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672B1 -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 - Google Patents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672B1
KR101544672B1 KR1020140042316A KR20140042316A KR101544672B1 KR 101544672 B1 KR101544672 B1 KR 101544672B1 KR 1020140042316 A KR1020140042316 A KR 1020140042316A KR 20140042316 A KR20140042316 A KR 20140042316A KR 101544672 B1 KR101544672 B1 KR 101544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lock
height
grounding
ground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지현
Original Assignee
고려씨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씨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씨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2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09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adjustable in height or incl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뚜껑이 안착되는 안착 틀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지면의 승하강이 발생한 경우에도 상기 지면과 수평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상기 뚜껑 및 안착 틀을 접지시킬 수 있는 접지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감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중공 구조를 가지는 콘크리트 블록, 상기 콘크리트 블록에 삽입된 상태도 안착되되, 높이 조절구에 의하여 높이가 조절되는 안착 틀, 상기 안착 틀에 안착되어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시키는 뚜껑, 상기 안착 틀 및 뚜껑을 접지시키는 접지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handhole having groud function}
본 발명은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뚜껑이 안착되는 안착 틀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지면의 승하강이 발생한 경우에도 상기 지면과 수평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상기 뚜껑 및 안착 틀을 접지시킬 수 있는 접지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감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 홀(Handhole)이란 맨홀(man hole)과 동일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노면(路面)에서 지하로 사람이 출입하거나 손을 넣어 작업할 수 있게 만든 구멍으로, 용도에 따라 상.하수도용,우수용, 오수용, 및 전기통신용으로 구분되며 도로에 일정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핸드 홀에는 콘크리트 블록이 안착되고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는 뚜껑 틀과 핸드홀 뚜껑으로 이루어진 핸드 홀 조립체가 설치되어, 출입을 위해 상기 콘크리트 블록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핸드홀 조립체의 상부에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이나 보행자가 반복적으로 지나갈 경우 전달되는 충격량으로 인해 덜컹거림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교통소음이 발생한다. 그리고 더 심할 경우에는 외부로 이탈되어 안전사고까지 야기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도에 설치된 핸드홀 조립체는 반복적으로 전달되는 차량이나 보행자의 하중에 의해 보도블록이나 인도의 지면이 침하되어 상대적으로 핸드홀 조립체가 돌출됨으로서, 보행자가 핸드홀 조립체에 걸려 넘어져 상해를 입는 문제점이 있으며 차량에 걸려 파손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핸드홀 조립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침하방지기능을 갖는 핸드홀(등록특허공보 10-1073861호)을 제안하였다. 이 침하방지기능을 갖는 핸드홀을 통하여 기존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다만, 상기 침하방지기능을 갖는 핸드홀은 구조가 다소 복잡하기 때문에, 더 단순한 구조를 가지는 침하방지기능을 갖는 핸드홀이 제안될 필요성이 있다. 즉, 구조적으로 더 간단하고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침하방지기능을 갖는 핸드홀이 제안될 필요성이 있다.
아울러, 일반적인 핸드홀에는 접지 기능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감전 사고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접지 기능을 구비한 핸드홀 역시 제안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뚜껑이 안착되는 안착 틀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지면의 승하강이 발생한 경우에도 상기 지면과 수평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상기 뚜껑 및 안착 틀을 접지시킬 수 있는 접지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감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구조적으로 더 간단하고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과 과제를 가지는 본 발명인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중공 구조를 가지는 콘크리트 블록, 상기 콘크리트 블록에 삽입된 상태도 안착되되, 높이 조절구에 의하여 높이가 조절되는 안착 틀, 상기 안착 틀에 안착되어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시키는 뚜껑, 상기 안착 틀 및 뚜껑을 접지시키는 접지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높이 조절구는 상기 콘트리트 블록 내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수평하게 뚫려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 장착되는 너트 및 상기 콘크리트 블록 내측면에 접촉되는 상기 안착 틀의 접촉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홀을 통하여 상기 너트에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접지 부재는 상기 너트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콘크리트 블록 내부에 장착되는 접지단자, 상기 접지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콘크리트 블록 내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 외부로 노출되는 접지 라인, 상기 접지 라인 타단에 연결된 상태로 땅속이 매몰되는 접지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과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은 수직면과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다단 구조를 가지고, 상기 경사면은 바깥쪽으로 가면서 높이가 낮아지도록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 및 해결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에 의하면, 뚜껑이 안착되는 안착 틀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기 때문에, 지면의 승하강이 발생한 경우에도 상기 지면과 수평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뚜껑 