 측이 개방되어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광이 상기 도광판으로 조사되도록 가이드하는 광원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 모듈은, 상기 도광판과 상기 패턴 형성 미러 사이에 형성되는 광 확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 형성 미러는, 제1 유리 기판; 및 상기 제1 유리 기판에서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광이 입사되는 면에 형성되고, 일부 영역이 제거되어 상기 투과 영역을 이루며, 상기 제거된 일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상기 비투과 영역을 이루는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 투과부는, 제2 유리 기판 및 상기 제2 유리 기판에서 상기 패턴 형성 미러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면에 형성되는 반 투과막을 포함하며, 상기 패턴 형성 미러의 투과 영역을 투과하여 입사된 광을 상기 패턴 형성 미러로 반사시켜 상기 패턴 형성 미러와 상기 반 투과부 사이에서 무한 반사되도록 하면서 일부의 광을 전방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상기 패턴 형성 미러는, 제1 유리 기판;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광이 입사되는 상기 제1 유리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일부 영역이 제거되어 상기 투과 영역을 이루며, 상기 제거된 일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상기 비투과 영역을 이루는 차단막; 및 상기 제1 유리 기판의 타면에 형성되고 디자인 패턴 물질이 마련되는 투명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턴 영역은 상기 디자인 패턴 물질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은, 디자인 패턴이 형성되는 패턴 영역 및 상기 패턴 영역을 제외한 비패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패턴 영역 및 상기 비패턴 영역 중 어느 하나는 투과 영역이고, 다른 하나는 비투과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패턴 형성 미러; 상기 패턴 형성 미러의 전방에 형성되는 반 투과부; 및 상기 패턴 형성 미러와 상기 반 투과부 사이에서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광이 상기 패턴 형성 미러와 상기 반 투과부 사이에서 무한 반사되면서 일부의 광이 전방으로 향한다.
상기 광원은, 상기 패턴 형성 미러와 상기 반 투과부 사이에서 상기 패턴 형성 미러 및 상기 반 투과부의 가장 자리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명 모듈 내에 도광판을 구비하고 도광판의 측부에 광원을 마련함으로써, 광원에서 발생된 광이 도광판을 통해 면광원으로 변환되면서 도광판의 전 면적에서 균일하게 사출되기 때문에, 광원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광원과 패널들 사이에 임계 이격 거리(20 cm 이상)를 둘 필요가 없어 조명 모듈 자체의 부피 및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조명 모듈을 소형화하면서 모듈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조명 모듈의 운반 및 설치가 간편해지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에 원하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 모듈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 제약이 줄어들게 되고, 여러 개의 조명 모듈을 배열하여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에서, 패턴 형성 미러와 반 투과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을 나타낸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에서, 광원의 색상에 따른 모습을 나타낸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에서, 투과 영역과 비투과 영역을 달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을 나타낸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조명 모듈에서, 패턴 형성 미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조명 모듈에서 패턴 형성 미러 내에 디자인 패턴 물질이 마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명 모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명 모듈(100)은 광원(102), 광원 수납부(104), 도광판(106), 광 확산부(108), 패턴 형성 미러(110), 반 투과부(112), 및 하우징부(114)를 포함한다. 조명 모듈(100)은 실내 조명 또는 실외 조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모듈(100)은 실내에서 벽면, 천장, 및 바닥면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조명 모듈(100)은 실외에서 건물 외벽 또는 광고판 등에 설치될 수 있다.
광원(102)은 빛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광원(102)으로는 예를 들어, 바 타입의 엘이디(Bar Type LED)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원(102)으로는 바 타입의 엘이디(LED) 이외에 형광등 또는 냉음극관 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광원(102)은 도광판(106)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원(102)은 도광판(106)의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광원(102)은 도광판(106)의 좌우 상하 측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광원(102)의 형성 위치 및 개수는 조명 모듈(100)의 크기 및 조명 모듈(100)이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광원(102)은 전원 공급부(1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공급부(116)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광원(102)은 백색뿐만 아니라, 파랑색, 초록색, 자주색 등 다양한 색상이 사용될 수 있다.
