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663B1 -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663B1
KR101113663B1 KR1020110007172A KR20110007172A KR101113663B1 KR 101113663 B1 KR101113663 B1 KR 101113663B1 KR 1020110007172 A KR1020110007172 A KR 1020110007172A KR 20110007172 A KR20110007172 A KR 20110007172A KR 101113663 B1 KR101113663 B1 KR 101113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light source
light
glass
emitt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채영
Original Assignee
이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채영 filed Critical 이채영
Priority to KR1020110007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6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Sanitary equipment, e.g. mirrors, showers, toilet seats or paper disp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the fastening being onto or by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3/061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g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12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a transparent mirror or other light reflecting surface transparent to transmitted light whereby a sign, symbol, picture or other is visible only when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아름다운 형상의 문양이 3차원적 입체 형상으로 투영되는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인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는 크게 하프미러(10), 미러(20), 칼라 필름(30), 광원(40), 프레임(50) 및 플레이트(60)로 구성되며, 미러(20)의 제1 면(21)은 상기 하프미러(10)와 결합하는 유리부이고, 미러(20)의 제2 면(22)은 유리부(22a)와 불투명부(22b)로 이루어지며, 칼라 필름(30)은 상기 미러(20)의 제2 면(22)상에 증착되고, 광원(40)은 상기 칼라 필름(30)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며, 프레임(50)은 상기 광원(40)을 수용하고, 플레이트(60)는 상기 광원(40)에서 나오는 빛의 잔상을 막기 위해 광원(40)의 후면에 위치한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서, 본 발명인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는 하나의 물품으로 거울기능 및 조명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일반 조명이 발산하는 단조로운 2차원 평면의 형상이 아닌 3차원의 입체형상을 제공하고, 하나의 색상이 아닌 다양한 색상을 동시에 발산함에 따라 화려함을 배가시키며, 화려함과 아름다움을 필수 요소로 하는 조명분야에 뛰어난 심미적 기능을 입체적으로 제공함에 따라서 제품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LUMINOUS DISPLAY UNIT HAVING A MIRROR FUNCTIONS}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거울의 기능을 제공하다가, 전원을 인가하면 입체적인 영상을 제공하는 조명으로서의 기능을 제공하는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광표시장치의 내부에 위치한 2차원 평면 거울의 이면에 레이저 에칭을 가함으로써 아름다운 3차원 문양을 제공하고, 발광표시장치의 내부에 위치한 컬러필름을 통하여 화려한 조명 색상을 제공하며, 이러한 아름다운 조명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거울로도 활용될 수 있는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상시에는 거울로 기능하다가 전원 인가시에는 조명으로 기능하는 조명장치는 하프미러, 전반사 미러, 및 광원의 순으로 배열된 구조를 통하여 제공되고 있으나, 전반사 미러는 유리의 후면에 아말감이나 은 등의 금속막을 도포하여 빛을 반사하는 구조를 띄고 있기 때문에 유리의 뒤에 위치한 광원의 투과를 위한 별도의 과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공개번호 10-2010-0091735의 공개특허는 전반사 미러에 구멍을 내는 방법을 통하여 광원의 빛을 투과시키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빛만 전달할 뿐 아무런 문양과 형상을 제공하지 못하여 조명의 화려하고 심미적인 기능을 달성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조명의 심미적 기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등록 실용번호 20-0319058의 고안은 조명의 단조로움을 탈피하고자 그림이나 사진을 조명에 부가하여 해결하고 있으나, 이는 그림이나 사진을 광투과성의 부재로만 제작하여야 하므로 제조공정상의 불편함과 제작단가의 상승을 유발하며, 본 고안은 본 발명과 같은 구조가 아닌 하프미러와 광원만으로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과 같은 입체적인 형상은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즉, 미약하게나마 조명의 기능을 제공하면서 거울로서도 기능하는 발명의 사상이 개시되기는 하였지만, 이는 일반의 조명이 갖는 평면적인 느낌을 탈피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공정의 추가나 제작단가의 상승을 유발함에 따라서 제품경쟁력 또한 갖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거울겸용 조명과는 달리 단조로운 빛의 발산만이 아닌 아름다운 형상의 