및 안착 틀의 돌출에 의한 인명 및 차량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미려한 미관을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뚜껑 및 안착 틀을 접지시킬 수 있는 접지 부재를 구비하기 때문에, 감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낙뢰에 의한 핸드 홀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 더 간단하기 때문에,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을 이용한 높이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형상에 따른 장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을 구성하는 결합홀의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100)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100)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100)은 기층(도 4에서 도면부호 3으로 표기됨)에 묻혀진 상태로 배치되는 콘크리트 블록(10),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에 높이가 조절 가능하게 결합 장착되는 안착 틀(30) 및 상기 안착 틀(30)에 안착되어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의 상부 개방 부분을 개폐하는 뚜껑(50) 및 상기 안착 틀(30)과 뚜껑(50)을 접지시키는 접지 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은 콘크리트재로 이루어지고 중공 구조를 가진다.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구조를 가지는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중공형 원기둥 또는 중공형 다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콘크리트 블록(10) 상에는 상기 안착 틀(30)이 삽입 안착 또는 결합된다. 즉, 상기 안착 틀(30)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에 삽입된 상태로 안착되되, 높이 조절구(90)에 의하여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착 틀(30)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에 결합되되, 높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 틀(30)은 상기 높이 조절구(90)에 의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안착 틀(30)이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안착 틀(30)에 안착되어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의 상부 개방 부분을 덮는 상기 뚜껑의 높이도 조절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 틀(30) 및 상기 뚜껑(50)은 상기 높이 조절구(90)에 의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변의 보도 블록(도 4에서 도면 부호 1로 표기됨) 또는 기층 또는 지면이 침하 또는 상승되는 경우, 상기 지면과 동일한 수평면을 유지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착 틀(30) 상에는 상기 뚜껑(50)이 안착된다. 즉, 상기 뚜껑(50)은 상기 안착 틀(30)에 안착되어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뚜껑(50)을 들어올리는 과정을 통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의 개방된 상부를 개방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안착 틀(30)과 상기 뚜껑(5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에는 각 종 통신 선로, 장비 등이 설치된다. 따라서, 빗물 등 다양한 매개체를 통하여 상기 금속 재질의 안착 틀(30) 및(또는) 뚜껑(50)에 전류가 흐를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안착 틀(30) 및(또는) 뚜껑(50)으로 인하여 감전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접지 부재(70)를 구비하여 감전 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 또는 차량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지 부재(70)는 상기 안착 틀(30) 및 상기 뚜껑(50)을 그라운드(ground)에 연결하여 접지시킨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100)은 상기 뚜껑(50)을 안착시키는 상기 안착 틀(30)이 상기 높이 조절구(90)에 의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주변 지면의 높이가 변경되더라도, 높이 조절을 통하여 상기 지면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지 부재(70)를 통하여 상기 안착 틀(30) 및 상기 뚜껑(50)을 그라운드에 접지시키기 때문에, 감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상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의 구체적인 결합관계 및 배치 그리고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의 상부면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구조를 가지지 않고, 다단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의 상부면은 상면과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이 수직면(13)과 경사면(15)으로 구성되어 다단 구조를 가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의 상부면은 수평면(11)과, 상기 수평면(11)과 거의 직각을 이루는 수직면(13)과 상기 수직면(13)과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15)으로 구성되어 다단 구조를 가진다. 상기 경사면(15)은 상기 수직면(13) 하단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을 가진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콘크리트 블록(10)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상기 안착 틀(3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의 개방된 부분으로 삽입 장착될 수 있는 플랜지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착 틀(30)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의 중공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되,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의 중공 부분으로 삽입 장착될 수 있는 플랜지 형상을 가지고, 그 단면 형상이 다단 구조를 가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안착 틀(3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 틀(30)의 상부 개방 부분을 형성하는 지지면(31)과, 상기 지지면(31)의 하단에서 안쪽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안착면(33) 및 상기 안착면(33)의 끝단에서 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의 중공 부분에 삽입되는 플랜지를 형성하는 접촉면(35)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면(31)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의 수직면(13)에 일치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뚜껑(50)의 수평 방향의 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안착면(33)은 상기 뚜껑(50)이 안착되는 부분에 해당되고,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의 수평면과 동일한 길이 또는 미세하게 더 긴 길이를 가진다.