광원 수납부(104)는 광원(102)을 수납한다. 광원 수납부(104)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광원(102)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광원 수납부(104)는 광원(102)을 감싸며 형성되고, 도광판(106)을 향하는 측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광원(102)에서 발생한 광이 도광판(106)으로 조사되도록 광원 수납부(104)의 도광판(106)을 향하는 측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 수납부(104)는 광원(102)을 보호하면서 광원(102)에서 발생된 빛이 도광판(106)으로 조사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광원 수납부(104)는 광원(102)을 은폐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광원(102)은 도광판(106)의 측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조명 모듈(100)을 바라보았을 때, 광원(102)이 사람들의 눈에 보여 조명 모듈(100)의 외관이 조잡해보일 수 있게 된다. 이에, 광원 수납부(104)가 광원(102)을 은폐시켜 광원(102)이 사람들의 눈에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광판(106)은 광원(102)에서 발생시킨 광을 면광원 형태로 변환시켜 전방으로 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광원(102)에서 발생된 광은 점광원 또는 선광원으로 이루지는데, 도광판(106)은 이를 면광원 형태로 변환시키고 도광판(106)의 측부로 조사된 빛의 조사 방향을 조명 모듈(100)의 전방으로 향하게 한다. 도광판(106)의 하부면에는 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광원(102)에서 도광판(106)의 내부로 입사된 광이 상기 패턴에 의해 산란되어 광의 경로가 조명 모듈(100)의 전방으로 변환되게 된다.
여기서, 광원(102)은 도광판(106)의 측부에 형성되고, 광원(102)에서 발생시킨 광을 도광판(106)이 면광원 형태로 변환시켜 전방으로 고르게 향하게 하기 때문에, 광원(102)을 여러 개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광원(102)과 패널 그룹(즉, 광원(102)의 전방에 형성되는 광 확산부(108), 패턴 형성 미러(110), 및 반 투과부(112)) 사이의 거리를 일정 간격 이상으로 이격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조명 모듈(100)의 전체 크기 및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조명 모듈(100)을 소형화 할 수 있게 된다.
광 확산부(108)는 도광판(106)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광 확산부(108)는 도광판(106)에서 빛이 진행하는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광 확산부(108)는 도광판(106)에서 사출된 광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광 확산부(108)는 도광판(106)의 전방에서 도광판(106)에 형성된 패턴들을 은폐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패턴 형성 미러(110)는 광 확산부(108)의 전방에 형성된다. 패턴 형성 미러(110)에는 조명 모듈(100)을 통해 나타내고자 하는 디자인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패턴 형성 미러(110)는 패턴 영역(121) 및 비패턴 영역(123)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 영역(121)은 패턴 형성 미러(110)에서 디자인 패턴이 형성되는 영역을 말하고, 비패턴 영역(123)은 패턴 형성 미러(110)에서 디자인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말한다. 패턴 영역(121)은 패턴 형성 미러(110)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는, 디자인 패턴이 환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자인 패턴은 도형, 기호, 숫자, 문자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여기서, 패턴 영역(121)은 투과 영역으로 형성되고, 비패턴 영역(123)은 비투과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광 확산부(108)에서 확산되어 패턴 형성 미러(110)로 입사된 광은 패턴 영역(121)은 투과하고, 비패턴 영역(123)은 투과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패턴 영역(121)을 투과한 광은 반 투과부(112)로 입사되어 패턴 형성 미러(110)와 반 투과부(112) 사이에서 무한 반사되고, 그 일부는 반 투과부(112)를 투과하여 전방으로 향하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패턴 영역(121)이 비투과 영역으로 형성되고, 비패턴 영역(123)이 투과 영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반 투과부(112)는 패턴 형성 미러(110)의 전방에 형성된다. 반 투과부(112)는 패턴 형성 미러(110)에서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기도 하고, 패턴 형성 미러(110)에서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켜 전방으로 향하게 하기도 한다. 패턴 형성 미러(110) 및 반 투과부(112)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하우징부(114)는 조명 모듈(100)의 외형을 이루게 된다. 하우징부(114)는 조명 모듈(100) 내부의 구성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즉, 광원(102), 광원 수납부(104), 도광판(106), 광 확산부(108), 패턴 형성 미러(110), 및 반 투과부(112)는 하우징부(114) 내에 수납되게 된다.