문양이 3차원적 입체 형상으로 투영되는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다양한 색상을 동시적으로 발산할 수 있는 조명을 제공함에 따라서 하나의 광원으로 다양한 색상을 발산하여 조명의 화려함을 더함으로써 물품의 디자인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기능을 단순한 공정과 경쟁력 있는 제조단가로 달성할 수 있는 거울겸용 발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하프미러를 이용한 거울겸용 조명에 있어서, 하프미러 이외에 어떠한 요소를 부가하느냐와 각 구성요소에 어떠한 처리를 가하느냐에 따라서 조명으로서의 심미적 기능이 우수한 거울겸용 발광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을 통하여 생산비용 측면에서도 비용절감 효과가 있고, 화려한 문양과 색상으로 조명의 심미적 기능을 잘 발휘할 수 있는 경쟁력이 우수한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는 크게 하프미러(10), 미러(20), 칼라 필름(30), 광원(40), 프레임(50) 및 플레이트(60)로 구성되며, 미러(20)의 제1 면(21)은 상기 하프미러(10)와 결합하는 유리부이고, 미러(20)의 제2 면(22)은 유리부(22a)와 불투명부(22b)로 이루어지며, 칼라 필름(30)은 상기 미러(20)의 제2 면(22)상에 증착되고, 광원(40)은 상기 칼라 필름(30)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며, 프레임(50)은 상기 광원(40)을 수용하고, 플레이트(60)는 상기 광원(40)에서 나오는 빛의 잔상을 막기 위해 광원(40)의 후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의 미러(20)의 제2 면(22) 유리부(22a)는 에칭으로 형성되며, 제2 면(22) 유리부(22a)의 에칭된 형상이 광원(40)을 통하여 투영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는 미러(20)의 제2 면(22) 유리부(22a)의 형상이 동일하거나 다른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가 복수 결합하여, 동일하거나 다른 형상이 일시에 투영된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서, 본 발명인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는 하나의 물품으로 거울기능 및 조명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일반 조명이 발산하는 단조로운 2차원 평면의 형상이 아닌 3차원의 입체형상을 제공하고, 하나의 색상이 아닌 다양한 색상을 동시에 발산함에 따라 화려함을 배가시키며, 화려함과 아름다움을 필수 요소로 하는 조명분야에 뛰어난 심미적 기능을 입체적으로 제공함에 따라서 제품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생활편의적인 면에서 검토해보면, 조명이 불필요한 낮에는 일반거울로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서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가 설치된 공간이 확장되어 보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조명이 필요한 밤에는 전원을 인가하여 화려한 문양의 조명을 제공함에 따라서 시간대별 필요에 따라 용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품 효과적인 면에서 검토해보면, 화려한 조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백화점, 전시장 및 호텔 등에서는 인테리어 효과를 위해 조명의 심미감을 중요시하는 바, 본 발명인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는 입체 형상을 화려하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수요층의 목적에 충분히 부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품 경쟁력적인 면에서 검토해보면, 기존의 하프미러를 이용한 조명에서 제공할 수 없었던 것인 문양의 형상이 입체적으로 투영되는 거울 겸용 발광표시장치를 별도의 부품추가 없이도 레이저 에칭으로 달성해 냄에 따라서 제품 경쟁력 및 가격경쟁력 또한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미러(20)의 제2 면(22)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의 거울기능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의 조명기능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미러(20)의 유리부(22a)의 형상이 전원 인가시 입체적으로 투영되는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미러(20) 제2면(22)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가 복수 결합하여 조명기능을 발하는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의 조명기능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의 조명기능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인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의 구성요소는 크게 하프미러(10), 미러(20), 칼라 필름(30), 광원(40), 프레임(50) 및 플레이트(60)로 분별 된다.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의 사시도인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정면에는 하프미러(10)가 위치한다. 하프미러(10)는 어두운 공간에서 하프미러(10)를 통하여 밝은 공간을 보면 밝은 공간인 밖이 보이고, 밝은 공간에서 하프미러(10)를 통하여 어두운 공간을 보면 거울로 보이는 것이다. 하프미러(10)는 일반적인 거울의 금속막을 조밀하지 않게 도포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전면에서 입사하는 빛의 70%는 반사하고 30%는 투과하는 성질을 갖는다. 하프미러(10)에서 입사하는 빛의 70%는 반사되므로 전면에서 조사되는 자연광에 대해서는 통상의 거울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하프미러(10)의 후면에서 빛을 조사하면 조명에 의한 내부의 빛이 전면으로부터의 자연광보다 강하기 때문에, 조명에 의한 내부의 빛이 가시적으로 보이게 된다.
