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561B1 -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561B1
KR101543561B1 KR1020150006032A KR20150006032A KR101543561B1 KR 101543561 B1 KR101543561 B1 KR 101543561B1 KR 1020150006032 A KR1020150006032 A KR 1020150006032A KR 20150006032 A KR20150006032 A KR 20150006032A KR 101543561 B1 KR101543561 B1 KR 101543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image
unit
mode
occur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준
송완주
한현택
Original Assignee
(주)금성보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성보안 filed Critical (주)금성보안
Priority to KR1020150006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9Methods or equipment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2C99/0009 - A62C99/0081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1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 H04N23/11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visible and infrared light wavelength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화상 감지 센서와 카메라 둘 모두를 포함하여 열화상 감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열화상영상 및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일반영상 둘 모두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화재를 모니터링하고 화재 발생 가능성 예측, 화재 발생 및 화재 진화 여부를 알리며, 관리자에 의한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모드에 따라 상기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 중 하나 이상을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 및 방법{Hybrid fir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화재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화상 감지 센서와 카메라 둘 모두를 포함하여 열화상 감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열화상영상 및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일반영상 둘 모두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화재를 모니터링하고 화재 발생 가능성 예측, 화재 발생 및 화재 진화 여부를 알리며, 관리자에 의한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모드에 따라 상기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 중 하나 이상을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악 지역이나, 건물, 공장, 고속도로, 문화재 등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를 대비하여 CCTV 카메라 또는 화재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화재의 감시 및 초동 진화를 수행하고 있다. 즉, 화재 감지(또는 "감시") 시스템은 CCTV 카메라 또는 화재 감지 장치를 통하여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발화지점을 초기에 발견하고, 화재 경보를 발하는 방식으로 화재에 대한 초기 대응을 수행한다.
특히, 산악 지역이나, 공공장소와 같이 면적이 넓은 장소에서는 화재 감지 센서를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카메라를 통한 영상 기반으로 해당 지역 및 장소를 감시하는 영상기반의 화재 감시 시스템이 상용화되어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재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재 감시 시스템(10)은 다수의 화재 감지 장치(2), 다수의 CCTV 등과 같은 다수의 일반영상 카메라(3) 및, 상기 화재 감지 장치(2)에서 수신되는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 카메라(3)로부터 수신되는 일반영상을 수신받아 표시하고, 열화상영상으로부터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감시 서버부(1)를 포함한다.
통상 화재 감시 서버부(1)는 상기 촬영된 영상들을 저장하여 관리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레코드(Digital Video record: DVR) 서버인 화재용 비디오 레코더(Fire Video Recorder: FVR) 서버를 포함할 것이다.
또한, 화재 감시 서버부(1)는 내부 로컬망(4)을 통해 인터넷망(20)에 접속한 원격지의 컴퓨터 단말기(30)로 시스템에 의해 모니터링되고 있는 다양한 정보를 웹 형태 또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하는 웹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 등을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화재 감시 서버부(1)는 통상적으로 화재 감지 장치(2) 및 일반영상 카메라(3)들과 컴포지트 등과 같은 영상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영상을 수신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로컬망(4)에 접속하여 IP 통신에 의해 영상을 전송하는 IP 카메라가 상용화되고 있어, 화재 감시 시스템(10)에도 일반영상 카메라(3)로 IP 카메라가 적용되고 있다. 이 경우 화재 감시 서버부(1)는 IP 카메라로부터 IP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영상을 수신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화재 감시 시스템은 화재 감시 영역 내에 다수의 화재 감지 장치와 다수의 카메라들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시스템 구축에 많은 인력과 시간을 소요하게 되므로 시스템 구축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의 화재 감지 장치 및 카메라들을 설치해야 하고, 설치된 화재 감지 장치 및 카메라와 화재 감지 서버를 연결해야 하므로 그 배선이 복잡해지고 그에 따른 시스템 구축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화재 감시 시스템은 화재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열화상영상 및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일반영상을 무조건적으로 모두 수신하여야 하므로 과도한 트래픽이 발생할 수 있고, 수신되는 모든 영상을 저장하여 관리하기 위한 FVR 서버 등이 구축되어야 하므로 많은 시스템 구축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0502181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화상 감지 센서와 카메라 둘 모두를 포함하여 열화상 감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열화상영상 및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일반영상 둘 모두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화재를 모니터링하고 화재 발생 가능성 예측, 화재 발생 및 화재 진화 여부를 알리며, 관리자에 의한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모드에 따라 상기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 중 하나 이상을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는: 화재 감시 서버부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의 화재 감시 장치에 