하우징부(114)는 후방 플레이트(114-1) 및 측면 플레이트(114-2)를 포함한다. 후방 플레이트(114-1)는 도광판(106)의 후방에 형성된다. 즉, 후방 플레이트(114-1)는 도광판(106)에서 빛이 진행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 형성된다. 측면 플레이트(114-2)는 조명 모듈(100)의 내부 구성들의 측부에 형성된다. 측면 플레이트(114-2)에는 조명 모듈(100)의 내부 구성들의 각 측면이 안착되는 안착부(114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착부(114a)는 조명 모듈(100)의 내부 구성들의 크기에 따라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조명 모듈(100) 내에서 도광판(106), 광 확산부(108), 패턴 형성 미러(110), 및 반 투과부(112)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광판(106), 광 확산부(108), 패턴 형성 미러(110), 및 반 투과부(112)는 빛의 진행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명 모듈(100) 내에 도광판(106)을 구비하고 도광판(106)의 측부에 광원(102)을 마련함으로써, 광원(102)에서 발생된 광이 도광판(106)을 통해 면광원으로 변환되면서 도광판(106)의 전 면적에서 균일하게 사출되기 때문에, 광원(102)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광원(102)과 패널들 사이에 임계 이격 거리(20 cm 이상)를 둘 필요가 없어 조명 모듈(100) 자체의 부피 및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조명 모듈(100)을 소형화하면서 모듈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조명 모듈(100)의 운반 및 설치가 간편해지게 된다. 그리고, 조명 모듈(100)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 제약이 줄어들게 되고, 여러 개의 조명 모듈(100)을 배열하여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에서, 패턴 형성 미러와 반 투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패턴 형성 미러(110)는 제1 유리 기판(131) 및 차단막(133)을 포함한다. 차단막(133)은 제1 유리 기판(131)에서 빛이 입사되는 면에 형성된다. 차단막(133)은 예를 들어, 수은층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빛이 투과하지 않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차단막(133)의 일부를 디자인 패턴을 갖도록 제거하여 패턴 영역(121)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막(133)의 일부를 환형 형태로 제거하여 패턴 영역(12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차단막(133)이 제거되지 않은 영역은 비패턴 영역(123)이 된다. 이 경우, 패턴 형성 미러(110)로 입사된 광은 차단막(133)이 제거되어 형성된 패턴 영역(121)은 투과하게 되고, 차단막(133)이 제거되지 않은 비패턴 영역(123)은 투과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차단막(133)이 제거되지 않은 영역을 패턴 영역(121)으로 하고, 차단막(133)이 제거된 영역을 비패턴 영역(123)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차단막(133)이 제거되지 않은 영역이 디자인 패턴(예를 들어, 환형 형상)를 갖도록 차단막(133)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차단막(133)이 제거되지 않은 영역을 패턴 영역(121)으로 하고, 차단막(133)이 제거된 영역을 비패턴 영역(123)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패턴 영역(121)은 비투과 영역이 되고, 비패턴 영역(123)이 투과 영역이 된다.