미러(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미러(10)와 결합한다. 하프미러(10)의 뒤에 전반사 미러(20)를 위치시키는 구성에 의하면, 광원의 빛이 하프미러(10)를 일부는 투과하게 되나 일부는 미러(20)방향으로 반사되고, 연이어 다시 하프미러(10)에서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다시 미러(20)방향으로 반사되어 많은 상을 형성하므로 조명의 입체감을 살리게 된다. 상기 미러(20)는 전반사 거울로서 투명유리의 후면에 아말감이나 은 등과 같은 금속막을 도포하여 빛을 반사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미러(20)는 전면에서 조사되는 빛을 전반사하는 성질을 갖으므로, 오직 거울의 기능만을 수행한다. 미러(20)의 제1 면(21)은 상기 하프미러(10)와 결합하는 면이며, 제1 면(21) 전체가 유리부로 이루어지고, 미러(20)의 제2 면(22)은 유리부(22a)와 불투명부(22b)로 이루어진다. 미러(20)의 제2 면(22)을 도 4를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불투명부(22b)는 일반적인 거울의 뒷면으로서, 아말감이나 은 등의 금속막으로 이루어진다. 반면에 유리부(22a)는 제2 면(22)상에 레이저 에칭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불투명한 금속막에 에칭을 가하면 불투명한 부분인 금속막이 벗겨지면서 투명하게 되므로 이 부분을 통하여 후면의 광원이 조사되게 된다. 즉, 에칭으로 인하여 투명하게 된 유리부(22a)의 형상이 광원을 통해 조명의 기능을 갖으며 투영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프미러(10)와 상기 미러(20)사이에 투명 유리 또는 유리 아크릴을 형성함으로써 투영되는 상의 거리를 길게 하여 본 발명이 조명기능을 수행할 경우, 조명 효과의 깊이감을 더욱 깊고도 웅장하게 하여 입체감을 더욱 고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프미러(10)와 상기 미러(20)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수용함으로써 이격된 공간만큼 상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도모할 수도 있다. 더불어, 미러(20)의 두께를 두껍게 조절함으로써 상의 거리를 길게 맺히게 하여 동일한 효과를 도출할 수도 있다.
칼라 필름(30)은 상기 미러(20)의 제2 면(22)상에 증착된다. 칼라 필름(30)은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광학적인 얇은 필름이 다중 층으로 쌓여 형성된다. 칼라 필름(30)은 본 발명이 조명으로 기능하는 경우에, 조명에 색상을 부여하기 위하여 부가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무지개빛을 발산하는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된다. 이는 검은 색조의 두께가 0.7 mil이며 100개를 초과하는 층을 함유하는 반투명한 필름으로 네온 테트라(tetra), 공작의 깃털 및 오일 필름에서 나타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제공한다. 필름에 있어 두께의 변화는 필름의 영역에서 색상의 변화를 가져오므로, 본 발명이 조명으로 기능하는 경우에 설치 공간의 분위기에 상응하여 칼라 필름(30)의 두께를 다양하게 변형 활용할 수 있다.
광원(40)은 상기 칼라 필름(30)방향으로 빛을 발산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LED, 전구, 형광등, 램프 등 발광하는 소자라면 무엇이든 사용가능하다.
프레임(50)은 상기 광원(40)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흑색 아크릴이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원을 수납하고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이면 족하다.
플레이트(60)는 상기 광원(40)에서 나오는 빛의 잔상을 막기 위해 광원(40)의 후면에 위치한다. 플레이트(60)도 프레임(50)과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흑색 아크릴이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이면 족하다.
결합부재(70)는 상술한 구성요소들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나사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는 거울의 기능과 조명의 기능을 갖는 이중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상술한 구성을 갖는다. 즉, 도 5와 같이 평상시에는 거울의 기능을 실현하다가 전원이 인가되면 도 6과 같은 조명의 기능을 실현한다. 미러(20)의 유리부(22a)의 형상이 도 4와 같은 실시 예1에 의하면, 본원에 의한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유리부(22a)의 형상은 도 7과 같은 3차원적인 입체 형상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조명효과로 인하여 깊이감이 있으면서도 화려한 발광표시장치를 개시할 수 있다.
미러(20)의 유리부(22a)의 형상이 도 8과 같은 실시 예2에 의하면,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의 유리부(22a)의 형상을 도 8과 같이 각각 다르게 제작하여 각기 다른 형상을 갖는 조명을 동시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즉, 하프미러(10), 미러(20), 각기 다른 유리부(22a)의 형상 및 칼라필름(30)이 결합된 요소를 하나의 광원(40)을 이용하여 복수의 형상을 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도 9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현할 경우, 벽면으로의 간접조명효과도 얻을 수 있어서 더욱 웅장한 느낌의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기본으로 미러(20)의 유리부(22a)의 형상을 다르게 변형하면, 도 10과 같은 조명 효과도 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사상을 기본으로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가 설치되는 공간과 목적에 상응하도록 본 발명의 크기 및 발광형상을 얼마든지 변형 가능하다.