있어서, 화재 감시 지역의 일정 범위의 화재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열화상영상을 출력하는 열화상부; 상기 열화상부와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화재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일반영상을 출력하는 영상부; 로컬망에 유선 및 무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연결되어 상기 화재 감시 서버부와 인터넷프로토콜에 기반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단일 모니터링 모드 및 동시 모니터링 모드 중 미리 설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열화상부를 통해 획득되는 열화상영상 및 영상부를 통해 획득되는 일반영상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화재 감시 서버부로 전송하고, 상기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및 화재의 발생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화재 감시 서버부로 통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화재 감시 서버부로부터 관리자에 의해 단일 모니터링 모드 및 동시 모니터링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모드 설정 데이터를 입력받아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부; 상기 열화상부를 통해 상기 열화상영상을 획득하는 열화상영상 획득부; 상기 영상부를 통해 상기 일반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열화상영상으로부터 포인트별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 상기 온도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온도와, 상기 모드에 따른 상기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 중 하나 이상의 분석에 의한 불꽃 및 연기 검출에 의해 화재 가능성 예측 판단 및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가능성 예측부; 및 화재 감시 장치의 고유의 식별정보, 미리 설정된 자신의 위치, 설치 높이, 상기 열화상부 및 영상부의 상하좌우 틸팅 각도를 기준으로 상기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검출 위치 또는 화재 발생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부를 포함하되, 화재 가능성 예측 판단 시 화재 발생 가능성이 있음을 알리는 화재 발생 가능성 알림 신호를 상기 화재 감시 서버부로 제공하고, 화재 발생 판단 시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상기 화재 감시 서버부로 전송하며, 상기 화재 발생 가능성 알림 신호의 전송 시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검출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고, 상기 화재 발생 검출 시 화재 발생 알림 신호에 화재 발생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드가 단일 모니터링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는, 열화상영상 획득부를 통해 상기 열화상부로부터 열화상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화재 감시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화재 가능성 예측부를 통해 상기 열화상영상을 분석하여 화재 발생 가능성 예측 판단 및 화재 발생 여부를 예측하고, 화재 발생 가능성 예측 판단 시부터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해 영상부를 구동하여 일반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화재 감시 서버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드가 동시 모니터링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는, 열화상영상 획득부 및 영상부 둘 모두를 통해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화재 감시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화재 가능성 예측부를 통해 상기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을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화재 발생 가능성 예측 판단 및 화재 발생 여부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화재 감시 방법은: 화재 감시 서버부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의 복합형 화재 감시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가 상기 화재 감시 서버부로부터 동시 모니터링 모드 및 단일 모니터링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모드 설정 데이터를 수신받아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과정;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드 설정 과정에서 미리 설정된 모드에 따라 열화상부를 통해 획득되는 열화상영상 및 영상부를 통해 획득되는 일반영상 중 하나 이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과정; 상기 제어부가 영상이 획득되면 통신부를 통해 상기 화재 감시 서버부로 전송하는 영상 전송 과정;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및 화재의 발생 여부를 검출하는 화재 검출 과정; 상기 제어부가 상기 화재 가능성 예측 판단 또는 화재 발생 검출 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자신의 설정위치 및 높이를 기준으로 상기 열화상부 및 영상부의 상하좌우 틸팅 각도 및 영상 내에서의 화재 가능성 예측 판단 또는 화재 발생 검출 위치에 의해 실제 화재 가능성 예측 판단 위치 및 화재 발생 검출 위치를 계산하는 화재 발생 위치 계산 과정;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시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알림 신호를, 상기 화재 발생 검출 시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상기 화재 감시 서버부로 전송하여 통지하되, 상기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알림 신호에 실제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고, 화재 발생 검출 시 화재 발생 알림 신호에 실제 화재 발생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통지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드가 단일 모니터링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획득 과정에서 열화상영상 획득부를 통해 상기 열화상부로부터 열화상영상만을 획득하고, 상기 영상 전송 과정에서 상기 열화상영상만을 상기 화재 감시 시스템으로 전송하되, 상기 화재 검출 과정에서 상기 열화상영상을 분석하여 화재 발생 가능성 예측 판단 시부터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해 영상부를 구동하여 일반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화재 감시 서버부로 제공하는 단일모드 일반영상 제공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드가 동시 모니터링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획득 과정에서 열화상영상 획득부 및 영상 획득부 둘 모두를 통해 상기 열화상부 및 영상부로부터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 둘 모두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 전송 과정에서 상기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 둘 모두를 상기 화재 감시 시스템으로 전송하되, 상기 화재 검출 과정에서 상기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을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화재 