반 투과부(112)는 제2 유리 기판(141) 및 반 투과막(143)을 포함한다. 반 투과막(143)은 제2 유리 기판(141)에서 빛이 입사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반 투과막(143)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니켈, 및 니켈 합금 등의 금속을 제2 유리 기판(141)에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반 투과막(143)의 투과율은 10 ~ 20 %가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패턴 형성 미러(110)로 광이 입사되는 경우, 입사된 광은 패턴 형성 미러(110)의 투과 영역(즉, 차단막(133)이 제거된 영역)에서 투과되고, 패턴 형성 미러(110)의 비투과 영역(즉, 차단막(133)이 제거되지 않은 영역)에서는 투과되지 못하게 된다. 패턴 형성 미러(110)의 투과 영역을 투과한 빛은 패턴 형성 미러(110)의 전방에 형성된 반 투과부(112)로 입사된다. 반 투과부(112)로 입사된 광은 반 투과막(143)에 의해 대부분 반사되어 패턴 형성 미러(110)로 향하게 되며, 패턴 형성 미러(110)와 반 투과부(112) 사이에서 무한 반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반 투과부(112)로 입사된 광(상기 무한 반사되는 광도 포함) 중 일부는 반 투과막(143)을 투과하여 반 투과부(112)의 전방으로 향하게 된다. 이때, 패턴 형성 미러(110)와 반 투과부(112) 사이에서 무한 반사가 이루어지는 광의 일부가 사람의 눈에 비치게 되므로, 사람의 눈에는 패턴 형성 미러(110)의 투과 영역이 조명 모듈(100)의 내부속으로 깊이 빠지는 것과 같이 보여 디자인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을 나타낸 사진이다. 여기서, 도 3의 (a)는 광원(102)에 전원이 공급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3의 (b)는 광원(102)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조명 모듈(100)의 각 측면과 배면은 하우징부(114)로 이루어지고, 조명 모듈(100)의 전면은 반 투과부(112)로 이루어진다. 조명 모듈(100)은 가로 및 세로가 각각 30 cm, 두께(높이)가 5 cm로 제작되었다. 이와 같이, 조명 모듈(100)은 그 크기 및 부피를 줄여 소형으로 모듈화 되었음을 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에서, 광원의 색상에 따른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조명 모듈(100)은 광원의 색상에 따라 파란색, 초록색, 보라색, 빨간색, 주황색 등으로 다양한 색을 띠게 된다. 그러나, 광원의 색상에 따라 조명 모듈(100)의 색이 달라지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원의 색상은 변함이 없이 광 확산부(108)의 색상을 변경하여 조명 모듈(100)의 색을 변경시킬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에서, 투과 영역과 비투과 영역을 달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의 (a)는 패턴 형성 미러(110)에서 차단막(133)의 일부를 제거하여 패턴 영역(121)을 형성하고, 차단막(133)이 제거되지 않은 영역을 비패턴 영역(123)으로 한 경우를 나타낸 사진이다. 여기서, 차단막(133)이 제거된 패턴 영역(121)이 투과 영역이 되고, 차단막(133)이 제거되지 않은 비패턴 영역(123)이 비투과 영역이 된다.
도 5의 (b)는 패턴 형성 미러(110)에서 차단막(133)의 일부를 제거하여 비패턴 영역(123)을 형성하고, 차단막(133)이 제거되지 않은 영역을 패턴 영역(121)으로 한 경우를 나타낸 사진이다. 여기서, 차단막(133)이 제거된 비패턴 영역(123)이 투과 영역이 되고, 차단막(133)이 제거되지 않은 패턴 영역(121)이 비투과 영역이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조명 모듈(200)은 광원(202), 패턴 형성 미러(210), 반 투과부(212), 및 불투명판(218)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우징부는 생략하였다. 조명 모듈(200) 내에서 빛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불투명판(218), 패턴 형성 미러(210), 및 반 투과부(212)가 순서대로 배치된다. 불투명판(218), 패턴 형성 미러(210), 및 반 투과부(212)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불투명판(218)은 불투명판(218)의 후방에 위치하는 구조물(예를 들어, 전선 또는 각종 부품 등)을 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조명 모듈(200) 내에서 광원(202)은 패턴 형성 미러(210)와 반 투과부(21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광원(202)은 패턴 형성 미러(210)와 반 투과부(212) 사이에서 패턴 형성 미러(210) 및 반 투과부(212)의 가장 자리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는, 광원(202)이 패턴 형성 미러(210) 및 반 투과부(212)의 네 가장 자리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4개의 광원(202)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원(202)은 한 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원(202)의 위치가 패턴 형성 미러(210) 및 반 투과부(212)의 가장 자리 부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원(202)은 패턴 형성 미러(210)와 반 투과부(212) 사이에서 패턴 형성 미러(210) 및 반 투과부(212)의 외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광원(202)은 은폐되지 않고 사용자의 시선에 노출될 수 있다.