상술한 구성을 기본으로 미러(20)의 유리부(22a)의 형상을 다르게 변형하고, 본 발명에 의한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를 복수 결합하면 도 11과 같은 입체 형상도 달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하프미러 20 : 미러
21 : 제1 면 22 : 제2 면
22a : 유리부 22b : 불투명부
30 : 칼라 필름 40 : 광원
50 : 프레임 60 : 플레이트

Claims (5)

  1. 하프미러(10);
    상기 하프미러(10)와 결합하는 제1 면(21)은 유리부이고, 제2 면(22)은 유리부(22a)와 불투명부(22b)로 이루어진 미러(20);
    상기 미러(20)의 제2 면(22)상에 증착되는 칼라 필름(30);
    상기 칼라 필름(30)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는 광원(40);
    상기 광원(40)을 수용하기 위한 프레임(50); 및
    상기 광원(40)에서 나오는 빛의 잔상을 막기 위해 광원(40)의 후면에 위치한 플레이트(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20)의 제2 면(22) 유리부(22a)는 에칭으로 형성되며, 제2 면(22) 유리부(22a)의 에칭된 형상이 광원(40)을 통하여 투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20)의 제2 면(22) 유리부(22a)의 형상이 동일하거나 다른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가 복수 결합하여, 동일하거나 다른 형상이 일시에 투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미러(10)와 상기 미러(20)사이에 투명 유리 또는 유리 아크릴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미러(10)와 상기 미러(20)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
KR1020110007172A 2011-01-25 2011-01-25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 KR101113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172A KR101113663B1 (ko) 2011-01-25 2011-01-25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172A KR101113663B1 (ko) 2011-01-25 2011-01-25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3663B1 true KR101113663B1 (ko) 2012-02-14

Family

ID=45840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172A KR101113663B1 (ko) 2011-01-25 2011-01-25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6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1474B2 (en) 2015-10-07 2018-06-0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O2023096212A1 (ko) * 2021-11-29 2023-06-01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무한 거울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357A (ko) * 2001-08-28 2003-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속 열 스캔닝 스킴을 갖는 불 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30043661A (ko) * 2001-11-28 2003-06-02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에피설파이드 화합물, 그것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포함하는 광학제품
KR200318357Y1 (ko) 2003-03-13 2003-06-27 주식회사 피씨웨이 거울기능을 구비한 액자
KR200343661Y1 (ko) 2003-11-24 2004-03-05 이영득 이미지 합성 표시 거울
KR20090007284A (ko) * 2006-02-15 2009-01-16 바스프 에스이 표면상의 결정 화합물의 패턴화
KR20100091735A (ko) * 2009-02-11 2010-08-19 이영수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357A (ko) * 2001-08-28 2003-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속 열 스캔닝 스킴을 갖는 불 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30043661A (ko) * 2001-11-28 2003-06-02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에피설파이드 화합물, 그것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포함하는 광학제품
KR200318357Y1 (ko) 2003-03-13 2003-06-27 주식회사 피씨웨이 거울기능을 구비한 액자
KR200343661Y1 (ko) 2003-11-24 2004-03-05 이영득 이미지 합성 표시 거울
KR20090007284A (ko) * 2006-02-15 2009-01-16 바스프 에스이 표면상의 결정 화합물의 패턴화
KR20100091735A (ko) * 2009-02-11 2010-08-19 이영수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1474B2 (en) 2015-10-07 2018-06-0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0224513B2 (en) 2015-10-07 2019-03-0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O2023096212A1 (ko) * 2021-11-29 2023-06-01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무한 거울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6026B2 (en) Lighting device with sparkling effect
TWI398832B (zh) 多重反射面板
CN104819423A (zh) 立体照明装置以及使用立体照明装置的车辆照明装置
JP2009048939A (ja) 面発色装置
JP2005221661A (ja) 加飾装置
US20190041035A1 (en) Lighting device with sparkling effect
KR100704651B1 (ko) 도광판에 의한 발광부와 비발광부가 격자형태로 배열된쇼케이스 조명장치
JP2005134789A (ja) 装飾部材
KR101113663B1 (ko)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
US20090190334A1 (en) Animated light with dynamic ornamental effect
JP2003151337A (ja) 発光板材及び発光収納家具
KR100704650B1 (ko) 도광판을 이용한 쇼케이스 조명장치
JP4464438B2 (ja) 壁面パネル
KR101098742B1 (ko) 측광형 거울조명장치
JP2006289849A (ja) パール模様装飾体
CN108790573A (zh) 一种沉雕工艺品成像方法和工艺品
JP2008218223A (ja) 面発色装置
WO2009017435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художественно-декоративных изделий - панелей (варианты)
JP3221002U (ja) 装飾用照明器具
US11987071B2 (en) Device with backlit colored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110107631A1 (en) Integrated mirror and graphics display system
US20080094839A1 (en) Patterned ornament having lighting figures
JP2001005416A (ja) エッジライト式自発光表札ユニット
CN216610698U (zh) 一种深渊千层装饰灯画
TWM639415U (zh) 反射燈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