상기 접촉면(35)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의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높이 조절구(90)에 의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에 접촉 결합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착 틀(30)의 접촉면(35)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의 내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높이 조절구(90)에 의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높이 조절구(90)에 의하여 상기 안착 틀(30)이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의 내측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에는 높이 조절구(90)를 구성하는 너트(91)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삽입홈(1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 틀(30)의 접촉면(35)에는 상기 높이 조절구(90)를 구성하는 볼트(93)가 삽입된 후 상기 너트(9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홀(3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 틀(30)의 접촉면(35)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홀(35a)은 상기 볼트(93)가 상기 너트(91)에 완전하게 조여진(결합된) 상태가 아닐 때, 상기 접촉면(35)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 또는 슬라이딩 가능한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안착 틀(30)의 접촉면(35)에 형성된 상기 결합홀(35a)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홀 형상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상기 볼트(93)를 상기 결합홀(35a)에 통과시킨 상태로 상기 삽입홈(17)에 고정 장착되어 있는 너트(91)에 나사결합을 강하게 하면, 상기 안착 틀(30)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에 삽입되어 강하게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안착 틀(3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볼트(93)를 완전히 풀어서 분리하거나, 적당하게 풀어서 상기 너트(91)에 체결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안착 틀(30)의 높이를 수직 방향으로 조절한 후, 다시 상기 볼트(93)를 강하게 조인다. 그러면, 상기 안착 틀(30)은 높이 조절이 된 상태로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착 틀(3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에 결합하기 위해서, 상기 결합홀(35a)을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홀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결합홀(35a)이 단순하게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홀 형상을 가지면, 상기 볼트(93)가 강하게 체결된 상태일지라도, 상기 안착 틀(30)의 무게로 인하여, 상기 볼트(93)가 상기 결합홀(35a)을 따라 하방향으로 내려갈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안착 틀(30)은 의도되지 않은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접촉면(35)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홀(35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주름진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합홀(35a)은 상기 볼트(93)가 삽입될 수 있는 개별 홀들을 서로 연결하는 부분에 형성된 지지턱(35b)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볼트(93)가 상기 결합홀(35a)의 특정 부분(특정 개별 홀)을 통해서 상기 너트에 결합되면, 상기 볼트(93)는 상기 지지턱(35b)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안착 틀(30)의 무게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내려가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삽입홈(17)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의 내측면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의 형상이 사각 기둥이라면, 상기 삽입홈(17)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의 네 개의 내측면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홀(35a) 역시 상기 플랜지 형상을 구성하는 상기 접촉면(35)에 각각, 즉 네 개의 접촉면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높이 조절구(90) 역시 네개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결합 위치에 따라, 상기 삽입홈(17), 결합홀(35a) 및 높이 조절구(9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 조절구(90)는 상기 콘트리트 블록(10) 내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수평하게 뚫려 형성되는 삽입홈(17)에 삽입되어 고정 장착되는 너트(91) 및 상기 콘크리트 블록(10) 내측면에 접촉되는 상기 안착 틀(30)의 접촉면(35)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홀(35a)을 통하여 상기 너트(91)에 체결되는 볼트(9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앞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상기 너트(91)는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에 삽입되되, 유동되지 않도록 강하게 결합된다. 상기 너트(91)는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10) 내부에 고정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 틀(30)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 틀(30)은 상기 높이 조절구(90)에 의하여 특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에 삽입 결합된다.
이후, 핸드 홀 주변의 지면 또는 보도 블록이 하강하면, 상기 안착 틀(30) 및 이에 안착되는 뚜껑(50)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상기 볼트(93)를 완전히 풀거나 또는 미세하게 푼 상태에서, 상기 안착 틀(30)의 높이를 낮추어서 상기 안착틀(30)의 상단 또는 상기 뚜껑(50)의 상단이 상기 지면 또는 보도 블록과 수평하게 한 다음, 상기 볼트(93)를 다시 강하게 체결함으로써, 상기 안착 틀(30) 또는 뚜껑의 높이를 상기 지면 등과 수평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도 3의 (b) 참조).