광원(202)에서 발생한 빛은 패턴 형성 미러(210)와 반 투과부(212) 사이에서 무한 반사되면서 그 일부가 반 투과부(212)를 투과하여 전방으로 향하게 된다. 여기서, 광원(202) 자체도 패턴 형성 미러(210)와 반 투과부(212) 사이에서 무한 반사되면서 그 일부가 반 투과부(212)를 투과하여 전방으로 향하기 때문에, 광원(202)도 무한 반사에 따른 심미적 효과를 나타내게 되며, 그로 인해 보다 화려한 조명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광원(202)은 별도의 광원 수납부에 의해 은폐되지 않고 사용자의 시선에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202) 자체도 패턴 형성 미러(210)와 반 투과부(212) 사이에서 무한 반사되기 때문에, 무한 반사에 따른 심미적 효과가 보다 화려하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조명 모듈에서, 패턴 형성 미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패턴 형성 미러(110)는 제1 유리 기판(131), 차단막(133), 및 투명 플레이트(135)를 포함한다. 제1 유리 기판(131)에서 빛이 입사되는 면에 차단막(133)이 형성되고, 빛이 투과되는 면에 투명 플레이트(135)가 형성된다.
투명 플레이트(135)는 제1 투명 플레이트(135-1) 및 제2 투명 플레이트(13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투명 플레이트(135-1)의 일면은 제1 유리 기판(131)과 접착(또는 접합)될 수 있다. 제2 투명 플레이트(135-2)는 제1 투명 플레이트(135-1)의 타면에 접착(또는 접합)될 수 있다. 제1 투명 플레이트(135-1)와 제2 투명 플레이트(135-2) 사이에는 디자인 패턴 물질(137)이 마련된다. 디자인 패턴 물질(137)은 꽃, 나뭇잎, 나무 가지, 줄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디자인 패턴 물질(137)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차단막(133)의 일부가 제거되어 패턴 영역(121)을 이루고, 차단막(133)이 제거되지 않은 영역이 비패턴 영역(123)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단막(133)이 제거되지 않은 영역이 디자인 패턴 물질(137)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차단막(133)의 일부가 제거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투명 플레이트(135)가 제1 투명 플레이트(135-1) 및 제2 투명 플레이트(135-2)를 포함하고, 디자인 패턴 물질(137)이 제1 투명 플레이트(135-1) 및 제2 투명 플레이트(135-2)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자인 패턴 물질(137)은 하나의 투명 플레이트 내에 매립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조명 모듈에서 패턴 형성 미러 내에 디자인 패턴 물질이 마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자인 패턴 물질(137)로 꽃잎 또는 줄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조명 모듈(100)을 통해 자연 친화적인 조명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200 : 조명 모듈
102, 202 : 광원
104 : 광원 수납부
106 : 도광판
108 : 광 확산부
110, 210 : 패턴 형성 미러
112, 212 : 반 투과부
114 : 하우징부
114-1 : 후방 플레이트
114-2 : 측면 플레이트
114a : 안착부
116 : 전원 공급부
121 : 패턴 영역
123 : 비패턴 영역
131 : 제1 유리 기판
133 : 차단막
135 : 투명 플레이트
135-1 : 제1 투명 플레이트
135-2 : 제2 투명 플레이트
137 : 디자인 패턴 물질
141 : 제2 유리 기판
143 : 반 투과막
218 : 불투명판

Claims (8)

  1. 광원;
    상기 광원의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면광원으로 변환시켜 전방으로 사출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전방에 형성되고, 디자인 패턴이 형성되는 패턴 영역 및 상기 패턴 영역을 제외한 비패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패턴 영역 및 상기 비패턴 영역 중 어느 하나는 투과 영역이고, 다른 하나는 비투과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패턴 형성 미러; 및
    상기 패턴 형성 미러의 전방에 형성되는 반 투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턴 형성 미러는,
    제1 유리 기판; 및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광이 입사되는 상기 제1 유리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일부 영역이 제거되어 상기 투과 영역을 이루며, 상기 제거된 일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상기 비투과 영역을 이루는 차단막을 포함하고,
    상기 반 투과부는,
    제2 유리 기판; 및
    상기 제2 유리 기판에서 상기 패턴 형성 미러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면에 형성되는 반 투과막을 포함하며,
    상기 반 투과부로 입사되는 광 중 일부는 상기 반 투과막에 의해 반사됨으로써 상기 패턴 형성 미러로 향하게 되어 상기 패턴 형성 미러의 비투과 영역에 의해 다시 상기 반 투과부로 반사되며, 상기 반 투과부로 입사되는 광 중 다른 일부는 상기 반 투과막을 투과하여 전방으로 향하게 되는, 조명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 모듈은,
    상기 광원의 외측에서 상기 광원을 둘러싸며 형성되고, 상기 도광판을 향하는 측이 개방되어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광이 상기 도광판으로 조사되도록 가이드하는 광원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 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 모듈은,
    상기 도광판과 상기 패턴 형성 미러 사이에 형성되는 광 확산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 모듈.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턴 형성 미러는,
    상기 제1 유리 기판의 타면에 형성되고 디자인 패턴 물질이 마련되는 투명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턴 영역은 상기 디자인 패턴 물질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조명 모듈.