발생 가능성 예측 판단 및 화재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화재 감시 장치에 열화상 센서 및 영상 카메라가 복합적으로 구성되므로 설치될 장치의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설치 시간 및 설치비용의 감소에 의한 시스템 구축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IP 통신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여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을 결합하여 전송함으로써 배선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설치시간 및 설치비용의 감소에 의한 시스템 구축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드에 따라 촬영되는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을 실시간 수신하여 감시할 수도 있고, 화재 가능성 예측 시부터만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을 전송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가 감시영역에 대한 특성에 따라 불필요한 영상의 전송을 방지하여 과도한 트래픽의 발생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영상의 저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시스템을 보다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재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가 적용된 화재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의 복합형 화재 감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화재 감시 방법의 동시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 및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고, 상기 장치에서의 화재 감시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가 적용된 화재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가 적용된 화재 감시 시스템(100)은 다수의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200) 및 화재 감시 서버부(300)를 포함한다.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200) 및 화재 감시 서버부(300)는 근거리 통신망, 즉 로컬망(101)을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그러나 화재 감시 서버부(300)는 광대역 통신망인 인터넷망(310)에 연결되어 로컬망(101)에 연결된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200)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로컬망(10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라우터(공유기), 또는 하나 이상의 유선 라우터 및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102)로 구성되어 유선 또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형성한다.
화재 감시 서버부(300)는 다수의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200)들을 관리하며,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200)들로부터 수신되는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을 모니터에 표시하거나 저장하여 관리하며,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알림 신호 및 화재 발생 알림 신호의 수신 시 수신된 신호에 따른 알림음 또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하고, 화재가 발생한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200)의 위치 및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위치 또는 화재 발생 위치를 표시한다. 또한, 화재 감시 서버부(300)는 인터넷망(310)을 통해 원격지의 관리자가 컴퓨터 단말기(400)를 통해 접속하여 화재 감시 관련 정보의 요청 시 해당 정보를 제공한다.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200)는 화재 감지 지역에 설치되어 해당 화재 감시 영역을 열화상 센서 및 일반영상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을 화재 감시 서버부(300)로 전송하되, 모드에 따라 해당 감시 영역을 촬영한 실시간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을 전송하거나, 화재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화재의 발생 가능성 예측 판단 시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화재 감시 서버부(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200)는 감시해야 할 감시영역이 넓은 경우,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자신이 설치된 위치 및 높이와 임의의 기준 각도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또는 화재 발생 검출 시의 열화상 센서 및 영상 카메라가 향하고 있는 상하좌우 각도 및 해당 영상에서의 위치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위치 또는 화재 발생 검출 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화재 감시 서버부(300)로 제공한다.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200)의 상세 구성은 하기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200)는 제어부(110), 저장부(120), 열화상부(130), 영상부(140) 및 통신부(150)를 포함한다.
저장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는 자신의 위치 및 높이 정보, 모드 설정 데이터 등과 같은 설정데이터 및 촬영되는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을 저장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은 현재 시간으로부터 최근 일정 시간 동안의 영상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열화상부(130)는 열화상 센서(131) 및 열화상영상 처리부(132)를 포함하여 감시 영역의 촬영하여 감시 영역에 대한 열에 따른 열화상을 미리 설정된 영상 포맷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영상부(140)는 영상 카메라(141) 및 영상 처리부(140)를 포함하여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감시 영역에 대한 일반영상을 미리 설정된 영상 포맷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상기 영상 포맷은 avi, asf, wmv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열화상부(130) 및 영상부(140), 또는 열화상부(130)의 열화상 센서(131) 및 영상부(140)의 영상 카메라(141)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상하좌우 각도를 조절하는 틸팅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고, 줌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통신부(150)는 로컬망(101)에 접속하여 화재 감시 서버부(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부(150)는 유선으로 로컬망(101)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통신부 및 AP(102)에 접속하여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10)는 모드 설정부(111), 열화상영상 획득부(112), 영상 획득부(113), 영상 전송부(114), 온도 검출부(115), 화재 가능성 예측부(116) 및 위치 계산부(117)를 포함한다.