이 후, 상기 핸드 홀 주변에 지면이 높아지거나 또는 보도 블록을 교체하여 높이가 높아진 경우에는, 다시 상기 안착 틀(30)의 높이를 상승시키는 동작을 수행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핸드 홀은 주면 지면 등의 높이 변화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이로 인하여 인명 또는 차량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 재질의 안착 틀(30) 및 뚜껑(50)을 접지시킬 수 있는 접지 부재(70)를 구비함으로써, 감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상기 접지 부재(70)는 상기 볼트(93)에 체결되는 너트(91)로 구성되는 높이 조절구(90)를 연결 매개체로 하여 상기 안착 틀(30) 및 뚜껑(50)을 그라운드(ground)에 접지시킨다.
상기 접지 부재(7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91)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콘크리트 블록(10) 내부에 장착되는 접지단자(71), 상기 접지단자(71)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콘크리트 블록(10) 내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10) 외부로 노출되는 접지 라인(73), 상기 접지 라인(73) 타단에 연결된 상태로 땅속이 매몰되는 접지봉(7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지 단자(71)는 상기 접지 라인(73)과 상기 너트(91)를 연결하는 금속 재질의 단자이다. 이 접지 단자(71)는 상기 너트(91)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10)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접지 단자(71)는 미리 상기 너트(91)에 접촉 연결된 상태로 상기 콘크리트 블록(10) 내부에 배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 단자(71)에 일단이 연결되는 상기 접지 라인(73) 역시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의 제작 과정에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10) 내부에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접지 라인(73)의 타단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접지 라인(73)의 타단은 상기 접지봉(75)에 연결된다. 상기 접지봉(75)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을 기층 또는 땅속에 매설 형성하는 과정에서 땅속에 매설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접지 부재(70)는 상기 접지 단자(71)가 상기 너트(91)에 접촉 연결되어 있고, 상기 너트(91)는 상기 볼트(93)에 체결되며, 상기 볼트(93)은 상기 안착 틀(30)의 접촉면(35)에 접촉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 틀(30)은 상기 뚜껑(50)을 접촉된 상태로 안착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안착 틀(30) 및 상기 뚜껑(50)이 접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안착 틀(30) 또는 상기 뚜껑(50)에 보행자 또는 작업자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상기 접지 부재(70)에 의하여 상기 안착 틀(30) 및 뚜껑(50)이 접지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보행자 또는 작업자가 감전 사고를 당하는 염려가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100)은 접지 기능을 구비하여 보행자 또는 작업자의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주변 지면 또는 보도 블록의 높이가 변경되더라도, 높이 조절을 통하여 주변 지면 또는 보도 블록의 높이와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100)은 주변 보도 블록 등이 침하한 경우, 상기 안착 틀의 돌출 상태를 최소화함으로써, 보행자 또는 차량의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은 콘크리트 블록(10)의 모서리 부분을 다단 구조로 형성하여 보도 블록의 침하에 따른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의 상면과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은 수직면(13)과 경사면(15)으로 구성되는 다단 구조를 가지고, 상기 경사면(15)은 바깥쪽으로 가면서 높이가 낮아지도록 기울어져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을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층에 매설하여 핸드 홀을 설치한 다음, 보도 블록(1)의 하부에 형성되는 기층(3) 또는 땅이 침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기층(3) 등이 침하하면, 상기 보도 블록(1) 역시 하강하게 된다. 그런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에 인접한 보도 블록(1)의 측면은 상기 수직면(13)에 접촉되고, 하부면은 상기 기층(3)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기층이 침하하기 때문에,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에 인접한 보도 블록(1)은 침하하면서 상기 경사면(15)에 지지된 상태가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보도 블록의 일단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의 높이와 거의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고 타단만이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기 되고, 전체적으로 상기 보도 블록은 상기 경사면(15)에 대응한 경사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보도 블록(1)이 전체적으로 침하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콘크리트 블록(10)의 돌출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보행자 또는 차량의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보도 블록 3 : 기층
10 : 콘크리트 블록 11 : 수평면
13 : 수직면 15 : 경사면
17 : 삽입홈 30 : 안착 틀
31 : 지지면 33 : 안착면
35 : 접촉면 35a : 결합홀
50 : 뚜껑 70 : 접지 부재
71 : 접지 단자 73 : 접지 라인
75 : 접지봉 90 : 높이 조절구
91 : 너트 93 : 볼트
100 :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

Claims (4)

  1. 중공 구조를 가지고, 내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수평하게 뚫려 형성되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콘크리트 블록;