  7. 삭제
  8. 삭제
KR1020140031202A 2014-03-17 2014-03-17 조명 모듈 KR101449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202A KR101449739B1 (ko) 2014-03-17 2014-03-17 조명 모듈
PCT/KR2015/002589 WO2015142039A1 (ko) 2014-03-17 2015-03-17 조명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202A KR101449739B1 (ko) 2014-03-17 2014-03-17 조명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9739B1 true KR101449739B1 (ko) 2014-10-15

Family

ID=51997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202A KR101449739B1 (ko) 2014-03-17 2014-03-17 조명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49739B1 (ko)
WO (1) WO201514203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704B1 (ko) * 2016-02-16 2016-12-06 임효빈 조명장치용 컬러 고보조립체
KR20180127664A (ko) * 2017-05-22 2018-11-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41779B (zh) * 2018-05-24 2018-11-2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發光殼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7907A (ja) * 2000-11-20 2002-05-31 Nippon Sheet Glass Co Ltd 鏡一体型照明装置
CN100370493C (zh) * 2002-07-08 2008-02-20 日本电石工业株式会社 内部照明标记
KR20090008749U (ko) * 2008-02-26 2009-08-31 주식회사 자화라이텍 보조표시를 위한 보조 led를 직하배치 한 측광형 led조명기구
FR2957652B1 (fr) * 2010-03-19 2013-05-31 Automotive Lighting Rear Lamps France Dispositif pour procurer un effet d'infini a un feu de signalisation de vehicule automobi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704B1 (ko) * 2016-02-16 2016-12-06 임효빈 조명장치용 컬러 고보조립체
KR20180127664A (ko) * 2017-05-22 2018-11-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KR102313945B1 (ko) * 2017-05-22 2021-10-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42039A1 (ko)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7079B2 (en) Recessed luminaire
CN109296996B (zh) 色镜、色板及其应用
US7223008B2 (en) Backlighting device for an information display element of a portable object
US9459399B2 (en) Light-emitting panel with transparent cellular support panel
JPWO2019039600A1 (ja) 空中像表示装置
JP6323559B2 (ja) 音響構造体
EP3004731B1 (en) An optical element for obtaining a skylight appearance and a luminaire
TWI578876B (zh) 電子設備殼體
KR101449739B1 (ko) 조명 모듈
CN108692224A (zh) 照明装置及照明系统
CN201237121Y (zh) 具有辅助照明的嵌入式灯具
WO2020024223A1 (zh) 灯罩结构及灯具
CN209995575U (zh) 化妆镜
JP2009080982A (ja) 面発光装置
JP2018170156A (ja) 光環境演出システム
TWI572810B (zh) Lighting device
JP4464438B2 (ja) 壁面パネル
JP2014091224A (ja) 発光装飾体
JP3211553U (ja) 照明装置
JPH0555182U (ja) 多色led光源によるエッヂライト式立体ジスプレイ装置
KR101113663B1 (ko)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
US20230249492A1 (en) Device with backlit colored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e
CN218645395U (zh) 一种水晶面板灯
WO2018109901A1 (ja) 造形体の背光照明装置
CN108166665B (zh) 能够产生反射效果的型材组合件及应用其的吊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