모드 설정부(111)는 통신부(150)를 통해 화재 감시 서버부(300)와 통신을 수행하여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는 모드 설정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부(120)에 저장하여 모드를 설정한다. 상기 모드는 단일 모니터링 모드 및 동일 모니터링 모드가 있다. 단일 모니터링 모드는 열화상부(130)에 의해서만 화재 감시를 모니터링하고 열화상부(130)에서 출력되는 열화상영상에 의해 화재 가능성 예측을 수행하여 화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영상부(140)를 통해 감시영역을 촬영하여 일반영상을 화재 감시 서버부(300)로 제공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동시 모니터링 모드는 열화상부(130) 및 영상부(140)를 통해 감시영역을 동시에 촬영하여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을 동시에 화재 감시 서버부(300)로 전송하고, 영화상 영상에 의한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시 화재 감시 서버부(300)로 화재 발생 가능성을 알리는 모드이다.
열화상영상 획득부(112)는 열화상부(130)를 제어하여 열화상부(130)를 통해 촬영되는 열화상영상을 획득한다.
영상 획득부(113)는 영상부(140)를 제어하여 영상부(140)를 통해 촬영되는 일반영상을 획득한다.
영상 전송부(114)는 모드 설정부(111)에 의해 설정된 모드에 따라 열화상영상, 또는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을 통신부(150)를 통해 화재 감시 서버부(300)로 전송한다.
온도 검출부(115)는 상기 열화상영상 획득부(112)에서 획득된 열화상영상을 분석하여 포인트별로 온도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상기 포인트란 열화상영상의 범위 내에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특정 위치이다. 상기 포인트는 열화상 센서(131)를 통해 들어오는 영상의 중앙에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고, 일정 범위 단위로 다수개가 설정될 수도 있으며, 열화상영상 내에서 동일 온도가 형성되는 군단위로 영상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화재 가능성 예측부(116)는 상기 열화상영상 및 상기 온도 검출부(115)로부터 입력되는 온도값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포인트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포인트가 있으면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은 상기 온도 검출부(115)를 통해 검출되는 온도가 미리 설정된 화재 가능성 판단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화재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고, 열화상부(130) 및 영상부(14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불꽃 및 연기가 검출되는 경우 화재 가능성을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불꽃 및 연기 검출 방법 자체는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위치 계산부(117)는 상기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또는 화재 발생 검출 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자신의 설정위치 및 높이를 기준으로 열화상부 및 영상부의 상하좌우 틸팅 각도 및 영상 내에서의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또는 화재 발생 검출 위치에 의해 실제 화재 가능성 예측 판단 위치 및 화재 발생 검출 위치를 계산한다. 상기 자신의 위치 정보는 경도/위도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실제 화재 가능성 예측 판단 위치 및 실제 화재 발생 검출 위치 또한 경도/위도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의 복합형 화재 감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제어부(110)는 감시 개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111). 상기 감시 개시 이벤트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고, 통신부(150)를 통한 화재 감시 서버부(300)로부터 감시 개시 요청 신호의 수신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감시 개시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1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모드 설정 데이터를 검사하여 현재 모드가 단일 모니터링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동시 모니터링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13).
현재 모드가 단일 모니터링 모드이면 단일 모니터링 과정을 수행하고, 동시 모니터링 모드이면 동시 모니터링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동시 모니터링 과정은 하기의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 4에서는 단일 모니터링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모드 판단에서 현재 모드가 단일 모니터링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열화상영상 획득부(112)를 통해 열화상부(130)를 구동하여(S115) 열화상을 통한 열화상영상을 획득하고, 온도 검출부(115) 및 화재 가능성 예측부(116)를 통해 감시되고 있는 감시영역 내의 온도, 연기 및 불꽃 등의 검출 여부 등을 검사하여 화재 감시를 개시한다(S117).
화재 감시가 개시되면 제어부(110)는 열화상영상 획득부(112)로부터 획득되는 열화상영상을 통신부(150)를 통해 화재 감시 서버부(300)로 전송하기 시작한다(S119).