    상기 콘크리트 블록에 삽입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안착되되, 상부 개방 부분을 형성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하단에서 안쪽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안착면 및 상기 안착면의 끝단에서 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중공 부분에 삽입되는 접촉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블록 내측면에 접촉되는 상기 접촉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주름진 형상의 결합홀이 형성되는 안착 틀;
    상기 안착 틀에 안착되어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시키는 뚜껑;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 장착되는 너트 및 상기 결합홀을 통하여 상기 너트에 체결되는 볼트로 구성되어 상기 안착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구; 및
    상기 안착 틀 및 뚜껑을 접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너트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콘크리트 블록 내부에 장착되는 접지단자, 상기 접지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콘크리트 블록 내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 외부로 노출되는 접지 라인, 상기 접지 라인 타단에 연결된 상태로 땅속이 매몰되는 접지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지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과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은 수직면과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다단 구조를 가지고, 상기 경사면은 바깥쪽으로 가면서 높이가 낮아지도록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
KR1020140042316A 2014-04-09 2014-04-09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 KR101544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316A KR101544672B1 (ko) 2014-04-09 2014-04-09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316A KR101544672B1 (ko) 2014-04-09 2014-04-09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4672B1 true KR101544672B1 (ko) 2015-08-17

Family

ID=54061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316A KR101544672B1 (ko) 2014-04-09 2014-04-09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6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484B1 (ko) * 2020-04-23 2021-01-13 주식회사 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배수로 덮개
CN112663675A (zh) * 2020-12-21 2021-04-16 福建鑫远建工有限公司 一种防沉降检查井室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502Y1 (ko) * 2000-03-14 2000-08-16 김영신 책상
KR101034191B1 (ko) * 2011-02-21 2011-05-12 유재현 맨홀 접지구조
KR101418977B1 (ko) * 2013-02-06 2014-07-11 (주)다정하이테크 수직기둥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둥지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502Y1 (ko) * 2000-03-14 2000-08-16 김영신 책상
KR101034191B1 (ko) * 2011-02-21 2011-05-12 유재현 맨홀 접지구조
KR101418977B1 (ko) * 2013-02-06 2014-07-11 (주)다정하이테크 수직기둥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둥지지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디자인공보 30-0525938*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484B1 (ko) * 2020-04-23 2021-01-13 주식회사 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배수로 덮개
CN112663675A (zh) * 2020-12-21 2021-04-16 福建鑫远建工有限公司 一种防沉降检查井室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946B1 (ko) 맨홀프레임의 경사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밸브실
US6371688B1 (en) Manhole cover mounting structure
CA244435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and inclination of roadway and greenway appurtenances
KR101544672B1 (ko) 접지 기능이 구비된 침하방지 핸드 홀
KR200444445Y1 (ko) 높낮이 조절 및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맨홀
KR102107671B1 (ko) 높이 및 경사 조절식 맨홀
KR20120082519A (ko) 수압조절기능을 갖는 맨홀덮개
KR100612088B1 (ko) 맨홀덮개의 높이조절장치
AU2016357408B2 (en) Filter grid having a fixing structure for a drain inlet
JP6080553B2 (ja) グレーチング
US20130195549A1 (en) Inclined manhole cover riser assembly
KR20180000415U (ko) 높이와 경사조절이 가능한 맨홀 시공구조
KR20080038555A (ko) 볼트 잠금식 상수도·하수도·전기·통신용 맨홀뚜껑
KR101309571B1 (ko) 맨홀뚜껑의 이탈제한 및 복원장치
KR102134641B1 (ko) 맨홀뚜껑 인상용 링
KR102160764B1 (ko) 높이 및 경사조절이 가능한 밸브실
KR100430118B1 (ko) 맨홀뚜껑 높이 조절장치
AU723044B3 (en) A rapidly ajustable man-hole cover seat
KR100944028B1 (ko) 인상링 기능을 갖는 사각철개
JP3185244U (ja) グレーチングの取付構造
JP3182813U (ja) 溝蓋用受枠
KR100746633B1 (ko) 맨홀
KR101073861B1 (ko) 침하방지기능을 갖는 핸드홀
KR20070081729A (ko) 높이조정용 맨홀 및 그 조정기구
KR101124388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틸그레이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316

Effective date: 2015070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