상기와 같이 화재 감시가 개시되고 열화상영상이 전송되기 시작하면 제어부(110)는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121). 상기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이벤트는 화재 가능성 예측부(116)에 의해 발생되며, 촬영되는 열화상영상에서 검출되는 온도가 미리 설정된 화재 가능성 판단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발생될 수도 있고, 열화상영상에서 불꽃 및 연기 중 하나 이상이 검출되는 경우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이벤트가 검출되면 제어부(110)는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알림 신호(또는 메시지)를 화재 감시 서버부(300)로 제공한(S123) 후 영상 획득부(113)를 통해 영상부(140)를 구동하여(S125) 일반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되는 일반영상을 화재 감시 서버부(300)로 전송하기 시작한다(S127).
영상 전송이 개시되면 제어부(110)는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이 해제되는지(S129), 화재가 발생하는지(S131)를 모니터링한다.
온도가 화재 가능성 판단 기준 온도 이하로 떨어지거나 검출되던 불꽃 및 연기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화재 발생 가능성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하여 영상 전송을 종료한(S133) 후, 영상부(140)의 구동을 종료한다(S135).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영상부(140)의 종료 후 상기 S117로 돌아가 화재 감시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것이다.
반면, 제어부(110)는 온도가 화재 판단 기준 온도 이상으로 올라가거나 불꽃의 크기가 화재 판단 기준 크기보다 커지거나, 연기의 양 및 농도가 높아지는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화재 발생 알람 신호(또는 "메시지")를 화재 감시 서버부(300)로 전송한다(S137).
상기 화재 발생 알람 신호의 전송 후, 제어부(110)는 화재가 진화되는지를 검사하고(S139), 화재가 진화되지 않으면 지속적으로 일반영상 및 화재 발생 알람 신호를 전송하고, 화재가 진화되면 화재 발생 알람 해제 신호를 화재 감시 서버부(300)로 전송한(S141) 후, 상술한 S117 이후의 과정을 반복해서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화재 감시 방법의 동시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도시 모니터링 모드에서의 동시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110)는 열화상부(130) 및 영상부(140)를 동시에 구동하여 열화상 센서(131) 및 영상 카메라(141)를 동작시킨다(S211).
열화상부(130) 및 영상부(140)가 동시에 구동되면 제어부(110)는 열화상영상 획득부(112) 및 영상 획득부(113)를 통해 획득되는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을 통신부(150)를 통해 화재 감시 서버부(300)로 전송하기 시작하고(S213), 화재 가능성 예측부(116)를 통해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검사하여 화재 모니터링을 개시한다(S215). 이때는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 둘 모두 전송되므로 화재 감시 서버부(300)에 표시되는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을 통해 관리자과 화재 여부를 즉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직접적으로 화재 발생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검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화재 발생 이벤트는 검출되는 온도가 화재 판단 기준 온도보다 높거나, 검출된 불꽃의 크기가 화재 발생 판단 기준 크기보다 크거나, 연기의 양 및 농도가 화재 발생 판단 기준 량 및 기준 농도보다 높은 경우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이벤트(또는 화재 발생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10)는 화재 발생 가능성 알람 신호(화재 발생 알람 신호)를 화재 감시 서버부(300)로 전송한다(S217).
상기 화재 발생 가능성 알람의 발생 후 제어부(110)는 화재 발생 가능성이 해제되는지(S219), 화재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221).
화재 발생 가능성이 해제되면 제어부(110)는 화재 발생 가능성 알림을 해제한(S223) 후 상기 S213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반면,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화재 감시 서버부(300)로 전송하고(S225), 화재가 진화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227).
화재가 진화되면 제어부(110)는 화재 발생 알람 해제 신호를 화재 감시 서버부(300)로 전송한(S229) 후 상술한 S213 이후의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화재 감시 시스템 110: 제어부
101: 로컬망 102: 액세스 포인트(AP)
111: 모드 설정부 112: 열화상영상 획득부
113: 영상 획득부 114: 영상 전송부
115: 온도 검출부 116: 화재 가능성 예측부
117: 위치 계산부
120: 저장부 130: 열화상부
131: 열화상 센서 132: 열화상영상 처리부
140: 영상부 141: 영상 카메라
142: 영상 처리부 150: 통신부
200: 화재 감시 장치 300: 화재 감시 서버부

Claims (10)

  1. 화재 감시 서버부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의 화재 감시 장치에 있어서,
    화재 감시 지역의 일정 범위의 화재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열화상영상을 출력하는 열화상부;
    상기 열화상부와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화재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일반영상을 출력하는 영상부;
    로컬망에 유선 및 무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연결되어 상기 화재 감시 서버부와 인터넷프로토콜에 기반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단일 모니터링 모드 및 동시 모니터링 모드 중 미리 설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열화상부를 통해 획득되는 열화상영상 및 영상부를 통해 획득되는 일반영상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화재 감시 서버부로 전송하고, 상기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및 화재의 발생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화재 감시 서버부로 통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화재 감시 서버부로부터 관리자에 의해 단일 모니터링 모드 및 동시 모니터링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모드 설정 데이터를 입력받아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부;
    상기 열화상부를 통해 상기 열화상영상을 획득하는 열화상영상 획득부;
    상기 영상부를 통해 상기 일반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열화상영상으로부터 포인트별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
    상기 온도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온도와, 상기 모드에 따른 상기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 중 하나 이상의 분석에 의한 불꽃 및 연기 검출에 의해 화재 가능성 예측 판단 및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가능성 예측부; 및
    화재 감시 장치의 고유의 식별정보, 미리 설정된 자신의 위치, 설치 높이, 상기 열화상부 및 영상부의 상하좌우 틸팅 각도를 기준으로 상기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검출 위치 또는 화재 발생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부를 포함하되,
    화재 가능성 예측 판단 시 화재 발생 가능성이 있음을 알리는 화재 발생 가능성 알림 신호를 상기 화재 감시 서버부로 제공하고, 화재 발생 판단 시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상기 화재 감시 서버부로 전송하며, 상기 화재 발생 가능성 알림 신호의 전송 시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검출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고, 상기 화재 발생 검출 시 화재 발생 알림 신호에 화재 발생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가 단일 모니터링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는,
    열화상영상 획득부를 통해 상기 열화상부로부터 열화상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화재 감시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화재 가능성 예측부를 통해 상기 열화상영상을 분석하여 화재 발생 가능성 예측 판단 및 화재 발생 여부를 예측하고,
    화재 발생 가능성 예측 판단 시부터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해 영상부를 구동하여 일반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화재 감시 서버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가 동시 모니터링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는,
    열화상영상 획득부 및 영상부 둘 모두를 통해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화재 감시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화재 가능성 예측부를 통해 상기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을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화재 발생 가능성 예측 판단 및 화재 발생 여부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
  5. 삭제
  6. 화재 감시 서버부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의 복합형 화재 감시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가 상기 화재 감시 서버부로부터 동시 모니터링 모드 및 단일 모니터링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모드 설정 데이터를 수신받아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과정;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드 설정 과정에서 미리 설정된 모드에 따라 열화상부를 통해 획득되는 열화상영상 및 영상부를 통해 획득되는 일반영상 중 하나 이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과정;
    상기 제어부가 영상이 획득되면 통신부를 통해 상기 화재 감시 서버부로 전송하는 영상 전송 과정;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및 화재의 발생 여부를 검출하는 화재 검출 과정;
    상기 제어부가 상기 화재 가능성 예측 판단 또는 화재 발생 검출 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자신의 설정위치 및 높이를 기준으로 상기 열화상부 및 영상부의 상하좌우 틸팅 각도 및 영상 내에서의 화재 가능성 예측 판단 또는 화재 발생 검출 위치에 의해 실제 화재 가능성 예측 판단 위치 및 화재 발생 검출 위치를 계산하는 화재 발생 위치 계산 과정;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시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알림 신호를, 상기 화재 발생 검출 시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상기 화재 감시 서버부로 전송하여 통지하되, 상기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알림 신호에 실제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고, 화재 발생 검출 시 화재 발생 알림 신호에 실제 화재 발생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통지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화재 감시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가 단일 모니터링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획득 과정에서 열화상영상 획득부를 통해 상기 열화상부로부터 열화상영상만을 획득하고,
    상기 영상 전송 과정에서 상기 열화상영상만을 상기 화재 감시 시스템으로 전송하되,
    상기 화재 검출 과정에서 상기 열화상영상을 분석하여 화재 발생 가능성 예측 판단 시부터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해 영상부를 구동하여 일반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화재 감시 서버부로 제공하는 단일모드 일반영상 제공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화재 감시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가 동시 모니터링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획득 과정에서 열화상영상 획득부 및 영상 획득부 둘 모두를 통해 상기 열화상부 및 영상부로부터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 둘 모두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 전송 과정에서 상기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 둘 모두를 상기 화재 감시 시스템으로 전송하되,
    상기 화재 검출 과정에서 상기 열화상영상 및 일반영상을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화재 발생 가능성 예측 판단 및 화재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화재 감시 방법.
  10. 삭제
KR1020150006032A 2015-01-13 2015-01-13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543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032A KR101543561B1 (ko) 2015-01-13 2015-01-13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032A KR101543561B1 (ko) 2015-01-13 2015-01-13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3561B1 true KR101543561B1 (ko) 2015-08-12

Family

ID=54060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032A KR101543561B1 (ko) 2015-01-13 2015-01-13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56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97649A (zh) * 2017-05-25 2017-08-01 欧阳培光 一种网络智能明火探测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904282B1 (ko) * 2016-12-20 2018-10-30 주식회사 해강에이피 화재 징후 예방 및 냄새 감지기 시스템
KR20220061312A (ko) * 2020-11-05 2022-05-13 덕산메카시스 주식회사 레일로봇장치가 구비된 딥러닝 기반의 건물 관리 시스템
KR102518615B1 (ko) 2022-03-08 2023-05-08 아이브스 주식회사 이상 음원을 판단하는 복합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2585768B1 (ko) * 2022-10-24 2023-10-10 김란주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
WO2024010393A1 (ko) * 2022-07-06 2024-01-11 권윤아 인공지능 자동소화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282B1 (ko) * 2016-12-20 2018-10-30 주식회사 해강에이피 화재 징후 예방 및 냄새 감지기 시스템
CN106997649A (zh) * 2017-05-25 2017-08-01 欧阳培光 一种网络智能明火探测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20220061312A (ko) * 2020-11-05 2022-05-13 덕산메카시스 주식회사 레일로봇장치가 구비된 딥러닝 기반의 건물 관리 시스템
KR102470131B1 (ko) * 2020-11-05 2022-11-28 덕산메카시스 주식회사 레일로봇장치가 구비된 딥러닝 기반의 건물 관리 시스템
KR102518615B1 (ko) 2022-03-08 2023-05-08 아이브스 주식회사 이상 음원을 판단하는 복합 감시 장치 및 방법
WO2024010393A1 (ko) * 2022-07-06 2024-01-11 권윤아 인공지능 자동소화장치
KR102585768B1 (ko) * 2022-10-24 2023-10-10 김란주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
WO2024090880A1 (ko) * 2022-10-24 2024-05-02 김란주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3561B1 (ko)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544019B1 (ko) 합성 영상을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방법
KR101566839B1 (ko) 자가진단 기능을 가진 방범 cctv 시스템 및 그 자가진단 방법
KR100716306B1 (ko) 산불감시시스템
KR101498985B1 (ko) Ip cctv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 기반의 비상상황 발생 현장 촬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발생 현장의 촬영 및 모니터링 방법
KR101396459B1 (ko) 방범용 cctv의 작동 상태 감시 시스템
JP2003240613A (ja) 遠隔監視装置
KR101321447B1 (ko) 네트워크를 통한 현장 모니터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20120067079A (ko) 도로 사면 붕괴 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3838784B2 (ja) 画像伝送システム
JP2009015536A (ja) 不審者通報装置、不審者監視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遠隔監視システム
KR101625606B1 (ko) Cctv 관리 시스템
KR200413990Y1 (ko) 화재 감지 시스템
KR20120057829A (ko) 씨씨디 카메라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주차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459503B1 (ko) 듀얼센서를 이용한 감시영역 이상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5404453B2 (ja) 車両監視装置
KR20200000297A (ko) 영상 감시시스템및 드론을 이용한 영상감시방법
JP3046404B2 (ja) テレビカメラを用いた火災監視装置
KR101806552B1 (ko) 도난 방지용 네트워크 카메라
JP2007166044A (ja) 監視システム
KR200191446Y1 (ko) 산불 감지 시스템
KR101529612B1 (ko) 무선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1003180B1 (ko) 원격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의 지능형 감시방법
JP3969839B2 (ja) 画像監視装置
KR101634967B1 (ko) 3차원 영상 변환 기반의 앱 호환형 악천후 지역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5